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161B1 -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161B1
KR101088161B1 KR1020080049715A KR20080049715A KR101088161B1 KR 101088161 B1 KR101088161 B1 KR 101088161B1 KR 1020080049715 A KR1020080049715 A KR 1020080049715A KR 20080049715 A KR20080049715 A KR 20080049715A KR 101088161 B1 KR101088161 B1 KR 101088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document
pages
stamping
l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566A (ko
Inventor
전정우
Original Assignee
전정우
주식회사 다몬이지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우, 주식회사 다몬이지서티 filed Critical 전정우
Priority to KR1020080049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16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06F3/1243Variable data printing, e.g. document forms, templates, labels, coupons, advertisements, logos, watermarks, transactional printing, fixed content vers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의 앞면에 간인을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입력받는 단계; (b)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페이지들을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에서 간인을 날인할 위치를 정하는 단계; (c) 간인을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 방향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으로 만드는 단계; (d) 상기 두 장의 페이지 각각에 대하여,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에서 정한 날인할 위치에, 상기 부분간인을 각각 하나씩 삽입하되, 두 장의 페이지를 나란히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도록 삽입하는 단계; (e) 문서의 페이지에 삽입된 부분간인을 포함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문서의 페이지 앞면에만 간인을 할 수 있음으로써, 양면 프린터가 아니더라도 일반적인 프린터로 간인한 전자문서를 출력할 수 있다.
문서, 간인, 앞면, 페이지, 출력

Description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및 방법 { A tally impression system and method for front faces of pages of a document }
본 발명은 문서의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를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앞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부분에 앞장과 뒷장 페이지에 걸쳐 간인을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문서의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 중에서 앞장 페이지를 뒤로 접었을 때 접은 선 부분에 앞장과 뒷장 페이지에 걸쳐 간인을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인이란 분리되는 두 장의 문서가 서로 관련된 것임을 증명하기 위하여 양쪽에 걸쳐서 인장을 날인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다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문서의 경우 모든 페이지에 대하여 앞장과 뒷장 페이지에 걸쳐 간인을 함으로써, 문서의 각 페이지가 서로 관련된 것임을 증명한다.
상기와 같이 간인을 하는 이유는 누군가가 그 문서의 중간 페이지 사이에 위조된 다른 페이지를 끼워 넣거나, 문서의 중간 페이지를 위조된 다른 페이지로 대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중간에 다른 페이지를 끼워 넣거나 대체하면 연속되는 두 장에 걸쳐 찍은 간인이 서로 맞지 않기 때문에 문서의 위변조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프라인 문서에서 이용되는 간인을 날인하는 방법을 전자문서에 적용한 기술이 [국내등록특허 10-0563076호(2006.3.24.공개), "다중 문서 간인의 전자 출력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개시되고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복수 장으로 이루어진 다중문서의 일정부분에 대하여, 앞장 뒷면과 뒷장 앞면에 전자 간인을 찍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행기술은 복수 장으로 이루어진 다중문서를 전자 문서화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문서의 일정 부분이 접힌 각각의 앞장 뒷면과 뒷장 앞면에 전자 간인을 찍을 출력 위치 및 방향의 출력 좌표 계산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전자 간인의 위치 및 방향의 출력 좌표 계산값을 컴퓨터 메모리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전자 간인의 위치 및 방향의 출력 좌표 계산값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간인을 상기 앞장의 뒷면 및 상기 뒷장의 앞면에 일정 부분씩 찍어서, 용지 이송 및 양면 인쇄 기능을 갖고 있는 인쇄 수단으로 인쇄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종래 오프라인 상에서 앞장을 접어서 앞장의 뒷면과 뒷장의 앞면에 겹치는 부분에 인장으로 날인하는 방법을 그대로 전자화한 방법 및 시 스템이다. 그런데 간인한 문서를 출력할 때에도 문서의 뒷면에 날인된 간인의 일부분을 출력해야 하기 때문에, 문서의 뒷면도 출력하는 양면인쇄를 해야 한다. 그러나 모든 프린터가 양면인쇄를 지원하지 않는다. 양면인쇄를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문서의 뒷면을 다른 장의 인쇄용지에 출력해야 하므로 인쇄용지의 낭비가 초래된다. 또, 인쇄용지를 절약하기 위해 이면지를 활용할 수 없는 문제도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서의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를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앞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부분에 앞장과 뒷장 페이지에 걸쳐 간인을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문서의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 중에서 앞장 페이지를 뒤로 접었을 때 접은 선 부분에 앞장과 뒷장 페이지에 걸쳐 간인을 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의 특징은 (a)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입력받는 단계; (b)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페이지들을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에서 간인을 날인할 위치를 정하 는 단계; (c) 간인을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 방향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으로 만드는 단계; (d) 상기 두 장의 페이지 각각에 대하여,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에서 정한 날인할 위치에, 상기 부분간인을 각각 하나씩 삽입하되, 두 장의 페이지를 나란히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도록 삽입하는 단계; (e) 문서의 페이지에 삽입된 부분간인을 포함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의 특징은 제 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는,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를 좌우로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이거나,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를 상하로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인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3의 특징은 제 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는, 상기 문서를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가장 외곽의 모서리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의 특징은 (a)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입력받는 단계; (b)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페이지 상에 동일한 방향의 직선을 각각 정하여 간인축으로 정하고, 간인축 상 페이지 내의 위치를 간인위치로 정하는 단계; (c) 간인을 상기 간인축 방향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으로 만드는 단계; (d) 상기 두 장의 페이지의 상기 간인위치에 상기 부분간인을 각각 하나씩 삽입하되, 상기 페이지 상의 간인축을 중심으로 2개의 부분간인을 맞대어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단계; (e) 문서 의 페이지에 삽입된 부분간인을 포함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5의 특징은 제 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페이지의 하단 모서리를 기준으로 -9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도의 직선을 상기 간인축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6의 특징은 제 5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앞장의 페이지에는 간인축의 상단에 부분간인을 삽입하고, 뒷장의 페이지에는 간인축의 하단에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7의 특징은 제 6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간인축을 상기 두 장의 페이지 상에 동일한 위치의 직선으로 정하고, 상기 (d)단계는 앞장 페이지의 간인축 상단과 뒷장 페이지의 간인축 하단을 합쳐 하나의 페이지로 맞추었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8의 특징은 제 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페이지 상의 빈 공간이 가장 많은 부분에 상기 간인위치를 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9의 특징은 제 1의 특징 또는 제 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문서출력부가 상기 문서를 양면 출력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홀수 또는 짝수 페이지에 대해서만 상기 간인위치를 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0의 특징은 제 1의 특징 또는 제 4의 특징에 있어서, 부분간인이 삽입될 위치의 페이지 이미지가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부분간인의 이미지와 페이지 상의 간인이 삽입될 위치의 이미지를 합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1의 특징은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입력받는 문서 입력부;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페이지들을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에서 간인을 날인할 위치를 정하는 간인위치 설정부; 간인을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 방향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으로 만드는 간인 구분부; 상기 두 장의 페이지 각각에 대하여,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에서 정한 날인할 위치에, 상기 부분간인을 각각 하나씩 삽입하되, 두 장의 페이지를 나란히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도록 삽입하는 간인 날인부; 문서의 페이지에 삽입된 부분간인을 포함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문서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2의 특징은 제 1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는,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를 좌우로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이거나,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를 상하로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인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2의 특징은 제 1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는, 상기 문서를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가장 외곽의 모서리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4의 특징은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입력받는 문서 입력부;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페이지 상에 동일한 방향의 직선을 각각 정하여 간인축으로 설정하고, 간인축 상 페이지 내의 위치를 간인위치 로 정하는 간인위치 설정부; 간인을 상기 간인축 방향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으로 만드는 간인 구분부; 상기 두 장의 페이지의 상기 간인위치에 상기 부분간인을 각각 하나씩 삽입하되, 상기 페이지 상의 간인축을 중심으로 2개의 부분간인을 맞대어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간인 날인부; 문서의 페이지에 삽입된 부분간인을 포함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문서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5의 특징은 제 1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간인위치 설정부는, 상기 페이지의 하단 모서리를 기준으로 -9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도의 직선을 상기 간인축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6의 특징은 제 15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간인 날인부는, 앞장의 페이지에는 간인축의 상단에 부분간인을 삽입하고, 뒷장의 페이지에는 간인축의 하단에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7의 특징은 제 16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간인위치 설정부는 상기 간인축을 상기 두 장의 페이지 상에 동일한 위치의 직선으로 정하고, 상기 간인 날인부는 앞장 페이지의 간인축 상단과 뒷장 페이지의 간인축 하단을 합쳐 하나의 페이지로 맞추었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8의 특징은 제 11의 특징 또는 제 1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간인위치 설정부는, 페이지 상의 빈 공간이 가장 많은 부분에 상기 간인위치 를 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19의 특징은 제 11의 특징 또는 제 14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간인위치 설정부는, 상기 문서출력부가 상기 문서를 양면 출력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홀수 또는 짝수 페이지에 대해서만 상기 간인위치를 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0의 특징은 제 11의 특징 또는 제 14의 특징에 있어서, 부분간인이 삽입될 위치의 페이지 이미지가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부분간인의 이미지와 페이지 상의 간인이 삽입될 위치의 이미지를 합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1의 특징은 제 1의 특징 내지 제 7의 특징 중 어느 한 특징의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문서의 페이지 앞면에만 간인을 할 수 있음으로써, 양면 프린터가 아니더라도 일반적인 프린터로 간인한 전자문서를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 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앞면에 간인을 날인하는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원리를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앞면의 모서리를 맞대어 간인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앞면을 뒤쪽으로 접어서 맞대어 간인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간인(20)은 두 장의 페이지에 걸쳐 인장을 날인하는 것이다. 즉, 간인(20)을 하는 대상은 문서(10)인데, 상기 문서는 여러 장의 페이지(11)로 구성된 것을 전제로 한다. 문서의 각 페이지는 각기 순서가 정해져 있다. 또, 각 페이지는 앞면(12)과 뒷면(13)으로 이루어진다. 통상 각 페이지의 앞면(12)은 문서(10)의 내용이 기재되는 공간이고, 그 뒷면(13)은 백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문서(10)가 그 내용을 양면으로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는 일단 전자의 경우를 전제로 하고, 후자의 경우는 특수한 경우로 정한다.
또, 간인(20)은 두 장의 페이지에 걸쳐 인장을 날인한 결과인 것이나, 이하 설명에서 인장으로서의 의미로도 동시에 사용한다. 즉, 인장이란 용어 대신 간인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간인은 도장 등 인장이외에도 사인(signature) 또는 전자 인장으로 이용될 수 있는 워터마크, 바코드, 2차원 바코드 등도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상기 전자 인장들은 본 분야의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 설시는 생략한다.
한편, 간인(20)이란 결국 두 장의 페이지(11)에 걸쳐 인장을 날인함으로써 두 장의 페이지(11)가 서로 관련된 것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간인 방식이 두 장의 페이지(11)에 걸쳐 인장을 날인할 수 있고, 두 장의 페이지(11)에 걸쳐 나누어 날인된 인장을 손쉽게 합쳐 나뉜 부분이 일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면, 간인으로서 충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반드시 간인(20)을 도 1과 같이 앞장 페이지의 뒷면(13)과 뒷장 페이지의 앞면(11)에 걸쳐 날인할 필요는 없다. 즉, 문서(10)의 앞장과 뒷장 페이지들의 앞면(11) 간 또는 뒷면(13) 간에 걸쳐 날인해도 무방하다. 이것은 앞면 간(또는 뒷면 간)에 걸친 간인(20)도 역시 두 장 페이지(11)가 서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에는 충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면 간에 걸친 간인을 하는 방법은 2가지 방식이 가능하다.
첫 번째 방식은 도 2와 같이,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11)를 서로 나란히 놓아두어 페이지의 모서리가 맞대는 부분에 간인을 날인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방식은 도 3과 같이, 앞장의 페이지(11)를 뒤로 접어서 앞장 페이지의 앞면(12)에서 접힌 부분과 뒷장 페이지의 앞면(12)에 걸쳐 간인을 날인하는 방식이다. 두 가지 모두 페이지의 앞면(12)에만 걸쳐 간인을 할 수 있다. 전자의 방식은 페이지의 모서리 부분에 간인이 되어 보기가 좋은 장점이 있다. 후자의 방식은 출력된 문서에 대하여 간인을 맞추어 나뉜 부분의 일치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간단히 앞장 페이지(11)를 접어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후자의 방식은 앞서 설명된 종래의 간인 날인방식에서 앞장 페이지(12)를 앞으로 접는 방식에 비해 앞장 페이지(12)를 뒤로 접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상기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간인 날인 방법의 구체적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또,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의 다수 페이지 앞면에 간인 날인을 다수 개 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은 (a)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입력받는 단계(S11); (b)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페이지들을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에서 간인을 날인할 위치를 정하는 단계(S12); (c) 간인을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 방향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으로 만드는 단계(S13); (d) 상기 두 장의 페이지 각각에 대하여,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에서 정한 날인할 위치에, 상기 부분간인을 각각 하나씩 삽입하되, 두 장의 페이지를 나란히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도록 삽입하는 단계(S14); (e) 문서의 페이지에 삽입된 부분간인을 포함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S15)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앞서 원리에 대한 설명 중 첫 번째 방식에 해당하는 실시예이다.
(a)단계에서 입력받는 문서(10)는 출력형태의 이미지 파일 형식일 수도 있고, 문서를 작성하는 도구의 파일형식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간인을 하는 방식은 간인(20)의 이미지를 출력하려는 문서에 덧붙여 삽입하는 것이므로 문 서(10)가 파일일 때는 그 문서(10)의 파일형식이 어떤 것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의 방법이 모든 문서 작성도구를 지원하는 것보다 이미지 파일 등 통일된 파일형식을 지원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입력받는 문서(10)는 출력형태의 이미지 파일 형식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입력받는 문서(10)는 파일형태의 전자문서가 아닌 용지에 출력된 일반 문서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은 인쇄된 용지에 간인(20)만을 날인하기 위한 방법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b)단계에서 상기 페이지(11)를 나란히 놓는 방식은 좌우로 놓는 방식과 상하로 놓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23)는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를 좌우로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23)이거나,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를 상하로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23)이다.
한편, 페이지 모서리(23)는 페이지(11)의 외곽의 선을 의미한다. 그런데 페이지(11)의 외곽의 선은 전자문서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출력용지의 모서리보다 안쪽이 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문서를 출력하는 프린터는 출력용지의 모서리 부분까지 모두 출력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페이지 모서리(23)는 문서(10)를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가장 외곽의 모서리이어야 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인쇄된 용지에 간인(20)만을 날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인쇄용지의 모서리가 페이지 모서리(23)가 되어야 할 것이다.
(c)단계에서 도 5와 같이, 간인(20)을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23) 방향 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21, 22)으로 만든다. 간인(20)을 나누는 기준은 페이지 모서리(23) 방향의 직선이므로 수직선 또는 수평선이 된다. 좌우로 나란히 페이지(11)를 맞대는 경우에는 간인(20)을 수직선으로 구분하고, 상하로 맞대는 경우에는 수평선으로 구분한다.
이 때, 간인(20)은 여러 형태로 나뉠 수 있다. 먼저 간인(20) 자체의 회전각도가 있고, 간인(20)을 구분하는 직선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회전각도는 0도에서 360도 이전까지 무수히 많은 각도가 있고, 간인(20)을 구분하는 직선은 간인(20)의 정 중앙에서 좌우로 간인의 너비만큼의 무수히 많은 구분 직선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간인(20)의 회전각도와 구분 직선의 위치를 정하는 것은 랜덤하게 설정한다. 간인(20)이 구분 직선에 의하여 구분되면 2개의 부분간인(21, 22)으로 구분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듯이, 그 중 하나의 부분간인(21)은 앞장 페이지의 모서리(23) 부분에 삽입되고, 또 다른 하나는 부분간인(22)은 뒷장 페이지의 모서리(23) 부분에 삽입된다.
(d)단계는 2개의 부분간인(21,22)을 앞장 페이지와 뒷장 페이지에 각각 삽입하는 단계이다. 단, 두 장의 페이지를 나란히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도록 상기 부분간인(21,22)을 삽입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서리 방향의 직선에 의해 간인(20)으로부터 만들어진 2개의 부분간인(21, 22)은 앞장 페이지와 뒷장 페이지에 각각 모서리(23) 부분에 삽입된다.
삽입된 부분간인(21,22)이 나뉜 절단면이 합쳐질 때 원래의 간인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두 장의 페이지가 서로 관련이 있음을 검증 받는다. 즉, 간 인(20)의 회전각도, 간인(20)의 구분 직선의 위치를 각각 랜덤하게 선정한다면, 그 경우의 수는 무수히 많다. 따라서 부분간인(21,22)의 나뉜 절단면을 합쳐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되는지 판단은 간인(20)의 검증수단으로 충분히 이용이 가능하다.
한편, 부분간인(21,22)을 삽입하는 방식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페이지 모서리(23)에 간인하는 위치가 동일한지에 따라 2가지로 구분된다. 도 6a는 앞장과 뒷장 페이지에서 부분간인(21,22)을 삽입하는 위치가 동일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즉, 두 장의 페이지를 맞대는 부분을 정확히 딱 맞게 놓았을 때 부분간인(21,22)이 합쳐 원래 간인(20)으로 맞추어 지는 방식이다. 도 6b는 페이지 모서리(23) 위치를 맞추지 않는 방식이다. 즉, 두 장의 페이지를 맞대기만 하면 되고, 상하가 딱 맞도록 놓아질 필요가 없다.
전자의 경우에는 페이지 모서리(23)의 위치도 간인이 맞는지를 확인하는 검증방법에 포함된다. 즉, 페이지 모서리(23) 내의 간인을 날인할 위치도 랜덤하게 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인(20)의 회전각도, 간인(20)의 구분 직선의 위치 이외에도 페이지 모서리(23)의 날인위치가 합쳐져 이 세 가지가 모두 합쳐져 하나의 간인(20)으로 확인될 때만이 두 장의 페이지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검증한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는 그러하지 않는다. 즉, 간인(20)의 회전각도와 간인(20)의 구분 직선의 위치만으로 검증한다.
또, 부분간인(21,22)이 삽입될 위치의 페이지 이미지가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부분간인의 이미지와 페이지 상의 간인이 삽입될 위치의 이미지를 합성한다. 일반적으로 글자나 그림 등이 작성된 페이지(11)에 간인(20)의 이미지를 삽입하여 인쇄 하면 간인(20)의 이미지가 페이지(11)의 이미지가 겹쳐 페이지(11)의 이미지를 알아볼 수 없다. 또, 간인(20)의 이미지도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레이어 마스크 기술을 이용한다. 즉, 간인(20)의 이미지는 상위 레이어의 이미지로 정하고, 간인할 위치의 페이지(11)의 이미지는 하위 레이어의 이미지로 정하여, 둘의 이미지가 합쳐져도 두 이미지가 식별될 수 있도록 레이어 마스크 기술을 이용하여 합성한다. 두 이미지를 합치는 레이어 마스크 기술은 공지기술이므로 구체적 설시는 생략한다.
한편, 도 7은 문서를 구성하는 다수의 페이지에 모두 간인을 하는 경우 각 페이지에 부분간인(21,22)이 날인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하나의 간인(20)은 두 장의 페이지가 관련된 것을 증명하므로, 한 장의 페이지(11)는 그 페이지(11)의 이전 페이지와의 관련된 것을 증명하는 간인(20)과 그 페이지(11)의 다음 페이지와 관련된 것을 증명하기 위한 간인(20)의 2개의 간인이 날인된다. 도 7에서는 가운데 페이지(B)에는 좌측 모서리(23)에는 이전 페이지(A)와의 관련을 증명하는 부분간인과 우측 모서리(23)에는 다음 페이지(B)와의 관련을 증명하는 부분간인이 날인된다. 물론, 반드시 이전 페이지와 관련된 간인은 좌측 모서리에, 다음 페이지와 관련된 간인은 우측 모서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반대로 간인하여도 무방하다. 그러나 도 7과 같이 정하는 것이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좌우 모서리에 어느 페이지와 관련된 간인을 날인할 것인가를 정하면 그 규칙은 모든 페이지에 동일하게 적용해야 한다. 혼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을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상기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그 구체적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또, 도 11은 문서의 다수 페이지 앞면에 간인 날인을 다수 개 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은 (a)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입력받는 단계(S21); (b)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페이지 상에 동일한 방향의 직선을 각각 정하여 간인축으로 정하고, 간인축 상 페이지 내의 위치를 간인위치로 정하는 단계(S22); (c) 간인을 상기 간인축 방향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으로 만드는 단계(S23); (d) 상기 두 장의 페이지의 상기 간인위치에 상기 부분간인을 각각 하나씩 삽입하되, 상기 페이지 상의 간인축을 중심으로 2개의 부분간인을 맞대어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단계(S24); (e) 문서의 페이지에 삽입된 부분간인을 포함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S25)로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앞서 원리에 대한 설명 중 두 번째 방식에 해당하는 실시예이다.
(a)단계의 문서입력은 앞서 일실시예에 설명한 바와 같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간인축(24)은 간인(20)을 나누는 기준 직선이기도 하고, 앞서 원리에서 설명한 앞장 페이지의 접은 선에 해당한다. 즉, 앞장 페이지의 간인축(24)을 따라 앞장 페이지를 뒤로 접고 뒷장 페이지의 간인축과 맞대면 부분간인(21,22)의 절단면을 일치시켜 원래의 간인(20)과 일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간인축(24)은 상기 페이지의 하단 모서리를 기준으로 -9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도의 직선으로 정한다. 간인축(24)은 수직인 선을 제외하고는 어느 선이 각도의 직선이라도 무방하다. 수직인 선을 제외하는 것은 상하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인 간인과 동일하게 간인축(24)을 중심으로 상단에는 앞장 페이지에 부분간인(21)을 삽입하고, 하단에는 뒷장 페이지에 부분간인(22)을 삽입한다. 즉, 상기 (d)단계에서, 앞장의 페이지에는 간인축의 상단에 부분간인을 삽입하고, 뒷장의 페이지에는 간인축의 하단에 부분간인을 삽입한다. 물론 상하단을 반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간인축(24)은 간인(20)을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21,22)을 만드는 기준이기도 하다. 간인축(24)은 앞서 설명한 일실시예의 페이지 모서리(23)와 같은 역할을 한다. 간인축(24)을 기준으로 나누어진 2개의 부분간인(21,22)은 각각 앞장 페이지와 뒷장 페이지에 삽입되어, 간인축(24)을 중심으로 부분간인(21,22)을 맞대어 놓았을 때 원래의 간인과 일치하는지 여부로 두 장의 페이지가 관련됨을 증명하는데 이용된다.
또, 앞서 설명한 일실시예와 같이, 간인의 회전각도와 간인을 나누는 위치에 의해 간인(20)의 경우가 무수히 많은 경우의 수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간인으로서의 증명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b)단계에서 간인축(24)을 두 장의 페이지 상에 정할 때, 각 간인축(20)은 서로 동일한 방향이어야 한다. 즉, 페이지 하단의 모서리인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가 동일하여야 한다. 그러나 그 위치는 달리할 수 있고, 간인축 상에 간인을 하는 부분도 각기 다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첫 번째는 두 장의 페이지(11) 상에 만들어지는 간인축(24)의 위치, 간인축 상의 간인(20)을 하는 위치를 모두 일치시키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간인축(24)의 위치와 간인(20)을 하는 위치 모두가 간인을 증명하는 요소로 이용된다. 즉, 한편, 상기 (b)단계는 상기 간인축을 상기 두 장의 페이지 상에 동일한 위치의 직선으로 정하고, 상기 (d)단계는 앞장 페이지의 간인축 상단과 뒷장 페이지의 간인축 하단을 합쳐 하나의 페이지로 맞추었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분간인을 삽입한다.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번째는 두 장의 페이지(11) 상에 만들어지는 간인축(24)의 위치는 일치시키되 간인축 상의 간인(20)을 하는 위치는 일치시키지 않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간인의 회전각도와 구분되는 위치 이외에도 간인축(24)의 위치가 간인을 증명하는 요소로 이용된다.
도 10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 번째는 두 장의 페이지(11) 상에 만들어지는 간인축(24)의 위치는 일치시키는 것을 고려하지 않으나, 간인축 상의 간인(20)을 하는 위치는 일치시키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간인의 회전각도와 구분되는 위치 이외에도 간인축(24) 상의 간인을 하는 위치가 간인을 증명하는 요소로 이용된다.
도 10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지막은 두 장의 페이지(11) 상에 만들어지는 간인축(24)의 위치, 간인축 상의 간인(20)을 하는 위치를 모두 일치시키는 것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간인의 회전각도와 구분되는 위치만으로 간인을 증명하는 요소로 이용된다. 상기 도 10a의 경우이외에 도 10b내지 도 10d의 경우에도 출력된 용지를 접어 부분간인을 맞대어 원래의 간인과 일치되는지 확인하는 것은 간단하므로, 모두 이용될 수 있는 방식이다.
한편, 도 11은 문서를 구성하는 다수의 페이지에 모두 간인을 하는 경우 각 페이지에 부분간인(21,22)이 날인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하나의 간인(20)은 두 장의 페이지가 관련된 것을 증명하므로, 한 장의 페이지(11)는 그 페이지(11)의 이전 페이지와의 관련된 것을 증명하는 간인(20)과 그 페이지(11)의 다음 페이지와 관련된 것을 증명하기 위한 간인(20)의 2개의 간인이 날인된다. 도 11에서는 가운데 페이지(B)에는 좌측 모서리(23)에는 이전 페이지(A)와의 관련을 증명하는 부분간인과 우측 모서리(23)에는 다음 페이지(B)와의 관련을 증명하는 부분간인이 날인된다. 따라서 문서의 페이지 B(11)와 같은 경우에는 2개의 부분간인(21,22)이 페이지의 앞면에 모두 삽입된다.
도 7 또는 도 11의 페이지 B와 같이, 한 페이지(11)에 2개의 부분간인(21,22)이 날인되는 경우에는 날인된 간인으로 인하여 문서의 내용을 제대로 읽 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부분간인(21,22)을 되도록 문서의 빈공간에 삽입하도록 한다. 즉, 상기 (b)단계는 페이지 상의 빈 공간이 가장 많은 부분에 상기 간인위치를 정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앞면에 내용이 있고 뒷면에는 백지인 페이지로 구성된 문서를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문서의 내용을 앞뒤면 모두에 출력하는 방식도 있다. 이런 경우 문서에 속하는 페이지의 앞면은 홀수 또는 짝수 페이지만 기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문서를 양면 출력하는 경우에는 페이지의 앞면 또는 뒷면만 간인을 할 수 있도록, 홀수 또는 짝수 페이지에 대해서만 상기 간인위치를 정한다. 즉, 상기 (b)단계는 상기 문서출력부가 상기 문서를 양면 출력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홀수 또는 짝수 페이지에 대해서만 상기 간인위치를 정한다.
또, 앞서 설명한 실시예는 출력할 문서를 입력받아 문서의 출력이미지에 간인을 포함하여 함께 출력하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출력된 문서에 간인 이미지만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이미 인쇄용지에 출력된 문서를 프린터에 출력할 용지로 공급하고, 인쇄된 문서와 동일한 페이지 수를 갖는 백지인 문서를 가상으로 만들어 간인(20)만 삽입하여 출력한다. 즉, 인쇄된 문서와 동일한 페이지 수의 백지 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a)단계에서 문서로 입력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나머지 단계들이 수행된다. 이렇게 하면, 이미 인쇄된 문서에 간인의 이미지만 출력되므로 인쇄된 용지에 간인을 출력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페 이지 수만 입력하면 페이지 수에 해당하는 백지 페이지(11)를 생성하고 상기 (a)단계에서 생성된 문서를 입력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의 구성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상기 간인 날인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은 문서 입력부(31), 간인위치 결정부(32), 간인 구분부(33), 간인 날인부(34), 로 구성된다. 이들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6)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7)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문서 입력부(31)는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입력받다.
간인위치 결정부(32)는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페이지들을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에서 간인을 날인할 위치를 정한다.
간인 구분부(33)는 간인을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 방향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으로 만든다.
간인 날인부(34)는 상기 두 장의 페이지 각각에 대하여,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에서 정한 날인할 위치에, 상기 부분간인을 각각 하나씩 삽입하되, 두 장의 페이지를 나란히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도록 삽입한다.
문서출력부(35)는 문서의 페이지에 삽입된 부분간인을 포함하여 문서를 출력한다.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는,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를 좌우로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이거나,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를 상하로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이다.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는, 상기 문서를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가장 외곽의 모서리로 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일실시예와 구성은 동일하나, 각 구성요소의 장치는 다음과 같이 차이가 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은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입력받는 문서 입력부(31);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페이지 상에 동일한 방향의 직선을 각각 정하여 간인축으로 설정하고, 간인축 상 페이지 내의 위치를 간인위치로 정하는 간인위치 설정부(32); 간인을 상기 간인축 방향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으로 만드는 간인 구분부(33); 상기 두 장의 페이지의 상기 간인위치에 상기 부분간인을 각각 하나씩 삽입하되, 상기 페이지 상의 간인축을 중심으로 2개의 부분간인을 맞대어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간인 날인부(34); 문서의 페이지에 삽입된 부분간인을 포함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문서출력부(35)를 포함한다.
상기 간인위치 설정부(32)는, 상기 페이지의 하단 모서리를 기준으로 -9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도의 직선을 상기 간인축으로 설정한다.
상기 간인 날인부(34)는, 앞장의 페이지에는 간인축의 상단에 부분간인을 삽 입하고, 뒷장의 페이지에는 간인축의 하단에 부분간인을 삽입한다.
상기 간인위치 설정부(32)는 상기 간인축을 상기 두 장의 페이지 상에 동일한 위치의 직선으로 정하고, 상기 간인 날인부(34)는 앞장 페이지의 간인축 상단과 뒷장 페이지의 간인축 하단을 합쳐 하나의 페이지로 맞추었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분간인을 삽입한다.
간인위치 설정부(32)는, 페이지 상의 빈 공간이 가장 많은 부분에 상기 간인위치를 정한다. 또, 상기 간인위치 설정부(32)는, 상기 문서출력부가 상기 문서를 양면 출력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홀수 또는 짝수 페이지에 대해서만 상기 간인위치를 정한다.
상기 간인 날인부(34)는, 부분간인이 삽입될 위치의 페이지 이미지가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부분간인의 이미지와 페이지 상의 간인이 삽입될 위치의 이미지를 합성한다.
상기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미흡한 부분은 앞서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에 대하여, 각 페이지가 연속되고 서로 관련된 것임을 증명하기 위해 간인을 날인하는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각 페이지의 앞면에만 간인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단면출력만 되는 일반 프린터에서도 간인이 된 문서를 출력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서의 간인을 날인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앞면의 모서리를 맞대어 간인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앞면을 뒤쪽으로 접어서 맞대어 간인하는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의 구체적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의 다수 페이지 앞면에 간인 날인을 다수 개 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의 구체적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서의 다수 페이지 앞면에 간인 날인을 다수 개 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문서 11 : 페이지
12 : 페이지의 앞면 13 : 페이지의 뒷면
14 : 페이지의 상단 15 : 페이지의 하단
20 : 간인 21, 22 : 부분간인
23 : 페이지 모서리 24 : 간인축
30 : 간인 날인 시스템 31 : 문서입력부
32 : 간인위치 결정부 33 : 간인구분부
36 : 제어부 37 : 메모리

Claims (21)

  1. (a)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입력받는 단계;
    (b)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이하 제1 및 제2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페이지의 앞면을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에서 간인을 날인할 위치(이하 간인위치)를 정하는 단계;
    (c) 간인을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 방향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이하 제1 및 제2 부분간인)으로 만드는 단계;
    (d) 상기 제1 페이지의 앞면의 간인위치에 상기 제1 부분간인을 삽입하고 상기 제2 페이지의 앞면의 간인위치에 상기 제2 부분간인을 삽입하되, 상기 제1 및 제2 페이지의 앞면을 상기 간인위치에 나란히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도록 삽입하는 단계;
    (e) 문서의 페이지에 삽입된 부분간인을 포함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는 상기 제1 및 제2의 페이지의 앞면을 좌우로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이거나, 상기 제1 및 제2의 페이지의 앞면을 상하로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는,
    상기 문서를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가장 외곽의 모서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
  4. (a)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입력받는 단계;
    (b)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이하 제1 및 제2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페이지의 앞면 상에 동일한 방향의 직선을 각각 정하여 간인축으로 정하고, 간인축 상 페이지 내의 위치를 간인위치로 정하는 단계;
    (c) 간인을 상기 간인축 방향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이하 제1 및 제2 부분간인)으로 만드는 단계;
    (d) 상기 제1 페이지의 앞면의 간인위치에 상기 제1 부분간인을 삽입하고 상기 제2 페이지의 앞면의 간인위치에 상기 제2 부분간인을 삽입하되, 상기 제1 및 제2 페이지의 앞면 상의 간인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및 제2 부분간인을 맞대어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단계;
    (e) 문서의 페이지에 삽입된 부분간인을 포함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상기 제1 페이지의 앞면에는 간인축의 상단에 상기 제1 부분간인을 삽입하고, 상기 제2 페이지의 앞면에는 간인축의 하단에 상기 제2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페이지의 하단 모서리를 기준으로 -9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도의 직선을 상기 간인축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간인축을 상기 두 장의 페이지의 앞면 상에 동일한 위치의 직선으로 정하고,
    상기 (d)단계는 앞장 페이지의 앞면의 간인축 상단과 뒷장 페이지의 앞면의 간인축 하단을 합쳐 하나의 페이지로 맞추었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
  8. 삭제
  9.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문서를 양면 출력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홀수 또는 짝수 페이지에 대해서만 상기 간인위치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부분간인이 삽입될 위치의 페이지 이미지가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부분간인의 이미지와 페이지 상의 간인이 삽입될 위치의 이미지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
  11.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입력받는 문서 입력부;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이하 제1 및 제2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페이지의 앞면을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에서 간인을 날인할 위치를 정하는 간인위치 설정부;
    간인을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 방향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이하 제1 및 제2 부분간인)으로 만드는 간인 구분부;
    상기 제1 페이지의 앞면의 간인위치에 상기 제1 부분간인을 삽입하고 상기 제2 페이지의 앞면의 간인위치에 상기 제2 부분간인을 삽입하되, 상기 제1 및 제2 페이지의 앞면을 상기 간인위치에 나란히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도록 삽입하는 간인 날인부;
    문서의 페이지에 삽입된 부분간인을 포함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문서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는 상기 제1 및 제2의 페이지의 앞면을 좌우로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이거나, 상기 제1 및 제2의 페이지의 앞면을 상하로 나란히 놓았을 때 서로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맞대는 페이지 모서리는,
    상기 문서를 프린터로 출력할 수 있는 가장 외곽의 모서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14. 다수의 페이지를 가지는 문서를 입력받는 문서 입력부;
    연속되는 두 장의 페이지(이하 제1 및 제2 페이지)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페이지의 앞면 상에 동일한 방향의 직선을 각각 정하여 간인축으로 정하고, 간인축 상 페이지 내의 위치를 간인위치로 정하는 간인위치 설정부;
    간인을 상기 간인축 방향의 직선으로 나누어 2개의 부분간인(이하 제1 및 제2 부분간인)으로 만드는 간인 구분부;
    상기 제1 페이지의 앞면의 간인위치에 상기 제1 부분간인을 삽입하고 상기 제2 페이지의 앞면의 간인위치에 상기 제2 부분간인을 삽입하되, 상기 제1 및 제2 페이지의 앞면 상의 간인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및 제2 부분간인을 맞대어 놓았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간인 날인부; 및,
    문서의 페이지에 삽입된 부분간인을 포함하여 문서를 출력하는 문서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인 날인부는,
    상기 제1 페이지의 앞면에는 간인축의 상단에 상기 제1 부분간인을 삽입하고, 상기 제2 페이지의 앞면에는 간인축의 하단에 상기 제2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간인위치 설정부는,
    상기 페이지의 하단 모서리를 기준으로 -9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각도의 직선을 상기 간인축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16. 삭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간인위치 설정부는 상기 간인축을 상기 두 장의 페이지의 앞면 상에 동일한 위치의 직선으로 정하고,
    상기 간인 날인부는 앞장 페이지의 앞면의 간인축 상단과 뒷장 페이지의 앞면의 간인축 하단을 합쳐 하나의 페이지로 맞추었을 때 하나의 간인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분간인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18. 삭제
  19. 제 11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간인위치 설정부는,
    상기 문서출력부가 상기 문서를 양면 출력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홀수 또는 짝수 페이지에 대해서만 상기 간인위치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20. 제 11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간인 날인부는,
    부분간인이 삽입될 위치의 페이지 이미지가 보일 수 있도록 상기 부분간인의 이미지와 페이지 상의 간인이 삽입될 위치의 이미지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21.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049715A 2008-05-28 2008-05-28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및 방법 KR10108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715A KR101088161B1 (ko) 2008-05-28 2008-05-28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715A KR101088161B1 (ko) 2008-05-28 2008-05-28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566A KR20090123566A (ko) 2009-12-02
KR101088161B1 true KR101088161B1 (ko) 2011-12-02

Family

ID=41685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715A KR101088161B1 (ko) 2008-05-28 2008-05-28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2250B (zh) * 2018-12-03 2020-09-01 北京惠朗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打印盖章一体机的加盖骑缝章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2387A (ja) 2003-06-06 2004-12-24 Ricoh Co Ltd 印刷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ホスト装置
JP2005157928A (ja) 2003-11-28 2005-06-16 Ricoh Co Ltd スタンプ処理装置、電子承認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5219868A (ja) 2004-02-05 2005-08-18 Fuji Xerox Co Ltd 印刷制御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563076B1 (ko) 2003-09-25 2006-03-24 이종희 다중 문서 간인의 전자 출력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2387A (ja) 2003-06-06 2004-12-24 Ricoh Co Ltd 印刷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ホスト装置
KR100563076B1 (ko) 2003-09-25 2006-03-24 이종희 다중 문서 간인의 전자 출력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5157928A (ja) 2003-11-28 2005-06-16 Ricoh Co Ltd スタンプ処理装置、電子承認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5219868A (ja) 2004-02-05 2005-08-18 Fuji Xerox Co Ltd 印刷制御装置およ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566A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196A (ko) 카드 제조방법
KR20030005259A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CA2668483C (en) Portable data carrier
US20090046324A1 (en) Sequencing and reproducing sets of text and graphics across a collection of printable areas
KR101088161B1 (ko) 문서 앞면의 간인 날인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3939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AU2008230883B2 (en) Method for viewing and printing double sided items
CN103748597A (zh) 用于扫描文档及自动控制文档进一步处理的方法
JP4574078B2 (ja) データ編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735626B2 (ja) 印章照合システム
JP2002067548A (ja) 地紋入り印字紙及び地紋入り印字紙を利用した偽造防止帳票
JP3182282U (ja) 証書類の割り印印刷システム
JPH1175050A (ja) イメージデータ合成装置
JP2018062097A (ja) メモ帳用印刷物及びメモ帳の製造方法
JP2003270771A (ja) 画像を有する印刷物のページ面付け方法
JP2002014951A (ja) プリント方法及び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2007958A (ja) 帳票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815317B2 (ja) 画像蓄積装置
JP3051725B2 (ja) 写真ファイル用シート及び写真ファイル
JP2000218958A (ja) 印刷物
JP3847509B2 (ja) 宛名印刷装置、宛名印刷方法、及び宛名印刷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563076B1 (ko) 다중 문서 간인의 전자 출력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52082Y1 (ko) 후면을 활용한 그림엽서 또는 절취선 인쇄용지
JP3437139B2 (ja) デジタル画像ファイル用シート及びデジタル画像ファイル
JP2018126968A (ja) メモ帳製造システム、メモ帳およびメモ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