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303B1 - 리코펜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코펜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303B1
KR101091303B1 KR1020090106227A KR20090106227A KR101091303B1 KR 101091303 B1 KR101091303 B1 KR 101091303B1 KR 1020090106227 A KR1020090106227 A KR 1020090106227A KR 20090106227 A KR20090106227 A KR 20090106227A KR 101091303 B1 KR101091303 B1 KR 101091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copene
acid
obesity
liv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9281A (ko
Inventor
하태열
안지윤
김선아
권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06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3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코펜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리코펜, 항비만, 징거롤

Description

리코펜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ANTI OBESITY AGENT COMPRISING LYCOPEN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소재로부터 유래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비만활성이 우수한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단순히 비만자체의 심각성 보다 이로 인해 유발되는 당뇨병, 동맥경화, 심혈관계 질환과 고지혈증 등과 같은 대사성질환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보건복지가족부가 발표한 ‘2007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최근 2년 사이 우리 국민의 신체활동량은 줄고 비만 관련 질환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BMI 25 이상인 비만자의 경우 특히 남성에서 36.2%로 1.5% 증가했으며(10년간 11.1% 증가) BMI 30 이상의 고도비만율도 4.1%로 0.6% 증가하였다. 비만은 체내 잉여 에너지가 중성지방 및 기타 지방대사물의 형태로 지방조직에 저장됨으로서 일차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에너지대사의 불균형에 따른 종합적인 대사이상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으로서 식이조절뿐만 아니라 식욕조절 호르몬 대사, 지방세포분 화, 지방합성 및 분해과정 그리고 열생성반응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소아 청소년 비만 유병률도 증가추세였으며 비만과 관련된 고지혈증도 지속적으로 늘어 10.8%로 2.7%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항비만 소재개발 연구는 식욕억제 물질인 렙틴(leptin)의 저항성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 시그날링 3 서프레서(cytokine signaling 3 suppressor),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음식 섭취 조절에 관여하는 카나비노이드 리셉터 1 길항제(cannabinoid receptor 1 antagonist), 식욕 촉진을 일으키는 뉴로펩타이드 Y(neuropeptide Y) 길항제 등 식욕을 억제하여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과 성장 호르몬 합성물 (AOD9604), 지방대사 촉진 및 대사율 증가 활성을 지닌 β3-adrenergic receptor agonist, UCP 과다발현을 통해 에너지 소비 촉진에 관여하는 PPARδ 등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켜 체중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다.
그동안 비만 치료를 위해 개발된 약물들은 효과에 비해 부작용이 심각해 항비만 효과는 높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작용기전을 가진 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비만 치료용 약물이 지니는 많은 부작용 때문에 안전하면서도 높은 활성을 지닌 식품 유래 소재에 대한 접근이 이뤄지고 있는 중이며, 특히, 식품성분이 인체에 미치는 효능이 과학적으로 구명되고, 식품의 기능성이 중요시됨에 따라, 종래의 약물에 의한 치료중심에서 식품에 의한 예방중심으로 그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식품의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체중조절용 건강기능식품시장은 전세계적으로 기능성 식품 중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리코펜(Lycopene)은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로서 13개의 이중결합과 11개의 공유 이중결합을 가지는 구조적 특징에 의해 항산화 특성을 가지며 β-카로틴에 비해 항산화 효과가 2배 이상 강하며, 세포간의 Gap Junction communication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리코펜은 ROS에 대해 세포손상을 보호하는 항산화역할을 하며 DNA의 산화적 손상 억제를 통해 암의 진행을 억제하는데, 이는 α-토코페롤에 비해 무려 10배 정도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전립선 및 소화기 계통 암의 예방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죽상동맥경화를 유발하는 저밀도 지단백질(low-density lipoprotein)의 산화변성을 보호하여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리코펜은 강한 항산화능을 나타내고 암예방 효과가 알려져 있으나 비만에 미치는 영향은 밝혀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식품소재로부터 유래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비만활성이 우수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리코펜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징거롤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활성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4) 리코펜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0.001 내지 10 중량%; 및
징거롤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0.001 내지 10 중량%;
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소재로부터 유래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비만활성이 우수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식품소재로부터 유래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 항비만활성이 우수한 하기 구조식의 리코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리코펜>
Figure 112009067946184-pat00001
상기 구조식을 갖는 리코펜은 베타카로틴의 비환 이성체(acyclic isomer)로서 주로 잘 익은 토마토, 핑크 자몽, 구아바, 수박의 붉은 색을 제공하는 색소 중 하나로 이들로부터 직접 추출하거나, 시판되는 제품 중에서 구입하여 본 발명에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리코펜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혼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동몰량의 화합물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 (예,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을 가열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인 여과시킬 수 있다.
이 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술폰산, p -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인산,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 구연산, 젖산, 글리콜산, 글루콘산,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 글루쿠론산,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브산, 카본산, 바닐릭산, 하이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 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 (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리코펜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은 징거롤(gingerol)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제 2의 활성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은 생강의 매운맛 성분의 하나로 항균작용과 종양억제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하면 리코펜과 함께 조제할 경우 항비만활성이 배가되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징거롤의 첨가량은 조성물의 중량대비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비만용 조성물은 정제, 레커칠된 정제, 당 코팅된 정제, 경질 및 연질 캡슐, 용액, 에멀젼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서 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제는 비경구적으로도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좌약의 형태로 직장으로 투여되거나, 주사액의 형태로 비경구적으로도 투여될 수 있다. 활성성분은 위와 같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제의 제형으로 각 활성 성분 모두를 함유하는 형태로 제형화되거나,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는 단일 물질의 특별한 조합으로 개별적으로 투여될 수도 있다. 정제, 래커칠된 정제, 당 코팅된 정제 및 캡슐을 제조하기 위하여, 약제학적으로 불활성인 무기 또는 유기 부형제가 본 발명의 제형을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부형제로는 락토스, 옥수수전분 또는 이들의 유도체, 활석, 스테아르산 또는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캡슐에 적합한 부형제로는 식물성유, 왁스, 지방, 반고체 또는 액체 폴리올을 들 수 있다. 용액 및 시럽을 제조하는데 적절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물, 폴리올, 수크로스, 전화당글루코스 등이다. 주사액에 적합한 부형제로는 물, 알코올, 글리세롤, 식물성유를 들 수 있다. 좌약에 적합한 부형제로는 천연유 또는 경화유, 왁스, 지방, 반액체 또는 액체의 폴리올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필요에 따라 방부제, 용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감미제, 착색제, 향미제, 삼투압 조절제, 완충제, 코팅제 및/또는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으며,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리코펜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화합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의 경우는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에는 100 ㎖를 기준으로 1 내지 25 g,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스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 내지 약 3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리코펜은 토마토에서 분리한 분자량이 536.873, 순도는 99%인 것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동물은 생후 4주령의 수컷 C57BL/6J로서, (주)오리엔트바이오로부터 구입하였다. 본 실험은 정상군(Normal), 고지방-대조군(Control), 고지방+0.05% 리코펜군(L) 및 고지방+0.05% 리코펜군+0.05% 징거롤(LG)로 10마리씩 4개의 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실험동물 사육실 환경온도는 22±1℃, 상대습도는 65±5%로 유지하였고, 명암은 12시간 주기(07:00~19:00)로 조절하였다. 실험식이는 AIN-76diet를 근거로 하였으며 고지방 식이는 코코넛오일 3%, 코코아 버터 7% 및 콜레스테롤 0.5%를 첨가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표 1). 실험동물의 식이섭취량은 1주일에 3번, 체중은 1주일에 1번씩 일정시간에 측정하였고 물과 실험식이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표 1> 실험식이 조성 (g/kg diet)
Normal Control L LG
Casein 200 200 200 200
Corn oil 50 50 50 50
Coconut oil - 30 30 30
Cocoa butter - 70 70 70
Cholesterol - 5 5 5
Constarch 450 345 345 345
Sucorse 200 200 200 200
Cellulose 50 50 50 50
Mineral 35 35 35 35
Vitamin 10 10 10 10
Methionine 3 3 3 3
Choline bitartrate 2 2 2 2
Lycopene - - 0.5 0.5
Gingerol - - - 0.5
<실험예 2> 생화학적 분석
통계분석
실험결과는 SAS를 이용하여 실험군당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각 군의 유의차 검정은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사용하였다.
혈액과 장기의 채취
실험동물을 절식시킨 뒤, 안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원심분리관에 담아 아이스배스(ice bath)에 20분간 방치한 후 3000rpm,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Centrifuge, VS-500, Vision Scientific Co. Korea)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분리된 혈청은 분석시까지 -70℃ deep freezer에 보관하였으며 혈액을 채취한 후 장기들은 ice cold saline 용액에 세척한 다음 여지로 물기를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분석시까지 -70℃ 딥프리저(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 식이섭취량은 도 1,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시작시 체중 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식이를 8주간 섭취한 실험군의 체중은 정상군(N; Normal)에 비하여 대조군(C; Control)이 약 34% 증가하였으나 0.05% 리코펜을 첨가한 실험군(L) 및 리코펜과 징거롤을 동시에 첨가한 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은 각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표 2>
N C L LG
실험시작시 체중 17.84±0.18NS 18.08±0.24 18.07±0.20 18.01±0.11
실험종료후 체중 26.11±0.64c 35.71±0.97a 32.42±1.16b 29.98±1.35b
증체량
(g/8주)
8.26±0.69c 17.64±0.86a 14.35±1.25b 11.97±1.27b
식이섭취량 3.21±0.05 3.31±0.06 3.34±0.05 3.284±0.04
고지방 식이와 리코펜 첨가에 따른 간, 부고환지방, 갈색지방의 무게를 비교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일반적으로 간에 지방이 축적되면 간의 중량이 증가하는 데, 본 실험에서도 정상군(N)에 비하여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대조군(C)에서 간의 중량이 유의적으로 약 2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0.05% 리코펜을 섭취한 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내장지방을 나타내는 부고환 지방이나 신장주변의 지방 무게도 고지방식이에 의하여 2배 이상 증가하여 고지방식이에 의한 비만으로 체지방이 증가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반면, 리코펜 첨가군에서는 부고환 지방 및 신장주변의 지방이 고지방식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갈색지방의 무게 또한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체중 및 체지방에 관한 결과로 볼 때, 토마토의 리코펜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리코펜을 징거롤과 동시에 먹였을 경우 더 크게 나타났다.
<표 3> (g/mouse)
N C L LG
0.85±0.03c 1.54±0.12a 1.21±0.06b 1.01±0.07b
EFP 0.71±0.05c 2.03±0.07a 1.46±0.15b 1.33±0.11b
RFP 0.32±0.03c 0.82±0.03a 0.64±0.05b 0.62±0.03b
BAT 0.10±0.01c 0.28±0.02a 0.17±0.02b 0.15±0.01b
1) Epididymal fat pad, 2) Retrorenal fat pad, 3) Brown adipose tissue
혈청 지질분석
혈청의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주)신양화학의 혈액분석용 kit를 이용하였다. 총 콜레스테롤은 Cholestenzyme-V, 중성지방은 Triglyzyme-V 및 HDL-콜레스테롤은 HDL-C55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혈청의 apo B는 Nittobo의 kit를 사용하였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정상군(90.46±1.89 mg/dl)에 비해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대조군(158.15±5.37 mg/dl)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0.05% 리코펜군(136.31±2.42 mg/dl)과 리코펜과 징거롤 동시 첨가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2).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실험군간의 차이가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농도의 비율은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리코펜 및 징거롤 첨가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표 4).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대조군(93.91±5.15 mg/dl)에 비하여 0.05% 리코펜군(75.98±2.88 mg/dl)은 19%가 감소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도 2). 혈중 apo B 농도는 VLDL 입자가 풍부한 중성지방의 수와 LDL 입자의 수를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본 실험에서 정상군보다 대조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하여 0.05% 리코펜을 섭취한 실험군 및 리코펜과 징거롤을 동시 첨가한 군에서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표 4>
N C L LG
HDL-C(mg/dl) 63.72±3.11NS 74.28±4.64 71.07±3.70 72.01±3.57
HDL-C/TC 0.71±0.04a 0.47±0.04b 0.51±0.02b 0.53±0.03b
간 조직의 지질분석
간의 총 지질함량의 측정을 위하여 Folch으로 지질을 추출하여 총 지질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간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는 추출한 총 지방을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액으로 녹여 혈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간조직의 총 지질함량,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농도의 측정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간 조직의 총 지질함량은 정상군(61.34±2.57 mg/g liver)에 비하여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대조군(152.31±16.42 mg/g liver)이 약 2.5배 증가하였으며, 0.05% 리코펜을 섭취한 실험군(109.99±12.09)은 약 28%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81.95±7.77 mg/g liver)이 정상군(28.69±1.76 mg/g liver)에 비하여 약 2.9배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0.05% 리코펜을 섭취한 실험군(62.50.15±9.07 mg/g liver)은 약 24%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간 조직의 콜레스테롤 함량 역시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효소 활성 측정
간 조직의 일정량을 10배의 0.25M 수크로스/0.5mM EDTA 완충용액(pH 7.4)에 균질화하여 4℃의 10,000g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이 상층액으로 Fatty acid synthesis(FAS)을 측정하였다. FAS는 NADPH을 환원비율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간 조직의 FAS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증가하였으며 0.05% 리코펜을 섭취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과 신장조직의 지질과산화물 측정
간과 신장조직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의 측정은 Ohkawa법29 )을 이용하였다. 이 때, 표준은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을 사용하였다. 간 균질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 0.2 mL에 8.1%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SDS) 0.2 ml와 20% 아세트산 1.5 mL와 0.8% TBA 1.5 mL에 증류수 0.6 mL을 섞은 후 95℃의 항온 수조에서 60분간 반응시킨 다음 즉시 냉각시켰다. 여기에 n-부탄올 : 피리딘(15:1, v/v) 5 mL를 가하여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간과 신장조직의 TBARS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도 5와 같다. 간 조직의 TBARS 함량은 정상군(1.36±0.37 nmole/mg protein)에 비하여 대조군(2.12±0.19 nmole/mg protein)이 약 56%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0.05% 리코펜을 섭취한 실험군(0.79±0.08 nmole/mg protein)은 약 63%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신장조직의 TBARS 함량은 정상군(2.39±0.20 nmole/mg protein)에 비하여 대조군(3.12±0.19 nmole/mg protein)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0.05% 리코펜을 섭취한 실험군에서 30%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자유라디칼은 지질, 단백질 및 DNA를 손상시켜서 세포손상을 초래하여 노화, 심혈관질환 및 암과 같은 만성질환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자유라디칼에 의한 지질 손상의 지표 중에는 TBARS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웨스턴 블롯팅 & qPCR
간 조직과 부고환 지방의 일정량을 PRO-PREPTM에 균질화하여 13,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하여 얻은 단백질을 12% SDS-PAGE gel을 사용하여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이후 옮긴 멤브레인을 5% 스킴밀크로 2시간 동안 블로킹한 후 1차 항체와 2차 항체를 부착시켰으며, 이 후 ECL 용액을 이용하여 현상한 후 관찰하였다. 또한, 간 조직에서의 mRNA 발현은 light Cycler 480 SYBR Green I Mas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AS(Fatty acid synthase), ACC(Acetyl-CoA carboxylase) 및 SREBP-1(Steroid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는 지방산 합성효소 생산과 간세포에서의 중성지방 합성 및 체지방에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SREBP와 FAS, ACC 와 같은 유전자의 발현이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대조군에서 증가함으로써 간 조직의 지방 축적이 유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리코펜 섭취에 의해 간의 지방산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 acitivated receptor)는 지방조직에서 주로 발현되며, 신장, 근육, 간 조직에는 소량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리코펜을 섭취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형태학적 관찰
liver & Epididymal fat H&E는 10%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한 후 수세하여 에탄올 탈수과정을 거친 후 파라핀 포매 하여 Rotary Microtom으로 3 micron 두께로 박절한 후 헤마토실린-에오신(hematoxylin-eosin) 용액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liver ×100, Epididymal fat ×40)으로 관찰하였다.
Hematoxylin-Eosin(HE)으로 간 조직을 염색한 결과는 도 7과 같다. 정상군의 조직에서는 지방의 침착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대조군의 간 조직에서는 지방의 축적이 뚜렷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지방의 축적은 리코펜을 섭취한 실험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리코펜이 간 조직의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또한 부고환 지방 조직을 염색하여 조직의 크기를 관찰한 결과, 정상군의 지방조직에 비하여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대조군의 지방세포 크기가 현저히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리코펜을 섭취한 실험군에서 지방세포 크기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 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8주간의 실험쥐의 체중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8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쥐의 혈청내 지질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8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쥐의 간에서의 총지질,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총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8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쥐의 간에서의 FAS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8주간 실험식이를 급여한 쥐의 간과 신장에서의 TBARS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간 단백질과 mRNA 발현에 대한 리코펜의 영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실험쥐의 간조직을 염색한 결과사진이다.

Claims (5)

  1. 리코펜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0.001 내지 10 중량%; 및
    징거롤 또는 이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0.001 내지 10 중량%;
    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106227A 2009-11-04 2009-11-04 리코펜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091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227A KR101091303B1 (ko) 2009-11-04 2009-11-04 리코펜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227A KR101091303B1 (ko) 2009-11-04 2009-11-04 리코펜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281A KR20110049281A (ko) 2011-05-12
KR101091303B1 true KR101091303B1 (ko) 2011-12-07

Family

ID=4436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227A KR101091303B1 (ko) 2009-11-04 2009-11-04 리코펜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3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9064A (ja) * 2005-02-14 2006-09-21 Biomarker Science:Kk 糖尿病及び/又は肥満の治療・予防剤、抗糖尿病及び/又は抗肥満作用の評価方法及び評価用キット、並びに、抗糖尿病及び/又は抗肥満物質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スクリーニング用キット
JP2009535303A (ja) * 2006-04-13 2009-10-01 ケムメディカ・リミテッド 代謝機能障害の治療のためのリコピ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9064A (ja) * 2005-02-14 2006-09-21 Biomarker Science:Kk 糖尿病及び/又は肥満の治療・予防剤、抗糖尿病及び/又は抗肥満作用の評価方法及び評価用キット、並びに、抗糖尿病及び/又は抗肥満物質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スクリーニング用キット
JP2009535303A (ja) * 2006-04-13 2009-10-01 ケムメディカ・リミテッド 代謝機能障害の治療のためのリコピ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281A (ko)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580B1 (ko) 다물린 에이 및 다물린 비 함량이 증가된 신규 돌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사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150231162A1 (en) Fructose absorption inhibitor
EP306705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yroid diseases, containing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fruit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JP2006001929A (ja) 筋肉細胞におけるグルコース取込み活性化剤、筋肉細胞におけるglut4トランスロケーション活性化剤、脂肪細胞におけるglut4トランスロケーション抑制剤、糖尿病合併症予防剤、並びにこれらを含む飲食物
KR101213825B1 (ko) 세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3910A (ko) 퀘르세틴-3-o-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49967B1 (ko) 콩 발아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091303B1 (ko) 리코펜을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20120736A (ko)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6553375B2 (ja) Ucp−1発現促進剤
KR20150136668A (ko)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또는 항비만 활성 조성물
JP7058031B2 (ja) タキシフォリンを含有する肝線維化抑制剤及び褐色脂肪細胞活性化剤
KR20140137288A (ko) 고량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552282B1 (ko) 디하이드로진저론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20122597A (ko)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5753542B2 (ja) 虎杖根ブタノール分画物またはエチルアセテート分画物を用いた肥満治療及び予防用組成物と機能性食品
US10646533B2 (en) Absorption enhancer for polyphenol
KR101239055B1 (ko) 제론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32372A (ko) 디메틸푸마레이트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131476A (ko) 설포라판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90853B1 (ko) 프로타민 및 키토올리고당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14014B1 (ko) 구골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암용 조성물
KR20180071158A (ko) 우뭇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6381B1 (ko) 대황으로부터 분리된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KR102474858B1 (ko) 잡곡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