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465B1 - 고압 방전램프 - Google Patents

고압 방전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465B1
KR101084465B1 KR1020107010255A KR20107010255A KR101084465B1 KR 101084465 B1 KR101084465 B1 KR 101084465B1 KR 1020107010255 A KR1020107010255 A KR 1020107010255A KR 20107010255 A KR20107010255 A KR 20107010255A KR 101084465 B1 KR101084465 B1 KR 101084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contact plate
discharge lamp
pressure discharge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621A (ko
Inventor
헤닝 레흔
위르겐 뮐러
Original Assignee
오스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아게 filed Critical 오스람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75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4Igniting arrangements, e.g. promoting ionisation for starting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를 구비한 고압 방전램프에 관한 것이며, 상기 버너는 세라믹에 설치되고, 전원 라인들과 연결되는 전극들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전원 라인들 중 하나의 전원 라인에는 콘택 플레이트가 접속되고, 상기 콘택 플레이트는 상기 버너 내에 배치된 점등 보조 버블을 둘러싸며 점등 보조 장치로서 작용한다.

Description

고압 방전램프 {HIGH-PRESSURE DISCHARGE LAMP}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고압 방전램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고압 방전램프, 예컨대 금속 할로겐 램프 및 수은 초고압 램프는 VIP® & P-VIP라는 패밀리 램프 명칭으로 오스람 게엠베하(OSRAM GmbH)로부터 공급되었으며 예컨대 멀티 미디어 데이터 프로젝션 및 비디오 프로젝션 영역에서 사용된다. 상응하는 램프 구조는 또한 DE 10 2005 017 505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공지된 이러한 고압 방전램프들은 방전관을 갖는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방전관에는 정반대로 서로 마주보고 배치된 2개의 샤프트가 형성된다. 상기 방전관 내에는 2개의 전극이 배치되고, 상기 전극들은 상기 샤프트들 내에 밀봉된 밀봉 박막들을 통하여 전원 라인들(power supply line)과 접속된다. 점등 동작을 개선하기 위하여 점등 보조 장치(auxiliary firing device)가 제공될 수 있는데, 점등 보조 버블(bubble)이 샤프트 영역에 와이어 필라멘트로서 와인딩됨으로써, 상기 점등 보조 장치는 상기 점등 보조 버블을 갖는 상기 샤프트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전극들 중 하나의 전극과 상호 작용함으로써, 전위차가 인가될 경우 점등 프로세스가 지원된다. 상기 버너는 이하에서 시멘트(cement)로 언급된 결합제에 의해 세라믹에 설치된다.
상기 점등 보조 장치는 발광 방향으로 제공된 버너의 전방 샤프트에 배치되거나 또는 세라믹 측의 후방 샤프트에 배치될 수 있다. 후자로 언급한 대안이 갖는 장점은, 버너의 앞쪽 영역 내에 배치된 점등 보조 장치에 비해 광 효율이 약간 더 상승된다는 점이다. 점등 보조 장치는 와이어 필라멘트로서 상기 버너 영역에 와인딩된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방전램프들의 단점으로는, 와이어 필라멘트 형태의 점등 보조 장치 제조 및 그의 설치가 아주 복잡하기 때문에 높은 제조 및 조립 비용이 야기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비용적 측면에서 저렴하고 설치가 간단한 점등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버너를 포함한 고압 방전램프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버너는 방전관에서 정반대로 배치된 샤프트들을 갖는 방전관을 갖고, 상기 방전관 내에는 서로 마주보고 이격된 2개의 전극이 수용되며, 상기 전극들은 샤프트들에 밀봉된 밀봉 박막을 통해서 전원 라인들에 접속되고, 이 경우 점등 보조 장치는 점등 보조 버블을 갖는 샤프트의 영역을 둘러싸며, 점등 보조를 위해 전극들 중 하나의 전극과 상호 작용하고, 이 경우 버너는 세라믹에 설치되며, 점등 보조 장치는 콘택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콘택 플레이트는 종래 기술(DE 10 2005 017 505 A1 참조)에서의 점등 보조 장치로서의 와이어 필라멘트와 동일한 기능을 충족하지만, 상기 콘택 플레이트는 예컨대 스탬핑 부품(stamping part)으로 실현됨으로써, 높은 조립 비용으로 인해 고압 방전램프 내에 설치되기 전에 와인딩되고, 콘택팅을 위해서 와이어 필라멘트의 접촉각들이 고압 방전램프 내에서 복잡하게 배치되는 와이어 필라멘트보다 훨씬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플레이트로서 실현됨으로써 상기 콘택 플레이트는 또한 와이어 필라멘트보다 훨씬 간단하게 고압 방전램프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그 외에 콘택 플레이트에 의해서는 와이어 필라멘트에 비해 고압 방전램프의 점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필라멘트에 비해 콘택 필라멘트가 높은 강도를 가짐으로써 상기 콘택 플레이트는 예컨대 외부 힘 영향, 예컨대 충격에 훨씬 더 견고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제시된다.
바람직하게 점등 보조 버블은 세라믹의 영역에 배치되며, 그로 인해 콘택 플레이트 역시 상기 세라믹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 외에 점등 보조 장치는 고압 방전램프의 작동 동안 이러한 배치 내에서 음영을 야기하지 않는다.
콘택 플레이트는 콘택 노즈(nos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콘택 노즈는 밸라스트 또는 안정기와 연결하기 위한 고정 영역으로서 사용되고, 이 경우 밸라스트의 커넥터는 콘택 노즈 상에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콘택 노즈가 접속 소자에 의해 밸라스트에 용접되거나 납땜될 수 있다.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콘택 플레이트는 평면형으로 또는 평탄하게 실현된다. 그로 인해 상기 콘택 플레이트는 특히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콘택 플레이트는 예컨대 세라믹과 반사기 사이에 배치되고 이러한 구성 부재들에 의해 형상 결합(form-fitting) 방식으로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콘택 플레이트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라믹의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 상에 놓일 수 있고 세라믹의 내부 둘레 형상의 상기 지지 평면 내에서 실제로 매칭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모든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콘택 플레이트는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의 내부에 있는 영역에서 대개 쐐기 모양의 2개의 프리 커팅부(free cut)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은 세라믹의 프리 커팅부들의 영역에 배치되며, 이 경우 콘택 노즈가 콘택 플레이트의 상기와 같은 프리 커팅부 내부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접근이 용이한 밸라스트와의 연결 위치가 제공된다. 또한, 고압 방전램프의 작동시 상기 프리 커팅부에 의해 열 배출이 개선될 수 있다.
그 내부에 콘택 노즈가 형성된 프리 커팅부는 플레이트 영역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플레이트 영역은 콘택 플레이트의 지지 영역 외부에 있는 세라믹의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 상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상기 플레이트 영역은 양 측면에서, 즉 콘택 플레이트의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전원 라인과의 연결이 아주 간단하게 예컨대 용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콘택 플레이트는 중앙에 하나의 개구를 포함하며, 버너는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콘택 플레이트는 세라믹의 관통 개구의 내부 둘레 벽에 섹션(영역) 단위로 접한다. 이 때문에 상기 콘택 플레이트는 점등 보조 버블 방향으로 가장 작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콘택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 센터 영역에서 대략 활 모양으로 휘어지며, 이 경우 상기 중앙 영역 내에서는 뾰족한 호 형태도 구현될 수 있다. 단부 영역들은 대개 직각으로 외부로 휘어지며, 이 경우 상기 단부 영역들은 서로 마주보고 한번 더 휘어진다. 이 때문에 상기 단부 영역들은 전극들 중 하나의 전극 및 밸라스트와의 콘택팅을 위해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콘택 플레이트는 개구 둘레에 플레이트 림을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 림은 콘택 플레이트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콘택 플레이트의 측면은 세라믹의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 위에 있는 지지 영역과 마주본다. 이로 인해 플레이트 림이 없는 실시예들에 비해 고압 방전램프의 점등이 개선될 수 있다.
세라믹의 외부에 있는 샤프트에 할당된 전원 라인은 버너를 따라 콘택 플레이트 방향으로의 반사기를 관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제조시 아주 경제적이다.
세라믹의 외부에 있는 샤프트에 할당된 전원 라인은 또한 측면에서 밀봉된 반사기의 보어를 관통할 수 있다.
전원 라인은 예컨대 NiCr2Mg-합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전기적 손실 및 저항이 아주 적을 경우에 높은 전류가 도전될 수 있으며, 예컨대 200W보다 현저히 높은 램프 출력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NiCrMg-합금은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램프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램프의 세라믹의 사시도이며,
도 3은 고압 방전램프의 콘택 플레이트를 포함한 세라믹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택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램프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램프의 콘택 플레이트를 포함한 세라믹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택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램프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며,
도 9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램프의 콘택 플레이트를 포함한 세라믹의 사시도이다.
도 1은 고압 방전램프(1)의 실시예의 개략적 종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고압 방전램프는 반사기 램프로서 실현되고 버너(2)를 포함하며, 상기 버너는 반사기(4)와 함께 세라믹(6) 내에 삽입된다. 반사기(4)는 예컨대 유리로 이루어지고 반사성 코팅을 포함한다. 램프 발광 방향으로 배치된 전방 플랜지 가장자리(8) 내에는 정면 웨이퍼 또는 정면 덮개가 삽입될 수 있다. 버너(2)는 실질적으로 대략 중앙에 배치된 방전관(1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전관에는 반사기(4)의 축 내에 배치된 2개의 샤프트(12, 14)가 배치된다. 방전관(10) 내에는 서로 마주보고 이격된, 예컨대 텅스텐으로 이루어진 2개의 전극(16, 18)이 배치되며, 상기 전극들은 샤프트들(12, 14) 내에 밀봉된,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진 밀봉 박막들(20, 22)을 통해서 전원 라인들(24, 26)에 콘택팅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방 샤프트(12)에 할당된 전원 라인(24)은 버너(2)를 따라서 세라믹(6)을 관통한다(세라믹(6)의 영역에서 전원 라인(24)은 파선으로 도시됨). 후방 샤프트(14)에 할당된 전원 라인(26)은 축 방향으로 세라믹(6)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기본적으로 전방 전원 라인(24)은 반사기(4)의 밀봉된 보어를 측면에서 관통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압 방전램프에서 방전관(10)은 수은, 금속 할로겐화물, 희토류 산화물 및 불활성 가스 혼합물로 이루어진 성분들을 갖는 충전제로 채워질 수 있으며, 그 결과 방전 아크는 할로겐 및 수은 증기의 대기 및 높은 압력으로 두 전극(16, 18) 사이에서 연소된다. 수은 초고압 램프 역시 이러한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밀봉된 박막 영역 내에 있는 점등 보조 버블(28)은 세라믹(6)과 마주보는 후방 샤프트(14)에서 형성되며, 상기 점등 보조 버블을 통해 본래 공지된 방식(DE 10 2005 017 505 A1 참조)으로 방전램프(1)의 점등 작용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점등 보조 버블(28) 영역에서는, 예컨대 도 1에 따른 보기에서 투영면에 직각으로 배치된 평면형의 콘택 플레이트(30)가 세라믹(6) 내로 삽입되고, 상기 콘택 플레이트는 샤프트(14)의 외부 둘레를 둘러싼다. 상기 콘택 플레이트(30)는 전방 샤프트(12)의 전원 라인(24)에 접속되며, 그 결과 상기 콘택 플레이트(30)는 전방 전극(16)과 동일한 전위로 콘택팅된다.
이러한 경우 콘택 플레이트(30)와 밀봉 박막(22)(상기 밀봉 박막은 후방 전극(18)에 할당되고, 버블(28)을 관통함) 사이에는 2개의 전극(16, 18) 사이의 전위차와 거의 동일한 전위차가 생성된다.
통상의 전자식 안정기(EVG)에 의한 램프 점등시 점등 보조 버블(28)에서는 상응하는 광선 방사와 함께 상응하는 방전이 나타나고, 그 결과 버블(28)이 점등 보조를 위해 작용한다.
도 1에서 샤프트(14)의 오른쪽 단부 영역에는 베이스(32)가 제공되고, 전원 라인(26)은 상기 베이스 밖으로 연장된다.
세라믹(6)의 구조는 도 2를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2는 세라믹(6)의 3차원 보기를 도시하고, 상기 세라믹 내에 콘택 플레이트(30)(도 1 참조)가 삽입된다. 도시된 세라믹(6)은 콘택 플레이트(30)가 제공되지 않은 종래의 방전램프들에도 사용 가능한 표준 부품이다. 기본 구조는 본래 공지되어 있으므로 세라믹(6)의 몇몇 주요 부재들만 기술된다. 상기 세라믹은 도 2와 관련하여 위쪽에 놓여 있는 2개의 원형 세그먼트 영역(36, 38)을 가지며, 상기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은 반사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각각 하나의 실린더 재킷 표면 영역(40, 42)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제한되고, 상기 실린더 재킷 표면 영역은 도 1에 따른 보기에서 반사기(4) 방향으로 축 평행하게 돌출한다. 실린더 재킷 표면 영역(40, 42)과 연관된 원형 세그먼트 영역(36, 38) 사이의 전이 영역에는 각각 하나의 센터링 캠(44)이 형성되고, 상기 센터링 캠의 센터링 쇼울더(46)는 도 1에 따라 반사기 네크(48)의 외부 둘레에 접한다. 도 2에서 하부에 놓여 있고, 관찰자의 맞은편에 놓인 세라믹(6)의 후면 위에서는 토글 모양의 직경 돌출부(5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최대 외부 직경은 실린더 재킷 표면 영역들(40, 42)의 외부 직경보다 작다. 고압 방전램프(1)의 설치시 상기 직경 돌출부(50) 상에는 실드(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며, 후방 전원 라인(26)은 상기 실드 밖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다. 세라믹(6)은 2개의 원형 세그먼트 영역(36, 38) 사이에서 쐐기 모양의 프리 커팅부들(56, 58)로 자유 절단된다. 상기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은 도 1에 따른 보기에서 투영면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기 때문에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도 3에는 세라믹(6) 내에 배치된 콘택 플레이트(30)가 사시도로 도시된다. 콘택 플레이트(30)는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36, 38)(도 2 참조)의 표면들 상에 대개 평면으로 놓여 있고, 이 경우 상기 콘택 플레이트의 외부 둘레는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36, 38)의 평면 내에서 세라믹(6)의 내부 윤곽 패턴에 매칭되며, 실린더 재킷 표면 영역들(40, 42)의 내측면들 및 센터링 캠(44)의 센터링 쇼울더(46)를 따라 연장됨으로써 비틀림이 방지되고, 그 결과 평면 내에 고정된다. 세라믹(6)의 쐐기 모양의 프리 커팅부(56, 58) 영역에서(도 2 참조) 콘택 플레이트(30)는 마찬가지로 프리 커팅부들(60, 62)에 의해 자유 절단되고, 이 경우 면적 측면에서 볼 때 프리 커팅부들(60, 62)은 세라믹(6)의 프리 커팅부들(56, 58)보다 작고, 콘택 플레이트(30)는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36, 38) 위에 있다. 전원 라인이 플레이트 영역(63)에 용접됨으로써,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부터 쉽게 도달될 수 있고, 콘택 플레이트(30)와 상기 전원 라인의 콘택팅에 사용되는 플레이트 영역(63)이 노출된다. 프리 커팅부(62)의 영역에서는 콘택 플레이트(30)에 있는 콘택 노즈(64)가 돌출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콘택 노즈는 예컨대 콘택 커넥터 또는 용접에 의해 밸러스트 또는 안정기(도시되지 않음)와 접속된다. 그 외에, 콘택 플레이트(30)의 가장 바깥쪽 둘레 라인(65)이 원형 라인에서 진행한다. 내부 영역에서 콘택 플레이트(30)는 대략 세라믹(6)의 관통 개구(67)(도 2 참조)와 동일 평면에 놓이는 개구(66)를 포함하고, 버너(2)(도 1 참조)는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도 4는 콘택 플레이트(30)를 평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콘택 플레이트의 원형 둘레 라인(65)이 나타난다. 프리 커팅부들(60, 62) 외에 콘택 플레이트(30)는 2개의 수용부(68, 70)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들은 센터링 캠(44)의 센터링 쇼울더(46)의 둘레 형상에 일치함으로써(도 3 참조), 상기 센터링 쇼울더들은 수용부들(68, 70) 내로 들어가게 되고, 그 결과 콘택 플레이트(30)의 위치를 고정한다. 전극 또는 전원 라인의 콘택팅을 위한 상기 플레이트 영역(63)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압 방전램프(1)의 설치시 콘택 플레이트(30)는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36, 38) 및 실린더 재킷 영역들(40, 42)(도 2 참조)에 의해 형성된, 세라믹(6)의 반사기 수용부 내로 삽입된다. 그 다음 반사기(4)의 네크(48)가 반사기 수용부 내로 삽입되고 고내열성 시멘트(72)에 의해 세라믹(6)과 접속된다. 이어지는 작업 프로세스에서는 버너(2)가 반사기(4) 내로 삽입됨으로써, 후방 샤프트(14)가 콘택 플레이트의 개구(66)를 통과하여 반사기 네크(48), 세라믹(6)의 관통 개구(67)(도 2 참조) 및 그 내부에 수용된 상기 콘택 플레이트(30)를 관통하고, 그 결과 베이스(32)는 직경 돌출부(50)의 영역에서 종료된다. 반사기(4)와 관련한 방향 설정 후 버너(2)는 마찬가지로 세라믹(6) 내에 그리고 반사기(4)와 관련한 시멘트(76)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그 결과 최대 광 효율이 보장된다. 이로써, 콘택 플레이트(30)는 반사기 네크(48)의 앞면(78)과 세라믹(6)의 반사기 수용부 사이에 매립되어 고정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콘택 플레이트(30)는 적합한 조치, 예컨대 시멘트 등에 의해서도 부가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압 방전램프의 작동시에는 버너(2)를 따라 연장되는 전원 라인(24)만 음영을 야기한다.
콘택 플레이트(30)의 제조 및 고압 방전램프(1) 내부로의 설치는 와이어 필라멘트(DE 10 2005 017 505 A1)의 경우보다 훨씬 비용이 저렴하고 간단한데, 그 이유는 콘택 플레이트(30)가 스탬핑 부품으로 제조되기 때문이다.
도 5는 개략화된 종단면으로 도시된 고압 방전램프(1)의 제 2 실시예이다.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점등 보조 장치로서 평면 콘택 플레이트(30)(도 3 참조) 대신 휘어진 콘택 플레이트(82)가 사용된다는 점이다. 상기 휘어진 콘택 플레이트는 세라믹(6) 내에 있는 세라믹(6)의 관통 개구(67)의 영역에 삽입되고, 이 경우 고압 방전램프(1)가 설치된 상태의 상기 영역에는 버너(2)의 점등 보조 버블(28)이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삽입된 콘택 플레이트(82)를 포함한 세라믹(6)을 사시도로 보여주고 있으며, 이 경우 콘택 플레이트(82)의 개관을 쉽게 하기 위하여, 세라믹(6)의 부분이 부분 섹션으로 도시되어 있다. 콘택 플레이트(82)의 센터 영역(84)은 활 모양으로 휘어져서 섹션 단위로 세라믹 관통 개구(67)의 원형의 내부 벽 영역들(86, 88)(도 2 참조)에 접함으로써 위치 고정된다. 콘택 플레이트(82)의 2개의 단부 영역(90, 92)은 호 형태를 제한하고 도 6과 관련하여 오른쪽 프리 커팅부(58)의 벽들(94, 96) 방향으로 직각으로 휘어진다. 콘택 플레이트(82)의 단부 영역들(90, 92)은 센터 영역에서 마주 보고 한번 더 직각으로 휘어진다. 콘택 플레이트(82)는 2개의 단부 영역(90, 92)에 의해 세라믹 관통 개구(67)와 관련하여 축 방향으로 직경 돌출부(50)의 헤드 앞면(100, 102)에서 지지된다. 단부 영역(92)은 예컨대 콘택 커넥터 또는 접착에 의해 밸러스트 또는 안정기(도시되지 않은)에 연결되는 콘택 노즈(104)의 역할을 하고, 다른 단부 영역(90)은 전원 라인의 용접에 사용된다.
도 7에서는 콘택 플레이트(82)가 평면도로 도시되며, 이 경우 단부 영역들(90, 92)의 2중 구부림 및 센터 영역(84)의 소정의 원형 둘레 형태를 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라 고압 방전램프를 설치하기 위해서, 콘택 플레이트(82)는 세라믹 관통 개구(67) 내에 세팅되고, 그 다음 반사기(4)의 네크(48)는 반사기 수용부 내에 세팅되며, 고내열성 시멘트(72) 의해 세라믹(6)에 연결된다. 추가의 한 작업 프로세스에서 버너(2)는 반사기(4) 내로 삽입되고, 그 결과 베이스(32)는 직경 돌출부(50)의 영역에서 종료된다. 반사기(4)와 관련한 방향 설정 후 버너(2)는 마찬가지로 세라믹(6) 내에 그리고 반사기(4)와 관련한 시멘트(76)에 의해 위치 고정된다. 콘택 플레이트(82)는 반사기 네크(48)의 앞면(78)과 직경 돌출부(50)의 헤드 앞면(86, 88)(도 2 참조) 사이에서 모든 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콘택 플레이트(82)는 적합한 조치, 예를 들어 시멘트 등에 의해 부가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8은 고압 방전램프(1)의 제 3 실시예를 종단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콘택 플레이트(30)가 부가적으로 개구(66) 둘레에 돌출된 플레이트 림(106)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 림은 버너(2)를 따라 평행하게 그리고 점등 보조 버블(28)을 중심으로 섹션 단위로 그리고 세라믹(6)으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연장된다는 점이다. 이 경우, 상기 플레이트 림이 세라믹(6)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는 사실이 고려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실행될 수도 있다.
도 9는 플레이트 림(106)을 포함하는 콘택 플레이트(30)를 갖는 세라믹(6)을 사시도로 보여주고 있다. 플레이트 림(106)은 개구(66) 전체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Z자형의 구조를 갖는다. 플레이트 림(106)의 높이는 상기 플레이트 림이 실질적으로 점등 보조 버블(28)(도 8 참조)을 둘러쌀 정도로 선택된다. 플레이트 림(106)에 의해서는 고압 방전램프(1)의 점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플레이트 림(106)의 제조는 예컨대 벤트 스템핑(bent-stemping)에 의해 저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고압 방전램프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며,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은 점등 보조 장치를 갖는 다른 램프 타입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램프의 수명 또는 연소 시간은 예컨대 최소 3000시간이며, 이 경우 상기 시간 후의 광속(luminous flux)은 계속해서 새 고압 방전램프 광속의 50%에 달한다.
버너(2)를 포함한 고압 방전램프(1)가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버너는 세라믹(6)에 설치되고, 전원 라인들(24, 26)과 연결되는 전극들(16, 18)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전원 라인들 중 하나의 전원 라인(24)에는 콘택 플레이트(30, 82)가 접속되고, 상기 콘택 플레이트는 상기 버너(2) 내에 배치된 점등 보조 버블(28)을 둘러싸며 점등 보조 장치로서 작용한다.

Claims (15)

  1. 버너를 구비한 고압 방전램프로서,
    상기 버너는 방전관을 포함하고 ― 상기 방전관은 그 자체에서 정반대로 배치된 샤프트들을 구비함 ―,
    상기 방전관의 내부에는 서로 마주보고 이격된 2개의 전극이 수용되며,
    상기 전극들은 상기 샤프트들 내에 밀봉된 밀봉 박막들을 통해 전원 라인들에 연결되고,
    점등 보조 장치는 점등 보조 버블(bubble)을 갖는 하나의 샤프트의 영역을 둘러싸고, 상기 전극들 중 하나의 전극과 점등 보조를 위해 상호 작용하며,
    상기 버너는 세라믹 위에 설치되고,
    상기 점등 보조 장치는 콘택 플레이트로서 형성되며,
    상기 콘택 플레이트는 평면형이고 상기 세라믹과 반사기 사이에 배치되는,
    고압 방전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 보조 버블이 상기 세라믹의 영역에 배치되는,
    고압 방전램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플레이트가 콘택 노즈(nose)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 노즈는 상기 세라믹 바깥쪽에 있는 상기 샤프트에 할당된 전원 라인에 연결되는,
    고압 방전램프.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플레이트가 상기 세라믹과 상기 반사기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형상 결합(form-fitting) 방식으로 고정되는,
    고압 방전램프.
  6. 제 1항, 제 2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플레이트가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세라믹의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 상에 놓여있고 상기 세라믹의 내부 둘레 형상의 이러한 지지 평면 내에서 매칭되는,
    고압 방전램프.
  7. 제 1항, 제 2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플레이트가 상기 세라믹의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 위에 있는 지지 영역 외부에 쐐기 모양의 2개의 프리 커팅부(free cut)를 구비하고, 콘택 노즈가 상기와 같은 모양의 프리 커팅부 내부에서 형성되는,
    고압 방전램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노즈에 의해 상기 프리 커팅부를 한쪽에서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 영역이 상기 세라믹의 상기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 위에 있는 상기 지지 영역 외부에 배치되는,
    고압 방전램프.
  9. 제 1항, 제 2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플레이트가 중앙에 하나의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버너가 연장되는,
    고압 방전램프.
  10. 삭제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플레이트가 상기 개구 둘레에 플레이트 림(rim)을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 림은 상기 콘택 플레이트의 한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콘택 플레이트의 상기 측면은 상기 세라믹의 원형 세그먼트 영역들의 위에 있는 지지 영역과 마주보는,
    고압 방전램프.
  13. 제 1항, 제 2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의 바깥쪽에 있는 상기 샤프트에 할당된 상기 전원 라인이 상기 버너를 따라 상기 콘택 플레이트 방향으로의 상기 반사기를 관통하는,
    고압 방전램프.
  14. 제 1항, 제 2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의 외부에 있는 상기 샤프트에 할당된 상기 전원 라인이 측면에서 상기 반사기의 밀봉된 보어를 관통하는,
    고압 방전램프.
  15. 제 1항, 제 2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라인들이 NiCr2Mg-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고압 방전램프.
KR1020107010255A 2007-10-09 2007-10-09 고압 방전램프 KR101084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7/060709 WO2009049661A1 (de) 2007-10-09 2007-10-09 Hochdruckentladungslam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621A KR20100075621A (ko) 2010-07-02
KR101084465B1 true KR101084465B1 (ko) 2011-11-21

Family

ID=3958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255A KR101084465B1 (ko) 2007-10-09 2007-10-09 고압 방전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084465B1 (ko)
CN (1) CN101821832B (ko)
TW (1) TW200926894A (ko)
WO (1) WO2009049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9225B2 (en) 2011-10-18 2014-02-25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with crown and foil ignition aid
US8766518B2 (en) 2011-07-08 2014-07-01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with ignition a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5696A1 (en) * 2002-04-09 2003-10-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igh-pressure discharge lamp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8621A (en) * 1977-06-27 1979-02-06 General Electric Company Short-arc discharge lamp with starting device
US6741034B2 (en) * 2002-08-22 2004-05-25 Osram Sylvania Inc. Starting aid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US7402954B2 (en) * 2002-12-19 2008-07-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igh-pressure discharge lamp, having a seal comprising a gas-filling cavity
JP4492337B2 (ja) * 2004-12-14 2010-06-30 ウシオ電機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
DE102005017505A1 (de) * 2005-04-15 2006-10-19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Reflektor-Hochdruckentladungslam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85696A1 (en) * 2002-04-09 2003-10-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igh-pressure discharge 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21832B (zh) 2012-03-21
WO2009049661A1 (de) 2009-04-23
CN101821832A (zh) 2010-09-01
KR20100075621A (ko) 2010-07-02
TW200926894A (en)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3270B2 (en) Light source device
JP2008140614A (ja) 高圧金属蒸気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US8723418B2 (en) Light source device with starting aid
JP2008159509A (ja) 放電ランプ装置
JP2001043831A (ja) ガス放電ランプ
KR101084465B1 (ko) 고압 방전램프
CA2555487A1 (en) Vehicle headlight bulb
WO2010041484A1 (ja) 光源装置
JP5524931B2 (ja) 補助ランプ付き高圧放電ランプ
US8129890B2 (en) High-pressure discharge lamp having a starting aid
US6411036B1 (en) Support wire for centering ceramic metal halide arctubes inside par capsules
JP5278211B2 (ja) 放電ランプ
WO2011024547A1 (ja) 放電ランプ用uvエンハ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5884404B2 (ja) 放電ランプの組立方法及び放電ランプ
JP2007134098A (ja) 放電ランプ装置および放電ランプ装置の製造方法
CA2613730A1 (en) Starting aid for low wattage metal halide lamps
JP4743315B2 (ja) 放電ランプ用uvエンハンサ
US8232710B2 (en) Multi-functional mini-reflector in a ceramic metal halide lamp
JP4640215B2 (ja) 光源装置
JP3782169B2 (ja) 無電極放電ランプ
JP2005203309A (ja) 放電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2002543561A (ja) アーク放電ランプ
JP4743316B2 (ja) 放電ランプ用uvエンハンサの製造方法
US20120294022A1 (en) Socket for an automotive hid lamp with reduced heigh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ocket
US20060097617A1 (en) Cathode unit for fluorescent lam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