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196B1 -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196B1
KR101087196B1 KR1020090081019A KR20090081019A KR101087196B1 KR 101087196 B1 KR101087196 B1 KR 101087196B1 KR 1020090081019 A KR1020090081019 A KR 1020090081019A KR 20090081019 A KR20090081019 A KR 20090081019A KR 101087196 B1 KR101087196 B1 KR 101087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wer supply
monitor
state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260A (ko
Inventor
설춘용
김대성
문환기
조규수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1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스터 컨트롤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전동차의 전진상태를 나타내는 제1 접점, 운전실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접점, 운전실 비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접점 및 전동차의 후진 상태를 나타내는 제4 접점이 형성되는 마스터 컨트롤 동작회로부, 상기 제3 접점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4 접점들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의 접점들로 이동하는 경우 기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 여자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지연 계전기, 상기 제1, 제2 및 제4 접점들 중의 하나가 도통되면 여자되고 상기 제3 접점이 도통되면 소자되는 전원공급 계전기,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가 여자되면 도통되고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가 소자되면 개방되는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 및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3 접점이 도통되면 상기 지연시간동안 도통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모니터에 공급하는 시간지연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실에 설치된 모니터로의 전원 공급의 연속성이 확보되어 전동차 운행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시간지연, 마스터 컨트롤키

Description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TO MONITOR OF RAILWAY CAR}
본 발명은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동차 운전실에 설치된 모니터로의 전원 공급의 연속성을 확보하여 전동차 운행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는 운전자가 운전실에 설치된 마스터 컨트롤키를 조작함으로써 운행된다.
이러한 마스터 컨트롤키의 조작 과정에서 전원 공급의 불연속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원 공급의 연속성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실에 설치된 모니터가 꺼지게 되어 운전자가 전동차의 운행을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런 문제는 모니터에 전원을 재공급하여 다시 부팅시킬 때 까지 지속됨으로써 전동차 운행을 편의성 및 안전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동차 운전실에서 마스터 컨트롤키의 위치에 따른 회로의 동작을 알 수 있다.
마스터 컨트롤 동작회로부(10)은 마스터 컨트롤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접점들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면부호 F는 마스터 컨트롤키가 전동차의 전진상태를 나타내는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S는 마스터 컨트롤키가 전동차의 운전실이 점유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O는 마스터 컨트롤키가 전동차의 운전실이 비점유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R은 마스터 컨트롤키가 전동차의 후진상태를 나타내는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마스터 컨트롤키를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지점 O를 제외한 부분에 마스터 컨트롤키를 위치시키면, 마스터 컨트롤 동작회로부(10)의 접점이 인통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시작하며, 이 전원으로 인하여 전원공급 계전기(30)가 여자되게 된다.
전원공급 계전기(30)가 여자되면 보조접점들(32, 34)이 도통되어, 전원이 운전실 모니터로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F(전진)의 위치에서 R(후진)의 위치로 마스터 컨트롤키를 이동시킬 경우, “O”의 위치를 반드시 지나가게 되어 전원공급 계전기는 마스터 컨트롤키가“O”위치에 놓이는 순간 소자되어 모니터의 전원 공급 의 불연속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동차 운전실에 설치된 모니터로의 전원 공급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를 이용하여 전동차 운행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는 마스터 컨트롤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전동차의 전진상태를 나타내는 제1 접점, 운전실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접점, 운전실 비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접점 및 전동차의 후진 상태를 나타내는 제4 접점이 형성되는 마스터 컨트롤 동작회로부, 상기 제3 접점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4 접점들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의 접점들로 이동하는 경우 기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 여자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지연 계전기, 상기 제1, 제2 및 제4 접점들 중의 하나가 도통되면 여자되고 상기 제3 접점이 도통되면 소자되는 전원공급 계전기,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가 여자되면 도통되고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가 소자되면 개방되는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 및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3 접점이 도통되면 상기 지연시간동안 도통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모니터에 공급하는 시간지연 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간지연 접점은 상기 시간지연 계전기의 보조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간지연 계전기가 소자되어 상기 시간지연 접점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시간지연 접점을 통한 상기 모니터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접점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4 접점들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의 접점들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가 소자되어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를 통한 상기 모니터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지연시간동안 상기 시간지연 접점이 도통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전원을 모니터에 공급하고, 상기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간지연 계전기가 소자되어 상기 시간지연 접점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시간지연 접점을 통한 상기 모니터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가 여자되어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을 통하여 상기 전원이 상기 모니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차 운전실에 설치된 모니터로의 전원 공급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전동차 운행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는 마스터 컨트롤 동작회로부(10), 시간지연 계전기(20), 전원공급 계전기(30),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34) 및 시간지연 접점(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스터 컨트롤 동작회로부(10)는 전동차 운전실에 설치된 마스터 컨트롤키를 통한 입력에 따라 전동차의 전진상태를 나타내는 제1 접점(F), 운전실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접점(S), 운전실 비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제3 접점(O) 및 전동차의 후진 상태를 나타내는 제4 접점(R)이 형성되는 회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스터 컨트롤키를 통하여 전동차가 전진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1 접점(F)이 도통되고, 마스터 컨트롤키를 통하여 전동차의 운전실이 점유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2 접점(S)이 도통되고, 마스터 컨트롤키를 통하여 전동차의 운전실이 비점유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3 접점(O)이 도통되고, 마스터 컨트롤키를 통하여 전동차가 후진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4 접점(R)이 도통된다.
제1 접점(F), 제2 접점(S) 및 제4 접점(R) 중의 하나가 도통되면 전원이 후 술하는 전원공급 계전기(30)로 공급되어 전원공급 계전기(30)가 여자됨으로써 모니터에 전원이 공급되고, 제3 접점(O)이 도통되면 전원공급 계전기(30)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전원공급 계전기(30)가 소자됨으로써 모니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시간지연 계전기(20)는 제3 접점(O)을 경유하여 제1, 제2 및 제4 접점들(F, S, R)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의 접점들로 이동하는 경우 기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 여자 상태를 유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마스터 컨트롤키 조작을 통하여 제1 접점(F)에서 제4 접점(R)으로 이동할 경우, 제3 접점(O)의 위치를 반드시 지나가게 되어 전원공급 계전기(30)는 마스터 컨트롤키가 제3 접점(O)의 위치에 놓이는 순간 소자됨으로써 모니터로의 전원 공급의 불연속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시간지연 계전기(20)가 기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 여자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전원 공급의 불연속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연시간은 예를 들어 2초 내외로 설정할 수 있다.
전원공급 계전기(30)는 제1, 제2 및 제4 접점들(F, S, R) 중의 하나가 도통되면 여자되고 제3 접점(O)이 도통되면 소자되고,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34)은 전원공급 계전기(30)가 여자되면 도통되고 전원공급 계전기(30)가 소자되면 개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2 및 제4 접점들(F, S, R) 중의 하나가 도통되면 즉, 마스터 컨트롤키를 통하여 전동차의 운전실이 점유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거나 전동차가 전진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거나 전동차가 후진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공급 계전기(30)가 여자되어, 전원공급 계전기(30)의 보조접점인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34)이 도통됨으로써 모니터로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제3 접점(O)이 도통되면 즉, 마스터 컨트롤키를 통하여 전동차의 운전실이 비점유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공급 계전기(30)가 소자되어, 전원공급 계전기(30)의 보조접점인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34)이 개방됨으로써 모니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시간지연 접점(22)은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34)에 병렬 연결되어 제3 접점(O)이 도통되면 시간지연 계전기(2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지연시간동안 도통 상태를 유지하여 전원을 모니터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시간지연 계전기(20)가 소자되어 시간지연 접점(22)이 개방됨으로써 시간지연 접점(22)을 통한 모니터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이러한 시간지연 접점(22)으로 시간지연 계전기(20)의 보조접점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접점(O)을 경유하여 제1, 제2 및 제4 접점들(F, S, R)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의 접점들로 이동하는 경우의 회로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접점(F)은 운전자가 전동차 운전실에 설치된 마스터 컨트롤키를 조작하여 전동차의 전진상태를 입력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접점이고, 제2 접점(S)은 운전자가 전동차 운전실에 설치된 마스터 컨트롤키를 조작하여 전동차의 운전실이 점유상태임을 입력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접점이고, 제3 접점(O)은 운전자가 전동차 운전실에 설치된 마스터 컨트롤키를 조작하여 전동차의 운전실이 비점유상태임을 입력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접점이고, 제4 접점(R)은 운전자가 전동차 운전실에 설치된 마스터 컨트롤키를 조작하여 전동차의 후진상태를 입력하는 경우에 형성되는 접점이다.
제3 접점(O)을 경유하여 제1, 제2 및 제4 접점들(F, S, R) 중의 하나가 다른 하나의 접점들로 이동하는 경우, 전원공급 계전기(30)가 소자되어 전원공급 계전기(30)를 통한 모니터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이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제2 접점(S)의 도통 상태에서 제3 접점(O)의 도통 상태를 거쳐 제4 접점(R)의 도통 상태로 전환되거나 제4 접점(R)의 도통 상태에서 제3 접점(O)의 도통 상태를 거쳐 제2 접점(S)의 도통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전원공급 계전기(30)가 소자되어 전원공급 계전기(30)를 통한 모니터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시간지연 계전기(20)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지연시간동안 시간지연 접점(22)이 도통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전원이 시간지연 접점(22)을 통하여 모니터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시간지연 계전기(20)가 소자되어 시간지연 접점(22)이 개방됨으로써 시간지연 접점(22)을 통한 모니터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동시에 전원공급 계전기(30)가 여자되어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34)을 통하여 전원이 모니터로 공급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모니터로의 전원 공급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의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마스터 컨트롤 동작회로부
20: 시간지연 계전기
22: 시간지연 접점
30: 전원공급 계전기
34: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

Claims (4)

  1. 전동차 운전실에 설치된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마스터 컨트롤키를 통하여 전동차가 전진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도통되는 제1 접점, 상기 전동차의 운전실이 점유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도통되는 제2 접점, 상기 전동차의 운전실이 비점유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도통되는 제3 접점 및 상기 전동차가 후진 상태임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면 도통되는 제4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마스터 컨트롤 동작회로부;
    상기 제2 접점의 도통 상태에서 상기 제3 접점의 도통 상태를 거쳐 상기 제4 접점의 도통 상태로 전환되거나 상기 제4 접점의 도통 상태에서 상기 제3 접점의 도통 상태를 거쳐 상기 제2 접점의 도통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기 설정된 지연시간 동안 여자 상태를 유지하다가 소자되는 시간지연 계전기;
    상기 제1, 제2 및 제4 접점들 중의 하나가 도통되면 여자되고 상기 제3 접점이 도통되면 소자되는 전원공급 계전기;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가 여자되면 도통되고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가 소자되면 개방되는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 및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에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3 접점이 도통되면 상기 지연시간동안 도통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전원을 상기 모니터에 공급하고, 상기 지연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시간지연 계전기가 소자되면 개방되어 상기 전원의 상기 모니터로의 공급을 차단하는 시간지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시간지연 접점은 상기 시간지연 계전기의 노멀 클로즈(normal close) 타입의 보조접점이고,
    상기 제2 접점의 도통 상태에서 상기 제3 접점의 도통 상태를 거쳐 상기 제4 접점의 도통 상태로 전환되거나 상기 제4 접점의 도통 상태에서 상기 제3 접점의 도통 상태를 거쳐 상기 제2 접점의 도통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가 소자되어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를 통한 상기 모니터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지연시간동안 상기 시간지연 접점이 도통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전원을 모니터에 공급하고,
    상기 지연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간지연 계전기가 소자되어 상기 시간지연 접점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시간지연 접점을 통한 상기 모니터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가 여자되어 상기 전원공급 계전기 접점을 통하여 상기 전원이 상기 모니터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81019A 2009-08-31 2009-08-31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 KR101087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019A KR101087196B1 (ko) 2009-08-31 2009-08-31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019A KR101087196B1 (ko) 2009-08-31 2009-08-31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260A KR20110023260A (ko) 2011-03-08
KR101087196B1 true KR101087196B1 (ko) 2011-11-29

Family

ID=4393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019A KR101087196B1 (ko) 2009-08-31 2009-08-31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1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3540A (zh) * 2015-04-15 2015-07-22 株洲南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供电控制装置
KR101753470B1 (ko) * 2015-07-27 2017-07-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열차의 절연구간신호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5149B (zh) * 2011-06-03 2013-11-06 北京太格时代自动化系统设备有限公司 电气化铁路智能网络远程测控终端系统
CN107719159B (zh) * 2017-09-21 2020-01-31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低功耗延时下电电路及控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3540A (zh) * 2015-04-15 2015-07-22 株洲南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供电控制装置
CN104793540B (zh) * 2015-04-15 2017-09-26 株洲南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供电控制装置
KR101753470B1 (ko) * 2015-07-27 2017-07-04 현대로템 주식회사 열차의 절연구간신호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260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196B1 (ko) 전동차 운전실 모니터 전원공급장치
CN100374701C (zh) 发动机起动控制系统和控制方法
JP5546524B2 (ja) 車両のスタータモータ駆動回路
US20140288783A1 (en) Brake light control device
EP3228509A1 (en) Electric parking brake device
KR101164022B1 (ko) 철도차량의 추진제어회로
JP4929116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160186478A1 (en) Power window device
JP2004222403A (ja) 車両の給電回路
KR101540627B1 (ko) 철도차량의 연장급전 제어회로 및 그 철도차량
JP2009196453A (ja) スイッチ手段の故障検出装置
JPH0558231A (ja) 車両用電源線構造
JPH08275408A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電源バックアップ装置
KR20100060845A (ko) 자동차의 키 인터록
KR20100089446A (ko) 자동 차량 연결기 제어회로
JP4516635B2 (ja) ロボットのブレーキ解除装置
JP6372005B2 (ja) インターロックスイッチ回路故障診断装置
KR100889792B1 (ko) 열차출입문 제어시스템
JP5436263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6278003A (ja) リレーシステム
KR100533504B1 (ko) 사구간 통과 제어장치
KR101074718B1 (ko) 철도차량의 도어 제어회로
JP4147771B2 (ja) 車両の荷役/走行制御装置
JP2004269067A (ja)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ロック作動装置
JP2000092690A (ja) 複数の電気負荷用の安全装置及び複数の電気負荷の給電遮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