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545B1 -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545B1
KR101093545B1 KR1020090117357A KR20090117357A KR101093545B1 KR 101093545 B1 KR101093545 B1 KR 101093545B1 KR 1020090117357 A KR1020090117357 A KR 1020090117357A KR 20090117357 A KR20090117357 A KR 20090117357A KR 101093545 B1 KR101093545 B1 KR 101093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pinion
longitudinal direction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692A (ko
Inventor
류병진
Original Assignee
류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병진 filed Critical 류병진
Priority to KR102009011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5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도어, 제2도어 및 제3도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1,2,3도어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유도홈이 도어틀에 구비된 유도레일의 안내를 받으며 연동 슬라이딩 개폐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피니언과 제2피니언이 상하로 구비되어 상기 제2도어의 상부 양쪽 끝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풀리; 상기 양 기어풀리의 제2피니언을 통해 폐루프(closed loop)로 설치되어 상기 양 기어풀리를 회전연동하는 견인벨트; 상기 양 기어풀리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부에 유도레일이 안내될 수 있는 유도홈을 구비하는 상부레일; 상기 제1도어 및 제3도어의 상부 한쪽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피니언과 치합되어 제1도어 및 제2도어를 제3도어로부터 연동하여 개폐하는 래크(rack); 및 상기 제1도어 및 제3도어의 상부를 가로질러 각각 설치되고, 상부에 유도레일이 안내될 수 있는 유도홈을 구비하는 상부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딩, 연동, 미닫이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Interlocking device of sliding door}
본 발명은 건물의 출입문이나 건물의 복도 또는 방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문을 개폐하거나 가구의 전면 패널을 개폐할 때 사용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연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며 효율적인 구조를 구비하여 사용이 편리할 뿐 아니라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수의 도어를 설치할 때 어느 하나의 도어를 개폐되게 함으로써 나머지 도어들도 목적하는 방향으로 개폐동작되게 한 연동장치가 등장한 바 있다.
종래의 연동장치의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880272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합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9141호(이하, '종래기술 2'라 합니다), 등록특허 제10-0903047호(이하, '종래기술 3'이라 합니다), 및 공개특허 제2003-0064003호(이하, '종래기술 4'라 합니다)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미닫이가 연동하여 작동되도록 한 것에는 의의가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활용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즉, 상기 종래기술 1 내지 4는 미닫이의 상단부에 별도의 롤러를 구비하여 문틀에 구비된 요홈부로 슬라이딩 되는 방식으로 문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종래기술 1을 예로 들면, 각 도어는 제1,2,3도어의 상부에 설치된 안내롤러가 상부레일의 요홈부의 안내를 받으며 슬라이딩 개폐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시공과정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문틀에 장착하거나 소비자가 사용하면서 착탈하는 것이 어렵고, 상단부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방풍, 방음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 2 내지 4는 기어의 치합 방식이 아닌 벨트 또는 와이어에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해 미닫이를 연동하고 있어서, 구성요소가 복잡하고 시공과정에서도 장착이 어려울 뿐 아니라, 소비자가 사용하는 과정에서도 문의 착탈을 어렵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미닫이의 상단부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딩 방식을 적용 가능하게 하고, 종래 기술의 연동 제품으로는 적용이 어려웠던 고중량의 샤시 창호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개발 되었으며, 미닫이가 상호 연동되는 방식을 기어의 치합 방식에 의하도록 함으로서 구성요소를 간단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하면서도 연동 미닫이의 효과는 탁월하게 하고자 한다.
아울러, 미닫이의 상단부가 문을 경계로 단절될 수 있도록 하여 방음, 방풍의 효과도 종래기술에 비해 현저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연동장치를 이용한 미닫이에 관한 것으로, 제1도어, 제2도어 및 제3도어로 구성되어 상기 제1,2,3도어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유도홈이 도어틀에 구비된 유도레일의 안내를 받으며 연동 슬라이딩 개폐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피니언과 제2피니언이 상하로 구비되어 상기 제2도어의 상부 양쪽 끝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풀리; 상기 양 기어풀리의 제2피니언을 통해 폐루프(closed loop)로 설치되어 상기 양 기어풀리를 회전연동하는 견인벨트; 상기 양 기어풀리의 상부를 가로질러, 상부에 유도레일이 안내될 수 있는 유도홈을 구비하는 상부레일; 상기 제1도어 및 제3도어의 상부 한쪽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피니언과 치합되어 제1도어 및 제2도어를 제3도어로부터 연동하여 개폐하 는 래크(rack); 및 상기 제1도어 및 제3도어의 상부를 가로질러 각각 설치되고, 상부에 유도레일이 안내될 수 있는 유도홈을 구비하는 상부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견인벨트는, 내측면에 연속된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양 기어풀리의 제2피니언과 치합되어 회전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도어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견인벨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견인벨트에 회전루트를 제공하는 공간인 회전레일; 및 상기 제2도어와 상기 상부레일의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차단레일;을 포함하는 차단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3도어 각각의 유도홈 좌우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모야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상기 제2도어 유도홈의 좌우 측면, 상기 제1도어 및 제3도어 유도홈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몰드가 끼워지고, 상기 제1도어 및 제3도어 유도홈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모야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레일(50) 하단 좌우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날개(51)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단에 상기 고정날개(51)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날개홈(6)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레일(50) 하단 좌우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날개(51)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단에 상기 고정날개(51)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날개홈(6)에 끼워지고,
상기 제2도어(2)의 상부에 구비되는 차단바(60)의 하단 좌우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날개(31)가 구비되어 상기 제2도어(2)의 상단에 상기 고정날개(3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날개홈(7)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 기어풀리(10)의 사이에는 상기 견인벨트(20)를 내측으로 밀어줘 텐션이 가해지면서 회전하게 하는 텐션로라(15)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션로라(15)의 좌우에는 상기 견인벨트(20)를 바깥쪽으로 밀어줘 추가의 텐션을 가하면서 회전하게 하는 보조풀리(17)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활용하면, 미닫이의 상단부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딩 방식을 적용 가능하게 하고, 미닫이가 상호 연동되는 방식을 기어의 치합 방식에 의하도록 함으로서 구성요소를 간단하게 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하면서도 연동 미닫이의 효과는 탁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미닫이의 상단부가 도어을 경계로 단절될 수 있도록 하여 방음, 방풍의 효과를 현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연동 미닫이에서는 적용이 어려웠던 고중량의 샤시 창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2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a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도어에 텐션로라가 구비된 것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1도어 또는 제3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을 이용한 3중 연동식 슬라이딩도어의 개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세 개의 미닫이 도어인 제1도어(1), 제2도어(2), 및 제3도어(3)가 슬라이딩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어느 하나의 문을 밀거나 당기면 나머지 문도 연동하여 밀리거나 당겨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건물의 출입문이나 건물의 복도 또는 방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문을 개폐하거나 가구의 전면 패널을 개폐할 때 사용하는 등 다양한 곳에 사용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제1도어(1), 제2도어(2) 및 제3도어(3)로 구성되어 상기 제1,2,3도어(1,2,3)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유도홈(30a, 50a)이 도어틀(5)에 구비된 유도레일(5a)의 안내를 받으며 연동 슬라이딩 개폐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피니언(11)과 제2피니언(13)이 상하로 구비되어 상기 제2도어(2)의 상부 양쪽 끝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풀리(10); 상기 양 기어풀리(10)의 제2피니언(13)을 통해 폐루프(closed loop)로 설치되어 상기 양 기어풀리(10)를 회전연동하는 견인벨트(20); 상기 양 기어풀리(10)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부에 유도레일(5a)이 안내될 수 있는 유도홈(30a)을 구비하는 상부레일(30);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부 한쪽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피니언(11)과 치합되어 제1도어(1) 및 제2도어(2)를 제3도어(3)로부터 연동하여 개폐하는 래크(rack, 40); 및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부를 가로질러 각각 설치되고, 상부에 유도레일(5a)이 안내될 수 있는 유도홈(50a)을 구비하는 상부레일(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도어(1), 제2도어(2) 및 제3도어(3)는 대략 사각형상의 도어틀(5)에 설치되게 된다. 도어틀(5)에는 유도레일(5a)이 구비되어 상기 유도홈(30a, 50a)에서 슬라이딩 안내된다.
상기 기어풀리(10)는 제1피니언(11)과 제2피니언(13)이 상하로 구비된 것이며, 제1피니언(11)은 제2도어(2)를 제1도어(1) 및 제3도어(3)와 연동시키는 장치이고, 제2피니언(13)은 상기 제2도어(2)의 상부 양쪽 끝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되는 기어풀리(10)를 상호 연동회전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물론, 이에는 견인벨트(20)가 사용되게 된다.
도 1에서는 구성의 명확한 설명를 위해 제1피니언(11)과 제2피니언(13)이 분리된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들은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동시에 회전해야 하므로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분리되어 구비되더라도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피니언(13)의 회전에 따라 제1피니언(11)이 연동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가능하다. 가령, 회전축에 제1피니언(11) 및 제2피니언(13)을 고정시키거나, 회전축을 원형이 아닌 다각형 등으로 구성하여 연동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이다.
또한, 도 1에서는 기어풀리(10)가 상기 상부레일(30)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어풀리(10)의 회전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방식이라도 가능하다. 가령, 기어풀리(10)가 직접 상기 제2도어(2)의 상단에 회전축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도면에서는 제1피니언(11)이 제2피니언(13)의 상부에 위치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하가 구별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견인벨트(20)는 상기 양 기어풀리(10)을 회전연동하는 장치로, 상기 양 기어풀리(10)의 제2피니언(13)을 통해 폐루프(closed loop)로 설치된다. 여기서 회전연동되는 방식은, 내측면에 연속된 기어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양 기어풀리(10)의 제2피니언(13)과 치합되어 회전연동하거나, 기어를 구비하지 않고 단순히 벨트 형식으로 회전연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견인벨트(20)는 상기 양 기어풀리(10)를 회전연동함으로써 미닫이를 열고 닫을때 어느 하나의 도어만 움직이더라도, 나머지 도어가 연동되어 작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양 기어풀리(10)의 사이에는 상기 견인벨트(20)를 내측으로 밀어줘 텐션이 가해지면서 회전하게 하는 텐션로라(15)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4a의 (b)). 즉, 텐션로라(15)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견인벨트(20)가 느슨해 질 수 있거나 바로 끼운 상태라도 헐렁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충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텐션로라(15)의 좌우에는 상기 견인벨트(20)를 바깥쪽으로 밀어줘 추가의 텐션을 가하면서 회전하게 하는 보조풀리(17)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4a의 (a)). 즉, 도면에서 보듯이 통상 견인벨트(20)는 제2도어(2)의 전길이에 가깝게 설치되어 회전하므로 길이가 어느 정도 있으므로 상기 텐션로라(15)만 구비되는 경우는 텐션을 적합하게 가하는게 부족할 수 있으므로 이를 보충하기 위해 보조풀리(1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레일(30)은 유도홈(30a)을 구비하여 유도레일(5a)이 안내되어 슬라이딩되면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부레일(30)은 상기 제2도어(2)의 폭과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단부를 제2도어(2)를 기준으로 전후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도어(2)의 유도홈(30a) 좌우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모야(70)가 끼워져서, 유도홈(30a)과 유도레일(5a)간에 작용할 수 있는 마찰력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모야(70)는 일반적으로 도어의 유도홈에 끼워지는 부드러운 털 형상의 돌기로서 마찰력이나 소음을 줄이기 위해 장착된다. 이는 이하 설명할 제1도어(1) 및 제3도어(3)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2도어(2) 유도홈(30a)의 좌우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몰드(80)가 끼워져서 도어가 유도홈(30a)의 여유 공간 때문에 좌우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동하여 작동하는 방식이 기어의 치합에 의하므로 여유 공간에 의해 어느 한 도어가 일측으로 밀리게 되면 치합된 기어가 빠져서 도어가 연동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몰드(80)를 끼워 도어가 좌우로 밀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몰드(80)는 제1도어(1) 및 제3도어(3)에도 동일한 목적으로 장착되나,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 유도홈(50a)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몰드(80)가 끼 워지고,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 유도홈(50a)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모야(70)가 끼워지면 충분하다.
이는 이미 중간에 위치하는 제2도어(2)의 유도홈(30a)에 몰드(80)가 끼워져서 좌우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바깥쪽의 제1도어(1) 및 제3도어(3)는 유도홈(50a)의 내측면에만 몰드(80)가 끼워지면 전체적으로 기어의 치합부가 빠지는 방향으로 밀리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래크(rack, 40)는,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부 한쪽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래크(40)는 상기 제1피니언(11)과 치합되어 제1도어(1) 및 제2도어(2)를 제3도어(3)로부터 연동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상부레일(50)은 상기 제2도어(2)의 상부레일(30)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부를 가로질러 각각 설치되고, 상부에 유도레일(5a)이 안내될 수 있는 유도홈(50a)을 구비한다. 상부레일(50)은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레일(50) 하단 좌우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날개(51)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 어(3)의 상단에 상기 고정날개(51)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날개홈(6)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 3 참조). 이 경우에는 상기 고정날개(51)를 관통하여 상기 제1도어(1) 또는 제3도어(3)에 끼워지는 나사의 결합에 의해 상부레일(50)이 제1,3도어(1,3)에 더욱 단단하게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도어(2)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견인벨트(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견인벨트(20)에 회전루트를 제공하는 공간인 회전레일(61); 및 상기 제2도어(2)와 상기 상부레일(30)의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차단레일(63);을 포함하는 차단바(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바(60)는 제2도어(2)의 상단부를 제2도어(2)를 기준으로 전후로 차단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상부레일(30)과 제2도어(2)의 사잇공간에는 기어풀리(10) 및 견인벨트(20)가 장착되지만, 공간을 모두 매우지는 못하므로, 이 공간 때문에 방풍, 방음에 영향을 주게 된다. 그러므로 이 공간을 막아주면서도 상기 회전레일(61)에 의해 상기 견인벨트(20)의 회전을 도울 수 있도록 차단바(6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도어(2)의 상부에 구비되는 차단바(60)의 하단 좌우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날개(31)가 구비되어 상기 제2도어(2)의 상단에 상기 고정날개(3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날개홈(7)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 방식은 상기 제1도어(1) 및 제2도어(2)에 고정날개(51)를 구비한 상부레일(50)이 끼워지는 방식과 동일하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인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를 이용한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도 6a에서와 같이 각 도어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제1도어(1)에 힘을 가하면서 개방되게 하면, 상기 제1도어(1)에 장착된 래크(40)와 연동된 제1피니언(11)이 회전하여 기어풀리(10) 전체를 회전시키면서 견인벨트(20)에 의해 연동된 반대쪽 기어풀리(10)도 회전시켜 제3도어(3)에 장착된 래크(40)를 밀어주게 되므로, 세 개의 도어가 연동하여 작동되게 된다. 즉, 도 6b의 과정을 거쳐 도 6c의 상태로 도어가 열리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2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a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도어에 텐션로라가 구비된 것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1도어 또는 제3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을 이용한 3중 연동식 슬라이딩도어의 개방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1 : 제1도어 2 : 제2도어
3 : 제3도어 5 : 도어틀
5a : 유도레일 6,7 : 고정날개홈
10 : 기어풀리 11 : 제1피니언
13 : 제2피니언 15 : 텐션로라
17 : 보조풀리
20 : 견인벨트 21 : 기어부
30 : 상부레일 30a : 유도홈
31,51 : 고정날개
40 : 래크
50 : 상부레일 50a : 유도홈
60 : 차단바 61 : 회전레일
63 : 차단레일
70 : 모야
80 : 몰드

Claims (9)

  1. 제1도어(1), 제2도어(2) 및 제3도어(3)로 구성되어 상기 제1,2,3도어(1,2,3)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유도홈(30a, 50a)이 도어틀(5)에 구비된 유도레일(5a)의 안내를 받으며 연동 슬라이딩 개폐되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피니언(11)과 제2피니언(13)이 상하로 구비되어 상기 제2도어(2)의 상부 양쪽 끝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풀리(10);
    상기 양 기어풀리(10)의 제2피니언(13)을 통해 폐루프(closed loop)로 설치되어 상기 양 기어풀리(10)를 회전연동하는 견인벨트(20);
    상기 양 기어풀리(10)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부에 유도레일(5a)이 안내될 수 있는 유도홈(30a)을 구비하는 상부레일(30);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부 한쪽에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피니언(11)과 치합되어 제1도어(1) 및 제2도어(2)를 제3도어(3)로부터 연동하여 개폐하는 래크(rack, 40); 및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부를 가로질러 각각 설치되고, 상부에 유도레일(5a)이 안내될 수 있는 유도홈(50a)을 구비하는 상부레일(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벨트(20)는, 내측면에 연속된 기어부(21)가 형성되어 상기 양 기어 풀리(10)의 제2피니언(13)과 치합되어 회전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2)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견인벨트(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견인벨트(20)에 회전루트를 제공하는 공간인 회전레일(61); 및 상기 제2도어(2)와 상기 상부레일(30)의 사이 공간을 막아주는 차단레일(63);을 포함하는 차단바(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도어(1,2,3) 각각의 유도홈(30a, 50a) 좌우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모야(7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2) 유도홈(30a)의 좌우 측면,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 유도홈(50a)의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몰드(80)가 끼워지고,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 유도홈(50a)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모 야(7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레일(50) 하단 좌우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날개(51)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단에 상기 고정날개(51)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날개홈(6)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레일(50) 하단 좌우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날개(51)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1) 및 제3도어(3)의 상단에 상기 고정날개(51)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날개홈(6)에 끼워지고,
    상기 제2도어(2)의 상부에 구비되는 차단바(60)의 하단 좌우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날개(31)가 구비되어 상기 제2도어(2)의 상단에 상기 고정날개(3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날개홈(7)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 기어풀리(10)의 사이에는 상기 견인벨트(20)를 내측으로 밀어줘 텐션이 가해지면서 회전하게 하는 텐션로라(15)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로라(15)의 좌우에는 상기 견인벨트(20)를 바깥쪽으로 밀어줘 추가의 텐션을 가하면서 회전하게 하는 보조풀리(17)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20090117357A 2009-11-30 2009-11-30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093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357A KR101093545B1 (ko) 2009-11-30 2009-11-30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357A KR101093545B1 (ko) 2009-11-30 2009-11-30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692A KR20110060692A (ko) 2011-06-08
KR101093545B1 true KR101093545B1 (ko) 2011-12-13

Family

ID=4439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357A KR101093545B1 (ko) 2009-11-30 2009-11-30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148A (ko) 2019-04-15 2020-10-23 서병준 슬라이딩 도어 개폐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681B1 (ko) * 2011-11-28 2013-04-15 이재선 미닫이 창호용 연동장치
CN102536035A (zh) * 2012-02-23 2012-07-04 南京康尼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塞拉门承载驱动机构
KR101366508B1 (ko) * 2013-05-08 2014-02-25 한의수 연동 미닫이문을 문틀프레임에 결합하는 장치
JP6243679B2 (ja) * 2013-09-25 2017-12-06 株式会社泉陽商会 引戸連動装置
KR102438370B1 (ko) * 2021-09-01 2022-09-01 (주)디앤지오토매틱 교체가 용이한 리니어모터를 구비하는 에너지 절감형 자동문장치
KR102531275B1 (ko) * 2022-04-15 2023-05-10 고준현 연동형 다중 미닫이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216A (ja) 1997-01-27 1998-08-04 Shinkansai Bearing Co Ltd 連動引き戸
JP2006249662A (ja) 2005-03-08 2006-09-21 Kenkousha:Kk 連動引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216A (ja) 1997-01-27 1998-08-04 Shinkansai Bearing Co Ltd 連動引き戸
JP2006249662A (ja) 2005-03-08 2006-09-21 Kenkousha:Kk 連動引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148A (ko) 2019-04-15 2020-10-23 서병준 슬라이딩 도어 개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692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545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101371213B1 (ko) 행거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EP3167138B1 (en) Telescoping aircraft panel door
EP1674653B1 (en) Box for roll-up awnings
CN101936117B (zh) 推拉平开门窗
EP2780640B1 (de) Lüftungsklappe
KR20130095404A (ko) 차수문 개폐시스템
CN202218834U (zh) 双向连动对开淋浴屏风
CN201763156U (zh) 推拉平开门窗
EP2725181B1 (en) Lateral guides
CN202064802U (zh) 窗用电动折叠外遮阳防盗装置
KR101170061B1 (ko) 전동 슬라이드 갤러리 창을 포함한 구조물
CN204531888U (zh) 一种中轴式电动平衡门
EP2725180B9 (en) Mounting accessory
KR101993172B1 (ko) 연동 게이트
KR101324139B1 (ko) 출입문 개폐장치
CN104775742A (zh) 一种万向卷帘门窗
CN201981983U (zh) 内置遮阳帘的中空玻璃及中空玻璃系统
IT201900002879A1 (it) Dispositivo di tensionamento per zanzariere e tende avvolgibili
CN209494484U (zh) 一种内置卷帘窗
KR101565923B1 (ko) 지지응력이 개선된 입설형 격납고 도어장치
KR200453010Y1 (ko) 레일조립체
CN202181804U (zh) 塞拉门
CN219864699U (zh) 折叠门
KR20130115919A (ko) 삼중 상부 레일 구조를 갖는 폴딩 도어 작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