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438B1 -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차량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차량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438B1
KR101090438B1 KR1020090041381A KR20090041381A KR101090438B1 KR 101090438 B1 KR101090438 B1 KR 101090438B1 KR 1020090041381 A KR1020090041381 A KR 1020090041381A KR 20090041381 A KR20090041381 A KR 20090041381A KR 101090438 B1 KR101090438 B1 KR 101090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vehicle information
storage area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631A (ko
Inventor
이소연
윤현정
곽동용
김병국
최혁수
정태선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0006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차량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감지 장치로부터 차량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차량 정보의 종류를 확인하여, 휘발성 메모리에서 해당되는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사전에 설정된 크기만큼 차량 정보가 누적되면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동시켜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 장치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수신된 차량 정보의 종류를 확인하는 정보 분류기; 확인된 차량 정보의 종류에 사전에 할당된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 및 차량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크기만큼 누적되면,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저장된 차량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행 정보 외에도 사용자 정보나 차량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어 사고 원인 규명이 용이해지며, 차량 정보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 및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 기간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차량 정보, 텔레매틱스, RAM, 플래시 메모리, 운행 정보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차량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Black-Box Data on Flash Memory}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차량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이용에 따른 운행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의 차량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함에 있어서, 최소한의 쓰기/지우기 동작이 일어나도록 차량 정보를 저장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정보통신표준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P1-17-07K80, 과제명: 차내망 연동 및 공간정보 표준개발].
택시, 트럭, 버스 등에 장착되는 운행 기록계는 차량의 주행 속도, 주행 거리 등의 기본적인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기록하며, 최대 1년 정도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차량용 블랙박스 단말기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 속도, GPS, 브레이크, 가속 페달, 엔진 RPM, 전조등 작동 여부 등의 차량 운행 정보를 기록하는 장비이다.
이와 같은 차량용 블랙박스 단말기에서 전 운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기 에는 데이터의 양이 많으며,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의 용량 제한이 있으므로, 사고 발생 전후의 일정 시간에 대한 운행 정보만을 저장하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이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종래의 기술은 운행 정보 데이터가 휘발성 메모리(RAM)에 계속 업데이트되며, 운행 중 사고가 발생되면, 사고 발생 전후의 일정 시간의 데이터만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동 저장되어,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자료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량 정보 저장 기술은 실제 운전자의 상태나 차량의 상태 중 극히 제한적인 운행 정보만이 저장되므로, 발생된 사고 분석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된다. 이에 따라, 운행 정보를 비롯하여 사용자나 차량의 상태 정보(ECU, 차량 내부 센서, 차량 외기 온도 센서 등) 등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저장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텔레매틱스 서비스 환경에서는 많은 사용자와 차량 데이터가 존재하므로, 현재와 같이 입력되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일괄적으로 저장하는 방식으로는 운행 정보 이외의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데이터의 장기 보전을 위하여, 텔레매틱스 단말기로 입력되는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면, 의미 없는 정보도 계속 저장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데이터 저장 공간의 낭비가 발생되고, 단기간에 쓰기/지우기 한계 횟수에 도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텔레매틱스 이용에 따른 운행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의 차량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에 실시간으로 저장 및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방 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환경에서 운행 정보, 사용자 정보, 차량 내외부 상태 정보 등이 포함된 차량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법 및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저장 방법은 운행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차량 내외부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으로서, (a) 차량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감지 장치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수신된 차량 정보의 종류를 확인하고, 사전에 휘발성 메모리에 설정된 다수의 정보 저장 영역 중 종류에 해당되는 정보 저장 영역에 수신된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c) 휘발성 메모리의 정보 저장 영역에 차량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크기만큼 누적되면,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저장 장치는 운행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차량 내외부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차량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감지 장치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로부터 차량 정보를 전달받아, 수신된 차량 정보의 종류를 확인하는 정보 분류기; 사전에 설정된 다수의 정보 저장 영역 중에서 정보 분류기에서 확인된 종류에 할당된 정보 저장 영역에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의 정보 저장 영역에 차량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크기만큼 누적되면,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텔레매틱스 서비스 환경에서 운행 정보 외에도 사용자 정보나 차량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어, 사고 원인 규명이 용이해진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되는 차량 정보 데이터를 여러 종류로 구분하여 저장하므로,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데이터의 쓰기/지우기 연산 횟수를 줄일 수 있어, 플래시 메모리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기록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기록 시스템은 GPS 수신 모듈(120), 하나 이상의 센서(130), 엔진 제어 장치(ECU: Engine Control Unit, 이하 'ECU'라 칭함)(140), 텔레매틱스 단말기(150) 및 기록 장치(160)를 포함한다.
GPS 수신 모듈(120)은 GPS 위성(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측위 데이터, 시간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로 전달하고, 센서(130)는 차량의 각종 위치에 장착되어 차량 내 환경 변화를 감지하여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로 전달한다. ECU(140)는 차량의 엔진 및 각종 센서(130)와 연결되어 엔진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엔진의 동작 변경 내역을 확인하여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로 전달한다.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는 GPS 수신 모듈(120), 센서(130) 및 ECU(140) 등의 각종 감지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 장치(160)로 전달한다. 이 때, 기록 장치(16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50)의 외부에 설치되어 배선이나 직접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텔레매틱스 단말기(15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기록 장치(16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분류된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한다. 그리고, 사전에 설정된 크기만큼의 데이터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로 옮겨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160)는 정보 분류기(210), 휘발성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이하, 'RAM'이라 칭함)(220) 및 비휘발성 메모리(이하, '플래시 메모리'라 칭함)(230)를 포함한다.
정보 분류기(21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고정 정보, 0.1초 정보, 1초 정보, 1분 정보 및 이벤트 발생 정보의 5 가지 종류로 분류하는 정보 분류기(21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류기(210)는 고정 정보 확인 모듈(2110), 0.1초 정보 확인 모듈(2120), 1초 정보 확인 모듈(2130), 1분 정보 확인 모듈(2140) 및 이벤트 발생 정보 확인 모듈(2150)을 포함한다.
고정 정보 확인 모듈(2110)은 차량 식별 정보, 운전자 정보 등 차량의 운행에 따라 변경되지 않는 고정 정보를 확인하는 구성 요소이다.
0.1초 정보 확인 모듈(2120)은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 터가 0.1초마다 갱신되어야하는 정보(이하, '0.1초 정보'라 칭함)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0.1초 정보는 차량 속도, 차량 위치 등과 같이 차량의 이동에 따라 계속 변화하는 정보로서 실시간 저장이 필요한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1초 정보 확인 모듈(2130)은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가 1초마다 갱신되어야하는 정보(이하, '1초 정보'라 칭함)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1초 정보는 타이어 마모도, 브레이크 상태 등과 같이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계속 변화하는 정보이지만, 0.1초 정보보다는 변화 빈도가 낮은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1분 정보 확인 모듈(2140)은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가 1분마다 갱신되어야하는 정보(이하, '1분 정보'라 칭함)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1분 정보도 1초 정보와 마찬가지로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계속 변화하는 정보이지만, 1초 정보보다는 변화 빈도가 낮은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0.1초 정보 확인 모듈(2120), 1초 정보 확인 모듈(2130) 및 1분 정보 확인 모듈(2140)과 같이 사전에 설정된 주기에 따라 변경되는 차량 정보를 확인하는 구성 요소를 주기별 정보 확인 모듈로 통칭할 수 있다. 이 때, 차량 정보를 확인하는 주기, 주기별 정보 확인 모듈을 구성하는 정보 확인 모듈의 숫자는 주기별 정보 확인 모듈을 실제로 구현함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벤트 발생 정보 확인 모듈(2150)은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가 운전자 졸음 감지, 차량 문 열림 등과 같은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른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 요소이다.
RAM(220)은 정보 분류기(210)에서 분류된 차량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RAM(220)에서는 분류된 차량 정보를 각각 저장하기 위하여, 사전에 각 정보 확인 주기별로 정보 저장 영역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즉, RAM(220)에는 고정 정보 저장 영역, 0.1초 정보 저장 영역, 1초 정보 저장 영역, 1분 정보 저장 영역 및 이벤트 발생 정보 저장 영역을 포함한다.
RAM(220)은 정보 분류기(210)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정보를 각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시키며,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사전에 설정된 크기가 되면, 저장된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2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RAM(220)에서 한 번에 전송하는 다수 개의 데이터의 묶음을 데이터 그룹이라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RAM(220)의 각 정보 저장 영역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법 및 저장된 데이터 그룹을 플래시 메모리(230)로 전달하는 방법은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플래시 메모리(230)는 RAM(220)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그룹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230)에도 RAM(220)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정보를 각 정보 확인 주기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기 위하여, 정보 확인 주기별 정보 저장 영역을 각각 포함한다. 즉, 플래시 메모리(230)에도 고정 정보 저장 영역, 0.1초 정보 저장 영역, 1초 정보 저장 영역, 1분 정보 저장 영역 및 이벤트 발생 정보 저장 영역이 각각 존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AM 및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 구조 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RAM(220) 및 플래시 메모리(230)에는 다수의 정보 저장 영역이 포함된다. 즉, RAM(220)과 플래시 메모리(230)에는 고정 정보 저장 영역(2210, 2310), 0.1초 정보 저장 영역(2220, 2320), 1초 정보 저장 영역(2230, 2330), 1분 정보 저장 영역(2240, 2340) 및 이벤트 발생 정보 저장 영역(2250, 2350)이 각각 존재한다. 그리고, 각각의 정보 저장 영역은 다수 개의 저장 단위 영역으로 구성된다.
정보 분류기(210)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로부터 전달된 차량 정보를 분류하여, 해당 정보 저장 영역의 저장 단위 영역에 저장시킨다.
예로써,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로부터 전달된 차량 정보가 1초 주기 정보임이 확인되면, RAM(220)에 구현된 1초 정보 저장 영역(2230)의 빈 저장 단위 영역(2232)에 수신된 1초 주기 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빈 저장 단위 영역에 수신된 차량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다가, 해당되는 정보 저장 영역이 모두 채워지면, 저장되어 있던 다수 개의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230)로 전달한다. 즉, 도 3에서 0.1초 정보 저장 영역(2220)과 같이 모든 저장 단위 영역이 채워지면, 플래시 메모리(230)의 0.1초 정보 저장 영역(2320)으로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 그룹을 전달한다.
이 때, 플래시 메모리(230)에 구현되는 저장 단위 영역은 RAM(220)의 저장 단위 영역과 동일한 크기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RAM(220)에서 한 번에 전달되는 다수 개의 저장 단위 영역의 크기가 하나의 저장 단위 영역에 저장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로써, 플래시 메모리(230)에 구현되는 저장 단위 영역은 RAM(220)의 저장 단위 영역과 동일한 크기로 구현된 경우, RAM(220)에서 10 개의 저장 단위 영역에 저장된 차량 정보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 그룹으로서 플래시 메모리(230)로 전송한다고 가정하면, 10 개의 차량 정보 데이터가 포함된 데이터 그룹을 수신한 플래시 메모리(230)에서는 10 개의 저장 단위 영역이 채워진다.
그러나, 플래시 메모리(230)에 구현되는 저장 단위 영역이 RAM(220)에서 한번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구현된 경우, RAM(220)에서 10 개의 저장 단위 영역에 저장된 차량 정보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 그룹으로서 전송하면, 플래시 메모리(230)에서는 10 개의 차량 정보 데이터를 하나의 저장 단위 영역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RAM(220)에 저장된 차량 정보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230)로 전달함으로써, 플래시 메모리(230)의 업데이트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업데이트가 최소화됨에 따라, 기존에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의 지우기 작업 및 새로운 데이터의 쓰기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RAM(220) 및 플래시 메모리(230)의 정보 저장 영역에 차량 정보 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서, 수신되는 차량 정보 데이터 값을 그대로 저장하는 것보다 데이터 값의 변화량을 저장하는 것이 데이터 공간 활용 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정보 데이터의 변화량을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차량 정보 데이터 중 속도 데이터를 0.1초 단위로 측정한 결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속도 데이터가 73 내지 81 사이의 값으로 측정되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4A와 같이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59.7초부터 60.3초에 해당되는 RAM(220) 또는 플래시 메모리(230)의 각 저장 단위 영역에는 73, 74, 75, 77, 89, 81, 81, 79의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73 내지 81의 데이터를 직접 저장하려는 경우, 각 저장 단위 영역에는 7 비트(bit)의 저장 공간이 요구되며, 127까지의 데이터 값이 저장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 속도가 127 km/s를 넘는 것을 고려하여, 각 저장 단위 영역은 8 비트(bit)의 저장 공간이 할당된다고 가정하면, 59.7초와 60.3초 사이의 데이터 저장을 위해서는 56 비트(bit)의 저장 공간이 요구된다.
그러나,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정보 데이터 값의 변화량을 저장하는 경우, 59.7초부터 60.3초에 해당하는 RAM(220) 또는 플래시 메모리(230)의 각 저장 단위 영역에는 1, 1, 2, 79, 2, 0, -2의 데이터가 저장되어야 한다. 이 때, 가장 큰 시간 주기의 차량 정보, 여기서는 1분 정보에 해당되는 저장 단위 영역(440)에는 실제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장 큰 시간 주기의 저장 단위에는 실제 데이터를 저장시킴으로써, 특정 시간에서의 실제 데이터 값을 도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4B와 같이 데이터 차량 정보 데이터 값의 변화량이 저장되는 경우, 0.1초 사이에 변화할 수 있는 차량 변화 속도가 ±10 km/s 정도라고 가정하면, 각각의 저장 단위 영역에는 ±를 표시하기 위한 1 비트(bit)와 차량 변화값을 표시하기 위한 4 비트(bit)가 요구된다. 즉, 차량 정보 데이터 값의 변화량을 저장하는 저장 단위 영역(410 내지 430, 450 내지 470)은 5 비트(bit)의 저장 공간이 할당되며, 1분 정보 저장 영역에 해당되는 저장 단위 영역(440)은 8 비트(bit)의 저장 공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59.7초와 60.3초 사이의 데이터 저장을 위해서는 38 비트(bit)의 저장 공간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RAM(220) 및 플래시 메모리(230)의 정보 저장 영역에 실제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 값의 변화량을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RAM(220) 및 플래시 메모리(230)의 이벤트 발생 정보 저장 영역(2250, 2350)은 0.1초 정보 저장 영역(2220, 2320), 1초 정보 저장 영역(2230, 2330) 또는 1분 정보 저장 영역(2240, 2340)과는 다른 방법으로 차량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정보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정보는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 단위로 RAM(220) 또는 플래시 메모리(230)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데이터가 저장되므로, 0.1초 정보 저장 영역(2220, 2320), 1초 정보 저장 영역(2230, 2330) 또는 1분 정보 저장 영역(2240, 2340)과는 다른 구조의 데이터 저장 구조를 갖는다.
차량 운행 과정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발생된 이벤트 정보는 RAM(220)의 이벤트 정보 저장 영역(2250)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이 때, 발생된 이벤트는 종류에 따라 RAM(220)에서 하나의 저장 단위 영역을 차지할 수도 있고, 다수 개의 저장 단위 영역을 차지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n개의 이벤트 발생에 따라, RAM(220)의 이벤트 정보 저장 영역(2250)에 이벤트 정보 데이터가 사전에 설정된 만큼 채워지면, RAM(220)에 저장된 다수의 이벤트 정보 데이터는 플래시 메모리(230)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230)의 이벤트 정보 저장 영역(2350)은 RAM(220)에서 전달된 다수 개의 이벤트 그룹이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여기서, 이벤트 그룹은 RAM(220)으로부터 한 번에 전송된 다수의 이벤트 정보 데이터를 칭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RAM(220)으로부터 전달된 다수의 이벤트 데이터가 제2 이벤트 그룹(520)으로서 플래시 메모리(230)에 저장되었으며, 다음에 전달되는 이벤트 그룹은 제3 이벤트 그룹의 위치(530)에 저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는 GPS 수신 모듈(120)로부터 전달되는 측위 데이터나, 센서(130)로부터 전달되는 환경 변화 데이터, ECU(140)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동작 데이터 등 각종 차량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S610).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는 수신된 차량 정보 데이터를 기록 장치(160)로 전달하고, 기록 장치(160)에서는 정보 분류기(210)를 통하여 수신된 차량 정보 데이 터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S620).
수신된 차량 정보 데이터가 차량 식별 정보나 운전자 정보 등의 고정 정보임이 확인되면(S630), 수신된 고정 정보를 RAM(220)의 고정 정보 저장 영역(2210)에 저장시킨다(S632).
그러나, S630 단계의 확인 결과 수신된 차량 정보 데이터가 고정 정보가 아니면, 수신된 차량 정보 데이터가 운전자 졸음 감지, 차량 문 열림 등과 같은 특정 이벤트 발생에 따라 발생된 이벤트 발생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640). 확인 결과, 수신된 차량 정보 데이터가 이벤트 발생 정보임이 확인되면, 수신된 이벤트 발생 정보를 RAM(220)의 이벤트 정보 저장 영역(2250)에 저장시킨다(S642).
그러나, S640 단계의 확인 결과 수신된 차량 정보 데이터가 고정 정보 또는 이벤트 발생 정보가 아닌, 사전에 설정된 특정 주기에 따라 갱신되는 정보임이 확인되면, 사전에 설정된 다양한 주기 중에서 가장 긴 주기의 차량 정보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650).
S650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사전에 설정된 주기 중에서 가장 긴 주기에 해당되는 차량 정보 데이터임이 확인되면, RAM(220)에 사전에 설정된 다수의 정보 저장 영역 중 해당 주기의 정보 저장 영역에 수신된 실제 데이터를 저장한다(S652).
그러나, S650 단계에서의 확인 결과, 사전에 설정된 특정 주기에 따라 갱신되는 차량 데이터이나, 가장 긴 주기의 차량 정보 데이터는 아님이 확인되면, 정보 분류기(210)를 통해 수신된 차량 정보 데이터의 주기 정보를 확인하고(S660), 확인된 주기 정보의 이전 데이터와 수신된 차량 정보 데이터 사이의 변화량을 산출한 다. 이와 같은 변화량 산출을 위하여 정보 분류기(210)는 별도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S670).
이전의 차량 정보 데이터와 수신된 차량 정보 데이터 사이의 변화량이 산출되면, RAM(220)에 설정된 해당 주기의 정보 저장 영역에 산출된 변화량을 기록한다(S680).
그러나, 가장 긴 주기의 차량 정보 데이터가 아니더라도, RAM(220)의 정보 저장 영역에 산출된 변화량이 아닌 실제 데이터를 기재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실제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구현한 경우에는 S670 단계 및 S68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S632 단계, S642 단계, S652 단계 또는 S680 단계를 통하여, RAM(220)의 특정 정보 저장 영역에 수신된 차량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면, 차량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정보 저장 영역의 크기가 사전에 설정된 플래시 메모리(230)로의 데이터 전달 작업 수행 크기가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90).
차량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RAM(220)의 정보 저장 영역을 확인한 결과, 사전에 설정된 데이터 전달 작업 수행 크기가 되었음이 확인되면, RAM(220)의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230)의 정보 저장 영역으로 이동시킨다(S692).
S690 단계에서 RAM(220)의 정보 저장 영역의 크기가 사전에 설정된 데이터 전달 작업 수행 크기만큼 채워지지 않았거나, S692 단계를 통하여 RAM(220)의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230)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종료되면, 텔레매틱스 단말기(150)를 통하여 수신된 차량 정보 데이터를 확인하는 S610 이후의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와 같이 수신되는 차량 정보 데이터를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고, 실제 데이터 값이 아닌 데이터의 변화량을 저장함으로써, 차량 정보 저장을 위하여 적은 데이터 공간이 사용되며, 쓰기/지우기 작업이 최소화됨에 따라 짧은 시간에 플래시 메모리가 지우기 횟수 한계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기록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AM 및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저장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차량 정보 데이터의 변화량을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발생 정보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Claims (10)

  1. 기록 장치에서 운행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차량 내외부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감지 장치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의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가 차량 운행에 따라 변경되지 않는 고정 정보, 차량 운행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특정 주기로 갱신되는 주기 정보, 차량 운행 중 발생되는 이벤트에 관련된 이벤트 발생 정보 중 어느 정보인지 분류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보가 고정 정보이면 휘발성 메모리에서 고정 정보에 할당된 정보 저장 영역에 상기 차량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 정보가 주기 정보이면 휘발성 메모리에서 주기 정보에 할당된 정보 저장 영역에 상기 차량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차량 정보가 이벤트 발생 정보이면 휘발성 메모리에서 이벤트 발생 정보에 할당된 정보 저장 영역에 상기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정보 저장 영역에 차량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크기만큼 누적되면, 해당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저장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차량 정보 확인 주기 중 가장 긴 주기의 차량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 저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정보가 주기 정보이며, 사전에 설정된 차량 정보 확인 주기 중 가장 긴 주기의 차량 정보임이 확인되면, 상기 주기 정보에 할당된 정보 저장 영역에 상기 차량 정보의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차량 정보가 주기 정보이지만 사전에 설정된 차량 정보 확인 주기 중 가장 긴 주기의 차량 정보는 아님이 확인되면, 이전에 확인된 차량 정보와의 비교를 통하여 변화량을 산출하고, 상기 변화량을 상기 주기 정보에 할당된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저장 방법.
  5. 운행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차량 내외부 상태 정보가 포함되는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구현된 하나 이상의 감지 장치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로부터 차량 정보를 전달받아, 수신된 차량 정보의 종류를 확인하는 정보 분류기;
    사전에 설정된 다수의 정보 저장 영역 중에서 상기 정보 분류기에서 확인된 종류에 할당된 정보 저장 영역에 상기 차량 정보를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휘발성 메모리의 정보 저장 영역에 상기 차량 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크기만큼 누적되면, 상기 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상기 정보 저장 영역에 저장된 차량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분류기는,
    상기 차량 정보가 차량 운행에 따라 변경되지 않는 고정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고정 정보 확인 모듈;
    상기 차량 정보가 상기 차량 운행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특정 주기로 갱신되는 주기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주기별 정보 확인 모듈; 및
    상기 차량 정보가 상기 차량 운행 중 발생되는 이벤트에 관련된 이벤트 발생 정보 중 어느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이벤트 발생 정보 확인 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 저장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정보 분류기를 통해 분류된 차량 정보를 각각의 종류별로 저장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정보 저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저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상기 고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고정 정보 저장 영역;
    상기 주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주기 정보 저장 영역; 및
    상기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이벤트 발생 정보 저장 영역
    을 포함하는 차량 정보 저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 정보 저장 영역은,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주기 정보와, 이전 주기에 수신된 주기 정보의 비교를 통하여 산출된 변화량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저장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휘발성 메모리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사전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주기에 따라 확인되는 하나 이상의 주기 정보 중에서, 가장 긴 주기를 갖는 주기 정보는 대응되는 주기 정보 저장 영역에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보 저장 장치.
KR1020090041381A 2008-12-03 2009-05-12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차량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KR101090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2005 2008-12-03
KR1020080122005 2008-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631A KR20100063631A (ko) 2010-06-11
KR101090438B1 true KR101090438B1 (ko) 2011-12-07

Family

ID=4236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381A KR101090438B1 (ko) 2008-12-03 2009-05-12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차량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157B1 (ko) * 2015-07-10 2022-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 장치,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856185B1 (ko) * 2018-01-25 2018-05-09 에이에스 주식회사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631A (ko)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3156B2 (ja) 車両情報記録システム、車両情報記録装置、車両情報記録方法
US11373466B2 (en) Data recorders of autonomous vehicles
EP2000394A9 (en)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method
US20200250902A1 (en) Autonomous Vehicle Data Recorders
WO2018043381A1 (ja) 車載更新システム、車載更新装置及び通信装置の更新方法
JP5769437B2 (ja) 移動体用情報記録装置
JP2008024015A (ja) 車載システム及びそれを搭載した車両
JP6185789B2 (ja) 車載ソフトウェア更新装置
KR20090040622A (ko) 차량 사고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157020A (zh) 车辆信息存储设备和车辆诊断系统
JP5756658B2 (ja) 車両用情報記録装置
KR101090438B1 (ko)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차량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CN115398496A (zh) 车辆黑匣子数据的基于人工智能的持久性
JP2009245052A (ja) 車載レコーダ
KR20150035630A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운행 기록 장치 관리 시스템
KR20210117934A (ko) 차량 생성 데이터를 기록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5591528B2 (ja) 車両の運行情報収集装置
KR20140147298A (ko)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JP2001222731A (ja) ドライブレコーダ
US11144239B2 (en) Storage controller, storage device, and write control method
KR20220077190A (ko) 스마트 디지털 운행기록 시스템
JP2008511885A (ja) イベント管理方法
US202301455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and Managing Vehicle-Generated Data
JP7469345B2 (ja) 運行管理システム
JP4134763B2 (ja) 電子ナンバープレ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