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706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706B1
KR101084706B1 KR1020110016763A KR20110016763A KR101084706B1 KR 101084706 B1 KR101084706 B1 KR 101084706B1 KR 1020110016763 A KR1020110016763 A KR 1020110016763A KR 20110016763 A KR20110016763 A KR 20110016763A KR 101084706 B1 KR101084706 B1 KR 101084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ood waste
input
shaf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국
Original Assignee
오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국 filed Critical 오상국
Priority to KR102011001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9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from arrangements in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의 주요 구성은, 내부에 음식물쓰레기이 투입되며, 비닐절개장치와 그리고 음식물과 미생물 혼합장치가 내장된 투입실(35)과, 투입실(35) 측부에 연결된 슬러지실(60)과, 슬러지실(60) 측부에 연결된 수거실(55)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투입실(35) 상부로는 아파트와 연결되는 연결관(7)이 설치되고, 연결관(7)은 아파트의 실내와 연결되어 그 단부에는 패킹(4)을 갖춘 개폐구(3)를 설치하며, 상기 연결관(7)은 아파트의 다른 실내와 연결되는 지관(9)을 가지며, 지관(9)과의 연결 부분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 자중에 의해 개방되도록 한쪽에 힌지로 구성된 개방문(6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연결관(7) 하단에는 하단관(11)을 설치하여 투입실(35)과 이결되게 설치되며, 하단관(11)에는 걸림부(10)를 갖춘 나사면(12)을 형성하여, 하단관(11)이 연결관(7) 내경 속으로 상하로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비닐절개장치는, 투입실(35) 상부에 설치되는 축(36)과, 축(36)을 구동하는 모터(37)와, 축(36)에 설치되어 축(36)의 회전에 따라 돌지 않토록 축(36) 외경을 둘러 싸는 칼장착구(38)와, 칼장착구(38)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하단부는 투입실(35)의 측벽과 연결된 칼날(33)과, 칼날(33)의 측부에 링(42)과 함께 축(36)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선(40)과, 가이드선(40) 및 칼날(33) 측부에 축(36)과 함께 설치되는 스프링(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투입실(35) 상부에는 추(23)를 갖는 투입문(25)을 설치하여, 상부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의 자유낙하 자중에 의해 개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투입문(25) 측부 상부에는 덮개(28)를 설치하고, 덮개(28) 하부에는 폐비닐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조(42)를 꺼낼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음식물과 미생물 혼합장치는 가로부재(51)가 구성된 회전체(50)로 이루어지며, 투입실(35) 하부에는 가열유(53)가 내장되고 이를 가열하기 위한 전열히터(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투입실(35)과 슬러지실(60)은 그 상부에서 서로 통하게 연결되며 슬러지실(60)에는 망채널(64)를 가로로 설치하여, 망채널(64)에 잔류하는 폐비닐잔유물을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수거실(55) 내부에는 가열유(53)가 내장되어 투입실(35) 저부에 구성된 가열유(53)와 소통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투입실(35)과 수거실(55)에는 제습장치(80)와 연결하여, 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E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와 연결되어 아파트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투하하여 자연낙하에 의한 수거가 된 후, 이를 음식물 쓰레기처리장치에서 음식물이 완전히 분해 처리되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는 따로 분리하여 분리 수거하여 왔다
이 과정에서 악취로 인해 매우 불편함을 주었으며 이를 이동 운반 및 처리하는 데에도 많은 비용과 불편함과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는 주택이나 아파트에서 원천적으로 바로 완벽하게 처리 가능한 음식물 처리 장치를 개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산 폐수에 적용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이를 음식물에 적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완벽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내부에 음식물쓰레기이 투입되며, 비닐절개장치와 그리고 음식물과 미생물 혼합장치가 내장된 투입실(35)과, 투입실(35) 측부에 연결된 슬러지실(60)과, 슬러지실(60) 측부에 연결된 수거실(55)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투입실(35) 상부로는 아파트와 연결되는 연결관(7)이 설치되고, 연결관(7)은 아파트의 실내와 연결되어 그 단부에는 패킹(4)을 갖춘 개폐구(3)를 설치하며, 상기 연결관(7)은 아파트의 다른 실내와 연결되는 지관(9)을 가지며, 지관(9)과의 연결 부분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 자중에 의해 개방되도록 한쪽에 힌지로 구성된 개방문(6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연결관(7) 하단에는 하단관(11)을 설치하여 투입실(35)과 이결되게 설치되며, 하단관(11)에는 걸림부(10)를 갖춘 나사면(12)을 형성하여, 하단관(11)이 연결관(7) 내경 속으로 상하로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비닐절개장치는, 투입실(35) 상부에 설치되는 축(36)과, 축(36)을 구동하는 모터(37)와, 축(36)에 설치되어 축(36)의 회전에 따라 돌지 않토록 축(36) 외경을 둘러 싸는 칼장착구(38)와, 칼장착구(38)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하단부는 투입실(35)의 측벽과 연결된 칼날(33)과, 칼날(33)의 측부에 링(42)과 함께 축(36)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선(40)과, 가이드선(40) 및 칼날(33) 측부에 축(36)과 함께 설치되는 스프링(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투입실(35) 상부에는 추(23)를 갖는 투입문(25)을 설치하여, 상부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의 자유낙하 자중에 의해 개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투입문(25) 측부 상부에는 덮개(28)를 설치하고, 덮개(28) 하부에는 폐비닐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조(42)를 꺼낼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음식물과 미생물 혼합장치는 가로부재(51)가 구성된 회전체(50)로 이루어지며, 투입실(35) 하부에는 가열유(53)가 내장되고 이를 가열하기 위한 전열히터(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투입실(35)과 슬러지실(60)은 그 상부에서 서로 통하게 연결되며 슬러지실(60)에는 망채널(64)를 가로로 설치하여, 망채널(64)에 잔류하는 폐비닐잔유물을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수거실(55) 내부에는 가열유(53)가 내장되어 투입실(35) 저부에 구성된 가열유(53)와 소통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투입실(35)과 수거실(55)에는 제습장치(80)와 연결하여, 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파트 등의 거주지에서 바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고 악취가 완벽하게 차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의 하루 만에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처리되고 그곳에서 나오는 잔유물은 극히 적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발효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는 거의 97%가 제거되고 약 3% 정도가 처리 잔유물로 남는데, 이것은 퇴비나 고형 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생물 발효시 자체 압력으로 폭팔 위험이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수분이 많은 한국 음식물 처리에 적합하며, 대형 용량도 가능하며 관리 비용이 극히 적게 든다
도 1 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투입구 및 음식물 쓰레기의 비닐 파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도 2 를 상부에서 본 도면으로 투입구(25)를 보여 주기 위한 도면
도 4 는 칼날(33)의 구성을 보여 주기 위한 도면
도 5 는 수거되는 비닐을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예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아파트(1) 등의 싱크대 근처 또는 다른 위치의 벽에 체결구(6)를 힌지 중심으로 한쪽이 개폐되는 개폐구(3)를 설치한다. 개폐구(3)에는 패킹(4)을 설치하여 냄새 등이 올라오지 못하게 한다. 개폐구(3)는 상기 구조예 외에 다른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투입관(5) 하부에는 확장된 연결부(8)를 갖춘 연결관(7)이 연결된다. 연결부(8)는 연결관(7)의 다른 부분 보다 확장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른 배관 등을 끼우기에 적합니다. 이렇게 구성하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보수 유지도 간편하다. 또한 종래와 같이 배관 연결시 접착제를 도포하여 연결할 필요도 없다
투입관(5) 또는 연결관(7)에는 지관(9)이 더 구성되는데, 이 지관(9)을 통하여도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수 있다. 이는 아파트의 다른 곳에서 연결관(7)과 중간 중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지관(9)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내려오도록 최대한 수직으로 세워진 높이이어야 한다. 45도 각도 이하이면 내려오는 음식물 쓰레기가 중간에 걸릴 수도 있으므로 가능한 급한 경사를 갖도록 하여야 한다. 지관(9)에도 패킹을 갖춘 개방문(68)을 설치하여 냄새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한다
개방문(68)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한쪽이 힌지(69)로 구성되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자유 낙하에 의거하여 개방되고 그 후에는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한다
연결관(7)의 하단은 걸림부(10)를 갖추며 하단관(11)이 연결된다. 하단관(11)은 좌우 회전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하단관(11)을 돌리면 걸림부(10)를 타고 올라가거나 내려오는 작동으로 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하단관(11) 또는 연결관(7)에는 경사지게 요철로 이루어진 나사면(12)을 형성하여 하단관(11)을 돌리면 이 나사면(12)을 타고 하단관(11)이 승하강 가능한 것이다. 높이 조절을 하는 이유는 그 하부에 설치하는 음식물처리장치(20)의 입구(21) 부분과 거리를 두기 위한 것이다. 그 이유는 음식물처리장치(20)의 내부로 연결관(7)이 들어가 있으면 그 내부에서 발생되는악취가 연결관(7)을 타고 올라올 수 있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그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면 하부에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 및 순환되어 오히려 연결관(7) 내부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연결관(7) 상단부에는 외부관(71)을 더 연결하여 옥상으로 연장하여 팬(70)을 설치하면 냄새 배출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팬(70)은 모터에 의한 팬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자연풍에 의한 회전이 되는 모터 없는 무동력 팬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음식물처리장치 입구(21)에는 도 2 와 같은 장치가 구성된다
입구(21) 아래에는 투입문(25)이 힌지(24)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부에는 추(23)를 달아 두었다. 추의 역할은 투입문(25)이 열려 진후 다시 원위치로 쉽게 닫혀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하단관(11) 하부로 음식물 또는 비닐에 싸여진 음식물이 투하되면 그 낙하 자중에 의해 닫혀 있던 투입문(25)이 열리고 아래로 떨어진 후 추(23)에 의해 투입문(25)은 원위치된다. 투입문(25)에는 패킹(22)을 설치하여 외부로 냄새가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3 은 투입문(25)을 위에서 본 도면이다
위에서 보면, 투입문(25) 앞쪽에는 체결구(29)를 갖춘 덮개(28)를 설치한다. 이는 예를 들어 경첩(26)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열리며 하부에는 패킹(27)이 형성되어 악취 냄새가 배기되는 것을 방지한다. 체결구(29)는 축(30)을 중심으로 좌우로 돌리면 덮개(28)를 누르고 있던 체결구(29)가 제껴져 덮개(28)를 열수 있는 구조이다. 그 외 다른 구조로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덮개(28)의 기능은 음식물 쓰레기를 담고 있던 비닐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후술한다
도 2 에서, 하단관(11)을 통하여 비닐(32)에 싸여진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투입문(25) 바로 아래에 설치된 칼날(33) 위로 떨어진다
칼날(33)은 투입실(35) 내부에 한 측부에 길게 설치된 축(36)상으로 여러개 설치된다. 따라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비닐(32)은 이 칼날(33)에 반드시 부딪치게 된다. 칼날은 판상의 띠톱과 같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상단부는 예리하게 가공된 칼날이 형성되어 있어 비닐(32)이 걸처지면 찢어지게 된다. 비닐(32)이 찢어지고 그 내부에 담긴 음식물 쓰레기는 아래로 떨어지고 비닐은 칼날(33) 주변으로 흐른다. 이때 모터(37)의 작동으로 축(36)이 회전하면 칼날(33)은 회전하지 않고 축(36)만 회전한다
도 4 및 도 5 에서 보듯이, 칼날(33)은 칼장착구(38)에 일체로 형성되되 칼장착구(38)는 축(36)과 일체로 결합되지 않고 단지 끼워진 상태이어서, 헛돌게 되어 있다. 따라서 축(36)만 회전한다. 축(36)에는 스프링(39)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 함께 회전하고, 가이드선(40)은 링(42) 또는 칼장착구(38)에 고정되어 있어 회전하지 않는다. 가이드선(40)의 하단과 칼날(33)의 하단은 투입실(35)의 아래 측면의 내벽(44) 쪽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칼날(33)에 걸려 비닐(32)이 찢어지고 비닐(32)은 스프링(42)에 걸린다. 그러면 축(36)이 회전하면서 스프링(39)도 회전하므로 스프링(39)에 걸린 비닐이 가이드선(40)에 걸쳐지게 된다. 그러면 고정된 위치에 있는 가이드선(40)에 걸린 비닐은 가이드선(40)을 타고 자연스럽게 측부로 낙하되어 수거조(42)로 모인다. 나중에 이 수거조(42)만 상부로 들어내어 즉, 도 3 에 도시한 덮개(28)를 통하여 드러내면 모아진 비닐(32)들을 제거 할 수 있다
칼날(32)은 "S" 자 형상으로 하면 칼날에 부딪치거나 잘라진 음식믈이나 비닐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기에 유리하다.
이와 같이 투입실(35)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모이면 미생물이 발효 분해시킨다. 이때 많은 열이 나는데 그 열 온도는 약 섭씨 60도 까지 올라간다. 따라서 많은 수분이 증발이 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음식물 분해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1차적으로 유기물 분해 미생물에 의해 저분자 유기물로 분해되어 산, 알콜, 암모니아 기타 불용성 슬러지가 생산되고 이들 생성물은 1차 분해 미생물의 기능을 둔화시켜 더 이상의 생육이 정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추가로 사용되는 미생물은 "아케아"와 "프로아케아"이다
아케아는 1977년도에 발견된 미생물로, 유기성 폐기기물을 분해하며 박테리아 보다 월등히 폐기물을 신속하게 분해하며 미생물이 유기물 분해시 발생시키는 아세트산, 수소, 알콜,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 미생물 활동에 저해 주는 독성물질을 주 영양원으로 한다
그리고 "프로아케아"는 혐기성 미생물인 아케아 균을 호기조건하에서 분리 배양하여 증식한 것으로, 아케아는 철저한 혐기성이어서 산소 접촉시 사멸하나 산소 접촉시에도 사멸 없이 생존하는 것이 프로아케아이다. 프로아케아는 높은 산도, 높은 알카리, 염분 열 조건에서도 생존력이 탁월하며, 유기물 분해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독성 물질인 산, 수소 등에 의해 분해력이 저하되지 않고 이들을 주영양원으로 하여 미생물의 분해력을 복원시켜 미생물이 재활동하게 하여 준다. 프로아키아는 모든 처리 공정에서 독성 물질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타 미생물과 공존이 가능하다.
따라서 앞선 유기물 분해 미생물에서 생성된 최종 슬러지를 분해하여 앞서 1차 분해한 미생물의 활동을 재개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분해가 이루어지면 물과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 등으로 완전 분해가 이루어지므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완전한 분해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미생물을 사용하면 음식물의 분해 및 발효시 악취 발생이 거의 없고 매우 신속한 발효와 숙성이 이루어져, 음 식물을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약 24시간 내에 약 95 내지 98% 정도를 분해 처리로 소멸시킬 수 있다
이때 가스도 방생하는데 이 가스로 인한 폭팔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장치를 하여야 한다. 안전장치는 공지의 안전핀이 내장된 것이나 기타 취약부분을 주어 터져 나갈 수 있는 안전구(46)를 설치한다. 안전구(46)는 어떠한 형태의 공지의 것을 사용하여도 되며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실(35) 또는 다른 곳에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도 1에서, 투입실(35)의 칼날(33) 설치 위치 아래에는 회전체(50)가 설치된다. 회전체(50)는 가로로 가로부재(51)가 여러개 연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어 이것이 천천히 회전하면 내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가 골고루 섞임과 동시에 미생물의 발효가 골고루 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투입실(35) 저부는 전열히터(52)가 설치되고 그 안에는 가열유(53)가 내장된다. 가열유(53)는 일반 가열 매체로 사용되는 오일 등을 쓰거나 또는 폐자원 활용차원에서 폐식용유를 사용하면 자원 절감 및 자원 재활용에도 바람직하다. 이 가열유(53)는 파이프(54)에 의하여 수거실(55)과 연결되며 수거실(55) 저부에도 가열유(53)가 내장되어 있어 서로 소통하게 되어 있어 수거실(55)도 가열하여준다
투입실(35)에 전열히터(52)를 설치하여 섭씨 60도 정도 까지 가열하는 이유는 음식물의 분해를 위해 미생물의 활동 조건을 최적으로 헤 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케아" 및 "프로아케아" 미생물은 약 섭씨 60도 조건에서 생육상 최적 조건이다. 이 가열은 초기 장치의 가동시에만 하여주면 되고 이후에는 미생물의 발효에 의해 자동으로 온도가 올라가므로 가열을 중지하여도 된다. 투입실(35) 내부에서 올라간 온도는 가열유(53)가 장시간 보온 유지하므로 전열히터(52)의 작동 없이 고온의 온도를 수거실(55)에도 전달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그 가열된 열을 수거실(55)에도 보내주는 이유는 완전히 분해가 된 후 잔류하는 잔유물을 가루 형태로, 이를 그냥 두면 습기를 흡수하여 굳어지므로 이를 건조 시켜 가루 형태로 남아 수거처리하기에 유리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투입실(35)에서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 분해가 전부 이루어지면 잔유물은 우측에 있는 슬러지실(60)로 넘어 간다. 슬러지실(60)은 가열하지 않는 이유는 가열하면 슬러지가 굳어 진다
이 투입실(35)에서 충분히 미생물 처리되어 생성되는 잔유물은 가루 형태의 잔유물만 남은데 이 경우 비닐 조각은 미생물이 먹어치우지 못하므로 그냥 남아 있게 된다. 가루형태의 잔유물 또는 미처 완전히 처리하지 못한 음식물은 다음 칸은 슬러지실(60)로 유입된다. 그러면 이곳에서 미처 처리되지 못한 미생물에 의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슬러지실(60)로 잔유물이 넘쳐서 넘어 올 때 도 1에서 보듯이 망채널(64)을 통하여 넘어온다. 망채널(64)은 망사 형태로 되어 있어 잔유물은 아래로 떨어지고 비닐조각은 망채널(64)에 걸려 있게 된다. 그러면 슬러지실(60)의 개폐문(66)을 열고 이 망채널(64)을 드러내어 비닐을 제거하면 된다
잔유물이 슬러지실(60)에서도 넘치면 상부의 입구를 통하여 수거실(55)로 넘어 간다. 그리고 그 아래 부분에서 배출구(67)를 통하여 잔유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미세한 분말 형태의 미생물이 만들어낸 잔유물은 소정의 처리로 퇴비 또는 연료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는, 고온 발효에 의해 투입실(35), 슬러지실(60) 및 수거실(55)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장치(80)가 설치된다. 제습장치(80)는 장치 내부의 습한 공기에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배수관(61)으로 배출한다. 장치 내부는 이미 약 섭씨 60도의 고운 다습하므로 이것이 외부로 배기되면 외기와의 온도 차에 의해 포화수증기가 결로 현상으로 수분이 제거된다. 이러한 냉각 제습방법으로 발생하는 물방울로 배출된다. 이 물은 습기가 냉각되어 발생하는 물이어서 악취가 전혀 없는 뚜명하고 무색의 깨끗한 물이다
3 개폐구 4 패킹
5 투입관 6 체결구
7 연결관 8 연결부
9 지관 10 걸림부
11 하단관 12 나사면
20 음식물처리장치 21 입구
25 투입문 28 덮개
33 칼날 35 투입실
36 축 38 칼장착구
39 스프링 40 가이드선
42 수거조 44 내벽
46 안전구 50 회전체
51 가로부재 52 전열히터
53 가열유 60 슬러지실
64 망채널 66 개폐문
67 배출구 68 개방문
69 힌지 80 제습장치

Claims (10)

  1. 내부에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며, 비닐절개장치와 그리고 회전체(50)와 히터(52)를 갖춘 음식물과 미생물 혼합장치가 내장된 투입실(35)과,
    투입실(35) 측부에 연결되어 투입실(35)에서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 분해가 이루어진 잔유물을 수용하는 슬러지실(60)과,
    슬러지실(60) 측부에 연결되어 슬러지실(6)에서 넘치는 잔유물을 수용하는 수거실(55)로 구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한 비닐절개장치는,
    투입실(35) 상부에 설치되는 축(36)과, 축(36)을 구동하는 모터(37)와, 축(36)에 설치되어 축(36)의 회전에 따라 돌지 않토록 축(36) 외경을 둘러 싸는 칼장착구(38)와, 칼장착구(38)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하단부는 투입실(35)의 측벽과 연결된 칼날(33)과, 칼날(33)의 측부에 링(42)과 함께 축(36) 상에 설치되는 가이드선(40)과, 가이드선(40) 및 칼날(33) 측부에 축(36)과 함께 설치되는 스프링(39)을 포함하며,
    상기한 투입실(35)과 수거실(55)에는 제습장치(80)와 연결하여, 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투입실(35) 상부로는 아파트와 연결되는 연결관(7)이 설치되고, 연결관(7)은 아파트의 실내와 연결되어 그 단부에는 패킹(4)을 갖춘 개폐구(3)를 설치하며,
    상기 연결관(7)은 아파트의 다른 실내와 연결되는 지관(9)을 가지며, 지관(9)과의 연결 부분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유입 자중에 의해 개방되도록 한쪽에 힌지로 구성된 개방문(6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관(7) 하단에는 하단관(11)을 설치하여 투입실(35)과 이결되게 설치되며, 하단관(11)에는 걸림부(10)를 갖춘 나사면(12)을 형성하여, 하단관(11)이 연결관(7) 내경 속으로 상하로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투입실(35) 상부에는 추(23)를 갖는 투입문(25)을 설치하여, 상부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의 자유낙하 자중에 의해 개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투입문(25) 측부 상부에는 덮개(28)를 설치하고,
    덮개(28) 하부에는 폐비닐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조(42)를 꺼낼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음식물과 미생물 혼합장치는 가로부재(51)가 구성된 회전체(50)로 이루어지며, 투입실(35) 하부에는 가열유(53)가 내장되고 이를 가열하기 위한 전열히터(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투입실(35)과 슬러지실(60)은 그 상부에서 서로 통하게 연결되며 슬러지실(60)에는 망채널(64)를 가로로 설치하여, 망채널(64)에 잔류하는 폐비닐잔유물을 제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수거실(55) 내부에는 가열유(53)가 내장되어 투입실(35) 저부에 구성된 가열유(53)와 소통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삭제
KR1020110016763A 2011-02-24 2011-02-2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84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763A KR101084706B1 (ko) 2011-02-24 2011-02-2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763A KR101084706B1 (ko) 2011-02-24 2011-02-2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4706B1 true KR101084706B1 (ko) 2011-11-23

Family

ID=4539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763A KR101084706B1 (ko) 2011-02-24 2011-02-24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47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085Y1 (ko) 1997-06-03 1999-08-16 박영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96657B1 (ko) * 2007-12-10 2009-05-11 백승엽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085Y1 (ko) 1997-06-03 1999-08-16 박영근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96657B1 (ko) * 2007-12-10 2009-05-11 백승엽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471409B (zh) 淤浆分离和沼气生产的方案
WO2021134917A1 (zh) 一种多层次高效堆肥装置及其使用方法
KR100835168B1 (ko) 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무기화시키는방법 및 그 장치
CN108620414B (zh) 一种生活垃圾分类处理系统
CA27534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llection, pipeline evacuation and comprehensive utilization of solid waste
CN109759417A (zh) 一种环保型微生物法垃圾处理装置及垃圾处理方法
WO201604365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CN109761658B (zh) 一种微生物法垃圾二次分类处理装置及垃圾处理方法
CN110713400A (zh) 一种好氧堆肥余热产电系统及其工作方法
CN105834193A (zh) 有机垃圾微生物处理装置
CN215918616U (zh) 一种有机易腐垃圾处理一体化设备
KR100844915B1 (ko) 제 처리의 병행 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분해 소멸화 처리장치
KR101233737B1 (ko) 음식물폐기물을 이용한 자원 재활용 소멸처리장치
CN109761652A (zh) 一种微生物法高效垃圾堆肥装置及垃圾处理方法
CN110903116B (zh) 一种新型无臭有机垃圾堆肥处理系统
KR10086516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처리장치
KR10108470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4611466B2 (ja) 発酵分解処理及び水中分解処理両用の有機廃棄物分解処理装置
CN218202578U (zh) 一种生物质垃圾资源转化设备
CN214881163U (zh) 一种罐体的快速加热除臭系统和餐厨垃圾处理机
JPH08243534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9990039464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0144043Y1 (ko) 유기질 비료, 사료 제조기
KR20110133919A (ko) 음식물 쓰레기 발효 처리 장치
JP2001172094A (ja) 生ゴミ処理方法及び生ゴミ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