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993A -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993A
KR20210002993A KR1020190078981A KR20190078981A KR20210002993A KR 20210002993 A KR20210002993 A KR 20210002993A KR 1020190078981 A KR1020190078981 A KR 1020190078981A KR 20190078981 A KR20190078981 A KR 20190078981A KR 20210002993 A KR20210002993 A KR 20210002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ot water
line
water supply
retur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연
박수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90078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993A/ko
Publication of KR2021000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42Multiple 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6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분배기를 포함하여 세대내 난방 및 급탕 공급을 통합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며 난방과 급탕의 동시 제공이 가능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는, 열매체를 각 방의 난방배관에 분배하여 난방을 조절하는 난방분배기와, 열매체와 시수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급탕열교환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Heating and Hot Water}
본 발명은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방분배기를 포함하여 세대내 난방 및 급탕 공급을 통합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며 난방과 급탕의 동시 제공이 가능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의 난방방식은 크게 개별 난방방식과 중앙집중식 난방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앙집중식 난방방식은 메인 열원에 의해 복수의 세대에 난방 및 온수가 공급되는 방식으로, 난방 및 급탕을 공급하는 열원을 각 세대에서 따로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의 필요시 중앙 시스템에서 가열된 열매체를 즉시 공급받아 난방과 급탕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열원으로부터 가열된 열매체가 유동하는 유로를 각 세대 내의 난방 공급 구조 및 급탕 공급 구조에 연결하고 관리하는 세대내 난방 및 급탕 공급 유닛이 다각도로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세대내 난방 및 급탕 공급 유닛은, 시수와 열매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급탕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열원으로부터 가열된 열매체가 각 세대에 공급되는 메인 공급라인 및 각 세대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가 열원으로 환수되는 메인 환수라인과, 세대 내에서 열매체가 유동하는 난방배관 및 상기 급탕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유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의하면, 세대내 각 방의 난방배관에 열매체를 분배하는 난방분배기와 세대내 난방 및 급탕 공급 유닛이 각각 설치되었으며, 이에 따라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세대내 가용 공간이 감소되었다.
또한, 난방 및 급탕 공급유닛과 난방분배기가 각각 에너지를 소모함에 따라 에너지 소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난방 및 급탕 공급유닛과 난방분배기가 각기 다른 업체로부터 제공된 기기인 경우, 급탕 공급유닛과 난방분배기 사이에 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으며, 연동제어에 관련된 A/S 상황 발생시 서비스 담당 업체가 불분명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난방 및 급탕 공급유닛은, 사용자가 급탕을 이용하는 경우 시수를 빠르게 가열하여 제공하기 위해 난방보다 급탕을 우선하여 제공하는 급탕 우선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난방과 급탕을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 난방에 이용될 열매체까지 급탕열교환기에 공급되어 난방의 제공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난방 및 급탕 공급유닛에 대한 종래기술의 일례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8930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난방분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세대내 난방 및 급탕 공급을 통합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난방과 급탕의 동시 이용시 급탕을 충분히 제공하는 동시에 난방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는, 열원으로부터 가열된 열매체가 유입되는 통합 공급라인과, 상기 통합 공급라인을 유동하는 열매체를 각 방의 난방배관에 공급하는 난방분배기와, 상기 난방분배기에 공급되되 상기 각 난방배관에 분배되지 않은 열매체가 유동하는 비난방라인과, 상기 비난방라인을 유동하는 열매체와 세대내 수전으로 유동하는 시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급탕열교환기과, 상기 급탕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와 상기 각 난방배관을 유동한 후 상기 난방분배기를 통해 배출되는 열매체가 유동하여 상기 열원으로 환수되는 통합 환수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방분배기에 공급된 열매체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난방배관 및 상기 비난방라인에 선택적으로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난방배관과 상기 비난방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을 기설정된 값으로 고정하는 기계식 정유량밸브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가동 모드에 따라 상기 난방분배기로부터 상기 난방배관과 상기 비난방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식 정유량밸브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공급라인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통합 환수라인으로 배출되는 열매체의 총 유량을 조절하는 통합 정유량밸브와, 상기 난방배관에 공급되어 상기 통합 환수라인으로 배출되는 열매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난방 정유량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난방배관으로부터 상기 난방분배기로 환수된 열매체가 상기 통합 환수라인으로 유동하는 난방 환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통합 환수라인이 상기 난방 환수라인과 상기 비난방라인으로 분기되는 분기점에 구비되어 상기 난방 환수라인 및 상기 비난방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삼방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비난방라인을 개폐하는 급탕 이방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난방 환수라인을 개폐하는 난방 이방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공급라인과 상기 통합 환수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는 차단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난방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각 방의 난방 공급을 제어하는 난방구동부 및 상기 방향제어밸브의 구동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난방모드 가동시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난방분배기에 공급된 열매체를 상기 각 난방배관으로 유동시키되, 상기 각 방의 난방요구치에 따라 상기 난방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각 난방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급탕모드 가동시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난방분배기에 공급된 열매체를 상기 비난방라인으로 유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급탕난방모드 가동시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난방분배기에 공급된 열매체를 상기 각 난방배관 및 상기 비난방라인에 모두 유동시키되, 상기 각 방의 난방요구치에 따라 상기 난방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각 난방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급탕모드 가동시 상기 난방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각 난방배관을 모두 닫음으로써, 상기 난방분배기에 공급된 열매체가 상기 각 난방배관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난방라인을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이 상기 각 난방배관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에 의하면, 난방분배기와 급탕열교환기를 포함한 세대내 난방 및 급탕 공급 장치를 통합 제어함으로써,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공간 활용도가 높고 조작 편의성이 높으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난방과 급탕의 동시 이용시 급탕을 충분히 제공하는 동시에 난방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난방에 필요한 충분한 유량의 열매체가 각 난방배관으로 분배된 후 나머지 유량의 열매체가 급탕열교환기에 공급됨으로써, 급탕과 난방의 동시 이용시 급탕을 우선으로 하여 열매체를 배분하던 종래기술에 비해 난방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장치 내의 적어도 하나의 유로에 열매체의 유량을 각각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유량밸브를 구비하여, 난방과 급탕의 동시 이용시에도 일정한 유량의 열매체가 난방분배기에 공급되어 난방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식 방향제어밸브를 구비하여, 고장률이 낮고 관리가 용이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식 방향제어밸브를 구비하여, 난방 및 급탕의 동시이용시 난방을 보다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유량밸브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방향제어밸브를 구비하여 장치내 구성을 축소함으로써, 제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고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공간 활용도가 높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내용 및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에 새롭게 부가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앞서 서술되는 도면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는, 열원(100)으로부터 가열된 열매체가 유입되는 통합 공급라인(710)과,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을 유동하는 열매체를 각 방(500)의 난방배관(520)에 공급하는 난방분배기(200), 상기 난방분배기(200)에 공급되되 상기 각 난방배관(520)에 분배되지 않은 열매체가 유동하는 비난방라인(731,732),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유동하는 열매체와 세대내 수전(900)으로 유동하는 시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급탕열교환기(300) 및, 상기 급탕열교환기(300)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와 상기 각 난방배관(520)을 유동한 후 상기 난방분배기(200)를 통해 배출되는 열매체가 유동하여 상기 열원(100)으로 환수되는 통합 환수라인(7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는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부터 상기 난방분배기(200)로 환수된 열매체가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으로 유동하는 난방 환수라인(722)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은 상기 난방분배기(200)를 통과한 열매체가 상기 급탕열교환기(300)로 유동하는 급탕 공급라인(731)과 상기 급탕열교환기(300)에서 열교환된 열매체가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으로 배출되는 급탕 환수라인(7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에 의하면, 상기 난방분배기(200)와 상기 급탕열교환기(300)가 순차로 직렬 연결되어, 상기 난방분배기(200)를 통과한 열매체가 상기 급탕열교환기(300)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열원(100)은 열매체를 가열하여 일정 지역 또는 단지내의 복수의 세대에 공급하는 열교환기일 수 있으며, 상기 열원(100)에서 가열된 열매체는 메인 공급라인(70)을 통해 각 세대에 공급되고, 메인 환수라인(80)을 통해 상기 열원(100)으로 환수된다.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는,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이 상기 메인 공급라인(70)에 연결되고,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이 상기 메인 환수라인(8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열원(100)으로부터 가열된 열매체가 각 세대에 유입되고 각 세대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가 상기 열원(100)으로 환수되는 것을 관리하게 된다.
상기 각 방(500)은 각 세대 내에 적어도 하나의 공간으로 구획된 난방 소요처로, 상기 각 방(500)에 각각 설치된 상기 각 난방배관(520)을 따라 열매체가 유동하며 열교환됨으로써 상기 각 방(500)에 난방이 공급되게 된다.
상기 각 난방배관(520)은 난방구동부(210)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각 난방구동부(210)를 제어하여 상기 각 방(500)에 선택적인 난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각 난방구동부(210)는 상기 난방분배기(2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난방배관(520)이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에 연결되는 공급측 연결부 또는 상기 각 난방배관(520)이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에 연결되는 환수측 연결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난방분배기(200)와 별개의 구성으로 상기 각 난방배관(520)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급탕열교환기(300)에는, 시수가 유입되는 시수라인(90)과, 열매체와 열교환되어 가열된 시수가 상기 수전(900)으로 유동하는 급탕배관(910)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급탕 이용을 위해 상기 수전(900)을 여는 경우 상기 시수라인(90)과 상기 급탕열교환기(300)및 상기 급탕배관(910)으로 시수가 순차 유동하게 되며, 급탕유량센서(310)에서 상기와 같이 유동하는 시수의 유량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급탕 이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급탕유량센서(310)는 상기 급탕열교환기(3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급탕열교환기(300)와 별개의 구성으로 상기 시수라인(90)이나 상기 급탕배관(910) 또는 상기 수전(90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급탕유량센서(310)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급탕 이용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제어부(40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는 전달된 사용자의 급탕 이용 정보에 따라 급탕의 제공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에는, 해당 세대의 난방 및 급탕 이용 여부를 설정하는 차단밸브(6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밸브(630)는,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의 유로를 개방하여 해당 세대로 열매체를 유입시키거나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의 유로를 닫아 해당 세대로 유입되는 열매체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밸브(630)는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 또는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동 작동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에는,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으로 유입되어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으로 배출되는 열매체의 총 유량을 제한하는 통합 정유량밸브(6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합 정유량밸브(600)는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 또는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의 개도를 제한하여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에는, 상기 난방분배기(200)에 공급되어 상기 각 난방배관(520)에 공급되는 열매체의 유량을 제한하는 난방 정유량밸브(6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난방 정유량밸브(610)는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의 개도량을 제한하여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합 정유량밸브(600) 및 상기 난방 정유량밸브(610)는 그 개도가 기설정된 개도량으로 고정되는 기계식 정유량밸브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합 정유량밸브(600) 및 상기 난방 정유량밸브(610)를 통과하는 열매체의 유량 최대값이 각각 기설정된 개도량에 따른 기설정된 유량값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에는, 상기 난방분배기(200)로 유입된 열매체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각 난방배관(520) 및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에 선택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제어밸브(8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제어밸브(800)는, 상기 비난방라인(730)을 개폐하는 급탕 이방밸브(821,800)와,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개폐하는 난방 이방밸브(831,8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사용자에 의해 각 세대의 난방 및 급탕 이용이 설정되는 온도조절기(51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기(510)는, 사용자가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의 가동모드 및 상기 각 방(500) 각각의 난방 요구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온도조절기(510)에 입력된 난방 및 급탕 이용 정보를 수신하여 난방 및 급탕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의 가동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의 가동모드는, 난방모드와 급탕모드 및 급탕난방모드를 포함한다.
상기 난방모드는, 상기 난방분배기(200)에 공급된 열매체가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유동하여 상기 각 방(500)에 난방을 제공하는 모드이며, 상기 급탕모드는, 상기 난방분배기(200)에 공급된 열매체가 상기 비난방라인(730)으로 유동하여 시수를 가열하는 급탕을 제공하는 모드이다.
또한, 상기 급탕난방모드는, 상기 난방분배기(200)에 공급된 열매체가 상기 각 난방배관(520)과 상기 비난방라인(730)으로 동시에 유동하여 난방과 급탕을 동시에 제공하는 모드이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급탕을 제공받아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 많은 양의 시수를 즉각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높은 열량이 필요하므로,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유동하여 난방을 제공하는 열매체에 비해 많은 유량의 열매체가 상기 급탕열교환기(300)에 공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비난방라인(730)을 유동하여 상기 급탕열교환기(300)에 공급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은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합 정유량밸브(600)에 의해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 및 통합 환수라인(740)을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최대 20LPM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난방 정유량밸브(610)에 의해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최대 4LPM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유동하는 열매체는 상기 난방분배기(200)로부터 상기 각 난방배관(520)에 분배된 후 환수된 열매체이므로, 상기 난방분배기(200)를 통해 상기 각 난방배관(520)에 분배되는 열매체의 총 유량 역시 최대 4LPM으로 제한되게 된다.
이에 따라, 급탕만 제공하는 급탕모드의 경우 상기 비난방라인(730)으로 20LPM의 열매체가 유동하고, 급탕과 난방을 모두 제공하는 급탕난방모드의 경우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4LPM의 열매체가, 상기 비난방라인(730)으로 16LPM의 열매체가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방향제어밸브(800)와 상기 난방구동부(210)를 유기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난방모드와 상기 급탕모드 및 상기 급탕난방모드를 선택적으로 가동하게 된다.
난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1,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닫고, 상기 난방 이방밸브(831,800)를 구동시켜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열되, 상기 각 난방구동부(210)를 구동시켜 상기 각 방(500)의 난방요구치에 따라 상기 각 난방배관(520)을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공급라인(70)으로부터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에 유입된 열매체가 상기 난방분배기(200)에 공급되며, 상기 난방배관(520) 중 상기 난방구동부(210)에 의해 개방된 난방배관에 분배됨에 따라 상기 각 방(500)에 선택적인 난방을 제공한다.
이후, 상기 각 난방배관(520)을 유동하며 열교환된 열매체는 상기 난방분배기(200)를 통해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과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 상기 메인 환수라인(80)을 따라 순차 배출되어 상기 열원(100)으로 환수된다.
이때, 상기 난방 정유량밸브(610)에 의해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이 4LPM으로 제한되는 경우,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과 상기 각 난방배관(520),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을 따라 최대 4LPM의 열매체가 순차 유동하게 된다.
또한, 급탕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1,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열고, 상기 난방 이방밸브(831,800)를 구동시켜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닫는다.
상기 급탕모드는 상기 급탕유량센서(310)에서 사용자의 급탕 이용이 감지되는 경우 가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공급라인(70)으로부터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으로 유입된 열매체가 상기 난방분배기(200)를 통과하여 상기 급탕 공급라인(731)으로 유동하며, 상기 급탕열교환기(300)에서 시수와 열교환됨에 따라 급탕을 제공한 후, 상기 급탕 환수라인(732)과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 상기 메인 환수라인(80)을 따라 순차 배출되어 상기 열원(100)으로 환수된다.
이때, 상기 통합 정유량밸브(600)에 의해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 및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을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이 20LPM으로 제한되는 경우,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과 상기 비난방라인(731,732),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을 따라 20LPM의 열매체가 순차 유동하게 된다.
또한, 급탕난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급탕 및 난방 공급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상기 급탕 이방밸브(821,800)와 상기 난방 이방밸브(831,800) 및 상기 각 난방구동부(21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1,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열고, 상기 난방 이방밸브(831,800)를 구동시켜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열되, 상기 각 난방구동부(210)를 구동시켜 상기 각 방(500)의 난방요구치에 따라 상기 각 난방배관(520)을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상기 급탕난방모드는 상기 난방모드의 가동 중 상기 급탕유량센서(310)에서 사용자의 급탕 이용이 감지되거나, 상기 급탕모드의 가동 중 상기 각 방(500)에 대한 난방모드가 가동되는 경우 가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공급라인(70)으로부터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을 통해 유입된 열매체는, 일부는 상기 난방분배기(200)를 통해 상기 각 난방배관(520)에 분배되어 난방을 제공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난방분배기(200)를 통과하여 상기 급탕 공급라인(731)으로 유동하여 상기 급탕열교환기(300)에 공급됨으로써 급탕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난방 정유량밸브(610)에 의한 제한 유량이 4LPM이고, 상기 통합 정유량밸브(600)에 의한 제한 유량이 20LPM인 경우,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으로 최대 20LPM의 유량의 열매체가 유입되며, 상기 각 난방배관(520) 및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따라 최대 4LPM의 유량의 열매체가 유동하고,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따라 16LPM의 유량의 열매체가 유동하여,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을 따라 20LPM의 열매체가 배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난방분배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에 의하면, 난방분배기가 별개의 구성으로 구비되는 종래 기술의 세대별 난방 급탕 제어유닛에 비해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할 뿐 아니라, 세대 내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난방분배기(200)와 세대별 난방 급탕 제어유닛과 별개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각각 에너지가 소요되는 종래 기술의 세대별 난방 급탕 제어유닛에 비해 소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난방분배기(200)의 구동을 포함한 세대내 난방 및 급탕 공급을 통합 제어함으로써, 난방분배기와 난방 및 급탕 제어유닛이 각기 다른 업체에서 제공하는 별개의 장치로 구성되어 각 장치의 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던 종래기술에 비해 원활한 구동제어 체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난방분배기(200)의 구동을 포함한 세대내 난방 및 급탕 공급을 통합 제어함으로써, 난방분배기와 난방 및 급탕 제어유닛이 각기 다른 업체에서 제공하는 별개의 장치로 구성되어 연동제어에 관련된 A/S 상황 발생시 서비스 담당 업체가 불분명하던 종래기술에 비해 A/S 서비스의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메인 공급라인(70)에 난방분배기(200)와 급탕열교환기(300)가 직렬로 연결되어 난방과 급탕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난방분배기(200)와 상기 급탕열교환기(300)가 순차로 직렬 연결됨에 따라, 난방에 필요한 충분한 유량의 열매체가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분배된 후 나머지 유량의 열매체가 상기 급탕열교환기(300)에 공급됨으로써, 급탕과 난방의 동시 이용시 급탕을 우선으로 하여 열매체를 배분하던 종래기술에 비해 난방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유량밸브(600,610)를 구비하여 각 유로를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각 난방배관(520) 및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에 각각 일정 비율의 열매체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함으로써, 급탕과 난방의 동시 이용시 급탕을 우선으로 하여 열매체를 배분하던 종래기술에 비해 난방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탕 이방밸브(821,800) 및 상기 난방 이방밸브(831,800)가 단순 개폐됨에 따라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가동모드가 선택적으로 가동되도록 이루어져, 가동 구조의 고장률이 낮고 관리가 용이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 이방밸브(831,800)의 고장시 상기 난방구동부(520)가 상기 각 난방배관(520)의 개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급탕 및 난방을 보다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실시예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2)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 도 1 참조)의 구성을 따르되, 급탕 이방밸브(822,800) 및 난방 이방밸브(832,800)가 제어식 정유량밸브 방식으로 이루어진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어식 정유량밸브 방식의 급탕 이방밸브(822,800) 및 상기 제어식 정유량밸브 방식의 난방 이방밸브(832,800)는, 경우에 따라 해당 밸브가 구비된 유로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각각 난방 환수라인(722)의 개도량과 비난방라인(731,732)의 개도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탕 이방밸브(822,800) 및 상기 난방 이방밸브(832,800)는 제어부(4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어,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2)의 가동 모드에 따라 통합 공급라인(710)으로부터 각 난방배관(520)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 및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을 각각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2,800) 및 상기 난방 이방밸브(832,800)를 통해 상기 비난방라인(730) 및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의 개도량을 각각 조절하여, 난방모드의 경우 난방요구치에 따라 필요한 유량의 열매체를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유동시키고, 급탕모드의 경우 상기 통합 공급라인으로 유입되는 열매체를 모두 상기 비난방라인(730)으로 유동시키며, 급탕난방모드의 경우 상기 통합 공급라인으로 유입되는 열매체를 상기 각 난방배관(520)과 상기 비난방라인(730)에 나누어 유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난방 이방밸브(832,800)가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을 조절하고 제한함으로써 난방 정유량밸브(610, 도 1 참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탕 이방밸브(831,800)가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을 조절하고 제한함으로써, 상기 난방 이방밸브(832,800)와 상기 급탕 이방밸브(831,800)에 의해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총 유량이 조절되고 제한되므로, 통합 정유량밸브(600, 도 1 참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2실시예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2)는 상기 통합 정유량밸브(600, 도 1 참조) 및 상기 난방 정유량밸브(610, 도 1 참조)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2,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811)을 닫고, 상기 난방 이방밸브(832,800)를 구동시켜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열되,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총 유량이 최대 4LPM을 넘지 않도록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급탕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2,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0)을 열고, 상기 난방 이방밸브(832,800)를 구동시켜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닫되,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최대 20LPM을 넘지 않도록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급탕난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2,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열되,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최대 16LPM을 넘지 않도록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의 개도량을 조절하고, 난방 이방밸브(832,800)를 구동시켜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열되,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총 유량이 최대 4LPM을 넘지 않도록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가동모드의 열매체의 유동 경로 및 각 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 도 1 참조)에 의한 가동모드의 경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2)에 의하면, 상기 제어식 정유량밸브 방식으로 이루어진 급탕 이방밸브(822,800) 및 난방 이방밸브(832,800)가 상기 통합 정유량밸브(600, 도 1 참조) 및 상기 난방 정유량밸브(610, 도 1 참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내 구성요소를 축소하고 제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설치공간을 절약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급탕과 난방의 동시 공급시, 가동 모드에 따라 상기 각 난방배관(520) 및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으로 각각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 비율을 조절하게 되므로, 급탕과 난방의 동시 공급시 상기 각 난방배관(520)에 공급되는 열매체의 유량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난방을 더욱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실시예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3)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 도 1 참조)의 구성을 따르되, 방향전환밸브(800)로 급탕 이방밸브(821,800)만 구비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난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1,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닫되, 상기 각 난방구동부(210)를 구동시켜 상기 각 방(500)의 난방요구치에 따라 상기 각 난방배관(520)을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또한, 급탕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1,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열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난방분배기(200)에 공급된 열매체를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으로 유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각 난방구동부(210)를 구동시켜 상기 각 난방배관(520)을 모두 닫음으로써 상기 난방분배기(200)에 공급된 열매체가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급탕난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1,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열되, 상기 각 난방구동부(210)를 구동시켜 상기 각 방(500)의 난방요구치에 따라 상기 각 난방배관(520)을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급탕과 난방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가동모드의 열매체의 유동 경로 및 각 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 도 1 참조)에 의한 가동모드의 경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의한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3)에 의하면, 하나의 급탕 이방밸브(821,800)에 의해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이 단순 개폐됨에 따라 난방모드와 급탕모드 및 급탕난방모드가 선택적으로 가동될 수 있어, 장치 내 구성요소를 축소하고 제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설치공간을 절약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4실시예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4)는, 상기한 제3실시예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3, 도 3 참조)의 구성을 따르되, 급탕 이방밸브(822,800)가 제어식 정유량밸브 방식으로 이루어진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급탕 이방밸브(822,800)는, 제어부(4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어,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가동 모드에 따라 상기 난방분배기(200)를 통과하여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2,800)를 통해 상기 비난방라인(730)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급탕모드의 경우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으로 유입되는 열매체를 모두 상기 비난방라인(730)으로 유동시키며, 급탕난방모드의 경우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으로 유입되는 열매체를 상기 각 난방배관(520)과 상기 비난방라인(730)에 나누어 유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상기 각 난방배관(520)의 개도량이 일정하게 제한되며, 이에 따라 상기 난방분배기(200)를 통해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분배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이 일정하게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급탕 이방밸브(822,800)를 이용하여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을 조절하고 제한함으로써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을 통해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4)에 유입되는 열매체의 총 유량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급탕 이방밸브(822,800)가 통합 정유량밸브(600, 도 1 참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즉, 본 제4실시예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4)는 상기 통합 정유량밸브(600, 도 3 참조)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본 제4실시예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4)에 의한 난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2)를 구동시켜 상기한 제3실시예와 동일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급탕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2,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열되, 상기 비난방라인(730)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최대 20LPM이 넘지 않도록 상기 비난방라인(730)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난방구동부(210)를 구동시켜 각 난방배관(520)을 모두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급탕난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급탕 이방밸브(822,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0)을 열되, 상기 비난방라인(730)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최대 16LPM을 넘지 않도록 상기 비난방라인(730)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난방구동부(210)를 구동시켜 상기 각 방(500)의 난방 요구치에 따라 상기 각 난방배관(520)을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급탕과 난방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가동모드의 열매체의 유동 경로 및 각 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 도 1 참조)에 의한 가동모드의 경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의한 상기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4)는, 상기 제어식 정유량밸브 방식의 급탕 이방밸브(822,800)가 통합 정유량밸브(600, 도 3 참조)의 역할을 대신하게 됨으로써 장치 내 구성요소를 축소하여 제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설치공간이 절약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식 정유량밸브 방식의 급탕 이방밸브(822,800)가 가동 모드에 따라 상기 각 난방배관(520) 및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으로 각각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 비율을 조절하게 되므로, 급탕과 난방의 동시 공급시 상기 각 난방배관(520)에 공급되는 난방유량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난방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5실시예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5)는,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 도 1 참조)의 구성을 따르되, 방향제어밸브(800)로 삼방밸브(811,800)가 구비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삼방밸브(811,800)는, 통합 환수라인(740)이 난방 환수라인(722)과 급탕 환수라인(732)으로 분기되는 분기점에 구비되어, 난방분배기(200)에 공급된 열매체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켜 각 난방배관(520) 및 비난방라인(731,732)에 선택적으로 유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삼방밸브(811)는,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과 상기 급탕 환수라인(732) 사이의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여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과 상기 급탕 환수라인(73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이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에 0° 각도로 연결되고 상기 급탕 환수라인(732)이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에 양의 방향으로 90° 각도로 연결되어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과 상기 급탕 환수라인(732) 사이에 90°의 사잇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댐퍼는 90° 범위 내에서 회전이동하여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닫고 상기 급탕 환수라인(732)을 열거나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열고 상기 급탕 환수라인(732)을 닫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삼방밸브(811)의 구동에 있어서, 상기 댐퍼가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과 상기 급탕 환수라인(732) 사이의 일정 각도에 위치하는 구동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과 상기 급탕 환수라인(732)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열려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과 상기 급탕 환수라인(732)이 모두 상기 통합 환수라인(740)에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가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과 상기 급탕 환수라인(732)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일정 각도에 따라 상기 급탕 환수라인(732) 및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의 개도량이 비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일정 각도는 급탕에 요구되는 급탕요구치와 난방에 요구되는 난방요구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삼방밸브(811,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닫고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열어 열매체를 상기 각 난방배관(520)에 유동시킨다.
또한, 급탕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삼방밸브(811,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열고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닫아 열매체를 상기 급탕 공급라인(731)을 통해 급탕열교환기(300)에 유동시킨다.
또한, 급탕난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삼방밸브(811,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 및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모두 열어 열매체를 상기 각 난방배관(520)과 상기 급탕 공급라인(731)에 모두 유동시킨다.
이에 따라, 각 가동모드의 열매체의 유동 경로 및 각 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 도 1 참조)에 의한 가동모드의 경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의한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3)에 의하면, 하나의 삼방밸브(811,800)에 의해 상기 각 난방배관(520) 및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이 개폐됨에 따라 난방모드와 급탕모드 및 급탕난방모드가 선택적으로 가동될 수 있어, 장치 내 구성요소를 축소하고 제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설치공간을 절약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6실시예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2)는, 상기한 제5실시예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5, 도 5 참조)의 구성을 따르되, 삼방밸브(812,800)가 제어식 정유량밸브 방식으로 이루어진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제어식 정유량밸브 방식의 삼방밸브(812,800)는, 경우에 따라 해당 밸브가 구비된 유로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난방 환수라인(722)측 개도량과 비난방라인(731,732)측 개도량을 각각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삼방밸브(812,800)는, 제어부(40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어,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가동 모드에 따라 난방분배기(200)로부터 각 난방배관(520)과 상기 비난방라인(731,732)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삼방밸브(812,800)의 난방 환수라인(722)측 및 비난방라인(730)측 개도량을 각각 조절하여, 난방모드의 경우 난방요구치에 따라 필요한 유량의 열매체를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유동시키고, 급탕모드의 경우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으로 유입되는 열매체를 모두 상기 비난방라인(730)으로 유동시키며, 급탕난방모드의 경우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으로 유입되는 열매체를 상기 각 난방배관(520)과 상기 비난방라인(730)에 나누어 유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삼방밸브(812,800)가 상기 난방 환수라인(722)을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제한함에 따라 난방 정유량밸브(610, 도 1 참조)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삼방밸브(812,800)가 상기 난방분배기(200)로부터 상기 각 난방배관(520)과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으로 각각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을 모두 조절하여 제한함에 따라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을 통해 상기 난방분배기(200)에 유입되는 열매체의 총 유량을 제한할 수 있게 되므로, 통합 정유량밸브(600)의 역할 또한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6실시예에 의한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6)는 상기 통합 정유량밸브(600, 도 1 참조) 및 상기 난방 정유량밸브(610, 도 1 참조)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삼방밸브(812,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닫고 상기 각 난방배관(520)을 열되,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최대 4LPM을 넘지 않도록 상기 삼방밸브(812,800)의 난방 환수라인(722)측 개도량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급탕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삼방밸브(812,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을 열고 상기 각 난방배관(520)을 닫되,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최대 20LPM을 넘지 않도록 상기 삼방밸브(812,800)의 비난방라인(731,732)측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급탕난방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삼방밸브(812,800)를 구동시켜 상기 비난방라인(731,732) 및 상기 각 난방배관(520)을 열되,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최대 4LPM을 넘지 않도록 상기 삼방밸브(812,800)의 난방 환수라인(722)측 개도량을 조절하고,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최대 16LPM을 넘지 않도록 상기 삼방밸브(812,800)의 비난방라인(730)측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가동모드의 열매체의 유동 경로 및 각 라인을 따라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이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1, 도 1 참조)에 의한 가동모드의 경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6실시예에 의한 상기 직렬식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2)에 의하면, 상기 제어식 정유량밸브 방식의 삼방밸브(812,800)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유량밸브(600,610)의 역할을 대신하게 됨으로써 장치 내 구성요소를 축소하여 제조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장치의 설치공간이 절약되고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식 정유량밸브 방식의 삼방밸브(812,800)가 가동 모드에 따라 상기 각 난방배관(520) 및 상기 비난방라인(731,732)으로 각각 유동하는 열매체의 유량 비율을 조절하게 되므로, 급탕과 난방의 동시 제공시 상기 각 난방배관(520)으로 공급되는 열매체의 유량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함으로써 난방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106)는, 상기 통합 정유량밸브(600)와 상기 삼방밸브(812,800)가 모두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삼방밸브(812,800)의 고장시 상기 통합 정유량밸브(600)가 상기 통합 공급라인(710)을 통해 유입되는 열매체의 유량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통합 정유량밸브(600)와 상기 삼방밸브(812,800)가 모두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세대에 유입되는 열매체의 유량을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장치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열매체가 과다 유입되어 장치가 파손되거나 필요 이상의 난방비가 지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W : 기판 100 : 챔버
121 : 구동축 122: 스핀척
123 : 척핀 130 : 유체공급수단
132 : 노즐배관 133 : 노즐

Claims (12)

  1. 열원으로부터 가열된 열매체가 유입되는 통합 공급라인;
    상기 통합 공급라인을 유동하는 열매체를 각 방의 난방배관에 공급하는 난방분배기;
    상기 난방분배기에 공급되되 상기 각 난방배관에 분배되지 않은 열매체가 유동하는 비난방라인;
    상기 비난방라인을 유동하는 열매체와 세대내 수전으로 유동하는 시수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급탕열교환기;
    상기 급탕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와 상기 각 난방배관을 유동한 후 상기 난방분배기를 통해 배출되는 열매체가 유동하여 상기 열원으로 환수되는 통합 환수라인;
    을 포함하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분배기에 공급된 열매체의 유동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난방배관 및 상기 비난방라인에 선택적으로 유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난방배관과 상기 비난방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을 기설정된 값으로 고정하는 기계식 정유량밸브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의 가동 모드에 따라 상기 난방분배기로부터 상기 난방배관과 상기 비난방라인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을 조절하는 제어식 정유량밸브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공급라인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통합 환수라인으로 배출되는 열매체의 총 유량을 조절하는 통합 정유량밸브;
    상기 난방배관에 공급되어 상기 통합 환수라인으로 배출되는 열매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난방 정유량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난방배관으로부터 상기 난방분배기로 환수된 열매체가 상기 통합 환수라인으로 유동하는 난방 환수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통합 환수라인이 상기 난방 환수라인과 상기 비난방라인으로 분기되는 분기점에 구비되어 상기 난방 환수라인 및 상기 비난방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삼방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비난방라인을 개폐하는 급탕 이방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난방배관으로부터 상기 난방분배기로 환수된 열매체가 상기 통합 환수라인으로 유동하는 난방 환수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상기 난방 환수라인을 개폐하는 난방 이방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공급라인과 상기 통합 환수라인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는 차단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난방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각 방의 난방 공급을 제어하는 난방구동부 및 상기 방향제어밸브의 구동을 유기적으로 제어하되,
    난방모드 가동시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난방분배기에 공급된 열매체를 상기 각 난방배관으로 유동시키되, 상기 각 방의 난방요구치에 따라 상기 난방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각 난방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고,
    급탕모드 가동시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난방분배기에 공급된 열매체를 상기 비난방라인으로 유동시키며,
    급탕난방모드 가동시 상기 방향제어밸브를 구동시켜 상기 난방분배기에 공급된 열매체를 상기 각 난방배관 및 상기 비난방라인에 모두 유동시키되, 상기 각 방의 난방요구치에 따라 상기 난방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각 난방배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급탕모드 가동시 상기 난방구동부를 구동시켜 상기 각 난방배관을 모두 닫음으로써, 상기 난방분배기에 공급된 열매체가 상기 각 난방배관으로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난방배관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보다 상기 비난방라인으로 유동하는 열매체의 최대 유량이 많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KR1020190078981A 2019-07-01 2019-07-01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KR20210002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981A KR20210002993A (ko) 2019-07-01 2019-07-01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981A KR20210002993A (ko) 2019-07-01 2019-07-01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93A true KR20210002993A (ko) 2021-01-11

Family

ID=7412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981A KR20210002993A (ko) 2019-07-01 2019-07-01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9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826A (ko) *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구성이엔드씨 온수 분배기 결합 병렬형 급탕 가열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826A (ko) *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구성이엔드씨 온수 분배기 결합 병렬형 급탕 가열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870B1 (ko) 세대용 급탕 열교환 설비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난방 급탕 통합 시스템
KR101497457B1 (ko)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KR102506006B1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US11473787B2 (en) Boiler for heating and hot-water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670779B1 (ko) 지역 및 중앙 난방에 적용되는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60036131A (ko) 중앙난방 및 지역난방을 위한 난방 온수 공급 장치 및 제어방법
GB2527530A (en) Fluid-heating apparatus
KR101595371B1 (ko) 온수기능을 갖는 난방시스템
RU2508510C1 (ru)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CZ31064U1 (cs) Sdružený systém ohřevu užitkové vody a otopného média pro domovní vytápění
KR20210002993A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KR20210002992A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KR101654743B1 (ko) 지역 및 중앙 난방에 적용되는 세대별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 및 환수 온도 제어 방법
KR20200031951A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KR20160074935A (ko) 유량센서를 이용한 능동형 난방제어시스템
CN209026969U (zh) 一种热泵机组的水路控制系统
KR101964398B1 (ko) 통합 배관 시스템
KR101797973B1 (ko) 급탕 예열과 냉각기능을 포함하는 급탕 난방 통합배관 시스템
KR102575808B1 (ko) 중앙집중식 난방을 위한 세대용 난방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난방온수공급 시스템
KR100701756B1 (ko) 난방온수 분배 시스템 및 난방온수 분배 방법
KR102381765B1 (ko) 온수 난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3312519B1 (en) Heating and hot-water supply device applied to district and central he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30035535A (ko) 실내온도 개별 조절 시스템
KR20200145100A (ko) 난방수 이용 급탕 장치
KR102431559B1 (ko) 세대별 난방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