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2575B1 - 위성 수신을 위한 외부 유닛과 상기 유닛을 가지고수신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 수신을 위한 외부 유닛과 상기 유닛을 가지고수신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575B1
KR101092575B1 KR1020067013288A KR20067013288A KR101092575B1 KR 101092575 B1 KR101092575 B1 KR 101092575B1 KR 1020067013288 A KR1020067013288 A KR 1020067013288A KR 20067013288 A KR20067013288 A KR 20067013288A KR 101092575 B1 KR101092575 B1 KR 101092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satellite
ghz
tran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3418A (ko
Inventor
마르크 로우크코프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060123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7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with frequency mixer, e.g. for direct satellite reception or Doppler rad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3/00Antennas with active circuits or circuit elements integrated within them or attached to th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DDEMODULATION OR 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 H03D7/00Transference of modulation from one carrier to another, e.g. frequency-changing
    • H03D7/16Multiple-frequency-changing
    • H03D7/161Multiple-frequency-changing all the frequency changers being connected in casc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되는 주파수에 따라, 슈프라다인(supradyne) 타입의 전치(205)와 인프라다인(infradyne) 타입(204)의 전치를 얻기 위해 수신 대역(200)의 양쪽에서 선택된 두 개의 전치 주파수를 사용하는 LNB를 제안한다. 전치 주파수의 이러한 선택은, 다른 주파수에서, 두 개의 발진 주파수의 도움으로 전치된, 수신 대역의 중간에서 중첩 영역(202)를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발진기의 도움으로 전치된 주파수가 특별히 잡음이 많은 주파수에 대응하는 경우에, 두 개의 전치 사이에서 선택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위성 수신을 위한 외부 유닛과 상기 유닛을 가지고 수신하는 방법{OUTSIDE UNIT FOR SATELLITE RECEPTION AND METHOD OF RECEPTION WITH SAID UNIT}
본 발명은 위성 수신을 위한 외부 유닛과 상기 유닛을 가지고 수신하는 방법과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은 공존하는 통신 시스템과의 간섭 문제를 개선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위성 수신을 위한 외부 유닛은 LNB(Low Noise Block: 저잡음 블록)이라고 일반적으로 부른다. 상기 유닛은 전파의 초점을 맞추는 파라볼릭(parabolic) 반사기의 중심에 일반적으로 위치된다. 유닛은 일반적으로 전자기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소스를 포함하며, 그리고 나서 동축 케이블에 의해 예를 들면, 텔레비전 프로그램 디코더와 같은 내부 유닛으로 전송하기 위해, 신호는 증폭되고, 중간 주파수대역으로 전치된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수신을 위해, 유용한 위성 대역은 10.7 GHz와 12.75 GHz사이에 위치한다. 외부 유닛은 수평 극성과 수직 극성에 따라 이 두파수 대역 전체를 수신하기 위해 작동된다. 사용되는 중간 대역은 950 MHz과 2150 MHz 사이에 놓인다. 외부 유닛은 수신 대역을 각 극성에 대해 절반의 위성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부대역으로 수신 대역을 나눈다. 대역의 선택은 예를 들면 DiSEqC 표준에 따 라 동축 케이블을 거쳐 외부 유닛으로 내부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명령어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라, 위성 대역의 두 개의 부대역으로의 분리는 통상적으로 9.75 GHz와 10.6 GHz인 두 개의 주파수 값을 취할 수 있는 전치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이 두 개의 전치 주파수를 가지고, 10.7 GHz과 11.7 GHz 사이에 놓이는 위성 대역의 일부는 950 GHz와 1950 MHz 사이에 전치되고, 11.7 GHz과 12.7 GHz 사이에 놓이는 주파수 대역은 1100 MHz과 2150 MHz 사이에 전치된다.
다른 전송 디바이스와의 간섭 문제는 특히 무선 디지털 전화를 가지고 발생할 수 있다. DECT 표준은 유럽에서 1881 MHz와 1898 MHz 사이에 놓이는 주파수 대역과 미국에서 1897 MHz와 1914 MHz 사이에 놓이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하지만, 이 주파수 대역은 위성 중간 대역에 놓이고, 그럼으로써 위성 중간 대역의 이 부분에 전치되는 프로그램의 수신을 방해하지 않도록 적절한 차폐를 필요로 한다. 디코더가 DECT 전화 베이스를 거쳐 전화선에 연결되기 위해 DECT 대역에서 송신기/수신기를 포함할 때, 또는 디코더 자체가 DECT 전화 베이스를 포함할 때, 차폐 문제는 더욱 중대하게 된다. 이 문제는 미국 특허 출원 US 2002/0052184 A1에서 이미 인식되었고, 제공된 해결은, 이 신호가 간섭에 종속되는 대역 부분에 위치된 주파수에 대응해야 할 때, 신호를 중간 대역으로의 추가적인 전치를 수행하는 주파수 변환기를 LNB에 근접하게 추가시키는 것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해결은 LNB 레벨에서 추가적인 수단과 따라서 추가적인 비용을 요구한다. 게다가, 이것은 추가적인 제어 신호와 따라서 연결 케이블의 대역폭을 요구한다.
본 발명은 LNB 타입의 외부 유닛의 알려진 구조를 거의 수정하지 않는 저비용의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간섭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사용된 주파수에 따라 슈프라다인(supradyne) 타입의 전치와 인프라다인(infradyne) 타입의 전치를 획득하기 위해 수신 대역의 양쪽에서 선택된 두 개의 전치 주파수를 사용하는 LNB를 제안한다. 전치 주파수의 이러한 선택은, 다른 주파수에서, 두 개의 발진 주파수의 도움으로 전치된, 수신 대역의 중간에서 중첩 영역을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발진기의 도움으로 전치된 주파수가 특별히 잡음이 많은 주파수에 대응하는 경우에, 두 개의 전치 사이에서 선택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은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 유닛과 관련이 있고, 상기 유닛은 증폭 수단과 위성 수신 대역을 수신 대역의 크기보다 작은 중간 주파수 대역에 전치시키기 위해 두 개의 전치 주파수를 사용하는 전치 수단을 포함한다. 두 개의 전치 주파수는, 상기 위성 수신 대역의 한 부분이 전치 주파수 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인프라다인 방식으로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전치되고, 상기 위성 수신 대역의 다른 한 부분이 전치 주파수 중의 다른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슈프라다인 방식으로 중간 주파수 대역에 전치된다. 반전된 스펙트럼과 두 개의 전치 주파수의 각자의 도움으로 중간 대역에 전치된 상기 위성 수신 대역의 두 부분에 공통인 교점이 존재하도록, 상기 두 전치 주파수가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외부 유닛의 도움으로 위성 수신 대역에서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외부 유닛은 증폭 수단과 위성 수신 대역을 상기 수신 대역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중간 주파수 대역에 전치시키기 위해 두 개의 전치 주파수를 사용하는 전치 수단을 가진다. 상기 수신 대역은 주어진 극성에 대해, 증가하는 주파수의 적어도 4개의 부대역으로 분리되고, 두 개의 인접한 부대역은 두 개의 다른 전치 주파수의 도움으로 전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하나는 상기 중간 대역의 하위 주파수가 차감되는 상기 위성 수신 대역의 하위 주파수 아래의 주파수에 위치해 있다. 상기 주파수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중간 대역의 베이스 주파수가 추가되는 상기 위성 수신 대역의 상위 주파수보다 위의 주파수에 위치된다. 상기 발진 주파수 사이의 최대 간격은 상기 중간대역의 하위 주파수의 2배가 추가되고, 또한 81 MHz가 추가되는, 상기 수신 대역의 폭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에 나오는 설명을 읽는 것에 의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NB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치의 제1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치의 제2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외부 유닛(1)(이하 LNB라고 함)을 나타낸다. LNB(1)는 파라볼릭 디쉬(미도시)상의 반사로부터 유래하는 전파를 수신하는, 예를 들면 혼(horn)과 같은 소스(100)를 포함한다. 소스(100)에 의해 수신되는 전파는 전이 영역(101)에 의해 수평 및 수직 극성 하에서 제각기 수신된 전파를 나타내는 두 개의 전기 신호(H 및 V)로 변환된다. 두 개의 저잡음 증폭기(102와 103)는 제각기 전기 신호(H와 V) 각각을 증폭한다. 신호를 전치 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해, 스위치(104)는 두 개의 저잡음 증폭기(102와 103) 중의 하나의 출력을 선택한다. 전치 수단은, 예를 들면 10.7 GHz와 12.75 GHz 사이에 놓인 대역과 같은 LNB(1)의 수신 대역에서 선택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증폭기(106)에 연결된 제1 대역 통과 필터(105)를 포함한다. 전치 수단은 제1 필터로부터 유래하는 신호(105)를 전치 신호와 혼합하는 믹서(107)를 포함한다. 전치 신호는 두 개의 발진기(108, 109)에 의해 설명된 예시에서 제공되는데, 두 개의 주파수 가운데서 선택된 고정된 주파수의 전치 신호를 갖도록 이 발진기 중의 단지 하나만이 전원을 공급받는다. 제2 대역 통과 필터(111)에 연결된 증폭기(110)는, 동축 케이블(미도시)이 끼워진 LNB(1)의 입출력 단자에 중간 대역에서 전치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믹서로부터 유래하는 신호를 증폭하고, 예를 들면, 950 MHz와 2150 MHz 사이에 놓이는 중간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통과 대역을 선택한다. LNB(1)는 LNB로의 전원과 원거리 내부 유닛(미도시)으로부터 유래하는 제어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입출력 단자에 연결된 저역 통과 필터(112)를 또한 포함한다. 구동 및 전원 회로(113)는 저역 통과 필터(112)에 연결된다. 구동 및 전원 회로(113)는 발진기(108, 109)중의 단지 하나만이 동작하도록, 발진기에 대해 선택적으로 전압을 LNB(1)의 모든 소자에 제공한다. 내부 유닛에 의해 요구되는 극성을 선택하기 위해, 구동 및 전원 회로(113)는 제어 신호를 또한 스위치(104)에 제공한다. 내부 유닛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DiSEqC 표준에 따라 코딩된 신호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두 개의 발진기를 도시하는데, 이 두 개 중의 단지 하나에만 전원이 공급된다. 제어 신호의 함수로서 양쪽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단일 발진기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영구적으로 동작하나 그 출력은 발진기의 단지 하나만을 믹서에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선택 수단을 갖춘 두 개의 발진기를 갖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중요한 것은 두 개의 주파수 가운데서 선택된 고정된 주파수의 전치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발진 수단을 갖는 것이다.
당업자가 알수 있는 것처럼, 설명된 예시는 보편적인 LNB에 대응하고, 보편적인 LNB의 모든 구조가 적용 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이 LNB는 발진기(108과 109)에 의해 제공된 전치 주파수에 의해 그 자체적으로 구별되게 한다.
발진기의 주파수는, 사용된 주파수에 따라 슈프라다인 타입의 전치와 인프라다인 타입의 전치를 얻기 위해 수신 대역의 양쪽에서 선택된다. 이러한 선택은 전치된 주파수가 동일 주파수에서 위치되지 않는 수신 대역의 중간에서 중첩 영역을 갖게 한다. 발진기의 도움으로 전치된 주파수가 특히 잡음이 많은 주파수에 대응하는 경우에, 이것은 두 전치 사이에서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체 수신 대역의 양호한 전치를 형성하기 위한 한 조건은 전치 주파수를 전치 대역의 하위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에 의해 수신 대역의 제한 주파수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것이다. 도 2는 최소 공간에 대응하는 9.75 GHz와 13.7 GHz와 제각기 동일한 전치 주파수를 가지고 수행되는 전치의 예시를 도시한다. 10.7 GHz와 12.75 GHz 사이에 놓이는 수신 대역(200)은 제1 내지 제3 부대역으로 분리되는데, 제1 부대역(201)은 10.7 GHz와 11.55 GHz 사이에 놓이고, 제2 부대역(202)은 11.55 GHz와 11.9 GHz 사이에 놓이고, 제3 부대역은 11.9 GHz와 12.75 GHz 사이에 놓인다. 위성 수신 대역(200)의 한 부분인 제1 과 제2 부대역(201과 202)은 인프라다인 방식으로 9.75 GHz 주파수의 발진기의 도움으로 950 MHz와 2150 MHz 사이의 중간 대역에 동시에 전치되는데, 이 전치는 대역(204)에 의해 표현된다. 위성 수신 대역(200)의 다른 한 부분인 제2 와 제3 부대역(202과 203)은 슈프라다인 방식으로 13.7 GHz 주파수의 발진기의 도움으로 950 MHz와 2150 MHz 사이의 중간 대역에 동시에 전치되는데, 이 전치는 대역(205)에 의해 표현된다. 슈프라다인 전치의 효과가 스펙트럼을 반전시키는 것이므로, 대역은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반전된 방식에서 표현된다. 당업자는 위성 수신 대역(200)의 두 부분에 공통인 교점 부분인 제2 부대역(202)이 두 개의 발진기를 가지고 1800 MHz와 2150 MHz 사이에 놓인 중간 대역의 일부로 전치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위성 전송을 위한 복조기는 만약 필요하다면 복조된 채널의 반전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되므로, 스펙트럼의 반전은 신호 복조 레벨에 아무런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다. 게다가, 상호 반전된 스펙트럼의 채널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DECT 전화를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고려되면, 유럽은 1881 MHz와 1898 MHz 사이에 놓인 대역을 사용하고, 미국은 1897과 1914 MHz 사이에 놓인 대역을 사용한다. 이 대역의 결합은 1881 MHz와 1914 MHz 사이에 놓인 DECT 대역에 대응한다. 내부 유닛이 DECT 표준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 동작을 포함할 때, 이 DECT 대역은 내부 유닛의 레벨에서 매우 잡음이 많고 따라서 의존성이 떨어진다. DECT 대역은 전치된 중간 대역(204와 205) 상에 검정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발진기를 가지고 수행된 전치를 위한 잡음이 많은 DECT 대역은 다른 발진기의 도움으로 수행된 전치에 대해 2036 MHz와 2069 MHz 사이에 놓인 무잡음 대역에 대응한다.
전치의 분리의 제한은, 수신 대역에 대해 너무 멀리 이격되도록 전치 주파수가 선택되면 발생한다. 발진 주파수 사이의 이격의 최대 제한은 예를 들면, 2050 MHz의 수신 대역 폭에 의해 고정되는데, 중간 대역의 하위 주파수의 두배, 즉 950 MHz의 두배가 이 수신 대역 폭에 추가되고, 또한, 2150 MHz의 중간 대역의 상한과 잡음 대역에 대응하는 무잡음 대역의 전치된 상한 대역, 즉. 2069 MHz 사이의, 도 2의 예시에서 얻어진 차이, 즉, 81 MHz가 또한 이 수신 대역 폭에 추가된다.
게다가, 중간 대역의 하단에, 935 MHz와 960 MHz 사이에 놓인 GSM 대역이 공존한다. 이 대역은 950 MHz와 960 MHz 사이에 놓인 하단에서 중간 대역과 중첩한다. GSM 기지국이 LNB와 근접하여 위치되었을 때, GSM 대역이 교란될 수 있다. DECT 대역 보다 덜 심각한 문제지만, DECT 장치가 내부 유닛에 포함된다면, 이 GSM 대역은 발진 주파수를 전이함으로써 어떠한 문제 없이 또한 제거될 수 있다.
중간 대역의 제한에 위치된 채널을 침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DECT와 GSM 대역 주위에 안전 여지(margin)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의 예시는, 안전 여지를 보존하면서, DECT와 GSM 대역을 회피하는 바람직한 예시에 대응한다. 전치 주파수는 예를 들면, 9.72 GHz와 13.73 GHz에 고정된다. 10.7 GHz와 12.75 GHz 사이에 놓이는 위성 수신 대역(300)은 이전 예시처럼 3개의 부대역으로 나누어지는데, 제1 부대역(301)은 10.7 GHz와 11.58 GHz 사이에 놓이고, 제2 부대역(302, 303)은 11.55 GHz와 11.87 GHz 사이에 놓이고, 제3 부대역(304)은 11.87 GHz와 12.75 GHz 사이에 놓인다. 위성 수신 대역(300)의 한 부분인 제1과 제2 부대역(301, 302, 303)은 인프라다인 방식으로 9.72 GHz 주파수의 발진기의 도움으로 980 MHz와 2150 MHz 사이의 중간 대역에 동시에 전치된다. 위성 수신 대역(300)의 다른 한 부분인 제2 와 제3 부대역은 슈프라다인 방식으로 13.73 GHz 주파수의 발진기의 도움으로 980 MHz와 2150 MHz 사이의 중간 대역에 동시에 전치된다. 슈프라다인 전치의 효과는 스펙트럼을 반전하는 것이므로, 이 중간 대역은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 반전된 방식에서 표현된다. 위성 수신 대역(300)의 두 부분에 공통인 교점 부분, 즉 제 2 부대역(302, 303)이 존재한다. 당업자는 1860 MHz와 2150 MHz 사이에 놓이고, 두 개의 발진기의 도움으로 전치된 중간 대역의 일부가 보다 더 줄어든 크기이나, 이전에 설명된 것처럼 DECT 대역을 피하기에 충분하다는 것과, DECT 대역의 이미지는 2106 MHz와 2129 MHz 사이에 놓인다는 것을 인식한다. 중간 대역의 유용한 스펙트럼폭은 중간 대역의 폭을 GSM 대역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이 대역과 관련된 어떠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그 하단에서 또한 감소된다.
주파수 전치는 내부 유닛의 레벨에서 어떠한 중요한 변경을 요구함이 없이 종래의 기술과 다르다. 특별히, 위성 대역의 스캐닝은 대안적인 방식으로 수행된다. 도 3의 도움으로, 전치 방법이 이제 상세히 설명된다. 수신 대역(300)은 제1 내지 제4 부대역(301 내지 304)으로 나누어 진다. 제1 부대역(301)은 10.7과 11.58 GHz 사이에 놓이며, 다른 어떠한 가능성이 없으므로, 제1 부대역은 인프라다인 방식으로 9.72 GHz 전치 주파수의 도움으로 전치된다. 제2 부대역(302)은 11.58 GHz와 11.725 GHz 사이에 놓이며, 만약 9.72 GHz의 주파수가 사용된다면 발생할 수 있는 DECT 대역과 관련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제2 부대역(302)은 슈프라다인 방식으로 13.73 GHz 전치 주파수의 도움으로 전치된다. 제3 부대역(303)은 11.725 GHz와 11.87 GHz 사이에 놓이며, 만약 13.73 GHz의 주파수가 사용된다면 발생할 수 있는 DECT 대역과 관련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 제3 부대역(303)은 인프라다인 방식으로 9.72 GHz의 전치 주파수의 도움으로 전치된다. 제4 부대역(304)은 11.87 GHz와 12.75 GHz 사이에 놓이며, 아무런 다른 가능성이 없으므로, 슈프라다인 방식으로 13.73 GHz의 전치 주파수의 도움으로 전치된다.
제2 및 제3 부대역(302와 303)의 크기는 그 폭이 대역보다 크므로, 변경된다. 수신 대역을 부대역으로 슬라이싱(slicing)하는 것이 정확히 전송된 채널의 중간에서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두 인접 부대역을 약간 중첩되게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당업자는 한정된 전치 주파수를 가진 4개의 부대역으로 분리는 DECT 대역을피하기 위해 효과가 있는 최소 분리에 대응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선택된 예시에서, 전치 주파수는 수신 대역에 대해 대칭되게 선택된다. 이와 같은 대칭을 갖는 것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만약 예를 들면, 보다 값싼 소자를 선택하기 위해, 비대칭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실용적이라면, 만약 이전에 설명된 조건을 따른다면 전적으로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단일 극성만을 갖는 LNB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LNB의 각 극성에 대해 적용가능한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위성 수신을 위한 외부 유닛과 상기 유닛을 가지고 수신하는 방법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1)

  1.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 유닛(1)으로서, 상기 유닛은 증폭 수단(102, 103)과 위성 수신 대역(200, 300)을 수신 대역의 크기보다 작은 중간 주파수 대역(204, 205)으로 전치시키기 위해 두 개의 전치 주파수를 사용하는 전치 수단(105 내지 111)을 포함하는, 외부 유닛(1)에 있어서,
    상기 위성 수신 대역(200, 300)의 한 부분(201, 202; 301, 302, 303)은 전치 주파수 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인프라다인(infradyne) 방식에서 중간 주파수 대역(204)으로 전치되고, 상기 위성 수신 대역(200, 300)의 다른 한 부분(202, 203; 302, 303, 304)은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다른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슈프라다인(supradyne) 방식에서 중간 주파수 대역(205)에 전치되고, 반전된 스펙트럼과 두 개의 전치 주파수 각각의 도움으로 중간 주파수 대역(204, 205)으로 전치된 상기 위성 수신 대역(200, 300)의 두 부분에 공통인 교점 부분(202; 303, 304)이 존재하도록, 상기 두 개의 전치 주파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하나는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하위 주파수가 차감되는 상기 위성 수신 대역(200, 300)의 하위 주파수 아래의 주파수에 위치해 있고,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베이스 주파수가 추가되는 상기 위성 수신 대역(200, 300)의 상위 주파수 위의 주파수에 위치해 있는,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하나는 9.75 GHz와 동일하고,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다른 하나는 13.7 GHz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주파수 사이의 최대 간격은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하위 주파수의 두배가 추가되고, 또한 81 MHz가 추가되는, 상기 위성 수신 대역(200, 300)의 폭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하나는 9.72 GHz와 동일하고,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다른 하나는 13.73 GHz와 동일한,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수단은 상기 두 개의 전치 주파수 중에서부터 선택된 고정된 주파수의 전치 신호를 갖도록 교대로 제공되는 두 개의 발진기(108, 109)를 포함하는,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외부 유닛.
  7. 외부 유닛(1)의 도움으로 위성 수신 대역(300)에서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유닛(1)은 증폭 수단(102, 103)과 위성 수신 대역(300)을 위성 수신 대역(30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전치시키기 위해 두 개의 전치 주파수를 사용하는 전치 수단(105 내지 111)을 가지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성 수신 대역(300)의 한 부분(301, 302, 303)은 전치 주파수 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인프라다인(infradyne) 방식에서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전치되고, 상기 위성 수신 대역(300)의 다른 한 부분(302, 303, 304)은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다른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슈프라다인(supradyne) 방식에서 중간 주파수 대역에 전치되고, 반전된 스펙트럼과 두 개의 전치 주파수 각각의 도움으로 중간 주파수 대역으로 전치된 상기 위성 수신 대역(300)의 두 부분에 공통인 교점 부분(302, 303)이 존재하도록, 상기 두 개의 전치 주파수가 선택되며,
    상기 위성 수신 대역(300)은 주어진 극성에 대해, 증가하는 주파수의 적어도 4개의 부대역(301 내지 304)으로 분리되고,
    두 개의 인접한 부대역((301, 302), (302, 303)와 (303, 304))은 두 개의 다른 전치 주파수의 도움으로 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수신 대역에서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하나는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하위 주파수가 차감되는 상기 위성 수신 대역(300)의 하위 주파수 아래의 주파수에 위치해 있고,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베이스 주파수가 추가되는 상기 위성 수신 대역(300)의 상위 주파수 위의 주파수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수신 대역에서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하나는 9.72 GHz와 동일하고,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다른 하나는 13.73 GHz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수신 대역에서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주파수 사이의 최대 간격은 상기 중간 주파수 대역의 하위 주파수의 2배가 추가되고, 또한 81 MHz가 추가되는, 상기 위성 수신 대역(300)의 폭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 수신 대역에서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하나는 9.72 GHz와 동일하고, 상기 전치 주파수 중의 다른 하나는 13.73 GHz와 동일한, 위성 수신 대역에서 위성으로부터 유래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KR1020067013288A 2004-01-06 2004-12-15 위성 수신을 위한 외부 유닛과 상기 유닛을 가지고수신하는 방법 KR101092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0070 2004-01-06
FR0400070A FR2864877A1 (fr) 2004-01-06 2004-01-06 Unite exterieure de reception satellite et procede de reception avec ladite unite
PCT/EP2004/053477 WO2005069495A1 (en) 2004-01-06 2004-12-15 Outside unit for satellite reception and method of reception with said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418A KR20060123418A (ko) 2006-12-01
KR101092575B1 true KR101092575B1 (ko) 2011-12-13

Family

ID=34673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288A KR101092575B1 (ko) 2004-01-06 2004-12-15 위성 수신을 위한 외부 유닛과 상기 유닛을 가지고수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31197B2 (ko)
EP (1) EP1704650B1 (ko)
JP (1) JP4751834B2 (ko)
KR (1) KR101092575B1 (ko)
CN (1) CN1902829B (ko)
FR (1) FR2864877A1 (ko)
WO (1) WO20050694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1944A1 (fr) * 2008-09-19 2010-03-25 France Telecom Procede de traitement de deux signaux recus par un meme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7596A (ja) 2000-06-08 2002-02-22 Thomson Licensing Sa 無線周波用送信機及び受信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0825A (ja) * 1990-01-16 1991-09-13 Toshiba Corp スーパー・ヘテロダイン受信機
JPH06284033A (ja) * 1993-03-29 1994-10-07 Toshiba Corp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等の無線通信システム
GB9525721D0 (en) * 1995-12-15 1996-02-14 Pace Micro Tech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broadcasting signals
JPH1155139A (ja) * 1997-08-06 1999-02-26 Hitachi Denshi Ltd 無線機
GB9818397D0 (en) * 1998-08-25 1998-10-21 Philips Electronics Nv Low if receiver
GB0024835D0 (en) * 2000-10-11 2000-11-22 Pace Micro Tech Plc Avoidance of interference between items of electrical apparatus
JP3680927B2 (ja) * 2000-11-27 2005-08-10 シャープ株式会社 衛星放送受信用コンバータ
FR2822000B1 (fr) * 2001-03-08 2003-05-23 Thomson Multimedia Sa Dispositif d'emission limitant les parasites hors de la bande de frequence allouee
JP4171869B2 (ja) * 2001-09-05 2008-10-29 ソニー株式会社 ヘテロダイン受信機
JP2003188753A (ja) * 2001-12-18 2003-07-04 Sharp Corp デジタル衛星放送受信チューナ
FR2841067A1 (fr) * 2002-06-18 2003-12-19 Thomson Licensing Sa Systeme de transmission a haute stabilite en frequence
FR2842370B1 (fr) * 2002-07-10 2004-09-17 Thomson Licensing Sa Adaptateur hyperfrequence pour reseau cable
CN1726640B (zh) * 2002-12-13 2011-11-23 Nxp股份有限公司 可调谐跟踪滤波器
FR2884983A1 (fr) * 2005-04-25 2006-10-27 Thomson Licensing Sa Dispositif de dephasage large ban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7596A (ja) 2000-06-08 2002-02-22 Thomson Licensing Sa 無線周波用送信機及び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64877A1 (fr) 2005-07-08
EP1704650B1 (en) 2014-02-26
US20090291655A1 (en) 2009-11-26
WO2005069495A1 (en) 2005-07-28
CN1902829A (zh) 2007-01-24
KR20060123418A (ko) 2006-12-01
EP1704650A1 (en) 2006-09-27
JP2007520119A (ja) 2007-07-19
JP4751834B2 (ja) 2011-08-17
US7831197B2 (en) 2010-11-09
CN1902829B (zh)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0889B2 (ja) 受信回路
US8792395B2 (en) Wireless transceiver system for supporting dual mode
JP4639809B2 (ja) 電子チューナと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JPH09200070A (ja) 受信回路
JP2006166277A (ja) 送受信装置およびモジュール
GB2347292A (en) Economical bandpass filter arrangement for a multi-band mobile phone receiver
JPH07254866A (ja) 無線通信機
JP2005159827A (ja) 複数放送波を受信可能な携帯電話機
US5307378A (en) Digital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CN111756403B (zh) 前端电路以及通信装置
JPH118577A (ja) 無線機
KR101092575B1 (ko) 위성 수신을 위한 외부 유닛과 상기 유닛을 가지고수신하는 방법
MXPA06007698A (en) Outside unit for satellite reception and method of reception with said unit
KR100365333B1 (ko) 이동 전화단말기의 고주파 수신기
JP2002330085A (ja) 送受信器
JP4512085B2 (ja) 無線端末機
JPWO2009041337A1 (ja) 移動体通信端末用放送受信機
EP1858166A1 (en) Semiconductor device
JP2024056181A (ja) 送信回路、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12209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주파수 회로
EP1020993A1 (en) Tuner
JP2006180024A (ja) 複周波数共用コンバータ
KR20060061018A (ko) 신호손실의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5109854A (ja) 伝送装置
JP2000261387A (ja) 無線装置および無線装置における干渉波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