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9635A -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9635A
KR20230079635A KR1020210166619A KR20210166619A KR20230079635A KR 20230079635 A KR20230079635 A KR 20230079635A KR 1020210166619 A KR1020210166619 A KR 1020210166619A KR 20210166619 A KR20210166619 A KR 20210166619A KR 20230079635 A KR20230079635 A KR 20230079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heating
hot water
integrated piping
pip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영준
김준구
문창현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6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9635A/ko
Publication of KR20230079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공급유로,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된 온수 열교환 환수유로, 난방수를 환수 열원으로 환수하는 열원환수유로를 포함하며, 난방수와 온수를 분기시켜 급탕과 난방부하측으로 공급하는 통합배관유닛; 상기 열원공급유로측과 상기 난방부하측 사이에 개설되어 열원의 공급 단계에서 상기 공급 열원을 난방수와 온수로 분기시켜 공급하는 분기 배관; 및 상기 열원환수유로측에 구비되어 환수되는 열원 유량을 전체적으로 조절하고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Heating water flow control system of integrated piping unit}
본 발명은 별도의 유량조절밸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현장 조건에 따라 열원 공급 유량을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밸브 개폐만으로 난방과 온수의 동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또는 건물의 기계실 등의 개별 가구들에 대하여 지역난방 또는 중앙난방 열원을 공급하는 종전의 급탕 난방 배관 시스템은 급탕용 열교환기와 난방용 열교환기를 두고 이들을 4-파이프 배관으로 연결하여 온수와 난방을 하도록 제안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지역난방 또는 중앙난방 열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을 공동주택이나 기계실에서 공급받아 난방수를 입상관을 통해 개별 세대로 공급하고, 개별 세대에서는 난방과 온수를 동시에 공급받을 수 있도록 배관 시스템이 설계된 통합배관유닛이 알려져 있다. 통합배관유닛은 종전 4-파이프 배관의 급탕과 난방을 통합하고, 온수와 난방수의 공급에 있어서 계절 요인이나 예외적 운용에 따른 난방 불능의 문제점과 설치 및 유지보수 그리고 열관리 등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술로 알려져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1599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5870호에는 통합배관 시스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급탕 난방 배관 시스템 또는 통합배관유닛의 경우 시공사측에서 세대별로 별도의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여야만 유량 조절 제어가 가능한 단점이 있고, 또한 현장 조건에 따라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변경 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유량조절밸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현장 조건에 따라 유량을 용이하게 변경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밸브 개폐만으로 난방과 온수의 동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을 필요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3956호(공고일2018년01월31일)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1599호(공고일2011년11월02일)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5870호(공고일2014년08월04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별도의 유량조절밸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유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현장 조건에 따라 유량을 용이하게 변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중 하나는, 밸브 개폐만으로 난방과 온수의 동시 사용이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공급유로,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된 온수 열교환 환수유로, 난방수를 환수 열원으로 환수하는 열원환수유로를 포함하며, 난방수와 온수를 분기시켜 급탕과 난방부하측으로 공급하는 통합배관유닛; 상기 열원공급유로측과 상기 난방부하측 사이에 개설되어 열원의 공급 단계에서 상기 공급 열원을 난방수와 온수로 분기시켜 공급하는 분기 배관; 및 상기 열원환수유로측에 구비되어 환수되는 열원 유량을 전체적으로 조절하고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기 배관은 상기 열원공급유로측에 연결된 일단의 1차측 연결부 및 상기 난방부하측에 연결된 타단의 2차측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기 배관의 1차측 연결부는 상기 공급 열원이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2차측 연결부를 통해 난방부하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 지점의 열원공급유로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수 열교환 환수유로측에 차단 밸브;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원공급유로측에 삼방 밸브;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기 배관은 상기 열원공급유로측에 삼방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삼방 밸브와 연결된 일단의 1차측 연결부, 상기 난방부하측에 연결된 타단의 2차측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삼방 밸브 및 1차측 연결부는 상기 공급 열원이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2차측 연결부를 통해 난방부하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 지점의 열원공급유로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삼방 밸브는 각 출수측 개도량을 조정하여 난방수공급측과 온수공급측의 열원 공급 유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지 않고도 세대별 유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통합배관유닛의 시공 원가 비용을 줄이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대별 현장 조건에 따라 유량을 용이하게 변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통합배관유닛의 운용 편의성과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유량조절밸브의 조작을 거치치 않고 통합배관유닛의 밸브 개폐만으로 난방과 온수의 동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용 편의성과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 시스템을 계통도로 나타낸 예로서 급탕과 난방 유로가 통합배관유닛으로 통합되어 구성된 예시이다.
도 2는 종래 또 다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 시스템을 계통도로 나타낸 예로서 급탕과 난방 유로가 통합배관유닛으로 통합되어 구성된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을 계통도로 나타낸 예로서 급탕과 난방 유로가 통합배관유닛으로 통합되고 차단 밸브가 적용된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을 계통도로 나타낸 예로서 급탕과 난방 유로가 통합배관유닛으로 통합되고 삼방 밸브가 적용된 예시이다.
도 5는 차단 밸브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난방 모드, (b)는 온수 모드의 경우로 구분하여 나타낸 시스템 동작의 예시이다.
도 6은 삼방 밸브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난방 모드, (b)는 온수 모드의 경우로 구분하여 나타낸 시스템 동작의 예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 시스템을 계통도로 나타낸 예로서 급탕과 난방 유로가 통합배관유닛으로 통합되어 구성된 예시이다.
도 1의 통합배관유닛(100)은 난방에서는 열원(A)으로부터 난방수의 공급이 열교환기(104)를 경유하여 On-Off 밸브(103)를 거쳐 분배기(102)를 통해 난방부하측(101)으로 공급되고 차압 밸브(105)가 설치된 환수 유로(106)를 통해 환수되도록 되어 있다. 난방부하측(101)에 공급되는 난방수는 분배기(102)에 구비되는 미세조절 밸브(108)의 조작을 통해 난방부하측(101)의 각 실(예를 들면 거실/주방/방1,2,3...N 등)로 공급될 수 있다. 급탕에서는 열교환기(104)를 경유하여 유량조절밸브(113)에 의해 환수 유량이 조절되어 환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수(W1)는 열교환기(104)를 경유하면서 열교환되어 급탕(W2) 온수로 출수 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T1 ~ T5는 온도 센서로서, T1은 공급 열원의 온도, T2는 급탕환수의 온도, T3는 급수(W1)의 온도, T4는 급탕 온수(W2)의 출수 온도, T5는 환수 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온도 센서이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급탕과 난방을 위한 또 다른 통합배관 시스템을 계통도로 나타낸 예로서 급탕과 난방 유로가 통합배관유닛으로 통합되어 구성된 예시이다.
도 2의 통합배관 시스템은 난방과 급탕 유로가 분리된 형식으로서 난방에서는 난방열원(B)으로부터 난방수의 공급이 열교환기(104)를 경유하지 않고 On-Off 밸브(103)를 거쳐 직접 분배기(102)를 통해 난방부하측(101)으로 공급되고 차압 밸브(105)가 설치된 환수 유로(106)를 통해 환수되도록 되어 있다. 난방부하측(101)에 공급되는 난방수는 분배기(102)에 구비되는 미세조절 밸브(108)의 조작을 통해 난방부하측(101)의 각실(예를 들면 거실/주방/방1,2,3...N 등)로 공급될 수 있다. 급탕에서는 급탕열원(C)으로부터 열원수의 공급이 On-Off 밸브(103)를 거쳐 열교환기(104)를 경유하여 유량조절밸브(113)에 의해 환수 유량이 조절되어 환수 유로(106)를 통해 환수되도록 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수(W1)는 열교환기(104)를 경유하면서 열교환되어 급탕(W2) 온수로 출수 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T1 ~ T5는 온도 센서로서, T1은 공급 열원의 온도, T2는 급탕환수의 온도, T3는 급수(W1)의 온도, T4는 급탕 온수(W2)의 출수 온도, T5는 환수 온도를 각각 검출하는 온도 센서이다.
한편, 도 1과 급탕과 난방이 통합된 형식의 통합배관 시스템, 또는 도 2와 같이 급탕과 난방이 분리된 형식의 통합배관 시스템은 그 형식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난방시 불규칙적이거나 비대칭적으로 난방부하측으로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 조절이 까다롭고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합배관을 시공하는 시공사측에서 세대별로 별도의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여야만 유량 조절 제어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시공이 복잡해지고 시공 비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또한 현장 조건에 따라 유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유량을 변경하는 유량 변경 조절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별도의 유량조절밸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현장 조건에 따라 유량을 용이하게 변경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밸브 개폐만으로 난방과 온수의 동시 사용이 가능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열원수'는 열원공급처로부터 공급되는 열원으로서 '난방수'로 혼용될 수 있다. '난방수'는 열교환기를 통해 난방부하로 유동하는 난방 유체로서 '난방환수'로 혼용될 수 있다. '난방환수'는 난방부하를 경유하여 환수되는 유체일 수 있다. '급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탕 온수 생산용 유체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난방수'와 '난방환수'는 일부 부분에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급탕'은 '온수'로 혼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을 계통도로 나타낸 예로서 급탕과 난방 유로가 통합배관유닛으로 통합되고 차단 밸브가 적용된 예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을 계통도로 나타낸 예로서 급탕과 난방 유로가 통합배관유닛으로 통합되고 삼방 밸브가 적용된 예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210)를 포함하며, 열원(h1)을 공급하는 열원공급유로(220), 열교환기(210)와 연결된 온수 열교환 환수유로(230), 난방수를 환수 열원(r1)으로 환수하는 열원환수유로(240)를 포함하며, 난방수와 온수를 분기시켜 급탕(W2)과 난방부하측(250)으로 공급하는 통합배관유닛(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원공급유로(220)측과 상기 난방부하측(250) 사이에 개설되어 공급 열원(h1)을 난방수와 온수로 분기시켜 공급하는 분기 배관(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열원환수유로(240)측에 구비되어 환수되는 열원 유량을 전체적으로 조절하고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미설명 부호, T1 ~ T5는 온도 센서로서, T1은 공급 열원의 온도, T2는 급탕환수의 온도, T3는 급수(W1)의 온도, T4는 급탕 온수(W1)의 출수 온도, T5는 환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이고, V1~V4는 밸브로서,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되, 본발명의 통합배관 유닛에 포함되거나,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기(300)를 통해 제어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분기 배관(26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열원공급유로(220)측에 연결된 1차측 연결부(261)와 타단이 상기 난방부하측(250)에 연결된 2차측 연결부(26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분기 배관(260)의 1차측 연결부(26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열원(h1)이 열교환기(210)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2차측 연결부(262)를 통해 난방부하측(25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열교환기(250)가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 지점의 열원공급유로(220)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열교환 환수유로(230)측에 차단밸브(28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원공급유로(220)측에 삼방 밸브(29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열원공급유로(220)측에 삼방 밸브(29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배관(260)은 열원공급유로(220)측에 삼방 밸브(290)를 구비하고, 삼방 밸브(290)와 연결된 1차측 연결부(261)와 난방부하측(250)에 연결되는 2차측 연결부(26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삼방 밸브(290) 및 1차측 연결부(26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열원(h1)이 열교환기(210)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2차측 연결부(262)를 통해 난방부하측(25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210)가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 지점의 열원공급유로(220)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삼방 밸브(290)는 각 출수측 개도량을 조정하여 난방수공급측과 온수공급측의 열원 공급 유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동작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차단 밸브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난방 모드, (b)는 온수 모드의 경우로 구분하여 나타낸 시스템 동작의 예시이다.
도 5의 (a)는 난방 모드인 경우로서, 공급 열원(h1)은 분기 배관(260)의 1차측 연결부(261)를 통해 유입되고, 2차측 연결부(262)를 통해 난방부하측(250)에 직접 공급될 수 있으며, 동시에 온수 열교환 환수유로(230)측에 차단 밸브(280)를 적용하여 시스템 운용시 난방 모드에서는 난방수를 환수 열원(r1)으로 환수하는 열원환수유로(240)에 구비되는 유량조절밸브(270)를 통해 난방수 전체 유량을 제어기(300)를 통해 조절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온수 모드인 경우로서, 공급 열원(h1)은 분기 배관(260)을 통하는 난방부하측(250)으로의 공급이 밸브(v3-off)의 유로 닫힘에 의해 차단되고, 열교환기(210)를 경유하여 차단밸브(280)의 개방으로 온수 열교환 환수유로(230)를 통해 환수 열원(r1)으로 출수될 수 있다. 이때, 급수(W1)는 밸브(v2-on)의 유로 열림에 따라 열교환기(210)측으로 급수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210)에서 공급 열원(h1)에 의해 가열되어 온수 급탕(W2)로 출수될 수 있다. 또한 난방부하측(250)에 연결된 밸브 (v3, v4)가 난방부하측(250)으로의 유로를 차단하여 난방부하측(250)으로 공급 열원(h1)의 유동을 차단한다.
도 5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은, 난방 모드인 경우 열원 환수측의 유량조절밸브(270)를 통해 난방수 전체 유량을 조절하거나 제어할 수 있으며, 온수 모드인 경우에서는 열원 환수측의 유량조절밸브(270)를 통해 열교환수 유량을 조절하거나 제어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 6은 삼방 밸브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탕과 난방을 위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난방 모드, (b)는 온수 모드인 경우로 구분하여 나타낸 시스템 동작의 예시이다.
도 6의 (a)는 난방 모드인 경우로서, 공급 열원(h1)은 삼방 밸브(290)와 연결된 분기 배관(260)의 1차측 연결부(261)를 통해 유입되고, 2차측 연결부(262)를 통해 난방부하측(250)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시스템 운용시 난방 모드에서는 제어기(300)를 조작하여 삼방 밸브(290)를 제어하여 공급 열원을 난방측으로만 공급되도록 열어서 난방 열원을 난방부하측(250)에 공급하고, 난방수를 환수 열원(r1)으로 환수하는 열원환수유로(240)에 구비되는 유량조절밸브(270)를 통해 난방수 전체 유량을 제어기(300)를 통해 조절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b)는 온수 모드인 경우로서, 공급 열원(h1)은 분기 배관(260)을 통하는 난방부하측(250)으로의 공급이 밸브(v3-off)의 유로 닫힘 또는 삼방 밸브(290)의 유로 담힘에 의해 차단되고, 열교환기(210)를 경유하여 온수 열교환 환수유로(230)를 통해 환수 열원(r1)으로 출수될 수 있다. 이때, 급수(W1)는 밸브(v2-on)의 유로 열림에 따라 열교환기(210)측으로 급수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210)에서 공급 열원(h1)에 의해 가열되어 온수 급탕(W2)로 출수될 수 있다. 또한 난방부하측(250)에 연결된 밸브 (v3, v4)가 난방부하측(250)으로의 유로를 차단하여 난방부하측(250)으로 공급 열원(h1)의 유동을 차단한다.
도 6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은, 난방 모드인 경우 열원 환수측의 유량조절밸브(270)를 통해 난방수 전체 유량을 조절하거나 제어할 수 있으며, 온수 모드인 경우에서는 열원 환수측의 유량조절밸브(270)를 통해 열교환수 유량을 조절하거나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삼방 밸브(290)를 통해 각 출수측 개도량을 조정하여 난방수공급측과 온수공급측의 열원 공급 유량을 용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은, 별도의 유량조절밸브를 설치하지 않고도 세대별로 설치되는 제어기를 통해 간단히 공급 열원에 대한 유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통합배관유닛의 시공 원가 비용을 줄이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대별 현장 조건에 따라 열원 공급 유량을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통합배관유닛의 시스템 운용 편의성과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유량조절밸브의 조작을 거치치 않고 통합배관유닛의 밸브 개폐만으로 난방과 온수의 동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 운용 편의성과 신뢰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으로 나타낸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h1: 공급 열원 r1: 환수 열원
200: 통합배관 유닛 210: 열교환기
220: 열원공급유로 230: 온수 열교환 환수유로
240: 열원환수유로(난방수) 250: 난방부하측
260: 분기 배관 261: 1차측 연결부
262: 2차측 연결부 270: 유량조절밸브
280: 차단 밸브 290: 삼방 밸브(3-way)

Claims (8)

  1.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공급유로, 상기 열교환기와 연결된 온수 열교환 환수유로, 난방수를 환수 열원으로 환수하는 열원환수유로를 포함하며, 난방수와 온수를 분기시켜 급탕과 난방부하측으로 공급하는 통합배관유닛;
    상기 열원공급유로측과 상기 난방부하측 사이에 개설되어 열원의 공급 단계에서 상기 공급 열원을 난방수와 온수로 분기시켜 공급하는 분기 배관; 및
    상기 열원환수유로측에 구비되어 환수되는 열원 유량을 전체적으로 조절하고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배관은 상기 열원공급유로측에 연결된 일단의 1차측 연결부 및 상기 난방부하측에 연결된 타단의 2차측 연결부를 포함하는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배관의 1차측 연결부는 상기 공급 열원이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2차측 연결부를 통해 난방부하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 지점의 열원공급유로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열교환 환수유로측에 차단 밸브;를 구비하는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공급유로측에 삼방 밸브;를 구비하는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배관은 상기 열원공급유로측에 삼방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삼방 밸브와 연결된 일단의 1차측 연결부, 상기 난방부하측에 연결된 타단의 2차측 연결부를 포함하는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 밸브 및 1차측 연결부는 상기 공급 열원이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2차측 연결부를 통해 난방부하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 지점의 열원공급유로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삼방 밸브는 각 출수측 개도량을 조정하여 난방수공급측과 온수공급측의 열원 공급 유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KR1020210166619A 2021-11-29 2021-11-29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KR20230079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619A KR20230079635A (ko) 2021-11-29 2021-11-29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619A KR20230079635A (ko) 2021-11-29 2021-11-29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635A true KR20230079635A (ko) 2023-06-07

Family

ID=8676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619A KR20230079635A (ko) 2021-11-29 2021-11-29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963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599B1 (ko) 2009-04-28 2011-11-08 한국지역난방공사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KR101425870B1 (ko) 2013-04-01 2014-08-04 한국지역난방공사 세대용 급탕 열교환 설비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난방 급탕 통합 시스템
KR101823956B1 (ko) 2016-11-30 2018-01-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정유량 난방 공급 기능을 포함하는 통합배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599B1 (ko) 2009-04-28 2011-11-08 한국지역난방공사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KR101425870B1 (ko) 2013-04-01 2014-08-04 한국지역난방공사 세대용 급탕 열교환 설비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난방 급탕 통합 시스템
KR101823956B1 (ko) 2016-11-30 2018-01-3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정유량 난방 공급 기능을 포함하는 통합배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870B1 (ko) 세대용 급탕 열교환 설비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난방 급탕 통합 시스템
KR102506006B1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KR101823956B1 (ko) 정유량 난방 공급 기능을 포함하는 통합배관 시스템
KR101497457B1 (ko)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KR101040692B1 (ko) 차압정보를 이용한 비례유량조절시스템
CA2984841A1 (en) Water system with a continuous flow heater and a flushing station
KR101800349B1 (ko) 예열과 냉각기능을 포함하는 급탕 난방 통합배관 시스템
KR20230079635A (ko) 통합배관유닛의 유량 조절 시스템
KR102624261B1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KR102160305B1 (ko) 급탕라인을 열원으로하는 급탕 난방 통합 배관시스템
KR20190110854A (ko) 중앙난방과 가정용 보일러를 병행하는 냉난방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94002B1 (ko) 외부 냉각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급탕 난방 통합배관 시스템
KR100701756B1 (ko) 난방온수 분배 시스템 및 난방온수 분배 방법
KR101282724B1 (ko) 지역난방 공동주택 2차측 배관 시스템
KR101797973B1 (ko) 급탕 예열과 냉각기능을 포함하는 급탕 난방 통합배관 시스템
WO2012120455A1 (en) Unit for distributing fluids
KR102183721B1 (ko) 저온 열원공급수 유입을 제어하는 급탕 난방 통합 배관시스템
KR102575808B1 (ko) 중앙집중식 난방을 위한 세대용 난방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난방온수공급 시스템
KR100679325B1 (ko) 난방 순환 시스템
KR102187100B1 (ko)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
KR20210002993A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KR20230079629A (ko) 통합배관유닛의 급탕 예열 시스템
KR20210002992A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KR20200048110A (ko) 급탕을 열원으로하는 난방공급유닛의 물 공급시스템
KR20180000640U (ko) 바이패스관을 갖는 온수 분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