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470B1 - 블랙박스의 데이터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블랙박스의 데이터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470B1
KR101657470B1 KR1020150106387A KR20150106387A KR101657470B1 KR 101657470 B1 KR101657470 B1 KR 101657470B1 KR 1020150106387 A KR1020150106387 A KR 1020150106387A KR 20150106387 A KR20150106387 A KR 20150106387A KR 101657470 B1 KR101657470 B1 KR 101657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rea
stored
vehicle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형태
이병희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아이디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아이디솔루션 filed Critical (주)에이치아이디솔루션
Priority to KR1020150106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470B1/ko
Priority to PCT/KR2016/007684 priority patent/WO201701870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정보기록장치의 데이터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기록을 저장하는 차량정보기록장치에서 저장되는 데이터의 단편화를 방지하는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영역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종류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데이터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으로 가상 분할하는 데이터영역분할부,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 분할영역에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저장제어부 및 상기 분할영역 별로 분류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한 데이터영역상의 주소 및 저장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 데이터정보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랙박스의 데이터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DATA FRAGMENTATION IN BLACKBOX}
본 발명은 블랙박스의 데이터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정보 기록장치인 블랙박스에 기록된 데이터가 저장됨에 따라 발생하는 단편화를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영역을 블랙박스에서 기록되는 데이터의 종류 별로 구분하여 데이터의 종류별로 나누어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단편화를 방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차량에 장착되어 평상시 차량의 주행 상태를 기록하거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상황을 저장하는 블랙박스가 사고발생시 인과관계를 쉽게 규명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는 상시적으로 차량의 주행상황을 저장하면서도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의 경우, 이벤트가 발생한 때를 기준으로 전후 시간에 차량의 주행상황을 별도로 저장을 한다.
이에 따라 블랙박스는 데이터의 저장 및 삭제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반복되는 데이터의 저장 및 삭제로 인해 데이터가 단편화됨에 따라 블랙박스가 차량의 주행 데이터를 저장할 때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6-0076951 호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관한 것으로 X축 방향의 가속도값을 읽어내는 X-축 가속도센서와 X-축 가속도센서와 직각을 이루며 Y축 방향의 가속도값을 읽어내는 Y-축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X-축 또는 Y-축방향의 가속도변화량을 구하고, X-축 또는 Y-축방향의 가속도변화량이 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고로 판단되는 경우 사고 전후 소정 시간만큼의 X-축 또는 Y-축방향의 가속도값을 저장하는 초간편 단순 구조를 갖는 블랙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블랙박스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영역을 블랙박스가 생성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가상으로 분할하고, 가상으로 분할된 데이터영역에 각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블랙박스의 데이터영역을 가상으로 분할하여, 각 데이터영역에서 마지막에 기록된 데이터의 위치만으로 간단하게 데이터의 단편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운행기록을 저장하는 블랙박스에서 저장되는 데이터의 단편화를 방지하는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영역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종류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데이터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으로 가상 분할하는 데이터영역분할부,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 분할영역에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저장제어부 및 상기 분할영역 별로 분류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한 데이터영역상의 주소 및 저장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 데이터정보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가 차량의 운행기록을 저장하는 블랙박스에서 저장되는 데이터의 단편화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종류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데이터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으로 가상 분할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 분할영역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분할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영역에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영역 별로 분류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한 데이터영역상의 주소 및 저장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블랙박스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영역을 블랙박스가 생성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가상으로 분할하고, 가상으로 분할된 데이터영역에 각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블랙박스의 데이터영역을 가상으로 분할하여, 각 데이터영역에서 마지막에 기록된 데이터의 위치만으로 간단하게 데이터의 단편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단편화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단편화방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데이터영역’이란 저장장치에서 데이터가 실제 기록되는 영역으로 데이터영역은 일렬로 나열된 하나 이상의 단위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단위영역은, 저장된 데이터에 데이터단편화장치(100)가 접근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영역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 구분되도록 논리적으로 데이터영역을 분할할 수 있으며, 가상으로 분할된 데이터영역을 ‘분할영역’이라고 한다.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이 가능할 수 있고, 카메라와 가속도 또는 장치의 동작상태를 인지하는 센서를 포함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차량정보기록장치인 블랙박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로서, 직접 또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우선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데이터저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부(110)는 차량의 외부상태를 녹화하는 카메라, 차량의 움직임의 변화를 인지하는 센서 또는 차량의 각종 장치의 상태를 인지하는 센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데이터저장부(110)는 블랙박스의 입력장치인 카메라 또는 센서 등을 통해 녹화되거나 감지되는 데이터를 데이터영역에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의 저장날짜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저장부(110)는 일상적인 차량의 상태를 기록한 주행데이터, 차량의 가속도 또는 자세 등의 변화를 기록한 모션데이터 및 차량에 기 설정된 조건에 따른 이벤트 발생시 차량의 상황을 기록한 이벤트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비트(bit)열을 데이터영역에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데이터영역분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영역분할부(120)는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데이터영역을 차량에 대한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으로 가상 분할할 수 있다.
즉, 데이터영역분할부(120)는 블랙박스에서 생성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분류하여 각각 특정 데이터영역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나의 데이터영역을 데이터의 종류 수에 따라 가상으로 데이터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영역분할부(120)는 사용자에 의한 설정 또는 기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 크기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분할영역 별로 데이터영역상의 경계지점의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영역분할부(120)는 데이터영역에서 각 분할영역이 시작되는 지점의 단위영역 주소와 종료되는 지점의 단위영역 주소를 분할영역 별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데이터저장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저장제어부(130)는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 분할영역에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저장제어부(130)는 생성된 데이터의 헤더를 참조하여, 생성된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데이터의 종류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가 저장될 분할영역을 결정하여 데이터영역분할부(120)로부터 해당 분할영역의 경계에 대한 주소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저장제어부(130)는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될 분할영역에서 최근 저장된 데이터의 주소 다음부터 식별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저장제어부(130)는 저장되는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기 전에 분할영역의 종료 경계에 도달하는 경우, 해당 분할영역의 시작 경계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분할영역의 시작 경계에 데이터가 존재하면, 데이터저장제어부(130)는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는 신호를 후술할 데이터저장알림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해당 분할영역의 시작 경계에 데이터가 없으면, 데이터저장제어부(130)는 계속해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저장제어부(130)는 분할영역에서 저장된 데이터의 시작 위치 주소와 종료 위치 주소 각각을 후술할 데이터정보관리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데이터정보관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정보관리부(140)는 분할영역 별로 분류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한 데이터영역상의 주소를 관리할 수 있다.
즉, 데이터정보관리부(140)는 각 분할영역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대해 저장된 시간 및 분할영역 내에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영역상의 시작 주소와 종료 주소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정보관리부(140)는 각 분할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오래된 데이터가 먼저 삭제될 수 있도록 자료구조의 한 형태인 큐(queue)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고, 데이터가 삭제되는 경우 큐에서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데이터영역을 블랙박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가상으로 분할하여 분할영역을 생성하여 각 분할영역 별로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만 저장함으로써, 새로운 데이터와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 중 오래된 데이터를 삭제하여도 새로운 데이터가 저장될 분할영역에서는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단편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데이터저장알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저장알림부(150)는 차량에 대한 데이터의 저장에 대한 성공여부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저장알림부(150)는 데이터저장제어부(130)로부터 데이터의 저장 성공여부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전달된 신호에 따라 데이터의 저장여부 및 분할영역의 공간부족 여부 등을 알릴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단편화방지방법은 도 1 에 도시된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에 도시된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단편화방지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블랙박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종류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데이터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으로 가상 분할할 수 있다(S2001).
이때, 데이터영역은 하나 이상의 단위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단위영역에는 임의의 접근이 가능하도록 고유한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
도 3 은 데이터영역을 도시화한 예시도로 이를 참조하면, 데이터영역(300)은 하나 이상의 단위영역(301)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단위영역(301)에는 랜덤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주소가 할당될 수 있으며, 주소는 단위영역(301)의 배열순서에 따라 연속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블랙박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데이터영역을 균등하게 분할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데이터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일정기간 블랙박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기초하여 생성된 데이터의 비율에 따라 데이터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분할된 데이터영역의 각 경계를 저장함으로써 분할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S2002).
즉,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S2001단계에서 설정된 각 분할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데이터영역에서 각 분할영역의 크기만큼 가상의 경계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경계의 단위영역 주소를 저장함으로써 분할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데이터영역(300)에서 주행데이터만을 저장할 분할영역을 분할하기 위해, 분할영역의 시작 단위영역(301)의 주소 ‘1’과 종료 단위영역(302)의 주소 ‘24’ 를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영역(300)에서 가상의 분할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 분할영역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003).
즉,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데이터의 헤더를 분석하여 차량에 대한 데이터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데이터의 종류에 매칭된 분할영역의 경계에 대한 데이터영역상의 주소와 해당 분할영역에서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영역상의 주소를 기초로 차량에 대한 데이터의 저장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 는 분할된 데이터영역을 도시한 예시도로 이를 참조하면,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새로 저장할 데이터의 헤더를 분석하여 주행데이터임을 판단할 수 있고, 주행데이터 분할영역(401)의 주소인 ‘1’ 내지 ‘24’에서 마지막으로 저장된 주행데이터(402)가 저장된 주소 ‘1’ 내지 ‘8’ 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주소 ‘9’ 내지 ‘24’에 새로운 주행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새롭게 저장할 데이터가 분할영역에 저장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04).
예를 들어, S2003에서 식별된 데이터의 종류가 주행데이터인 경우,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주행데이터가 저장되는 분할영역 중 다른 주행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빈 영역에 새로운 주행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 는 분할영역을 도시한 예시도로 이를 참조하면,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주행데이터 분할영역(401)에 새로운 주행데이터(501)의 크기인 ‘1’ 내지 ‘16’ 만큼의 빈 영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롭게 저장할 데이터가 분할영역에 저장될 수 없는 경우,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데이터가 저장영역이 부족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고, 기 저장된 데이터의 삭제여부를 알릴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삭제할 데이터를 선택받을 수 있다.
이후,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새롭게 저장할 데이터가 저장될 분할영역에 기 저장된 데이터 중 저장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S2005).
즉,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S2003단계에서 결정된 분할영역에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을 때까지 해당 분할영역에서 오래된 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도 5 는 빈 영역이 없는 분할영역을 도시한 예시도로 이를 참조하면,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새로운 주행데이터(501)의 크기인 ‘1’ 내지 ‘16’ 만큼의 빈 영역을 주행데이터 분할영역(401)에 생성하기 위해, 주행데이터 분할영역(401)에 저장된 데이터 ‘1’ 내지 ‘8’, ‘9’ 내지 ‘14’ 그리고 ‘15’ 내지 ‘24’ 를 순차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이후,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분할영역 별로 분류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한 데이터영역상의 주소 및 저장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S2006).
예를 들어,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S2004단계에서 식별된 빈 영역 또는 S2005단계를 통해 기 저장된 주행데이터를 삭제하여 확보된 빈 영역에 새로운 주행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새롭게 저장된 주행데이터의 분할영역에서의 주소와 주행데이터의 저장시간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S2005단계를 통해 주행데이터 분할영역(401)에 기 저장된 주행데이터인 ‘1’ 내지 ‘24’를 모두 삭제할 수 있고, 삭제된 위치에 새로운 주행데이터(501)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새로운 주행데이터(501)가 저장된 위치인 ‘1’ 내지 ‘16’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새로운 차량에 대한 데이터의 저장에 대한 성공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여, 이벤트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이벤트데이터 분할영역에서 이벤트데이터가 삭제되었음을 알림과 동시에 새로운 이벤트데이터가 저장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100)는 새롭게 저장된 데이터를 확인 재생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질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단편화방지 방법을 통해, 기존 블랙박스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영역에 저장함에 따라, 전체 데이터 중 오래된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아닌 새롭게 저장할 데이터와 동일한 종류의 데이터 중 오래된 데이터를 삭제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데이터의 단편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
도 2 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단편화방지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데이터단편화방지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데이터단편화방지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
110: 데이터저장부 140: 데이터정보관리부
120: 데이터영역분할부 150: 데이터저장알림부
130: 데이터저장제어부

Claims (12)

  1. 차량의 운행기록을 저장하는 블랙박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단편화를 방지하는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데이터영역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종류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데이터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으로 가상 분할하는 데이터영역분할부;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 분할영역에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저장제어부; 및
    상기 분할영역 별로 분류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한 데이터영역상의 주소 및 저장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관리하는 데이터정보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영역분할부는,
    상기 분할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영역에서 결정된 분할영역의 크기에 따라 경계를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영역상의 상기 경계의 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저장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의 종류를 결정하고, 결정된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분할영역에서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종료 위치 다음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저장제어부는,
    상기 분할영역에 저장된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각각의 데이터영역상의 주소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정보관리부는,
    제공된 데이터영역상의 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정보관리부는
    각 분할영역 별로 저장된 시간 순서에 따라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삭제되도록 각 분할영역 별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각각 관리하는,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의 저장에 대한 성공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데이터저장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
  7. 데이터단편화방지장치가 차량의 운행기록을 저장하는 블랙박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단편화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종류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으로 가상 분할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각 분할영역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분할영역에 해당하는 데이터영역에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영역 별로 분류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각각에 대한 데이터영역상의 주소 및 저장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영역으로 가상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영역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영역에서 결정된 분할영역의 크기에 따라 경계를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영역상의 상기 경계의 주소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단편화방지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영역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의 종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데이터의 종류에 대응하는 분할영역에서 마지막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종료 위치 다음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단편화방지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할영역 별로 분류되어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영역에 저장된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 각각의 데이터영역상의 주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단편화방지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단편화방지방법은,
    상기 차량에 대한 데이터의 저장에 대한 성공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단편화방지방법.
  12. 블랙박스에 의해 수행되고, 제 7 항,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인식 가능한 비일시적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06387A 2015-07-28 2015-07-28 블랙박스의 데이터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657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87A KR101657470B1 (ko) 2015-07-28 2015-07-28 블랙박스의 데이터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
PCT/KR2016/007684 WO2017018701A1 (ko) 2015-07-28 2016-07-14 블랙박스의 데이터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387A KR101657470B1 (ko) 2015-07-28 2015-07-28 블랙박스의 데이터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7470B1 true KR101657470B1 (ko) 2016-09-19

Family

ID=5710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387A KR101657470B1 (ko) 2015-07-28 2015-07-28 블랙박스의 데이터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7470B1 (ko)
WO (1) WO20170187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185B1 (ko) * 2018-01-25 2018-05-09 에이에스 주식회사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7195A (ko) * 2012-01-27 2013-08-06 주식회사 케이티 블랙박스 기능과 내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한 통신 단말 및 영상 데이터 저장 방법
KR101381746B1 (ko) * 2013-02-14 2014-04-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423A (ko) * 2011-08-29 2013-03-08 정성현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KR101457764B1 (ko) * 2012-09-14 2014-11-03 송상훈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1270399B1 (ko) * 2013-02-13 2013-06-07 (주)디에스글로벌 차량용 블랙박스의 임의조작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7195A (ko) * 2012-01-27 2013-08-06 주식회사 케이티 블랙박스 기능과 내비게이션 기능을 구비한 통신 단말 및 영상 데이터 저장 방법
KR101381746B1 (ko) * 2013-02-14 2014-04-07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185B1 (ko) * 2018-01-25 2018-05-09 에이에스 주식회사 블랙박스 저장매체의 데이터 저장영역 할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8701A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3438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データ管理方法
CN106469022B (zh) 存储驱动器的存储管理方法和系统
US20160092370A1 (en) Pass-through tape access in a disk storage environment
US20140052692A1 (en) Virtual Machine Snapshot Backup Based on Multilayer De-duplication
US20220171701A1 (en) Garbage collection - automatic data placement
KR20190071764A (ko)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이미지를 애니메이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8849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storage using client-side global persistent cache
JP2006172458A (ja) 不揮発性保存装置に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をブロック単位で保存する方法及び装置
JP6734768B2 (ja) 二重書込みを遂行するストレージ装置を含むシステム、装置、及びその方法
EP3142014B1 (en) Method, device and user equipment for reading/writing data in nand flash
CN106910528A (zh) 一种固态硬盘数据巡检的优化方法及装置
CN103558998A (zh) 一种数据操作的方法和设备
CN104572917A (zh) 数据锁定方法、装置及分布式存储系统
US20160196079A1 (en) Reusing storage blocks of a file system
US8903804B2 (en) Data existence judging device and data existence judging method
KR101657470B1 (ko) 블랙박스의 데이터 단편화 방지 방법 및 장치
US9971549B2 (en) Method of operating a memory device
CN105446652B (zh) 进行摄像数据存储的方法及装置
JP6215631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データ管理方法
CN105630967A (zh) 一种基于gis显示数据的缓存方法及装置
KR101643278B1 (ko)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스토리지 서버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US115139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write performance for log structured storage systems
CN105260132A (zh) 一种热加载磁盘过滤驱动的方法与设备
US20100077147A1 (en) Methods for caching directory structure of a file system
US110035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arallel mark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