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757B1 -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757B1
KR101092757B1 KR1020087019531A KR20087019531A KR101092757B1 KR 101092757 B1 KR101092757 B1 KR 101092757B1 KR 1020087019531 A KR1020087019531 A KR 1020087019531A KR 20087019531 A KR20087019531 A KR 20087019531A KR 101092757 B1 KR101092757 B1 KR 101092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drive
hybri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513A (ko
Inventor
옌스-베르너 팔켄슈타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106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1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using model predictive control [MPC] strategies, i.e. control methods based on models predicting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6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provision for separate direct mechanical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combustion engines
    • B60L2240/44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60L2260/44Control modes by parameter esti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57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95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66Engine torq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 특히 적어도 하나의 내연기관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에서는 내연기관과 전기 기기의 토크가 가산되고, 시스템에 연관된 내연기관 관성으로 인해 내연기관의 요구 조건에 대해서 제공될 수 없는 토크/토크 성분은 전기 기기로부터 제공된 토크/토크 성분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된다.
Figure R1020087019531
구동 장치, 전기 기기, 내연기관, 토크, 속도 조절 시스템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METHOD FOR OPERATING A DRIVE APPARATUS OF A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 특히 적어도 하나의 내연기관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에서는 내연기관과 전기 기기의 토크가 가산된다.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연료 소비와 배출을 줄이기 위해, 운전자가 요구하는 구동 토크는 내연기관과 전기 기기에 최적으로 배분되어야 한다. 구동 토크의 배분은, 유리한 효율의 범위 내에서 내연기관이 작동되고 전기 기기에 종속된 축전지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실행된다. 이에 반해, 차량 속도가 낮은 경우, 내연기관은 스위치오프되어야 하며 전기 기기에 의해서만 소정의 토크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차량의 제동시 제동 에너지는 회생 제동(recuperation)을 통해 축전지의 충전에 사용될 수 있다. 흡입관 분사부를 갖는 근래의 가솔린 내연기관은 대부분 공기 유동량 조절을 위한 전자식 스로틀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가속 페달이 스로틀 밸브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스로틀 밸브 조절 부재의 유한 조정 속도와 흡입관 내의 동적 충전 효과는 사전 설정된 공기 유동량과 이로써 발생한 내연기관 토크의 하이 다이내믹(high-dynamic) 조정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전기 기기는 훨씬 더 높은 응답 특성의 다이내믹을 포함한다. 운전자가 더 높은 구동 토크를 요구하고, 내연기관이 유리한 효율 범위에 이르면, 전기 기기는 대부분 더 강력한 회생 구동 양상을 보이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상기 기기는, 회생 구동식 전기 기기로부터 도달하는 음의 토크의 수치적 상승이 내연기관의 토크 상승에 의해 보상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기 기기는 내연기관과 달리 하이 다이내믹 응답 특성을 갖기 때문에, 차량의 실제 구동 토크는 운전자가 요구하는 토크에 근접하기 전에 먼저 감소한다. 이는 주행 성능과 쾌적감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언더슈트는 경우에 따라 구동 트레인 내에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을 일으킬 수도 있다. 언더슈트를 방지하기 위해, 내연기관의 토크 형성 지연을 보상하도록 내연기관 설정 토크와 실제 토크의 차가 전기 기기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이내믹 주행 모드의 경우, 즉 구동 토크 요구의 변경이 빈번한 경우, 전기 기기에 하이 다이내믹 방식으로 부하가 가해질 수 있다. 이는 전기 기기와 연결된 에너지 저장기에 대한 전기 출력 요구들의 하이 다이내믹과 결부될 수 있고, 그 결과 에너지 저장기에서 높은 에너지 변환이 발생하여 그 수명이 줄어들 수 있다. 그 외에도, 주기적인 빈번한 충전 및 방전 과정으로 인해 높은 변환 손실이 일어나며, 이는 전체 효율을 저하시킨다.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이 DE 102 01 264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음의 구동 토크가 요구되는 경우,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유닛과 제동 시스템은 연비 최적화 방식으로 제어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사용 가능한 에너지를 최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회 생 제동을 통해 제동 에너지가 재생되어 전기 보오드 회로망에 공급되고, 그 결과 내연기관의 연료 소비가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내연기관의 토크 제어부 내의 관성으로 인해, 예컨대 흡입관 다이내믹 또는 "터보 랙(turbo lag)"으로 인해 지연된 토크 변동이 전기 기기의 토크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되는 데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기대하는, 재생 가능한 구동 토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속 과정시 언더슈트도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요구 조건에 따라 실제 구동 토크 및/또는 그 기울기에 허용된 범위가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사전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운전자가 구동 토크를 요구하면, 그 요구 조건에 따라 구동 토크 및/또는 그 기울기에 대한 상한과 하한이 사전 설정되며, 실제 발생하는 실제 구동 토크 또는 그 기울기가 상기 한계치에 미달되거나 초과되어서는 안된다. 이러한 한계치들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시 변경되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사전 설정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서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트레인의 진동 여기가 방지되도록 허용 실제 토크 범위가 사전 설정된다. 운전자의 가속 요구시 전기 기기의 하이 다이내믹 응답 특성에 의해 먼저 구동 토크가 감소되어, 구동 트레인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진동 여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소위 언더슈트가 일어나는 현상이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허용 실제 구동 토크 범위는, 운전자에 의해서 사전 설정된 희망 "방향"으로만 구동 토크 변동이 가능하도록 사전 설정된다.
또한, 전기 기기의 출력이 제한적으로 사전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구동시 발생하는, 전기 기기 및 이에 속하는 부품들, 특히 축전지의 변환 손실이 줄어든다.
바람직하게는, 허용된 실제 토크 범위의 적어도 하나의 범위 한계가 제한적으로 사전 설정된 전기 기기의 출력에 따라, 전술한 변환 손실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실제 구동 토크가 허용된 범위를 벗어나면, 전기 기기는 바람직하게 실제 구동 토크가 허용된 범위에 다시 이르도록 추가의 토크 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라, 실제 구동 토크를 위해 허용된 범위를 결정하는 파라미터는 예컨대 속도 제어기 또는 차간 간격 제어기에 좌우된다. 또는 허용된 실제 구동 토크 범위가 속도 및/또는 회전수에 좌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속도 또는 회전수가 상이할 경우 운전자는 재생 가능한 구동 토크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ESP-ASR-ABS-시스템의 신호를 허용된 실제 토크 범위를 위한 파라미터로서 사용하거나, 운전자에 따라 어느 정도의 다이내믹을 구현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은 2개의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도시하고 있다.
도1은 병렬 하이브리드 구동 트레인에서 토크 배분에 대해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의 도면이다.
도2는 절대 한계치에 의해 허용된 범위가 제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뮬 레이션 모델의 도면이다.
도3은 총합 설정 토크에서의 점프에 대한 절대 한계의 반응 및 총합 실제 토크의 반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제한되지 않은 전기 기기 설정 토크 내의 점프에 대한 전기 기기 실제 토크의 반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총합 실제 토크의 기울기에 대한 한계치에 의해 허용 범위가 제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뮬레이션 모델의 도면이다.
도1에는 병렬 하이브리드 구동 트레인에서의 토크 배분에 대해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시뮬레이션 모델이 도시되며, 여기서 예컨대 운전자 요구 인식을 위한 센서를 나타내는 요소(1)는 신호, 특히 설정 구동 토크를 연결부(2)를 통해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의 제어 장치(3)로 안내하며, 이 제어 장치로부터 연결부 "4"는 토크 변경시의 그 특성이 그래프로 특성화되는 내연기관(5)으로 안내되고, 연결부 "6"은 토크 변경시 그 특성이 마찬가지로 그래프로 특성화되는 전기 기기(7)로 안내되며, 내연기관(5)과 전기 기기(7)로부터는, 내연기관(5)과 전기 기기(7)의 토크를 합산하는 가산기(10)로 각각 하나의 연결부(8, 9)가 안내되며, 상기 가산기는 전체 구동 트레인의 특성을 마찬가지로 그래프로 나타내는 요소(12)로의 연결부(11)를 포함한다. 운전자가 조작 부재, 특히 가속 페달의 위치에 대해서 특정의 구동 토크를 요구하면, 구동 토크가 요소(1) 내의 센서에 의해서 인식되어, 상기 요구된 토크를 내연기관(5)과 전기 기기(7)에 배분하는 제어 장치(3)에 전달되고, 내연기관이 더 유리한 효율의 범위에 도달하면, 전기 기기는 더 강화된 회생 모드로 제어된다. 내연기관의 특성화된 그래프는 시간에 대한 2개의 토크 곡선을 도시하며, 그 중 하나의 곡선은 더 높은 토크로의 점프를 갖는 내연기관 설정 토크(13)를, 다른 하나의 곡선은 내연기관 실제 토크(14)를 설명한다. 내연기관(5)의 토크 제어시의 관성으로 인해 내연기관 실제 토크(14)의 반응이 지연되고, 그 후에야 비로소 내연기관 설정 토크(13)에 점근적으로 근접한다.
전기 기기(7)의 특성화된 그래프에 도시된 전기 기기(7)의 하이 다이내믹 응답 특성에 의해, 전기 기기 실제 토크(15)가 전기 기기 설정 토크(16)에서의 점프에 점근적으로 신속하게 근접하게 된다.
내연기관(5)과 전기 기기(7)의 실제 토크가 합쳐져서 요소(12) 내에 도시된 전체 구동 트레인의 특성이 야기된다. 내연기관 설정 토크(13)와 전기 기기 설정 토크(16)의 총합은 운전자가 요구하는 설정 토크(18)에 상응한다. 운전자가 요구하는 설정 토크(18)가 상승할 경우, 내연기관(5)은 더 유리한 효율의 범위에 도달하고, 전기 기기(7)는 더 강력한 회생 모드로 작동되며, 이 경우 상기 전기 기기에 연결된 축전지를 위한 충전 용량이 증가한다. 전기 기기(7)의 더 높은 부하를 보상하기 위해, 내연기관 설정 토크(13)는 더 높은 값으로 점프한다. 전기 기기(7)의 하이 다이내믹 응답 특성에 의해, 우선적으로 감소한 후에야 비로소 점근적으로 설정 구동 토크(18)에 근접하는 실제 구동 토크(17)의 소위 언더슈트가 발생하게 된다.
도2에는 병렬 하이브리드에서를 예로 든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며, 여기 서는 허용된 실제 구동 토크 범위가 설정 구동 토크(18)로부터 PT1-특성에 의해 산출되는 절대 한계(trqLimHi 및 trqLimLo)에 의해 제한된다. 스캐닝 시스템의 범주에서 개별 스캐닝 단계에서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계산 규칙이 제시된다. 선행 스캐닝 단계에서 계산되어 저장된 값들은, 현재 스캐닝 단계를 위해서 유효한 값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다. 운전자가 요구하는 설정 구동 토크(18)(trqDes)를 도2의 상부 영역에서 연결부(19)에 의해 분기점(20)에 안내하는 도1의 요소(1)가 도시되며, 상기 분기점으로부터는 연결부(21)가 연산자(23)의 입력부(22)로 안내되고, 연산자는 2개의 값의 GE(Greater than or Equal)-비교를 실행해서 참 또는 거짓을 출력 변수로서 전달한다. 연산자(23)의 제2 입력부(24)에 의해서, 연산자는 실제 구동 토크(17)의 허용된 범위에 대해 선행 스캐닝 단계에서 계산된 상한값(26)(trqLimHi)을 제2 값으로서 연결부(25)를 통해 받는다. 연산자(23)의 출력부(27)로부터는 IF-회로(30)의 입력부(29)에 대한 연결부(28)가 나오며, 상기 회로는 연결부(33)에 의해서 값(34)(TPT1_Fast)으로부터 결정되는 시상수(32)(TPT1Hi)가 할당된 출력부(31)와, 연결부(37)에 의해서 값(38)(TPT1_Slow)으로부터 결정되는 시상수(32)(TPT1Hi)가 다시 할당되는 출력부(35)를 포함한다. 연산자(23)로부터 도출하는 값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또는 설정 구동 토크(18)가 상한값(26)보다 크거나 같은지 또는 작은지에 따라, IF-회로(30)를 통해 시상수(32)(TPT1Hi)에 다른 값이 할당된다.
분기점(20)으로부터는, 선행 스캐닝 단계에서 계산된 상한값(26)(trqLimHi)을 연결부(43)를 통해 감수로서 할당받며 제2 입력부(42)를 포함하는 감산기(41)의 입력부(40)에 추가의 연결부(39)가 안내된다. 감산기(41)의 출력부(45)로부터는, 분할기(48)의 입력부(47)로 연결부(46)가 안내되며, 분할기의 추가의 입력부(49)에는, 앞서 계산된 시상수(32)(TPT1Hi)가 연결부(50)에 의해 제수(divisor)로서 할당된다. 분할기(48)의 출력부(52)로부터는 연결부(53)에 의해 출력 변수가 요소(54)로 안내되며, 이 요소로부터 연결부(55)가 곱셈기(57)의 입력부(56)로 안내되고, 곱셈기의 입력부(58)에는 추가의 변수(60)(dT)가 연결부(59)에 의해 할당된다. 추가 변수(60)(dT)의 값은 스캐닝 시간(스캐닝 지속 시간, 2개의 스캐닝 단계 사이의 시간)에 상응한다.
출력부(61)로부터, 가산기(64)의 입력부(63)로 연결부(62)가 안내되며, 가산기의 추가의 입력부(65)에는 선행 스캐닝 단계에서 계산된(계산된 후 저장된) 상한값(26)(trqLimHi)이 연결부(66)에 의해서 할당되고, 가산기의 출력부(68)는 현재 스캐닝 단계를 위해 계산된 상한값(26)(trqLimHi)을 연결부(69)를 통해 출력한다. 제시된 계산 규칙은 1차 지연 소자를 스캐닝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것에 상응하며, 상한값(26)(trqLimHi)에 대해 연속적인 관찰 방식으로 적용된다.
TPT1Hi ·d(trqLimHi)/dt + trqLimHi = trqDes
시상수(TPT1Hi)는 trqLimHi의 기울기가 양인 경우와 음인 경우에 대해 IF-회로에 의해서 하기와 같이 상이하게 선택된다.
trqDes ≥ trqLimHi 이면, TPT1Hi = TPT1_Fast
trqDes < trqLimHi 이면, TPT1Hi = TPT1_Slow
TPT1_Slow > TPT1_Fast에 의해, 상한값(trqLimHi)의 신속한 증가와 느린 감 소가 구현된다. 반대로 하한값은 신속한 감소와 느린 증가의 양상을 보인다. 구동 트레인의 작동 상태에 기초한 파라미터화가 바람직하다.
도2의 중앙에는 하한값(78)(trqLimLo)을 검출하기 위한 계산 규칙이 제시되어 있다. 이 계산 규칙은 상한값(26)의 계산 규칙과 동일하며, 동일한 기능을 갖는 도시된 요소들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된다.
계산 규칙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상수(86)(TPT1Lo)의 값(38)(TPT1_Slow)과 값(34)(TPT1_Fast)이 반대로 선택되는 점에서 구별된다:
trqDes ≥ trqLimLo 이면, TPT1Lo = TPT1_Slow
trqDes < trqLimLo 이면, TPT1Lo = TPT1_Fast이다.
시상수(86)를 결정하기 위한 부분은, 분기부(20)로의 연결부(71)와 분기부(92)로의 추가의 연결부(91)를 포함하는 분기부(72)에 연결되며, 분기부(92)로부터는 하한값(78)(trqLimLo)을 계산하기 위한 연결부(93)가 안내된다.
추가의 연결부(125)는 분기부(92)로부터 도1에 공지된 제어 장치(3)로 안내되며, 제어 장치로부터는 연결부(126)가 내연기관(5)으로 안내된다. 내연기관은 연결부(127)를 통해서 내연기관 실제 토크(14)를 분기부(128)로 전달하며, 분기부로부터는, 가산기(131)의 입력부(130)로 연결부(129)가, 감산기(134)의 입력부(133)로 연결부(132)가, 감산기(137)의 입력부(136)로 연결부(135)가 안내되고, 현재 스캐닝 단계를 위한 상위 범위 내에서 상한값(26)(trqLimHi)에 대해 계산된 값이 피감수로서 연결부(139)를 통해 감산기(134)의 추가의 입력부(138)에 제공되고, 도2의 중앙에서 현재 스캐닝 단계를 위해 하한값(78)(trqLimLo)에 대해 계산된 값이 마찬가지로 피감수로서 연결부(142)를 통해 감산기(137)의 입력부(141)에 제공된다.
감산기(134)의 출력부(144)로부터는 연결부(145)가 요소(147)의 입력부(146)로 안내되며, 상기 요소(147)는 2개의 값을 서로 비교해서 더 작은 값을 전달한다. 감산기(137)의 출력부(148)로부터는 연결부(149)가 요소(151)의 입력부(150)로 안내되며, 상기 요소(151)는 2개의 값을 서로 비교해서 더 큰 값을 연결부(153)를 ㄴ통해 요소(147)의 입력부(154)로 전달한다. 또한, 요소(151)의 입력부(156)에는 제어 장치(3)로부터 연결부(155)를 통해 전기 기기(7)의 설정 토크가 제공된다. 따라서 한계값(26, 78)으로부터 내연기관 실제 토크의 감산에 의해 전기 기기(7)의 설정 토크(16)에 대한 한계가 산출된다.
또한 연결부(157)는 전기 기기(7)로 안내되며, 전기 기기로부터는 추가의 연결부(158)가 가산기(131)의 입력부(159)로 안내되고, 가산기에서는 구동 유닛들의 토크가, 출력부(160)에 제공된 실제 구동 토크(162)에 가산된다.
도3은 실제 구동 토크(162)의 허용된 범위에 대해서 도2로부터 검출된 한계의, 설정 구동 토크(18)에서의 점프에 대한 반응을 그래프로 도시하며, 좌표 상에는 시간(횡좌표)에 대한 토크가 도시된다. 그래프에는 4개의 곡선이 표시되고, 그 중 하나의 곡선은 설정 구동 토크(18)를 도시하며, 이는 우선 횡좌표에 평행하게 일정한 레벨로 진행하고, 시점(164)에서 거의 수직으로/종좌표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더 높은 값으로 증가하는데, 이는 상기 지점에서 다시 횡좌표에 대해 평행하게 일정한 값으로 진행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곡선(165)은 상한값(26)을 나타내며, 우선 설정 구동 토크(18)에 평행하게 진행하다가 시점(164)에서부터 가파르게 증가해서 설정 구동 토크(18)에 점근적으로 접근한다. 실제 구동 토크(162)의 허용된 범위에 대한 하한값(78)을 제공하는 제3 곡선(166)은, 우선 설정 구동 토크(18) 및 곡선(165)과 동일한 값으로 진행하다가 시점(164)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지만, 분명히 곡선(165) 이하로 유지되며, 설정 구동 토크(18)에 훨씬 더 천천히 접근한다.
실제 구동 토크(162)를 재현하는 제4 곡선(167)은 시점(164)에서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지만, 우선은 곡선(166) 이하에 유지되다가, 계속 진행하면서 상기 곡선을 교차하고 곡선(165)과 곡선(166) 사이에 유지되어 마찬가지로 점근적으로 설정 구동 토크(18)에 근접하게 된다.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작동할 때와 같이 설정 구동 토크(18)가 변경되면, 우선 도2의 실시예에 따라 허용된 실제 구동 토크 범위의 상한(곡선 165)과 하한(곡선 166)이 계산된다. 실제 구동 토크(162)는 우선 하한(곡선 166)에 따르며, 전기 기기(7)의 토크가 여기될 경우 PT1-특성에 의해 하한(곡선 166)과의 낮은 비임계적 편차가 생긴다. 실제 구동 토크(162)가 상한값(26)과 하한값(78) 사이, 즉 허용된 범위 내에 존재함에 따라, 전기 기기(7)의 토크에 대한 추가의 개입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도2의 제어 장치(3)에 의해서 사전 설정된 전력이 유지되며, 이는 에너지 저장기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토크에 대한 전기 기기(7)의 개입은 도4의 그래프에 도시된다. 도2의 제어 장치(3)에 의해서 사전 설정된 전기 기기의 설정 토크(168)와 실제 토크(169)가 시간의 함수로 도시된다. 우선 설정 토크 및 실제 토크(168, 169)는 일정한 레벨(170)로 진행한다. 시점(171)에서 설정 토크는 더 낮은 레벨(172)로 급감한다. 전기 기기의 실제 토크(169)는 우선 더 높은 레벨(173)로 증가한 다음, 설정 토크(168)에 점근적으로 근접하기 위해 급격하게 하강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 구동 토크(18)가 상승할 경우, 도2의 제어 장치(3)에 의해서 사전 설정된 전기 기기의 설정 토크(168)는, 전기 기기가 더 강력한 회생 모드로 구동되도록 낮은 값으로 떨어진다.
그러나 허용된 실제 구동 토크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2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전기 기기의 토크에 작용하므로, 내연기관의 토크 형성 지연이 보상된다.
도5는 실제 구동 토크(211)(trq)의 곡선의 기울기(1차 미분)에 대한 최대 한계와 최소 한계(trqLimGradMax 및 trqLimGradMin)에 의해, 허용된 실제 구동 토크 범위가 정해지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PT1-특성이 기초가 된다. 도5에는 도1에 공지된 바와 같이, 설정 구동 토크(trqDes)를 사전 설정하는 요소(1)가 도시되며, 이 요소는 연결부(174)에 의해 분기부(175)에 연결된다. 분기부(175)로부터는, 연결부(176)가 감산기(178)의 입력부(177)로 안내되며, 감산기에서는 설정 구동 토크(trqDes)로부터 실제 구동 토크(trq)가 감산된다. 감산기(178)의 출력부(179)로부터 연결부(180)가 요소(182)의 입력부(181)로 안내되며, 상기 요소에서는 2개의 스캐닝 단계 사이에서 실제 구동 토크(211)에 대해 허용된 변동량(trqMaxDelta 및 trqMinDelta)이 실제 구동 토크(211)의 허용된 기울기(1차 미분)에 대한 한계치들로부터, 스캐닝 시간(스캐닝 지속 시간, 2개의 계산 주기 사이의 시간)을 나타내는 변수(dT)와의 곱을 통해 계산된다. 실제 구동 토 크(211)의 허용된 기울기(1차 미분)에 대한 한계(trqLimGradMax, trqLimGradMin)는 PT1-특성의 관점에서, 설정 구동 토크(trqDes)와 감산기(178)의 출력부(179)에 인가되는 실제 구동 토크(trq)의 차로부터 검출된다. 허용된 변동량(trqMaxDelta, trqMinDelta)은 요소(182)의 2개의 출력부(183, 184)를 통해 각각 하나의 연결부(185, 186)에 의해 요소(189)의 2개의 입력부(187, 188)로 전달된다. 이 경우, 예컨대 증가된 실제 구동 토크(211)(trq)에 대해 하기와 같이 적용된다:
trqLimGradMin ≤ d(trq) / dt ≤ trqLimGradMax
trqLimGradMax = (trqDes - trq) / (TPT1_Fast)
trqLimGradMin = (trqDes - trq) / (TPT1_Slow)
분기부(175)로부터 도1에 공지된 제어 장치(3)로 추가의 연결부(190)가 안내되며, 제어 장치로부터 도1에 공지된 내연기관(5)으로 연결부(191)가, 요소(189)의 추가의 입력부(193)에는 추가의 연결부(192)가 안내된다. 내연기관(5)으로부터 연결부(194)가 분기부(195)로 안내되며, 상기 분기부로부터는 연결부(196)가 요소(189)의 추가의 입력부(197)로, 추가의 연결부(198)가 가산기(200)의 입력부(199)로 안내된다. 요소(189) 내에서는, 요소(182)로부터 trqMaxDelta 및 trqMinDelta를 이용하여 2회의 스캐닝 사이의 내연기관(5)의 실제 토크 변동량이 고려됨으로써, 2회의 스캐닝 사이의 전기 기기(7)의 설정 토크(16)의 변동량이 제한된다.
요소(189)의 출력부(201)로부터는 전기 기기(7)의 제한된 설정 토크가 연결부(202)에 의해서 전기 기기(7)로 안내되며, 전기 기기로부터는 추가의 연결 부(203)가 전기 기기(7)의 실제 토크를 가산기(200)의 추가의 입력부(204)로 안내하고, 가산기에서는 전기 기기(7)와 내연기관(5)의 토크가 합해진다. 가산기(200)의 출력부(205)로부터 연결부(206)가 분기부(207)로 안내되며, 이 분기부로부터 연결부(208)를 통해서는 실제 구동 토크(211)가 감수로서 감산기(178)의 추가의 입력부(209)로 안내되고, 연결부(210)를 통해서는 출력 변수로서 분기부(207)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실제 토크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토크가 제한에 의해서 우선 증가한 다음에야 설정 토크에 근접하는 방식으로, 전기 기기의 설정 토크에 대해서 제어 장치(3)에 의해 사전 설정되는 양상을 보인다. 마찬가지로 전체 구동 트레인의 실제 구동 토크(211)는 도3에 도시된 실제 구동 토크(167)와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여기서도 전기 기기(7)의 추가의 토크에 의해 언더슈트가 방지된다. 기울기에 기초한 이러한 방법은 특히 부하 충격 감쇠를 줄이기 위한 기준 제어(reference governing)과 연관되어 적절하게 사용된다. 적절한 기준 제어시, 실제 구동 토크(211)의 기울기는 제로 통과의 영역 내에서 제한된다(예컨대 코스팅(coasting) 모드로부터 트랙션(traction) 모드로의 전환의 경우).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내연기관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이며,
    내연기관과 전기 기기의 토크가 가산되며,
    내연기관 제어부 내의 시스템 특성에 따른 내연기관 관성으로 인해 내연기관의 요구 조건에 대해서 제공될 수 없는 토크/토크 성분은 전기 기기로부터 제공된 토크/토크 성분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요구 조건에 따라 실제 구동 토크 또는 그 기울기, 또는 그들의 조합에 대해 허용된 범위가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사전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허용된 실제 구동 토크 범위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트레인의 진동 여기가 방지되도록 사전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 기기의 출력은 그 작동시에 발생하는 변환 손실을 줄이기 위해 제한적으로 사전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허용된 실제 구동 토크 범위의 적어도 하나의 범위 한계가 제한적으로 사전 설정된 전기 기기의 출력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전기 기기는 실제 구동 토크가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추가의 토크 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파라미터는 속도 조절 시스템(Tempomat) 또는 차간 간격 조절 시스템 또는 내연기관의 속도 또는 회전수 또는 ESP/ASR/ABS-시스템 또는 운전자 각자의 조정 또는 그들의 조합에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
  8. 적어도 하나의 내연기관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 기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장치이며,
    내연기관과 전기 기기의 토크가 가산되며,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내연기관 제어부 내의 시스템 특성에 따른 내연기관 관성으로 인해 내연기관의 요구 조건에 대해서 제공될 수 없는 토크/토크 성분이 전기 기기로부터 제공된 토크/토크 성분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되도록 상기 전기 기기를 제어하는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요구 조건에 따라 실제 구동 토크 또는 그 기울기, 또는 그들의 조합에 대해 허용된 범위가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사전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장치.
KR1020087019531A 2006-02-10 2007-01-30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 KR101092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06107.1 2006-02-10
DE102006006107A DE102006006107A1 (de) 2006-02-10 2006-02-10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triebsvorrichtung eines Hybrid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513A KR20080106513A (ko) 2008-12-08
KR101092757B1 true KR101092757B1 (ko) 2011-12-09

Family

ID=3796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531A KR101092757B1 (ko) 2006-02-10 2007-01-30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20619B2 (ko)
EP (1) EP1984199B1 (ko)
JP (1) JP2009525913A (ko)
KR (1) KR101092757B1 (ko)
CN (1) CN101378929B (ko)
DE (1) DE102006006107A1 (ko)
WO (1) WO20070907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62868A1 (de) * 2005-12-29 2007-07-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Vereinfachung der Momentenaufteilung bei Mehrfachantrieben
JP5052601B2 (ja) * 2007-04-09 2012-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の起動装置
DE102007042350A1 (de) 2007-09-06 2009-03-1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dynamischen Momentenkoordination von Aggregaten eines Hybridantriebs eines Fahrzeugs und entsprechende Vorrichtung
DE102008041897A1 (de) * 2008-09-09 2010-03-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triebs eines Kraftfahrzeugs sowie Antriebsvorrichtung und elektronisches Steuergerät
DE102008051000B4 (de) * 2008-10-13 2023-10-05 Volkswagen Ag Abstandssteuer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8051001A1 (de) * 2008-10-13 2010-04-15 Volkswagen Ag Abstandssteuer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Hybridfahrzeuges
DE102008044020A1 (de) * 2008-11-24 2010-05-2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Adaption einer Drehzahl eines Fahrzeugantriebs
DE102010032045B4 (de) 2009-11-19 2021-07-15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duktion von Fahrzeugschwingungen
DE102010006305B4 (de) * 2010-01-30 2015-02-05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bridantriebs eines Fahrzeugs
JP5413518B2 (ja) * 2010-09-14 2014-0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走行制御装置
WO2012057118A1 (ja) * 2010-10-26 2012-05-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トルク制御装置
SE537106C2 (sv) * 2011-02-23 2015-01-13 Scania Cv Ab Detektion och dämpning av drivlineoscillationer
DE102011084548A1 (de) 2011-10-14 2013-04-18 Robert Bosch Gmbh Aktive Dämpfungsregelung für ein Elektro- oder Hybridfahrzeug
DE102014213080A1 (de) 2013-09-20 2015-04-16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bstellen einer Brennkraftmaschine
US9126591B2 (en) * 2013-10-18 2015-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 vehicle powertrai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DE102016211312A1 (de) * 2016-06-23 2017-12-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Einstellung des Soll-Moments eines Drehmomentstellers
KR102647187B1 (ko) * 2016-12-13 2024-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토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E102019217334A1 (de) * 2019-11-11 2021-05-12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und Steuerungssystem zum Betreiben eines Antriebsstrangs
DE102022211582A1 (de) 2022-11-02 2024-05-02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0758A1 (en) 2001-05-18 2002-11-2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
JP2003079005A (ja) 2001-06-19 2003-03-14 Hitachi Ltd 自動車の動力伝達装置
US20030062206A1 (en) 2001-09-28 2003-04-03 Jatco Ltd Parallel hybrid vehicle
WO2004067949A1 (en) 2003-01-27 2004-08-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7987A (en) * 1995-12-18 1997-06-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generative vehicle launch
DE19650570A1 (de) * 1996-12-06 1998-06-10 Voith Turbo Kg Verfahren zur Regelung des Schleppmomentes in einem dieselelektrischen Antriebssystem und Antriebssystem
JP3451935B2 (ja) * 1998-06-03 2003-09-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US6554088B2 (en) * 1998-09-14 2003-04-29 Paice Corporation Hybrid vehicles
DE19842509C1 (de) * 1998-09-17 2000-07-06 Siemens Ag Steuer- bzw. Regelvorrichtung für ein von einem Elektromotor antreibbares Fahrzeug
US6364807B1 (en) * 2000-06-30 2002-04-0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Control strategy for a hybrid powertrain for an automotive vehicle
US7407026B2 (en) * 2000-10-11 2008-08-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system for a hybrid electric vehicle to anticipate the need for a mode change
US6512967B2 (en) * 2000-10-31 2003-01-28 Volvo Car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hybrid vehicle for maximizing total torque output by minimizing differential torque capacities of the engine and generator
EP1270301A3 (en) * 2001-06-19 2007-02-21 Hitachi, Ltd.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automobile
DE10201264A1 (de) 2002-01-15 2003-11-0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Hybridantriebes eines Fahrzeugs
JP2003333710A (ja) 2002-05-13 2003-11-21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US6806667B1 (en) * 2003-05-23 2004-10-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vib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DE102004043957A1 (de) * 2003-09-19 2005-04-21 Luk Lamellen & Kupplungsbau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raftfahrzeug-Antriebsstrangsystems
DE102004032173B4 (de) * 2004-07-02 2015-07-30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brid-Kraftfahrzeuges
US7530413B2 (en) * 2004-08-13 2009-05-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ducing torque disturbances and improving fuel economy in hybrid electric powertrains
US7220217B2 (en) * 2005-01-26 2007-05-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gine spin-up control with natural torque smooth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0758A1 (en) 2001-05-18 2002-11-21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
JP2003079005A (ja) 2001-06-19 2003-03-14 Hitachi Ltd 自動車の動力伝達装置
US20030062206A1 (en) 2001-09-28 2003-04-03 Jatco Ltd Parallel hybrid vehicle
WO2004067949A1 (en) 2003-01-27 2004-08-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8929A (zh) 2009-03-04
EP1984199B1 (de) 2012-12-05
KR20080106513A (ko) 2008-12-08
JP2009525913A (ja) 2009-07-16
DE102006006107A1 (de) 2007-08-16
US20100282532A1 (en) 2010-11-11
CN101378929B (zh) 2012-08-08
US8720619B2 (en) 2014-05-13
EP1984199A1 (de) 2008-10-29
WO2007090761A1 (de)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75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작동 방법
CN101516702B (zh) 汽车的混合驱动装置的运行方法
KR101167879B1 (ko) 내연 기관의 제어 장치
US7254472B2 (en) Coordinated torque control security method and apparatus
US9126587B2 (en) Hybri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tor torque boost compensating for engine delay and torque exceeding maximum engine torque
EP1234708A2 (en) A hybrid electric vehicle and a control system therefor
US20040034460A1 (en) Powertrain control system
EP1987995A2 (en) Hybrid vehicle driv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1076165B1 (ko) 하이브리드 차량 작동 방법
KR101085688B1 (ko) 하이브리드 차량 작동 방법
US87510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drive train for a vehicle
US9316274B2 (en) Method for operating a powertrain in a motor vehicle
US20180238252A1 (en) Method for Backlash Reduction
KR100749193B1 (ko) 차량의 구동 유닛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30098012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vehicle
JP4252784B2 (ja) 駆動ユニットの制御方法及び装置
CN109895778A (zh) 混合动力车辆和该混合动力车辆的换挡控制方法
US6915202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vehicle
CN112752688B (zh) 车辆控制装置
US2002013818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load-dependent power-generating system in a vehicle
JP4318698B2 (ja) 車両の動力切替制御方法
KR10237097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US72226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drive unit
CN107042820B (zh) 混合动力系统中的扭矩储备
US6810853B1 (en) Electronic throttle control (ETC) idle area request secur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