KR20010090810A - 주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조합 - Google Patents

주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조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810A
KR20010090810A KR1020017005517A KR20017005517A KR20010090810A KR 20010090810 A KR20010090810 A KR 20010090810A KR 1020017005517 A KR1020017005517 A KR 1020017005517A KR 20017005517 A KR20017005517 A KR 20017005517A KR 20010090810 A KR20010090810 A KR 20010090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dditional function
line
function unit
ma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데스빌헬름
Original Assignee
디테르 바우만
잉. 발터 헹스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테르 바우만, 잉. 발터 헹스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디테르 바우만
Publication of KR2001009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81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5Snap, latch or clip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4Seals or gaskets for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01M2011/031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F01M2011/03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comprising coolers or heat exchang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또는 가스가 주 유닛(2)을 통해 유동할 수 있고, 주 유닛(2) 및 부가 기능 유닛(3)이 부가 기능 유닛(3)을 부가시키는 플랜지 연결부의 결합 요소들(21, 31)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액체 또는 가스 공급 채널 및 하나의 액체 또는 가스 복귀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요소(21, 31)가 서로 결합하여 내밀 시일을 제공하는, 양호하게는 내연 기관의 엔진 블록인 주 유닛(2)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운반 또는 가스 운반 주 유닛(2)에 부가될 수 있는 양호하게는 오일 필터 또는 연료 필터 또는 열 교환기 또는 오일 입자 분리기인 적어도 하나의 부가 기능 유닛(3)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은, 플랜지 연결부의 요소(21, 31)는 적어도 두 개의 평행한 라인 연결 피스(31)에 의해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두 개의 부합 라인 보어홀(21)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며, 함께 플러그되는 상태에서의 플랜지 연결부는 라인 연결 피스(31)와 결합된 라인 보어홀(21) 사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시일(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조합{COMBINATION CONSISTING OF A MAIN UNIT AND OF AT LEAST ONE EXTERNAL-MOUNTED FUNCTIONAL UNIT}
도입부에서 언급된 종류의 조합은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 이용되며, 자동차 구조가 이러한 조합이 자주 이용되는 분야이다. 이 조합에서는, 영구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밀봉 연결부를 제공하는 동시에 가능한 한 단순하고 용이하게 부가를 수행할 수 있다는 데 목적이 있다. 형태가 특별히 매치되어 여러 개의 스크류에 의해 함께 서로 유지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개재된 시일에 의해 영역 연결 플랜지가 밀봉되는 플랜지 연결부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따라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도입부에서 언급된 종류의 다른 조합은 독일 특허 195 39 918호로부터 공지된다. 이 공보는 특히 내연 기관의 오일 또는 연료를 위한 액체 필터 및 내연 기관 일부를 형성하는 적합한 필터 연결 플랜지를 설명한다. 내연 기관의 필터 연결 플랜지 상의 시일 면들은 서로에 대해서 동심적으로 배열된 반경 방향 시일 면이고, 필터 하우징 상의 시일은 서로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열된 반경 방향 시일이다. 이것이 간단한 생산과 시일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 반면에, 상기에서 설명된 일반적으로 공지된 플랜지 연결부와 마찬가지로 이 플랜지 연결부들은 플랜지 연결 요소가 경험하는 부하 때문에 플랜지 연결 요소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안정성과 강성이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문제는 부가 기능 유닛에 대면하는 측면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플랜지 연결 요소를 포함하는 유닛의 적어도 그 부분이 필요한 요구 조건을 안전하게 충족시키도록 적절히 안정한 금속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더 가벼운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의 소정 구조와 비교할 때, 그러한 구조는 생산 비용의 증가와 중량의 증가를 야기한다. 그러나, 금속이 플라스틱으로 대체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가 기능 유닛은 발생하는 부하를 견딜 수 없을 것이고 누설 또는 더 심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플라스틱으로 각 부분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액체 또는 가스가 주 유닛을 통해 유동할 수 있고, 주 유닛 및 부가 기능 유닛이 부가 기능 유닛을 부가시키는 플랜지 연결부의 결합 요소들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액체 또는 가스 공급 채널 및 하나의 액체 또는 가스 복귀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요소가 서로 결합하여 내밀 시일을 제공하는, 양호하게는 내연 기관의 엔진 블록인 주 유닛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운반 또는 가스 운반 주 유닛에 부가될 수 있는 양호하게는 오일 필터 또는 연료 필터 또는 열 교환기 또는 오일 입자 분리기인 적어도 하나의 부가 기능 유닛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도1 주 유닛 및 제1과 제2의 부가 기능 유닛의 조합의 종단면도.
도2 도1의 조합의 정면도.
도3 도1 및 도2의 제2의 부가 기능 유닛만의 평면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의 내밀성이 보장되고, 특히 부가 기능 유닛이 안정된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대신에 플라스틱 재료 또는 덜 안정된 금속으로 만들어 지는, 상술된 단점을 방지하고 특히 간단한 방법으로 플랜지 연결부를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도입부에서 언급된 종류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랜지 연결부의 요소(21, 31)는 적어도 두 개의 평행한 라인 연결 피스(31)에 의해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두 개의 부합 라인 보어홀(21)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며, 함께 플러그되는 상태에서의 플랜지 연결부는 라인 연결 피스(31)와 결합된 라인 보어홀(21) 사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시일(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입부에서 언급된 종류의 조합에 의해서, 본 목적은 충족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은 만들기 쉽고 즉 간단하게 함께 플러그된다. 한 측면으로는 보어홀의 드릴링만을 포함하며, 다른 측면으로는 개별 플랜지 연결 요소의 생산을 간단하게 하도록 양호하게는 모두 동일한 구조인 라인 연결 피스에 제공하는 것이 단지 필요하기 때문에, 개별 플랜지 연결 요소의 생산 역시 기술적으로 간단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에서는, 조합이 작동할 때 발생하는 액체 압력 또는 가스 압력은 이제 품질과 연결부의 내구성과 그 내밀성에 매우 적은 영향을 준다. 따라서, 작동하는 동안 플랜지 연결부의 더 작은 영역이 압력에 노출되는 결과로서, 발생하는 부하는 각각 감소된다. 모든 연결부의 반경 방향 시일을 사용함으로써 그들의 내밀성은 가해지는 축방향 힘에 의존하지 않으며, 오직 작은 축방향 힘만이 주 유닛에 부가 기능 유닛을 유지하는 데 요구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보다 적은 스크류 및/또는 더 약한 스크류로도 충분하며, 마찬가지로, 이 스크류를 부착하기 위해 금속 슬리브가 플라스틱에 끼워 넣어지지 않은채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금까지 사용된 안정한 재료보다 더 가벼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이제 가능하며, 특히 부가 기능 유닛을 생산하기 위해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이제 가능하다. 플라스틱 외에도 알루미늄보다 덜 강한 경금속 마그네슘은 적합한 재료이며,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의 경우에 플랜지 연결 요소의 특정한 구조 때문에 단점은 없다. 채널에 전달된 매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 연결을 통하는 경로인 다수의 채널은, 조합의 목적과 기능에 의존한다. 본 발명은 중량과 비용 감소를 가능하게 하며, 그 감소는 자동차 생산에서 특히 중요하다.
양호하게는, 라인 보어홀이 주 유닛에 제공되는 반면에 라인 연결 피스는 부가 기능 유닛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은 단지 간단한 절삭 제거 과정을 요구함으로써, 플랜지 연결 요소에 연결된 채널의 라인 지름보다 플랜지 연결 요소가 단지 약간 크기 때문에 단지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재료가 절삭에 의해 제거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양호하게는, 모든 라인 연결 피스가 상기 표면 벽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돌출하여 외면이 편평한 표면 벽을 가진 하우징을 부가 기능 유닛이 포함하고, 주 유닛이 외면이 편평한 반대 표면을 포함하며 모든 라인 보어홀이 대향되도록 배열될 것을 조건으로 한다. 모든 라인 보어홀 뿐만 아니라 모든 라인 연결 피스는 동일하게 만들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생산은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된다.
주 유닛 위에 플러그된 후 부가 기능 유닛을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표면 벽은, 주 유닛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기계적 연결 요소를, 양호하게는볼트를 배치 하기 위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개구를 포함한다.
부가 기능 유닛을 부가한 동안 그리고 후에, 반경 방향 시일에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라인 보어홀 및/또는 라인 연결 피스 각각은, 반경 방향 시일을 수용하기 위한 또는 상기 반경 방향 시일에 대한 단부 멈치를 제공하기 위한 홈 또는 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양호하게는, 반경 방향 시일은 각 단일 반경 방향 시일에 대해 적은 비용이 포함되는 표준 O링이다. 따라서 특히 형성된 시일에 대해서는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전개에서는, 양호하게는 오일 필터 또는 연료 필터인 제1 부가 기능 유닛과는 별도로, 양호하게는 오일 냉각기 또는 연료 예열기인 제2 부가 기능 유닛이 제공되며, 필요하다면, 주 유닛과 제1 부가 기능 유닛 사이에 제2 부가 기능 유닛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배열되는 플랜지 연결을 분리된 두 영역에 상기 제2 부가 기능 유닛이 포함한다. 유리하게, 여기에 설명된 조합은, 포함된 유닛의 형상 또는 처리 변화 필요없이 조합을 바꾸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모듀울 방식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의 다른 실시예는, 양호하게는 오일 필터 또는 연료 필터인 제1 부가 기능 유닛과는 별도로, 양호하게는 오일 냉각기 또는 연료 예열기인 제2 부가 기능 유닛이 제공되며, 상기 제1 부가 기능 유닛이 주 유닛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부가 기능 유닛이 제1 부가 기능 유닛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부가 기능 유닛과 제2 부가 기능 유닛 사이에 있는 플랜지 연결 요소 뿐만 아니라 주 유닛과 제1 부가 기능 유닛 사이에 있는 플랜지 연결 요소가 동일한 구조인 것을특징으로 한다. 조합을 구성하는 데 제2 부가 기능 유닛이 있도록 또는 없도록 선택을 할 수 있다. 조합에 제2 부가 기능 유닛이 필요하지 않다면, 제1 부가 기능 유닛의 제공된 플랜지 연결 요소는 간단하게 차단된다. 필요하다면, 차단이 제거된 후에, 그 후에 제2 부가 기능 유닛을 부가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특히 움직이는 자동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2 부가 기능 유닛의 플랜지 연결 요소의 기계적인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2 부가 기능 유닛이, 양호하게는 볼트인 해제 가능한 연결 수단에 의해 주 유닛에 또는 제1 부가 기능 유닛에 기계적으로 연결 가능한 플랜지 연결 요소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및 부착 요소를 포함한다면 유용하다.
이하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면에 의해 설명된다.
도1은 주 유닛(2) 및 두 개의 부가 기능 유닛(3, 4)을 포함하는 조합(1)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 유닛(2)은 이 도면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내연 기관의 엔진 블록이다. 제1의 부가 기능 유닛(3)은 오일 필터이며, 제2의 부가 기능 유닛(4)는 본 예에서 오일을 냉각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열 교환기이다.
주 유닛(2)은 본 예에서 엔진 블록이며,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고 서로로부터 이격된 3개의 라인 보어홀(21)을 포함하며, 라인 보어홀(21)은 방출 평면 표면(20)에 직각으로 정렬된다. 라인 보어홀(21)은 그들의 외부 말단 근처에 원주(방향) 계단부(22)를 포함하며, 최단부에 송출 구배를 포함한다.
본 예에서 오일 필터인 제1의 부가 기능 유닛(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주 유닛(2)의 평면 표면(20)에 대해 놓인 평면 벽(30)을 포함하는 하우징(3')을 포함한다. 세 개의 라인 연결 피스(31)는 라인 보어홀(21)과 들어맞도록 이 평면 벽(30)으로부터 돌출한다. 본 예에서 도시된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라인 연결 피스(31)는 라인 보어홀(21) 안으로 플러그된다. 밀봉을 위해, 반경 방향 시일(33)이 라인 연결 피스(31)와 라인 보어홀(21) 사이에 제공된다. 모든 라인 연결 피스(31) 상의 계단부(22) 및 다른 계단부(32) 각각은 반경 방향 시일(33)의 정확한 위치를 위해 이용된다. 양호하게는 반경 방향 시일(33)은 표준 O링이다.
부가 기능 유닛(3)은 부가적인 기계적인 연결 수단(도1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주 유닛(2)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1에 도시된 위치에 고정된다.
내부에는, 제1 부가 기능 유닛(3)이 보통의 오일 필터 요소, 즉 필터 삽입체(34)와 내부에 배열된 중심 지지체(35)와, 드레인 밸브(36)를 포함한다. 하우징(3')은 스크류 캡(37)에 의해 폐쇄되며, 필터 삽입체(34)를 교환하기 위해 필요시 개방될 수 있다. 캡(37)이 열리면, 드레인 밸브(36)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캡(37)이 제거되기 전에 필터 하우징(3')이 비워지게 된다. 도1에서 도시된하부의 채널은 하부의 라인 연결 피스(31) 및 결합된 라인 보어홀(21)에 의해 형성되며, 필터 삽입체를 교환하는 상황에 필터 하우징을 비게 하는 데 이용된다.
상부 라인 보어홀(21) 및 결합된 라인 연결 피스(31)에 의해 형성된 도1에 도시된 상부 채널은, 정화될 윤활유를 오일 필터(3)에 공급하는 데 이용된다. 상기 오일 필터(3)로 가는 중에, 오일은 부가적으로 도1에서 뒤에 위치되어 따라서 부분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제2의 부가 기능 유닛(4)를 통해 유동된다. 본 예에서 부가 기능 유닛(4)은 오일 온도가 감소되는 오일 냉각기이다. 오일 냉각기(4)를 통해 유동된 후, 필터 삽입체(34)를 통해 중심 지지체(35) 내로 유동되기 전에 오일은 하우징(3')의 내부의 방사상 외부 영역에 도달한다. 중간 라인 연결 피스(31) 및 중간 라인 보어홀(21)에 의해 형성되는 다음 채널(도1에서의 중간 채널)을 통하여, 냉각되고 정화된 오일은 내연 기관에 다시 도달한다.
도1에서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가 기능 유닛(3)의 모든 라인 연결 피스들(31)은, 상기 제1 부가 기능 유닛(3)의 평면 벽(30)으로부터 같은 거리로 돌출한다. 이것은 생산을 간단하게 하고, 주 유닛(2)에 면해있는 면에서는 라인 보어홀(21)의 영역에 단지 일정하고 단순한 절삭 제거 과정을 요구할 뿐이다. 또한 필요하다면, 개별 라인 연결 피스 및 라인 보어홀의 길이 또는 반경을 다르게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게다가, 도1은 라인 보어홀(21) 및 라인 연결 피스(31)에 어떠한 변경도 없이 부가 기능 유닛(3) 단독으로, 즉 제2의 부가 기능 유닛(4) 없이 부가 기능 유닛(3)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제1 부가 기능 유닛(3)과 함께 또는 제1 부가 기능 유닛(3) 및 제2 부가 기능 유닛(4)과 함께, 주 유닛(2)을 최소의 비용으로 선택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는 주 유닛(2)이 도시되지 않은 도1에서의 조합(1)을 도시한다. 도2의 왼편에는, 하우징(3')이 하부에 위치되고 캡(37)이 상부에 위치된 제1 부가 기능 유닛(3)이 도시된다. 평면 벽(30)이 하부에 그리고 관찰자로부터 먼 쪽에 있으며, 양호하게는 하우징(3')의 주변에 고르게 이격된 세 개의 위치인 여러 위치에서 개구(30')를 갖는 돌출 부착 요소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스크류인 해제 가능한 연결 수단은 안전하게 두 개의 유닛의 기계적인 상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주 유닛(2) 내의 대응 나사 구멍 내에 개구(30')를 통해 위치될 수 있다.
좌측을 향한 하우징(4')의 한 측면에서 평면 표면 또는 표면 벽(40)을 포함하는 제2 부가 기능 유닛(4)이 도2의 오른편에 도시된다. 이 표면 벽(40)은, 기하학적으로 주 유닛(2)의 라인 보어홀(21)에 대응하는 두 개의 라인 보어홀(41)을 포함한다. 제1 부가 기능 유닛(3)의 측면에서, 두 개의 라인 연결 피스(31')는, 상기 연결 피스(31')가 라인 보어홀(41') 내로 연장되어 그들과 밀봉 연결을 형성하여 부합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4')으로부터 돌출된 표면 벽(40)의 영역 상의 개구(40')는 두 부분을 기계식으로 연결하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스크류는 제1 부가 기능 유닛(3)의 하우징(3') 내의 대응하는 나사 구멍 내로 이 개구(40')을 통해 위치된다.
우측을 향한 측면에서, 제2 부가 기능 유닛(4)의 하우징(4')은, 예를 들어 냉매인 제2의 액체의 공급과 제거를 위해 라인을 연결하는 데 제공되는 두 개의 호스 연결 피스(45)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두 개의 라인 보어홀(41)과는 별도로 두 개의 다른 라인 보어홀과, 이에 대응하여 제1 부가 기능 유닛(3)에서 라인 연결 피스(31')와는 별도로 두 개의 다른 라인 연결 피스가, 제2 액체의 공급과 제거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영향으로, 두 개의 다른 플랜지 연결부가 주 유닛(2)과 제1 부가 기능 유닛(3) 사이에서 제공되어야 하며, 또한 제2 액체를 위한 두 개의 채널이 제1 부가 기능 유닛(3) 내에 제공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어떤 호스 연결부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부가 기능 유닛(4)은 개구(44')가 말단에 제공된 지지 및 부착 요소(44)를 포함한다. 이 요소(44)는, 주 유닛(2)(도시되지 않음)에 제2 부가 기능 유닛(4)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고 동시에 라인 연결 피스(31') 및 라인 보어홀(41)에 의해 형성되는 플랜지 연결을 기계적으로 해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지지 및 부착 요소(44)는 라인 보어홀(41)에서 가능한 한 멀리 이격되어 제공된다.
도3은 부분 단면된 제2 부가 기능 유닛(4)의 평면도이다. 도3의 중심에는, 제2 부가 기능 유닛(4)의 하우징(4')이 도시되고, 하우징(4')은 좌측면에 평면 벽(40)을 포함한다. 상부 라인 보어홀(41)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부(4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라인 보어홀(41)이 평면 벽에 제공된다. 또한, 상부 라인 보어홀(41)은 제1 부가 기능 유닛(3)(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의 결합된 라인 연결 피스(31')의 짧은 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라인 연결 피스(31') 상에,삽입된 반경 방향 시일(43)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계단부(32')가 제공된다.
도3의 최우측에는, 제2 액체를 위한 두 개의 호스 연결 피스(45)가 도시된다. 도3의 최상부에는, 최말단의 한 쪽에 개구(44')가 제공된 지지 및 부착 요소(44)가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요소(44)는 제2의 부가 기능 유닛(4)의 표면 벽(40)와 함께 하나의 부분으로 만들어진다.

Claims (9)

  1. 액체 또는 가스가 주 유닛(2)을 통해 유동할 수 있고, 주 유닛(2) 및 부가 기능 유닛(3)이 부가 기능 유닛(3)을 부가시키는 플랜지 연결부의 결합 요소들(21, 31)을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액체 또는 가스 공급 채널 및 하나의 액체 또는 가스 복귀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요소(21, 31)가 서로 결합하여 내밀 시일을 제공하는, 양호하게는 내연 기관의 엔진 블록인 주 유닛(2)과, 적어도 하나의 액체 운반 또는 가스 운반 주 유닛(2)에 부가될 수 있는 양호하게는 오일 필터 또는 연료 필터 또는 열 교환기 또는 오일 입자 분리기인 적어도 하나의 부가 기능 유닛(3)의 조합에 있어서,
    플랜지 연결부의 요소(21, 31)는 적어도 두 개의 평행한 라인 연결 피스(31)에 의해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두 개의 부합 라인 보어홀(21)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며, 함께 플러그되는 상태에서의 플랜지 연결부는 라인 연결 피스(31)와 결합된 라인 보어홀(21) 사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 시일(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 제1항에 있어서, 라인 연결 피스(31)는 부가 기능 유닛(3)에 제공되고, 라인 보어홀(21)은 주 유닛(2)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3. 제2항에 있어서, 부가 기능 유닛(3)은, 외면이 편평한 표면 벽(30)을 가진하우징(3')을 포함하고, 모든 라인 연결 피스(31)가 상기 표면 벽(30)에서 같은 거리로 돌출하며, 주 유닛(2)이 외면이 편평한 반대쪽의 표면(20)을 포함하며, 모든 라인 보어홀(21)이 대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4. 제3항에 있어서, 표면 벽(30)은, 주 유닛(2)과 해제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양호하게는 볼트인 기계적인 연결 요소들을 배치하기 위한 하나의 또는 여러 개의 개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5. 상기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인 보어홀(21) 및/또는 라인 연결 피스(31) 각각은 반경 방향 시일(33)을 수용하기 위한 또는 상기 반경 방향 시일(33)을 위한 단부 멈치를 제공하기 위한 홈 또는 계단부(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6. 제5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 시일(33)이 표준 O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호하게는 오일 필터 또는 연료 필터인 제1 부가 기능 유닛(3)과는 별도로, 양호하게는 오일 냉각기 또는 연료 예열기인 제2 부가 기능 유닛(4)이 제공되며, 분리된 두 개의 영역의 상기 제2 부가 기능 유닛(4)은 필요시 주 유닛(2)과 제1 부가 기능 유닛(4) 사이에 제2 부가 기능유닛(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배열되는 플랜지 연결 요소(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호하게는 오일 필터 또는 연료 필터인 제1 부가 기능 유닛(3)과는 별도로, 양호하게는 오일 냉각기 또는 연료 예열기인 제2 부가 기능 유닛(4)이 제공되며, 상기 제1 부가 기능 유닛(3)이 주 유닛(2)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제2 부가 기능 유닛(4)이 제1 부가 기능 유닛(3)에 연결 가능하며, 제1 부가 기능 유닛(3)과 제2 부가 기능 유닛(4) 사이의 플랜지 연결 요소 뿐만 아니라 주 유닛(2)과 제1 부가 기능 유닛(3) 사이의 플랜지 연결 요소(21, 31; 31', 41)는 동일 구조 또는 같은 종류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9. 제8항에 있어서, 제2 부가 기능 유닛(4)은, 양호하게는 볼트인 연결이 해제 가능한 연결 수단에 의해 주 유닛(2)에 또는 제1 부가 기능 유닛(3)에 기계적으로 연결 가능한 플랜지 연결 요소(41)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및 부착 요소(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KR1020017005517A 1999-09-02 2000-08-25 주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조합 KR200100908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915384.3 1999-09-02
DE29915384U DE29915384U1 (de) 1999-09-02 1999-09-02 Kombination aus einer Haupteinheit und wenigstens einer Anbau-Funktionseinheit
PCT/EP2000/008295 WO2001018362A1 (de) 1999-09-02 2000-08-25 Kombination aus einer haupteinheit und wenigstens einer anbau funktionseinhe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810A true KR20010090810A (ko) 2001-10-19

Family

ID=807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517A KR20010090810A (ko) 1999-09-02 2000-08-25 주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조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29276A1 (ko)
JP (1) JP2003508676A (ko)
KR (1) KR20010090810A (ko)
BR (1) BR0007052A (ko)
DE (1) DE29915384U1 (ko)
WO (1) WO2001018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7303B1 (fr) * 2002-11-14 2006-06-23 Renault Sa Agencement d'un echangeur de chaleur sur le circuit de refroidissement d'un moteur et procede pour son montage
DE20312318U1 (de) * 2003-08-09 2004-12-16 Hengst Gmbh & Co.Kg Flüssigkeitsfilt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04014787A1 (de) * 2004-03-24 2005-10-13 Mann + Hummel Gmbh Ölmodul
DE202005014232U1 (de) * 2005-09-08 2007-02-01 Hengst Gmbh & Co.Kg Zentrifugen, insbesondere für das Schmieröl einer Brennkraftmaschine
FR2910069B1 (fr) * 2006-12-13 2009-04-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Filtre a carburant, tel que gazole, alimentant 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un vehicule
JP5126117B2 (ja) * 2009-03-03 2013-01-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ブラケット及びフィルタ取付構造
DE102018119600B4 (de) * 2018-08-13 2021-06-02 Mann+Hummel Gmbh Ölfiltermodul mit Wärmeübertrag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4267C3 (de) * 1984-12-05 1993-12-02 Hengst Walter Gmbh & Co Kg Flüssigkeitsfilter
JPH0520404Y2 (ko) * 1986-11-04 1993-05-27
GB2233574B (en) * 1989-07-13 1993-04-14 Pall Corp Filter assembly
JP2539077B2 (ja) * 1990-04-20 1996-10-02 日本電装株式会社 浄水器
DE19539918C1 (de) * 1995-10-27 1997-02-06 Hengst Walter Gmbh & Co Kg Flüssigkeitsfilter, insbesondere für Öl oder Kraftstoff einer Brennkraftmaschine, und dazu passender maschinenseitiger Filteranschlußflansch
DE19635777A1 (de) * 1996-09-04 1998-03-05 Mann & Hummel Filter Baugruppe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EP0838577B1 (de) * 1996-10-26 2001-10-24 MAHLE Filtersysteme GmbH Ölversorgungssystem für einen Kraftfahrzeugmotor
DE19804329A1 (de) * 1998-02-04 1999-08-05 Knecht Filterwerke Gmbh Flüssigkeits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9915384U1 (de) 2001-01-18
WO2001018362A1 (de) 2001-03-15
JP2003508676A (ja) 2003-03-04
BR0007052A (pt) 2001-07-31
EP1129276A1 (de) 2001-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3485B (zh) 液体过滤器和液体过滤器的过滤元件
US6659731B1 (en) Pressure exchanger
US4426965A (en) Unitized oil cooler and filter assembly
EP0654601B1 (en) Injector assembly
US4406784A (en) Bypass oil filter adapter
US8312857B2 (en) Oil pa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80185776A1 (en) Filter Cartridge Endplate With Integrated Flow Structure
CN103261705A (zh) 具有定子冷却的电动水泵
EP3181962B1 (en) Control valve having a metal sleeve within a plastic valve body
CN103764246A (zh) 流体过滤器和作为过滤筒安装支撑的发动机部件
KR20010090810A (ko) 주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 기능 유닛을 포함하는 조합
CN103717991A (zh) 热交换器组件
US5771854A (en) Oil pump adaptor
US10794269B2 (en) Turbocharger unit
US6591807B1 (en) Combination comprising a main unit and at least one add-on functional unit
US10948930B2 (en) Thermostatic valve and thermal management assembly having same
EP1203885B1 (en) Gear pump
US7115149B2 (en) Cast separator tank
CN100398179C (zh) 流体滤清器
US3115126A (en) Removable insert for internal combustion chambers
CN106969656B (zh) 热交换器的冷却剂连接件、连接杆部、壳体部段和进气歧管
JPH057577B2 (ko)
US7329337B2 (en) Universal filter base and engines using same
CN113007330B (zh) 一种热管理装置
JPH1038480A (ja) オイル冷却用プレートタイプ熱交換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