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871B1 -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871B1
KR101090871B1 KR1020050025783A KR20050025783A KR101090871B1 KR 101090871 B1 KR101090871 B1 KR 101090871B1 KR 1020050025783 A KR1020050025783 A KR 1020050025783A KR 20050025783 A KR20050025783 A KR 20050025783A KR 101090871 B1 KR101090871 B1 KR 101090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belt conveyor
supply chute
supply
raw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4003A (ko
Inventor
황준영
황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50025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871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7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ransferring materials in bulk from one conveyor to several conveyors,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65G47/25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 슈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원료의 건조상태에 따라서, 상기 원료가 벨트 컨베이어의 어느 일부분에 과도하게 적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료를 원활하게 공급함과 아울러 원료의 고착으로 인한 공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야적장에 적치된 원료를 공급하는 공급 슈트(10)의 하부에 원료를 목적지로 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20)가 마련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20)에 의해서 수송된 원료를 안내하는 서비스 호퍼(30)가 마련되고, 그 서비스 호퍼(30)의 하단부에 원료를 파쇄하는 파쇄기(40)로 이루어진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 슈트(10) 내부의 원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0)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20)의 상부에 적치되는 원료의 적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공급 슈트(10)의 후단에 설치된 호형 게이트(21)와, 상기 호형 게이트(2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그 호형 게이트(21)의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22)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20)에 적치된 원료를 감지하도록 호형 게이트(21)의 후단에 설치된 검출수단(23)과, 상기 파쇄기(40)의 내측에 고착된 원료를 제거하는 제거수단(6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원료, 벨트 컨베이어, 호퍼, 게이트, 진동, 고착

Description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Belt conveyer drive apparatus for raw material supply}
도 1은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정상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급 슈트 20 : 벨트 컨베이어
21 : 호형 게이트 22 : 실린더
23 : 검출수단 30 : 서비스 호퍼
40 : 파쇄기 50 : 감지센서
60 : 공기발생수단 61 : 제거판
본 발명은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 슈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원료의 건조상태에 따라서, 상기 원료가 벨트 컨베이어의 어느 일부분에 과도하게 적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료를 원활하게 공급함과 아울러 원료의 고착으로 인한 공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적장에 적치된 각종 원료를 원거리에 위치한 목적지로 이동할 때에는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는 정량의 원료를 정확한 시간에 목적지로 공급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야적장에 적치된 원료를 공급 슈트(1)에 공급한 후 상기 공급 슈트(1)의 상부에 설치된 게이트를 개폐시키면 그 게이트의 하부에 설치된 스크린망(1a)를 통하여 원료가 이동되어 벨트 컨베이어(2)의 상부에 적재된다.
한편, 상기 벨트 컨베이어(2)는 일측 단부에 설치된 구동모터(3)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원료를 서비스 호퍼(4)의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서비스 호퍼(4)는 야적장으로부터 원거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원료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벨트 컨베이어(2)의 상부에는 커버(5)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호퍼(4)로 공급된 원료는 서비스 호퍼(4)의 하부에 설치된 파쇄기(6)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크기로 파쇄된 후 또 다른 벨트 컨베이어(7)에 의 해서 최종 목적지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야적장에 적치된 원료는 기후조건에 따라서 건조상태가 변화된다.
즉, 건조한 날씨일 경우에는 야적장에서 공급 슈트(1)로 공급된 후 그 공급 슈트(1)의 상측에 설치된 스크린 망(1a)을 통과한 후 벨트 컨베이어(2)로 원활하게 적재되지만, 습기가 많은 날씨일 경우에는 원료에 수분이 과다하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원료가 공급 슈트(1)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그 원료가 일정량 이상 부착될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서 과다하게 낙하되므로 벨트 컨베이어(2)에 집중적으로 적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의 어느 일측에 집중적으로 원료가 적치될 경우에는 벨트 컨베이어(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수분이 과다하게 함유된 원료가 서비스 호퍼(4)를 통과한 후 파쇄기(6)의 내부에 고착되어 배출 불량으로 인한 설비의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목적지로 수송되는 원료의 건조상태에 따라서, 그 원료를 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상측에 설치된 호형 게이트를 개폐시켜 어느 일측에 집중적으로 적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는 야적장에 적치된 원료를 공급하는 공급 슈트가 마련되고, 그 공급 슈트의 하부에 원료를 목적지로 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가 마련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서 수송된 원료를 안내하는 서비스 호퍼가 마련되고, 그 서비스 호퍼의 하단부에 원료를 파쇄하는 파쇄기로 이루어진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 슈트 내부의 원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의 상부에 적치되는 원료의 적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공급 슈트의 후단에 설치된 호형 게이트와, 상기 호형 게이트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그 호형 게이트의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에 적치된 원료를 감지하도록 호형 게이트의 후단에 설치된 검출수단과, 상기 파쇄기의 내측에 고착된 원료를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정상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의 비정상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야적장에 적치된 원료를 공급하는 공급 슈트(10)가 마련되어 있고, 그 공급 슈트(10)의 상부에는 원료를 선별하는 스크린 망(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 슈트(10)의 내부에는 원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공급 슈트(10)의 하부에는 원료를 서비스 호퍼(30) 측으로 수송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2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급 슈트(10)의 후단에는 벨트 컨베이어(20)에 적치되는 원료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호형 게이트(21)가 설치되어 있되, 그 호형 게이트(21)는 실린더(22)에 의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호형 게이트(21)의 후단에는 벨트 컨베이어(20)에 적치된 원료를 감지하는 검출수단(2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20)의 단부에는 구동모터(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24)가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20)의 하부에는 서비스 호퍼(3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서비스 호퍼(30)의 하부에는 원료를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기(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쇄기(40)의 일측에는 공기발생수단(6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파쇄기(40)의 내측에는 공기발생수단(60)에서 발생된 공기에 의해서 작동되어 파쇄기(40) 내부에 고착된 원료를 제거하는 제거판(61)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상 상태(건조된 원료를 수송하는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실의 연동회로에서 운전개시(START)에 해당하는 제어를 수행하면 구동모터(24)가 작동되면서 벨트 컨베이어(20)가 회전하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급 슈트(10)의 게이트가 개방되면 원료는 벨트 컨베이어(20)에 적치 된 상태로 서비스 호퍼(30)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상기 벨트 컨베이어(20)의 부하상태(원료가 벨트 컨베이어의 어느 일측에 집중적으로 적치된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상태일 경우에는 서비스 호퍼(30) 및 파쇄기(40)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상상태에서 운전중 비정상상태(수분이 포함된 원료를 수송하는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실의 연동회로에서 운전개시(START)에 해당하는 제어를 수행하면 구동모터(24)가 작동되어 벨트 컨베이어(20)가 회전하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급 슈트(10)의 내부에 원료가 적치됨을 감지센서(50)가 감지하면, 실린더(22)가 작동되어 호형 게이트(21)가 벨트 컨베이어(20)의 상측에 덮여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호형 게이트(21)가 덮여진 상태에서 벨트 컨베이어(20)가 연속적으로 회전되면 벨트 컨베이어(20)에 적치되는 원료는 호형 게이트(21)의 내부 공간의 크기 이하로 적치되므로 어느 일측에 집중적으로 적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20)의 어느 일측에 집중적인 부하가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벨트 컨베이어(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4)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20)에 적치된 원료는 호형 게이트(21)의 후단에 설치된 검출수단(23)에 의해서 검출되는 것이고, 상기 검출수단(23)에 원료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실린더(22)가 역방향으로 작동되어 호형 게이트(21)를 개방시키 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 컨베이어(20)를 통하여 수송된 원료가 서비스 호퍼(30) 및 파쇄기(40)로 공급되면, 상기 공기발생수단(60)에서 발생된 공기가 제거판(61)을 동작시키게 되므로 상기 파쇄기(40)의 내부에 고착된 원료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료의 건조상태에 따라서, 벨트 컨베이어에 적치되는 원료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게 되므로 설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이 함유된 원료가 파쇄기의 내부에 고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원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게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야적장에 적치된 원료를 공급하는 공급 슈트(10)가 마련되고, 그 공급 슈트(10)의 하부에 원료를 목적지로 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20)가 마련되며, 상기 벨트 컨베이어(20)에 의해서 수송된 원료를 안내하는 서비스 호퍼(30)가 마련되고, 그 서비스 호퍼(30)의 하단부에 원료를 파쇄하는 파쇄기(40)로 이루어진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 슈트(10) 내부의 원료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0)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20)의 상부에 적치되는 원료의 적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공급 슈트(10)의 후단에 설치된 호형 게이트(21)와, 상기 호형 게이트(2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그 호형 게이트(21)의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22)와, 상기 벨트 컨베이어(20)에 적치된 원료를 감지하도록 호형 게이트(21)의 후단에 설치된 검출수단(23)과, 상기 파쇄기(40)의 내측에 고착된 원료를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수단은 파쇄기(40)의 일측에 설치된 공기발생수단(60)과, 상기 공기발생수단(60)에서 발생된 공기에 의해서 작동되어 파쇄기(40)의 내부에 고착된 원료를 제거하는 제거판(61)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
KR1020050025783A 2005-03-29 2005-03-29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 KR101090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783A KR101090871B1 (ko) 2005-03-29 2005-03-29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783A KR101090871B1 (ko) 2005-03-29 2005-03-29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003A KR20060104003A (ko) 2006-10-09
KR101090871B1 true KR101090871B1 (ko) 2011-12-13

Family

ID=3763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783A KR101090871B1 (ko) 2005-03-29 2005-03-29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030B1 (ko) * 2015-06-25 2017-02-27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장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료 장입방법
CN114104757B (zh) * 2022-01-24 2022-04-08 山西古县西山登福康煤业有限公司 一种用于煤矸石送料的输送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003A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27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ing machine and a screening machine
JP2604083B2 (ja) 底灰排出装置
RU2638191C2 (ru) Установка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минера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ой установкой
FI122680B (fi) Laite vierivän aineksen siirtämiseksi
JP2008120475A (ja) ダストシュートシステム
KR101365528B1 (ko) 로드 디텍팅 기능을 갖는 클리닝 댐퍼를 이용한 원료 이송 장치
KR101090871B1 (ko) 원료 공급용 벨트 컨베이어 구동장치
JP5257837B2 (ja) 循環式穀物乾燥機
US10427877B2 (en) Conveyor belt system
KR101962734B1 (ko) 회전형 슈트 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슈트
US7510363B2 (en) Bundle handling device
US4082228A (en) Automatic bypass apparatus
KR20000011539U (ko) 이물질 검출 및 제거가 가능한 슈트
JP2000053219A (ja) 詰まり検出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石炭シュート
CN205471733U (zh) 一种自动称重给料装置
JPH09315588A (ja) 連続式アンローダ
KR20200048124A (ko) 석탄 건조기용 분진 배출 시스템
KR100812059B1 (ko) 언로드피더의 원료분산장치
KR0117601Y1 (ko) 트리퍼 슈트내의 이 물질 검출장치
JPS6397515A (ja) バケツトエレベ−タ−
US11701667B2 (en) Low profile load out lump breaker
KR200204789Y1 (ko) 서브와프의 코크스 자동불출장치
KR102360516B1 (ko) 재활용품 전처리 자동선별에 필요한 스마트 에어 디스크 스크린 장치 및 그 방법
KR100885959B1 (ko)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JP3458373B2 (ja) 穀物乾燥貯蔵プラントにおける搬送機始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