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178B1 - 신호 출력 장치, 신호 출력 방법 및 신호 출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신호 출력 장치, 신호 출력 방법 및 신호 출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178B1
KR101087178B1 KR20107003995A KR20107003995A KR101087178B1 KR 101087178 B1 KR101087178 B1 KR 101087178B1 KR 20107003995 A KR20107003995 A KR 20107003995A KR 20107003995 A KR20107003995 A KR 20107003995A KR 101087178 B1 KR101087178 B1 KR 101087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image data
signal output
b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7003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7277A (ko
Inventor
도시로 오비츠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7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 H04N7/013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dependent on presence/absence of motion, e.g. of motion z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decimation or subsequent interpolation of pictures in a video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가 적은 경우에도, 일정 품질을 유지하는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신호 출력 장치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26)와,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24)와, 기억부(24)에 기억된,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23)와,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고 있지 않을 경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도록, 새로운 프레임을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추가하고, 새로운 프레임이 추가된,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신호 출력부(26)에 입력하는 데이터 작성부(2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신호 출력 장치, 신호 출력 방법 및 신호 출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SIGNAL OUTPUT DEVICE, SIGNAL OUTPU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SIGNAL OUTPUT PROGRAM}
본 발명은, 신호 출력 장치, 신호 출력 방법 및 신호 출력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변환 방법으로서, 인접하는 프레임 사이에 프레임을 추가하는 방법이 있다(특허문헌1 참조.). 또한, 영상 프레임의 보간(補間)에는, 영화 필름의 24코마 영상을, 1초간에 60필드의 인터레이스 신호로 변환하는 2-3 풀다운(pull-down) 방식이 있다. 그리고, 화상의 움직임을 보다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화소 차분에 의해 이동량을 판별하여, 2-3 풀다운 방식의 보간에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특허문헌2 참조).
일본국 특개2005-124201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6-165602호 공보
종래, 원세그 방송(1세그먼트 방송)을 수신가능한 튜너 및 안테나가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세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프레임을 그대로 표시하고 있었다.
원세그 방송이란, 지상 디지털 방송의 1채널당의 대역(6㎒)을 13의 세그먼트로 나누고, 그 중 1세그먼트를 이용해서 제공되는 휴대ㆍ이동체를 향한 방송이다. 이 원세그 방송에 의해, 텔레비전 프로그램 이외에, 텍스트 데이터나 정지화(靜止畵) 데이터 등의 콘텐츠가 제공된다.
원세그 방송에서는, 동화(動畵)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방식으로서 H.264/AVC(레벨 1.2, 320x240 또는 320x180, 최소 프레임 간격 1/15초)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최대 15프레임/초로 영상이 표시되지만, 이 값은 최대값이다.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데이터(화상 데이터)의 영상 포맷은, 방송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의존한다. 그 때문에, 12프레임/초로 영상 데이터가 방송국으로부터 방송될 경우가 있다.
15프레임/초로 영상 데이터가 방송될 경우와, 12프레임/초로 영상 데이터가 방송될 경우에는, 표시되는 영상의 외견의 품질이 다르다. 그 때문에, 채널을 전환했을 때, 전환하기 전의 영상과 전환한 후의 영상에서는, 외견의 품질이 다른 경우가 있다. 또한, 방송국이 같아도, 방송되는 영상의 외견의 품질이 다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영상 데이터 프레임 수(數)가 적은 경우에도, 일정 품질을 유지하는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채용했다. 즉, 본 발명은,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와,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도록, 새로운 프레임을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추가하고, 새로운 프레임이 추가된,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신호 출력부에 입력하는 데이터 작성부를 구비하는 신호 출력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도록, 새로운 프레임을 보간한다. 그리고, 새로운 프레임이 추가된, 한묶음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영상 신호가 출력됨으로써,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새로운 프레임을 보간함으로써, 일정 품질을 유지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신호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작성부는, 상기 프레임을 복수의 국소 영역으로 분할하고, 연속하는 프레임의 국소 영역의 이동량을 산출하고, 국소 영역의 이동량이 최대로 되는 2개의 프레임을 검출하고, 이들 2개의 프레임 사이에 상기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하도록 해도 된다.
데이터 작성부가,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을 복수의 국소 영역으로 분할함으로써, 연속하는 프레임의 국소 영역의 이동량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데이터 작성부가, 국소 영역의 이동량이 최대로 되는 2개의 프레임을 검출함으로써,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영상 개소에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신호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레임은, 상기 2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의 프레임과, 상기 2개의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이며 상기 한 쪽의 프레임과 인접하는 프레임에 의거하여 작성되어도 된다. 상기 2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의 프레임과, 상기 2개의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이며 상기 한 쪽의 프레임과 인접하는 프레임은, 연속하는 프레임이다. 이 연속하는 프레임을 참조함으로써, 프레임이 연속해서 결락(缺落)해 있는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새로운 프레임을 보간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품질을 유지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신호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레임은, 상기 2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의 프레임의 국소 영역 및 상기 2개의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이며 상기 한 쪽의 프레임과 인접하는 프레임의 국소 영역의 이동량과 이동 방향에 의거하여 작성되어도 된다. 상기 2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의 프레임과, 상기 2개의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이며 상기 한 쪽의 프레임과 인접하는 프레임은, 연속하는 프레임이다. 이 연속하는 프레임의 국소 영역의 이동량과 이동 방향에 의거하여, 프레임이 연속해서 결락해 있는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새로운 프레임을 보간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품질을 유지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신호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는 동화이며,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을, 상기 동화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이외의 장치, 기계 등이 상기 어느 하나의 처리를 실행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이외의 장치, 기계 등에, 이상의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프로그램을 컴퓨터 등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한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수가 적은 경우에도, 일정 품질을 유지하는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의 기능 구성도.
도 3은 H.264/AVC의 프레임간 예측의 설명도.
도 4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호 출력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 보간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GOP의 개념도.
도 7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 보간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GOP의 개념도.
도 9는 H.264/AVC의 쌍(雙)예측의 설명도.
도 10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GOP의 개념도.
도 11은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GOP의 개념도.
도 12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GOP의 개념도.
도 13은 H.264/AVC의 쌍방향 예측의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이하, 실시형태라고 함)에 따른 출력 신호 장치를 구비한 정보 기기를, 원세그 방송의 시청 기능을 구비하는 퍼스널 컴퓨터로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의 구성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는, 원세그 방송의 수신 튜너 및 복호 수단을 구비하고, 표시 장치(디스플레이)에 복호한 영상 신호에 의거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복호한 음향 신호에 의거하는 음향을 재생함으로써 원세그 방송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이다.
원세그 방송은, 방송 프로그램이나 방송국의 차이에 따라, 15프레임/초로 영상 데이터(화상 데이터)가 방송될 경우와, 12프레임/초로 영상 데이터가 방송될 경우가 있다. 15프레임/초로 영상 데이터가 방송되었을 경우와 비교하여, 12프레임/초로 영상 데이터가 방송되었을 경우에는, 3프레임이 결락한 상태로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결락한 3프레임을 의사(擬似)적으로 추가함으로써, 12프레임/초로 영상 데이터가 방송될 경우에도, 일정 품질을 유지하는 영상을 표시시키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1)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1)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퍼스널 컴퓨터(1)를 제어하는 CPU(2)와, CPU(2)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CPU(2)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3)와, CPU(2)를 각종 장치에 접속하는 인터페이스(4)와, 인터페이스(4)를 통해서 접속되는 방송 수신 장치(5)와, 통신 장치(6)와, 하드 디스크 구동 장치(7)와, 가반(可搬) 매체 구동 장치(8)와, 입력 장치(9)와, 표시 장치(10)를 갖고 있다.
메모리(3)는, CPU(2)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CPU(2)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메모리(3)는, 휘발성의 RAM(Random Access Memory)과, 불휘발성의 ROM(Read Only Memory)을 포함한다. ROM에는,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과 같은 재기입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4)는, USB 등의 시리얼 인터페이스, 또는, PCI(Peripheral ComP0nent Interconnect),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EISA(Extended ISA), ATA(AT Attachment),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IEEE1394,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등의 패럴렐 인터페이스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한편, CPU(2)와 각 장치를 인터페이스(4)로 접속하고 있지만, CPU(2)와 각 장치의 사이를 다른 인터페이스로 접속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브리지 접속해도 된다.
방송 수신 장치(5)는, 안테나, 튜너 및 복조기를 갖고,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실행하는 CPU(2)에 의해 제어된다. 방송 수신 장치(5)는, 안테나를 이용해서 방송파를 수신하고, 튜너를 이용해서 채널을 선택한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5)는, 복조기를 이용해서 채널의 방송파에 의거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복조 처리 및 압축 동화 데이터 스트림(TS 데이터)의 작성 처리(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작성된 TS 데이터는, 버스를 통해서 출력된다. TS 데이터는, 메모리(3)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그리고, 메모리(3)에 기억된 TS 데이터가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표시 장치(10)에 출력된다.
통신 장치(6)는, 브로드밴드 네트워크(broadband network)와의 인터페이스이다.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케이블 텔레비전 네트워크,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ADSL, 광 네트워크 등의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LAN, 고정 무선 액세스(FWA) 등의 무선 액세스 가능한 네트워크이다. 통신 장치(6)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상의 서버로부터, 하드 디스크 구동 장치(7)에 인스톨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텔레비전 방송의 전자 프로그램표 등을 취득한다. 이들 브로드밴드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는,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다.
하드 디스크 구동 장치(7)는, 메모리(3)에 로드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하드 디스크 구동 장치(7)는, CPU(2)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가반 매체 구동 장치(8)는, 예를 들면, CD(Compact Disc), DVD(Digital Versatile Disk), HD-DVD, 플래시 메모리 등의 구동 장치이다. 또한, 가반 매체 구동 장치(8)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갖는 카드 매체의 입출력 장치여도 된다. 가반 매체 구동 장치(8)가 구동하는 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구동 장치(7)에 인스톨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입력 데이터 등을 보유한다. 입력 장치(9)는,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포인팅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리모트 컨트롤러 등이다.
표시 장치(10)는, 영상 신호에 의거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영상이 표시 장치(10)에 표시됨으로써, 유저는 텔레비전 방송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 장치(10)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RT(Cathode Ray Tube), 일렉트로루미네슨스 패널 등이다. 또한, 표시 장치(10)에는, 스피커가 부속되고, 음향 신호에 의거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출력 장치를 구비한 정보 기기는, 이상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1)로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출력 장치를 구비한 정보 기기는, 퍼스널 컴퓨터(1)에 한정되지 않고, 동등한 기능을 갖는 다른 장치,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신 장치여도 된다. 또한, 텔레비전 방송 수신용의 튜너, 셋톱 박스, 텔레비전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PDA), 게임기, 텔레비전 방송 수신 기능을 가진 차량 탑재용 기기 등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퍼스널 컴퓨터(1)의 기능 구성도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유저의 조작을 받아, 퍼스널 컴퓨터를 조작하는 조작부(20)와, 조작부(20)에서의 조작을 검지하는 검지부(21)와, 방송파(텔레비전 방송)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파의 데이터를 TS 데이터로 복호하는 방송 수신부(22)와, 방송 수신부(22)로부터 출력되는 TS 데이터에 보간이 필요한지를 검출하는 검출부(23)와, 방송 수신부(22)로부터 출력되는 TS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억부(24)와,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TS 데이터에 의거하여, 새로운 TS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작성부(25)와, 기억부(24)로부터 출력되는 TS 데이터 및 데이터 작성부(25)로부터 출력되는 TS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부(27)에 입력하는 신호 출력부(26)와,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27)를 갖는다.
이들 각 기능부는, CPU(2), 메모리(3)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각 장치 및 컴퓨터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조작부(20)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고, 소정의 커맨드나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할 때 등에 조작된다.
검지부(21)는, 조작부(20)로의 조작(예를 들면,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개시 조작이나 수신 채널의 전환 조작)을 검지한다. 검지부(21)는, CPU(2)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성하면 된다. 또한, 검지부(21)로서, 전용의 하드웨어를 설치해도 된다.
방송 수신부(22)는, 안테나로 방송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파에 의거한 데이터 스트림(예를 들면, TS 데이터)을 출력한다. 방송 수신부(22)는, 방송 수신 장치(5)나 CPU(2)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성하면 된다.
검출부(23)는, 방송 수신부(22)로부터 출력되는 TS 데이터를 감시하고, TS 데이터의 GOP가 12프레임 또는 15프레임의 어느 것인지를 검출한다. H.264/AVC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매 이내의 참조 픽처(100, 101, 102)로부터 프레임간 예측이 행해지고, P 픽처(Predictive Picture)(103)가 작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P 픽처(103)를, 픽처 또는 프레임이라고 부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영상 데이터인 TS 데이터는, 동화이어도 되고, TS 데이터의 GOP에 포함되는 프레임을, 동화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IDR 픽처에 의해 구획되는, 한묶음의 프레임 군은, GOP(Group Of Picture)라고 불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GOP는, 12프레임일 경우와, 15프레임일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GOP의 재생 시간은 1초이다. 검출부(23)는, CPU(2)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성하면 된다.
기억부(24)는, 입력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억부(24)는, 방송 수신부(22)로부터 출력되는 TS 데이터의 입력을 접수하고, 재생 시간으로 해서 3초의 TS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억부(24)에 기억된 TS 데이터는, 데이터 작성부(25) 또는 신호 출력부(26)에 입력된다. 기억부(24)는, CPU(2)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는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또는 가반 매체 등의 기록 매체로서 구성된다. 또한, 기억부(24)는, 입력 데이터를 기억하는 전용 메모리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데이터 작성부(25)는, IDR 픽처에 의해 구획된 GOP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기억부(24)에 기억된 TS 데이터의 GOP가 12프레임 또는 15프레임인지를 판정한다. 기억부(24)에 기억된 TS 데이터의 GOP가 12프레임일 경우, 데이터 작성부(25)는, TS 데이터의 GOP에 3프레임을 추가(프레임 보간)하고, GOP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15프레임이 되는 TS 데이터를 신호 출력부(26)에 출력한다. 데이터 작성부(25)는, CPU(2)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성하면 된다.
신호 출력부(26)는, 표시부(27)와의 인터페이스를 갖고, 표시부(27)에 출력하는 TS 데이터를 제어한다. 즉, 신호 출력부(26)는, 기억부(24) 또는 데이터 작성부(25)로부터 입력된 TS 데이터를, 표시부(27)가 표시할 수 있는 영상 신호 또는 음향 신호로 변환하고, 표시부(27)에 출력한다. 또한, 신호 출력부(26)는, 방송 수신부(22)에 의해 방송파가 수신된 시간으로부터 3초 지연된 TS 데이터가 입력된다. 신호 출력부(26)는, CPU(2)상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성하면 된다. 또한, 신호 출력부(26)는,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전용 프로세서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표시부(27)는, 신호 출력부(26)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의 입력을 받아서 영상을 표시하고, 음향을 재생한다. 또한, 표시부(27)는, 방송 수신부(22)에 의해 방송파가 수신된 시간으로부터 3초 지연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가 입력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억되는 TS 데이터의 양은, 동화 또는 음향으로서 재생할 경우의 시간으로 환산해서 3초분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동화 데이터에서는, 원세그 방송은 매초 12프레임 또는 15프레임이기 때문에, 약 36프레임으로부터 45프레임의 동화 데이터가 기억된다. 이 기억량은, 가능한 한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퍼스널 컴퓨터(1)상에 확보할 수 있는 기억 영역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3초로 한다. 단, 이 기억량은, 실시형태마다 적당히 최적인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주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거나, 메인 메모리의 일부를 비디오 메모리로서 사용하지 않음(단독의 비디오 메모리를 설치함)으로써 확보 가능한 메인 메모리의 용량을 증가시켜, 기억량을 증가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퍼스널 컴퓨터(1)는, TS 데이터 3초분의 지연 출력을 행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퍼스널 컴퓨터(1)로 원세그 방송을 시청할 경우, 다른 통상의 원세그 방송 시청 장치로 시청하는 경우에 비해 약 3초 지연된 영상 및 음향이 출력된다. 지연 출력을 행함으로써, 프레임 수가 적은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에도, 프레임 수가 적은 영상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게 되지 않고, 기억된 미출력의 데이터를 지연 재생함으로써, 프레임 수가 적은 부분의 영상을 보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처리 플로우>
도 4 및 도 5에, 퍼스널 컴퓨터(1)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호 출력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임 보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신호 출력 처리〉
도 4의 신호 출력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호 출력 처리는, 조작부(20)에서의 텔레비전 시청 개시 조작을 검지부(21)가 검지하고, 신호 출력 처리의 개시 지시의 신호가, 검지부(21)로부터 신호 출력부(26)에 출력됨으로써 실행된다.
우선, 방송 수신부(22)로부터 TS 데이터가 출력된다(S101). 이어서, 방송 수신부(22)로부터 출력된 TS 데이터를 수신한 검출부(23)는, TS 데이터의 GOP가 12프레임 또는 15프레임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S102).
TS 데이터의 GOP가 12프레임 또는 15프레임 중 어느 것이 아닐 경우(S102의 처리에서 NO), 검출부(23)는, 신호 출력부(26)에 영상 표시 불가의 신호를 출력한다(S103). 영상 표시 불가의 신호가 입력된 신호 출력부(26)는, 정상인 표시를 할 수 없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를 표시부(27)에 출력한다. 정상인 표시를 할 수 없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가 입력된 표시부(27)는, 정상인 표시를 할 수 없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부(27)는, 「신호가 없습니다」라는 표시를 행한다. 이것에 의해, 시청자는 어떠한 요인에 의해 시청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검출부(23)는, 영상 표시 불가의 신호를 신호 출력부(26)에 출력했을 경우, S101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TS 데이터의 GOP가 12프레임 또는 15프레임 중 어느 것일 경우(S102의 처리에서 YES), TS 데이터는 기억부(24)에 기억된다(S104). 기억부(24)에 3초분의 TS 데이터가 기억되었을 경우, S105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어서, 데이터 작성부(25)는,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TS 데이터의 GOP가 15프레임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05). 즉,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GOP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15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TS 데이터의 GOP가 15프레임일 경우(S105의 처리에서 YES), TS 데이터는, 기억부(24)로부터 신호 출력부(26)에 입력된다. 그리고, 신호 출력부(26)에 의해, TS 데이터는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표시부(27)에 입력된다. 표시부(27)는, 신호 출력부(26)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한다(S106).
한편, TS 데이터의 GOP가 15프레임이 아닐 경우(S105의 처리에서 NO), 데이터 작성부(25)는,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함으로써, GOP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15프레임이 되는 TS 데이터를 작성한다(S107). 데이터 작성부(25)는, GOP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15프레임이 되는 TS 데이터를 신호 출력부(26)에 출력한다. 신호 출력부(26)에 입력된 TS 데이터는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표시부(27)에 입력된다. 표시부(27)는, 신호 출력부(26)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한다(S106).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3초분의 TS 데이터가 처리되었을 경우, S101의 처리로 진행한다.
〈프레임 보간 처리〉
이어서, 도 4의 S107에 있어서, 데이터 작성부(25)가 행하는 새로운 프레임의 추가 처리(프레임 보간 처리)에 대해서 상세에 설명한다. 도 5는, 데이터 작성부(25)에 의해 행해지는 프레임 보간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데이터 작성부(25)는,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TS 데이터 중, GOP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15프레임이 아닌 TS 데이터를 분할한다(S201). 즉,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TS 데이터 중, GOP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12프레임인 TS 데이터를 분할한다. 이 경우, 데이터 작성부(25)는, 12프레임을 3개의 프레임 그룹으로 분할함으로써, 4프레임으로 1세트인 프레임 그룹을 3개 작성한다.
도 6은, 12프레임을 3개의 프레임 그룹으로 분할했을 경우의 GOP의 개념도이다. 프레임 P01은, 프레임 P02보다 시간적으로 과거의 영상을 표시하는 프레임이다. 프레임 P01로부터 프레임 P12까지의 12프레임은, IDR 픽처에 의해 구획되어, GOP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프레임으로 1세트인 프레임 그룹을 3개 작성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 그룹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는 적당히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3프레임으로 1세트인 프레임 그룹을 4개 작성해도 되고, 6프레임으로 1세트인 프레임 그룹을 2개 작성해도 된다. 또한, 기억부(24)에는, 3초분의 TS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GOP에 포함되는 프레임으로 1세트의 프레임 그룹을 작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의 프레임 P01, 프레임 P02 및 프레임 P03과, 도 6에 나타내는 GOP보다 시간적으로 과거의 영상을 표시하는 TS 데이터의 GOP에 포함되는 프레임으로 1세트의 프레임 그룹을 작성해도 된다.
도 5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이어서, 데이터 작성부(25)는,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각 프레임을 참조함으로써, 대상 블록의 이동량 V를 산출한다(S202). 여기서, 도 7을 참조하여, 대상 블록의 이동량 V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의, 프레임 P05, 프레임 P06, 프레임 P07 및 프레임 P08은,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TS 데이터)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은, 프레임 P05, 프레임 P06, 프레임 P07 및 프레임 P08의 순서로 기억부(24)로부터 출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을 매크로 블록(국소 영역에 상당)으로 분할하고, 매크로 블록의 이동량을 산출한다. 도 7에 있어서의 프레임 P05, 프레임 P06, 프레임 P07 및 프레임 P08에서는, C 및 D를 대상 블록(매크로 블록)으로서 나타낸다.
데이터 작성부(25)는,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각 프레임을 참조하여, 대상 블록의 색차(色差) 신호의 변동량을 검출함으로써, 대상 블록의 이동을 검출한다. 그리고, 데이터 작성부(25)는, 이동을 검출한 대상 블록의 이동량 V를 산출한다. 즉, 기억부(24)에는 프레임이 연속해서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작성부(25)는, 연속하는 프레임을 비교하고, 이들 2개의 프레임에 공통되는 대상 블록의 이동량 V를 산출한다.
도 7에 나타내는 프레임 P07과 프레임 P08을 비교했을 경우, 대상 블록 D만 색차 신호의 변동량이 있기 때문에, 대상 블록 D의 이동이 검출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프레임 P07과 프레임 P08을 비교했을 경우, 대상 블록 C는, 색차 신호의 변동량이 없기 때문에, 대상 블록 C의 이동은 검출되지 않는다.
또한, S202의 처리에 있어서, 대상 블록의 이동을 복수 검출했을 경우, 데이터 작성부(25)는, 검출한 대상 블록 중에서 가장 이동량이 큰 대상 블록에 대해서, 대상 블록의 이동량 V를 산출하도록 해도 된다. 시청자는, 영상에서의 변화가 큰 부분에 착안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S202의 처리에 있어서, 대상 블록의 이동을 복수 검출했을 경우, 데이터 작성부(25)는, 대상 블록의 이동량 V로서, 검출한 복수의 대상 블록의 이동량의 평균값을 산출하도록 해도 된다.
도 5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데이터 작성부(25)는,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각 프레임을 참조하고, 대상 블록의 이동량 V가 가장 큰 2개의 프레임을 검출한다(S203). 여기서, 대상 블록의 이동량 V가 가장 큰 2개의 프레임을 검출하는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GOP의 개념도이다. 도 8에는, 1개의 GOP가 나타나 있고, 12프레임이 프레임 그룹 200, 프레임 그룹 201 및 프레임 그룹 202로 나누어져 있다. 대상 블록의 이동량 V가 가장 큰 2개의 프레임을, 프레임 그룹 201로부터 검출할 경우, 데이터 작성부(25)는, 프레임 P04, 프레임 P05, 프레임 P06, 프레임 P07, 프레임 P08 및 프레임 P09를 참조한다. 따라서, 데이터 작성부(25)는, 프레임 그룹 내의 프레임과, 프레임 그룹 내의 프레임과 연속성이 있는 프레임(도 8에서는, 프레임 P04 및 프레임 P09)을 참조함으로써, 대상 블록의 이동량 V가 가장 큰 2개의 프레임을 검출한다.
도 5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데이터 작성부(25)는, 새로운 프레임을 삽입하는 위치를 결정한다(S204).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작성부(25)는, S203의 처리로 검출된 2개의 프레임 사이에, 새로운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을 결정한다.
이어서, 데이터 작성부(25)는,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임의의 2개의 프레임을 참조하고, 대상 블록의 이동 벡터(이동량 및 이동 방향)를 산출한다(S205). 예를 들면, S203의 처리로 검출된 2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과, 그 프레임과 연속하는 프레임을 참조해서, 대상 블록의 이동 벡터를 산출해도 된다. 도 7에서는, 프레임 P07 및 프레임 P08이 참조되고, 대상 블록 C 및 대상 블록 D의 이동 벡터가 산출된다. 또한, 프레임 P05 및 프레임 P06을 참조하여, 대상 블록 C 및 대상 블록 D의 이동 벡터를 산출해도 된다.
도 5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데이터 작성부(25)는, 산출한 이동 벡터로부터, 대상 블록의 위치를 추측하고, 새로운 프레임을 작성한다(S206). 도 7에서는, 대상 블록 C 및 대상 블록 D의 이동 벡터로부터, 대상 블록 C 및 대상 블록 D의 위치가 추측되어, 새로운 프레임 PB가 작성된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여, H.264/AVC의 쌍예측에 의한 새로운 프레임의 작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H.264/AVC의 쌍예측에서는, 임의의 2개의 프레임을 참조함으로써, 새로운 프레임을 작성한다. 도 9에서는, 프레임 P201의 대상 블록 F 및 프레임 P202의 대상 블록 F가 참조되어서, 새로운 프레임 PC의 대상 블록 F가 작성되어 있다. 프레임 P201 및 프레임 P202는, 새로운 프레임 PC보다 시간적으로 후에 표시되는 영상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새로운 프레임 PB는, 도 9에 나타내는 이러한 처리에 의해 작성된다.
도 5의 설명으로 돌아간다. 데이터 작성부(25)는, 새롭게 작성한 프레임을, S204의 처리로 결정한 위치에 삽입한다(S207). 데이터 작성부(25)는, 분할한 3개의 프레임 그룹의 각각에 대하여, S202로부터 S207의 처리를 반복하고, 프레임 보간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204의 처리에 있어서, 이미 새로운 프레임이 삽입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미 새로운 프레임이 삽입된 위치를 제외하고, 데이터 작성부(25)는, 새로운 프레임을 삽입하는 위치를 결정해도 된다. 도 10은, GOP의 개념도이다. 도 10에는, 1개의 GOP가 나타나 있고, 12프레임이 프레임 그룹 200, 프레임 그룹 201 및 프레임 그룹 202로 나누어져 있다. 예를 들면, 도 10의 프레임 그룹 200에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한 위치가, 도 10의 A의 위치였을 경우, 도 10의 프레임 그룹 201에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하는 위치로서, 도 10의 A의 위치를 제외해도 된다. 한편, 도 10의 B, C, D 및 E는,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 가능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0의 프레임 그룹 200에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한 위치가, 도 10의 A의 위치였을 경우, 도 10의 프레임 그룹 201에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할 때, 프레임 그룹 200에 추가한 새로운 프레임을 참조해도 된다. 도 11에, 프레임 그룹 200에 새로운 프레임 PD를 추가했을 경우의 GOP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이 경우, 도 11의 프레임 그룹 201에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할 때, 새로운 프레임 PD, 프레임 P05, 프레임 P06, 프레임 P07, 프레임 P08 및 프레임 P09를 참조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새로운 프레임 PD와 프레임 P05 사이에, 새로운 프레임 PE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작성부(25)는, 새롭게 작성한 프레임 PD를 기억부(24)에 기억하고, 새로운 프레임 PE를 작성할 경우에, 새로운 프레임 PD를 참조하면 된다.
도 12는,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하고, GOP에 포함되는 프레임 수를, 12프레임으로부터 15프레임으로 변환했을 경우의 GOP의 개념도이다. 프레임 그룹 300에 새로운 프레임 PA가 추가되고, 프레임 그룹 301에 새로운 프레임 PB가 추가되며, 프레임 그룹 302에 새로운 프레임 PC가 추가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서는, 새로운 프레임이 추가되어, GOP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15프레임이 되는 TS 데이터가 출력되어, 15프레임의 영상 신호에 의거하는 영상이 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프레임 수가 적은 영상 데이터를 수신했을 경우, 프레임을 추가함으로써, 시청자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는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대상 블록의 이동량이 가장 큰 2개의 프레임 양쪽을 참조하여, 새로운 프레임을 작성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H.264/AVC의 쌍방향 예측에서는,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할 경우, 추가되는 새로운 프레임을 사이에 끼우는 2개의 프레임을 참조하여, 새로운 프레임이 작성된다. 그리고, 새로운 프레임은, 참조한 2개의 프레임 사이에 삽입된다. 그러나, 참조하는 프레임이 결락해 있는 경우가 있어, 새로운 프레임을 정확하게 작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12프레임의 GOP를 수신했을 때, 3프레임이 결락해 있고, 이 결락한 3프레임이 연속하는 프레임인 경우에 일어난다.
도 13은, H.264/AVC의 쌍방향 예측에 의해 참조되는 프레임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원래의 영상의 GOP는 15프레임이었지만, 수신한 TS 데이터의 GOP는 12프레임이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프레임 P01로부터 프레임 P12는, 수신한 TS 데이터의 GOP에 포함되는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고, 프레임 PX, 프레임 PY 및 프레임 PZ는, 원래의 영상의 GOP로부터 결락된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PX 및 프레임 PY는, 원래의 영상의 GOP에서는 연속하는 프레임이다. 프레임 PT는, 쌍방향 예측에 의해 새롭게 작성되는 프레임이다. 쌍방향 예측에 의해 새로운 프레임 PT를 작성할 경우, 참조해야 할 프레임은 프레임 P02 및 프레임 PY, 또는, 프레임 PX 및 프레임 P03이 된다. 그러나, 프레임 PY는 결락해 있어, 프레임 P02 및 프레임 PY를 참조하여, 새로운 프레임 PT를 작성할 수 없다. 또한, 프레임 PX는 결락해 있어, 프레임 PX 및 프레임 P03을 참조하여, 새로운 프레임 PT를 작성할 수 없다.
즉, 수신한 TS 데이터의 GOP에, 연속해서 결락하는 프레임이 있을 경우, 연속해서 결락하는 프레임과 인접하는 프레임(도 13에서는, 프레임 P02 및 프레임 P03) 사이의 대상 블록의 이동량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쌍방향 예측에서는, 새로운 프레임의 대상 블록의 위치를 추정할 수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상 블록의 이동량이 가장 큰 2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한 쪽과, 대상 블록의 이동량이 가장 큰 2개의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을 참조함으로써, 새로운 프레임이 작성된다. 이 다른 프레임은, 대상 블록의 이동량이 가장 큰 2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한 쪽과 인접하는 프레임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대상 블록의 이동량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도, 즉, 대상 블록의 이동량이 쌍방향 예측에 의해 참조할 수 있는 허용량을 넘는 경우에도, 새로운 프레임의 대상 블록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대상 블록의 이동량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도, 새로운 프레임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상 블록의 이동량이 가장 큰 2개의 프레임 양쪽이 아니라, 어느 한 쪽을 참조하여, 새로운 프레임이 작성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프레임이 연속해서 결락하는 경우에도, 새로운 프레임을 작성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컴퓨터에 상기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에, 이 기록 매체의 프로그램을 읽어넣어 실행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제공시킬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정보를 전기적, 자기적, 광학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작용에 의해 축적하고, 컴퓨터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를 말한다. 이러한 기록 매체 중 컴퓨터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 CD-R/W, DVD, DAT, 8㎜ 테이프,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에 고정된 기록 매체로서 하드 디스크나 ROM 등이 있다.
1 : 퍼스널 컴퓨터
2 : CPU
3 : 메모리
4 : 인터페이스
5 : 방송 수신 장치
6 : 통신 장치
7 : 하드 디스크 구동 장치
8 : 가반 매체 구동 장치
9 : 입력 장치
10 : 표시 장치
20 : 조작부
21 : 검지부
22 : 방송 수신부
23 : 검출부
24 : 기억부
25 : 데이터 작성부
26 : 신호 출력부
27 : 표시부

Claims (15)

  1.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와,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數)가 소정 수를 충족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도록, 새로운 프레임을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추가하고, 새로운 프레임이 추가된,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신호 출력부에 입력하는 데이터 작성부
    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 작성부는, 상기 프레임을 복수의 국소 영역으로 분할하고, 연속하는 프레임의 국소 영역의 이동량을 산출하고, 국소 영역의 이동량이 최대로 되는 2개의 프레임을 검출하고, 이들 2개의 프레임 사이에 상기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하는
    신호 출력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레임은, 상기 2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의 프레임과, 상기 2개의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이며 상기 한 쪽의 프레임과 인접하는 프레임에 의거하여 작성되는 신호 출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레임은, 상기 2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의 프레임의 국소 영역 및 상기 2개의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이며 상기 한 쪽의 프레임과 인접하는 프레임의 국소 영역의 이동량과 이동 방향에 의거하여 작성되는 신호 출력 장치.
  5. 제 1 항, 제3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는 동화상(動畵)이며,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은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 구조인 신호 출력 장치.
  6. 컴퓨터가,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스텝과,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에 기억된,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도록, 새로운 프레임을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추가하고, 새로운 프레임이 추가된,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작성 스텝
    을 실행하고,
    상기 신호 출력 스텝은, 새로운 프레임이 추가된,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데이터 작성 스텝은, 상기 프레임을 복수의 국소 영역으로 분할하고, 연속하는 프레임의 국소 영역의 이동량을 산출하고, 국소 영역의 이동량이 최대로 되는 2개의 프레임을 검출하고, 이들 2개의 프레임 사이에 상기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하는
    신호 출력 방법.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레임은, 상기 2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의 프레임과, 상기 2개의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이며 상기 한 쪽의 프레임과 인접하는 프레임에 의거하여 작성되는 신호 출력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레임은, 상기 2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의 프레임의 국소 영역 및 상기 2개의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이며 상기 한 쪽의 프레임과 인접하는 프레임의 국소 영역의 이동량과 이동 방향에 의거하여 작성되는 신호 출력 방법.
  10. 제 6 항, 제8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는 동화상이며,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은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 구조인 신호 출력 방법.
  11. 컴퓨터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 스텝과,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에 기억된,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고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고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소정 수를 충족하도록, 새로운 프레임을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추가하고, 새로운 프레임이 추가된,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데이터 작성 스텝
    을 실행시키고,
    상기 신호 출력 스텝은, 새로운 프레임이 추가된,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데이터 작성 스텝은, 상기 프레임을 복수의 국소 영역으로 분할하고, 연속하는 프레임의 국소 영역의 이동량을 산출하고, 국소 영역의 이동량이 최대로 되는 2개의 프레임을 검출하고, 이들 2개의 프레임 사이에 상기 새로운 프레임을 추가하는
    신호 출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레임은, 상기 2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의 프레임과, 상기 2개의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이며 상기 한 쪽의 프레임과 인접하는 프레임에 의거하여 작성되는 신호 출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프레임은, 상기 2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한 쪽의 프레임의 국소 영역 및 상기 2개의 프레임과는 다른 프레임이며 상기 한 쪽의 프레임과 인접하는 프레임의 국소 영역의 이동량과 이동 방향에 의거하여 작성되는 신호 출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5. 제 11 항, 제 13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는 동화상이며, 상기 한묶음의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프레임은 상기 동화상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 구조인 신호 출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07003995A 2007-08-31 2007-08-31 신호 출력 장치, 신호 출력 방법 및 신호 출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087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67049 WO2009028101A1 (ja) 2007-08-31 2007-08-31 信号出力装置、信号出力方法及び信号出力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277A KR20100047277A (ko) 2010-05-07
KR101087178B1 true KR101087178B1 (ko) 2011-11-25

Family

ID=40386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7003995A KR101087178B1 (ko) 2007-08-31 2007-08-31 신호 출력 장치, 신호 출력 방법 및 신호 출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04954B2 (ko)
JP (1) JP5158085B2 (ko)
KR (1) KR101087178B1 (ko)
CN (1) CN101785308B (ko)
BR (1) BRPI0721967A2 (ko)
WO (1) WO20090281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2541B (zh) * 2017-06-09 2021-11-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刷新率调整方法及组件、显示装置、存储介质
US20220046406A1 (en) * 2020-08-07 2022-02-10 Nokia Technologies Oy Problem mitigation in subscriber profile mana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7480A1 (en) * 2005-09-19 2007-03-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daptive media playout by server media processing for robust stream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9210B2 (ja) * 1999-02-10 2001-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動画像圧縮方法、動画像圧縮装置及び動画像圧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100776529B1 (ko) * 2000-03-13 2007-11-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간결한 트랜스코딩 힌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DE60143927D1 (de) * 2000-03-13 2011-03-10 Sony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kompakten metadateien für transcodierungshinweise
JP2002044669A (ja) * 2000-07-27 2002-02-08 Sony Corp 画像情報変換装置及び方法
KR100850705B1 (ko) * 2002-03-09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공간적 복잡도를 고려한 적응적 동영상 부호화 방법 및그 장치
JP2004159191A (ja) * 2002-11-07 2004-06-03 Seiko Epson Corp 画像データに応じたフレームレートの変換
KR100553893B1 (ko) 2003-10-14 200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임 시프트와 움직임 보상을 이용한 프레임 레이트 변환장치 및 그 방법
US8315307B2 (en) * 2004-04-07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prediction in hybrid video compression to enable temporal scalability
JP4396496B2 (ja) 2004-12-02 2010-0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レームレート変換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並びにフレームレート変換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67480A1 (en) * 2005-09-19 2007-03-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Adaptive media playout by server media processing for robust strea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04954B2 (en) 2014-04-22
KR20100047277A (ko) 2010-05-07
JP5158085B2 (ja) 2013-03-06
CN101785308A (zh) 2010-07-21
WO2009028101A1 (ja) 2009-03-05
CN101785308B (zh) 2013-02-06
BRPI0721967A2 (pt) 2014-03-18
JPWO2009028101A1 (ja) 2010-11-25
US20100165190A1 (en)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8805A2 (en) Method of performing time-shift function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US799047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US8629939B1 (en) Television ticker overlay
KR20130076650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305171B2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igital data, such as audio/video (A/V) data,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40077785A (ko) 이미지 데이터 부족시 감지 영상 출력 품질을 향상시키는이미지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75843B1 (ko) 동영상 데이터 복호 장치
US20120224832A1 (en) Method of recording and replaying video data,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90091771A (ko) 콘텐츠 의존 움직임 검출 장치, 방법 및 물품
JP2006310977A (ja) チャンネル切替補助装置、出力信号切替方法及びチャンネル切替補助プログラム
KR101087178B1 (ko) 신호 출력 장치, 신호 출력 방법 및 신호 출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8422866B2 (en) Signal output device, signal output method and readable-by-computer recording medium
US8045817B2 (en)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and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AV device using the same
US73862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 operation for video cassette recorder having digital tuner
JP2011061709A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KR101462116B1 (ko)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374048B2 (ja) 補間フレーム生成装置、補間フレーム生成方法及び放送受信装置
EP2192691A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of recording image
JP5590018B2 (ja) 動画データ復号装置、情報機器、動画データ復号方法、動画データ復号プログラム
KR20120057673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1066682A (ja) 電子機器、シーンチェンジ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7251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9033275A (ja) 録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