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3096B1 - 치과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치과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096B1
KR101093096B1 KR1020090078713A KR20090078713A KR101093096B1 KR 101093096 B1 KR101093096 B1 KR 101093096B1 KR 1020090078713 A KR1020090078713 A KR 1020090078713A KR 20090078713 A KR20090078713 A KR 20090078713A KR 101093096 B1 KR101093096 B1 KR 101093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handle
coupled
controlle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1110A (ko
Inventor
김경완
진경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텍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텍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텍몰드
Priority to KR102009007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0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2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치아 치료를 위해 손잡이부를 파지할 때에 파지된 손에 걸리지 않도록 손잡이부의 타단에 탄력적으로 결합되고 조명램프에 연결되어서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일단이 조명램프에 연결되고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타단이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전원선; 작업자가 치아 치료를 위해 손잡이부를 파지할 때에 파지된 손에 걸리지 않도록 모터하우징 측의 손잡이부 일단에 탄력적으로 결합되고 조명램프가 내장되며 전원선이 불필요하게 당겨질 시 전원선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분산시켜서 전원선 및 조명램프의 연결부분을 보호하는 램프홀더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컨트롤러 및 램프홀더를 다양한 종류의 핸드피스의 손잡이부에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여러 치과 병원들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핸드피스에 컨트롤러 및 램프홀더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핸드피스를 파지할 때에 전원선에 의해 불편이 초래되지 않으며, 전원선에 의해 작업동작이나 작업반경에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핸드피스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조명램프, 컨트롤러, 클램프부, 배터리, 전원선, 램프홀더

Description

치과용 핸드피스{Hand-piece for dentistry}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존에 사용되던 다양한 종류의 핸드피스에 조명장치를 간단히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전원선이 길게 연장되지 않으므로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며, 치과 치료를 위해 핸드피스를 파지할 때에 램프홀더 및 컨트롤러가 파지한 손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한 치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핸드피스는 치과에서는 치아를 갈아내는데 사용하는 필수품으로서, 핸드피스에 버를 꽂아서 사용하게 되며, 장착되는 버는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핸드피스는, 치아를 치료하는 수단과 구동모터가 설치되며 다수의 수로와 에어통로가 구비된 모터하우징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수로와 에어통로를 구비한 복수개의 피스들로 구성되며 피스들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손잡이부와, 수로와 에어유로 및 배출로를 구비하며 모터하우징과 손잡이부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가 연통되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핸드피스에는 치아를 치료하는 동안 환자 구강 내의 치료부위를 비취 기 위한 조명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조명수단은 모터하우징이나 연결부재나 손잡이부의 단부에 설치되어서 구강 내부를 비추는 조명램프와, 조명램프 및 벽체의 전원에 연결되어서 조명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치과용 핸드피스는 벽체의 전원부터 핸드피스까지 전원선이 길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에 방해가 될 뿐 아니라 핸드피스의 이동에도 제약이 뒤따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핸드피스에 조명램프, 배터리 및 전원선이 내장된 광학용 핸드피스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핸드피스는 핸드피스 자체에 조명장치가 내장되므로 전원선이 길게 연장되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치과용 핸드피스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핸드피스 내에 조명장치가 내장되므로 핸드피스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핸드피스의 비대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핸드피스의 외형을 변형시켜서 작업자가 핸드피스를 파지하기가 매우 불편하게 하였다.
또한 조명장치가 내장된 종래의 핸드피스는 기존의 핸드피스와는 호환성이 전혀 없다. 따라서 기존의 핸드피스를 사용하고 있는 대다수의 작업자들이 조명장치가 내장된 핸드피스를 사용하려면 별도의 핸드피스를 구입한 수 사용해야 하며, 이때 이미 사용하고 있던 기존의 핸드피스는 활용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새로운 기기를 구입함에 따라 고장이 발생되지 않은 고가의 기기를 그대로 방치하므로 장비 구입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사용되던 다양한 종류의 핸드피스에 조명장치를 간단히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선이 길게 연장되지 않으므로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도록 한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과 치료를 위해 핸드피스를 파지할 때에 램프홀더 및 컨트롤러가 파지한 손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도록 한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선이 불필요하게 당겨져도 조명램프 및 전원선의 연결부위가 단선되지 않도록 한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재인 램프홀더의 클램프부와 금속재인 손잡이부 사이에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한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드 및 전원선의 일단이 클램프부에 내장되어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는, 치아 치료용 버가 장착되고 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내장되는 모터하우징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수로와 에어통로를 구비한 복수개의 피스들로 구성되며 피스들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손잡이부가 포함된 치과용 핸드피스에 있어서, 모터하우징 측의 손잡이부 일단에 설치되고 치아 치료시 구강 내부를 비추는 조명램프; 작업자가 치아 치료를 위해 손잡이부를 파지할 때에 파지된 손에 걸리지 않도록 손잡이부의 타단에 탄력적으로 결합되고 조명램프에 연결되어서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컨트롤러에 내장되어서 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일단이 조명램프에 연결되고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타단이 컨트롤러에 연결되는 전원선; 작업자가 치아 치료를 위해 손잡이부를 파지할 때에 파지된 손에 걸리지 않도록 모터하우징 측의 손잡이부 일단에 탄력적으로 결합되고 조명램프가 내장되며 전원선이 불필요하게 당겨질 시 전원선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분산시켜서 전원선 및 조명램프의 연결부분을 보호하는 램프홀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의 다른 특징은, 컨트롤러는, 부품들이 내장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고 내경이 탄력적으로 가변되도록 구비되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손잡이부의 타단들에도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클램프부와, 케이스의 나머지 개방부위에 착탈되도록 구비되어서 케이스의 내부를 차단하는 커버와,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원선이 연결되는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에 연결되어서 조명램프를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의 또 다른 특징은, 손잡이부의 둘레에 결합되는 클램프부의 내주면에는, 합성수지재의 클램프부와 금속재의 손잡이부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패드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의 또 다른 특징은, 클램프부는, 케이스의 일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와, 제1고정부의 일측에 C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손잡이부의 타단들에 결합될 시 그 내경이 탄력적으로 가변되면서 결합되며 내주면에 패드의 일부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되도록 제1패드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결합부로 이루어진 제1클램프와, 제1고정부의 일측에 조합된 후 케이스의 일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와, 제2고정부의 일측에 C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손잡이부의 타단들에 결합될 시 그 내경이 탄력적으로 가변되면서 결합되며 내주면에 패드의 나머지 일부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되도록 제2패드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결합부로 이루어진 제2클램프와, 제1결합부 및 케이스에 체결되어서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를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의 또 다른 특징은, 제2클램프의 제2패드안착홈 내에는, 패드와 제2패드안착홈 사이로 전원선이 내장되도록 제2패드안착홈을 따라 전원선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2고정부에는, 전원선안착홈을 따라 내장된 전원선의 일단이 케이스의 내부로 인출되도록 전원선관통구멍이 형성되어서, 컨트롤러 측으로 연장되는 전원선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클램프부에 내장된 후 컨트롤러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의 또 다른 특징은, 램프홀더는, 내부에 조명램프 설치용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조명램프에 연결된 전원선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전원선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몸체와, 홀더몸체에 착탈되며 그 내부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몸체커버와, 홀더몸체의 수납공간 내에 구비되고 전원선의 둘레에 고 정되며 전원선이 당겨질시 홀더몸체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전원선에 전달되는 인장력을 분산시켜서 조명램프와 전원선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전원선보호구와, 홀더몸체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고, 손잡이부의 둘레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탄성클립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의 또 다른 특징은, 손잡이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홀더몸체의 일면에는, 손잡이부의 외주면에 면접촉되어서 램프홀더가 손잡이부 둘레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손잡이부의 외주면과 동일 곡률의 절곡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의 또 다른 특징은, 홀더몸체는, 내주면의 양측에 그 단부측으로 갈수록 수납공간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내부경사면들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경사면들 사이의 일면에는 그 단부측으로 갈수록 수납공간이 점차 좁아지도록 곡률지게 형성된 내부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선보호구는, 둘레 양측에 홀더몸체의 내부경사면에 평행하도록 외부경사면들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경사면들 사이의 일면에는 홀더몸체의 내부곡면과 동일 곡률의 외부곡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원선이 당겨질 시 전원선보호구의 외부경사면들 및 외부곡면이 홀더몸체의 내부경사면들 및 내부곡면에 접촉되면서 전원선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흡수, 분산시켜서 전원선 및 조명램프의 연결부위를 보호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하면, 컨트롤러의 클램프부 및 램프홀더의 탄성클립은 그 내경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 서 본 발명의 컨트롤러 및 램프홀더를 다양한 종류의 핸드피스의 손잡이부에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여러 치과 병원들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핸드피스에 컨트롤러 및 램프홀더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핸드피스를 여러개 구입할 필요가 없다.
핸드피스의 전원선은 조명램프 및 컨트롤러 사이에 최단거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손잡이부의 둘레 일측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핸드피스를 파지할 때에 전원선에 의해 불편이 초래되지 않으며, 전원선에 의해 작업동작이나 작업반경에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핸드피스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회로기판, 배터리, 온/오프스위치가 설치된 컨트롤러와 조명램프가 설치된 램프홀더가 핸드피스의 손잡이부 양단에 설치된다. 따라서 치과 치료를 위해 핸드피스를 파지할 때에 램프홀더 및 컨트롤러가 파지한 손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원선이 불필요하게 당겨지면 전원선보호구의 외부경사면들 및 외부곡면이 홀더몸체의 내부경사면들 및 내부곡면에 접촉되면서 전원선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흡수, 분산시킨다. 따라서 전원선이 당겨져도 전원선 및 조명램프의 연결부위에 인장력이 전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원선의 일부가 단선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컨트롤러의 제1패드안착홈 및 제2패드안착홈에는 고무재인 패드가 안착되어 있다. 따라서 패드에 의해 합성수지재인 램프홀더의 클램프부와 금속재인 손잡이부 사이에 미끄럼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컨트롤러를 손잡이부의 타측에 결합시키면 패 드가 금속재의 손잡이부 둘레에 밀착되면서 유동되지 않으므로 컨트롤러가 손잡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제2클램프의 제2패드안착홈 내에는, 패드와 제2패드안착홈 사이로 전원선이 내장되도록 제2패드안착홈을 따라 전원선안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제2고정부에는, 전원선안착홈을 따라 내장된 전원선의 일단이 케이스의 내부로 인출되도록 전원선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 측으로 연장되는 전원선의 단부가 클램프부의 전원선안착홈에 내장된 후 전원선관통구멍을 통해 컨트롤러의 케이스 내부로 진입된다. 전원선이 전원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패드안착홈 및 제2패드안착홈에는 패드가 안착된다. 그러므로 전원선의 일단 및 패드가 클램프부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핸드피스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그리고, 손잡이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홀더몸체의 일면에는, 손잡이부의 외주면과 동일 곡률을 갖도록 절곡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몸체의 절곡홈이 손잡이부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므로 램프홀더가 손잡이부 둘레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컨트롤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램프홀더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램프홀더의 개략적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다.
핸드피스(1)는 치아 치료용 버가 장착되고 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가 내장되는 모터하우징(2)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수로와 에어통로를 구비한 복수개의 피스들로 구성되며 피스들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손잡이부(3)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핸드피스(1)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조명램프(10), 컨트롤러(20), 배터리(50), 전원선(60), 램프홀더(70)가 결합된다.
조명램프(10)는, 모터하우징(2) 측의 손잡이부(3) 일단에 설치되고 치아 치료시 구강 내부를 비춘다. 이러한 조명램프(10)는, LED램프로 이루어진다.
컨트롤러(20)는, 작업자가 치아 치료를 위해 손잡이부(3)를 파지할 때에 파지된 손에 걸리지 않도록 손잡이부(3)의 타단에 탄력적으로 결합되고 조명램프(10)에 연결되어서 이를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20)는, 부품들이 내장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케이스(21)가 구비된다. 이 케이스(21)의 내측에는 후술할 체결볼트(38)가 체결되도록 체결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1)의 개방된 일측에는 내경이 탄력적으로 가변되도록 구비되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손잡이부(3)의 타단들에도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클램프부(24)가 결합된다. 케이스(21)의 나머지 개방부위에는 커버(40)가 착탈되도록 구비되어서 케이스(21)의 내부를 차단한다. 케이스(21)의 내 부에는 전원선이 연결되는 회로기판(42)이 설치되고, 회로기판(42)에는 조명램프(10)를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41)가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부(3)의 둘레에 결합되는 클램프부(24)의 내주면에는, 합성수지재의 클램프부(24)와 금속재의 손잡이부(3)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패드(43)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클램프부(24)는, 제1클램프(25), 제2클램프(31), 체결볼트(38)로 이루어진다.
제1클램프(25)는, 제1고정부(26), 제1결합부(28)로 이루어진다. 제1고정부(26)는, 케이스(21)의 일측 개방부에 결합되며, 후술할 체결볼트(38)가 관통되도록 관통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제1결합부(28)는, 제1고정부(26)의 일측에 C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손잡이부(3)의 타단들에 결합될 시 그 내경이 탄력적으로 가변되면서 결합되며, 제1결합부(28)의 내주면에는 패드(43)의 일부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되도록 제1패드안착홈(29)이 형성되어 있다.
제2클램프(31)는, 제2고정부(32), 제2결합부(34)로 이루어진다. 제2고정부(32)는, 제1고정부(26)의 일측에 조합된 후 케이스(21)의 일측 개방부에 결합된다. 제2결합부(34)는, 제2고정부(32)의 일측에 C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손잡이부(3)의 타단들에 결합될 시 그 내경이 탄력적으로 가변되면서 결합되며, 제2결합부(34)의 내주면에는 패드(43)의 나머지 일부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되도록 제2패드안착홈(35)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볼트(38)는, 제1결합부(28) 및 케이스(21)에 체결되어서 제1클램프(25) 및 제2클램프(31)를 케이스(21)에 결합시킨다.
한편, 제2클램프(31)의 제2패드안착홈(35) 내에는, 패드(43)와 제2패드안착홈(35) 사이로 전원선(60)이 내장되도록 제2패드안착홈(35)을 따라 전원선안착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제2클램프(31)의 제2고정부(32)에는, 전원선안착홈(37)을 따라 내장된 전원선(60)의 일단이 케이스(21)의 내부로 인출되도록 전원선관통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20) 측으로 연장되는 전원선(6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클램프부(24)에 내장된 후 컨트롤러(20)에 연결된다. 제2클램프(31)의 제2패드안착홈(35) 전방에는 패드(43)의 패드고정부(44)가 안착되도록 고정부안착홈(36)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50)는, 컨트롤러(20)에 내장되며 컨트롤러(20)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기판(42)에 연결되어서 이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선(60)은, 일단이 후술할 홀더몸체(71)의 전원선구멍(75)을 통과한 후 홀더몸체(71)의 수납공간(72) 내에 위치되며 조명램프(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선(60)은, 손잡이부(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 타단이 컨트롤러(20)의 내부에 위치되며 회로기판(42)에 연결된다.
램프홀더(70)는, 작업자가 치아 치료를 위해 손잡이부(3)를 파지할 때에 파지된 손에 걸리지 않도록 모터하우징(2) 측의 손잡이부(3) 일단에 탄력적으로 결합 되고 조명램프(10)가 내장되며 전원선(60)이 불필요하게 당겨질 시 전원선(6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분산시켜서 전원선(60) 및 조명램프(10)의 연결부분을 보호한다.
이러한 램프홀더(70)는, 홀더몸체(71), 몸체커버(78), 전원선보호구(80), 탄성클립(84)으로 이루어진다.
홀더몸체(71)는, 내부에 조명램프(10) 설치용 수납공간(72)이 형성되어 있고 조명램프(10)에 연결된 전원선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전원선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홀더몸체(71)는, 내주면의 양측에 그 단부측으로 갈수록 수납공간(72)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내부경사면(73)들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경사면(73)들 사이의 일면에는 그 단부측으로 갈수록 수납공간(72)이 점차 좁아지도록 곡률지게 형성된 내부곡면(74)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3)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홀더몸체(71)의 일면에는, 손잡이부(3)의 외주면에 면접촉되어서 램프홀더(70)가 손잡이부(3) 둘레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손잡이부(3)의 외주면과 동일 곡률의 절곡홈(76)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커버(78)는, 홀더몸체(71)에 착탈되면서 그 내부의 수납공간(72)을 개폐한다.
전원선보호구(80)는, 홀더몸체(71)의 수납공간(72) 내에 구비되고 전원선(60)의 둘레에 고정된다. 이 전원선보호구(80)는, 전원선(60)이 당겨질시 홀더몸체(71)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전원선(60)에 전달되는 인장력을 분산시켜서 조명램프(10)와 전원선(60)의 연결부위를 보호한다. 이러한 전원선보호구(80)는, 둘레 양 측에 홀더몸체(71)의 내부경사면(73)에 평행하도록 외부경사면(81)들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경사면(81)들 사이의 일면에는 홀더몸체(71)의 내부곡면(74)과 동일 곡률의 외부곡면(8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선(60)이 당겨질 시 전원선보호구(80)의 외부경사면(81)들 및 외부곡면(82)이 홀더몸체의 내부경사면(73)들 및 내부곡면(74)에 접촉되면서 전원선(6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흡수, 분산시켜서 전원선(60) 및 조명램프(10)의 연결부위를 보호한다.
탄성클립(84)은, 홀더몸체(71)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고 손잡이부(3)의 둘레에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는, 핸드피스(1)에 컨트롤러(20), 전원선(60), 램프홀더(70)로 이루어진 어셈블리가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
먼저, 컨트롤러(20)를 핸드피스(1)의 손잡이부(3)에 결합시킨다. 즉, 클램프부(24)의 개방부위를 손잡이부(3) 중 가장 얇은 부위인 모터하우징(2) 측 일단에 대응시키고, 대응 손잡이부(3)의 둘레가 클램프부(24)의 내주면에 위치되도록 클램프부(24)를 밀어 끼운다. 그리고 컨트롤러(20)의 클램프부(24)를 손잡이부(3)의 타측으로 이동시킨다.
손잡이부(3)의 타단측은 클램프부(24)가 끼워진 일단측보다 외경이 더 크며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20)의 클램프부(24)를 손잡이부(3)의 타단측으로 이송시킴에 따라 클램프부(24)의 내주면이 손잡이부(3)의 외주면에 점차 밀착된다. 컨트롤러(20)의 클램프부(24)가 손잡이부(3)의 외주면에 타이트하게 밀 착되면 컨트롤러(20)를 손잡이부(3)의 타단측으로 미는 작업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20)가 손잡이부(3)의 타단측에 결합되면 조명램프(10)가 내장된 램프홀더(70)를 손잡이부(3)의 일단측에 결합시킨다. 즉, 램프홀더(70)의 탄성클립(84)을 모터하우징(2) 측 손잡이부(3)의 일단에 대응시킨 후 이에 밀어 끼우면, 금속재의 탄성클립(84)이 탄력적으로 벌어진 후 복원되면서 그 둘레에 결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컨트롤러(20)의 클램프부(24) 및 램프홀더(70)의 탄성클립(84)은 그 내경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트롤러(20) 및 램프홀더(70)를 다양한 종류의 핸드피스(1)의 손잡이부(3)에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여러 치과 병원들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핸드피스(1)에 컨트롤러(20) 및 램프홀더(70)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핸드피스(1)를 여러개 구입할 필요가 없다.
둘째, 핸드피스(1)의 전원선(60)은 조명램프(10) 및 컨트롤러(20) 사이에 최단거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손잡이부(3)의 둘레 일측에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핸드피스(1)를 파지할 때에 전원선(60)에 의해 불편이 초래되지 않으며, 전원선(60)에 의해 작업동작이나 작업반경에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핸드피스(1)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셋째, 회로기판(42), 배터리(50), 온/오프스위치(41)가 설치된 컨트롤러(20)와, 조명램프(10)가 설치된 램프홀더(70)가 핸드피스(1)의 손잡이부(3) 양단에 설치된다.
따라서 치과 치료를 위해 핸드피스(1)를 파지할 때에 램프홀더(70) 및 컨트롤러(20)가 파지한 손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파지가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은 전원선(60)이 불필요하게 당겨지면 전원선보호구(80)의 외부경사면(81)들 및 외부곡면(82)이 홀더몸체(71)의 내부경사면(73)들 및 내부곡면(74)에 접촉되면서 전원선(6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흡수, 분산시킨다.
따라서 전원선(60)이 당겨져도 전원선(60) 및 조명램프(10)의 연결부위에 인장력이 전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원선(60)의 일부가 단선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다섯째, 컨트롤러(20)의 제1패드안착홈(29) 및 제2패드안착홈(35)에는 고무재인 패드(43)가 안착되어 있다. 따라서 패드(43)에 의해 합성수지재인 램프홀더(70)의 클램프부(24)와 금속재인 손잡이부(3) 사이에 미끄럼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컨트롤러(20)를 손잡이부(3)의 타측에 결합시키면 패드(43)가 금속재의 손잡이부(3) 둘레에 밀착되면서 유동되지 않으므로 컨트롤러(20)가 손잡이부(3)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여섯째, 제2클램프(31)의 제2패드안착홈(35) 내에는, 패드(43)와 제2패드안착홈(35) 사이로 전원선(60)이 내장되도록 제2패드안착홈(35)을 따라 전원선안착홈(37)이 형성되어 있고, 제2고정부(32)에는, 전원선안착홈(37)을 따라 내장된 전 원선(60)의 일단이 케이스(21)의 내부로 인출되도록 전원선관통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20) 측으로 연장되는 전원선(60)의 단부가 클램프부(24)의 전원선안착홈(37)에 내장된 후 전원선관통구멍(33)을 통해 컨트롤러(20)의 케이스(21) 내부로 진입된다. 전원선(60)이 전원선안착홈(37)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패드안착홈(29) 및 제2패드안착홈(35)에는 패드(43)가 안착된다. 그러므로 전원선(60)의 일단 및 패드(43)가 클램프부(24)에 내장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핸드피스(1)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일곱째, 손잡이부(3)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홀더몸체(71)의 일면에는, 손잡이부(3)의 외주면과 동일 곡률을 갖도록 절곡홈(7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몸체(71)의 절곡홈(76)이 손잡이부(3)의 외주면에 면접촉되므로 램프홀더(70)가 손잡이부(3) 둘레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치과용 핸드피스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컨트롤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램프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램프홀더의 개략적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드피스 2 : 모터하우징
3 : 손잡이부 10 : 조명램프
20 : 컨트롤러 21 : 케이스
22 : 체결구멍 24 : 클램프부
25 : 제1클램프 26 : 제1고정부
27 : 관통구멍 28 : 제1결합부
29 : 제1패드안착홈 31 : 제2클램프
32 : 제2고정부 33 : 전원선관통구멍
34 : 제2결합부 35 : 제2패드안착홈
36 : 고정부안착홈 37 : 전원선안착홈
38 : 체결볼트 40 : 커버
41 : 온/오프스위치 42 : 회로기판
43 : 패드 44 : 패드고정부
50 : 배터리 60 : 전원선
70 : 램프홀더 71 : 홀더몸체
72 : 수납공간 73 : 내부경사면
74 : 내부곡면 75 : 전원선구멍
76 : 절곡홈 78 : 몸체커버
80 : 전원선보호구 81 : 외부경사면
82 : 외부곡면 84 : 탄성클립

Claims (8)

  1. 치아 치료용 버가 장착되고 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내장되는 모터하우징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수로와 에어통로를 구비한 복수개의 피스들로 구성되며 피스들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손잡이부가 포함된 치과용 핸드피스에 있어서,
    모터하우징(2) 측의 손잡이부(3) 일단에 설치되고 치아 치료시 구강 내부를 비추는 조명램프(10);
    작업자가 치아 치료를 위해 손잡이부(3)를 파지할 때에 파지된 손에 걸리지 않도록 손잡이부(3)의 타단에 탄력적으로 결합되고 조명램프(10)에 연결되어서 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20);
    컨트롤러(20)에 내장되어서 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0);
    일단이 조명램프(10)에 연결되고 손잡이부(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타단이 컨트롤러(20)에 연결되는 전원선(60);
    작업자가 치아 치료를 위해 손잡이부(3)를 파지할 때에 파지된 손에 걸리지 않도록 모터하우징(2) 측의 손잡이부(3) 일단에 탄력적으로 결합되고 조명램프(10)가 내장되며 전원선(60)이 불필요하게 당겨질 시 전원선(6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분산시켜서 전원선(60) 및 조명램프(10)의 연결부분을 보호하는 램프홀더(70)가 더 구비되며;
    컨트롤러(20)는,
    부품들이 내장되는 케이스(21)와, 케이스(21)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고 내경이 탄력적으로 가변되도록 구비되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손잡이부(3)의 타단들에도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클램프부(24)와, 케이스(21)의 나머지 개방부위에 착탈되도록 구비되어서 케이스(21)의 내부를 차단하는 커버(40)와, 케이스(21)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원선이 연결되는 회로기판(42)과, 회로기판(42)에 연결되어서 조명램프(10)를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손잡이부(3)의 둘레에 결합되는 클램프부(24)의 내주면에는,
    합성수지재의 클램프부(24)와 금속재의 손잡이부(3)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패드(4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4. 제3항에 있어서, 클램프부(24)는,
    케이스(21)의 일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26)와, 제1고정부(26)의 일측에 C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손잡이부(3)의 타단들에 결합될 시 그 내경이 탄력적으로 가변되면서 결합되며 내주면에 패드(43)의 일부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되도록 제1패드안착홈(29)이 형성되어 있는 제1결합부(28)로 이루어진 제1클램프(25)와,
    제1고정부(26)의 일측에 조합된 후 케이스(21)의 일측 개방부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32)와, 제2고정부(32)의 일측에 C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손잡이부(3)의 타단들에 결합될 시 그 내경이 탄력적으로 가변되면서 결합되며 내주면에 패드(43)의 나머지 일부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되도록 제2패드안착홈(35)이 형성되어 있는 제2결합부(34)로 이루어진 제2클램프(31)와,
    제1결합부(28) 및 케이스(21)에 체결되어서 제1클램프(25) 및 제2클램프(31)를 케이스(21)에 결합시키는 체결볼트(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5. 제4항에 있어서,
    제2클램프(31)의 제2패드안착홈(35) 내에는, 패드(43)와 제2패드안착홈(35) 사이로 전원선(60)이 내장되도록 제2패드안착홈(35)을 따라 전원선안착홈(37)이 형성되어 있고,
    제2고정부(32)에는, 전원선안착홈(37)을 따라 내장된 전원선(60)의 일단이 케이스(21)의 내부로 인출되도록 전원선관통구멍(33)이 형성되어서,
    컨트롤러(20) 측으로 연장되는 전원선(6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클램프부(24)에 내장된 후 컨트롤러(2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6. 제1항에 있어서, 램프홀더(70)는,
    내부에 조명램프(10) 설치용 수납공간(72)이 형성되어 있고 조명램프(10)에 연결된 전원선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전원선구멍(75)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몸체(71)와, 홀더몸체(71)에 착탈되며 그 내부의 수납공간(72)을 개폐하는 몸체커버(78)와, 홀더몸체(71)의 수납공간(72) 내에 구비되고 전원선(60)의 둘레에 고정되며 전원선(60)이 당겨질시 홀더몸체(71)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전원선(60)에 전달되는 인장력을 분산시켜서 조명램프(10)와 전원선(6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전원선보호구(80)와, 홀더몸체(71)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고, 손잡이부(3)의 둘레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탄성클립(8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7. 제6항에 있어서, 손잡이부(3)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홀더몸체(71)의 일면에는,
    손잡이부(3)의 외주면에 면접촉되어서 램프홀더(70)가 손잡이부(3) 둘레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손잡이부(3)의 외주면과 동일 곡률의 절곡홈(7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8. 제6항에 있어서,
    홀더몸체(71)는, 내주면의 양측에 그 단부측으로 갈수록 수납공간(72)이 점차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내부경사면(73)들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경사면(73)들 사이의 일면에는 그 단부측으로 갈수록 수납공간(72)이 점차 좁아지도록 곡률지게 형성된 내부곡면(7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원선보호구(80)는, 둘레 양측에 홀더몸체(71)의 내부경사면(73)에 평행하도록 외부경사면(81)들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경사면(81)들 사이의 일면에는 홀더몸체(71)의 내부곡면(74)과 동일 곡률의 외부곡면(8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원선(60)이 당겨질 시 전원선보호구(80)의 외부경사면(81)들 및 외부곡면(82)이 홀더몸체의 내부경사면(73)들 및 내부곡면(74)에 접촉되면서 전원선(6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흡수, 분산시켜서 전원선(60) 및 조명램프(10)의 연결부위를 보호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핸드피스.
KR1020090078713A 2009-08-25 2009-08-25 치과용 핸드피스 KR101093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13A KR101093096B1 (ko) 2009-08-25 2009-08-25 치과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713A KR101093096B1 (ko) 2009-08-25 2009-08-25 치과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110A KR20110021110A (ko) 2011-03-04
KR101093096B1 true KR101093096B1 (ko) 2011-12-13

Family

ID=4393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713A KR101093096B1 (ko) 2009-08-25 2009-08-25 치과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0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743B1 (ko) * 2019-01-30 2019-12-27 김두희 치과용 유니트 체어
KR102164360B1 (ko) * 2019-05-09 2020-10-1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어시스턴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치과용 유닛 체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7057A (ja) 1997-04-08 1998-10-20 Osada Res Inst Ltd 歯科治療用インスツルメント及びその補助具
KR200409740Y1 (ko) 2005-09-14 2006-02-24 김용배 치과용 수술장비에 탈착이 가능한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7057A (ja) 1997-04-08 1998-10-20 Osada Res Inst Ltd 歯科治療用インスツルメント及びその補助具
KR200409740Y1 (ko) 2005-09-14 2006-02-24 김용배 치과용 수술장비에 탈착이 가능한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110A (ko) 201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2571B2 (en) Light mirror
US6607384B1 (en) Lighting device for dental or medical instrument, and dental or medical instrument having lighting device
US6702576B2 (en) Light-curing device with detachably interconnecting light applicator
US7611256B2 (en) Illuminator for medical use
DE60216231D1 (de) Steckerverbindung für medizinisches gerät
US4341518A (en) Dental handpiece
DE3570588D1 (en) Dental hand piece with a lighting device
JP4621512B2 (ja) 口腔用光照射器
KR101093096B1 (ko) 치과용 핸드피스
DE50308903D1 (de) Medizinisches oder dentalmedizinisches Handstück mit einem hinteren und einem vorderen Handstückabschnitt
KR20030088118A (ko) 교체 가능한 유연 손잡이를 갖는 연장형 공압공구
US20060154201A1 (en) Elongate medical handpiece
US9044290B2 (en) Joint between motor unit and power cords of dental handpiece
KR20200092206A (ko) 다기능 치경
KR200409740Y1 (ko) 치과용 수술장비에 탈착이 가능한 조명장치
WO2016049179A1 (en) Corded dental handpiece
JP3121813B1 (ja) 歯科治療ユニットとハンドピース取付用ホースの接続構造
JPH11235351A (ja) レーザ装置用のハンドピース
JP2004358012A (ja) 内視鏡操作部
PL1459699T3 (pl) Urządzenie ortodontyczne do przesuwania do przodu dolnej szczęki pacjenta
JPH0515292Y2 (ko)
CN214908408U (zh) 一种医用口腔钳
JP2002506675A (ja) 照明付き洗浄器チップおよびハンドピース組立体
KR101684685B1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치과 치료용 핸드피스
WO2012003621A1 (zh) 具有照明的舌头隔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