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887B1 - 락킹 일체형 핀 - Google Patents

락킹 일체형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887B1
KR101094887B1 KR1020050009369A KR20050009369A KR101094887B1 KR 101094887 B1 KR101094887 B1 KR 101094887B1 KR 1020050009369 A KR1020050009369 A KR 1020050009369A KR 20050009369 A KR20050009369 A KR 20050009369A KR 101094887 B1 KR101094887 B1 KR 101094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crew
fixing plate
lock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8598A (ko
Inventor
배길동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887B1/ko
Publication of KR20060088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구조물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데 있어서 구조물간의 신속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고 구조물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락킹 기능을 갖도록 한 락킹 일체형 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락킹 일체형 핀은 단부의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분이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메인핀과, 상기 메인핀의 나사부분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메인핀의 나사 축 상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창착되고 상기 고정판과 대향되는 일측면에 착탈돌기부가 형성되어 타 구조물의 착탈홈부에 상기 착탈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보조핀과, 상기 보조핀을 기준으로 착탈돌기부가 형성된 반대측의 나사부분에 체결되고 회전방향의 선택 조절에 의해 나사 축 상에서 좌우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보조핀이 상기 고정판에 밀착 또는 탈착되도록 하는 락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핀, 너트, 락킹, 위치결정

Description

락킹 일체형 핀{Locking one body type Pi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일체형 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일체형 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일체형 핀을 이용하여 두 구조물을 서로 연결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일체형 핀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락킹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핀 110 : 해드부
120 : 제 1연장부 130 : 제 2연장부
140 : 제 3연장부 141 : 고정단차부
200 : 고정판 300 : 보조핀
310 : 착탈돌기부 400 : 락너트
본 발명은 락킹 일체형 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구조물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데 있어서 구조물간의 신속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고 구조물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락킹 기능을 갖도록 한 락킹 일체형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핀은 두 구조물을 관통하는 관통홀에 끼워 두 구조물을 서로 고정하는 기계요소로서, 종래에는 단부에 나사가 형성된 핀과 너트로 이루어져 두 구조물을 관통하는 관통홀에 핀을 삽입 장착한 후 핀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분에 너트를 체결하여 락킹을 함으로써 구조물간의 위치결정 및 고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핀 구조는 핀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분에 체결되는 너트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하고 두 구조물간의 신속한 위치결정 및 락킹이 어려우며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두 구조물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데 있어서 구조물간의 신속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고 구조물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락킹 기능을 갖도록 한 락킹 일체형 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락킹 일체형 핀은 단부의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분이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메인핀과, 상기 메인핀의 나사부분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메인핀의 나사 축 상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창착되고 상기 고정판과 대향되는 일측면에 착탈돌기부가 형성되어 타 구조물의 착탈홈부에 상기 착탈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보조핀과, 상기 보조핀을 기준으로 착탈돌기부가 형성된 반대측의 나사부분에 체결되고 회전방향의 선택 조절에 의해 나사 축 상에서 좌우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보조핀이 상기 고정판에 밀착 또는 탈착되도록 하는 락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일체형 핀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락킹 일체형 핀은 메인핀(100), 고정판(200), 보조핀(300), 락너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메인핀(100)은 해드부(110)와, 해드부(11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해드부(110)의 일측에서 돌출 연장 형성되고 구조물의 결합홀(미도시)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 1연장부(120)와, 제 1연장부(12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 1연장부(120)의 단부에서 돌출 연장 형성되고 후술하는 락너트(400)가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131)가 형성된 제 2연장부(130)와, 제 2연장부(130)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 2연장부(130)의 단부에서 돌출 연장 형성되고 후술하는 보조핀(300)과 고정판(200)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 3연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메인핀(100)의 해드부(110), 제 1연장부(120), 제 2연장부(130) 및 제 3연장부 (140)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이다. 여기서 제 3연장부(140)의 중간에는 제 3연장부(140)의 직경보다 작은 고정단차부(141)가 형성된다.
고정판(200)은 중앙에 관통홀(200a)이 형성된 원판형상으로, 메인핀(100)의 제 3연장부(140)가 관통홀(200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구체적으로는 관통홀(200a)의 내벽에 일체형으로 고정홀(200b)이 형성되어 제 3연장부(140)의 고정단차부(141)가 고정홀(200b)에 억지 끼워 맞춤형태로 고정된다.
보조핀(300)은 중앙에 관통홀(300a)이 형성된 원판형상으로, 메인핀(100)의 제 3연장부(140)가 관통홀(300a)에 삽입됨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창착되고 고정판(200)과 대향되는 일측면에 착탈돌기부(310)가 형성되어 타 구조물의 착탈홈부(미도시)에 착탈돌기부(310)가 삽입되어 결합하며, 이러한 보조핀(300)의 착탈돌기부(310)는 다양한 착탈홈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상이 바람직하다.
락너트(400)는 보조핀(300)을 기준으로 착탈돌기부(310)가 형성된 반대측 제 2연장부(130)의 나사(131)부분에 체결되고 회전방향의 선택 조절에 의해 나사(131) 축 상에서 좌우 이동함에 따라 보조핀(300)이 고정판(200)에 밀착 또는 탈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락킹 일체형 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일체형 핀을 이용하여 두 구조물을 서로 연결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락킹 일체형 핀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락킹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락킹 일체형 핀을 이용하여 두 구조물(10, 20)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조물(10)에 형성된 결합홀(10a)에 메인핀(100)의 제 1연장부(120)를 관통하여 장착하고, 제 2연장부(130)의 나사(131)부분에 락너트(400)를 체결하며 제 3연장부(140)에 보조핀(300)과 고정판(200)을 순차적으로 장착한다. 여기서 보조핀(300)의 착탈돌기부(310)에는 타 구조물(20)의 착탈홈부(21)를 삽입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착탈돌기부(310)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타 구조물(20)의 다양한 착탈홈부(21)의 형상에 맞게 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타 구조물(20)의 착탈홈부(21)의 형상에 맞는 결합돌기부(310)가 형성된 보조핀(300)을 필요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락킹 일체형 핀을 이용하여 구조물간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게 되면 락너트(400)의 회전방향을 선택 조절하여 보조핀(300)에 결합된 타 구조물(20)을 고정판(200)에 밀착 또는 탈착시키게 되는 바, 락너트(4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락너트(400)는 보조핀(300)을 고정판(200)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보조핀(300)의 결합돌기부(310)에 결합된 타 구조물(20)은 고정판(200)에 밀착되어 락킹된다. 한편 락너트(40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락너트(400)는 보조핀(30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보조핀(300)에 결합된 타 구조물(20)은 보조핀(300)의 이동과 함께 고정판(200)으로부터 멀어지게 되 어 락킹이 해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킹 일체형 핀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락킹 일체형 핀은 락킹 기능을 갖는 일체형 핀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두 구조물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데 있어서 구조물간의 신속 정확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고 구조물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단부의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분이 구조물에 형성된 결합홀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메인핀;
    상기 메인핀의 나사부분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메인핀의 나사 축 상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게 창착되고 상기 고정판과 대향되는 일측면에 착탈돌기부가 형성되어 타 구조물의 착탈홈부에 상기 착탈돌기부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보조핀; 및
    상기 보조핀을 기준으로 착탈돌기부가 형성된 반대측의 나사부분에 체결되고 회전방향의 선택 조절에 의해 나사 축 상에서 좌우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보조핀이 상기 고정판에 밀착 또는 탈착되도록 하는 락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일체형 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핀은
    해드부;
    상기 해드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해드부의 일측에서 돌출 연장 형성되고 구조물의 결합홀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 1연장부;
    상기 제 1연장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제 1연장부의 단부에서 돌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락너트가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제 2연장부; 및
    상기 제 2연장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제 2연장부의 단부에서 돌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보조핀과 고정판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제 3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일체형 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핀의 착탈돌기부는 단면의 형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일체형 핀.
KR1020050009369A 2005-02-02 2005-02-02 락킹 일체형 핀 KR10109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369A KR101094887B1 (ko) 2005-02-02 2005-02-02 락킹 일체형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369A KR101094887B1 (ko) 2005-02-02 2005-02-02 락킹 일체형 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598A KR20060088598A (ko) 2006-08-07
KR101094887B1 true KR101094887B1 (ko) 2011-12-15

Family

ID=37176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369A KR101094887B1 (ko) 2005-02-02 2005-02-02 락킹 일체형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8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598A (ko) 2006-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0200892L (sv) Lasthållarfäste
KR101094887B1 (ko) 락킹 일체형 핀
KR100366027B1 (ko) 일방향 잠금 나사
US6422497B1 (en) Dual-bearing reel having a detachable handle
JP2008267492A (ja) 部材のネジ固定構成
JP2009527662A (ja) ドア若しくは窓のハンドルの固定機構
KR20180118950A (ko)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JP2008208617A (ja) 扉のハンドルレバー用座
JP4712770B2 (ja) 遮断機用差込固定式ホルダ
JP2683324B2 (ja) ドア用ハンドル取付座
JP200125476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4955494B2 (ja) パネルへのスイッチ取付具
JP4595087B2 (ja) 回転椅子
JPS632001Y2 (ko)
KR100655700B1 (ko) 디텐트 레버의 조립 구조
KR100320534B1 (ko) 차량의 다기능 스위치
JP2006143129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取付構造
KR200226926Y1 (ko) 일방향 잠금 나사
JPH09184505A (ja) 部材締結用クリップ
JP3458954B2 (ja) 手摺用取付具
JP3682279B2 (ja) 手摺りの連結構造
JP2000074017A (ja) 薄型部材の取付構造
JP2000194034A (ja) 樹脂成形部材のネジ止め構造
JP4788513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の取付構造
JP5183167B2 (ja) 車両内装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