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452B1 - 마이크로폰 조립체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452B1
KR101094452B1 KR20100047662A KR20100047662A KR101094452B1 KR 101094452 B1 KR101094452 B1 KR 101094452B1 KR 20100047662 A KR20100047662 A KR 20100047662A KR 20100047662 A KR20100047662 A KR 20100047662A KR 101094452 B1 KR101094452 B1 KR 101094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microphone
sound ho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4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058A (ko
Inventor
송청담
심용현
김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to KR2010004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452B1/ko
Priority to PCT/KR2010/008452 priority patent/WO2011145790A1/ko
Priority to CN2011201590313U priority patent/CN202135311U/zh
Priority to CN2011101300669A priority patent/CN102256190A/zh
Priority to TW100117761A priority patent/TWI527469B/zh
Publication of KR2011012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05Electrostatic transducers using semiconducto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면은 개방되고, 타측면에는 외부 음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 음공과 연통되는 내부 음공이 형성된 제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 실장되되, 상기 내부 음공에 대향하도록 실장된 멤스칩;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그 외측면에 복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된 제 2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도전성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은 백챔버 공간을 충분히 확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폰 조립체{Microphone assembly}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백 챔버 공간(back chamber volume)을 충분히 확보하여 음향특성의 향상이 가능한 구성을 지닌 마이크로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나 오디오 등에 널리 사용되는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전압 바이어스 요소와, 음압(sound pressure)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커패시터(C)를 형성하는 다이어프램/백플레이트 쌍, 그리고 출력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JFET)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통적인 방식의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하나의 케이스 안에 진동판과, 스페이서링, 절연링, 백플레이트, 통전링을 순차적으로 삽입한 후 마지막으로 회로부품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넣고 케이스의 끝 부분을 인쇄회로기판측으로 구부려 하나의 조립체로 완성하였다.
한편, 최근 들어 마이크로폰에 미세장치의 집적화를 위해 사용되는 기술로서 마이크로머시닝을 이용한 반도체 가공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멤스(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라고 불리는 이러한 기술은 반도체공정 특히 집적회로 기술을 응용한 마이크로머시닝 기술을 이용하여 ㎛단위의 초소형센서나 액츄에이터 및 전기기계적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머시닝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된 MEMS 칩 마이크로폰은 종래의 진동판과, 스페이서링, 절연링, 백플레이트, 통전링 등과 같은 전통적인 마이크로폰 부품들을 초정밀 미세 가공을 통하여 소형화, 고성능화, 다기능화, 집적화하여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멤스(MEMS) 칩(120)을 이용한 종래의 실리콘 콘덴서 마이크로폰(100)의 하나의 예가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실리콘 콘덴서 마이크로폰(100)은, 인쇄회로기판(110)과, 인쇄회로기판(110)에 실장된 멤스칩(120)과 특수목적형 반도체(ASIC)칩(130) 및 음공(140)이 형성된 케이스(1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멤스칩(120)은 실리콘 웨이퍼 위에 멤스 기술을 이용하여 백플레이트(121)를 형성한 후 스페이서(122)를 사이에 두고 진동막(123)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백플레이트(121)에는 음공(1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멤스 마이크로폰(100)은 음공(140)이 케이스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멤스칩(120)은 하부의 단일의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어 있는 경우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인쇄회로기판의 하측면에는 외부장치와의 전기적 결합을 위한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외부의 소리는 케이스(150)에 형성된 음공(140)으로 유입되어, 진동막(123)을 진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참조번호 126으로 지시된 멤스칩의 내부 공간이 백챔버(back chmber; 126) 공간이다. 백챔버 공간은 진동막을 기준으로 외부음향이 유입되는 측의 반대측 공간을 의미한다.
즉, 도 1에 예시된 마이크로폰(100)와 같이 멤스칩이 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경우, 외부음향은 음공(140)을 통해 유입되어 멤스칩의 진동막(123)에 전달되게 되는데, 이때 전달되는 진동막의 반대편에 한정된 공간(126)이 백챔버 공간이 되는 것이다.
백챔버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마이크로폰의 전체 성능이 확보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맵스칩(120)은 그 사이즈가 매우 작기 때문에 멤스칩 내부에 백챔버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는 구성의 경우, 충분한 크기의 백챔버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마이크로폰의 음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백챔버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은, 일측면은 개방되고, 타측면에는 외부 음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 음공과 연통되는 내부 음공이 형성된 제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 실장되되, 상기 내부 음공에 대향하도록 실장된 멤스칩;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그 외측면에 복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된 제 2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도전성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도전성 연결부재는, 코일 형태의 도전성 스프링이거나, 기둥형성이거나, 탄성을 지닌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에는, 제 1 인쇄회로기판와 제 2 인쇄회로기판이 상호 간격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는 이격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격지지부재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의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이고, 상기 제 1,2 인쇄회로기판이 상호 이격된 거리 만큼의 두께를 가지며, 그 가운데는 빈공간인 내부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격지지부재에는, 상기 각 도전성 연결부재가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의 외부 음공과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내부 음공은, 상호 대면하지 않도록 구비되고, 상기 외부 음공과 상기 내부 음공은, 케이스와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에 형성된 음향경로에 의해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외측면에는 도금층이 구비되고, 상기 음향경로는,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외측면의 도금층이 부식되어 형성된 경로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에 의하면, 백챔버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것이 가능하여, 마이크로폰의 음향적 특성이 개선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백챔버 공간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격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경우, 조립이 간편하고, 백챔버 공간의 조절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부 음공과 내부 음공을 대면하지 않도록 배치하고, 외부음을 음향경로를 통해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는 경우, 맵스칩을 포함한 내부부품들이 빛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로폰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마이크로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마이크로폰의 분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2의 마이크로폰을 아래에서 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마이크로폰의 개략적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도 2의 마이크로폰과 도 1의 종래마이크로폰과의 음향 특성을 비교한 참고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마이크로폰에 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1)은, 음성, 음향, 소리 등과 같은 음파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주는 장치로서, 케이스(10), 제 1 인쇄회로기판(20), 멤스칩(30), 제 2 인쇄회로기판(40), 도전성 연결부재(50) 및 이격지지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1)은, 휴대폰, PDA, 스마트폰 등과 같은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마이크로폰의 외형을 이룬다. 그 내부에는 각종 부품이 장착된다. 케이스(10)의 일측면은 개방되어 있고, 타측면(11)에는 외부 음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음공(12)은 관통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음향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10)는 각 면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육면체이다. 다만, 다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의 전체적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즉, 케이스는 원통 형상이 될 수도 있고, 수평방향의 단면이 타원형인 기둥 형상일 수도 있다.
케이스(10)는, 타측면(11)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형성된 4개의 측면(14)을 구비한다. 각 측면(14)의 하단부에는 커링부(16)를 구비한다. 커링부(16)는, 도 3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케이스 내부로 도시된 다른 부품들이 삽입된 후 도 4와 도 6에 도시된 형상과 같이 커링되면서, 내부 부품들을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 측면 하단의 커링부(16)를 커링하는 것에 의해 내부부품의 고정 및 조립 마무리된다. 따라서, 내부부품간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접착제와 같은 고정수단이 필요 없다.
케이스(10)는 노이즈 차단특성이 우수한 니켈, 동,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도전재질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20)은, 케이스(10)의 타측면(11)의 내측에 결합된다. 제 1 인쇄회로기판(20)은, 도 2와 도 4의 방향을 기준으로, 그 하측면에 멤스칩(30) 및 증폭기(70)와 같은 전기 부품들이 실장된다. 제 1 인쇄회로기판(20)은 각종 전기 부품이 실장되므로 다이(DIE) 인쇄회로기판이라고도 불린다.
제 1 인쇄회로기판(20)에는 케이스(10)의 외부 음공(12)과 연통하는(연결되어 통하는) 내부 음공(2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외부음공(12)과 내부 음공(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외부음공(12)과 내부음공(22) 상호 어긋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외부음공(12)을 통해 유입된 외부 음향은, 케이스(10)와 제 1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형성된 음향경로(24)를 거친 후, 내부음공(22)을 통해 멤스칩(30)까지 전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인쇄회로기판(20)의 외측면에는 구리의 도금층(26)이 구비되어 있다. 도금층(26)의 가운데 부분이 부식에 의해 제거되어 음향 경로(24)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 음향경로의 길이, 방향, 형상 또는 높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음향경로를 형성시키는 방식도, 본 실시예와 같이 구리층을 부식시켜 형성시키는 방식 이외에도, 절삭이나, 금형, 사출 등의 방식이 이용가능하다.
또한 음향경로는, 본 실시예와 같이 제 1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음공와 내부음공을 연통하기만 하면, 케이스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양측에 모두 형성하여 상호 연합하여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멤스칩(30)은 제 1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 실장된다. 여기서 내측면이라 하면, 내부공간(62)을 향하는 면을 가리킨다. 멤스칩(30)은 내부 음공(22)에 대향하도록 실장된다, 대향하도록 실장된다의 의미는, 멤스칩(30)이 내부음공(22)을 통해 유입된 음향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내부음공(22)이 형성된 부분에 실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멤스칩(30)은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멤스칩(30)은 위의 배경기술란에 설명한 바와 같이, 진동막, 스페이서, 백플레이트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한편,제 1 인쇄회로기판(20)의 내측면에는 멤스칩(30)과 함께 증폭기(70)가 실장되어 있다.
증폭기(70)는 멤스칩(30)에서 생선된 전기신호를 전송받아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증폭기(70)는 특수목적형 반도체(ASIC)칩이라고도 불린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멤스칩(30)과 증폭기(70)는, 골드 본딩 와이어(gold bonding wire)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증폭기(70)는 제 1 인쇄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40)은 케이스(10)의 개방된 일측면에 결합된다. 케이스(10)의 개방된 면에 결합되면서, 케이스(10)와 함께 내부공간(62)을 한정한다. 제 2 인쇄회로기판(40)은 제 1 인쇄회로기판(2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 2 인쇄회로기판(40)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연결단자(42)가 구비되어 있다. 연결단자(42)는 본 실시예의 경우 모두 4개가 구비된다. 연결단자는 접속단자 혹은 패드(pad)라고도 불린다. 제 2 인쇄회로기판(40)을 패드 인쇄회로기판이라고도 한다. 연결단자(42)는 내부의 멤스칩(30) 및 증폭기(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의 장치와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연결단자(42)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이 가능하고, 그 구비된 위치도 필요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다.
상기 도전성 연결부재(50)는, 복수 개 구비되며, 제 1 인쇄회로기판(20)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전성 연결부재(50)는 각 모서리에 하나씩 모두 4개가 구비된다. 각 도전성 연결부재(50)는 도전성 금속선을 코일 형태로 구부린 스프링이다. 스프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공차가 정밀하지 않더라도, 제1, 2 인쇄회로기판(20, 40)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간편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 도전성 연결부재는 형상과 재질 등에 있어서, 도전 금속선을 구부려 만든 스프링형상 이외에도 제 1, 2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즉, 도전성 연결부재(50)는, 그 재질에 있어서, 반드시 금속일 필요는 없으며, 도전성 실리콘일 수도 있으며, 혹은 비도전성 물질로 형상을 이루고 그 외측면에 도금으로 도전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도전성 연결부재는 그 형상에 있어서도, 스프링이 아닌 단순한 원기둥 혹은 핀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핀형상으로 도전성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제 1, 2 인쇄회로기판 각각에는 이러한 도전성 연결부재의 양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홈부를 구비하여, 다른 구성의 도움 없이도, 도전성 연결부재가 직접 제1, 2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인쇄회로기판(20)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의 사이에는, 제 1 인쇄회로기판(20)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이 상호 간격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는 이격지지부재(6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이격지지부재(60)는 제 1 인쇄회로기판(20)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사각형의 틀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격지지부재(60)는 가운데 부분이 비어 있어서, 제 1, 2 인쇄회로기판(20, 40)과 함께 내부공간(62)을 한정한다. 그리고, 내부공간(62)을 둘러쌓은 부분이 테두리부(64)이다. 이격지지부재(60)는 제 1,2 인쇄회로기판(20, 40)이 상호 이격된 거리 만큼의 두께를 가진다.
이격지지부재(60)에는, 복수의 도전성 연결부재의 각각이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는 수용부(66)가 구비되어 있다. 수용부(66)는 측면의 일부분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스프링 형상의 도전성 연결부재(50)가 상하 방향으로 간편하게 결합된 후 수평방향으로는 이탈되지 않게 된다. 수용부(66)는 모서리 마다 하나씩 모두 4개가 구비된다. 수용부(66)에 스프링 형상의 도전성 연결부재(50)를 끼운 후, 케이스에 다른 부품들과 함께 삽입한 후 커링부(16)를 커링하게 되면, 간편하게 마이크로폰(1)의 조립이 완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내부공간(62)은 백챔버 공간이 된다. 즉, 백챔버는 멤스칩(30)의 진동막 구성을 기준으로 외부음향이 전달되는 쪽의 반대쪽의 공간을 의미하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멤스칩(30)이 내부 음공(22)에 대향되도록 실장되는 경우, 멤스칩(30)에 구비된 진동막을 기준으로 내부공간(62)이, 외부음향이 전달되는 쪽의 반대편에 위치한 공간이 되므로, 내부공간(62)이 백챔버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격지지부재(60)의 두께와 테두리부(64)의 부피를 조절하게 되면 백챔버 공간의 크기와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마이크로폰(1)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1)은, 도전성 연결부재(5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제 1 인쇄회로기판(20)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을 케이스(10) 내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여기에 멤스칩(30)을 제 1 인쇄회로기판(20)의 내부음공(22)에 대향하도록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 1,2 인쇄회로기판(20, 40)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을 백챔버 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백챔버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여 결국 마이크로폰의음향 특성이 개선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백챔버 공간의 크기는, 제 1, 2 인쇄회로기판(20, 4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면 용이하게 조절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 1, 2 인쇄회로기판(20, 40)의 사이에 이격지지부재(6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 형상과 모양을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용이하여, 백챔버 역할을 하는 내부공간(62)의 부피를 필요한 정도로 조절하는 것도 용이하게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격지지부재(60)로 인해, 제 1, 2 인쇄회로기판(20, 40)들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격지지부재(60)가 수용부(6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 형상의 도전성 연결부재(50)의 조립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이루진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에 예시된 종래 마이크로폰(100)에 사용되는 멤스칩(120)은, 음공이 케이스에 형성되고 기판에 실장되는 타입이기 때문에, 그 내부에 백챔버 공간을 구비하여야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멤스칩(120)은, 기판에 음공이 형성되고 그 음공에 실장되는 구성의 마이크로폰에 사용되는 멤스칩과는 다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폰의 음공이 어디에 형성되었지에 따라 사용되는 멤스칩의 구조가 달라야 했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에는 두개의 분리된 기판을 사용하여 케이스에 형성된 외부음공에 근접하여 멤스칩을 구비하기 때문에 백챔버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판에 음공이 형성된 타입의 마이크로폰에 사용되는 멤스칩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10)에 형성된 외부음공(12)과 제 1 인쇄회로기판(20)에 형성된 내부음공(22)이 상호 대면하지 않고 어긋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음향 경로(24)를 통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음향 경로(24)를 다양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음공(12)와 내부음공(22)이 서로 대면하고 있지 않고, 어긋나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의 멤스칩이나 증폭기와 같은 전자 부품이, 외부의 각종 빛, 예컨대 가시광성, 자외선, 적외선 등과 같은 각종 빛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테스트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종래 마이크로폰(100)과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1)의 빛 민감도(light sensitivity)를 50Hz의 조건에서 테스트 한 결과, 종래의 경우 -44.9 dB, 본 실시예의 경우 -63.6 dB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두 개로 쓰고 있기 때문에, 각각을 복수층이 적층결합된 구성이 아닌, 단층으로 된 것을 쓰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의 제작이 간편하고 종래에 비해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과 도 8에는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1)과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은 종래의 마이크로폰(100)의 음향특성을 실험한 결과 데이터가 제시되어 있다. 각 그래표에서 우측의 고음역대를 보면,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1)이, 종래에 비하여, 백챔버 공간의 충분한 확보됨으로 인해, 음향특성이 현저히 개선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1)의 경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이격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격지지부재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도전성 연결부재 만을 이용하여, 제 1, 2 인쇄회로기판 들이 상호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폰(10)의 경우, 외부 음공과 내부 음공이 상호 대면하지 않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외부 음공과 내부 음공이 상호 대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만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두 음공이 상호 대면하지 않음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외하고, 상술한 나머지 효과는 모두 얻을 수 있다.
1 ... 마이크로폰 10 ... 케이스
12 ... 외부음공 20 ... 제 1 인쇄회로기판
22 ... 내부음공 24 ,.. 음향 경로
30 ... 멤스칩 40 ... 제 2 인쇄회로기판
42 ... 연결단자 50 ... 도전성 연결부재
60 ... 이격지지부재 70 ... 증폭기

Claims (9)

  1. 일측면은 개방되고, 타측면에는 외부 음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 음공과 연통되는 내부 음공이 형성된 제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 실장되되, 상기 내부 음공에 대향하도록 실장된 멤스칩;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이격되어 위치하고, 그 외측면에 복수의 연결단자가 형성된 제 2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와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도전성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 음공과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내부 음공은, 상호 대면하지 않도록 구비되고,
    상기 외부 음공과 상기 내부 음공은, 케이스와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에 형성된 음향경로에 의해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연결부재는, 코일 형태의 도전성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연결부재는, 기둥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연결부재는, 탄성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와 제 2 인쇄회로기판은 사이에는, 제 1 인쇄회로기판와 제 2 인쇄회로기판이 상호 간격을 유지하며 지지될 수 있는 이격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지지부재는, 상기 제1 인쇄회로기판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의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이고, 상기 제 1,2 인쇄회로기판이 상호 이격된 거리 만큼의 두께를 가지며, 그 가운데는 빈공간인 내부공간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지지부재에는, 상기 각 도전성 연결부재가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는 수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외측면에는 도금층이 구비되고,
    상기 음향경로는,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외측면의 도금층이 부식되어 형성된 경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KR20100047662A 2010-05-20 2010-05-20 마이크로폰 조립체 KR101094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7662A KR101094452B1 (ko) 2010-05-20 2010-05-20 마이크로폰 조립체
PCT/KR2010/008452 WO2011145790A1 (ko) 2010-05-20 2010-11-26 마이크로폰 조립체
CN2011201590313U CN202135311U (zh) 2010-05-20 2011-05-18 麦克风
CN2011101300669A CN102256190A (zh) 2010-05-20 2011-05-18 麦克风组装体
TW100117761A TWI527469B (zh) 2010-05-20 2011-05-20 麥克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7662A KR101094452B1 (ko) 2010-05-20 2010-05-20 마이크로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058A KR20110128058A (ko) 2011-11-28
KR101094452B1 true KR101094452B1 (ko) 2011-12-15

Family

ID=44983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47662A KR101094452B1 (ko) 2010-05-20 2010-05-20 마이크로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094452B1 (ko)
CN (2) CN102256190A (ko)
TW (1) TWI527469B (ko)
WO (1) WO20111457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3469B (zh) * 2012-02-22 2017-03-01 美律實業股份有限公司 微機電麥克風封裝模組
CN102892064A (zh) * 2012-10-30 2013-01-23 无锡芯奥微传感技术有限公司 微机电声学传感器封装结构
KR101496192B1 (ko) * 2013-04-11 2015-02-27 싸니코전자 주식회사 피에조 진동판이 구비된 멤스 마이크로폰
JP6412598B2 (ja) * 2014-06-23 2018-10-24 Tdk株式会社 マイクロフォンおよびマイクロフォンを製造する方法
CN112399733A (zh) * 2019-08-16 2021-02-2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11259104B2 (en) * 2020-06-23 2022-02-22 Knowles Electronics, Llc Adapters for microphones and combinations thereof
TWI730834B (zh) * 2020-07-03 2021-06-11 加高電子股份有限公司 麥克風結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1614A (ja) * 2005-09-13 2007-03-29 Star Micronics Co Ltd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2007082034A (ja) * 2005-09-16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リコンマイクロホンパッケージ
KR100722686B1 (ko) 2006-05-09 2007-05-30 주식회사 비에스이 부가적인 백 챔버를 갖고 기판에 음향홀이 형성된 실리콘콘덴서 마이크로폰
US20100080405A1 (en) 2008-09-26 2010-04-01 Aac Acoustic Technologies (Shenzhen) Co., Ltd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packa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39B1 (ko) * 2007-11-02 2010-09-14 주식회사 비에스이 피시비에 음공이 형성된 멤스 마이크로폰 패키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1614A (ja) * 2005-09-13 2007-03-29 Star Micronics Co Ltd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2007082034A (ja) * 2005-09-16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シリコンマイクロホンパッケージ
KR100722686B1 (ko) 2006-05-09 2007-05-30 주식회사 비에스이 부가적인 백 챔버를 갖고 기판에 음향홀이 형성된 실리콘콘덴서 마이크로폰
US20100080405A1 (en) 2008-09-26 2010-04-01 Aac Acoustic Technologies (Shenzhen) Co., Ltd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pack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5790A1 (ko) 2011-11-24
TWI527469B (zh) 2016-03-21
TW201216723A (en) 2012-04-16
CN202135311U (zh) 2012-02-01
CN102256190A (zh) 2011-11-23
KR20110128058A (ko) 201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452B1 (ko) 마이크로폰 조립체
KR100740463B1 (ko) 실리콘 콘덴서 마이크로폰
US7949142B2 (en)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having additional back chamber and sound hole in PCB
KR100722687B1 (ko) 부가적인 백 챔버를 갖는 지향성 실리콘 콘덴서 마이크로폰
CN204014055U (zh) Mems麦克风
KR101320573B1 (ko) 멤스 마이크로폰
KR101130335B1 (ko) 마이크로폰
KR101454325B1 (ko) 멤스 마이크로폰
JP2012517183A (ja) 付加的なバックチャンバーを有するシリコン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126179A1 (en)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having additional back chamber
KR101116308B1 (ko) 마이크로폰
JP5402320B2 (ja) マイクロホンユニット
KR20080071340A (ko) 세라믹 패키지를 이용한 콘덴서 마이크로폰
KR101108853B1 (ko) 마이크로폰 모듈
TWM335901U (en) Directional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having additional back cha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