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756B1 -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756B1
KR101090756B1 KR1020090046745A KR20090046745A KR101090756B1 KR 101090756 B1 KR101090756 B1 KR 101090756B1 KR 1020090046745 A KR1020090046745 A KR 1020090046745A KR 20090046745 A KR20090046745 A KR 20090046745A KR 101090756 B1 KR101090756 B1 KR 101090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ouncement
call
broadcast
broadcasting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377A (ko
Inventor
백흥재
최현정
유병섭
유장호
Original Assignee
최현정
백흥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정, 백흥재 filed Critical 최현정
Priority to KR102009004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75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내 방송의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직접 전화를 이용하여 통화중 유무에 상관없이 신속하고 보다 편하게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링잉신호 검출 시에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며,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둔 인증번호를 판독하여 확인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며, 확인된 비밀번호와 판독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안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키며, 오프-훅을 자동 실행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며,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키며, 온-훅을 자동 실행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와 연결된 통화 라인을 해제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안내 방송 전화를 일반전화로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통화 중인 경우라도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전화, 안내 방송, 원격지

Description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by Using Telephone}
본 발명은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내 방송의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직접 전화를 이용하여 통화중 유무에 상관없이 신속하고 보다 편하게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내 방송 시스템은 앰프, 스피커 등과 같은 단순한 방송 장비를 이용하여 주로 농촌, 어촌 등과 같은 지역의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장이 긴급을 요하는 방송이나 기타 공지 사항에 대한 방송 등을 마을 주민들에게 알리기 위해서 사용되어 왔다. 이때, 대부분의 경우에 이장이 안내 방송의 책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는데, 이에 따라 안내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에 있거나 그 밖의 다른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원활한 방송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안내 방송의 책임자가 원격지에 있더라도 다양한 수단을 이용하여 안내 방송 시스템에 접속하여 긴급 사항, 공지 사항 등을 시기적절하게 마을 주민들 에게 방송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이 개발되었는데, 그 내용은 전화기와 접속되어 원격지의 전화로부터 걸려온 링잉 신호를 검출하여 전화 통화 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런 상태에서 원격지의 전화로부터 전달된 음성을 증폭시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해 주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때, 부당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 미리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비밀번호를 부여하고, 링잉신호 검출 후 통화 상태를 유지하기 전에 해당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를 비교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은, 링잉신호 검출 후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임을 확인해야만 통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비밀번호를 입력받고 확인하는 동안에 발생된 링잉신호 호출에 의해 일반전화로 오인하여 전화를 받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통화 중인 경우에는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직접 전화를 이용하여 통화중 유무에 상관없이 신속하고 보다 편하게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 지(예를 들어, 관공서, 사내, 구내, 공장 등)에서 직접 전화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할 경우에 바로 안내 방송 전화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내 방송 전화를 일반전화로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신속하고 보다 편하게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가 통화중일 경우에도 바로 안내 방송 전화임을 식별하여 안내멘트 송출과 함께 자동으로 착신전환통화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중인 경우라도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링잉신호 검출 시에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과정,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둔 인증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상기 판독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안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키는 과정, 오프-훅을 자동 실행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상기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키는 과정, 그리고 온-훅을 자동 실행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와 연결된 통화 라인을 해제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링잉신호 검출 시에 제삼자와 통화중인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 제삼자와 통화중인 경우,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과정,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둔 인증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상기 판독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둔 안내멘트를 판독하여 통화중인 제삼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하는 과정, 안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키는 과정, 제삼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상기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키는 과정, 그리고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제삼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 요청하여 통화대기 중이던 제삼자와의 통화 라인을 다시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하여 교환기를 통해 안내 방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링잉신호 검출 시에 다른 통화자와 통화중인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통화자와 통화중이 아닌 경우, 상기 교환기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둔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발신지의 전화번호와 상기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동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키는 과정, 오프-훅을 자동 실행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동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상기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키는 과정, 그리고 온-훅을 자동 실행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와 연결된 통화 라인을 해제시키도록 하여 동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통화자와 통화중인 경우,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과정,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둔 인증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상기 판독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둔 안내멘트를 판독하여 상기 통화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하는 과정, 동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키는 과정, 상기 통화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상기 교환기에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동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상기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키는 과정, 그리고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상기 통화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상기 교환기에 요청하여 상기 통화자와의 통화 라인을 다시 연결시키도록 하여 동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인증번호, 안내방송 중임을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 및 안내방송을 수행함을 통화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멘트를 저장해 둔 메모리부와, 링잉신호를 검출함과 동시에 통화자와 통화중인지를 확인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비밀번호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인증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며,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안내멘트를 판독하여 통화자에게 송출하도록 하는 방송 전화 식별부와,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를 판독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켜 줌과 동시에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켜 주거나,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켜 주는 방송장비 제어부와,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통화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 연결된 통화 라인을 해제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착신전환 요청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는 링잉신호 검출 시에 제삼자와 통화중인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제삼자와 통화중인 경우에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기 설정해 둔 인증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상기 판독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에 기 설정해 둔 안내멘트를 판독하여 통화중인 제삼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안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방송장비 제어부를 통해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키도록 하고, 상기 착신전환 요청부를 통해 제삼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상기 방송장비 제어부를 통해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키도록 하고, 상기 착신전환 요청부를 통해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제삼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 요청하여 통화대기 중이던 제삼자와의 통화 라인을 다시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하여 교환기를 통해 안내 방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 안내방송 중임을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 및 안내방송을 수행함을 통화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멘트를 저장해 둔 메모리부와, 링잉신호를 검출함과 동시에 통화자와 통화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발신지 전화번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며,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안내멘트를 판독하여 통화자에게 송출하도록 하는 방송 전화 식별부와,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를 판독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켜 줌과 동시에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켜 주거나,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켜 주는 방송장비 제어부와,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통화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 연결된 통화 라인을 해제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착신전환 요청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는 통화자와 통화중인 경우에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기 설정해 둔 인증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상기 판독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에 기 설정해 둔 안내멘트를 판독하여 상기 통화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동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방송장비 제어부를 통해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키도록 하고, 상기 착신전환 요청부를 통해 통화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상기 교환기에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동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상기 방송장비 제어부를 통해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키도록 하고, 상기 착신전환 요청부를 통해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통화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상기 교환기에 요청하여 통화자와의 통화 라인을 다시 연결시키도록 하여 동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직접 전화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할 경우에 통화중 유무에 상관없이 바로 안내 방송 전화 임을 식별하여 신속하고 보다 편하게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내 방송 전화를 일반전화로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통화 중인 경우라도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전화 식별부(201), 메모리부(202), 디스플레이부(203), 방송장비 제어부(204), 훅 제어부(2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르게는, 안내 방송 시스템(200)은 안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위한 음성 또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성 또는 음향 발생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링잉신호를 검출한 후에, 안내 방송을 수행하고자 하는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교환기(100)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며, 메모리부(202)로부터 인증번호를 판독하며, 해당 확인한 비밀번호와 해당 판독한 인증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203), 방송장비 제어부(204), 훅 제어부(205)로 출력한다. 이때,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203)에 인가하며, 안내방송을 수행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안내방송통보신호를 방송장비 제어부(204) 및 훅 제어부(205)에 인가하며, 또한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온-훅 톤을 검출하여 안내방송을 종료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안내방송종료신호를 방송장비 제어부(204) 및 훅 제어부(205)에 인가한다.
그리고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안내방송을 시작해도 됨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또는, 음성)를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100)를 통해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통보해 주며, 또한 안내방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또는, 음성)를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100)를 통해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통보해 주는데, 이때 안내 방송 책임자가 이미 온-훅한 경우라면 음성 사서함 또는 문자서비스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의 핸드폰이나 다른 전화(즉, 음성 또는 문자 제공이 가능한 전화기)로 통보해 줄 수도 있다.
다르게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링잉신호를 검출함과 동시에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에, 해당 확인된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메모리부(202)에 미리 등록해 둔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인지를 식별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한다.
메모리부(202)는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인증번호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저장해 둔다. 또한, 메모리부(202)는 안내방송을 시작해도 됨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또는, 음성) 또는 안내방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또는, 음성)를 저장해 둔다. 다르게는, 메모리부(202)는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미리 등록해 둔다.
디스플레이부(203)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메시지를 인가받아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한다.
방송장비 제어부(204)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200)의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켜 주며, 또한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안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200)의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켜 준다.
훅 제어부(205)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자동으로 오프-훅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안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자동으로 온-훅시켜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해 준다.
여기서, 교환기(100)는 안내 방송을 수행하고자 하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오프-훅(Off-Hook)을 감지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식별하며, 해당 식별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안내 방송 시스템(200)으로 해당 확인한 안내 방송 책임자의 전화번호 및 해당 식별한 비밀번호를 링잉신호와 함께 송출하며, 또한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On-Hook)을 감지하여 온-훅 톤을 안내 방송 시스템(200) 측으로 송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전화 식별부(401), 메모리부(402), 디스플레이부(403), 방송장비 제어부(404), 착신전환 요청부(4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르게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은 안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위한 음성 또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성 또는 음향 발생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링잉신호를 검출할 때에 제삼자와 통화중인지를 확인하며,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즉, 안내 방송을 수행하고자 하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부(403)에 인가하며,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교환기(300)를 통해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며, 메모리부(402)로부터 인증번호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인증번호와 해당 확인한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제어신호를 디스플레이부(403), 방송장비 제어부(404), 착신전환 요청부(405)로 출력한다. 이때,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안내방송을 수행함을 통화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멘트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300)로 인가하며,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403)에 인가하며, 안내방송을 수행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안내방송통보신호를 방송장비 제어부(404) 및 착신전환 요청부(405)에 인가하며, 또한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온-훅 톤을 검출하여 안내방송을 종료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안내방송종료신호를 방송장비 제어부(404) 및 착신전환 요청부(405)에 인가한다.
그리고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안내방송을 시작해도 됨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또는, 음성)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300)를 통해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통보해 주며, 또한 안내방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또는, 음성)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300)를 통해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통보해 주는데, 이때 안내 방송 책임자가 이미 온-훅한 경우라 면 음성 사서함 또는 문자서비스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의 핸드폰이나 다른 전화(즉, 음성 또는 문자 제공이 가능한 전화기)로 통보해 줄 수도 있다.
다르게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링잉신호를 검출할 때에 제삼자와 통화중인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에, 해당 확인된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메모리부(402)에 미리 등록해 둔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인지를 식별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한다.
메모리부(402)는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인증번호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안내방송을 수행함을 통화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멘트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저장해 둔다. 또한, 메모리부(402)는 안내방송을 시작해도 됨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또는, 음성) 또는 안내방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또는, 음성)를 저장해 둔다. 다르게는, 메모리부(402)는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미리 등록해 둔다.
디스플레이부(403)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인가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화면에 표시하며,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메시지를 인가받아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한다.
방송장비 제어부(404)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400)의 음성 출 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켜 주며, 또한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안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400)의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켜 준다.
착신전환 요청부(405)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통화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으로 교환기(300)에게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안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통화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으로 교환기(300)에게 요청하여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해 준다.
여기서, 교환기(300)는 안내 방송을 수행하고자 하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오프-훅을 감지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한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를 식별하며, 해당 식별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이 통화중인지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한 안내 방송 책임자의 전화번호 및 해당 식별한 비밀번호를 링잉신호와 함께 송출하며, 안내 방송 시스템(400)으로부터 송출되는 안내멘트를 통화자에게 송출하며, 안내 방송 시스템(400)으로부터 제1착신전환통화를 요청받아 통화자 측으로는 통화중 대기 기능을 수행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 측으로는 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 안내 방송 시스템(400)간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켜 주며, 또한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을 감지하여 온-훅 톤을 안내 방송 시스템(400) 측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안내 방송 책임자와 안내 방송 시스템(400)간의 통화 라인을 해제하도록 하며, 안내 방송 시스템(400)으로부터 제2착신전환통화를 요청받아 통화중 대기 중이던 통화자 측으로 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통화자와 안내 방송 시스템(400)간의 통화 라인을 다시 연결시켜 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삼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삼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의 내부 구성은, 도 1 또는 도 2의 내부 구성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지 도 3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전화기를 이용하여 교환기(500)를 통해 다수 개의 안내 방송 시스템(610 ~ 640)으로 동시에 안내 방송(즉, 동보 방송)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제1안내 방송 시스템(610)은 제1통화자와 통화중인 상태이며, 제2안내 방송 시스템(620)은 제2통화자와 통화중인 상태일 때를 예로 들은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을 도 4 내지 도 7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첫 번째 예를 들어,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예를 들어, 관공서, 사내, 구내, 공장 등)에서 직접 전화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의 전화번호(즉, 안내 방송 시스템(200)의 전화번호)와 함께 비밀번호를 동시에 입력하도록 하며, 이에 안내 방송 시스템(200) 측에서는 링잉신호 검출 시에 해당 입력받은 비밀번호도 함께 확인하며, 이때 해당 입력된 비밀번호가 없거나 비밀번호가 잘못된 경우에는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 일반전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반면에 해당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일치하여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임을 확인한 경우에는 안내 방송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안내 방송 전화를 일반전화로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신속하고 보다 편하게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해당 비밀번호는 안내 방송임을 안내 방송 시스템(200)으로 통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임을 인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두 번째 예를 들어,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직접 전화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의 전화번호와 함께 비밀번호를 동시에 입력하도록 하며, 이때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가 통화중일 경우에 통화중 발신자표시 및 호출 기능에 의해서 발신자정보 및 링잉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며, 이에 안내 방송 시스템(400) 측에서는 통화중이더라도 새로운 다른 링잉신호 검출 시에 해당 전송받은 발신자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비밀번호도 함께 확인하도록 하며, 여기서 해당 전송받은 비밀번호가 없거나 비밀번호가 잘못된 경우에는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 일반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반면에 해당 전송받은 비밀번호가 일치하여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을 확인한 경우에는 기 설정된 안내멘트(예를 들어, '안내 방송 수행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라는 멘트)를 현재 통화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착신전환통화를 자동 요청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교환기(300) 측에서 현재 통화자로는 안내멘트 송출 및 통화중 대기 기능을 수행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로는 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안내 방송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중인 경우에도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 예를 들어, 안내 방송용임을 식별시켜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를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할당시키고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즉, 발신지 전화번호)를 안내 방송 시스템(200)에 미리 등록해 둔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직접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며, 이에 안내 방송 시스템(200) 측에서는 링잉신호 검출 시에 발신지 전화번호도 함께 확인하도록 하며, 이때 해당 확인된 발신지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 일반전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반면에 해당 확인된 발신지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안내 방송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안내 방송 전화를 일반전화로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신속하고 보다 편하게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안내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에 직접 입력하지 않고 단축 다이얼을 등록시켜 자동 다이얼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네 번째 예를 들어, 안내 방송용임을 식별시켜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를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할당시키고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즉, 발신자 전화번호)를 안내 방송 시스템(400)에 미리 등록해 둔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직접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며, 이때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가 통화중일 경우에 통화중 발신자표시 및 호 출 기능에 의해서 발신자정보 및 링잉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며, 이에 안내 방송 시스템(400) 측에서는 통화중이더라도 새로운 다른 링잉신호 검출 시에 전송받은 발신자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발신자 전화번호도 함께 확인하도록 하며, 여기서 확인된 발신자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 일반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반면에 확인된 발신자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안내멘트(예를 들어, '안내 방송 수행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라는 멘트)를 현재 통화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착신전환통화를 자동 요청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교환기(300)에서 현재 통화자로는 안내멘트 송출 및 통화중 대기 기능을 수행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로는 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안내 방송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중인 경우에도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 번째 예를 들어, 다수 개의 목적지로 동시에 안내 방송(즉, 동보 방송)을 수행함을 식별시켜 동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를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할당시키고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즉, 발신지 전화번호)를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 640)에 미리 등록해 둔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직접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목적지와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멀티통화기능버튼의 입력과 함께 동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들의 각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며, 이에 동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들 각각(즉, 다수 개의 안내 방송 시스템(610 ~ 640))은 링잉신호 검출 시에 발신지 전 화번호도 함께 확인하도록 하며, 이때 해당 확인된 발신지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 일반멀티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반면에 확인된 발신지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동보 방송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동보 방송 전화를 일반멀티통화로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신속하고 보다 편하게 동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안내 방송 책임자가 동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들의 각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에 직접 입력하지 않고 단축 다이얼을 각각 등록시켜 자동 다이얼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여섯 번째 예를 들어, 동보 방송용임을 식별시켜 동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를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할당시키고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즉, 발신지 전화번호)를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 640)에 미리 등록해 둔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직접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다수 개의 목적지와 회의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회의통화기능버튼의 입력과 함께 동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들의 각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며, 이때 교환기(500) 측에서는 동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가 통화중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통화중일 경우에 통화중 발신지표시 및 호출 기능에 의해서 발신지정보 및 링잉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며, 이에 통화중이 아닌 동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들 각각(즉, 다수 개의 안내 방송 시스템(610 ~ 640))은 링잉신호 검출 시에 발신지 전화번호도 함께 확인하도록 하며, 여기서 해당 확인된 발신지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 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 일반회의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반면에 해당 확인된 발신지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동보 방송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한편 통화중인 동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들 각각(즉, 다수 개의 다른 안내 방송 시스템(610 ~ 640))은 새로운 다른 링잉신호 검출 시에 해당 전송받은 발신지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발신지 전화번호도 함께 확인하도록 하며, 여기서 해당 확인된 발신지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 일반착신전환 및 회의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반면에 해당 확인된 발신자 전화번호가 이미 등록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기 설정된 안내멘트(예를 들어, '동보 방송 수행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라는 멘트)를 각 통화자에게 각각 자동 송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착신전환통화를 자동 요청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교환기(500)에서 각 통화자로는 안내멘트 송출 및 통화중 대기 기능을 수행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로는 착신전환 및 회의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동보 방송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중인 경우에도 동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보 방송 전화를 일반회의통화로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신속하고 보다 편하게 동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첫 번째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을 도 4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격지(예를 들어, 관공서, 사내, 구내, 공장 등)에 있는 안내 방송 책임자가 직접 전화기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안내 방송 책임자는 일반전화통화를 수행하듯이, 전화 송수화기를 들은 후에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의 전화번호(즉, 안내 방송 시스템(200)의 전화번호)와 함께 비밀번호를 동시에 입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해당 비밀번호는 교환기(100) 및 안내 방송 시스템(200)에 미리 설정해 둔 번호로서, 해당 비밀번호가 첨가된 전화호출의 경우에 안내 방송임을 안내 방송 시스템(200)으로 통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임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번호로 사용되도록 한다.
다르게는, 안내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에 직접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단축 다이얼을 전화기에 등록시켜 자동 다이얼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이에, 교환기(1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오프-훅(Off-Hook)을 감지하여 발신지(즉, 안내 방송 책임자)를 확인함과 동시에 오프-훅 톤을 안내 방송 책임자 측으로 송출해 주며,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비밀번호를 식별하게 된다.
이때, 교환기(1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식별하게 됨으로써,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안내 방송임을 안내 방송 시스템(200)으로 통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임을 인증하기 위한 것임을 인식하며, 해당 식별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목적지(즉, 안내 방송 시스템(200))를 확인한 후에, 발신지의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와 함께 링잉신호를 해당 확인된 목적지로 송출해 줌과 동시에 링백톤을 안내 방송 책임자(즉, 발신지) 측으로 송출해 준다.
이에 따라, 안내 방송 시스템(2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에서는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링잉신호를 검출하고(S101) 이와 함께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도 확인하는데, 이때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비밀번호가 있는지를 확인한다(S102). 즉,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링잉신호를 검출할 때에 비밀번호도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면, 상술한 단계 S102에서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비밀번호가 있는지를 확인한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안내 방송 시스템(2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부(202)로부터 미리 설정해 둔 인증번호를 판독하며(S103), 해당 판독한 인증번호와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104).
이에, 상술한 단계 S104에서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한 인증번호와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안내 방송용임을 인식함과 동시에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임을 인식하고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방송 전화 식별부(201)(또는, 안내 방송 시스템(200) 내 출력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 내지 CPU(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하여 안내 방송 시스템(2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203)에 인가하며, 안내방송을 수행 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안내 방송 시스템(2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방송장비 제어부(204) 및 훅 제어부(205)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3)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메시지를 인가받아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하여 안내 방송 시스템(200)의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105). 다르게는, 안내 방송 시스템(200)은 음성 또는 음향 발생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시켜 안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위한 음성 또는 음향을 발생시켜 준다.
그리고 방송장비 제어부(204)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200)의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켜 준다(S106).
그리고 훅 제어부(205)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자동으로 오프-훅시켜 줌으로써(S107), 교환기(100) 측에서 안내 방송 시스템(200)의 오프-훅을 감지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 안내 방송 시스템(200)간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가 교환기(100) 및 안내 방송 시스템(200)을 거쳐 방송장비의 앰프를 통해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S108).
이때, 방송 전화 식별부(201)(또는, 안내 방송 시스템(200) 내 출력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 내지 CPU(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안내방송을 시작해도 됨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또는, 음성)를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100)를 통해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통보해 줌으로써, 안내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수행할 시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리고 안내 방송 시스템(200) 내 녹음 및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블록 내지 메인 칩(Main Chip)(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은 안내 방송되는 내용을 녹음시켜 메모리부(202)에 저장하여 기 설정된 회수(예를 들어, 3회)만큼 반복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그런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모두 수행한 다음에 전화 송수화기를 놓게 되면, 교환기(1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On-Hook)을 감지하여 온-훅 톤을 안내 방송 시스템(200) 측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상술한 단계 S108에서 연결시킨 통화 라인을 해제하도록 한다.
다르게는, 안내방송을 정상적으로 수행한 다음에, 방송 전화 식별부(201)(또는, 안내 방송 시스템(200) 내 출력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 내지 CPU(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안내방송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또는, 음성)를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100)를 통해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통보한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전화 송수화기를 놓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안내 방송 책임자가 이미 온-훅한 경우라면, 방송 전화 식별부(201)(또는, 안내 방송 시스템(200) 내 출력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 내지 CPU(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교환기(100)를 통해 음성 사서함 또는 문자서비스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의 핸드폰이나 다른 전화(즉, 음성 또는 문자 제공이 가능한 전화기)로 통보해 줄 수도 있다.
이에, 방송 전화 식별부(201)에서는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온-훅 톤을 검출하여(S109) 안내 방송이 종료되었음을 인식하고, 안내방송을 종료해야 함을 알 려주기 위한 안내방송종료신호를 방송장비 제어부(204) 및 훅 제어부(205)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방송장비 제어부(204)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안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200)의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켜 준다(S110).
그리고 훅 제어부(205)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안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자동으로 온-훅시켜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해 준다(S111).
반면에, 상술한 단계 S102에서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비밀번호가 없는 경우나, 상술한 단계 S104에서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한 인증번호와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안내 방송용이 아님을 인식함(즉, 일반전화 호출임을 인식함)과 동시에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S112) 일반전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S113).
상술한 두 번째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을 도 5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격지(예를 들어, 관공서, 사내, 구내, 공장 등)에 있는 안내 방송 책임자가 직접 전화기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안내 방송 책임자는 일반전화통화를 수행하듯이, 전화 송수화기를 들은 후에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의 전화번호(즉, 안내 방송 시스템(400)의 전화번호)와 함께 비밀번호를 동시에 입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해당 비밀번호는 교환기(300) 및 안내 방송 시스 템(400)에 미리 설정해 둔 번호로서, 해당 비밀번호가 첨가된 전화호출의 경우에 안내 방송임을 안내 방송 시스템(400)으로 통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임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번호로 사용되도록 한다.
다르게는, 안내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에 직접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단축 다이얼을 전화기에 등록시켜 자동 다이얼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이에,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오프-훅을 감지하여 발신지(즉, 안내 방송 책임자)를 확인함과 동시에 오프-훅 톤을 안내 방송 책임자 측으로 송출해 주며,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비밀번호를 식별하게 된다.
이때,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식별하게 됨으로써,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안내 방송임을 안내 방송 시스템(400)으로 통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임을 인증하기 위한 것임을 인식한다. 또한, 교환기(300) 측에서는 해당 식별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목적지(즉, 안내 방송 시스템(400))를 확인한 후에, 목적지의 현재 상태, 즉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가 통화중인지를 확인하며, 목적지가 통화중일 경우에 통화중 발신자표시 및 호출 기능에 의해서 발신자정보(즉, 발신지의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 및 링잉신호를 해당 확인된 목적지로 송출해 줌과 동시에 링백톤을 안내 방송 책임자(즉, 발신지) 측으로 송출해 준다.
이에 따라,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방송 전화 식별 부(401)에서는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링잉신호를 검출하고(S201) 이때 자기 자신이 제삼자와 통화중인지, 즉 다른 통화자와 통화중인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202).
여기서, 상술한 단계 S202에서 다른 통화자와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술한 첫 번째 예의 단계 S102부터 동일하게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상술한 단계 S202에서 다른 통화자와 통화중인 경우에는 상술한 단계 S201에서 새로운 다른 링잉신호 검출 시에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자정보(즉, 발신지의 전화번호 및 비밀번호)도 확인한다.
이때, 방송 전화 식별부(401)(또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 출력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 내지 CPU(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403)에 인가하며, 이에 디스플레이부(403)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인가받아 화면에 표시해 준다(S203).
이와 동시에,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비밀번호가 있는지를 확인한다(S204). 즉,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새로운 다른 링잉신호를 검출할 때에 비밀번호도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그러면, 상술한 단계 S204에서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비밀번호가 있는지를 확인한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부(402)로부터 미리 설정해 둔 인증번호를 판독하며(S205), 해당 판독 한 인증번호와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206).
이에, 상술한 단계 S206에서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한 인증번호와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안내 방송용임을 인식함과 동시에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임을 인식하고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방송 전화 식별부(401)(또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 출력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 내지 CPU(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안내방송을 수행함을 통화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멘트(예를 들어, '안내 방송 수행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라는 멘트)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300)로 인가함으로써, 교환기(300)를 통해 안내멘트를 통화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한다(S207). 이때,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으로부터 송출되는 안내멘트를 통화자에게 송출한다.
그리고 방송 전화 식별부(401)(또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 출력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 내지 CPU(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403)에 인가하며, 안내방송을 수행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방송장비 제어부(404) 및 착신전환 요청부(405)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3)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메시지를 인 가받아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하여 안내 방송 시스템(400)의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208). 다르게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은 음성 또는 음향 발생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시켜 안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위한 음성 또는 음향을 발생시켜 준다.
그리고 방송장비 제어부(404)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400)의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켜 준다(S209).
그리고 착신전환 요청부(405)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통화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으로 교환기(300)로 요청한다(S210).
그러면,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으로부터 착신전환통화를 요청받아, 통화자 측으로는 통화중 대기 기능을 수행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 측으로는 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 안내 방송 시스템(400)간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가 교환기(300) 및 안내 방송 시스템(400)을 거쳐 방송장비의 앰프를 통해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S211).
이때, 교환기(300) 측에서는 통화중 대기 기능을 수행중임을 알리는 멜로디를 통화자 측으로 송출할 수도 있다. 또한, 방송 전화 식별부(401)(또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 출력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 내지 CPU(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안내방송을 시작해도 됨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 (또는, 음성)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300)를 통해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통보해 줌으로써, 안내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수행할 시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리고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 녹음 및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블록 내지 메인 칩(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은 안내 방송되는 내용을 녹음시켜 메모리부(202)에 저장하여 기 설정된 회수(예를 들어, 3회)만큼 반복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그런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모두 수행한 다음에 전화 송수화기를 놓게 되면,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On-Hook)을 감지하여 온-훅 톤을 안내 방송 시스템(400) 측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상술한 단계 S211에서 연결시킨 통화 라인을 해제하도록 한다.
다르게는, 안내방송을 정상적으로 수행한 다음에, 방송 전화 식별부(401)(또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 출력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 내지 CPU(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안내방송이 종료되었음을 알려주기 위한 메시지(또는, 음성)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300)를 통해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통보한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전화 송수화기를 놓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안내 방송 책임자가 이미 온-훅한 경우라면, 방송 전화 식별부(401)(또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 출력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 내지 CPU(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는 교환기(400)를 통해 음성 사서함 또는 문자서비스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의 핸드폰이나 다른 전 화(즉, 음성 또는 문자 제공이 가능한 전화기)로 통보해 줄 수도 있다.
이에, 방송 전화 식별부(401)에서는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온-훅 톤을 검출하여(S212) 안내 방송이 종료되었음을 인식하고, 안내방송을 종료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안내방송종료신호를 방송장비 제어부(404) 및 착신전환 요청부(405)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방송장비 제어부(404)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안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400)의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켜 준다(S213).
그리고 착신전환 요청부(405)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안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통화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으로 교환기(300)로 요청한다(S214).
그러면,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으로부터 착신전환통화를 요청받아, 통화중 대기 중이던 통화자 측으로 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통화자와 안내 방송 시스템(400)간의 통화 라인을 다시 연결시켜, 통화자가 교환기(300)를 통해 안내 방송 시스템(400)과 다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S215). 이때,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과 다시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멘트로 알려 주거나, 송출중인 멜로디를 중단하여 통화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르게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또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 출력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 내지 CPU(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안내 방송 시스템(400)과 다시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통화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멘트(예를 들어, '다시 통화가 가능합니다.'라는 멘트)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300)로 인가함으로써, 교환기(300)를 통해 안내멘트를 통화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면에, 상술한 단계 S204에서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비밀번호가 없는 경우나, 상술한 단계 S206에서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한 인증번호와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비밀번호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안내 방송용이 아님을 인식함(즉, 일반전화 호출임을 인식함과 동시에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S216) 일반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S217).
상술한 세 번째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을 도 6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내 방송용임을 식별시켜 원격지(예를 들어, 관공서, 사내, 구내, 공장 등)에서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를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할당시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즉, 발신지 전화번호)를 안내 방송 시스템(200)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부(202)에 미리 등록해 둔다.
그런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직접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안내 방송 책임자는 일반전화통화를 수행하듯이, 전화 송수화기를 들은 후에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의 전화번호(즉, 안내 방송 시스템(2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
이에, 교환기(1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오프-훅을 감지하여 발신 지(즉, 안내 방송 책임자)를 확인함과 동시에 오프-훅 톤을 안내 방송 책임자 측으로 송출해 주며,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식별하게 된다.
이때, 교환기(100) 측에서는 해당 식별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목적지(즉, 안내 방송 시스템(200))를 확인한 후에, 발신지의 전화번호와 함께 링잉신호를 해당 확인된 목적지로 송출해 줌과 동시에 링백톤을 안내 방송 책임자(즉, 발신지) 측으로 송출해 준다.
이에 따라, 안내 방송 시스템(2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에서는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링잉신호를 검출하고(S301) 이와 동시에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확인한다(S302). 이때,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안내 방송 시스템(2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메모리부(202)로부터 미리 등록해 둔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판독하며(S303), 해당 판독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304). 즉,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메모리부(202)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한다.
그러면, 상술한 단계 S304에서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안내 방송용임을 인식하 고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203)에 인가하며, 안내방송을 수행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안내 방송 시스템(2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방송장비 제어부(204) 및 훅 제어부(205)에 인가한다.
이에, 디스플레이부(203)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메시지를 인가받아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하여 안내 방송 시스템(200)의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305). 다르게는, 안내 방송 시스템(200)은 음성 또는 음향 발생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시켜 안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위한 음성 또는 음향을 발생시켜 준다.
그리고 방송장비 제어부(204)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200)의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켜 준다(S306).
그리고 훅 제어부(205)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자동으로 오프-훅시켜 줌으로써(S307), 교환기(100) 측에서 안내 방송 시스템(200)의 오프-훅을 감지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 안내 방송 시스템(200)간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가 교환기(100) 및 안내 방송 시스템(200)을 거쳐 방송장비의 앰프를 통해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S308).
그런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모두 수행한 다음에 전화 송수화기를 놓게 되면, 교환기(1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을 감지하여 온 -훅 톤을 안내 방송 시스템(200) 측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상술한 단계 S308에서 연결시킨 통화 라인을 해제하도록 한다.
이에, 방송 전화 식별부(201)에서는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온-훅 톤을 검출하여(S309) 안내 방송이 종료되었음을 인식하고, 안내방송을 종료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안내방송종료신호를 방송장비 제어부(204) 및 훅 제어부(205)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방송장비 제어부(204)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안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200)의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켜 준다(S310).
그리고 훅 제어부(205)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안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자동으로 온-훅시켜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해 준다(S311).
반면에, 상술한 단계 S304에서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교환기(1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안내 방송용이 아님을 인식함(즉, 일반전화 호출임을 인식함)과 동시에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S312) 일반전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S313).
상술한 네 번째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을 도 7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내 방송용임을 식별시켜 원격지(예를 들어, 관공서, 사내, 구내, 공장 등)에서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를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할당시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즉, 발신지 전화번호)를 안내 방송 시스템(400)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부(402)에 미리 등록해 둔다.
그런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직접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안내 방송 책임자는 일반전화통화를 수행하듯이, 전화 송수화기를 들은 후에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의 전화번호(즉, 안내 방송 시스템(400)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
이에,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오프-훅을 감지하여 발신지(즉, 안내 방송 책임자)를 확인함과 동시에 오프-훅 톤을 안내 방송 책임자 측으로 송출해 주며,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식별하게 된다.
이때, 교환기(300) 측에서는 해당 식별한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목적지(즉, 안내 방송 시스템(400))를 확인한 후에, 목적지의 현재 상태, 즉 안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가 통화중인지를 확인하며, 목적지가 통화중일 경우에 통화중 발신자표시 및 호출 기능에 의해서 발신자정보(즉, 발신지의 전화번호)와 함께 링잉신호를 해당 확인된 목적지로 송출해 줌과 동시에 링백톤을 안내 방송 책임자(즉, 발신지) 측으로 송출해 준다.
이에 따라,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에서는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링잉신호를 검출하고(S401) 이때 자기 자신이 제삼자와 통화중인지, 즉 다른 통화자와 통화중인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402).
여기서, 상술한 단계 S402에서 다른 통화자와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술 한 세 번째 예의 단계 S302부터 동일하게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상술한 단계 S402에서 다른 통화자와 통화중인 경우에는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자정보(즉,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확인한다(S403).
이때,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상술한 단계 S403에서 확인된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403)에 인가하며, 이에 디스플레이부(403)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인가받아 화면에 표시해 준다(S404).
이와 동시에,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메모리부(402)로부터 미리 등록해 둔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판독하며(S405), 해당 판독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S406). 즉,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메모리부(402)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한다.
그러면, 상술한 단계 S406에서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안내 방송용임을 인식하고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안내방송을 수행함을 통화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멘트(예를 들어, '안내 방송 수행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라는 멘트)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300)로 인가함으로써, 교환기(300) 를 통해 안내멘트를 통화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한다(S407). 이때,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으로부터 송출되는 안내멘트를 통화자에게 송출한다.
그리고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403)에 인가하며, 안내방송을 수행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안내 방송 시스템(4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방송장비 제어부(404) 및 착신전환 요청부(405)에 인가한다.
이에, 디스플레이부(403)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메시지를 인가받아 안내방송 중임을 표시하여 안내 방송 시스템(400)의 사용자에게 알려준다(S408). 다르게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은 음성 또는 음향 발생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시켜 안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위한 음성 또는 음향을 발생시켜 준다.
그리고 방송장비 제어부(404)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400)의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켜 준다(S409).
그리고 착신전환 요청부(405)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안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통화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으로 교환기(300)로 요청한다(S410).
이에 따라,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으로부터 착신전환통화를 요청받아, 통화자 측으로는 통화중 대기 기능을 수행하고, 안내 방송 책임 자 측으로는 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 안내 방송 시스템(400)간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가 교환기(300) 및 안내 방송 시스템(400)을 거쳐 방송장비의 앰프를 통해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S411). 이때, 교환기(300) 측에서는 통화중 대기 기능을 수행중임을 알리는 멜로디를 통화자 측으로 송출할 수도 있다.
그런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안내 방송을 모두 수행한 다음에 전화 송수화기를 놓게 되면,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을 감지하여 온-훅 톤을 안내 방송 시스템(400) 측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상술한 단계 S411에서 연결시킨 통화 라인을 해제하도록 한다.
이에, 방송 전화 식별부(401)에서는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온-훅 톤을 검출하여(S412) 안내 방송이 종료되었음을 인식하고, 안내방송을 종료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안내방송종료신호를 방송장비 제어부(404) 및 착신전환 요청부(405)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방송장비 제어부(404)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안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400)의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켜 준다(S413).
그리고 착신전환 요청부(405)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안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통화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으로 교환기(300)로 요청한다(S414).
그러면,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으로부터 착신전환통화 를 요청받아, 통화중 대기 중이던 통화자 측으로 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통화자와 안내 방송 시스템(400)간의 통화 라인을 다시 연결시켜, 통화자가 교환기(300)를 통해 안내 방송 시스템(400)과 다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S415). 이때, 교환기(3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시스템(400)과 다시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멘트로 알려 주거나, 송출중인 멜로디를 중단하여 통화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르게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가 안내 방송 시스템(400)과 다시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통화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멘트(예를 들어, '다시 통화가 가능합니다.'라는 멘트)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300)로 인가함으로써, 교환기(300)를 통해 안내멘트를 통화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면에, 상술한 단계 S406에서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교환기(3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안내 방송용이 아님을 인식함(즉, 일반전화 호출임을 인식함)과 동시에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S416) 일반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S417).
상술한 다섯 번째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을 도 3 및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 개의 목적지로 동시에 안내 방송(즉, 동보 방송)을 수행하는 용도임을 식별시켜 원격지(예를 들어, 관공서, 사내, 구내, 공장 등)에서 동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를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할 당시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즉, 발신지 전화번호)를 각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부(202)에 미리 등록해 둔다.
그런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직접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동보 방송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안내 방송 책임자는 다수 개의 목적지와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멀티전화통화(또는, 회의통화)를 수행하듯이, 전화 송수화기를 들은 후에 멀티전화통화의 기능버튼(또는, 회의통화의 기능버튼)을 입력함과 동시에 동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들의 각 전화번호(즉, 다수 개의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의 각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 이때, 안내 방송 책임자가 동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들의 각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에 직접 입력하지 않고 단축 다이얼을 각각 등록시켜 자동 다이얼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이에, 교환기(5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오프-훅을 감지하여 발신지(즉, 안내 방송 책임자)를 확인함과 동시에 오프-훅 톤을 안내 방송 책임자 측으로 송출해 주며,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멀티전화통화의 기능버튼(또는, 회의통화의 기능버튼)을 식별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가 멀티전화통화(또는, 회의통화)를 수행하고자 함을 인식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각 전화번호를 식별하게 된다.
이때, 교환기(500) 측에서는 해당 식별한 각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목적지들(즉,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을 확인한 후에, 발신지의 전화번호와 함께 링잉신호를 해당 확인된 각 목적지로 송출해 줌과 동시에 링백톤을 안내 방송 책임자(즉, 발신지) 측으로 송출해 준다.
이에 따라, 각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에서는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링잉신호를 검출하고 이와 동시에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확인한다. 이때,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각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203)를 통해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메모리부(202)로부터 미리 등록해 둔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즉,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메모리부(202)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한다.
그러면,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동보 방송용임을 인식하고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동보방송 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203)에 인가하며, 동보방송을 수행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동보방송통보신호를 각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방송장비 제어부(204) 및 훅 제어부(205)에 인가한다.
이에, 디스플레이부(203)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메시지를 인가받아 동보방송 중임을 표시하여 각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의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다르게는, 각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은 음성 또는 음향 발생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시켜 동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위한 음성 또는 음향을 발생시켜 준다.
그리고 방송장비 제어부(204)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동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각 방송장비의 전원을 각각 온시켜 줌과 동시에 각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의 음성 출력 라인을 각각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켜 준다.
그리고 훅 제어부(205)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동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자동으로 오프-훅시켜 줌으로써, 교환기(500) 측에서 각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의 오프-훅을 감지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 각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간의 통화 라인을 각각 연결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가 교환기(500) 및 각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을 거쳐 각 방송장비의 앰프를 통해 동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런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동보 방송을 모두 수행한 다음에 전화 송수화기를 놓게 되면, 교환기(5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을 감지하여 온-훅 톤을 각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 측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에서 연결시킨 통화 라인을 해제하도록 한다.
이에, 방송 전화 식별부(201)에서는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온-훅 톤을 검출하여 동보 방송이 종료되었음을 인식하고, 동보방송을 종료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동보방송종료신호를 방송장비 제어부(204) 및 훅 제어부(205)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방송장비 제어부(204)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동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의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켜 준다.
그리고 훅 제어부(205)는 방송 전화 식별부(201)로부터 동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자동으로 온-훅시켜 동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해 준다.
반면에, 메모리부(202)로부터 판독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201)는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동보 방송용이 아님을 인식함(즉, 일반멀티통화(또는, 일반회의통화) 전화 호출임을 인식함)과 동시에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 일반멀티전화통화(또는, 일반회의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르게는,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직접 전화를 이용하여 동보 방송을 수행할 각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의 전화번호와 함께 비밀번호를 동시에 입력하도록 하며, 이에 각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 측에서는 링잉신호 검출 시에 해당 입력받은 비밀번호도 함께 확인하며, 이때 해당 입력된 비밀번호가 없거나 비밀번호가 잘못된 경우에는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 일반멀티전화통화(또는, 일반회의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반면에 해당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일치하여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임을 확인한 경우에는 동보 방송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상술한 여섯 번째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을 도 3 및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 개의 목적지로 동시에 안내 방송(즉, 동보 방송)을 수행하는 용도임을 식별시켜 원격지(예를 들어, 관공서, 사내, 구내, 공장 등)에서 동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를 안내 방송 책임자에게 할당시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즉, 발신지 전화번호)를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 640)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부(402)에 미리 등록해 둔다.
그런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직접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동보 방송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안내 방송 책임자는 다수 개의 목적지와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멀티전화통화(또는, 회의통화)를 수행하듯이, 전화 송수화기를 들은 후에 멀티전화통화의 기능버튼(또는, 회의통화의 기능버튼)을 입력함과 동시에 동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들의 각 전화번호(즉, 다수 개의 안내 방송 시스템(610 ~ 640)의 각 전화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 이때, 안내 방송 책임자가 동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들의 각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에 직접 입력하지 않고 단축 다이얼을 각각 등록시켜 자동 다이얼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이에, 교환기(5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오프-훅을 감지하여 발신지(즉, 안내 방송 책임자)를 확인함과 동시에 오프-훅 톤을 안내 방송 책임자 측으로 송출해 주며,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멀티전화통화의 기능버튼(또는, 회의통화의 기능버튼)을 식별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가 멀티전화통화(또는, 회의통화)를 수행하고자 함을 인식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각 전화번호를 식별하게 된다.
이때, 교환기(500) 측에서는 해당 식별한 각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목적지들 (즉, 안내 방송 시스템(610 ~ 640))을 확인한 후에, 해당 확인된 각 목적지의 현재 상태, 즉 동보 방송을 수행할 각 목적지가 통화중인지를 확인하며, 각 목적지가 통화중일 경우에 통화중 발신자표시 및 호출 기능에 의해서 발신자정보(즉, 발신지의 전화번호)와 함께 링잉신호를 해당 확인된 각 목적지로 송출해 줌과 동시에 링백톤을 안내 방송 책임자(즉, 발신지) 측으로 송출해 준다.
이에 따라,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 64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에서는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링잉신호를 검출하고 이때 자기 자신이 제삼자와 통화중인지, 즉 다른 통화자와 통화중인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다른 통화자와 통화중이 아닌 경우(즉, 제3 및 제4 안내 방송 시스템(630, 640))에는 상술한 다섯 번째 예의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하도록 하며, 반면에 다른 통화자와 통화중인 경우(즉, 제1 및 제2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에는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자정보(즉,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확인한다.
이때,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해당 확인된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403)에 인가하며, 이에 디스플레이부(403)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인가받아 화면에 표시해 준다.
이와 동시에,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메모리부(402)로부터 미리 등록해 둔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즉,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메모리부(402)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인지를 확인한다.
그러면,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동보 방송용임을 인식하고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동보방송을 수행함을 통화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멘트(예를 들어, '동보 방송 수행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라는 멘트)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500)로 인가함으로써, 교환기(500)를 통해 안내멘트를 각 통화자(즉, 제1 통화자 및 제2 통화자)에게 각각 자동 송출하도록 한다. 즉, 교환기(500) 측에서는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으로부터 송출되는 안내멘트를 각 통화자(즉, 제1 통화자 및 제2 통화자)에게 각각 송출한다.
그리고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동보방송 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메시지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디스플레이부(403)에 인가하며, 동보방송을 수행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동보방송통보신호를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방송장비 제어부(404) 및 착신전환 요청부(405)에 인가한다.
이에, 디스플레이부(403)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메시지를 인가받아 동보방송 중임을 표시하여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의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다르게는,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은 음성 또는 음향 발생부(설명의 편의상 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시켜 동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 주기 위한 음성 또는 음향을 발생시켜 준다.
그리고 방송장비 제어부(404)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동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각 방송장비의 전원을 각각 온시켜 줌과 동시에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의 음성 출력 라인을 각각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켜 준다.
그리고 착신전환 요청부(405)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동보방송통보신호를 인가받아 통화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으로 교환기(500)로 요청한다.
이에 따라, 교환기(500) 측에서는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으로부터 착신전환통화를 각각 요청받아, 각 통화자 측으로는 통화중 대기 기능을 수행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 측으로는 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간의 통화 라인을 각각 연결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가 교환기(500) 및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40)을 거쳐 방송장비의 앰프를 통해 동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때, 교환기(500) 측에서는 통화중 대기 기능을 수행중임을 알리는 멜로디를 각 통화자 측으로 송출할 수도 있다.
그런 후에, 안내 방송 책임자가 동보 방송을 모두 수행한 다음에 전화 송수화기를 놓게 되면, 교환기(500) 측에서는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을 감지하여 온-훅 톤을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 측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상기에서 연결시킨 통화 라인을 각각 해제하도록 한다.
이에, 방송 전화 식별부(401)에서는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온-훅 톤을 검출하여 동보 방송이 종료되었음을 인식하고, 동보방송을 종료해야 함을 알려주기 위한 동보방송종료신호를 방송장비 제어부(404) 및 착신전환 요청부(405)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방송장비 제어부(404)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동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의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켜 준다.
그리고 착신전환 요청부(405)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로부터 동보방송종료신호를 인가받아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통화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으로 교환기(500)로 요청한다.
그러면, 교환기(500) 측에서는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으로부터 착신전환통화를 각각 요청받아, 통화중 대기 중이던 각 통화자(즉, 제1 및 제2 통화자) 측으로 착신전환통화 기능을 각각 수행하여 각 통화자와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간의 통화 라인을 각각 다시 연결시켜, 각 통화자가 교환기(500)를 통해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과 다시 통화를 각각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때, 교환기(500) 측에서는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과 다시 통화를 각각 수행할 수 있음을 안내멘트로 각 통화자에게 각각 알려 주거나, 송출중인 멜로디를 중단하여 각 통화자가 각각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르게는, 방송 전화 식별부(401)가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과 다시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각 통화자에게 각각 알리기 위한 안내멘트(예를 들어, '다시 통화가 가능합니다.'라는 멘트)를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하여 교환기(500)로 인가함으로써, 교환기(500)를 통해 안내 멘트를 각 통화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반면에, 메모리부(402)로부터 판독한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교환기(500)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방송 전화 식별부(401)는 발신지의 전화호출이 동보 방송용이 아님을 인식함(즉, 일반멀티통화(또는, 일반회의통화) 전화 호출임을 인식함)과 동시에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 일반멀티전화통화(또는, 일반회의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다르게는,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직접 전화를 이용하여 동보 방송을 수행할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의 전화번호와 함께 비밀번호를 동시에 입력하도록 하며, 이때 교환기(500) 측에서는 동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가 통화중일 경우에 통화중 발신자표시 및 호출 기능에 의해서 발신자정보 및 링잉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며, 이에 각 안내 방송 시스템(610, 620) 측에서는 통화중이더라도 새로운 다른 링잉신호 검출 시에 해당 전송받은 발신자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비밀번호도 함께 확인하도록 하며, 여기서 해당 전송받은 비밀번호가 없거나 비밀번호가 잘못된 경우에는 링잉신호 호출을 수행하여 일반멀티전화통화(또는, 일반회의통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반면에 해당 입력받은 비밀번호가 일치하여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임을 확인한 경우에는 기 설정된 안내멘트(예를 들어, '동보 방송 수행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라는 멘트)를 현재 통화자에게 각각 자동 송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착신전환통화를 각각 자동 요청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교환기(500) 측에서 각 통화자로는 안내멘트 송출 및 통화중 대기 기능을 각각 수행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로는 착신전환통화 기능을 수행하여 동보 방송 기능을 수 행하도록 할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예를 들어, 관공서, 사내, 구내, 공장 등)에서 직접 전화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또는, 동보 방송)을 수행할 경우에 바로 안내 방송(또는, 동보 방송) 전화임을 식별하도록 하거나 안내 방송(또는, 동보 방송)을 수행할 목적지가 통화중일 경우에도 바로 안내 방송(또는, 동보 방송) 전화임을 식별하여 안내멘트 송출과 함께 자동으로 착신전환통화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안내 방송(또는, 동보 방송) 전화를 일반전화로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신속하고 보다 편하게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통화 중인 경우라도 안내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삼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삼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 실시 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300, 500: 교환기
200, 400, 610, 620, 630, 640: 안내 방송 시스템
201, 401: 방송 전화 식별부
202, 402: 메모리부
203, 403: 디스플레이부
204, 404: 방송장비 제어부
205: 훅 제어부
405: 착신전환 요청부

Claims (11)

  1.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링잉신호 검출 시에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과정,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둔 인증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상기 판독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안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키는 과정, 오프-훅을 자동 실행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상기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키는 과정, 그리고 온-훅을 자동 실행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와 연결된 통화 라인을 해제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링잉신호 검출 시에 제삼자와 통화중인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
    제삼자와 통화중인 경우,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과정,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둔 인증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상기 판독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둔 안내멘트를 판독하여 통화중인 제삼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하는 과정,
    안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키는 과정,
    제삼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상기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키는 과정, 그리고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제삼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 요청하여 통화대기 중이던 제삼자와의 통화 라인을 다시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하여 교환기를 통해 안내 방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링잉신호 검출 시에 다른 통화자와 통화중인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통화자와 통화중이 아닌 경우, 상기 교환기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의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발신지의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둔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발신지의 전화번호와 상기 동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동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키는 과정, 오프-훅을 자동 실행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동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상기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키는 과정, 그리고 온-훅을 자동 실행시켜 안내 방송 책임자와 연결된 통화 라인을 해제시키도록 하여 동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통화자와 통화중인 경우,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과정,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둔 인증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상기 판독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메모리에 기 설정해 둔 안내멘트를 판독하여 상기 통화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하는 과정,
    동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함과 동시에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키는 과정,
    상기 통화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상기 교환기에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동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상기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키는 과정, 그리고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상기 통화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상기 교환기에 요청하여 상기 통화자와의 통화 라인을 다시 연결시키도록 하여 동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하여 안내 방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정당한 안내 방송 책임자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인증번호, 안내방송 중임을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 및 안내방송을 수행함을 통화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멘트를 저장해 둔 메모리부와, 링잉신호를 검출함과 동시에 통화자와 통화중인지를 확인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비밀번호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인증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며,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안내멘트를 판독하여 통화자에게 송출하도록 하는 방송 전화 식별부와,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를 판독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켜 줌과 동시에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켜 주거나,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켜 주는 방송장비 제어부와,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통화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 연결된 통화 라인을 해제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착신전환 요청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는 링잉신호 검출 시에 제삼자와 통화중인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제삼자와 통화중인 경우에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기 설정해 둔 인증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상기 판독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에 기 설정해 둔 안내멘트를 판독하여 통화중인 제삼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안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방송장비 제어부를 통해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키도록 하고, 상기 착신전환 요청부를 통해 제삼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상기 방송장비 제어부를 통해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키도록 하고, 상기 착신전환 요청부를 통해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제삼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자동 요청하여 통화대기 중이던 제삼자와의 통화 라인을 다시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
  11. 안내 방송 책임자가 원격지에서 전화를 이용하여 교환기를 통해 안내 방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 안내방송 중임을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 및 안내방송을 수행함을 통화자에게 알리기 위한 안내멘트를 저장해 둔 메모리부와, 링잉신호를 검출함과 동시에 통화자와 통화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교환기로부터 송출되는 발신지 전화번호를 확인하여 해당 발신지 전화번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안내방송 전용 전화기의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며,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안내멘트를 판독하여 통화자에게 송출하도록 하는 방송 전화 식별부와,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메시지를 판독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켜 줌과 동시에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켜 주거나,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켜 줌과 동시에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켜 주는 방송장비 제어부와,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통화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 연결된 통화 라인을 해제시키도록 하여 안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착신전환 요청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송 전화 식별부는 통화자와 통화중인 경우에 안내 방송 책임자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기 설정해 둔 인증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비밀번호와 상기 판독한 인증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에 기 설정해 둔 안내멘트를 판독하여 상기 통화자에게 자동 송출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동보방송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방송장비 제어부를 통해 방송장비의 전원을 온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을 방송장비의 앰프에 연결시키도록 하고, 상기 착신전환 요청부를 통해 통화자에서 안내 방송 책임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상기 교환기에 요청하여 안내 방송 책임자와의 통화 라인을 연결시키도록 하여 동보 방송을 수행하도록 하고, 안내 방송 책임자의 온-훅에 의한 온-훅 톤을 검출하여 상기 방송장비 제어부를 통해 방송장비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음성 출력 라인과 연결된 방송장비의 앰프를 해제시키도록 하고, 상기 착신전환 요청부를 통해 안내 방송 책임자에서 통화자로의 착신전환통화를 상기 교환기에 요청하여 통화자와의 통화 라인을 다시 연결시키도록 하여 동보 방송을 종료하도록 하는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시스템.
KR1020090046745A 2009-05-28 2009-05-28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 KR101090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745A KR101090756B1 (ko) 2009-05-28 2009-05-28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745A KR101090756B1 (ko) 2009-05-28 2009-05-28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377A KR20100128377A (ko) 2010-12-08
KR101090756B1 true KR101090756B1 (ko) 2011-12-08

Family

ID=4350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745A KR101090756B1 (ko) 2009-05-28 2009-05-28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7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377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9587B1 (en) Method for screening active voice mail messages
US6639972B1 (en) Method for screening active voice mail messages
CN104902106B (zh) 回拨来电接通方法及装置
KR101090756B1 (ko) 전화를 이용한 안내 방송 방법 및 시스템
WO2015034174A1 (ko) 발신측 제어 착신 벨소리 전환 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CA2557357A1 (en)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and incoming call control method for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KR100697182B1 (ko) 이동통신 가입자 요청에 의한 부재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89438B1 (ko)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101114000B1 (ko) 유/무선 통신 장치의 수신 통화 제한 방법
JP2000059503A (ja) 着信拒否方法、並びに着信拒否機能付き電話機
KR20090095061A (ko) 통화 호 자동 연결 방법 및 시스템
WO2022114637A1 (ko) 자동 응답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 및 모바일 장치의 자동 응답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5327891B2 (ja) 電話交換装置、電話交換システムおよびボイスメール処理方法
JP2000125326A (ja) 交換システム
JP4008476B2 (ja) ボタン電話装置の転送方法
KR100459763B1 (ko) 무선 통신망에서 가입자의 부재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JP2006325003A (ja) 交換システム、電話交換装置及び音声メッセージ通知方法
US20050195956A1 (en) Method and apparatus concerning toll free numbers
KR10049486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동응답 서비스를 이용한 동시통화중개 시스템 및 방법
JP3827606B2 (ja) ボイスメールシステム
KR10080076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음성 사서함 연결 방법
JP3614066B2 (ja) 電話装置
KR20070059315A (ko) 유선전화에서의 부재중 착신 전화번호 안내시스템 및 그안내방법
KR20070012974A (ko) 사서함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3116159A (ja) 構内交換機における緊急呼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