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9325B1 - 난방 순환 시스템 - Google Patents

난방 순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325B1
KR100679325B1 KR1020050067012A KR20050067012A KR100679325B1 KR 100679325 B1 KR100679325 B1 KR 100679325B1 KR 1020050067012 A KR1020050067012 A KR 1020050067012A KR 20050067012 A KR20050067012 A KR 20050067012A KR 100679325 B1 KR100679325 B1 KR 100679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transfer medium
evacuation
circulation system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995A (ko
Inventor
이정애
Original Assignee
이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애 filed Critical 이정애
Priority to KR102005006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3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24D19/1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a by pass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35Three-way-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 순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난방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배관을 통해 열전달매체를 다수의 피난방 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헤더와; 상기 다수의 피난방 공간을 통과한 열전달매체가 주패스로를 경유하여 회수되는 리턴헤더와; 상기 다수의 피난방 공간의 입구단에 각각 위치한 배관과 밸브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입구단으로부터 대응하는 피난방 공간을 우회하여 주패스로에 연통되는 바이패스로와; 상기 밸브를 작동시켜 열전달매체의 진행경로를 제어하는 유량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난방, 온수, 바이패스, 소음, 진동

Description

난방 순환 시스템{Heating Recycl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난방 순환 시스템의 개념도,
도 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난방 순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공급헤더 200: 리턴헤더
300: 보일러 400: 주패스로
500: 유량조절부 600: 펌프
R1, R2, R3···RN: 피난방 공간
B1, B2, B3···BN: 바이패스로
V1, V2, V3···VN: 밸브
본 발명은 난방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수 등의 열전달매체가 흐르는 배관의 피난방 공간의 입구단에 피난방 공간을 우회하는 바이패스로를 설치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배관의 유량 변화에 따른 소음, 진동 등이 발생되지 않는 난방 순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 주택의 난방 시스템의 경우는 초기에는 중앙 집중 공급 방식의 난방공급 방식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지역 난방 출현과 개별 보일러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양분화되는 추세로 되어 가고 있다.
지역난방 방식은 한 개의 도시 또는 일정한 지역 내에 있는 주택, 상가, 학교, 병원, 공장 등 각종건물이 개별적으로 난방설비를 갖추지 않고 1개소 또는 수개소의 집중된 열원플렌트를 건설하여 난방 및 급탕에 필요한 증온수(약80~120℃)를 생산, 열수송관을 통해 각 수용가에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집단에너지 공급방식 중 하나이다.
한편, 주택이나 아파트 등은 보일러가 석유 또는 가스 등의 소정의 연료를 연소시켜면서 발생하는 열로 물을 가열하여 열전달매체인 난방수를 공급하고 그 공급한 난방수를 복수의 방에 각기 설치되어 있는 난방관으로 순환시켜 난방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방에 각기 설치되어 있는 난방관에 상기 난방수를 모두 공급할 경우에 사용하지 않는 방도 함께 난방되어 필요없이 많은 연료가 소모된다. 그러므로 보일러에서 난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복수의 방에 각기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난방관 사이에 복수의 밸브가 구비된 분배기를 설치하고, 그 분배기의 복수의 밸브의 개폐량을 사용자가 각기 조절하여 복수의 방에 공급되는 난방수의 양을 조절 및 난방온도를 제어하는 방식을 취한다. 상기와 같은 개별난방 방식은 각 방이나 거실 별로 온도제어가 필요가 한 경우에 복수개의 밸브가 구비된 분배기를 설치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즉, 실내 온도제어와 정유량의 개념이 중요시 되면서 세대별 제어에서 세대 별 각실 제어방식으로 발전하여 각실 온도제어, 각실 정유량제어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역난방 방식이나, 개별난방 방식은 각 세대별 또는 각 방별로 설정온도가 달라서 온수 등의 열전달매체의 유량이 다르게 분배되는 경우, 각 세대나 각 방 등의 각 피난방 공간에 흐르는 열전달매체의 유량이 각각 다르게 흐르게 되어 총 공급유량과 총 환수유량의 차이에 의한 수압차가 과다 발생하게되고, 이 때문에 난방 배관에 진동이나 소음 등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수압차로 인해 기기의 파손 및 고장이 나타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에 유해한 요소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 등의 열전달매체가 흐르는 배관의 피난방 공간의 입구단에 피난방 공간을 우회하는 바이패스로를 설치함으로써 온수 등의 열전달매체의 총 공급유량과 총 환수유량을 일정하게하여 진동이나 소음 등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에 유해한 요소를 제거하여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난방 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순환 시스템은 난방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배관을 통해 열전달매체를 다수의 피난방 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헤더와; 상기 다수의 피난 방 공간을 통과한 열전달매체가 주패스로를 경유하여 회수되는 리턴헤더와; 상기 다수의 피난방 공간의 입구단에 각각 위치한 배관과 밸브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열전달매체가 다수의 피난방 공간을 우회하여 주패스로에 연통된 바이패스로와; 상기 밸브를 작동시켜 열전달매체의 진행경로를 제어하는 유량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부는 피난방 공간이 수요가가 설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열전달매체가 밸브를 통해 바이패스로로만 흐를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공급헤더로부터 유출된 열전달매체를 피난방 공간의 설정온도에 따라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피난방 공간으로의 흐름량이나 바이패스로로의 흐름량을 비례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다수의 피난방 공간의 입구단에 각각 위치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밸브 각각에 다수 개가 각각 연결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유량조절부가 연결된 경우는 사용자가 밸브의 개폐정도를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온수의 흐름방향이나 흐름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열전달매체의 흐름방향의 전환이나 흐름량의 비례적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쓰리웨이(3-way)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난방 공간은 개별난방에 있어서의 각방, 거실 주방 등이 될 수도 있고, 지역난방에 있어서의 아파트나 주상복합건물 등에서의 각 세대 또는 단지가 될 수 있다. 즉 피난방 공간은 어느 특정공간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순환 시스템은 다수의 피난방 공간의 입구단 각각에 밸브가 설치되어, 배관을 통해 열전달매체를 다수의 피난방 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헤더와; 상기 다수의 피난방 공간을 통과한 열전달매체가 주패스로를 경유하여 회수되는 리턴헤더와; 상기 공급헤더의 출구단에 위치한 배관과 밸브를 통해 연결되며, 주패스로에 연통된 메인 바이패스로와; 상기 밸브를 작동시켜 열전달매체의 진행경로를 제어하는 유량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공급헤더로부터 유출된 열전달매체를 피난방 공간의 설정온도에 따라 각 피난방 공간의 입구단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나 상기 공급헤더의 출구단에 위치한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피난방 공간으로의 흐름량이나 메인 바이패스로로의 흐름량을 비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난방 공간이 개별난방에 있어서의 각방, 거실 주방 등일 경우, 상기 유량조절부는 각 피난방 공간에 설치된 각각의 밸브나 상기 공급헤더의 출구단에 위치한 밸브 중 적어도 2개 이상은 항상 열려 있게 끔 제어하여 열전달매체가 메인 바이패스로로 흐를 때 발생하는 관로저항을 줄일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난방 순환 시스템은 항상 배관내의 유량과 압력이 일정하게 하기 위한 유량조절부와 바이패스로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그 특징이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난방 순환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난방 순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300)에서 소정의 연료를 연소시켜면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상기의 온수는 공급헤더(100)로 공급되어 각각의 피난방 공간(R1, R2, R3···RN)으로 온수를 공급한다. 상기 온수는 열전달매체로 작용한다. 그리고 각각의 피난방 공간(R1, R2, R3···RN)을 경유한 온수는 주패스로(400)를 거쳐 리턴헤더(200)로 회수된다. 그리고 리턴헤더(200)로 회수된 온수는 펌프(600)를 통해 다시 보일러(300)로 흘러 들어가고 다시 가열된다. 상기와 같은 경로를 거치면서 온수가 순환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다수의 피난방 공간(R1, R2, R3···RN)의 설정온도는 제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온수는 상기 다수의 피난방 공간(R1, R2, R3···RN)을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로(B1, B2, B3···BN)를 통해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온수가 다수의 피난방 공간(R1, R2, R3···RN)을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로(B1, B2, B3···BN)로 흐르게 하기 위해 유량조절부(500)를 통해 다수 개의 밸브(V1, V2, V3···VN)의 개폐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의 다수의 바이패스로(B1, B2, B3···BN)는 주패스로(400)와 연통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피난방 공간의 하나인 R1이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피난방 공간(R1)으로 흘러가야할 양만큼의 유량이 바이패스로(B1)를 통해 우회하여 흐르게 된다. 이는 유량조절부(500)에서 밸브(V1)의 개폐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그리고 상기의 온수는 주패스로(400)를 통해 리턴헤더(200)로 회수된다. 그렇게 회수된 온수는 보일러(300)로 흘러들어 가서 다시 가열된다. 그렇게 상기의 싸이클이 반복된다.
또한, 상기의 유량조절부(500)는 밸브(V1, V2, V3···VN)의 개폐정도를 피 난방 공간(R1, R2, R3···RN)의 설정온도에 따라 비례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온수 유량의 일부는 바이패스로(B1, B2, B3···BN)로 흐르게 하고 나머지 일부는 피난방 공간(R1, R2, R3···RN)으로 흐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의 밸브(V1, V2, V3···VN)는 3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쓰리웨이 밸브(3-way valve)를 사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난방 순환 시스템은 피난방 공간(R1, R2, R3···RN)을 개별난방에 있어서 각방, 거실, 주방 등으로 하거나, 지역난방에서의 아파트나 주상복합건물 등에서의 각세대 또는 단지 등으로 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난방 순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도 있다.
각각의 피난방 공간(R1, R2, R3···RN) 모두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열전달매체인 온수는 피난방 공간(R1, R2, R3···RN)으로 흐를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공급헤더(100)에서 공급된 온수는 피난방 공간(R1, R2, R3···RN)을 경유하지 않고 상기 바이패스로(B1, B2, B3···BN)만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온수는 주패스로(400)를 거쳐 리턴헤더(200)로 회수된다. 결국 공급헤더(100)에서 나온 온수의 양과 동일한 양의 온수가 리턴헤더(200)로 회수된다. 그리고 상기 리턴헤더(200)로 회수된 온수는 보일러(300)에서 다시 가열되어 순환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순환 시스템은 공급헤더(100)에서 유출되는 온수의 양과 리턴헤더(200)로 회수되는 온수의 양이 동일하다. 따라서 총급유량과 총회유량이 동일하기에 유량에 따른 수압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임의의 피난방 공간(RN; N번째 피난방 공간)으로 흐르는 온수의 양이 변화가 있어도 공 급헤더(100)측과 리턴헤더(200) 측의 유량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량의 갑작스런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난방 순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300`)에서 소정의 연료를 연소시켜면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상기의 온수는 공급헤더(100`)로 공급되어 각각의 피난방 공간(R`1, R`2, R`3···R`N)으로 온수를 공급한다. 상기 온수는 열전달매체로 작용한다. 그리고 각각의 피난방 공간(R`1, R`2, R`3···R`N)을 경유한 온수는 주패스로(400`)를 거쳐 리턴헤더(200`)로 회수된다. 그리고 리턴헤더(200`)로 회수된 온수는 펌프(600`)를 통해 다시 보일러(300`)로 흘러 들어가고 다시 가열된다. 상기와 같은 경로를 거치면서 온수가 순환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다수의 피난방 공간(R`1, R`2, R`3···R`N)의 설정온도는 제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설정온도 이상이 된 피난방 공간(R`n; n은 설정온도 이상이 형성된 피난방 공간에 해당하는 번호)으로는 온수가 흐르지 않고, 그 피난방 공간(R`n) 으로 흘러야 할 만큼의 온수가 메인 바이패스로(MB)로 비례적으로 흐를 수 있게 상기 유량조절부(500`)가 다수의 피난방 공간(R`1, R`2, R`3···R`N)과 연결된 밸브(V`1, V`2, V`3···V`N)의 개폐 및 메인 바이패스로(MB)와 연결된 밸브(V`B)의 개폐정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의 메인 바이패스로(MB)는 주패스로(400`)와 연통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피난방 공간인 R`1, R`2이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피난방 공간(R`1, R`2)으로 흘러가야할 양만큼의 유량이 상기 피난방 공간(R`1, R`2)으로 흐르지 않고 메인 바이패스로(MB)를 통해 우회하여 흐르게 된다.
이는 유량조절부(500`)에서 밸브(V`1, V`2)를 막고 나머지 밸브(V`3, V`3···V`N)는 열리게 하며, 메인 바이패스로와 연결된 밸브(V`B)는 그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과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온수는 주패스로(400`)를 통해 리턴헤더(200`)로 회수된다. 그렇게 회수된 온수는 보일러(300`)로 흘러들어 가서 다시 가열된다. 그렇게 상기의 싸이클이 반복된다.
한편, 상기 각 피난방 공간(R`1, R`2, R`3···R`N)과 연결된 밸브(V`1, V`2, V`3···V`N)는 2방향으로 흐를 수 있게 하는 투웨이 밸브(2-way valve)를 사용하고, 메인 바이패스로와 연결된 밸브(V`B)는 3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쓰리웨이 밸브(3-way valve)를 사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난방 순환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도 있다.
피난방 공간이 개별난방에서의 각방, 거실 주방 등일 경우, 각 피난방 공간(R`1, R`2, R`3···R`N)과 연결된 밸브(V`1, V`2, V`3···V`N) 및 메인 바이패스로와 연결된 밸브(V`B) 모두를 투웨이 밸브로 사용하고, 유량조절부(500`)를 통하여 상기 각각의 피난방 공간(R`1, R`2, R`3···R`N) 및 메인 바이패스로(MB)로 흐르는 유로 중 적어도 2개 이상에서는 온수가 흐를 수 있게 하여 관로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순환 시스템은 공급헤더(100`)에서 유출되는 온수의 양과 리턴헤더(200`)로 회수되는 온수의 양이 동일하다. 따라서 총급유량 과 총회유량이 동일하기에 유량에 따른 수압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임의의 피난방 공간(R`N; N번째 피난방 공간)으로 흐르는 온수의 양이 변화가 있어도 공급헤더(100`)측과 리턴헤더(200`) 측의 유량의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량의 갑작스런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에서 살펴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순환 시스템은 열전달매체인 온수가 바이패스로를 경유하여 온수가 흐른다 하더라도 열손실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하기의 관계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것만 확인 하도록 하겠다.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하여 기존 모델에 따른 난방 순환 시스템과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순환 시스템의 손실 열량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실내)온도: 20℃ 내부(유체)온도: 60℃
배관: L type 100A(두께 2.79mm 외경은 104.78mm)
그리스울보온통 40T 보온시공시의 방산열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New Model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순환 시스템을 말하고, Old Model은 기존 모델을 의미한다.)
Figure 112005040128701-pat00001
Figure 112005040128701-pat00002
Figure 112005040128701-pat00003
Figure 112005040128701-pat00004
New model과 Old model의 파이프의 송출온도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서 계산함을 가정한다.
바이패스 작동이 50:50일 때
New model(NM)송출온도-입구온도: 60℃ 송출량: 300lpm(l/m)
Old model(OM)송출온도- 입구온도: 60℃ 송출량: 150lpm(l/m)
관내온도변화식은 다음의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05040128701-pat00005
상기와 같은 식에 의해 관내의 온도를 계산에 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40128701-pat00006
상기의 분석결과로 관로의 길이(100m)에 대한 관내 온도의 변화는 NM이 더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송출손실열량은 수학식 5를 통해 알 수 있다.
Figure 112005040128701-pat00007
그러므로 송출손실열량비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40128701-pat00008
그리고 Return 시의 손실열량은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112005040128701-pat00009
또한, 손실열량비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40128701-pat00010
따라서 두 모델의 Return 손실열량비는 1.33배로 송출시보다 크다. 그리하여 총손실열량비는 1.1735가 된다. 그 결과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모델 총괄발산열량 송출 Return Total
온도강하 손실열량 온도강하 손실열량 손실 열량비 손실열량의 증가율(%)
New 13.8860 0.07 1465.45 0.0534 1117.929 1.1735 0.243
Old 13.8824 0.13 1360.77 0.0803 840.54
상기와 같이 살펴보면 손실량의 그 양이 극히 미미하면 금액으로 환전 시에는 그 미미함 보다 확연히 알 수 있다
(금액으로 환산하는 식)
*. 손실열을 가스량(금액)으로 환산
-. 손실열량 : w을 kcal로 환산(1w는 0.86kcal)
-. LNG 발열량:1N/M3: 12,000KCAL
-.가스단가 : 477.29원/M3당
그러므로 NEW - OLD
1565.45W - 1360.77W = 104.68W
104.68W = 0.10468KW= 90.0247KCAL/H
90.0247KCAL X 24H = 2160.59KCAL
가스비로 환산 : 447.29원X2190.59KCAL/12,000KAL
= 81.65원/일 상승
상기의 계산식에 의해 열량손실량을 금액으로 환산하여 보면 하루에 81.65원 정도로 상기의 금액을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투입되는 금액으로 본다면 이는 극히 미미한 금액이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순환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피난방 공간의 입구단에 각각 위치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밸브 각각에 다수 개의 유량조절부를 각각 연결하여 사용자가 각각 밸브의 개폐정도를 수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온수의 흐름방향이나 양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순환 시스템은 열전달매체로 온수를 사용하는 것을 주로 설명하였지만 열전달매체 대신 냉각매체(냉각수 등)를 사용하여 냉각 순환 시스템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난방 순환 시스템은 온수 등의 열전달매체가 흐르는 배관의 피난방 공간의 입구단에 피난방 공간을 우회하는 바이패스로를 설치함으로써 온수 등의 열전달매체의 총 공급유량과 총 환수유량을 일정하게하여 진동이나 소음 등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에 유해한 요소를 제거하여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피난방 공간별 난방 코일 길이 차이에 의한 관로 저항 값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유량분배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난방 순환 시스템에 있어서,
    배관을 통해 열전달매체를 다수의 피난방 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헤더와;
    상기 다수의 피난방 공간을 통과한 열전달매체가 주패스로를 경유하여 회수되는 리턴헤더와;
    상기 다수의 피난방 공간의 입구단에 각각 위치한 배관과 상기 배관에 형성된 밸브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입구단으로부터 대응하는 피난방 공간을 우회하여 주패스로에 연통되는 바이패스로와;
    상기 밸브를 작동시켜 열전달매체의 진행경로를 제어하는 유량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는 쓰리웨이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순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피난방 공간이 수요가가 설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열전달매체가 밸브를 통해 바이패스로로만 흐를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순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공급헤더로부터 유출된 열전달매체를 각 피난방 공간의 설정온도에 따라 상기 피난방 공간에 대응하는 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피난방 공간으로의 흐름량이나 바이패스로로의 흐름량을 비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순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다수의 피난방 공간의 입구단에 각각 위치한 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 개의 밸브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열전달매체의 흐름을 수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난방 순환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방 공간은 개별난방에 있어서의 각방, 거실 주방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순환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방 공간은 지역난방에 있어서의 아파트나 주상복합건물 등에서의 각 단지 또는 학교, 병원 등에서의 각 건물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순환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50067012A 2005-07-22 2005-07-22 난방 순환 시스템 KR100679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012A KR100679325B1 (ko) 2005-07-22 2005-07-22 난방 순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012A KR100679325B1 (ko) 2005-07-22 2005-07-22 난방 순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995A KR20060025995A (ko) 2006-03-22
KR100679325B1 true KR100679325B1 (ko) 2007-02-06

Family

ID=37131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012A KR100679325B1 (ko) 2005-07-22 2005-07-22 난방 순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676B1 (ko) 2009-05-28 2011-05-0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지열 냉난방수 전환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203B1 (ko) * 2006-06-05 2007-05-14 엄창석 열매체순환 에젝터펌프 이용 온돌시스템
KR100953445B1 (ko) * 2009-10-01 2010-04-20 신영식 퍼지 로직 유량 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696A (ko) * 1984-09-11 1986-04-28 임정운 증기를 주택의 난방에 이용하는 방법 및 그의 장치
KR900003596A (ko) * 1988-08-23 1990-03-26 강성모 바이패스 믹싱식 급탕기
KR100547494B1 (ko) 2003-11-12 2006-01-31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단 지에치피(ghp)를 이용한 냉난방 및 실내바닥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696A (ko) * 1984-09-11 1986-04-28 임정운 증기를 주택의 난방에 이용하는 방법 및 그의 장치
KR900003596A (ko) * 1988-08-23 1990-03-26 강성모 바이패스 믹싱식 급탕기
KR100547494B1 (ko) 2003-11-12 2006-01-31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단 지에치피(ghp)를 이용한 냉난방 및 실내바닥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676B1 (ko) 2009-05-28 2011-05-0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공동주택의 지열 냉난방수 전환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995A (ko)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119B1 (ko) 직렬식 난방 및 급탕시스템
EP2672190B1 (en) Ambient air-conditioning unit for residential use
US6032868A (en) Combined hot water and space heater
KR102506006B1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SK58094A3 (en) Air conditioning for rooms
KR100679325B1 (ko) 난방 순환 시스템
RU42291U1 (ru) Система центрального отопления
KR102624261B1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KR101878247B1 (ko) 세대형 열교환기 장치 및 그 설치방법
CZ256097A3 (cs) Hydraulická konstrukční skupina pro kombinované zařízení na topnou a užitkovou vodu
KR100664511B1 (ko) 난방 순환 시스템
JP7217628B2 (ja) 熱源装置
US5881763A (en) System for distributing fluid from a single source to multiple locations
KR100701756B1 (ko) 난방온수 분배 시스템 및 난방온수 분배 방법
US2255956A (en) Dual service heating system
JP2547827B2 (ja) 給湯システム
WO2023035916A1 (zh) 换热系统和用于换热系统的胆
JP2020106226A (ja) 熱源装置
CN211233350U (zh) 一种热水炉
JP2006234343A (ja) 床暖房システムのための暖房制御ユニット
SK9414Y1 (sk) Združený systém na ohrev úžitkovej vody a vykurovacieho média na domové vykurovanie a/alebo na chladenie vykurovacieho média na domové chladenie
CN209116428U (zh) 一种模块化楼宇换热机组系统
KR101566661B1 (ko) 소형건물의 난방 및 급탕을 위한 열교환 제어시스템
JP2006084142A (ja) 空調システム。
KR101402029B1 (ko) 난방용 온수를 이용한 세대유닛 냉난방 및 온수 공급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