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185B1 -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185B1
KR101856185B1 KR1020180009578A KR20180009578A KR101856185B1 KR 101856185 B1 KR101856185 B1 KR 101856185B1 KR 1020180009578 A KR1020180009578 A KR 1020180009578A KR 20180009578 A KR20180009578 A KR 20180009578A KR 101856185 B1 KR101856185 B1 KR 101856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torage
data
information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길
박철수
Original Assignee
에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06F3/0631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by allocating resources to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29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 G06F3/0634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storage systems by changing the state or mode of one or mor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3Management of fi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상기 저장매체를 복수개의 저장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처리부 및,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기본저장용량을 설정하는 분할용량설정부를 포함하는 저장영역분할모듈;
상기 블랙박스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복수개의 데이터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저장그룹으로 분류하는 저장그룹설정부 및, 각각의 저장그룹별로 하나의 상기 저장영역을 할당하는 저장영역할당부를 포함하는 저장영역할당모듈;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각각 할당된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A Data Saving Area Assignment System Of Storage Medium Of Black Box}
본 발명은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용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을 효율적으로 분할하며,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할당되는 저장용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랙박스 저장매체를 통한 저장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 용량 할당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중요 데이터의 잔존 수명을 늘리려 저장매체의 수명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랙박스(blackbox) 장치는 항공기나 선박, 차량 등에 탑재하여 운행 중이나 사고 발생 시, 영상 정보, 위치 정보 등을 불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에 기록하는 것이다. 블랙박스 장치에서 기록한 정보는 사고 발생 시, 사고 원인 규명에 활용된다.
블랙박스 장치는 탑재되는 교통기관(transport facilities)의 특징에 따라 여러 종류의 파일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서 생성되는 파일의 종류는 상시녹화, 이벤트녹화, 주차녹화, 수동(사용자) 녹화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상시녹화는 차량의 주행 중의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차량 내외부의 영상 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을 기록한다. 이벤트녹화는 차량의 주행 중 사고 등에 의한 충격이 발생한 경우 차량 내외부의 영상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기록한다. 주차녹화는 차량 주차 중 외부 움직임을 감지했거나, 충격이 감지되었을 때 차량 내외부의 영상 정보를 기록한다.
블랙박스 장치는 지속적으로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은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러나 블랙박스 장치에 내장된 불휘발성 메모리의 용량 제한에 인해 새로 생성된 파일을 저장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때, 파일의 종류에 따라 같은 종류의 오래된 파일을 삭제한 후, 새로 생성된 파일을 저장하게 된다. 혹은 해당 저장공간에 파일을 덧씌우는 오버라이팅(overwriting) 방식이 이용되기도 한다.
이렇게 블랙박스 장치에서 각기 다른 크기 파일의 생성 및 삭제가 반복 수행되면, 불휘발성 메모리의 단편화(fragmentation)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단편화가 심해질 경우, 파일 읽기 및 쓰기 속도 감소에 따른 시스템 처리 속도 저하 및 불휘발성 메모리의 수명 감소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1-0121362호(발명의 명칭: 메모리 풀에서 메모리 단편화를 방지하는 데이터 관리 방법)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파일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영역을 할당 또는 해제하여 단편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0-0081880호(발명의 명칭: 비휘발성 메모리와, 이의 페이지 동적할당장치 및 페이지 매핑장치와, 이의 페이지 동적할당방법 및 페이지 매핑방법)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하나의 고정 영역과 복수개의 가변 영역으로 구분하여 단편화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은 고정 영역에 운영체제와 이와 관련한 파일을 저장하며, 가변 영역에는 응용프로그램과 기타 파일을 저장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현재의 블랙박스 저장용량 할당 방법에 있어서는, 블랙박스 장치가 장착된 차량에 대한 운전자의 생활패턴, 직업, 운전행태, 습관, 주차방식이나 운전자의 주변(주차)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이미 설정된 녹화모드별로, 미리 할당된 비율에 따라 저장용량이 할당된다. 더불어 녹화모드별로 할당된 저장용량의 제한에 따른 데이터 잔존 수명주기를 감안치 않고 운전자별 총 실질 데이터 발생량을 예측할 수 없어, 녹화매체의 물리적 defect를 완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 녹화 등을 활용한 운전자의 취향 또는 선호를 충분히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따랐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용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을 효율적으로 분할하며,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할당되는 저장용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랙박스 저장매체를 통한 저장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 사용할 수 있으며 저장 데이터의 잔존시간을 늘리고 운전자의 취향과 선호를 반영하고 사용자 맞춤형 용량 할당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저장매체의 수명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용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을 효율적으로 분할하며,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할당되는 저장용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랙박스 저장매체를 통한 저장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 용량 할당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저장매체의 수명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랙박스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개별 파일용량 제어에 있어 데이터 발생빈도, 발생량 및 저장매체의 저장용량 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 저장영역의 할당에 있어 사용자의 주차, 정차, 주행 등의 요소 등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주행패턴을 자동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용량 할당을 가능케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주행패턴 파악에 있어 사용자의 습관 뿐 아니라 도로상황, 날씨, 터널주행, 교통상황 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급변속, 급제동, 급커브, 클락션 사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미래주행패턴을 예측하여 효과적인 용량 할당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으로서, 상기 저장매체를 복수개의 저장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처리부 및,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기본저장용량을 설정하는 분할용량설정부를 포함하는 저장영역분할모듈; 상기 블랙박스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복수개의 데이터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저장그룹으로 분류하는 저장그룹설정부 및, 각각의 저장그룹별로 하나의 상기 저장영역을 할당하는 저장영역할당부를 포함하는 저장영역할당모듈;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각각 할당된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할당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일정 기간 동안의 데이터 발생빈도를 파악하여 수치화된 빈도수와 실제 데이터 발생량을 산출하는 발생량파악부 및, 상기 데이터 발생빈도를 기반으로 개별 데이터에 대한 파일용량을 제어하는 파일용량제어부를 포함하는 파일용량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1) 차량용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을 효율적으로 분할하며,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할당되는 저장용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랙박스 저장매체를 통한 저장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맞춤형 용량 할당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저장매체의 수명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을 제공하고,
2) 블랙박스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개별 파일용량 제어에 있어 데이터 발생빈도 및 전체 저장용량 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여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케 하며,
3) 데이터 저장영역의 할당에 있어 사용자의 주차, 정차, 주행 등의 요소 등을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주행패턴을 자동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용량 할당을 가능케 하였을 뿐 아니라,
4) 주행패턴 파악에 있어 사용자의 습관 뿐 아니라 도로상황, 날씨, 터널주행, 교통상황 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급변속, 급제동, 급커브, 클락션 사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미래주행패턴을 예측하여 효과적인 용량 할당을 가능케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자 패턴 파악 및 그를 이용한 저장용량 조정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블랙박스(10) 저장매체(30)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사용자의 차량 내에 구비된 블랙박스(10)의 카메라(20)와, 카메라(20)로부터 촬영된 이미지 및 동영상을 저장하는 블랙박스(10)용 저장매체(30), 그리고 해당 저장매체(30)의 데이터 저장영역을 할당하는 컨트롤러(40)로 이루어진다.
먼저 사용자의 차량에는 블랙박스(10)가 구비된다. 이러한 블랙박스(10)는 카메라(20) 및 저장매체(30), 그리고 저장매체(30)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영역을 할당하는 컨트롤러(4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블랙박스(10)는 자동차 내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이나 자동차에 구비된 자동차 전자제어장치(ECU), 혹은 차량 소유주인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과 통신하여 연계 구동될 수도 있다. 이 때 통신을 위해서는 블루투스나 Wi-fi direct 등의 통신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관제시스템 등과 연동하기 위하여 LTE 등 무선이동통신망에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10)에 구비된 카메라(20)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 나아가 좌측방, 우측방 및 실내 등을 다양한 각도와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으며, 이 때 촬영되는 데이터는 사진 또는 동영상의 형태로 저장매체(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되는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주행데이터와 주정차데이터, 이벤트데이터, 수동데이터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주행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주행 중 생성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차량의 주행과정을 연속 촬영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정차데이터는 차량이 멈춰 있는 경우, 다시 말해 주차나 정차 시를 촬영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자동 연속 촬영, 혹은 외부에서 큰 소리가 나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벤트데이터라 함은 일반적으로 사고 발생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고 등 급격한 이벤트 발생 시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것이며, 수동데이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특정 상황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나 동영상을 포함하는 데이터는 블랙박스(10)용 저장매체(30)에 저장되는데, 이 때 데이터는 주행데이터영역, 주정차데이터영역, 이벤트데이터영역, 수동데이터영역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구비된 저장매체(30)의 분할된 저장영역에 저장된다. 더불어 이 때 저장매체(30)의 종류에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SD카드,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그 외의 메모리칩셋 등 다양한 저장매체(30)가 이용될 수 있다.
더불어 저장매체(30)를 다수의 저장영역으로 분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주체가 바로 컨트롤러(40)인데, 컨트롤러(40)는 저장매체(30)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저장매체(30)를 다수의 저장영역, 일종의 파티션으로 분할하여 해당 파티션에 할당된 데이터가 분류되어 저장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할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에 있어 다양한 모듈로 구현되는 시스템은 컨트롤러(40) 내에 구현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컨트롤러(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차량의 ECU, 사용자의 스마트폰, 원거리 서버과 연동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블랙박스(10)는 충격이나 접근 등을 감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센서는 동작 감지 센서(motion sensor) 및 위치 센서(position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감지 센서는 속도 센서(speed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sensor), 중력 센서(G-sensor),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등 블랙박스(10) 장치에서 차량 등의 주행이나 주차 여부를 판단하거나, 사고 등의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동작 기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센서(position sensor)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나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등, 차량 등의 현재 위치나 주행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위치 기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블랙박스(10)가 구비된 차량 소유주, 즉 사용자의 사용행태, 운전행태, 주변(주차)환경 및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하여 분할된 저장영역의 크기를 제어할 뿐 아니라 개별 데이터가 저장되는 파일용량을 제어하는 것을 최종적으로 추구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블랙박스(10) 저장매체(30) 상의 데이터 잔존수명주기와 저장매체의 수명주기 향상을 꾀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블랙박스(10) 저장매체(30)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에 포함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랙박스(10) 저장매체(30)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블랙박스(10) 저장매체(30)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저장영역분할모듈(100)과, 저장영역할당모듈(200) 및, 저장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영역분할모듈(100)은 블랙박스(10)에 구비된 저장매체(30)를 복수개의 저장영역으로 분할 처리하고, 분할된 저장영역에 대한 기본저장용량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분할처리부(110)와 분할용량설정부(12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할처리부(110)는 블랙박스(10) 저장매체(30)를 복수개의 저장영역, 즉 파티션과 같이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분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저장영역은 바람직하게 주행영역, 주정차영역, 이벤트영역, 수동영역 등으로 분할될 수 있으나 그 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 때 저장영역은 상술한 저장매체(30)(비휘발성 메모리)의 블록 크기에 맞추어 분할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블록 단위로 파일을 읽고 쓰는 특징이 있다. 블록의 크기에 맞춰 파일 저장 영역을 분할하면, 하나의 블록에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영역이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징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파일 시스템이 불필요하게 파일을 읽고 쓰는 횟수를 줄일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의 단편화를 감소시키고,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분할용량설정부(120)는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기본저장용량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기본저장용량은 저장매체(30)를 저장영역 개수만큼 동일한 (또는 사전 정의된 각기 다른) 용량으로 분할하여 설정될 수도 있으며, 혹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분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50대로 영업용 택시회사의 직원이고 해당 차량은 하루 3교대 주야로 운행되며 식사 시간 외에 주차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A 씨의 경우 주차녹화와 수동녹화가 거의 없는 행태이며 이벤트 녹화가 매우 중요한 형태이므로 이벤트영역으로 설정된 저장영역의 기본저장용량을 다른 저장영역의 기본저장용량에 비해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더불어 후술할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사용자의 주행패턴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저장영역 할당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분할용량설정부(120)에 있어서는 분할된 각각의 저장영역에 할당되는 저장용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블랙박스(10) 저장매체(30)를 통한 저장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때 저장용량의 보다 세밀한 가변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저장영역할당모듈(200)은 블랙박스(10)에 구비된 카메라(20)로부터 생성되는 이미지나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분류하고 각각의 저장영역에 할당 처리하는 것으로서, 이는 데이터를 주행 중, 주정차 중, 이벤트 상황, 수동 녹화 상황 등으로 분류하는 규칙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저장영역에 할당 처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비되는 저장그룹설정부(210)는 상기 블랙박스(10)에 구비된 카메라(2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개의 데이터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저장그룹으로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 상에서 블랙박스(10)에서 생성되는 디지털 영상 정보 파일이나 센서 정보 파일 등의 메타정보를 이용하여 파일 특징을 분석하고, 유사한 파일을 그룹화하여 파일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파일의 종류는 상시 주행 상황 그룹, 상시 충격 상황 그룹 및 주차 상황 그룹 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저장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나아가 파일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하여 파일의 메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파일의 메타 정보는 파일의 생성시간, 저장 경로, 이름 및 크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블랙박스(10) 장치에서, 임의의 동영상 파일의 저장 경로에 주차를 의미하는 특정 단어가 포함된 경우, 그 동영상 파일을 주차 모드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이 파일과 비슷한 시간에 작성된 센서 정보 파일이 존재한다면, 그 센서 정보 파일 역시 주차 상황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영역할당부(220)는 각각의 저장그룹별로 하나의 저장영역을 할당 처리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주행 상황 그룹은 주행영역을 할당 처리하고, 상시 충격 상황 그룹은 이벤트영역을 할당 처리하며, 주차 상황 그룹은 주정차영역을 할당 처리 하여 분할된 저장영역 각각에 적합한 저장그룹을 할당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저장모듈(300)은 상기 카메라(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각각 할당된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블랙박스(10)에 구비된 카메라(2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및 영상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가 할당된 저장영역에 저장 처리한다. 예를 들어 주차 상황으로 판단되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데이터는 주차 상황 그룹으로 분류된 상태이므로 해당 데이터를 주차 상황 그룹이 할당된 주정차영역에 저장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본 발명의 블랙박스(10) 저장매체(30)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는 세부적 구성에 대해 더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본 발명의 블랙박스(10) 저장매체(30)에 저장되는 개별 데이터, 즉 개별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의 파일용량을 제어하는 용량조절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파일용량 조절에 있어서는 일정 기간 동안의 데이터 발생빈도 및 데이터 발생량의 통계에 따라 각 개별 데이터 당 파일용량, 예를 들어 동영상의 녹화시간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녹화시간 제어에 있어서는 상시녹화 모드는 제외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용량조절모듈(400)은 일정 기간 동안의 데이터 발생빈도를 파악하여 수치화된 빈도수를 산출하는 발생빈도파악부(410) 및, 상기 데이터 발생빈도를 기반으로 개별 데이터에 대한 파일용량을 제어하는 파일용량제어부(420) 및, 상기 빈도수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을 재설정하는 저장용량제어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발생빈도파악부(410) 및 파일용량제어부(420). 저장용량제어부(440)를 통해 각각의 상기 저장용량에 대한 저장용량 및 개별 데이터의 파일용량이 제어되는 것이다.
발생빈도파악부(410)는 일정 기간 동안 특정한 개별 데이터가 발생한 빈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근 1주일 동안 상시 충격 영상이 3번 생성된 경우 수치화된 빈도수가 3으로 산출된다. 혹은 주정차 상황에 대해 녹화된 영상이 5번 생성된 경우, 해당 개별 데이터의 수치화된 빈도수는 5로 산출될 수 있는 것이다.
파일용량제어부(420)는 이와 같이 생성된 수치화된 데이터 발생빈도, 즉 수치화된 빈도수를 기반으로 개별 데이터(사진이나 동영상)에 대한 파일용량을 늘이거나 줄임으로써 제어하는데, 이는 동영상의 녹화 시간을 늘이거나 줄이는 방식, 혹은 동영상이나 사진의 해상도를 높이거나 낮추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수학식 1을 기반으로 하여 개별 데이터에 대한 파일용량을 제어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09008000-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8009008000-pat00002
는 개별 데이터의 파일용량,
Figure 112018009008000-pat00003
는 해당 개별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영역의 전체 저장용량,
Figure 112018009008000-pat00004
는 전체 개별 데이터의 발생 횟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05
는 기 설정된 산출기간의 길이,
Figure 112018009008000-pat00006
는 수치화된 빈도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파일용량 제어 시 해당 개별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영역(예를 들어 이벤트 상황 영상일 경우 이벤트영역)에 할당된 전체 저장용량과, 기 설정된 산출기간의 길이, 그리고 상술한 발생빈도파악부(410)를 통해 산출된 수치화된 빈도수가 적용되는데, 이 때 기 설정된 산출기간의 길이라 함은 데이터 발생빈도가 파악된 기간과 동일하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일주일을 예시로 하였으며, 데이터 저장 길이가 대부분 분 또는 초 단위이므로 해당 일주일 만큼의 시간을 분 또는 초 단위로 환산하여 계산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수학식 1을 통해 상시녹화 상황을 제외한 저장그룹에 속한 데이터에 대해 파일용량(녹화시간 또는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장매체(30)의 수명주기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학식 1의 실제 적용 예시를 설명하면, 만약 A 저장영역의 전체 저장용량(
Figure 112018009008000-pat00007
)이 1GB(1024MB) 이고, 산출기간의 길이(
Figure 112018009008000-pat00008
)가 1주일(604800초)이며, A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A 그룹의 개별 데이터의 발생 빈도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09
)가 28회이며, 전체 개별 데이터의 발생 횟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10
)가 204회인 경우, 개별 데이터의 파일 용량(
Figure 112018009008000-pat00011
)은 10.67MB로 산출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발생빈도파악부(410)를 통해 데이터 발생빈도가 파악되는 경우, 해당 빈도수를 기반으로 하여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을 재설정할 수 있으며, 그 기능은 저장용량제어부(44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저장용량제어부(440)는 발생빈도파악부(410)를 통해 파악된 수치화된 빈도수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의 저장용량을 재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발생빈도파악부(410)를 통해 빈도수를 파악하면 이를 통해 상시녹화는 몇 번 촬영되었는지, 주차녹화는 몇 번 촬영되었는지, 이벤트녹화는 몇 번 촬영되었는지, 수동녹화는 몇 번 촬영했는지 등이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파악된 빈도수를 기반으로 저장용량을 재설정하여 주차녹화의 빈도수가 높은 경우 주차녹화에 해당하는 저장영역의 저장용량을 늘리고, 주차녹화의 빈도수가 낮은 경우 주차녹화에 해당하는 저장용량의 저장용량을 감소시키는 방식을 통해 저장용량을 재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상기 저장매체(30)의 상기 저장매체(30)의 전체 저장용량을 파악하는 전체용량파악부(510) 및,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해 사용되지 않은 잔여용량을 파악하는 잔여용량파악부(520) 및, 일정 기간 동안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저장빈도를 파악하여 수치화된 저장빈도수를 산출하는 빈도산출부(530) 및, 일정 기간 동안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총량을 파악하는 저장량파악부(540)를 포함하는 용량파악모듈(5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영역분할모듈은,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잔여용량을 기반으로 복수개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을 차등 제어하는 용량반영조절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량파악모듈(500)에 포함된 전체용량파악부(510)는 저장매체(30)의 전체 저장용량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블랙박스에 삽입된 SD카드,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진 저장매체(30)의 전체 저장용량을 파악한다.
잔여용량파악부(520)는 상기 저장매체(30)의 저장용량이 물리적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있어, 저장영역별로 사용되지 않고 남아있는 잔여용량을 파악하는 것이다. 만약 주행영역의 총 용량이 1GB(1024MB)이고, 주행영역에 저장된 주행상황데이터가 총 124MB 만큼 저장되어 있다면, 잔여용량은 900MB가 되는 것이다.
이 때 잔여용량은 각각의 저장영역별로 다를 수 있는데, 이 때 특정한 저장영역에 많은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해당 저장영역의 잔여용량만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영역분할모듈에 포함된 용량반영조절부(130)를 통해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잔여용량을 기반으로 복수개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을 차등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저장영역에 데이터가 집중되는 경우 해당 저장영역의 저장용량을 가변적으로 늘릴 수 있게 하거나, 혹은 특정 저장영역에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는 경우 해당 저장영역의 저장용량을 가변적으로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빈도산출부(530)는 일정 기간 동안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저장빈도를 파악하여 수치화된 저장빈도수를 산출하는 기능을 산출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술한 발생빈도파악부(410)와 그 기능이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저장량파악부(540)는 일정 기간 동안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총량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정 기간, 예를 들어 그 기간이 일주일인 경우 해당 일주일동안 각각의 저장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총량을 각각 파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차녹화에 해당하는 저장영역엔 총 몇 MB(혹은 GB)의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 상시녹화에 해당하는 저장영역엔 총 몇 MB(혹은 GB)의 데이터가 저장되었는지를 각각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나아가 저장영역분할모듈에 포함된 용량반영조절부(130)는 상술한 잔여용량 뿐 아니라 저장빈도수 및 저장된 데이터의 총량을 기반으로 하여 복수개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을 차등 제어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술한 저장용량제어부(430)와 그 기능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나 저장된 데이터의 총량을 함께 반영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나아가 저장매체(30)의 수명주기 향상을 위해 오버라이팅까지의 데이터 잔존시간에 대한 제어 역시 필요한데, 이를 위해 상기 저장영역분할모듈은 잔존시간제어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이를 통해 데이터의 잔존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잔존시간제어부(160)는 각각의 상기 저장빈도수 및 상기 데이터의 총량을 기반으로 복수개의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잔존시간을 제어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블랙박스(10) 저장매체(30)의 경우 데이터 용량이 모두 사용되는 경우 신규 데이터를 덧씌우는, 즉 오버라이팅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추가로 저장한다. 이 때 한 데이터가 저장매체(30)에 저장된 후 오버라이팅 될 때까지의 기간, 즉 저장매체(30) 상에서 남아있을 수 있는 기간이 잔존시간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잔존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요한 데이터가 오버라이팅되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저장매체의 수명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자 패턴 파악 및 그를 이용한 저장용량 조정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술한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을 위한 사용자 패턴 생성 및 예측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블랙박스(10) 저장매체(30)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블랙박스(10)가 구비된 차량 소유주, 즉 사용자의 사용행태, 운전행태, 주변환경 및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하여 분할된 저장영역의 크기를 제어한다고 하였는데, 이에 관계된 구성에 대해 지금부터 설명코자 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 등과 연동 구성되어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주행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가 구비한 스마트폰의 일정 관련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일정정보를 수신하고, 그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주행패턴을 생성하는 주행패턴생성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행패턴생성모듈(600)은 기본적으로 일정정보수신부(610) 및 주행패턴생성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일정정보수신부(610)는 차량 소유주인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캘린더 등과 같은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그로부터 일정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케줄 장소와 시간 등을 입력하면 그를 수신 처리하여 경로나 도착 예정 시간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 후 주행패턴생성모듈(600)은 수신된 일정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주행패턴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자가 주로 어디를 가는지, 어느 시간대에 어디에 있는지를 포함하는 주행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내출장이 잦은 직장인의 경우 출장 관련 사항을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저장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와 같은 출장 관련 사항. 예를 들어 출장 장소, 출장 일정, 도착해야 하는 시간 등을 블랙박스(10)가 수신하여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 나아가 차량에 구비된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운행 경로 등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 내의 ECU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주행 속도나 주행 습관 등과 관련한 사항을 주행패턴 생성에 더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파악된 주행패턴, 예를 들어 출장을 많이 가는 사람(주행녹화가 많이 필요함) / 일정이 거의 없는 사람(주정차녹화가 많이 필요함) 등에 따라 분할된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을 차등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저장영역분할모듈(100)에 포함될 수 있는 패턴반영제어부(14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폰 캘린더 및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 연동 구성은 사용자가 캘린더 및 일정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본인의 일정을 일일이 업로드 해야만 사용자의 주행패턴 등이 생성될 수 있다는 한계성이 있는 바, 이에 더 나아가 사용자의 주행패턴을 자동 생성할 수 있는 구성을 더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에 포함된 주행패턴생성모듈(600)의 사요자 주행패턴 자동 생성을 위해, 상기 주행패턴생성모듈(600)은 기본주행패턴파악부(630)와, 기본주정차패턴파악부(640) 및, 위치경로파악부(650)와, 종합주행패턴산출부(6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본주행패턴파악부(630)는 블랙박스(10)가 설치된 차량의 소유주인 사용자의 기본주행패턴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주행간격파악파트(631), 개별주행시간파악파트(632), 개별주행거리파악파트(633), 평균주행시간파악파트(634), 평균주행거리파악파트(6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이러한 기본주행패턴파악부(630)는 블랙박스(10) 뿐 아니라 차량 안에 구비된 네비게이션의 GIS와 연동 처리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차량의 ECU와 연동 처리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차량에 네비게이션이 탑재되어 있지 않는 경우, 스마트폰의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구성된다.
주행간격파악파트(631)는 상기 차량의 주행 간 간격을 파악하여 주행간격정보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몇 분, 혹은 몇 시간, 혹은 몇일 간격으로 주행을 수행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차량에 시동이 걸려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거나, 혹은 차량의 주행 속도가 0이 아닌 경우를 판단함으로써 주행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주행간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개별주행시간파악파트(632)는 1회 주행 시의 주행시간을 파악하여 개별주행시간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 때 1회 주행이라 함은 시동이 켜졌을 때부터 꺼졌을 때까지의 시간을 파악하거나, 혹은 속도가 0 보다 커진 (주행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속도가 0이 되고 기준 시간 이상 유지된 (정차가 아닌 주차) 시점을 파악하는 방법 등을 통해 주행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정차가 아닌 주차를 파악하는 것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0분 이상 속도가 0이 될 시 정차가 아닌 주차로 판정할 수 있다. 이 때 개별주행시간은 10분, 20분 등의 분 단위, 혹은 5시간, 3시간 등의 시간 단위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분 단위로 산출하도록 한다.
개별주행거리파악파트(633)는 1회 주행 시 주행된 거리를 파악하여 개별주행거리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는 자동차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또는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네비게이션의 GIS 기능과 연동되어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술한 개별주행시간파악파트(632)에서 설명한 1회 주행 시 이동한 거리를 파악한다. 이 때 거리의 단위는 km 또는 mile일 수 있다.
평균주행시간파악파트(634)는 일정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사용자가 주행을 수행한 시간을 파악하여 평균주행시간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개별주행시간파악파트(632)에 의해 산출된 개별주행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일정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사용자가 주행을 수행한 시간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일정 기간이 일주일이라고 가정했을 때, A 사용자가 일주일이라는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하루 2시간의 주행을 수행하는 경우 평균주행시간은 2시간 (120분)이 된다.
평균주행거리파악파트(635)는 일정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사용자가 주행을 수행한 거리를 파악하여 평균주행거리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개별주행거리파악파트(633)를 통해 산출된 개별주행거리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일정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사용자가 주행을 수행한 거리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일정 기간이 일주일이라고 가정했을 때, A 사용자가 일주일이라는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하루 40km 거리의 주행을 수행하는 경우 평균주행거리가 40km가 된다.
따라서 기본주행패턴파악부(630)는 상술한 주행간격파악파트(631), 개별주행시간파악파트(632), 개별주행거리파악파트(633), 평균주행시간파악파트(634), 평균주행거리파악파트(635)를 통해 산출된 주행간격정보, 개별주행시간정보, 개별주행거리정보, 평균주행시간정보, 평균주행거리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본주행패턴을 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본주행패턴을 사용자가 주로 몇 시에 차량을 이용하는지, 차량을 이용하는 시간 간격은 어떠한지(해당 시간 대의 트래픽을 반영할 수 있다), 얼마만큼의 거리를 차로 이동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어 기본적인 사용자의 주행패턴을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기본주정차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데, 이 때 기본주정차패턴의 파악을 위해서는 상기 주행패턴생성모듈(600)에 상기 차량의 주정차간격정보 및 개별주정차시간정보와 평균주정차시간정보를 기반으로 기본주정차패턴을 파악하는 기본주정차패턴파악부(6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기본주정차패턴파악부(640)는 주정차간격파악파트(641), 개별주정차시간파악파트(642), 평균주정차시간파악파트(6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정차간격파악파트(641)는 주차 혹은 정차 간의 간격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술한 주행간격파악파트(631)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따라서 주행간격파악파트(631)에서 파악된 주행간격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간격을 주정차간격으로 파악하여 주정차간격정보로 생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혹은 차량의 시동이 꺼지거나, 차량의 속도가 0인 상태로 기준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이를 주정차로 판단하고, 이러한 주정차 사이의 시간 간격을 판단하여 주정차간격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개별주정차시간파악파트(642)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차량의 1회 주차 혹은 1회 정차 시에 소요된 시간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만약 1회 주차에 3시간 동안 주차를 하였다면, 3시간이 개별주정차시간정보가 되는 것이다. 이 때 주차와 정차를 구분하는 개념은 앞서 설명한 개념을 따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평균주정차시간파악파트(643)는 일정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사용자가 주차 혹은 정차를 수행한 시간을 파악하여 평균주정차시간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개별주정차시간파악파트(642)를 통해 산출된 개별주정차시간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평균주정차시간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A 사용자가 일주일이라는 기간 동안 평균적으로 하루 9시간 동안 주차 혹은 정차를 수행하는 경우 평균주정차시간이 9시간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생성된 주정차간격정보, 개별주정차시간정보, 평균주정차시간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언제 차를 이용하지 않는지, 평균적으로 몇시부터 몇시까지 차를 이용하지 않는지, 정차를 주로 하는지, 주차를 주로 하는지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기본적인 사용자의 주정차패턴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주행패턴생성모듈(600)에 포함된 위치경로파악부(650)를 통해 사용자의 기본경로패턴을 생성하는데, 이 때 기본경로패턴은 상기 차량의 운행경로정보 및 주정차위치정보 및 반복주행경로정보와 반복주정차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며, 이를 위해 위치경로파악부(650)는 운행경로파악파트(651)와, 주정차위치파악파트(652)와, 반복주행경로파악파트(653) 및, 반복주정차위치파악파트(6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주행환경파악파트(6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운행경로파악파트(651)는 상기 차량의 개별(1회) 주행에 따른 운행경로를 파악하여 운행경로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만약 차량이 분당구 금곡동에서 출발하여 강남구 역삼동에 도착하는 경우, 금곡동부터 역삼동까지 차량이 운행을 수행한 경로가 운행경로정보로서 저장된다. 이는 해당 경로의 트래픽 상황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주정차위치파악파트(652)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된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주정차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해당 주정차위치가 트래픽이 많은 곳인지, 주거공간인지, 상업지구인지, 공단인지 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반복주행경로파악파트(653)는 상기 운행경로파악파트(651)를 통해 생성된 운행경로정보 중에서 반복적으로 생성되는 운행경로정보를 반복주행경로정보로 파악하는 것으로서, 해당 경로를 자주 운행한다는 것을 뜻하며, 이는 사용자의 출퇴근길 파악 혹은 사용자가 자주 가는 경로(자녀를 데려다 주는 길, 특정 장소에 특정 경로를 이용하여 자주 가는 것)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반복주정차위치파악파트(654)는 상기 주정차위치파악파트(652)를 통해 파악된 주정차위치정보 중 반복적으로 생성되는 주정차위치정보를 반복주정차위치정보로 파악하는 것이며, 이는 특정 장소에 자주 방문하는 경우 해당 장소의 특성(주거공간, 상업지구, 공단지구) 등을 파악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직업이나 생활 패턴 등을 그를 통해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생성되는 운행경로정보 및 주정차위치정보 및 반복주행경로정보와 반복주정차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출퇴근길, 혹은 사용자가 자주 가는 경로(특정 고속도로를 자주 이용, 특정한 위치를 갈 때 특정한 도로만을 이용, 특정 도로를 피하여 주행함), 자주 가는 위치 등을 판단할 수 있어 사용자가 주로 운행을 수행하는 경로 및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기본경로패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위치경로파악부(650)는 주행환경파악파트(65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주행환경파악파는 생성된 상기 운행경로정보 및 상기 주정차위치정보에 있어서, 해당 운행경로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 및 주정차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날씨정보나, 해당 주정차위치정보 / 혹은 운행경로정보에 터널주행이 포함되어 있는지, 산길이나 급커브구간 등의 사고 위험이 높은 도로를 지나가는지(도로상황정보), 혹은 해당 운행경로정보나 해당 주정차위치정보가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이 많은 위치(교통상황정보) 등을 파악하는 주행환경정보를 더 파악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주행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운전 습관 뿐 아니라 주변의 상황, 예를 들어 날씨나 터널주행, 도로의 상황, 교통 상황 등이 사고 위험성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블랙박스(10)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역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감안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행환경정보가 더 생성되는 경우 상기 위치경로파악파트는 상기 운행경로정보, 주정차위치정보, 반복주행경로정보 및 반복주정차위치정보 및 상기 주행환경정보를 기반으로 기본경로패턴을 파악하게 되며, 이와 같이 기본주행패턴, 기본주정차패턴 및 기본경로패턴이 생성되는 경우 이를 기반으로 주행패턴모듈에 포함된 종합주행패턴산출부(660)가 사용자의 종합주행패턴을 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합주행패턴은 사용자의 주정차패턴, 운행패턴, 주정차위치 및 운행경로에 대한 패턴 뿐 아니라 사용자가 주로 운행을 수행하는 위치에 대한 환경적 요소까지 파악하게 되므로, 해당 종합주행패턴이 사고위험성이 높은지, 혹은 주정차가 잦은지, 주행 상시녹화가 주로 필요한지 등을 파악함에 따라 저장용량이 차등 제어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패턴반영제어부(140)는, 상기 사용자의 종합주행패턴을 기반으로 복수개에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을 차등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상기 주행패턴생성모듈(600)은 사용자의 특이한 운전습관, 예를 들어 급변속, 급제동, 급커브, 잦은 클락션 사용 등을 판단하여 이를 종합주행패턴 산출에 더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주행패턴생성모듈(600)은 특이주행패턴산출부(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이주행패턴산출부(670)는 차량반영정보생성파트(671) 및 특이패턴산출파트(6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때 차량반영정보생성파트(671)는 상기 차량의 급변속여부, 급제동여부, 급커브여부, 클락션사용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파악하여 급변속정보, 급제동정보, 급커브정보, 클락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반영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잦은 급변속, 급제동, 급커브 뿐 아니라 잦은 클락션 사용(난폭운전)에 의해 사고위험성이 높을 수 있다는 것에 판단한 것이며, 그 외의 사용자의 좋지 않은 운전 습관을 차량반영정보로서 더 생성할 수도 있다.
특이패턴산출파트(672)는 상술한 차량반영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특이주행패턴(예를 들어 급커브를 자주 함, 급변속이나 급제동을 자주 함)을 생성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특이주행패턴이 생성되는 경우 주행녹화나 이벤트녹화의 비중이 높아져야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이주행패턴 산출 구성이 더해지는 경우 상기 종합주행패턴산출부(660)는, 상기 기본주행패턴, 기본주차패턴, 기본주정차패턴, 기본경로패턴 및 특이주행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종합주행패턴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며, 이는 기본적인 주행패턴(자주 가는 위치, 자주 운행을 하는 시간, 운행 사이의 간격, 정차 시간, 정차 사이의 간격, 도로 상황, 교통 상황) 외에도 사용자의 특이한 운전 습관을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종합주행패턴산출부(660)가 다음의 Mann-Kendall 통계값의 분산 추정값 및 이에 대한 양측 검증을 기반으로 한 다음의 수학식 2 내지 3을 통해 종합주행패턴 생성 및 신뢰구간 판정을 수행하여 검증된 종합주행패턴을 생성하게 된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09008000-pat00012
여기서,
Figure 112018009008000-pat00013
는 Mann-Kendall 통계값의 분산 추정값,
Figure 112018009008000-pat00014
는 종합주행패턴 산출에 이용된 총 정보의 개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15
는 종합주행패턴 산출에 이용된 각각의 정보에 대한 수치화된 반복 빈도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16
는 종합주행패턴 산출에 이용된 각각의 정보에 대해 설정된 가중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17
은 주행패턴 산출에 이용된 총 데이터의 수를 의미한다.
수학식 3,
Figure 112018009008000-pat00018
여기서,
Figure 112018009008000-pat00019
는 신뢰구간의 간격,
Figure 112018009008000-pat00020
는 양측검증 통계값,
Figure 112018009008000-pat00021
는 오차 허용률,
Figure 112018009008000-pat00022
는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Mann-Kendall 통계값의 분산 추정값을 의미한다.
먼저 수학식 2는 Mann-Kendall 통계값의 분산 추정값을 이용하여 상종합주행패턴 산출에 이용된 모든 정보, 다시 말해 주행간격정보 및 개별주행시간정보와 개별주행거리정보 및 평균주행시간정보와 평균주행거리정보, 주정차간격정보 및 개별주정차시간정보와 평균주정차시간정보, 운행경로정보 및 주정차위치정보 및 반복주행경로정보와 반복주정차위치정보, 주행환경정보, 차량반영정보 등을 상호 비교 처리하여 일차적인 종합주행패턴을 생성한다.
이에 더해 Sen의 경향성 분석법을 적용하여 검증된 종합주행패턴, 즉 비교 처리한 값을 기반으로 신뢰 가능한 구간을 결정하여 확정된 종합주행패턴을 결정하는 것이며, 수학식 3에서는 해당 구간, 즉 신뢰구간 사이의 간격을 파악함으로써 검증된 종합주행패턴을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Sen의 경향성 분석법은 비모수적 분석 방법으로서, 실제로 산출된 값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구간 기울기 값들의 서열을 이용하게 하여, 이상값이나 결측값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특징이 있다.
결과적으로 종합주행패턴은 수학식 2를 통해 산출된 통계값의 분산 추정값에 수학식 3을 통한 양측검증 통계값, 그리고 오차 허용률을 반영하여 생성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통계 분산의 경우 Mann-Kendall 통계값 및 Sen의 경향성 분석법을 적용하여 산출하는 것이므로 이를 참조하면 된다.
이러한 Mann-Kendall 통계값 및 Sen의 경향석 분석은 비모수적 통계 분석 방법의 일환으로서, 일반적으로 오염값의 산출이나 강수량 등의 통계에 있어서만 적용되어 왔으나, 본 발명의 종합주행패턴 산출에 있어 이와 같은 Mann-Kendall 통계값 및 Sen의 경향성 분석법을 도입함으로써 양 격차가 있는 (주행을 하지 않음 / 주행을 수행함과 같은 극적인 비교가 가능)한 차량의 이용에 관련한 통계적 분석을 가능케 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통계 및 경향성 분석, 그리고 검증을 수행하는 방식을 통해 검증된 종합주행패턴을 산출함으로써 종합주행패턴 생성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며, 보다 표준화, 수치화된 종합주행패턴의 결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합주행패턴을 기반으로 블랙박스(10) 저장매체(30)에 포함된 각각의 저장영역의 저장용량을 설정하여 저장매체(30)의 용량을 분할 처리할 수 있는 것이며, 이 때 사용자로부터 저장영역 할당량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값을 반영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할당량을 입력받지 못한 경우 상술한 종합주행패턴 만으로 저장용량의 분할이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이러한 저장용량 분할은 1회성으로 진행될 수도 있으나, 재설정 주기가 설정된 경우 재설정 주기가 도래함에 따라 저장용량 분할이 다시 일어날 수도 있다. 즉 저장용량 분할 설정에 대한 재설정이 주기적으로 일어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재설정 여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 역시 가능하며, 혹은 시스템 상에서 재설정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경우, 즉 용량 부하가 발생된다고 파악되는 경우 시스템 상에서 재설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더불어 이와 같이 주행패턴이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종합주행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근 시일 내의 미래주행패턴, 예를 들어 내일 어떠한 주행패턴을 나타낼 것인지(어디를 갈 것인지, 어느 경로로 주행을 수행할 것인지, 얼마나 긴 시간동안 주정차를 수행할 것인지) 등을 예측하여 이를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 조정에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주행패턴생성모듈(600)은 생성된 상기 종합주행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일정 기간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미래주행패턴을 생성하는 미래주행패턴생성부(6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래주행패턴생성부(680)은 일정 기간 내, 예를 들어 내일, 이번 주말, 몇 시간 뒤 등의 일정 기간 범위에서 사용자의 미래주행패턴을 예측하는 것이며, 만약 특정 사용자가 주말에 난폭운전을 수행하며 장거리 운전을 자주 함과 동시에 고속도로 주행을 자주 하는 패턴을 보인다면, 주말을 앞둔 상황에서의 미래주행패턴은 주말 / 난폭운전 / 장거리 운전 / 고속도로 주행을 포함하는 미래주행패턴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는 장기간, 최소한 한 달 내지 3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산출된 종합주행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근 시일 내의 미래주행패턴을 예측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미래주행패턴 생성 시 해당 주행패턴에 맞는 저장용량 할당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주말에 주로 집에 있는 사용자(집에서의 주정차 시간이 길고 주정차위치가 거의 집으로만 산출됨)의 경우 주정차영상이 많이 녹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저장영역분할모듈(100)에 포함될 수 있는 용량재조정부(150)를 통해 상기 패턴반영제어부(140)를 통해 차등 제어된 상기 저장용량에 상기 미래주행패턴을 반영하여 복수개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을 재조정할 수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상기 용량조절모듈(400)을 통한 개별 데이터의 파일용량 제어에 있어서도 상기 종합주행패턴, 나아가 미래주행패턴을 반영하여 상기 개별 데이터에 대한 파일용량을 재조정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용량조절모듈(400)은 예측조정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측조정부(430)는 상기 파일용량제어부(420)를 통해 제어된 상기 파일용량에 상기 종합주행패턴, 나아가 종합주행패턴을 기반으로 생성된 미래주행패턴을 반영하여 개별 데이터에 대한 파일용량을 재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 때 다음의 수학식 4가 이용된다.
수학식 4,
Figure 112018009008000-pat00023
여기서
Figure 112018009008000-pat00024
는 개별 데이터의 파일용량,
Figure 112018009008000-pat00025
는 해당 개별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영역의 전체 저장용량,
Figure 112018009008000-pat00026
는 기 설정된 산출기간의 길이,
Figure 112018009008000-pat00027
는 수치화된 빈도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28
은 행동패턴가중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29
는 양측검증 통계값,
Figure 112018009008000-pat00030
는 오차 허용률,
Figure 112018009008000-pat00031
는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Mann-Kendall 통계값의 분산 추정값을 의미한다.
이는 수학식 1의 파일용량 조절 구성에 있어 수학식 3의 신뢰구간이 판정된 종합주행패턴을 반영한 것이며, 이를 통해 분산화된 수치로 표현된 종합주행패턴을 파일용량 조절에 반영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10) 저장매체(30)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블랙박스 20 : 카메라
30 : 저장매체 40 : 컨트롤러
100 : 저장영역분할모듈 110 : 분할처리부
120 : 분할용량설정부 130 : 용량반영조절부
140 : 패턴반영제어부 150 : 용량재조정부
200 : 저장영역할당모듈 210 : 저장그룹설정부
220 : 저장영역할당부 300 : 저장모듈
400 : 파일용량조절모듈 410 : 발생빈도파악부
420 : 파일용량제어부 430 : 예측조정부
500 : 용량파악모듈 510 : 전체용량파악부
520 : 잔여용량파악부 600 : 주행패턴생성모듈
610 : 일정정보수신부 620 : 주행패턴생성부
630 : 기본주행패턴파악부 631 : 주행간격파악파트
632 : 개별주행시간파악파트 633 : 개별주행거리파악파트
634 : 평균주행시간파악파트 635 : 평균주행거리파악파트
640 : 기본주정차패턴파악부 641 : 주정차간격파악파트
642 : 개별주정차시간파악파트 643 : 평균주정차시간파악파트
650 : 위치경로파악부 651 : 운행경로파악파트
652 : 주정차위치파악파트 653 : 반복주행경로파악파트
654 : 반복주정차위치파악파트 655 : 주행환경파악파트
660 : 종합주행패턴산출부 670 : 특이주행패턴산출부
671 : 차량반영정보생성파트 672 : 특이패턴산출파트
680 : 미래주행패턴생성부

Claims (10)

  1.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으로서,
    상기 저장매체를 복수개의 저장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처리부 및,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기본저장용량을 설정하는 분할용량설정부를 포함하는 저장영역분할모듈;
    상기 블랙박스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복수개의 데이터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저장그룹으로 분류하는 저장그룹설정부 및, 각각의 저장그룹별로 하나의 상기 저장영역을 할당하는 저장영역할당부를 포함하는 저장영역할당모듈;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각각 할당된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저장모듈;
    일정 기간 동안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저장빈도를 파악하여 수치화된 저장빈도수를 산출하는 빈도산출부 및, 일정 기간 동안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데이터의 총량을 파악하는 저장량파악부를 포함하는 용량파악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영역분할모듈은,
    각각의 상기 저장빈도수 및 상기 데이터의 총량을 기반으로 복수개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을 차등 제어하는 용량반영조절부 및, 각각의 상기 저장빈도수 및 상기 데이터의 총량을 기반으로 복수개의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잔존시간을 제어하는 잔존시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일정 기간 동안의 데이터 발생빈도를 파악하여 수치화된 빈도수를 산출하는 발생빈도파악부 및,
    상기 빈도수를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을 재설정하는 저장용량제어부를 포함하는 용량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조절모듈은,
    상기 빈도수를 기반으로 개별 데이터에 대한 파일용량을 제어하는 파일용량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파일용량제어부는,
    다음의 수학식 1을 기반으로 하여 개별 데이터에 대한 파일용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18009008000-pat00032

    (여기서
    Figure 112018009008000-pat00033
    는 개별 데이터의 파일용량,
    Figure 112018009008000-pat00034
    는 해당 개별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영역의 전체 저장용량,
    Figure 112018009008000-pat00035
    는 전체 개별 데이터의 발생 횟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36
    는 기 설정된 산출기간의 길이,
    Figure 112018009008000-pat00037
    는 수치화된 빈도수를 의미한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사용자가 구비한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일정정보를 수신받는 일정정보수신부 및,
    상기 일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주행패턴을 생성하는 주행패턴생성부를 포함하는 주행패턴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영역분할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주행패턴을 기반으로 복수개에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을 차등 제어하는 패턴반영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상기 블랙박스가 설치된 차량에 대한 주행간격정보 및 개별주행시간정보와 개별주행거리정보 및 평균주행시간정보와 평균주행거리정보를 기반으로 기본주행패턴을 파악하는 기본주행패턴파악부와,
    상기 차량의 주정차간격정보 및 개별주정차시간정보와 평균주정차시간정보를 기반으로 기본주정차패턴을 파악하는 기본주정차패턴파악부 및,
    상기 차량의 운행경로정보 및 주정차위치정보 및 반복주행경로정보와 반복주정차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기본경로패턴을 파악하는 위치경로파악부 및,
    상기 기본주행패턴, 기본주정차패턴 및 기본경로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종합주행패턴을 생성하는 종합주행패턴산출부를 포함하는 주행패턴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턴반영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종합주행패턴을 기반으로 복수개에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을 차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경로파악부는,
    상기 운행경로정보 및 상기 주정차위치정보에 해당하는 날씨정보, 터널주행정보, 도로상황정보, 교통상황정보를 포함하는 주행환경정보를 파악하는 주행환경파악파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운행경로정보, 주정차위치정보, 반복주행경로정보 및 반복주정차위치정보 및 상기 주행환경정보를 기반으로 기본경로패턴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패턴생성모듈은,
    상기 차량의 급변속여부, 급제동여부, 급커브여부, 클락션사용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파악하여 차량반영정보를 생성하는 차량반영정보생성파트와,
    상기 차량반영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특이주행패턴을 산출하는 특이패턴산출파트로 이루어진 특이주행패턴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종합주행패턴산출부는,
    상기 기본주행패턴, 기본주차패턴, 기본주정차패턴, 기본경로패턴 및 특이주행패턴을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종합주행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패턴생성모듈은,
    생성된 상기 종합주행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일정 기간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에 대한 미래주행패턴을 생성하는 미래주행패턴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영역분할모듈은,
    상기 패턴반영제어부를 통해 차등 제어된 상기 저장용량에 상기 미래주행패턴을 반영하여 복수개의 상기 저장영역에 대한 저장용량을 재조정하는 용량재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은,
    기 설정된 산출기간 동안의 데이터 발생빈도를 파악하여 수치화된 빈도수를 산출하는 발생빈도파악부 및,
    상기 데이터 발생빈도를 기반으로 개별 데이터에 대한 파일용량을 제어하는 파일용량제어부와,
    상기 파일용량제어부를 통해 제어된 상기 파일용량에 상기 종합주행패턴을 반영하여 상기 개별 데이터에 대한 파일용량을 재조정하는 예측조정부를 포함하는 파일용량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주행패턴산출부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종합주행패턴을 생성하며,
    다음의 수학식 3을 통해 상기 종합주행패턴에 대한 양측 검증을 수행하여 산출된 신뢰구간 범위 내에서 검증된 종합주행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예측조정부는,
    다음의 수학식 4를 통해 개별 데이터에 대한 파일용량을 재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수학식 2,
    Figure 112018009008000-pat00038

    (여기서,
    Figure 112018009008000-pat00039
    는 Mann-Kendall 통계값의 분산 추정값,
    Figure 112018009008000-pat00040
    는 종합주행패턴 산출에 이용된 총 정보의 개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41
    는 종합주행패턴 산출에 이용된 각각의 정보에 대한 수치화된 반복 빈도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42
    는 종합주행패턴 산출에 이용된 각각의 정보에 대해 설정된 가중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43
    은 주행패턴 산출에 이용된 총 데이터의 수를 의미한다)
    수학식 3,
    Figure 112018009008000-pat00044

    (여기서,
    Figure 112018009008000-pat00045
    는 신뢰구간의 간격,
    Figure 112018009008000-pat00046
    는 양측검증 통계값,
    Figure 112018009008000-pat00047
    는 오차 허용률,
    Figure 112018009008000-pat00048
    는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Mann-Kendall 통계값의 분산 추정값을 의미한다.)
    수학식 4,
    Figure 112018009008000-pat00049

    (여기서
    Figure 112018009008000-pat00050
    는 개별 데이터의 파일용량,
    Figure 112018009008000-pat00051
    는 해당 개별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영역의 전체 저장용량,
    Figure 112018009008000-pat00052
    는 기 설정된 산출기간의 길이,
    Figure 112018009008000-pat00053
    는 수치화된 빈도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54
    은 행동패턴가중치,
    Figure 112018009008000-pat00055
    는 양측검증 통계값,
    Figure 112018009008000-pat00056
    는 오차 허용률,
    Figure 112018009008000-pat00057
    는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된 Mann-Kendall 통계값의 분산 추정값을 의미한다.)
KR1020180009578A 2018-01-25 2018-01-25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KR101856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78A KR101856185B1 (ko) 2018-01-25 2018-01-25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578A KR101856185B1 (ko) 2018-01-25 2018-01-25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185B1 true KR101856185B1 (ko) 2018-05-09

Family

ID=6220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578A KR101856185B1 (ko) 2018-01-25 2018-01-25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1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087B1 (ko) * 2019-09-04 2020-10-13 (주)데이터허브 Sat 방식이 적용된 차량용 블랙박스의 데이터 저장방법
KR102181578B1 (ko) * 2020-07-31 2020-11-23 (주)데이터허브 Sat 가변 데이터블록 방식이 적용되는 차량용 블랙박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631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차량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KR101381746B1 (ko) * 2013-02-14 2014-04-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20150108464A (ko) * 2014-03-17 2015-09-30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영상 사고 기록 장치의 저장 공간에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37661A (ko) * 2014-05-30 2015-12-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블랙박스 장치를 위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657470B1 (ko) * 2015-07-28 2016-09-19 (주)에이치아이디솔루션 블랙박스의 데이터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3631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차량 정보 저장 방법 및 장치
KR101381746B1 (ko) * 2013-02-14 2014-04-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20150108464A (ko) * 2014-03-17 2015-09-30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영상 사고 기록 장치의 저장 공간에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37661A (ko) * 2014-05-30 2015-12-0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블랙박스 장치를 위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657470B1 (ko) * 2015-07-28 2016-09-19 (주)에이치아이디솔루션 블랙박스의 데이터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087B1 (ko) * 2019-09-04 2020-10-13 (주)데이터허브 Sat 방식이 적용된 차량용 블랙박스의 데이터 저장방법
KR102181578B1 (ko) * 2020-07-31 2020-11-23 (주)데이터허브 Sat 가변 데이터블록 방식이 적용되는 차량용 블랙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1064B2 (en) Server determined bandwidth saving in transmission of events
EP1840858B1 (en) System for estimating the location of vehicles in parking lots
US8849492B2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EP3374981B1 (en) Traffic estimation
CN104908741A (zh) 自主驾驶传感系统及方法
US7818123B2 (en) Routing guide system and method
JP4623156B2 (ja) 車両情報記録システム、車両情報記録装置、車両情報記録方法
EP3679552A1 (en) Electronic logging and track identification system for mobile telematics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 thereof
EP3114663A1 (en) Estimating traveler volume by evaluating aerial images
US20170004660A1 (en) Device determined bandwidth saving in transmission of events
ITUA20164814A1 (it) Sistema e procedimento per il bilanciamento dell'elaborazione di dati e segnali di sensori in un veicolo.
WO2014013545A1 (ja) 車載機およびセンター装置
KR101856185B1 (ko)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WO2024067210A1 (zh) 一种交通状态确定方法、装置及设备
KR20130108928A (ko) 차량 사고 정보 수집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차량 사고 정보 수집 시스템
CN107871393B (zh) 一种自动判别车辆违章占用禁行车道的方法及其系统
CN110827562A (zh) 使用公共交通提供路线引导的车辆和方法
JP5756658B2 (ja) 車両用情報記録装置
JP2013539135A (ja) 局地的な交通流を推計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902211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hazard map for identifying at least one hazardous location for a vehicle
US202001938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4313457B2 (ja) 移動時間予測システ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移動時間予測方法、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入手装置
CN113129639A (zh) 停车位置信息管理方法、装置、计算机储存介质及车辆中控设备
CN111183464A (zh) 基于车辆轨迹数据估计信号交叉路口的饱和流量
JP7347502B2 (ja) 渋滞情報提供装置、渋滞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