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370B1 - 청소용 시트 - Google Patents

청소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370B1
KR101087370B1 KR1020040099410A KR20040099410A KR101087370B1 KR 101087370 B1 KR101087370 B1 KR 101087370B1 KR 1020040099410 A KR1020040099410 A KR 1020040099410A KR 20040099410 A KR20040099410 A KR 20040099410A KR 101087370 B1 KR101087370 B1 KR 101087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sheet
fibers
fiber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3017A (ko
Inventor
다나까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3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3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52Laterally noncoextensiv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82Needled nonwoven fabric
    • Y10T442/684Containin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strand or fiber materia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을 유지시켜 사용했을 때에 피청소물에 대한 마찰 저항이 작고, 또한 여러 가지의 오물이나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청소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홀더(40)의 지지체(42)에 지지된 청소용 시트(1)는 청소면(3)에 액유지체(12)를 갖는 제1 청소부(5)와 그 양측에 위치하는 합성 수지 섬유만으로 형성된 불식(拂拭) 섬유 시트(13a, 13a)가 나타난다. 액유지체(12)에 액을 함침시켜 청소를 행했을 때에 제1 청소부(5)에서는 습식에서의 청소 효과를 발휘하고, 불식 섬유 시트(13a)는 건조 상태로 솜먼지나 머리카락 등을 보충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용 시트 {CLEANING SHEE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청소용 시트를 청소면을 위로 향하게 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청소용 시트를 도시한 도면 2와 동일한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청소용 시트가 몹(mop)형의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5의 V 화살 표시의 측면도.
도 6은 (A) (B)는 분할하는 연속 장섬유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청소용 시트를 도시한 반단면도.
도 8은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청소용 시트가 홀더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201: 청소용 시트
2: 청소 기능부
3: 청소면
4: 파지면
5, 105, 205: 제1 청소부
6, 106, 206: 제2 청소부
7, 107: 완충부
8: 부착부
11: 기초부 시트
12: 액유지체
13: 부직포
13a, 13b: 불식 섬유 시트
14: 표면 시트
40: 홀더
42: 지지체
본 발명은 피청소물을 닦는 청소용 시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물이나 액을 함침시킨 상태로 사용하는데 알맞은 청소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몹(mop) 형상의 홀더 등에 부착되어 바닥면 등의 청소에 사용되는 청소용 시트로서, 액(물 또는 청정제)을 함침시켜 사용하는 액유지 타입과, 액을 유지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건조 타입이 존재한다. 상기 액유지 타입은 바닥면 등에 부착된 미 세한 먼지 등을 닦아 내기에 알맞고, 또한 건조 타입은 솜먼지나 머리카락 등을 제거하기 쉬운 점에 있어서 장점을 갖고 있다.
이하의 특허 문헌 1 내지 4에는 상기 액유지 타입의 청소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청소용 시트는 액형 활성 물질을 유지하는 다공질폴리머의 표면에 기초부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초부 시트는 페이퍼 표면에 열가소성 섬유를 열용융하여 평탄화한 외측 불식면층, 또는 핀홀을 갖는 필름이 라미네이트되어 평탄화된 외측 불식면층이 형성되어 있다. 청소시에는 상기 다공질 폴리머로부터 상기 외측 불식면층의 표면에 액형 활성 물질이 방출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청소용 시트는 액유지성 흡수 시트의 표면에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가 설치되고 있고, 이 표면 시트는 펄프 섬유와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혼합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한 청소용 시트는 액을 유지하는 요철부가 형성된 섬유 집합체와, 이 섬유 집합체의 표면을 덮는 액투과성의 외층 시트를 갖고, 상기 외층시트는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 기재한 청소용 시트는 코튼 섬유, 레이온 섬유 등으로 형성된 친수성 섬유층의 표면에 섬도가 0.5 데니어 이하의 극세 섬유 100%로 이루어지는 극세 섬유층이 설치되어 있다. 이 청소용 시트는 친수성 섬유층으로 수성의 오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친수성 섬유층에 약액을 함침시키고, 이 약액을 극세 섬유층의 표면에 공급하여 먼지 제거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실용 신안 등록 제 2516320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 10-286206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 11-206661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제 3042737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액유지 타입의 청소용 시트는 물 또는 약액을 함침시켜 사용했을 때에, 그 청소면의 전역에 상기 물 또는 약액이 삼출(渗出)하는 구조이다. 그 때문에, 물을 이용하여 바닥면에 부착된 먼지 등을 닦아 내는 것은 가능하지만, 바닥면에 솜먼지나 머리카락 등과 같은 자유도를 갖는 비교적 큰 먼지가 존재할 때에는 수분의 흡착력만에 의해 이들 먼지를 충분히 보충할 수 없다.
또한, 청소용 시트와 바닥면 등의 피청소물과의 접촉면의 전면에 수분이 공급되어 버리기 때문에, 청소용 시트와 피청소물 사이에 개재하는 수막에 의해, 청소용 시트를 움직일 때의 저항이 지나치게 커진다.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것은 외측 불식면층의 표면이, 열가소성 섬유가 그 섬유 형상을 유지하지 못할 정도로 평탄화되고, 혹은 수지 필름으로 평탄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피청소물 사이에 개재하는 수막에 의해서, 닦아내는 작업에서의 저항이 커진다. 또한 청소면이 평탄하기 때문에 바닥 등에 달라붙은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상기 특허 문헌 2 또는 3에 기재한 것은 청소면에 친수성 섬유인 펄프 섬유나 레이온 섬유 등이 나타나 있기 때문에, 내부에 흡수된 수분의 방출이 빠르고, 장시간 청소에 부적합하다. 또한, 표면에 상기 친수성의 섬유가 나타나 있기 때문에 바닥면 등에 대한 마찰 저항이 크고, 닦아낼 때의 저항이 커지기 쉽다.
상기 특허 문헌 4에 기재한 것은 청소면에 섬도가 0.5 데니어 이하의 극세 섬유만이 나타나있기 때문에 청소면과 피청소물 사이에 수막이 형성되기 쉽고, 닦아낼 때의 저항이 크며, 또한 청소면에 극세 섬유만이 나타나있기 때문에 청소면이 실질적으로 평탄하며, 오물을 닦아내는 효과가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액을 흡수하여 유지한 상태로 높은 청소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작게 닦아내는 저항으로 바닥면 등을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는 청소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피청소부를 청소하는 청소면과 상기 청소면과 반대측의 파지면을 갖는 청소용 시트에 있어서,
제1 청소부와 상기 제1 청소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2 청소부를 갖고, 상기제1 청소부는 상기 청소면에 나타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의 파지면측에 배치된 액유지체를 갖고, 상기 제2 청소부의 청소면에는 합성 수지 섬유만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표면 시트보다도 섬유 밀도가 낮은 불식 섬유 시트가 나타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소용 시트는 제1 청소부에서 액유지체로부터 표면 시트에 물이 나 약액이 새어나오기 쉽지만, 제1 청소부의 양측에는 합성 수지 섬유만으로 이루어지는 소수성이면서 저밀도의 불식 섬유 시트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청소부로부터 새어 나온 수분이 불식 섬유 시트로 유지되기 어려워지고, 청소면에서의 수분의 확산 영역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면 등의 피청소물에 대한 마찰 저항이 작아지고, 용이하게 닦아내기 작업을 할 수 있다. 제1 청소부로부터 삼출하는 수분으로 바닥면 등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지만, 그 양측에 위치하는 불식섬유 시트는 수분을 멈추게 하는 일 없이, 바닥면 등에 떨어져 있는 솜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비교적 큰 먼지를 상기 불식 섬유 시트로 효과적으로 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2 청소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액유지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 시트는, 합성 수지 섬유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표면 시트가 합성 수지 섬유만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액유지체로부터 액이 삼출했을 때에도 표면 시트와 바닥면 등의 피청소물과의 미끄럼성이 양호해지고, 청소 작업 때의 저항력이 과대해지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표면 시트에는 섬도가 0.011∼0.77 dtex의 극세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표면 시트에 극세 섬유가 포함되어 있으면, 바닥면 등에 부착된 오물 등의 긁어모음 효과가 증대한다.
또한, 상기 표면 시트에는 1.1∼5.5 dtex의 섬유가 포함되어, 이 섬유와 상 기 극세 섬유는 하나의 섬유로부터 분할된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고, 또 상기 표면 시트를 상기 합성 수지 섬유를 교락시킨 부직포로 구성할 수 있다.
굵기가 상이한 2종의 섬유가 혼재함으로써, 오물의 긁어모음 효과가 증대하고, 또 합성 수지 섬유를 교락시킨 부직포를 사용하면, 표면 시트에서의 액의 투과능력이 적절한 것으로 되어, 액이 지나치게 새어나오는 일도 없고, 액유지체에 포함된 액을 장기간에 걸쳐 표면에 삼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불식 섬유 시트가, 합성 수지 섬유가 열풍에 의해서 융착된 에어쓰루(air-through) 부직포이며, 이 에어쓰루 부직포의 롤러처리 되어 있지 않은 면이 상기 청소면에 나타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청소용 시트에서는 불식 섬유 시트가 저밀도로 자유도를 갖고, 게다가 표면에 섬유가 보풀이 되기 때문에, 불식 섬유 시트와 바닥면 등과의 마찰 저항이 작고, 상기 불식 섬유 시트로 먼지 등을 포착하기 쉬워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청소부에서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액유지체사이에 상기 에어쓰루 부직포가 개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유지체와 표면 시트 사이에 합성 수지 섬유만으로 형성된 에어쓰루 부직포가 개재하고 있으면, 이 에어쓰루 부직포가 그 쿠션성에 의해서, 표면 시트로부터 새어나오는 수분이 다량으로 되지 않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그 때문에 일시에 다량의 수분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욱 장시간의 청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청소부에는 상기 액유지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1 청소부와 상기 제2 청소부와의 경계에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액유지체의 파지면측을 덮는 기초부 시트가 접합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접합부를 가지면, 제1 청소부에서 액유지체로 유지된 액이 제2 청소부로 이행하기 어려워지며, 제2 청소부가 건조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여, 먼지를 털어내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혹은, 본 발명은 상기 제1 청소부와 상기 제2 청소부 사이에 상기 액유지체를 갖지 않는 완충부가 설치되고 있고, 상기 제1 청소부와 상기 완충부의 경계 및 상기 완충부와 상기 제2 청소부의 경계에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액유지체의 파지면측을 덮는 기초부 시트가 접합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제1 청소부에 함침된 액이 제2 청소부로 더욱 이행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청소부는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2 청소부가 상기제1 청소부 2개의 긴 변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청소부의 짧은변 방향으로 청소용 시트를 이동시켜 청소 작업을 행하면, 제1 청소부에 의한 습식 청소 효과와 불식 섬유 시트의 건조식 청소 효과의 쌍방을 발휘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청소용 시트는 상기 제2 청소부에서 측방으로 더욱 연장하는 시트로 홀더에의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청소용 시트를 청소면을 위를 향하게 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선의 단면도,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청소용 시트를 도시하는 도면 2와 동일한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청소용 시트가 홀더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V 화살 표시에서의 확대 측면도, 도 6 (A) (B)는 표면 시트를 구성하는 분할 섬유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청소용 시트를 도시하는 반단면도, 도 8은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청소용 시트가 홀더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반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청소용 시트(1)는 도 2에 도시하는 폭치수 W1의 범위가 청소 기능부(2)이다. 상기 청소 기능부(2) 중 도 1 및 도 2에서 위를 향하고 있는 측이 청소면(3)이며, 도시 아래를 향하고 있는 측이 파지면(4)이다. 상기 청소 기능부(2)는 X 방향의 폭치수가 상기 W1이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 방향의 길이 치수가 상기 W1의 1.5배 이상이 되는 직사각형이다.
상기 청소 기능부(2)에서는 폭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폭치수 W2의 영역이 물 또는 약액 등의 수분을 유지하고 또한, 청소면에 침출시키는 기능을 발휘하는 제1 청소부(5)이며, 그 좌우양측에 위치하는 폭치수 W3의 영역이 비교적 밀도가 낮은 불식 섬유 시트(13a)가 나타나는 제2 청소부(6, 6)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청소부(5)와, 각각의 제2 청소부(6, 6) 사이에 폭치수 W의 완충부(7, 7)가 위치하고 있다. 이 완충부(7, 7)는 실질적으로 액의 유지 기능을 갖고 있지 않고, 게다가 상기 불식 섬유 시트(13a)가 노출되어 있지 않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청소부(5), 제2 청소부(6, 6) 및 완충부(7, 7)는 Y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직사각형이다. 즉, 각각의 상기제2 청소부(6) 및 완충부(7)는 직사각형의 상기 제1 청소부(5)의 긴 변을 따라서 연장되고 있다.
상기 제1 청소부(5)는 청소 기능부(2) 면적의 30∼95%를 차지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50∼70%을 차지하고 있다. 상기 제2 청소부(6, 6)는 청소 기능부(2) 면적의 5∼70%를 차지하여, 바람직하게는 10∼50%를 차지하고 있다. 상기 완충부(7, 7)는 제2 청소부(6, 6)와 동일한 면적이던지 혹은 그것보다도 좁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이 완충부(7, 7)가 존재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다만, 완충부(7, 7)가 설치되면, 제1 청소부(5)에 있어서 삼출한 수분이 제2 청소부(6)로 전해지기 어려워지고, 제2 청소부(6)를 건조 상태로 유지하기 쉬어진다.
청소용 시트(1)에는 기초부 시트(11)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부 시트(11)는 상기 청소 기능부(2)에 있어서 파지면(4)의 전역에 설치됨 과 동시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부 시트(11)가 상기 청소 기능부(2)보다도 더욱 X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하고, 이 기초부 시트(11)의 상기 연장 부분으로, 홀더(40)에 고정하기 위한 부착부(8, 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부착부(8, 8)를 형성하는 시트와, 청소 기능부(2)의 파지면(4)에 위치하는 기초부 시트(11)가 별체의 것으로, 서로 접합되어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부착부(8, 8)를 기초부 시트(11) 및 뒤에 설명하는 부직포(13)와 별개의 부직포로 형성하여도 좋고, 상기 부직포(13)를 상기 청소 기능부(2) 보다도 더욱 X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시켜 상기 부착부(8, 8)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제1 청소부(5)에서는 상기 기초부 시트(11) 위에 액유지체(12)가 설치되고, 상기 액유지체(12)의 청소면(3)측에 부직포(13)와 표면 시트(14)가 차례로 중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청소부(5)는 기초부 시트(11), 액유지체(12), 부직포(13) 및 표면 시트(14)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상기 완충부(7)는 기초부 시트(11)의 위에 상기 부직포(13)가 위치하고, 이 부직포(13)가 표면 시트(14)로 덮힌 구조이며, 액유지체(12)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기 제2 청소부(6)에서는 기초부 시트(11)의 표면에 상기 부직포(13)만이 나타나 있고, 이 부직포(13)의 일부분에 의해서 불식 섬유 시트(1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청소부(6)에도 액유지체(12)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청소부(5)와 각각의 완충부(7)의 경계부에는 압축 접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완충부(7)와 각각의 제2 청소부(6)의 경계부에는 압축 접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압축 접합부(21, 21)와 2개의 압축 접합부(22, 22)는 각각 Y 방향으로 향하여 직선적으로 연장되며, 또한 서로 거의 평행하다. 다만, 상기 압축 접합부(21, 22)가 곡선 패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압축 접합부(21)와 압축 접합부(22)는 기초부 시트(11)와 부직포(13) 및 표면 시트(14)가 함께 가압되어, 각층의 섬유끼리가 열 시일(seal)이나 소닉 시일(sonic seal) 등의 수단으로 융착되어 형성되고 있다. 혹은 상기 압축 접합부(21, 22)에 있어서, 기초부 시트(11)와 부직포(13) 및 표면 시트(14)가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압축 접합부(21)를 형성함으로써, 제1 청소부(5)에 있어서 삼출한 수분이 완충부(7)로 전해지기 어렵게 되고 또한 상기 압축 접합부(22)를 형성함으로써 수분이 제2 청소부(6)에 전해지기 더욱 어렵게 되어, 완충 부(7) 및 제2 청소부(6)를 건조 상태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청소 기능부(2)에는 복수의 횡단 압축 접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횡단 압축 접합부(23)는 상기 청소 기능부(2)를 X 방향으로 횡단하고, 또한 Y 방향에서 일정한 피치(pitch)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횡단 압축 접합부(23)의 평면 패턴은 Y 방향의 한쪽 방향으로 볼록측이 향해지는 V자 패턴 혹은 U자 패턴이다. 혹은, 상기 횡단 압축 접합부(23)가 파형의 패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횡단 압축 접합부(23)가 제1 청소부(5)와 완충부(7) 및 제2 청소부(6)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횡단 압축 접합부(23)는 적어도 제1 청소부(5)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제1 청소부(5)에서는 상기 압축 접합부(21)와 상기 횡단 압축 접합부(23)로 둘러싸인 부분이 청소면(3)을 향하여 융기한 형상이 된다.
상기 기초부 시트(11)는 열융착성의 합성 수지 섬유를 열풍으로 융착시킨 에어쓰루 부직포, 용융한 합성 수지를 노즐로부터 압출하여 서로 융착시킨 스펀 본드부직포, 용융한 합성 수지를 노즐로부터 압출하는 동시에 고속 공기의 흐름으로 초극세로 하여 서로 융착시킨 멜트블로운(melt-blown)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에어레이드(air-laid) 부직포, 또는 수지 필름 혹은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기초부 시트(11)는 합성 수지섬유만으로 형성되어, 레이온, 코튼,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같이 물로 팽윤하는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액유지체(12)는 친수성 소재 또는 친수성 소재와 소수성 소재로 형성된 것이며, 예컨대 펄프 섬유를 에어레이드법으로 적층하고, 펄프 섬유끼리를 바인더로 접합한 에어레이드 펄프, 또는 펄프 섬유와 열융착성의 합성 수지 섬유를 에어레이드법으로 적층하고, 상기 열융착성 섬유의 열융착력에 의해 섬유끼리를 접합한 에어레이드 부직포 등이 사용된다. 상기 에어레이드 펄프, 에어레이드 부직포는 복수 장으로 중첩되고, 합계의 기초 중량이 60∼300 g/㎡ 정도가 되도록 조정되지만, 이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액유지체(12)는 티슈페이퍼와 같은 흡수성 종이의 적층체, 셀룰로오스 스폰지와 같은 친수성으로 연속 기포를 갖는 발포 재료, 적층하여 압축한 펄프층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부직포(13)는 상기 표면 시트(14)보다도 섬유 밀도가 낮은 것이며, 합성 수지 섬유만으로 형성되어, 레이온, 코튼,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같이 물로 팽윤하는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사용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부직포(13)는 폴리에틸렌(PE) 수지 섬유, 폴리프로필렌(PP) 수지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섬유, 혹은 이들의 수지가 복합된 복합 합성 섬유로 형성되어, 열풍에 의해 섬유끼리가 융착된 에어쓰루 부직포으로써, 기초 중량이 10∼50 g/㎡의 범위인 것이 사용된다.
상기 에어쓰루 부직포는 롤러로 처리된 면이 기초부 시트(11)를 향하고, 롤러로 처리되어 있지 않은 면, 즉 섬유가 보풀이 일고 있는(기모하고 있음) 면이 청 소면(3)을 향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제2 청소부(6)에서는 상기 에어쓰루 부직포의 보풀이 생긴 면이 청소면(3)에 나타나고, 이 보풀(기모)이 생긴 에어쓰루 부직포로 불식 섬유 시트(13a)가 구성된다. 부직포(13)는 압축 접합부(22)에 있어서 기초부 시트(11)에 접합되어 있지만, 이 압축 접합부(22)로부터 연장되어 가는 불식 섬유 시트(13a)는 기초부 시트(11)에 접합되어 있지 않는 자유 상태이다.
상기 표면 시트(14)는 친수 처리된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액투과성의 부직포이며, 레이온, 코튼,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같이 물로 팽윤하는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합성 수지 섬유의 적어도 일부는 열융착성이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의 상기 표면 시트(14)는 연속 장섬유를 이용한 장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도 6(A)는 장섬유 부직포를 형성하기 전의 연속 장섬유(31)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연속 장섬유(31)는 유니치카 주식 회사 제조의 제품명「알시머」에 대표되는 것으로 섬도가 1.1∼5.5 dtex 정도의 PE의 본체 섬유(32) 주위에 0.011∼O.77 dtex, 바람직하게는 0.11∼0.55 dtex의 PET의 극세 섬유(33)가 일체화된 상태로 방사된다.
방사 방법은 용융한 합성 수지를 노즐로부터 압출하는 스펀 본드법이며, 계면 활성제를 수지 안에 개어서 속에 넣어 친수화한 것이 사용된다. 상기 스펀 본드법으로 용융 방사된 섬유가 상호 용착되어 장섬유 부직포가 형성된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메쉬형의 와이어 반송대 위에 공급되어, 워터 젯 노즐로부터 고압 수류가 주어진다. 이 고압 수유에 따라, 도 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극세 섬유(33)가 본체 섬유(32)로부터 분할됨과 동시에 이 분할된 극세 섬유(33) 및 본체 섬유(32)가 교락되고, 또 와이어 반송대의 메쉬에 대응한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다. 이 공정에 의해, 표면 시트(14)는 스펀레이스식의 장섬유 부직포(스펀레이스 부직포)가 된다.
이 장섬유 부직포에서는 상기 본체 섬유(31)와 극세 섬유(33)가 섬유의 개수 비로, 1:4 이상으로 1:10 이하의 비율로 존재하고 있다. 또한, 도 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PE의 본체 섬유(32)로부터 극세 섬유(33)를 분할한 결과, PE의 본체 섬유(32)는 그 단면이 복수의 예리한 각부를 갖는 형상이 된다.
상기 장섬유 부직포의 기초 중량은 10∼100 g/㎡의 범위가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청소용 시트 (1)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하는 몹(mop)형의 홀더(40)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상기 홀더(40)는 지지 플레이트(41)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41)의 하면에 유지된 지지체(42)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41)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몸체(43)를 갖고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1)의 상면에는 한쌍의 지지 브래킷(4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지지 브래킷(44) 사이에는 연결부재(45)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몸체(43)의 기초부가 상기 연결부재(4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 몸체(43)은 각 방향으로 자유롭게 쓰러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1)의 상면에는 Y 방향으로 간격을 비워 한쌍의 고정부재(46, 46)가 설치되고 있고, 이 고정부재(46, 46)는 몸체(43)에 향하는 기초부 (46a, 46a)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청소용 시트(1)는 일회용이며, 청소 기능부(2)의 파지면(4)이 상기 지지체(42)의 하면(42a)에 닿아, 청소 기능부(2)의 청소면(3)이 아래를 향한 상태로, 상기 부착부(8, 8)가 지지 플레이트(41)의 상면에 권취되어 이 부착부(8, 8)가 지지 플레이트(41)의 상면과 상기 고정부재(46, 46) 사이에서 협지되어 고정된다.
청소용 시트(1)가 홀더(40)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청소 기능부(2)의 전체가 지지체(42)의 하면(42a)에 지지되고, 지지체(42)의 하면(42a)에는 상기 제1 청소부(5), 완충부(7, 7) 및 제2 청소부(6, 6)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청소부(5)가 지지체(42)의 하면(42a)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청소부(6, 6)를 구성하는 불식 섬유 시트(13a, 13a)가 지지체(42) 하면(42a)의 긴 변의 내측에 위치한다. 불식 섬유 시트(13a, 13a)는 X 방향의 양외측에 있어서 압축 접합부(22)를 기점으로 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청소용 시트(1)는 건조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액유지체(13)에 물 또는 약액을 함침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액유지체(12)에 수분을 함침시키지 않는 건조 상태로, 홀더(40)의 몸체(43)을 유지하고, 지지 플레이트(41)와 지지체(42)를 바닥면 등의 피청소물을 따라 이동시키면, 제1 청소부(5)의 표면 시트(14)의 상기 장섬유 부직포의 요철 형상으로, 미세한 먼지를 털 수 있고 또, 제1 청소부(5)의 양측에 위치하는 밀도가 낮은 불식 섬유 시트(13a, 13a)에 의해서, 솜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비교적 큰 먼지가 포 착된다. 또한, 바닥면 등에 수분이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이 수분이 표면 시트(14)를 투과하여 액유지체(12)에 흡수되어 유지된다.
다음에, 액유지체(12)에 물이나 약액 등의 수분을 유지시킨 상태로, 청소 기능부(2)의 청소면(3)을 바닥면 등을 따라 이동시키면, 청소시의 압력에 의해, 액유지체(12)에 함침된 수분이 부직포(13) 및 표면 시트(14)를 침투하여 표면 시트(14)의 표면에 나타난다. 이 수분에 의해서, 바닥면 등에 부착된 오물이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시트(1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굵기가 상이한 본체 섬유(32)와 극세 섬유(33)가 혼합된 장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시트(14)의 표면에 다른 형상의 요철이 나타나며, 상기 수분과 상기 요철에 의해 바닥면 등에 부착된 오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14)에 상기 극세 섬유(33)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나타나 있기 때문에, 이 극세 섬유(33)가 바닥면 등에 부착된 오물을 제거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인 오물 제거를 실현할 수 있다.
표면 시트(14)가 되는 상기 장섬유 부직포는 본체 섬유(32)가 청소 기능부(2)의 길이 방향(Y 방향)으로 고르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섬유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인 X 방향을 향하는 청소 작업에 있어서, 오물의 제거 효과를 높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14)는 다른 굵기의 섬유가 교락한 장섬유 부직포로 형성되며, 또한 고압 수류에 의해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의 투과기능이 적절한 것이 되고, 액유지체(12)에 유지된 수분이 표면 시트(14)를 투과하 여 서서히 표면으로 새어나오게 된다. 그 때문에 일시에 다량의 수분이 방출되는 일이 없고, 바닥면 등을 적절히 적신 상태로, 장시간의 청소를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청소부(5)에서는 액유지체(12)와 표면 시트(14) 사이에 에어쓰루 부직포의 부직포(13)가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직포(13)의 쿠션 기능에 의해, 액유지체(12)에 주어지는 압력을 가감할 수 있고, 액유지체(12)로부터 표면 시트(14)의 표면으로 새어나오는 수분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펄프 등의 친수성 섬유가 존재하고 있는 것은 제1 청소부(5)의 액유지체(12)만이며, 그 양측의 완충부(7, 7) 및 제2 청소부(6, 6)는 합성 수지 섬유만으로 형성되어, 레이온, 코튼, 펄프 등의 물로 팽윤하는 섬유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액유지체(12)로부터 방출되는 수분이 완충부(7, 7) 및 제2 청소부(7, 7)에 유지되기 어렵고, 수분은 주로 제1 청소부(5)의 표면에 한정되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바닥면 등 사이의 수막에 의한 마찰 저항이 과대해지지 않고, 닦아내는데에 필요한 저항력이 지나치게 커지는 일이 없다.
상기 제2 청소부(6, 6)에는 에어쓰루 부직포에 의한 불식 섬유 시트(13a)가 위치하고 있지만, 이 불식 섬유 시트(13a)는 피청소물을 향해서 섬유가 보풀이 생긴 상태이며, 또한 불식 섬유 시트(13a)는 표면 시트(14)에 덮혀있지 않고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불식 섬유 시트(13a)에 의해, 솜먼지나 머리카락 등의 비교적 큰 먼지를 보충할 수 있다. 상기 불식 섬유 시트(13a)는 합성 수지 섬유만으로 형성된 저밀도의 에어쓰루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이 주어져도 젖은 상태가 길게 계속되는 일이 없고, 또한 제1 청소부(5) 사이에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완충부(7)가 존재하고, 또, 압축 접합부(21, 22)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청소부(5)의 표면으로 새어나오는 수분으로 불식 섬유 시트(13a)가 젖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불식 섬유 시트(13a)는 실질적으로 건조 상태를 유지하여, 홀더(40) 유지체(41)의 X 방향의 가장자리부에 집중하려고 하는 솜먼지나 머리카락 등을 효과적으로 장시간에 걸쳐서 포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표면 시트(14)를 형성하는 부직포는 도 6(A)에 도시하는 연속 장섬유(31)를 기계적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본체 섬유(32)와 극세 섬유(33)를 분할시키고, 그 후에 워터 젯으로 섬유끼리를 교락시킨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 도 6 (A)(B)에 도시하는 구조의 섬유는 반드시 Y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는 장섬유일 필요는 없고, 단섬유로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섬유(32)와 극세 섬유(33)를 분할시킨 후에 연속 장섬유 그대로, 혹은 단섬유로 절단하여, 가열롤 사이에서 가압 또는 가열하여, 본체 섬유(32)와 극세 섬유(33)가 열융착된 장섬유 부직포를 형성하고, 이것을 표면 시트(14)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섬유(32)와 극세 섬유(33)로 분할된 섬유 다발, 즉 섬유끼리 융착되어 있지 않은 섬유 다발을 이용하여, 이 섬유 다 발을 상기 횡단 압축 접합부(23)로 고정한 것을 표면 시트(14)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면 시트(14)의 기초 용량은 50∼300 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예컨대, 불식 섬유 시트(13a)는 상기 에어쓰루 부직포로 형성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합성 수지 섬유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상기 합성 수지 섬유만을 에어레이드법으로 적층하여 섬유끼리를 열융착시킨 에어레이드 부직포 등 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불식 섬유 시트(13a)가 섬도가 2.2∼33 dtex의 범위의 Y 방향으로 도중에서 끊기는 일 없이 연장되는 연속 장섬유가 서로 열융착되는 일 없이 묶여진 장섬유 다발로서 상기 횡단 압축 접합부(23)에 의해 기초부 시트(11)에 접합된 것이어도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청소용 시트(10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청소용 시트(101)는 제1 청소부(105)가 기초부 시트(11)와 액유지체(12)및 장섬유 부직포 등의 표면 시트(14)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청소부(105)의 좌우양측에 제2 청소부(106, 106)가 위치하고 있어, 이 제2 청소부(106, 106)에는 에어쓰루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불식 섬유 시트(13a, 13a)가 설치된다.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청소용 시트(201)를 도시하고 있다.
이 청소용 시트(201)도 제1 청소부(205)와 제2 청소부(206)를 갖고 있다. 이 청소용 시트(201)가 장착되는 홀더(240)는 몸체(243)의 선단부에 지지플레이트(241)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 지지플레이트(241) 아래에 지지체(242)가 고정되어 있다. 청소용 시트(201)의 제1 청소부(205)와 제2 청소부(206)는 상기 지지 체(242)의 하면(242a)에 설치된다.
청소용 시트(201)는 제1 청소부(205)로부터 제2 청소부(206)에 걸쳐 액유지체(12)가 설치되어 있고, 액유지체(12)의 청소면측이 에어쓰루 부직포 등의 부직포(13)로 덮혀있다. 제1 청소부(205)에서는 부직포(13)의 청소면측에 표면 시트(14)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액유지체(12)의 파지면측은 액투과성 또는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2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 접합부(221과 222)에 의해서 표면 시트(14), 부직포(13), 액유지체(12) 및 배면 시트(211)가 접합되어 있다.
상기 압축 접합부(222)보다도 측방에서는 표면 시트(14)와 부직포(13)가 접합부(230)에 있어서 용착 또는 접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청소부(206)에서는 액유지체(12)의 청소면측에 나타나는 상기 부직포(13)에 의해서 불식 섬유 시트(1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직포(13)에는 제2 청소부(206)로부터 측방으로 더욱 연장되어, 상기 불식 섬유 시트(13b)와 연속하는 연장부(1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13c)에 접합된 별체의 부직포 시트에 의해서, 부착부(208)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용 시트(201)의 부착부(208)를 지지플레이트(241)의 상면에 고정하면, 지지체(242)의 하면(242a)에 청소용 시트(201)의 제1 청소부(205)와 제2 청소부(206)가 위치한다. 제1 청소부(205)는 액유지체(12)의 청소면측에 에어쓰루 부직포인 부직포(13)와 표면 시트(14)가 위치하기 때문에 바닥면 등에 부착하고 있는 액체를 표면 시트(14)와 부직포(13)를 거쳐 액유지체(12)에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액유지체(12)로 유지된 액체가 표면 시트(14)의 표면으로 새어 나와 표면 시트(14)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청소부(206)에는 에어쓰루 부직포인 불식 섬유 시트(13b)가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불식 섬유 시트(13c)는 그다지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로, 큰 먼지 등의 제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도 8에 도시하는 제3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2 청소부(206)에 액유지체(12)가 설치되지 않는 것이라도 좋고, 혹은 제2 청소부(206)에 있어서, 불식 섬유 시트(13c)의 파지면측의 일부에만 액유지체(12)가 설치되는 것이라도 좋다. 예컨대 도 8에 있어서, 액유지체(12)의 우측 단부가 지지체(242)의 하면(242a)의 우단부보다도 중심측에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청소용 시트는 겉과 속을 동일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초부 시트로서 부직포(13)와 표면 시트(14)를 이용하고, 도면의 하측에 있어서도 완충부(7, 7)와 제2 청소부(6, 6)를 설치함으로써 표리의 쌍방을 동일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청소용 시트에 의해 수분을 삼출시켜서 청소하는 습식 타입의 청소 효과와, 불식 섬유 시트에 의한 최소의 수분을 유지한 상태에서의 청소 효과의 쌍방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액유지체에 유지된 액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고, 작은 마찰 저항으로, 여러 가지 먼지나 쓰레기 제거 및 포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피청소부를 청소하는 청소면과, 상기 청소면과 반대측의 파지면을 갖는 청소용 시트에 있어서,
    제1 청소부 및 상기 제1 청소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2 청소부를 갖고, 상기제1 청소부는 상기 청소면에 나타나는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 및 상기 표면 시트의 파지면측에 배치된 액유지체를 갖고, 상기 제2 청소부의 청소면에는 합성 수지 섬유만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표면 시트보다도 섬유 밀도가 낮은 불식(拂拭) 섬유 시트가 나타나 있고, 상기 제2 청소부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상기 액유지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합성 수지 섬유만으로 형성되어 있는 청소용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에는 섬도가 0.011∼0.77 dtex의 극세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청소용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에는 1.1∼5.5 dtex의 섬유가 포함되고, 이 섬유와 상기 극세 섬유는 하나의 섬유로부터 분할된 것인 청소용 시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합성 수지 섬유를 교락(交絡)시킨 부직포인 청소용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식 섬유 시트는 합성 수지 섬유가 열풍에 의해서 융착된 에어쓰루(air through) 부직포이며, 이 에어쓰루 부직포의 롤러 처리되어 있지 않은 면이 상기 청소면에 나타나 있는 청소용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청소부에서는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액유지체와의 사이에 상기 에어쓰루 부직포가 개재하고 있는 청소용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청소부에는 상기 액유지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1 청소부와 상기 제2 청소부와의 경계에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액유지체의 파지면측을 덮는 기초부 시트가 접합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청소용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청소부와 상기 제2 청소부 사이에 상기 액유지체를 갖지 않는 완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청소부와 상기 완충부와의 경계 및 상기 완충부와 상기 제2 청소부와의 경계에 적어도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액유 지체의 파지면측을 덮는 기초부 시트가 접합된 접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청소용 시트.
  11.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청소부는 직사각형이며, 상기 제2 청소부가 상기 제1 청소부의 2개의 긴 변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청소용 시트.
  12.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청소부에서 측방으로 더욱 연장되는 시트에 의해 홀더에의 부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청소용 시트.
KR1020040099410A 2003-12-01 2004-11-30 청소용 시트 KR101087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01277 2003-12-01
JPJP-P-2003-00401277 2003-12-01
JPJP-P-2004-00285814 2004-09-30
JP2004285814A JP4562481B2 (ja) 2003-12-01 2004-09-30 清掃用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3017A KR20050053017A (ko) 2005-06-07
KR101087370B1 true KR101087370B1 (ko) 2011-11-25

Family

ID=3446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410A KR101087370B1 (ko) 2003-12-01 2004-11-30 청소용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53783B2 (ko)
EP (1) EP1537819B1 (ko)
JP (1) JP4562481B2 (ko)
KR (1) KR101087370B1 (ko)
CN (1) CN100455250C (ko)
AT (1) ATE501662T1 (ko)
DE (1) DE602004031815D1 (ko)
TW (1) TW20052616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8799B1 (en) * 1999-04-30 2007-03-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ensing system for wipes
JP4571470B2 (ja) 2004-09-30 2010-10-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US7891898B2 (en) 2005-01-28 2011-02-2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pad for wet, damp or dry cleaning
US7976235B2 (en) 2005-01-28 2011-07-12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kit including duster and spray
US20060171767A1 (en) * 2005-01-28 2006-08-03 Hoadley David A Cleaning device with liquid reservoir and replaceable non-woven pad
US7740412B2 (en) 2005-01-28 2010-06-22 S.C. Johnson & Son, Inc. Method of cleaning using a device with a liquid reservoir and replaceable non-woven pad
US7566671B2 (en) * 2005-01-28 2009-07-28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or dusting pad
US20070212157A1 (en) * 2006-03-13 2007-09-13 Hoadley David A Fringeless cleaning or dusting pad
US8893347B2 (en) 2007-02-06 2014-11-25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or dusting pad with attachment member holder
JP5379436B2 (ja) * 2008-09-29 2013-12-25 大王製紙株式会社 清掃シート
US20100144257A1 (en) * 2008-12-05 2010-06-10 Bart Donald Beaumont Abrasive pad releasably attachable to cleaning devices
JP5443803B2 (ja) * 2009-03-25 2014-03-19 大王製紙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CA2772010A1 (en) * 2009-08-27 2011-03-03 Freudenberg Household Products Lp Spray mop
US20120003447A1 (en) * 2010-07-02 2012-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ipes having a non-homogeneous structure
WO2012003364A1 (en) * 2010-07-02 2012-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ipes having a non-homogeneous structure
EP2415428A1 (en) 2010-08-04 2012-02-08 Polymer Group, Inc. Breathable lamina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5777325B2 (ja) * 2010-11-11 2015-09-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清掃用具および清掃シート
USD661442S1 (en) 2011-03-04 2012-06-05 Freudenberg Household Products Lp Spray mop head
USD669648S1 (en) * 2011-08-22 2012-10-23 Euro-Pro Operating Llc Pad
ITPD20120113A1 (it) * 2012-04-13 2013-10-14 T T S S R L Tecno Trolley System Panno di pulizia agganciabile a base per mop.
CN102688004B (zh) * 2012-06-26 2015-07-22 昆山市优鸿电子有限公司 一种清洁布
US20140259491A1 (en) * 2013-03-15 2014-09-18 Ez Products Of South Florida L.L.C. Multi-layered cleaning cloth
US9833119B2 (en) * 2015-09-29 2017-12-05 Shelley Angela Thomas Dual sided reusable floor-cleaning cloth
CN108078511B (zh) * 2016-11-23 2021-08-27 美国iRobot公司 清洁片
JP2018201576A (ja) * 2017-05-30 2018-12-27 株式会社テラモト 清掃シー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清掃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082A (ja) 1997-01-31 1998-10-13 Kao Corp 洗浄剤含浸用物品
JP2002369782A (ja) 2001-06-15 2002-12-24 Sansho Shigyo Kk 清掃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11708A (ja) 2001-10-05 2003-04-15 Yamazaki Corp 乾拭き用清掃布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8113A (en) * 1984-03-09 1985-04-02 Chicopee Microfine fiber laminate
JP2507300B2 (ja) 1985-06-10 1996-06-12 日本電気株式会社 動き補償符号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213008A (ja) 1985-07-10 1987-01-21 Shimadzu Corp 均一磁界発生装置
JP3042737B2 (ja) 1991-09-27 2000-05-22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ワイピング用不織布
US5307005A (en) 1992-12-23 1994-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Zero current switching reverse recovery circuit
SE503414C2 (sv) * 1994-10-07 1996-06-10 Actuelle Tricot I Boras Ab Rengöringstyg för avtorkning av smutsiga ytor och användning av detta rengöringstyg på en mopp för rengöring av smutsiga ytor
TW391239U (en) * 1995-04-07 2000-05-21 Kao Corp Cleaning sheet
JPH0975284A (ja) 1995-09-13 1997-03-25 Mochida Shoko Kk 清掃用具
JP3170443B2 (ja) 1996-01-09 2001-05-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掃除用具
JP3771325B2 (ja) * 1996-06-20 2006-04-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汚れ拭き取り材
US6048123A (en) 1996-09-23 2000-04-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 having high absorbent capacity
US5960508A (en) 1996-11-26 1999-10-05 The Procto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 having controlled fluid absorbency
US6087551A (en) * 1997-01-10 2000-07-11 Mcneil-Ppc, Inc. Multi-denier non-woven fabric for disposable absorbent products
JP3409988B2 (ja) * 1997-03-21 2003-05-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拭き取りシート
JP3621223B2 (ja) 1997-04-15 2005-02-16 花王株式会社 清掃シート
JP3450691B2 (ja) 1998-01-27 2003-09-29 花王株式会社 液吸放出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642944B2 (ja) * 1998-03-19 2005-04-2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長繊維を利用した清掃用物品
JP3570542B2 (ja) * 1999-07-27 2004-09-29 年一 牡丹 カーペット等の清掃方法および清掃用具
US6807702B2 (en) * 1999-11-12 2004-10-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eaning system and apparatus
DE60110290T2 (de) * 2000-02-28 2005-10-06 Kao Corp. Blatt für einen absorbierenden Artikel und absorbierender Artikel mit einem solchen Blatt
US6513184B1 (en) * 2000-06-28 2003-02-04 S. C. Johnson & Son, Inc. Particle entrapment system
EP1212972B1 (en) * 2000-10-13 2015-12-09 Kao Corporation Cleaning sheet for cleaning a piled surface
JP4033645B2 (ja) 2001-07-12 2008-01-16 花王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JP3628606B2 (ja) * 2000-10-13 2005-03-16 花王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US20030003831A1 (en) * 2001-06-29 2003-01-02 Childs Stephen Lee Cleaning sheets comprising multi-denier fibers
DE10138858A1 (de) * 2001-08-08 2002-08-01 Henkel Kgaa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Oberflächen
JP2004033238A (ja) * 2002-06-28 2004-02-05 Kao Corp 清掃用シート
JP4033724B2 (ja) 2002-06-28 2008-01-16 花王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2082A (ja) 1997-01-31 1998-10-13 Kao Corp 洗浄剤含浸用物品
JP2002369782A (ja) 2001-06-15 2002-12-24 Sansho Shigyo Kk 清掃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11708A (ja) 2001-10-05 2003-04-15 Yamazaki Corp 乾拭き用清掃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3491A (zh) 2005-06-08
US7553783B2 (en) 2009-06-30
TW200526164A (en) 2005-08-16
EP1537819B1 (en) 2011-03-16
KR20050053017A (ko) 2005-06-07
TWI295162B (ko) 2008-04-01
ATE501662T1 (de) 2011-04-15
EP1537819A2 (en) 2005-06-08
US20050136775A1 (en) 2005-06-23
CN100455250C (zh) 2009-01-28
EP1537819A3 (en) 2007-05-09
JP2005185824A (ja) 2005-07-14
DE602004031815D1 (de) 2011-04-28
JP4562481B2 (ja)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370B1 (ko) 청소용 시트
KR100575410B1 (ko) 다층 구조의 청소용 물품
KR100831634B1 (ko) 흡수성 물품
KR100765219B1 (ko) 흡수성 물품
KR101108825B1 (ko) 청소용 시트
JP3409988B2 (ja) 拭き取りシート
CN209048043U (zh) 用于自主清洁机器人的清洁垫
JP4928725B2 (ja) 清掃用物品
KR101187526B1 (ko) 청소용 시트
EP0959164A1 (en) Wiping sheet of raised non-woven fabric and production thereof
KR20000023443A (ko) 청소용 시트
AU2017406988B2 (en) Incorporation of apertured area into an absorbent article
JP5421634B2 (ja) 清掃用シート製造方法
JP4522353B2 (ja) 補助吸収性物品
CN113662484A (zh) 清扫用片
US11998430B2 (en) Incorporation of apertured area into an absorbent article
JPH0591550U (ja) 清掃用クロス
JPH0650624U (ja) 使い捨ておむつ等の衛生材料の表面材
MXPA99007227A (en) Liquid-pervious cover layer for an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