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129B1 - 명령어 수행 방법 및 명령어 수행 장치 - Google Patents

명령어 수행 방법 및 명령어 수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129B1
KR101094129B1 KR1020090099542A KR20090099542A KR101094129B1 KR 101094129 B1 KR101094129 B1 KR 101094129B1 KR 1020090099542 A KR1020090099542 A KR 1020090099542A KR 20090099542 A KR20090099542 A KR 20090099542A KR 101094129 B1 KR101094129 B1 KR 101094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ck events
event group
click
command
movement traje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735A (ko
Inventor
박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Priority to KR102009009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1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2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명령어 수행 방법은 일련의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을 감지하여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중 기준 시간 내에서 발생하는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을 검출하여 이벤트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클릭 이벤트들의 수와 위치 정보를 기초로 특정 명령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특정 명령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명령어 수행 방법 및 명령어 수행 장치{METHOD OF EXECUTING INSTRUCTION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개시된 기술은 사용자 입출력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명령어 수행 방법 및 명령어 수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명령어 수행 장치는 사용자의 키보드 키 입력, 마우스 클릭, 또는 손가락 터치에 의해 명령어를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또는 모바일 장치는 단일 버튼 입력에 의해 명령어가 수행되고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명령어 수행 방법 및 명령어 수행 장치가 필요하다.
실시예들 중에서, 명령어 수행 방법은 일련의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중 기준 시간 내에서 발생하는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을 검출하여 이벤트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클릭 이벤트들의 수와 위치 정보를 기초로 특정 명령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특정 명령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명령어 수행 장치는 이벤트 검출부, 제어 명령 해석부 및 명령어 수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검출부는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제어 명령 해석부는 상기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중 특정 시간 내에서 발생하는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을 검출하여 이벤트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클릭 이벤트들의 수와 위치 정보를 기초로 특정 명령어를 인식한다. 상기 명령어 수행부는 상기 인식된 특정 명령어를 수행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터치 입력 장치에서 실행되는 명령어 실행 방법에 있어, 상기 명령어 실행 방법(instruction execution method)은 일련의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각각은 상기 터치 입력 장치에서 발생하고, 상기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중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발생함-, 상기 검출된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중 특정 시간 내에서 발생하는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을 검출하여 이벤트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이벤트 그룹을 특정 명령어로 매핑시키는 단계, 및 성공적으로 매핑된 경우에는 상기 특정 명령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 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수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명령어 수행 장치는 이벤트 감지부(1100), 제어 명령 해석부(1200) 및 명령어 수행부(2000)를 포함한다.
이벤트 감지부(1100)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을 감지하여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의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은 시간적으로 연속하여 발생한다.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은 표시 장치에 표시된 대상 컴포넌트를 선택하는 이벤트이거나, 표시 장치 또는 입력 장치의 2차원 영역 중 일부 지점을 선택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입력 장치는 터치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터스 패드 또는 터스 스크린일 수 있다. 클릭 이벤트는 온 프레스 이벤트(On-Press Event), 온 릴리스 이벤트(On-Release Event) 또는 온 클릭 이벤트(On-Click Event)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100)가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을 감지하면, 제어 명령 해석부(1200)는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의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 그룹을 생성한다. 즉, 제어 명령 해석부(1200)는 감지된 복수의 클릭 이벤트가 유효한 사용자 입력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유효한 사용자 입력인 경우 이벤트 그룹을 새로 생성하거나 생성된 이벤트 그룹을 갱신한다. 또한, 제어 명령 해석부(1200)는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클릭 이벤트들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 그룹에 대응되는 특정 명령어를 인식한다.
제어 명령 해석부(1200)는 인식된 명령어를 명령어 수행부(2000)로 전달한다. 제어 명령 해석부(1200)는 유효성 검사부(1210), 매핑 테이블(1221), 이동 궤적 검출부(1222), 및 명령어 선택부(1223)를 포함한다.
유효성 검사부(1210)는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의 시간 정보를 순차적으로 체크하여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각각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예를 들어, 유효성 검사부(1210)는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중에서 시간적으로 인접한 두 개의 클릭 이벤 트들의 시간 간격을 기준 시간과 비교하여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고, 인접한 적어도 둘 이상의 클릭 이벤트들을 검출하여 이벤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동 궤적 검출부(1222)는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클릭 이벤트들의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체크하여 시간에 따른 클릭 이벤트들의 이동 궤적을 검출한다. 이동 궤적 검출부(1222)는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클릭 이벤트들의 X축 좌표의 변화량 및 Y축 좌표의 변화량을 기준 위치 간격과 비교하여 2차원의 이동 궤적을 검출할 수 있다.
매핑 테이블(1221)은 미리 정의된 복수의 이동 궤적 데이터, 및 복수의 이동 궤적 데이터 각각과 대응되는 명령어를 저장한다. 매핑 테이블(1221)에 저장된 복수의 이동 궤적 데이터 및 복수의 이동 궤적 데이터 각각과 대응되는 명령어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명령어 선택부(1223)는 매핑 테이블(1221)에 기초하여 복수의 명령어들 중 검출된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선택한다.
선택된 명령어는 명령어 수행부(2000)에 포함된 제어 시스템(2100)에 전달되며, 제어 시스템(2100)은 명령어에 응답하여 동작 장치(2200)를 제어한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벤트 감지부(1100)는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을 감지한다(단계 S210). 복수의 클릭 이벤트가 감지되면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의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단계 S220). 제어 명령 해석부(1200)에 포함된 유효성 검 사부(1210)는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이벤트 그룹을 생성한다(단계 S230). 유효한 이벤트 그룹이 생성되면, 제어 명령 해석부(1200)에 포함된 제어 명령 결정부(1220)는 이벤트 그룹내의 클릭 이벤트들의 수 및 각각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명령어를 인식한다(단계 S240). 인식된 명령어는 명령어 수행부(2000)로 전달된다(단계 S250).
도 3a는 복수의 클릭 이벤트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릭 이벤트 각각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며, 도 3b는 이벤트 그룹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유효성 검사부(1210)가 복수의 클릭 이벤트 각각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이벤트 그룹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유효성 검사부(1210)는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EVENT1~EVENT4)의 시간 정보(T1~T4)를 순차적으로 체크한다. 유효성 검사부(1210)는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EVENT1~EVENT4) 중에서 시간적으로 인접한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의 시간 간격(T2-T1, T3-T2, T4-T3)을 기준 시간(TB)과 비교하여 각각의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유효성 검사부(1210)는 먼저 제1 클릭 이벤트(EVENT1)와 제2 클릭 이벤트(EVENT2)의 시간 간격(T2-T1)을 기준 시간(TB)과 비교한다. 도 3a에서 제1 클릭 이벤트(EVENT1)와 제2 클릭 이벤트(EVENT2)의 시간 간격(T2-T1)이 기준 시간(TB)보다 작기 때문에 제1 및 제2 클릭 이벤트(EVENT1, EVENT2)는 유효한 것으로 판정하고 제1 및 제2 클릭 이벤트(EVENT1, EVENT2)를 제1 이벤트 그룹(EVENT GROUP 1)에 추가한다.
즉, 유효성 검사부(1210)는 시간적으로 인접한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의 시간 간격이 기준 시간보다 작은 경우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을 이벤트 그룹에 추가하여 상기 이벤트 그룹을 생성하거나 또는 이미 생성된 이벤트 그룹을 갱신한다.
이후, 유효성 검사부(1210)는 제2 클릭 이벤트(EVENT2)와 제3 클릭 이벤트(EVENT3)의 시간 간격(T3-T2)을 기준 시간(TB)과 비교한다. 도 3a에서 제2 클릭 이벤트(EVENT2)와 제3 클릭 이벤트(EVENT3)의 시간 간격(T3-T2)이 기준 시간(TB)보다 크기 때문에 제1 이벤트 그룹(EVENT GROUP 1)을 더 이상 갱신하지 않고 종료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이벤트 그룹(EVENT GROUP 1)는 제1 및 제2 클릭 이벤트(EVENT1, EVENT2)만을 포함한다. 이 때 제3 클릭 이벤트(EVENT3)는 제1 이벤트 그룹(EVENT GROUP 1)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제1 이벤트 그룹(EVENT GROUP 1)와 구별되는 다른 이벤트 그룹(EVENT GROUP 2)에는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그룹이 생성되면 이에 매핑되는 명령어를 결정하여 명령어 수행부(2000)에 전달할 수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복수의 이벤트 그룹을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각각에 매핑되는 복수의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명령어 수행부(2000)에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a에서 유효성 검사부(1210)는 계속하여 제3 클릭 이벤트(EVENT3)와 제4 클릭 이벤트(EVENT4)의 시간 간격(T4-T3)을 기준 시간(TB)과 비교한다. 제3 클릭 이벤트(EVENT3)와 제4 클릭 이벤트(EVENT4)의 시간 간격(T4-T3)이 기준 시간(TB)보다 작기 때문에 제3 및 제4 클릭 이벤트(EVENT3, EVENT4)는 유 효한 것으로 판정하고 새로운 이벤트 그룹(VALUD EVENT GROUP2)에 추가한다.
따라서, 도 3b에서 제1 및 제2 클릭 이벤트(EVENT1, EVENT2)는 제1 이벤트 그룹(EVENT GROUP 1)에 포함되고, 제3 및 제4 클릭 이벤트(EVENT3, EVENT4)는 제2 이벤트 그룹(EVENT GROUP 2)에 포함된다. 제1 및 제2 이벤트 그룹(EVENT GROUP 1, EVENT GROUP 2)들은 각각 구별되는 명령어에 매핑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의 위치 정보는 시간적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의 2차원 공간 좌표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궤적 검출부(1222)는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의 2차원 공간 좌표들로부터 시간에 따른 클릭 이벤트들의 이동 궤적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처럼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의 X축 좌표의 변화량(P2-P1)이 기준 위치 간격(PB)보다 작은 경우 동일한 지점에 클릭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도 4b처럼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의 X축 좌표의 변화량(P2-P1)이 기준 위치 간격보다 큰 경우 클릭 이벤트가 X축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복수의 이벤트들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이동 궤적 검출부(1222)는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클릭 이벤트들의 X축 좌표의 변화량 및 Y축 좌표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2차원 이동 궤적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X축 좌표의 증가 또는 감소 여부에 따라 X축의 이동 방향을 검출할 수 있고, Y축 좌표의 증가 또는 감소 여부에 따라 Y축의 이동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릭 이벤트(EVENT11)가 발생한 후 제2 클릭 이벤트(EVENT12)가 발생한 경우, X축의 변화량은 기준 위치 간격보다 작고, Y축 변화량은 기준 위치 간격보다 크다. 또한 제2 클릭 이벤트(EVENT12)의 Y축 좌표가 제1 클릭 이벤트(EVENT11)의 Y축 좌표보다 크다. 따라서 이 경우 이동 궤적의 방향은 플러스 Y축 방향이다.
제1 클릭 이벤트(EVENT11)가 발생한 후 제3 클릭 이벤트(EVENT21)가 발생한 경우, X축의 변화량은 기준 위치 간격보다 크고, Y축 변화량은 기준 위치 간격보다 작다. 또한 제3 클릭 이벤트(EVENT21)의 X축 좌표가 제1 클릭 이벤트(EVENT11)의 X축 좌표보다 크다. 따라서 이 경우 이동 궤적의 방향은 플러스 X축 방향이다.
제1 클릭 이벤트(EVENT11)가 발생한 후 제4 클릭 이벤트(EVENT22)가 발생한 경우, X축의 변화량 및 Y축 변화량이 기준 위치 간격보다 크다. 또한 제4 클릭 이벤트(EVENT22)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가 제1 클릭 이벤트(EVENT11)의 X축 및 Y축 좌표보다 크다. 따라서 이 경우 이동 궤적의 방향은 우측 상향의 대각선 방향이다.
제3 클릭 이벤트(EVENT21)가 발생한 후 제2 클릭 이벤트(EVENT12)가 발생한 경우, X축의 변화량 및 Y축 변화량이 기준 위치 간격보다 크다. 또한 제2 클릭 이벤트(EVENT12)의 X축 좌표는 제3 클릭 이벤트(EVENT21)의 X축 좌표보다 작고, 제2 클릭 이벤트(EVENT12)의 Y축 좌표는 제3 클릭 이벤트(EVENT21)의 Y축 좌표보다 크다. 따라서 이 경우 이동 궤적의 방향은 좌측 상향의 대각선 방향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이벤트들의 이동 궤적은 다양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동 궤적에 관한 데이터 및 이동 궤적 데이터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매핑 테이블에 저장하고, 명령어 선택부(1223)는 이 매핑 테이블을 기초로 각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클릭 이벤트들의 이동 궤적의 방향만을 고려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클릭 이벤트들의 이동 거리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이동 궤적이 다소 불분명하여 복수의 명령어들과 매핑될 수 있는 경우에는 매핑된 복수의 명령어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명령어들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도 6a, 도 6b, 도6c, 도 6d, 도 7a, 및 도 7b는 클릭 이벤트들의 이동 궤적에 따른 명령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이벤트 그룹이 2개의 클릭 이벤트들을 포함하는 경우의 이동 궤적과 이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나타낸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이벤트의 이동 궤적의 방향이 우측 수평 방향인 경우, 화면의 우측 페이지를 표시하는 명령어가 수행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이벤트의 이동 궤적의 방향이 좌측 수평 방향인 경우, 화면의 좌측 페이지를 표시하는 명령어가 수행되며,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이벤트의 이동 궤적의 방향이 수직 상향인 경우, 화면의 상단 메뉴를 표시하는 명령어가 수행되고,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릭 이벤트의 이동 궤적의 방향이 수직 하향인 경우, 화면의 하단 메뉴를 표시하는 명령어가 수행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이벤트 그룹이 3개의 클릭 이벤트들을 포함하는 경우의 이동 궤적과 이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벤트 그룹은 3개 이상의 클릭 이벤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그룹에 많은 수의 클릭 이벤트들을 포함할수록 많은 종류의 명령어를 대응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7a처럼, 클릭 이벤트가 우측 상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페이지를 우측으로 90도 회전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명령어가 수행될 수 있고, 도 7b처럼, 클릭 이벤트가 좌측 하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페이지를 좌측으로 90도 회전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명령어가 수행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수행 방법 및 명령어 수행 장치는 단일 클릭 이벤트 또는 동시 다중 접점을 이용하는 입력 방법에 비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수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명령어 수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는 복수의 클릭 이벤트의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클릭 이벤트 각각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며, 도 3b는 이벤트 그룹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복수의 이벤트들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a, 도 6b, 도6c, 도 6d, 도 7a, 및 도 7b는 클릭 이벤트들의 이동 궤적에 따른 명령어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Claims (8)

  1. 일련의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중 기준 시간 내에서 발생하는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을 검출하여 이벤트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 간의 시간 간격과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유효성을 검사하여 상기 이벤트 그룹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클릭 이벤트들의 수와 위치 정보를 기초로 특정 명령어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특정 명령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명령어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명령어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클릭 이벤트들의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검사하여 시간에 따른 상기 클릭 이벤트들의 이동 궤적으로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궤적 및 상기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클릭 이벤트들의 수에 기초하여 복수의 명령어들 중에서 상기 특정 명령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어 수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궤적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클릭 이벤트들의 X축 좌표의 변화량 및 Y축 좌표의 변화량을 기준 간격과 비교하여 상기 이동 궤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명령어 수행 방법.
  4.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의 각각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이벤트 검출부;
    상기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중 특정 시간 내에서 발생하는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을 검출하여 이벤트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클릭 이벤트들의 수와 위치 정보를 기초로 특정 명령어를 인식하는 제어 명령 해석부; 및
    상기 인식된 특정 명령어를 수행하는 명령어 수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명령 해석부는 상기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에 대하여 기준 시간을 기초로 유효성을 검사하여 상기 이벤트 그룹을 생성 또는 갱신하는 유효성 검사부를 포함하는 명령어 수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 해석부는
    상기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중 인접한 클릭 이벤트들의 시간 간격들과 기준 시간을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상기 기준 시간 내에서 발생하는 인접한 클릭 이벤트들을 검출하여 상기 이벤트 그룹에 추가하는 이벤트 그룹 생성부;
    상기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클릭 이벤트들의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체크하여 시간에 따른 상기 클릭 이벤트들의 이동 궤적을 검출하는 이동 궤적 검출부;
    미리 정의된 복수의 이동 궤적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이동 궤적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저장하는 매핑 테이블; 및
    상기 매핑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된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선택하는 명령어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어 수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테이블에 저장된 복수의 이동 궤적 데이터 및 상기 복수의 이동 궤적 데이터 각각과 대응되는 명령어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어 수행 장치.
  7. 터치 입력 장치에서 실행되는 명령어 실행 방법에 있어, 상기 명령어 실행 방법(instruction execution method)은
    일련의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각각은 상기 터치 입력 장치에서 발생하고, 상기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중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발생함-;
    상기 검출된 복수의 클릭 이벤트들 중 특정 시간 내에서 발생하는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을 검출하여 이벤트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클릭 이벤트들 간의 시간 간격과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유효성을 검사하여 상기 이벤트 그룹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이벤트 그룹을 특정 명령어로 매핑시키는 단계; 및
    성공적으로 매핑된 경우에는 상기 특정 명령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명령어 실행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이벤트 그룹을 특정 명령어로 매핑시키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이벤트 그룹이 복수의 명령어들과 매핑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매핑된 복수의 명령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명령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명령어 실행 방법.
KR1020090099542A 2009-10-20 2009-10-20 명령어 수행 방법 및 명령어 수행 장치 KR101094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42A KR101094129B1 (ko) 2009-10-20 2009-10-20 명령어 수행 방법 및 명령어 수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42A KR101094129B1 (ko) 2009-10-20 2009-10-20 명령어 수행 방법 및 명령어 수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35A KR20110042735A (ko) 2011-04-27
KR101094129B1 true KR101094129B1 (ko) 2011-12-14

Family

ID=4404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42A KR101094129B1 (ko) 2009-10-20 2009-10-20 명령어 수행 방법 및 명령어 수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092A (ko) * 2018-03-28 2020-05-06 구글 엘엘씨 콘텐츠 아이템들로부터 함수 호출들의 트리거링 제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43B1 (ko) 2006-12-18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공간상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장치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243B1 (ko) 2006-12-18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공간상에서 정보를 입력하는 정보 입력 장치 및 그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092A (ko) * 2018-03-28 2020-05-06 구글 엘엘씨 콘텐츠 아이템들로부터 함수 호출들의 트리거링 제어
KR102392095B1 (ko) 2018-03-28 2022-04-28 구글 엘엘씨 콘텐츠 아이템들로부터 함수 호출들의 트리거링 제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735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4483B (zh) 具有绝对及相对输入模式的触敏显示屏幕
KR101589104B1 (ko) 키보드에 맵핑된 키보드 단축키들의 제공
US8405677B2 (en) Method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selecting a soft button displayed on a touch-sensitive screen and rela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2736848A (zh) 触摸屏用户界面上的虚拟输入设备布置
KR20120104362A (ko) 적외선 터치 스크린
EP3100151B1 (en) Virtual mouse for a touch screen device
US20130145320A1 (en) Highlighting of objects on a display
US20180052598A1 (en) Multi-touch based drawing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2020035622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touch proximity detection
JP2008257629A (ja) タッチ式入力装置
US9285962B2 (en) Display with shared control panel for different input sources
CN105474164B (zh) 间接输入的歧义消除
US8564562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unction of recognizing multi-touch inputs and method thereof
CN103616973B (zh) 一种触摸屏的操作方法及触摸屏设备
KR101094129B1 (ko) 명령어 수행 방법 및 명령어 수행 장치
KR101182577B1 (ko) 터치 입력 장치 및 터치 입력 장치에서 실행되는 명령어 실행 방법
JP4816377B2 (ja) 情報処理装置の表示方法
JP5709659B2 (ja) メニュー選択装置
CN103268199B (zh) 一种交互方法、装置及移动设备
JP2010049318A (ja) 移動制御プログラム
JP6463209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18151946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CN105607832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2012203497A (ja) 表示一体型座標入力装置及び仮想キーボード機能の起動方法
KR20100042762A (ko) 휴대 단말기에서 마우스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