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496B1 -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496B1
KR101082496B1 KR1020100097904A KR20100097904A KR101082496B1 KR 101082496 B1 KR101082496 B1 KR 101082496B1 KR 1020100097904 A KR1020100097904 A KR 1020100097904A KR 20100097904 A KR20100097904 A KR 20100097904A KR 101082496 B1 KR101082496 B1 KR 101082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battery cell
lithium ion
cel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7921A (ko
Inventor
최상규
유광호
신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10037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5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coating or impregn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에 전해액 주입시 전해액 함침조에 전지셀을 담그어 셀 내부로 전해액이 함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해액의 동시다발적인 함침이 일어나고, 활성화를 거치면서 전해액이 셀 내부에 자리를 잡게 됨에 따라 전지셀의 실링시 전해액이 실링부에 묻어나는 현상(전해액의 교착 실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Method of preparation of lithium ion polymer battery, dry cell and lithium ion polymer battery the same}
본 발명은 파우치형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지셀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는 폴딩 된 셀의 외곽을 알루미늄 파우치의 포장재로 패키징하여 제조한다. 전지의 제조를 위해 알루미늄 파우치 내로 전지셀을 넣은 후 전해질을 주입하고, 이후 활성화를 거친 뒤 디개싱(Degasing) 공정을 수행하고, 이후 최종 실링을 한다. 이 과정에서 파우치의 실링(sealing) 대상 부위 내부 벽면에 묻어있는 전해액이 같이 실링되거나(전해액의 교착 실링), 또는 최종 실링시 진공 흡입과 동시에 실링이 이루어질 때, 진공 흡입과 동시에 전해액의 기상 분자들이 확산에 의해 실링 부위에 침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링 부위에 묻은 전해액 분자들에 의한 마이크로크랙(microcrack) 또는 디펙트(defect)는 외부와의 전류 통로가 되어 국부적인 절연파괴의 원인이 되며, 또한 실링 강도를 현저히 저하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EP 0994519에서는 권취된 전지셀의 탑(top) 부분에 연결된 노즐을 통해 전해액을 인젝팅함으로써 전해액을 셀에 함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에 전해액을 채우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 10-0686838호에서는 전해액의 이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하절연판에 다수의 메쉬 형태의 돌출부의 높이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전해액의 함침성을 향상시킨 리튬 이차전지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의하더라도 전해액의 교착 실링의 문제를 만족스럽게 해결할 수 없다. 또한, 효과적으로 전해액을 주입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한편, 등록특허 10-0824869는 폴리머 내지 각형 타입의 전지 제조상 공정에서 디개싱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시간 및 공정 단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또한 폴리머 타입의 경우 포장재를 다양화 할 수 있고, 각형의 경우 압착을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복층막 구조의 폴리머 포장재 대신, 수분침투가 엄청나게 발생하여 셀 내부에서 HF의 증가로 인한 셀 성능 저하를 가져오는 폴리머 파우치를 사용하고 있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특허로는 기존 열융착 방식에서 일어나는 전해질과의 교착 실링을 방지하고 절연파괴로 인한 셀 수명 단축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특허에서는 전극조립체가 전해액을 함침한 이후 가압을 하여 효과를 본다고 하였으나 활성화 공정 전, 후에 압착을 하게 되면 각각의 전극조립체(폴딩셀)가 밀착하게 되어 전극 조립체 간에도 전하의 이동이 있게 되므로 셀 간 직렬연결이 되어 통전이 일어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 과정에서 전지셀의 패키징을 위한 실링 시 파우치 내벽에 전해질의 젖음(wetting) 현상을 방지하여 완전한 실링을 구현하고, 실링 강도를 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개싱(Degassing) 공정을 불필요하게 하여 간단하게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포장재 내에 전지셀을 패키징하여 제조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을 전해조(전해액 베스)에 담그어 둠으로써 전해액이 전지셀 내부로 함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셀의 함침은 음극, 양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셀 바디(body)부 전체를 전해조에 담그어 두는 것이다.
상기 전해액의 함침은 90KPa 내지 100KPa의 압력 하에서 진행되는 웨팅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전해액의 함침 후 전지셀을 전해조 밖으로 꺼내어 거치된 상태에서 진행하는 성형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성형 과정은 SOC(State of Charge) 30% 내지 SOC 50%에서 진행한다.
상기 전해액의 함침 후 전지셀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전지셀을 파우치 내에 삽입하여 실링한다.
상기 전지셀의 활성화 후 전해액의 숙성(aging) 공정을 거침으로써 전지셀 내부에 전해액이 일정 함침량에 도달한다. 이때, 상기 숙성 공정은 19도 내지 25도에서 진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숙성(aging) 공정에서 전지셀로부터 여분의 전해액이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극, 양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셀에 있어서, 상기 셀 내부에 젤리 형의 전해질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지셀을 포장재 내에 투입하고 진공 실링함으로써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지셀의 충·방전효율은 99.7% ~ 99.9%이고, 상기 전지셀의 전해액 누출량은 0.2% ~ 0.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해액 주입시 전해조에 전지셀을 담그어 셀 내부의 공극 사이로 전해액이 함침되도록 함으로써, 전해액의 동시다발적인 함침이 일어나고, 이후 전지셀의 활성화를 거치면서 전해액이 셀 내부의 공극 사이에 자리를 잡게 한다. 따라서 최종 실링시 진공 흡입을 하더라도 전해액이 실링 부위에 묻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시 포장재의 실링 부위에 전해액이 묻을 가능성(교착실링)을 없애고, 실링이 이루어지는 모든 면에 동일한 조건의 실링이 가능하도록 하며 실링 강도 또한 요구 조건 이상으로 만족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해액의 교착 실링으로 인한 마이크로 크랙(microcrack) 또는 디펙트(defect)에 의한 절연 저항 파괴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큐베이션 및 패키징(incubation & packaging) 방법에 의한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실시예 및 비교예 전지셀의 실링부 단면을 촬영한 것이다.
파우치형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제조시 현재는 완성된 전지의 폴딩 셀을 포장재에 넣고 패키징한 후, 전해질을 주입하고 활성화 공정을 수행한 다음, 상기 활성화 공정에서 발생한 가스의 배출을 위해 포장재를 개봉하고 이후 최종 실링을 하게 된다. 이 때 전해질 주입 단계에서 포장재 내벽에 전해질의 젖음(wetting)이 일어나거나, 디개싱(Degasing) 공정의 셀 개봉 후 최종 실링시 진공 흡입으로 유발되는 압력 차에 의해 기상/액상 전해액의 확산이 일어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포장재의 실링 부위에 묻어 있는 전해액에 의해 셀 내ㆍ외부 간에 전류 통로가 생길 수 있다. 이는 절연 저항 파괴와 실링 강도의 현격한 저하를 유발하여 셀의 성능저하를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큐베이션 및 패키징(Incubation & packaging) 방법을 통해 전지셀 내에 전해액을 함침시킴으로써 실링이 이루어지는 파우치의 모든 면에 동일 조건의 실링 강도를 유지하게 하며 디개싱(degassing) 공정을 없앨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파우치형 전지의 제조과정에서 전지셀을 전해액이 담긴 전해조(전해액 베스)에 소정 시간 담그어 둠으로써 전해액이 상기 전지셀 내부로 함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형 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우선, 동일하게 스택 및 폴딩(stacking & folding) 방식 혹은 젤리롤(jelly rolling) 방식으로 폴딩 셀을 완성한 후, 전해액이 담긴 전해조(electrolytic bath)에 셀을 고정하여 전해액의 젖음(wetting), 성형(formation) 및 숙성(aging) 공정을 진행하고, 셀을 꺼내어 규정된 전해액 함침량에 도달하도록 조정한다.
상기 젖음 공정은 주입된 전해액이 전극 및 분리막 내부 혹은 바이셀 사이로 함침이 잘 되게 구동력(driving force)을 부여하는 공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포장재가 아닌 전해조에 전지셀이 담그어진 상태에서 전해액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함침을 잘 유도하기 위한 젖음 공정은 생략 가능하며, 수행하더라도 젖음(wetting)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때, 젖음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버큠챔버(vacuum chamber)에서 90KPa 내지 100KPa의 압력 하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젖음 공정을 90KPa 이하에서 진행할 경우 전해액이 전지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100KPa 이상에서 진행할 경우에는 전해액의 과도한 유입으로 인해 전지셀 내에 있던 전해액까지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젖음 공정은 30분간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것보다는 소정 시간(5분) 진행하고 비교적 짧은 시간(1분)의 휴식 뒤 다시 반복하는 것이 보다 원활한 젖음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성형 공정은 전류를 최초로 인가하는 활성화 공정을 의미하며, 설계된 전해액 량에 도달하였을 때에 전지셀을 전해조 밖으로 꺼내어 거치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이때, 성형 공정은 SOC(State of Charge) 30% 내지 SOC 50%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SOC 30% 이하에서 진행할 경우 SEI(Solid Electrolyte Interface)막이 비교적 적게 생기고, 반대로 SOC 50% 이상에서 진행할 경우 SEI막이 비교적 많이 생기게 되어 원활한 성형 공정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숙성 공정은 전지를 안정화 시키는 공정이다. 숙성 공정 또한 거치된 상태에서 19℃ 내지 25℃에서 진행된다. 예컨대, 19℃ 이하에서 진행할 경우 전해액의 함침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25℃ 이상에서 진행할 경우 활물질의 용출 우려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전해액의 함침이 제대로 진행되었는지 측정하는 방법은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 전해액 함침량 측정방법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전해조에 담그기 전과 후의 셀 및 거치대 무게의 차이가 전해액의 함침량이 되며, 이것이 설계된 전해액 량에 도달했을 때에 전해질 함침이 완료되었다고 보고 활성화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부차적으로 전해액의 함침량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셀의 임피던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함침이 완료되었을 때에 임피던스로부터 구한 캐패시턴스 값이 포화(saturation)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것으로 함침 완료를 간접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완성된 전지셀은 전해액이 셀 내부에 젤리 상태로 자리잡은 드라이셀의 형태이다. 상기 드라이셀을 포장재에 넣은 후 진공 실링한다.
상기와 같은 인큐베이션 및 패키징(incubation & packaging) 방법으로 별도의 전해조를 이용하여 전지셀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이를 포장재로 포장하게 되면 전해액 주입 단계 또는 최종 실링 과정에서 포장재의 실링 부위에 전해액이 묻어서 실링 강도가 낮아지거나 절연저항이 파괴될 확률을 현격히 줄일 수 있으며 완전한 실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지셀에 전해액을 함침시키기 위해 전지셀의 바디(body)부 전체가 전해액에 함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셀 최상부에 돌출된 양극탭 및 음극탭 부위를 제외하고 음극, 양극 및 분리막으로 이루어지는 셀의 바디부가 모두 완전히 잠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전지셀 바디 전체로부터 동시다발적으로 전해액이 흡수될 수 있어 셀 상하, 좌우에 걸쳐 고르게 전해액이 함침되며, 아울러 셀 최외각으로부터 중심부까지 빠른 시간 내에 전해액이 함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전해액 주입단계에서 전해액의 확산을 위해 이루어지던 가압 또는 진공 가압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전지셀의 함침은 셀의 크기나 전해액의 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2시간 정도 셀을 전해조에 담그어 두는 것으로 하고, 이후 활성화 과정을 거친 뒤, 셀을 거치대나 빈 베스(bath)에 두어서 전해액이 흘러내리거나 기화되도록 함으로써 여분의 전해액을 제거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전지셀 내부의 공극 사이로 스며들어간 전해액을 젤리 형태로 셀 내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전지셀 내부에 전해액이 규정된 함침량에 도달하도록 조정한다. 그러면 전해액이 전지셀 내부에 자리를 잡게 되어 이후 파우치의 실링 과정에서 진공 흡입을 실시하더라도 실링부에 전해액이 묻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제조 과정에서는 전지셀의 활성화 공정을 전지셀이 전해조에 함침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다. 즉, 파우치 내에 전지셀과 전해액을 주입하고 일시적으로 실링하여 활성화 반응을 시킨 다음 파우치를 개봉하고 디개싱(degassing)하는 공정 대신 전해조에 전지셀을 담그어 둠으로써 어느 정도 전해액이 전지셀 내부에 함침된 상태에서 바로 활성화 공정을 수행하면 활성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바로 대기 중으로 날아가게 되므로 디개싱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적인 전해액 주입시 전해액의 젖음(wetting)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지셀을 진공 중에 두고, 가압 등의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전지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전해액이 전지셀 내에 충분히 함침된 후 그 상태에서 활성화시키고, 여분의 전해액을 제거한 다음 실링해 주는 것으로 전지를 제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 제작 과정이 매우 간단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지셀을 전해조에 소정 시간 담그어 둠으로써 전해액이 셀 전체에 걸쳐 고르게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셀은 전해액의 동시다발적인 함침, 활성화 및 숙성 공정을 통하여 전해액이 셀 내부에 젤리 형태로 자리잡은 드라이 셀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라이 셀을 포장재로 진공 실링함으로써 완성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전해조에 전해액(전해질 염: LiPF6; 용매: EMC/DME/DEC/EC; 첨가제: PS, VC, FEC)을 넣고, 여기에 전지셀(15Ah급)을 전극부 전체가 잠기도록 담근 후 실온에서 2시간 방치했다.
이후, 전해조에 담긴 상태에서 1.5A, 3hr, 1cycle 의 사이클 반응을 시킴으로써 전지셀의 활성화 공정을 수행했다.
다음으로, 전지셀을 전해조에서 꺼내어 거치대에 걸쳐 놓은 채로 실온에서 1시간 방치했다. 이렇게 완성된 전지셀을 알루미늄 파우치(D-EL408H2 grade, DNP)에 넣고, 진공 실링(상하부 180?, 2.5s, 95kPa)하였다.
비교예
비교예로 기존 방법으로 전해액을 주입한 후, 젖음(wetting), 성형(formation), 디개싱(degassing) 및 최종 패키징하여 제조된 전지셀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전지셀의 충·방전시험을 통해 충전용량 15Ah를 기준으로 방전용량을 수회 측정한 결과, 실시예의 방전용량은 14.95Ah 내지 14.99Ah이고, 비교예의 방전용량은 14.75Ah 내지 14.80Ah가 측정되었다. 이를 이용하여 충·방전효율(방전용량/충전용량 * 100)을 산정한 결과, 각각 99.7% ~ 99.9%과 98.3% ~ 98.7%로 산출되었다.
이와 같이 충·방전효율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 의해 전해액이 담긴 전해조에 전지셀을 함침시킬 경우 기존보다 고르게 함침이나 웨팅이 이루어짐으로써 초기 비가역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비교예의 방법에 의할 경우 전지셀이 함침 불량에 의한 웨팅 불량으로 말미암아 분리막 전체적으로 리튬이 석출되고 이에 따라 두께 증가, 용량 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경우 실제 전극 표면에 불균일하게 반응흔적이 남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전지셀에서의 실링부 단면을 촬영하여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이를 보면 비교예의 전지셀에서 발견되는 전해액의 누출 및 마이크로 크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지셀에서는 발견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전해액 60g을 함침할 경우, 비교예의 방법으로 진행하면 진공과 동시에 실링이 이루어져 전해액이 트랩되고 실링부분에 전해액 솔트(Salt)가 존재함으로써 결과적으로 2g ~ 3g의 전해액 누출량(3% ~ 5%)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으로 진행하면 비교예보다 현저히 적은 0.1g ~ 0.3g의 전해액 누출량(0.2% ~ 0.5%)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를 경우 실링부분에서 전해액의 교착실링으로 인한 문제 예컨대, 전해액의 누출 문제, 실링부분에서의 전해액 오염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13)

  1. (a) 음극, 양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셀을 전해조에 담그어 둠으로써 전지셀 내부로 전해액을 함침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전해조에 담긴 상태에서 전지셀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전해액의 함침은 전지셀의 음극, 양극 및 분리막 전체가 전해액에 담그어진 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전해액의 함침은 90KPa 내지 100KPa의 압력 하에서 진행되는 웨팅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전지셀의 활성화는 SOC(State of Charge) 30% 내지 SOC 50%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c) 전해액을 숙성(aging)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숙성은 활성화된 전지셀 내부에 전해액이 소정 전해액 함침량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숙성은 19℃ 내지 25℃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 전지셀로부터 여분의 전해액을 제거하고 파우치 내에 삽입하여 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9. 음극, 양극 및 분리막을 포함하고, 전해액을 함침시킨 전지셀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의 전해액 누출량은 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의 전해액 누출량은 0.2% ~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11. 제 9항에 따른 전지셀이 포장재 내에 투입되어, 교착 실링 없이 진공 실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의 충·방전효율은 99.7% ~ 9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의 전해액 누출량은 0.2% ~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KR1020100097904A 2009-10-07 2010-10-07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KR101082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5030 2009-10-07
KR1020090095030 2009-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921A KR20110037921A (ko) 2011-04-13
KR101082496B1 true KR101082496B1 (ko) 2011-11-11

Family

ID=4385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904A KR101082496B1 (ko) 2009-10-07 2010-10-07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27471B2 (ko)
EP (1) EP2472645B1 (ko)
KR (1) KR101082496B1 (ko)
CN (1) CN102576853B (ko)
WO (1) WO201104360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0410B2 (ja) * 2011-08-02 2014-06-04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KR101532926B1 (ko) * 2012-11-08 2015-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제조 방법
KR101536145B1 (ko) 2012-11-08 2015-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제조 방법
EP3178124A4 (en) * 2014-08-08 2018-01-03 Techtronic Industries Company Limited Battery pouch, battery cell and method of making a pouch or battery cell
EP3353844B1 (en) 2015-03-27 2022-05-11 Mason K. Harrup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US10707531B1 (en) 2016-09-27 2020-07-07 New Dominion Enterprises Inc.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DE102016225173A1 (de) * 2016-12-15 2018-06-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Herstellung einer Batteriezelle
CN106848177A (zh) * 2017-03-08 2017-06-13 江西迪比科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二次电池的注液工艺
KR102447619B1 (ko) * 2017-09-18 2022-09-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지그를 이용한 고정 과정을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제조방법
EP3486985A1 (en) * 2017-11-16 2019-05-22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Electrochemical cell, as well as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8819975U (zh) 2018-02-27 2019-05-03 创科(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具有安全保护功能的软包电池
CN112635930B (zh) * 2020-12-22 2023-02-07 东莞东阳光科研发有限公司 一种锂硫软包电池的注液方法
CN113161621A (zh) * 2021-03-10 2021-07-23 沁新集团(天津)新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锂离子电池的制备方法
DE102022001427B3 (de) 2022-04-25 2023-06-29 Mercedes-Benz Group AG Verfahren zum Einbringen von Elektroly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904A (en) * 1993-08-23 1995-10-24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Electrolyte activatable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y cell
ZA963605B (en) * 1995-06-07 1996-11-19 Duracell Inc Process for improving lithium ion cell
KR970031033A (ko) * 1995-11-24 1997-06-26 윤종용 전극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0212180B1 (ko) * 1996-03-15 1999-08-02 윤덕용 핫차징에 의한 ni/mh 2차전지의 활성화 처리방법
JP4027447B2 (ja) * 1996-04-24 2007-12-26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007945A (en) * 1996-10-15 1999-12-28 Electrofuel Inc. Negative electrode for a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omprising a solid solution of titanium dioxide and tin dioxide
JP4057674B2 (ja) * 1997-06-03 2008-03-05 株式会社東芝 電池製造装置及び電池製造方法
US6171723B1 (en) * 1997-10-10 2001-0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tteries with porous components
US6387561B1 (en) 1998-10-13 2002-05-14 Ngk Insulators, Ltd. Electrolyte-solution filling method and battery structur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JP2000231915A (ja) * 1999-02-12 2000-08-22 Hitachi Maxell Ltd ポリマー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KR100367284B1 (ko) * 1999-02-22 2003-01-09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2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01057942A1 (en) * 2000-02-04 2001-08-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WO2001059860A1 (en) * 2000-02-11 2001-08-16 Comsat Corporation Lithium-ion cell and method for activation thereof
JP2001332304A (ja) * 2000-05-24 2001-11-30 Sony Corp 電解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JP4060549B2 (ja) * 2001-06-19 2008-03-12 Tdk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の外装体
AU2003302519A1 (en) * 2002-11-29 2004-06-23 Mitsui Mining And Smelting Co., Ltd. Nega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KR100563055B1 (ko) * 2003-08-19 2006-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권취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100686838B1 (ko) 2005-07-12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KR100793011B1 (ko) 2007-02-16 2008-01-08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0824869B1 (ko) 2007-05-04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및 리튬 폴리머 전지
JP5319899B2 (ja) * 2007-08-23 2013-10-16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液電池
US20100192362A1 (en) * 2008-09-11 2010-08-05 A123 System, Inc. Split Charge Forming Process for Battery
CN101504995A (zh) * 2009-02-11 2009-08-12 中信国安盟固利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锰酸锂锂离子电池稳定性能和循环性能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76853B (zh) 2015-08-26
KR20110037921A (ko) 2011-04-13
US20110097630A1 (en) 2011-04-28
EP2472645A2 (en) 2012-07-04
CN102576853A (zh) 2012-07-11
EP2472645B1 (en) 2015-07-01
WO2011043608A3 (ko) 2011-07-14
EP2472645A4 (en) 2013-10-16
US10727471B2 (en) 2020-07-28
WO2011043608A2 (ko)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496B1 (ko)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제조방법,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KR101691754B1 (ko) 전지 제조 방법
CN104303341B (zh) 二次电池的正电极、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
CN110896155A (zh) 一种提升锂离子电池电解液浸润的工艺
JP2013152834A (ja) 電池の製造方法
CN107546419A (zh) 一种软包叠片锂离子动力电池注液后搁置方法
KR100634151B1 (ko) 용기 내로의 액체의 주액장치 및 주액방법
US2011012640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1395438B1 (ko) 필름 외장 전기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3615699B2 (ja) 密閉型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54845A (ko) 개선된 형태의 각형 전지
KR20140018695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실링방법
CN110247121A (zh) 锂离子电池的电解液浸润方法及其制备得到的锂离子电池和电子装置
KR101516469B1 (ko) 전해액 주액방법, 및 전해액 함침도가 높은 이차전지
JP2004152570A (ja) 電解液注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2343337A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電解液の注入・排出方法
JP2015198023A (ja) 溶融塩電池の製造方法
KR102264683B1 (ko) 진공을 이용한 전해액 주액 방법
KR102264674B1 (ko) 진공을 이용한 전해액 주액 방법
CN111916841A (zh) 提升锂电池电解液浸润效果及减少隔膜褶皱的方法和锂电池
JP5251713B2 (ja) 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1986200B1 (ko) 진공 생성기를 포함하는 전해액 주액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지셀
KR101942443B1 (ko) 이차 전지 제조 방법 및 이차 전지의 젖음 공정 장치
CN108711639A (zh) 一种锂离子电池的封口方法
KR20120079264A (ko) 함침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