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326B1 - 포화오존수,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포화오존수,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326B1
KR101090326B1 KR1020090015838A KR20090015838A KR101090326B1 KR 101090326 B1 KR101090326 B1 KR 101090326B1 KR 1020090015838 A KR1020090015838 A KR 1020090015838A KR 20090015838 A KR20090015838 A KR 20090015838A KR 101090326 B1 KR101090326 B1 KR 101090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water
saturated
low temperatu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6785A (ko
Inventor
김원경
Original Assignee
삼보과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과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과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5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32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6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화오존수,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오존용해챔버와 이를 감싸는 저온챔버에 저온수를 이용하여 오존용해챔버 내에 공급한 순수한 물의 온도저하 및 온도유지를 하고, 오존용해챔버 내부의 확산층에 의해 오존가스가 확산하여 저온의 순수한 물에 접촉하여 흡수되면서 말미에는 오존가스가 순수한 물에 포화됨으로써, 양질의 포화오존수를 제공하는 포화오존수,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축, 오존, 오존수, 장치, 확산, 저온수, 챔버

Description

포화오존수,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Saturate ozone water, Saturate ozone water manufacture equipment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포화오존수,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오존용해챔버와 이를 감싸는 저온챔버에 저온수를 이용하여 오존용해챔버 내에 공급한 순수한 물의 온도저하 및 온도유지를 하고, 오존용해챔버 내부의 확산층에 의해 오존가스가 확산하여 저온의 순수한 물에 접촉하여 흡수되면서 말미에는 오존가스가 순수한 물에 포화됨으로써, 양질의 포화오존수를 제공하는 포화오존수,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존수의 강한 산화력과 오존의 자기 분해성에 의한 환경에 대한 저부하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오존수의 이용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오존수를 이용한 처리는 오존수 제조 설비로부터 공급되는 오존수를 피처리 대상물을 수용한 처리시설에 직접 도입하거나, 피처리 대상물에 직접 흘려 내리는 등의 방법에 의해 진행된다.
오존수의 강한 산화력을 이용하는 처리에서는, 온도, 처리 시간, 오존수의 농도, 오존수의 유량 및 처리 방법이, 일정한 처리 성능을 얻기 위한 중요한 요인 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 처리 시간에 관해서는 처리 설비에서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상황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오존수의 농도, 오존수의 유량은 오존수 제조 설비의 능력에만 의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고농도의 오존을 포함한 포화오존수를 제조할 경우 물에 투입하는 오존가스의 공급량에 따라 포화오존수의 오존량이 결정된다.
그러나, 오존수를 만드는 물의 경우 통상의 물 즉 수돗물만 하더라도 그 내부에는 다양한 무기물 및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어, 이러한 물에 오존가스를 공급했을 경우 물에 포함된 무기물 및 유기물과 오존가스가 반응하여 원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오존량을 갖는 고농도 포화오존수를 제조하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순수한 물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정확한 오존량을 갖는 포화오존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오존가스를 다공성 확산층을 통해 분산하여 순수한 물에 오존가스가 포화된 포화오존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저온으로 유지된 순수한 물에 오존가스를 확산시켜 포화된 포화오존수를 제조하는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수단은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공급된 물을 공급하는 물유입관; 물유입관 사이에 형성한 순수한 물을 제공하는 순수제조기; 순수제조기 일측에 연결한 배수밸브를 갖는 배수관; 배수관 상부에 형성한 확상층을 갖는 오존용해챔버; 오존용해챔버 외둘레를 감싸게 형성한 저온수를 저장하는 저온챔버; 저온챔버 일측에 연결한 오존가스를 유입하는 오존유입관; 저온챔버 일측에 형성한 저온수를 제공하는 순환챔버; 및 오존용해챔버 상단에 형상한 포화오존수를 공급하는 오존수배출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순수제조기와 배수관 사이에 유입되는 물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갖는 순수 물유입관을 더 구비하고; 순수제조기는, 외부에서 유입된 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5㎛필터를 갖는 필터기; 필터기를 거쳐 공급된 물을 정화하는 역삼투압기; 및 역삼투압기 일측에 혼합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순수물로 정화하는 한쌍의 이온교환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존용해챔버의 확산층은, 다공성 세라믹재질이고; 오존용해챔버는, 상부 중앙에 저장된 순수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구비하며; 오존용해챔버는 상부 일측에 오존용해챔버 내부에 잔존하는 잔여오존을 제거하는 잔여오존배출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잔여오존배출관은 중앙에 잔여오존을 제거하는 오존제거기를 더 구비하고; 저온챔버와 순환챔버 사이에 저온챔버 하단부에 저온수를 공급하는 저온수공급관 및 저온챔버 상단부에 저온수를 순환챔버로 배출하는 저온수배출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순환챔버는 상단에 순환챔버에서 저온챔버로 공급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를 더 구비하고; 순환챔버에서 저온챔버로 공급하는 저온수의 온도는 0~15℃이며; 오존수배출관은, 중앙에 포화오존수를 배출하는 펌프를 더 구비하며; 오존유입관은, 중앙에 오존가스의 유량측정 및 공급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측정제어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순환펌프에서 저온수를 저온챔버로 공급하는 단계; 오존용해챔버에 순수제조기를 통해 순수물을 공급하는 단계; 저온챔버에 공급된 저온수에 의해 오존용해챔버의 온도저하 및 온도유지하는 단계; 저온으로 유지된 오존용해챔버에 오존가스를 유입하는 단계; 오존용해챔버의 확산층에 의해 저온유지된 순수물에 오존가스를 농축하는 단계; 및 포화오존수를 오존수배출관을 통해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온수를 저온챔버에 공급하는 단계에서 저온수의 온도는 0~15℃이고; 오존가스를 유입하는 단계는 유량측정제어기를 통해 오존가스를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순수물에 오존가스를 농축하는 단계에서 확산층을 오존가스가 통과하면 저온유지된 순수물과 접촉하면서 농축되는 것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화오존수를 오존수배출관을 통해 공급하는 단계에서 오존용해챔버 내에서 순수한 물에 포화되지 않고 배출되는 오존가스인 잔여오존을 잔여오존배출관 및 오존제거기를 통해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잔여오존을 잔여오존배출관 및 오존제거기를 통해 제거하는 단계에서 잔여오존을 제거한 후 오존용해챔버 내의 잔여물을 물배수관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화오존수를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불순물을 제거한 순수한 물을 이용함으로써, 안전하고 정확한 오존량을 갖는 포화오존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오존가스를 다공성 확산층을 통해 분산하여 농축함으로써, 양질의 포화오존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분산된 오존가스가 저온으로 유지된 순수물에 접촉하여 농축됨으로써, 포화오존수를 제조하는데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화오존수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화오존수 제조장치는 물유입관(1), 순수제조기(11), 배수관(2), 오존용해챔버(3), 저온챔버(4), 오존유입관(5), 순환챔버(6) 및 오존수배출관(7)으로 이루어진다.
물유입관(1)은 외부에서 물을 공급한다. 이때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은 다양하나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불순물이 적은 수돗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수제조기(11)는 물유입관(1) 사이에 형성한다. 이때 순수제조기(11)는 외부에서 공급된 물을 정화하여 순수한 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때 순수한 물(DI water)이란 물리·화학적으로 화합물질 및 합성물질 등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고순도의 순수한 물을 뜻한다.순수제조기(11)는 필터기(111), 역삼투압기(112) 및 한쌍의 이온교환기(113)로 이루어진다.
필터기(111)는 외부에서 유입된 물에 함유된 분순물을 필터를 통해 제거한다 이때 사용되는 필터는 5㎛필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삼투압기(112)는 필터기(111) 일측에 형성한다. 이때 역삼투압기(112)는 역삼투 반투막을 이용하여 필터기(111)에서 걸러진 물을 정화한다.
한쌍의 이온교환기(113)는 역삼투압기(112)에서 정화된 물을 순수한 물로 정화하기 위해 화합물을 이용하여 정화하는 것으로, 이온교환기는(113)은 혼합 이온교환수지인 +이온 및 -이온을 이용한다.
배수관(2)은 순수제조기(11) 일측에 형성하여 연결한다. 이때 배수관(2)은 중앙에 배수밸브(21)를 형성하여 모든 작업이 끝난 후 오존용해챔버(3) 내의 포화오존수를 배출한 후의 잔여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오존용해챔버(3)는 배수관(2) 상부에 형성한다. 이때 오존용해챔버(3)는 내부 하단에 오존가스를 확산하는 확산층(3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확산층(31)은 다공성 세라믹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챔버(4)는 오존용해챔버(3) 외둘레를 감싸도록 형성한다. 이때 저온챔버(4)는 저온수를 저장하는 것으로 오존용해챔버(3) 내의 순수한 물의 온도를 열교환을 통해 온도저하 및 온도유지하는 것이다.
오존유입관(5)은 저온챔버(4) 일측에 형성한다. 이때 오존유입관(5)은 외부의 오존가스를 오존용해챔버(3)에 공급하는 것이다.
오존유입관(5)은 중앙에 유량측정제어기(51)를 형성한다. 이때 유량측정제어기(51)는 오존유입관(5)을 통해 오존용해챔버(3)에 공급되는 오존가스의 공급하는 유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순수한 물의 오존흡수량에 따라 공급유량을 제공하는 제어기능을 포함한다.
순환챔버(6)는 저온챔버(4) 일측에 형성한다. 이때 순환챔버(6)는 저온챔버(4)에 저온수를 제공하는 것으로 저온챔버(4)에 공급하는 물의 온도는 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순환챔버(6)는 상단에 콘트롤박스(61)를 형성한다. 이때 콘트롤박스(61)는 순환챔버(6)에서 저온챔버(4)로 공급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한다.
오존수배출관(7)은 오존용해챔버(3) 상단에 형상한다. 이때 오존용해챔버(3)의 확산층(31)을 통해 확산한 오존가스가 오존용해챔버(3)의 저온의 순수한 물과 접촉하면서 흡수되면서 말미에는 포화된다. 오존가스가 포화된 순수한 물인 포화오존수는 오존수배출관(7)을 통해 외부로 제공한다.
오존수배출관(7)은 중앙에 펌프(71)를 형성한다. 이때 펌프(71)는 오존용해챔버(3)에서 포화오존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순수제조기(11)와 배수관(2) 사이에 순수물유입관(12)을 형성한다, 이때 순수물유입관(12) 중앙에 제어밸브(121)를 형성하여 오존용해챔버(3)에 공급되는 순수한 물의 공급량을 제어한다.
오존용해챔버(3)는 상부 중앙에 수위감지센서(32)를 형성한다. 이때 수위감지센서(32)는 제어밸브(121)와 연동하여 오존용해챔버(3)의 순수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이다.
오존용해챔버(3)는 상부 일측에 잔여오존배출관(8)을 형성한다, 이때 잔여오존배출관(8)은 오존용해챔버(3)에서 오존용해챔버(3) 내의 순수한 물에 흡수되지 않은 오존가스인 잔여오존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잔여오존배출관(8)은 중앙에 오존제거기(81)를 형성한다. 이때 오존제거기(81)는 잔여오존배출관(8)을 통해 오존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경부 위험성을 야기 시킬 수 있음으로 오존제거기(81)를 통해 잔여오존을 제거한 후 안전한 가스로 변환하여 배출한다.
앞서 설명한 저온챔버(4)와 순환챔버(6) 사이에는 저온챔버(4) 하단부에 저온수를 공급하는 저온수공급관(41) 및 저온챔버(4) 상단부에 저온수를 순환챔버(6)로 배출하는 저온수배출관(42)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저온챔버(4)와 순환챔버(71)가 저온수를 교환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오존수배출관(7) 또는 수위감지센서(32)에 순수한 물에 포함된 오존흡수량을 측정하는 오존량측정센서(도면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 대한 작용상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화오존수 제조장치를 도시한 작용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물유입관(1)에 제공된 물을 순수제조기(11)를 통해 순수한 물로 정화한 후 순수물유입관(12)을 통해 오존용해챔버(3)에 제공한다.
오존용해챔버(3)에 순수한 물의 공급과 함께 순환챔버(6) 상부의 콘트롤박스(61)를 0~15℃로 조절하여 저온수를 저온수공급관(41)을 통해 저온챔버(4)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저온챔버(4)에 공급된 저온수는 저온수배출관(42)을 통해 순환챔버(6)로 배출되고 이러한 순환과정을 통해 저온챔버(4) 및 저온챔버(4)가 감싸고 있는 오존용해챔버(3)의 순수한 물의 온도가 15℃이하가 되게 유지한다.
오존용해챔버(3) 내부의 순수한 물의 온도가 적정온도가 되면 오존유입관(5)을 통해 오존용해챔버(3)에 오존가스를 제공한다. 이때 오존용해챔버(3)에 제공된 오존가스는 오존용해챔버(3)의 확산층(31)을 통해 확산하면서 저온의 순수한 물에 접속하여 흡수하게 되고, 말미에는 순수한 물에 오존가스가 포화하게 된다.
오존용해챔버(3)에 유입되는 오존가스의 유입량은 오존유입관(5)의 유량측정제어기(51)을 통해 순수한 물이 오존가스를 흡수하는 정도에 따라 소정량의 오존가스를 오존용해챔버(3)에 제공한다.
오존용해챔버(3)에 포화오존수가 생성되면 펌프(71)를 이용해 오존수배출관(7)을 통해 외부로 공급한다. 이때 포화오존수가 배출되면 오존용해챔버(3)의 순수한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될 경우 수위감지센서(32)를 통해 순수물유입관(12)에 형성한 제어밸브(121)를 제어하여 일정한 수위를 유지한다.
제어밸브(121)의 개폐에 따라 오존유입관(5)의 유량측정제어기(51) 또한 오존가스 유입량을 함께 조절한다.
포화오존수를 배출한 오존용해챔버(3)에 잔여 오존가스는 잔여오존배출관(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잔여오존이 바로 외부로 배출될 경우 위험성이 발생함으로 오존제거기(81)를 거쳐 무해한 가스로 변환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존용해챔버(3) 내의 잔여 오존가스까지 배출한 후 오존용해챔버(3) 내의 잔여물은 물배수관(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물배수관(2)은 배수밸브(21)의 개폐에 따라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화오존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화오존수 제조방법은 순환펌프에서 저온수를 저온챔버로 공급하는 단계(S100), 오존용해챔버에 순수제조기를 통해 순수한 물을 공급하는 단계(S200), 저온챔버에 공급된 저온수에 의해 오존용해챔버의 온도저하 및 온도유지하는 단계(S300), 저온으로 유지된 오존용해챔버에 오존가스를 유입하는 단계(S400); 오존용해챔버의 확산층에 의해 저온유지된 순수물에 오존가스를 포화하는 단계(S500), 및 포화오존수를 오존수배출관을 통해 공급하는 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포화오존수 제조방법은 외부로 포화오존수를 공급한 후 오존용해챔버에 잔여물에 대한 후처리를 병행해야 한다. 따라서 포화오존수를 오존수배출관을 통해 공급하는 단계(S600)는 포화오존수 배출 후 오존용해챔버 내의 잔여오존을 잔여오존배출관 및 오존제거기를 통해 제거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잔여오존을 제거하는 단계(S700)는 외부로 잔여오존이 즉 오존가스가 바로 배출될 경우 위험성이 발생함으로 오존제거기를 통해 위험성이 없는 가스로 변환한 후 배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잔여오존을 제거하는 단계(S700)는 오존용해챔버에서 잔여오존을 제거한 후 오존용해챔버 내의 잔여물을 물배수관으로 배출하는 단계(S800)를 포함한다.
저온수를 저온챔버에 공급하는 단계(S100)에서 저온수의 온도는 0~15℃이다. 즉 오존용해챔버의 순수한 물은 저온챔버의 저온수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저하 및 온도유지하는 것이다.
오존가스를 유입하는 단계(S400)는 유량측정제어기를 통해 오존가스를 공급량을 조절한다. 오존가스 유입량을 조절하는 이유는 순수한 물에 오존가스가 포화될 때까지의 흡수량이 일정하기 때문에 과다하게 오존가스를 공급할 경우 잔여오존으로 배출되어 포화오존수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순수물에 오존가스를 포화하는 단계(S500)에서 순수한 물에 오존가스가 포화되는 원리는, 오존용해챔버의 확산층을 오존가스가 통과하면 확산한 오존가스가 저온유지된 순수물과 접촉하면서 용해되어 말미에는 순수한 물에 오존가스가 포화상태가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순수한 물을 저온으로 유지하는 이유는 온도변화에 따라 순수한 물에 포화되는 오존가스의 흡수량을 일정하게 하여 양질의 포화오존수를 얻기 위함이다. 또한, 저온의 순수한 물에 오존가스를 흡수시키는 것은 포화오존수의 제조시간을 단축하여 제조효율의 증대를 가져오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포화오존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화오존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화오존수 제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화오존수 제조장치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화오존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물유입관 11: 순수제조기 111: 필터기 112: 역삼투압기
113: 이온교환기 12: 순수물유입관 121: 제어밸브 2: 배수관
21: 배수밸브 3: 오존용해챔버 31: 확상층 32: 위감지센서
4: 저온챔버 41: 저온수공급관 42: 저온수배출관 5: 오존유입관
51: 유량측정제어기 6: 순환챔버 61: 콘트롤박스 7: 오존수배출관
71: 펌프 8: 잔여오존배출관 81: 오존제거기

Claims (19)

  1. 외부로 부터 물을 공급하는 물유입관(1);
    상기 물유입관(1) 사이에 형성한 순수한 물을 제공하는 순수제조기(11);
    상기 순수제조기(11) 일측에 연결한 배수밸브(21)를 갖는 배수관(2);
    상기 배수관(2) 상부에 형성한 확상층(31)을 갖는 오존용해챔버(3);
    상기 오존용해챔버(3) 외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저온수를 저장하는 저온챔버(4);
    상기 저온챔버(4) 일측에 연결되어 오존가스를 유입하는 오존유입관(5);
    상기 저온챔버(4) 일측에 형성되어 저온수를 제공하는 순환챔버(6); 및
    상기 오존용해챔버(3) 상단에 형상되어 포화오존수를 공급하는 오존수배출관(7);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수제조기(11)와 상기 배수관(2) 사이에는 유입되는 물을 제어하는 제어밸브(121)를 갖는 순수물유입관(12)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수제조기(11)는,
    외부에서 유입된 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5㎛필터를 갖는 필터기(111);
    상기 필터기(111)를 거쳐 공급된 물을 정화하는 역삼투압기(112); 및
    상기 역삼투압기(112) 일측에서 혼합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순수물로 정화하는 한쌍의 이온교환기(11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용해챔버(3)의 확산층(31)은 다공성 세라믹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용해챔버(3)는, 상부 중앙에 저장된 순수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3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용해챔버(3)는 상부 일측에 오존용해챔버(3) 내부에 잔존하는 잔여오존을 제거하는 잔여오존배출관(8)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오존배출관(8)은 중앙에 잔여오존을 제거하는 오존제거기(8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챔버(4)와 순환챔버(6) 사이에 상기 저온챔버(4) 하단부에 저온수를 공급하는 저온수공급관(41) 및 상기 저온챔버(4) 상단부에 저온수를 순환챔버(6)로 배출하는 저온수배출관(42)이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챔버(6)는 상단에 상기 순환챔버(6)에서 저온챔버(4)로 공급하는 물의 온도를 제어하는 콘트롤박스(6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챔버(6)에서 저온챔버(4)로 공급하는 저온수의 온도는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수배출관(7)은, 중앙에 포화오존수를 배출하는 펌프(71)를 더 구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유입관(5)은, 중앙에 오존가스의 유량측정 및 공급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측정제어기(5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13. 순환펌프에서 저온수를 저온챔버로 공급하는 단계(S100);
    오존용해챔버에 순수제조기를 통해 순수한 물을 공급하는 단계(S200);
    상기 저온챔버에 공급된 저온수에 의해 상기 오존용해챔버의 온도저하 및 온도유지하는 단계(S300);
    상기 저온으로 유지된 상기 오존용해챔버에 오존가스를 유입하는 단계(S400);
    상기 오존용해챔버의 확산층에 의해 상기 저온유지된 순수물에 오존가스를 포화하는 단계(S500); 및
    포화오존수를 오존수배출관을 통해 공급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수를 저온챔버에 공급하는 단계에서 저온수의 온도는 0~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가스를 유입하는 단계(S400)는 유량측정제어기를 통해 오존가스를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순수물에 오존가스를 포화하는 단계(S500)에서 확산층을 오존가스가 통과하면 저온유지된 순수물과 접촉하면서 농축되는 것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오존수를 오존수배출관을 통해 공급하는 단계(S600)에서 상기 오존용해챔버 내에서 순수한 물에 포화되지 않고 배출되는 오존가스인 잔여오존을 잔여오존배출관 및 오존제거기를 통해 제거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오존을 잔여오존배출관 및 오존제거기를 통해 제거하는 단계(S700)에서 상기 잔여오존을 제거한 후 상기 오존용해챔버 내의 잔여물을 물배수관으로 배출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제조방법.
  19. 제 13항 내지 17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화오존수.
KR1020090015838A 2009-02-25 2009-02-25 포화오존수,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090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838A KR101090326B1 (ko) 2009-02-25 2009-02-25 포화오존수,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838A KR101090326B1 (ko) 2009-02-25 2009-02-25 포화오존수,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785A KR20100096785A (ko) 2010-09-02
KR101090326B1 true KR101090326B1 (ko) 2011-12-07

Family

ID=4300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838A KR101090326B1 (ko) 2009-02-25 2009-02-25 포화오존수,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3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875B1 (ko) 2011-09-16 2013-05-08 주식회사 선도 기능성을 가진 수소수 및 오존수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68568B (zh) * 2022-05-23 2022-11-11 北京科胜美科技有限公司 臭氧水生成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391A (ja) 2000-03-23 2001-09-25 Sasakura Engineering Co Ltd 高濃度オゾン水製造装置
JP2002102871A (ja) 2000-09-29 2002-04-09 Shin Etsu Handotai Co Ltd オゾン水供給方法およびオゾン水供給設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391A (ja) 2000-03-23 2001-09-25 Sasakura Engineering Co Ltd 高濃度オゾン水製造装置
JP2002102871A (ja) 2000-09-29 2002-04-09 Shin Etsu Handotai Co Ltd オゾン水供給方法およびオゾン水供給設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875B1 (ko) 2011-09-16 2013-05-08 주식회사 선도 기능성을 가진 수소수 및 오존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785A (ko)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3112B1 (ko) 가스 용해액 제조 장치
KR101090326B1 (ko) 포화오존수, 포화오존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JP2012183473A (ja) 水処理装置
JPH1177023A (ja) 水素含有超純水の製造方法
KR100987041B1 (ko) 불화수소산 생성장치 및 불화수소산 생성방법
Peng et al. A study on pilot-scale degassing by polypropylene (PP)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s
KR20120088318A (ko) 정수기의 정수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JP4514267B2 (ja) 半導体基板の不純物抽出方法および不純物抽出装置
JP4095782B2 (ja) ガス発生装置
JP2008237972A (ja) 膜濾過システム
JP5663410B2 (ja) 超純水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7245061A (ja) 水処理装置の流量制御方法
CN209537186U (zh) 一种用于裘革加工废弃物的超临界水氧化系统
JP3699876B2 (ja) 水封式ドレントラップ
JP4180019B2 (ja) 逆浸透膜の洗浄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用いた廃水回収方法
CN210012647U (zh) 一种污水生物处理装置
JPH03284323A (ja) 膜分離方法および装置
JP2008151440A (ja) ボイラシステム
CN205472989U (zh) 净水系统
JP4893592B2 (ja) ガス溶解水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2521177B1 (ko) 온 초순수 제조 시스템의 기동 방법, 기동 프로그램 및 온 초순수 제조 시스템
JP2000296899A (ja) ガス溶解水の貯留方法及びその貯留装置
CN213551219U (zh) 一种节水型反渗透净水机
JP2011191003A (ja) 廃蒸気回収装置
KR20030042428A (ko) 발전소 히터 배출수의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