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599B1 -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599B1
KR101081599B1 KR1020090037342A KR20090037342A KR101081599B1 KR 101081599 B1 KR101081599 B1 KR 101081599B1 KR 1020090037342 A KR1020090037342 A KR 1020090037342A KR 20090037342 A KR20090037342 A KR 20090037342A KR 101081599 B1 KR101081599 B1 KR 10108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ing
water
pipe
integ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8473A (ko
Inventor
엄명흠
김성범
오준
Original Assignee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역난방공사 filed Critical 한국지역난방공사
Priority to KR1020090037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599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48Counting of energy consum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2Hot 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앙집중난방방식에 있어서, 열생산시설에서 생산된 고온수와 열교환된 가열수를 열공급대상의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공급하는 통합 열교환기와; 상기 통합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가열수를 공급하는 통합 공급 배관과; 상기 통합 공급 배관과 연결되어 가열수를 회수하는 통합 회수 배관과;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설치되고, 상기 통합 공급 배관과 분기 연결되어 가열수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과;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설치되고, 상기 통합 회수 배관과 분기 연결되어 가열수를 회수하는 회수 배관과; 상기 공급 배관과 분기되어 가열수를 공급하는 급탕 공급 배관과; 상기 회수 배관과 분기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 가열수를 회수하는 급탕 회수 배관과; 상기 급탕 공급 배관과 급탕 회수 배관 및 급수관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급탕 공급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가열수와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를 열교환하여 급탕수를 공급하고, 냉수와 열교환된 가열수를 상기 급탕 회수 배관으로 배출하는 급탕 열교환기; 및 상기 공급 배관과, 급탕 공급 배관으로 공급되는 가열수 유량을 제어하는 냉·난방 조절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난방, 냉방, 급탕겸용 통합 공급, 회수 배관만을 설치, 즉 2-파이프 방식으로 배관을 설치함으로써 건축비, 설비 시공비, 설비 관리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하고,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또한 기계실에 세대 통합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항시 가열수를 공급하고,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급탕 열교환기와 제습 냉방기를 설치함으로써 계절에 관계없이 세대별 또는 층별로 난방, 냉방 및 급탕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중앙, 집중, 난방, 냉방, 급탕, 2-파이프, 통합, 배관, 가열수

Description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PUBLIC HOUSING AND BUILDING INTEGRATED PIPING SYSTEM}
본 발명은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난방, 냉방, 급탕겸용 통합 공급 및 회수 배관만을 설치, 즉 2-파이프 방식으로 배관을 설치하고,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급탕 열교환기와 제습 냉방기를 설치하도록 하는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앙집중난방방식은 아파트, 주택, 상가, 사무실, 학교, 병원, 공장 등 각종건물이 개별난방 시설을 갖추는 대신 집중된 열원시설에서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을 이용하여 난방 및 급탕을 공급하며, 쾌적한 도시환경을 창조하고 에너지 절약과 환경공해 개선에 기여하는 효율적인 난방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사용자가 난방설비를 갖추는 개별난방 시스템과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중앙집중난방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수를 생산하는 열생산시설(1) 고온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순환펌프(2)에는 난방용 열교환기(3)와 급탕용 열교환기(4)를 통해 열공급대상 공동주택 또는 건물(A)까지 고온수를 공급 및 회수하도록 고온수배관(5)이 연결된다.
그리고, 난방용 열교환기(3)에는 각 세대 및 실에 연결된 난방 공급관(3-1)과 난방 회수관(3-2)이 설치되고, 급탕용 열교환기(4)에는 각 세대 및 실에 연결된 급탕 공급관(4-1)과 급탕 회수관(4-2)이 설치된다. 즉, 4-파이프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중앙집중난방방식의 4-파이프 방식은 각각의 배관을 설치하기 위해 건축비, 설비 시공비, 설비 관리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고, 다수의 배관 설치로 인해 배관에서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중앙집중난방방식의 4-파이프 방식은 여름철과 같은 하절기에는 난방 온수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 급탕 온수만이 공급되기 때문에 난방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난방, 냉방, 급탕겸용 통합 공급, 회수 배관만을 설치, 즉 2-파이프 방식으로 배관을 설치함으로써 건축비, 설비 시공비, 설비 관리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하고,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계실에 통합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항시 가열수를 공급하고,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급탕 열교환기와 제습 냉방기를 설치함으로써 계절에 관계없이 세대별 또는 층별로 난방, 냉방 및 급탕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중앙집중난방방식에 있어서, 열생산시설에서 생산된 고온수와 열교환된 가열수를 열공급대상의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공급하는 통합 열교환기와; 상기 통합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가열수를 공급하는 통합 공급 배관과; 상기 통합 공급 배관과 연결되어 가열수를 회수하는 통합 회수 배관과;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설치되고, 상기 통합 공급 배관과 분기 연결되어 가열수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과;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설치되고, 상기 통합 회수 배관과 분기 연결되어 가열수를 회수하는 회수 배관과; 상기 공급 배관과 분기되어 가열수를 공급하는 급탕 공급 배관과; 상기 회수 배관과 분기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 가열수를 회수하는 급탕 회수 배관과; 상기 급탕 공급 배관과 급탕 회수 배관 및 급수관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급탕 공급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가열수와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를 열교환하여 급탕수를 공급하고, 냉수와 열교환된 가열수를 상기 급탕 회수 배관으로 배출하는 급탕 열교환기; 및 상기 공급 배관과, 급탕 공급 배관으로 공급되는 가열수 유량을 제어하는 냉·난방 조절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공급 배관에는 가열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유량 밸브와;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실별 또는 건물의 각 층의 실별로 가열수를 분배하는 가열수 공급 분배기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공급 배관에는 가열수를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하는 제습 냉방기와; 상기 냉·난방 조절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습 냉방기로 가열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냉방 구동기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회수 배관에는 가열수의 유량을 확인하는 적산 열량계와;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실별 또는 건물의 각 층의 실별로 배출되는 가열수를 회수하는 가열수 회수 분배기; 및 상기 냉·난방 조절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열수 회수 분배기의 가열수 유량을 제어하는 난방 구동기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급탕 회수 배관과 급탕 열교환기 사이에는 급탕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냉·난방 조절기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는 급탕 제어 밸브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급탕 열교환기의 후단에는 급탕수를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실별 또는 건물의 각 층의 실별로 분배하는 급탕 분배기와; 상기 냉·난방 조절기의 제어에 따라 급탕수 유량을 감지하는 플로우 스위치가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냉·난방 조절기는 난방시 상기 난방 구동기를 개방시키고, 상기 냉방 구동기를 폐쇄시키다.
여기에서 또, 상기 냉·난방 조절기는 냉방시 상기 냉방 구동기를 개방시키고, 상기 난방 구동기를 폐쇄시킨다.
여기에서 또, 상기 냉·난방 조절기는 난방과 동시에 급탕 사용시 상기 난방 구동기를 폐쇄시켜 난방을 일시 중지한 후 가열수를 상기 급탕 열교환기로만 공급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냉·난방 조절기는 냉방과 동시에 급탕 사용시 상기 냉방 구동기를 폐쇄시켜 냉방을 일시 중지한 후 가열수를 상기 급탕 열교환기로만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에 따르면, 난방, 냉방, 급탕겸용 통합 공급, 회수 배관만을 설치, 즉 2-파이프 방식으로 배관을 설치함으로써 건축비, 설비 시공비, 설비 관리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하고,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실에 세대 통합 열교환기를 설치하여 항시 가열수를 공급하고,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급탕 열교환기와 제습 냉방기를 설치함으로써 계절에 관계없이 세대별 또는 층별로 난방, 냉방 및 급탕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 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100)은, 통합 열교환기(110)와, 통합 공급 배관(120)과, 통합 회수 배관(130)과, 공급 배관(140)과, 회수 배관(150)과, 급탕 공급 배관(160)과, 급탕 회수 배관(170)과, 급탕 열교환기(180)와, 제습 냉방기(190)와, 냉·난방 조절기(200)로 구성된다.
먼저, 통합 열교환기(110)는 열공급대상의 공동주택 및 건물의 기계실(미도시)에 설치되고, 고온수배관(도 1의 5)과 연결되어 열생산시설(도 1의 1)에서 공급된 고온수를 통과시켜 열교환하여 가열수를 생산하여 공급한다.
그리고, 통합 공급 배관(120)은 통합 열교환기(110)에서 열교환된 가열수를 공급한다. 여기에서, 통합 공급 배관(120)은 공동주택 및 건물의 경우 배관 피트에 하나의 단열관으로 설치된다.
또한, 통합 회수 배관(130)은 통합 공급 배관(120)과 연결되어 가열수를 회수한다. 여기에서, 통합 회수 배관(130)은 공동주택 및 건물의 경우 통합 공급 배관(120)과 동일하게 배관 피트에 하나의 단열관으로 설치된다. 여기에서 또한, 통합 회수 배관(130)과 통합 공급 배관(120)은 그 끝단이 상호 연결되고, 연결 부위 에 정유량 밸브(131)와, 공기빼기 밸브(13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공급 배관(140)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설치되고, 통합 공급 배관(120)과 분기 연결되어 가열수를 공급한다. 여기에서, 공급 배관(140)에는 가열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유량 밸브(141)와, 가열수를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실별 또는 건물의 각 층의 실별로 설치된 각각의 배관(미도시)으로 분배하는 가열수 공급 분배기(143)가 더 구비된다.
한편, 회수 배관(150)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설치되고, 통합 회수 배관(130)과 분기 연결되어 가열수를 회수하여 통합 회수 배관(130)으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회수 배관(150)에는 가열수의 유량을 확인하는 적산 열량계(151)와,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실별 또는 건물의 각 층의 실별로 설치된 각각의 배관(미도시)에서 배출되는 가열수를 회수하는 가열수 회수 분배기(153)와, 하기에서 설명할 냉·난방 조절기(200)의 제어에 따라 가열수 회수 분배기(153)의 가열수 유량을 제어하는 난방 구동기(155)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급탕 공급 배관(160)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 또는 건물의 각 층 내에서 공급 배관(140)과 분기되어 가열수를 공급한다.
또한, 급탕 회수 배관(170)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 또는 건물의 각 층 내에서 회수 배관(150)과 분기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급탕 열교환기(180)에서 냉수와 열교환이 이루어진 가열수를 회수하여 회수 배관(150)으로 전달한다.
또, 급탕 열교환기(180)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설치되고, 급탕 공급 배관(160)과 급탕 회수 배관(170) 및 급수관(101)이 각각 연결 되어 급탕 공급 배관(160)을 통해 전달되는 가열수와 급수관(101)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를 열교환하여 급탕수를 공급하고, 열교환된 가열수를 급탕 회수 배관(170)으로 배출한다. 여기에서, 급탕 열교환기(180)와 급탕 회수 배관(170) 사이에는 급탕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냉·난방 조절기(20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는 급탕 제어 밸브(181)가 구비되고, 급탕 열교환기(180)의 후단에는 급탕수를 세대 내 실별로 설치된 각각의 배관(미도시)으로 분배하는 급탕 분배기(183)가 구비되며, 급탕 열교환기(180)와 급탕 분배기(183) 사이에는 냉·난방 조절기(200)의 제어에 따라 급탕수 유량을 감지하는 플로우 스위치(185)가 더 구비된다.
한편, 제습 냉방기(190)는 공급 배관(140)을 통해 공급되는 가열수를 이용하여 제습 냉방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제습 냉방기(190)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국내 특허등록 제0773434호 또는 국내 특허등록 제0773435호가 적용된다. 여기에서 또한, 제습 냉방기(190)와 공급 배관(140) 사이에는 냉·난방 조절기(200)의 제어에 따라 제습 냉방기(190)로 가열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냉방 구동기(199)가 더 구비된다.
한편, 냉·난방 조절기(200)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 또는 건물의 각 층의 실내에 설치되어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특히 사용자의 설정 온도에 따라 각 세대의 공급 배관(140)과, 급탕 공급 배관(160)으로 공급되는 가열수 유량을 제어한다. 여기에서, 냉·난방 조절기(200)는 난방시 난방 구동기(155)를 개방시키고, 냉방 구동기(199)를 폐쇄시키고, 반대로 냉방시 냉방 구동기(199)를 개방시키고, 난방 구동기(155)를 폐쇄시킨다. 여기에서 또한, 냉·난방 조절기(200)는 난방과 동시에 급탕 사용시 난방 구동기(155)를 폐쇄시켜 난방을 일시 중지한 후 가열수를 급탕 열교환기(180)로만 공급하고, 반대로 냉방과 동시에 급탕 사용시 냉방 구동기(199)를 폐쇄시켜 냉방을 일시 중지한 후 가열수를 급탕 열교환기(180)로만 공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난방시》
먼저, 사용자가 냉·난방 조절기(200)를 통해 난방 온도를 설정하면, 냉·난방 조절기(200)는 난방 구동기(155)를 개방시키고, 냉방 구동기(199)를 폐쇄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열교환기(110)에서 열교환된 가열수가 통합 공급 배관(120)과 공급 배관(140)을 통해 가열수 공급 분배기(143)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면, 가열수 공급 분배기(143)를 통해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실별 또는 건물의 각 층의 실별로 설치된 각각의 배관으로 가열수가 공급되어 바닥 난방을 수행한다.
이때, 냉·난방 조절기(200)는 사용자 설정 온도와 실내 온도를 비교하여 난방 구동기(155)의 제어를 통해 일정 온도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급탕을 사용하는 경우 냉·난방 조절기(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 구동기(155)를 폐쇄시켜 난방을 일시 중지한 후 가 열수를 급탕 열교환기(180)로만 공급한다. 그리고, 급탕 사용이 종료되면 냉·난방 조절기(200)는 난방 구동기(155)를 개방시켜 계속해서 난방을 수행한다.
《냉방시》
반대로, 사용자가 냉·난방 조절기(200)를 통해 냉방 온도를 설정하면, 냉·난방 조절기(200)는 난방 구동기(155)를 폐쇄시키고, 냉방 구동기(199)를 개방시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열교환기(110)에서 열교환된 가열수가 통합 공급 배관(120)과, 공급 배관(140)과, 냉방 구동기(199)를 통해 제습 냉방기(190)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습 냉방기(190)에서 가열수와 열교환된 냉풍이 공동주택의 각 세대 또는 건물의 각 층에 공급되어 냉방을 수행한다. 이때, 냉·난방 조절기(200)는 사용자 설정 온도와 실내 온도를 비교하여 제습 냉방기(190)의 제어를 통해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급탕을 사용하는 경우 냉·난방 조절기(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 구동기(199)와 제습 냉방기(190)를 폐쇄시켜 냉방을 일시 중지한 후 가열수를 급탕 열교환기(180)로만 공급한다. 그리고, 급탕 사용이 종료되면 냉·난방 조절기(200)는 냉방 구동기(199)와 제습 냉방기(190)를 개방시켜 계속해서 냉방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 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중앙집중난방방식을 나타낸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계통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1 : 급수관 110 : 통합 열교환기
120 : 통합 공급 배관 130 : 통합 회수 배관
140 : 공급 배관 150 : 회수 배관
160 : 급탕 공급 배관 170 : 급탕 회수 배관
180 : 급탕 열교환기 190 : 제습 냉방기
200 : 냉·난방 조절기

Claims (10)

  1. 중앙집중난방방식에 있어서,
    열생산시설에서 생산된 고온수와 열교환된 가열수를 열공급대상의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공급하는 통합 열교환기와;
    상기 통합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가열수를 공급하는 통합 공급 배관과;
    상기 통합 공급 배관과 연결되어 가열수를 회수하는 통합 회수 배관과;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설치되고, 상기 통합 공급 배관과 분기 연결되어 가열수를 공급하는 공급 배관과;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 또는 건물의 각 층별로 설치되고, 상기 통합 회수 배관과 분기 연결되어 가열수를 회수하는 회수 배관과;
    상기 공급 배관과 분기되어 가열수를 공급하는 급탕 공급 배관과;
    상기 회수 배관과 분기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 가열수를 회수하는 급탕 회수 배관과;
    상기 급탕 공급 배관과 급탕 회수 배관 및 급수관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급탕 공급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가열수와 상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를 열교환하여 급탕수를 공급하고, 냉수와 열교환된 가열수를 상기 급탕 회수 배관으로 배출하는 급탕 열교환기; 및
    상기 공급 배관과, 급탕 공급 배관으로 공급되는 가열수 유량을 제어하는 냉·난방 조절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 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배관에는,
    가열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유량 밸브와;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실별 또는 건물의 각 층의 실별로 가열수를 분배하는 가열수 공급 분배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배관에는,
    가열수를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하는 제습 냉방기와;
    상기 냉·난방 조절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습 냉방기로 가열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냉방 구동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배관에는,
    가열수의 유량을 확인하는 적산 열량계와;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실별 또는 건물의 각 층의 실별로 배출되는 가열수를 회수하는 가열수 회수 분배기; 및
    상기 냉·난방 조절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가열수 회수 분배기의 가열수 유량을 제어하는 난방 구동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탕 회수 배관과 급탕 열교환기 사이에는,
    급탕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냉·난방 조절기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는 급탕 제어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탕 열교환기의 후단에는,
    급탕수를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실별 또는 건물의 각 층의 실별로 분배하는 급탕 분배기와;
    상기 냉·난방 조절기의 제어에 따라 급탕수 유량을 감지하는 플로우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조절기는,
    난방시 상기 난방 구동기를 개방시키고, 상기 냉방 구동기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조절기는,
    냉방시 상기 냉방 구동기를 개방시키고, 상기 난방 구동기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9.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조절기는,
    난방과 동시에 급탕 사용시 상기 난방 구동기를 폐쇄시켜 난방을 일시 중지한 후 가열수를 상기 급탕 열교환기로만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10.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조절기는,
    냉방과 동시에 급탕 사용시 상기 냉방 구동기를 폐쇄시켜 냉방을 일시 중지한 후 가열수를 상기 급탕 열교환기로만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KR1020090037342A 2009-04-28 2009-04-28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KR101081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342A KR101081599B1 (ko) 2009-04-28 2009-04-28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342A KR101081599B1 (ko) 2009-04-28 2009-04-28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473A KR20100118473A (ko) 2010-11-05
KR101081599B1 true KR101081599B1 (ko) 2011-11-08

Family

ID=4340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342A KR101081599B1 (ko) 2009-04-28 2009-04-28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599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724B1 (ko) 2012-02-01 2013-07-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지역난방 공동주택 2차측 배관 시스템
KR101281014B1 (ko) 2012-02-02 2013-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세대 내 난방 열교환기를 이용한 지역난방용 통합배관시스템
KR200471736Y1 (ko) 2013-04-08 2014-03-13 문성아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
KR101369768B1 (ko) * 2013-08-02 2014-04-01 정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제어 일체형 급탕 우선 공급 세대 열교환기
KR101425870B1 (ko) * 2013-04-01 2014-08-04 한국지역난방공사 세대용 급탕 열교환 설비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난방 급탕 통합 시스템
KR101479557B1 (ko) * 2014-10-24 2015-01-07 석암산업주식회사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
KR101523373B1 (ko) * 2014-05-07 2015-05-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제습냉방운전을 고려한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KR101523374B1 (ko) * 2014-05-07 2015-05-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제습냉방운전을 고려한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KR101562620B1 (ko) 2014-01-10 2015-10-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집단에너지 2차측 고온수 배관 시스템
WO2015170861A1 (ko) * 2014-05-07 2015-11-1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제습냉방운전을 고려한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WO2016047930A1 (ko) * 2014-09-24 2016-03-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중앙난방 및 지역난방을 위한 난방 온수 공급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797973B1 (ko) 2016-11-30 2017-11-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탕 예열과 냉각기능을 포함하는 급탕 난방 통합배관 시스템
KR20170138237A (ko) * 2016-06-07 2017-12-1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20170138233A (ko) * 2016-06-07 2017-12-1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1925371B1 (ko) 2017-07-28 2019-02-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안전 연소 시스템
KR102297742B1 (ko) 2021-05-14 2021-09-03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분기 배관 및 주름 배관에 의한 배관 모듈화 시스템
KR20230079635A (ko) 2021-11-29 2023-06-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693B1 (ko) * 2011-03-10 2011-06-10 윤석구 에너지 절약형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시스템
KR101350941B1 (ko) * 2012-02-02 2014-01-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계절별 열 부하 변동에 따른 가변 유량 지역난방용 이중보온관 시스템
KR101582203B1 (ko) 2014-04-07 2016-01-05 주식회사 구성이엔드씨 통합배관 시스템을 위한 유량제어시스템
KR102624261B1 (ko) * 2018-09-17 2024-01-1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KR102013197B1 (ko) * 2018-12-19 2019-08-22 김영준 공동주택 노후배관 철거 및 신설배관을 이용한 세대별 난방시스템
KR102121715B1 (ko) * 2018-12-27 2020-06-11 김영준 공동주택의 세대별 온수공급시스템
KR102236716B1 (ko) * 2019-06-20 2021-04-05 이동렬 난방수 이용 급탕 장치
KR102084242B1 (ko) * 2019-07-10 2020-03-03 김영준 공동주택 노후배관 철거 및 신설배관을 이용한 온수 및 난방수 공급방법
KR102331024B1 (ko) * 2019-12-27 2021-11-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KR102432566B1 (ko) * 2020-07-28 2022-08-16 여진환 공동주택 통합배관 제어시스템
CN112524670A (zh) * 2020-11-27 2021-03-19 浙江先博节能科技有限公司 基于空压机余热回收改造用于供暖的节能系统及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00B1 (ko) 2007-01-29 2008-07-11 (주) 청림 모듈화된 일체형 냉난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00B1 (ko) 2007-01-29 2008-07-11 (주) 청림 모듈화된 일체형 냉난방시스템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724B1 (ko) 2012-02-01 2013-07-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지역난방 공동주택 2차측 배관 시스템
KR101281014B1 (ko) 2012-02-02 2013-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세대 내 난방 열교환기를 이용한 지역난방용 통합배관시스템
KR101425870B1 (ko) * 2013-04-01 2014-08-04 한국지역난방공사 세대용 급탕 열교환 설비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난방 급탕 통합 시스템
KR200471736Y1 (ko) 2013-04-08 2014-03-13 문성아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
KR101369768B1 (ko) * 2013-08-02 2014-04-01 정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제어 일체형 급탕 우선 공급 세대 열교환기
KR101562620B1 (ko) 2014-01-10 2015-10-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집단에너지 2차측 고온수 배관 시스템
KR101523373B1 (ko) * 2014-05-07 2015-05-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제습냉방운전을 고려한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KR101523374B1 (ko) * 2014-05-07 2015-05-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제습냉방운전을 고려한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WO2015170861A1 (ko) * 2014-05-07 2015-11-1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제습냉방운전을 고려한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WO2016047930A1 (ko) * 2014-09-24 2016-03-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중앙난방 및 지역난방을 위한 난방 온수 공급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479557B1 (ko) * 2014-10-24 2015-01-07 석암산업주식회사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
KR20170138237A (ko) * 2016-06-07 2017-12-1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20170138233A (ko) * 2016-06-07 2017-12-1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1866025B1 (ko) * 2016-06-07 2018-06-0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1866024B1 (ko) 2016-06-07 2018-06-0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1797973B1 (ko) 2016-11-30 2017-11-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급탕 예열과 냉각기능을 포함하는 급탕 난방 통합배관 시스템
KR101925371B1 (ko) 2017-07-28 2019-02-26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안전 연소 시스템
KR102297742B1 (ko) 2021-05-14 2021-09-03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분기 배관 및 주름 배관에 의한 배관 모듈화 시스템
KR20230079635A (ko) 2021-11-29 2023-06-0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473A (ko) 201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599B1 (ko)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KR101425870B1 (ko) 세대용 급탕 열교환 설비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난방 급탕 통합 시스템
KR101222119B1 (ko) 직렬식 난방 및 급탕시스템
US9175864B2 (en) Energy-saving central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system
KR101497457B1 (ko)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KR101700534B1 (ko)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1281014B1 (ko) 세대 내 난방 열교환기를 이용한 지역난방용 통합배관시스템
RU42291U1 (ru) Система центрального отопления
KR101265970B1 (ko) 지역 또는 중앙 냉/난방 및 급탕겸용 세대별 열교환기 모듈
CN202166135U (zh) 一种综合实现防结露的辐射新风空调系统
CN105352021A (zh) 利用太阳能空气集热进行供暖和提供热水的系统及控制方法
KR20140088348A (ko)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US1061279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peripheral air-conditioning unit thereof and water pipeline upgrading method for heating purposes
JP6590983B2 (ja) 熱源一体型システム空気調和装置
KR20130089487A (ko) 세대 내 급탕 열교환기를 이용한 지역난방용 통합배관시스템
CN204460538U (zh) 一种智能冷暖水空调
JP5057660B2 (ja) 冷排熱利用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6111871B2 (ja) デマンドレスポンスシステム
KR20170052731A (ko)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1256438B1 (ko) 에너지 절감형 배관 시스템
CN201229033Y (zh) 天棚盘管
KR102543655B1 (ko) 지능형 냉난방 제어 시스템 및 지능형 냉난방 제어 장치
CN201237317Y (zh) 通信基站的温度调节装置
CN205980430U (zh) 一种冷暖热水三联供效果体验装置
CN212538005U (zh) 一种毛细地暖双系统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