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100B1 -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100B1
KR102187100B1 KR1020180118571A KR20180118571A KR102187100B1 KR 102187100 B1 KR102187100 B1 KR 102187100B1 KR 1020180118571 A KR1020180118571 A KR 1020180118571A KR 20180118571 A KR20180118571 A KR 20180118571A KR 102187100 B1 KR102187100 B1 KR 102187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nection pipe
pipe
boiler
water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9091A (ko
Inventor
손정우
Original Assignee
손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우 filed Critical 손정우
Priority to KR1020180118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1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6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regulation in func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094Recovering of cold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07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35Three-way-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은, 건물 내 각 수전에 연결되며, 보일러로부터 온수가 공급되기 위한 온수관; 상기 수전에서 상기 온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온수관 내의 물이 상기 보일러로 환수될 수 있게 설치되는 환수관; 및 상기 보일러의 일측에서 상기 환수관과 상기 보일러 사이에 배치되어, 제어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는 상수관을 차단하고 상기 온수관 내의 냉수를 상기 보일러로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환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수 제어장치는, 상기 보일러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보일러연결관; 일단은 상기 환수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일러연결관에 연결되는 환수연결관; 일단은 상기 상수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일러연결관에 연결되는 상수연결관; 상기 환수연결관 상에 배치되는 펌프; 상기 제어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보일러연결관 사이의 유로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상수연결관 사이의 유로는 차단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수제어밸브; 및 상기 펌프 및 상기 환수제어밸브를 제어할 수 있게 형성된 제어 기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COOLED WATER IN HOT WATER PIPE RECIRCULATION AND REHEAT SYSTEM IN BUILDINGS AND RECIRCULATION CONTROLLER THEREIN}
본 발명은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난방이나 급수시스템은 건물에 설치되는 주요 설비 중의 하나이다. 이중 후자는 수전이나 샤워기 등을 통하여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보일러와 수전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 계통을 갖는다. 이러한 배관 계통에는 욕실이나 주방 등 온수가 사용되기 위한 각 공간의 수전이나 샤워기까지의 온수관이 포함된다.
보일러에서 수전이나 샤워기까지의 배관 내 온수는 수전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 주변의 온도에 따라 식게 된다. 이에 따라 온수를 바로 사용하기 위해 수전을 열어도 배관 내부의 식은 냉수는 한동안 흘려 보내는 경우가 많다. 특히, 겨울과 같이 주변 온도가 낮을 때는 냉수를 흘려보내는 시간이 길어지고, 사용자도 온수가 나오기 시작하여 원하는 온도에 이를 때까지 기다리며 몸에 물을 접촉시켜 확인하는 등의 행동을 하게 된다. 샤워나 목욕 등을 위하여 샤워기의 물을 틀었을 때 차가운 냉수를 맞게 되는 것이 일상의 작은 불편이기도 하지만, 심장질환이나 건강이 좋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갑자기 나오는 차가운 물에 의한 온도 차이에 의하여 치명적인 위협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수전은 물을 이용하는 가정이나 건물에서의 물의 최종 공급원이지만, 이의 활용 정도에 따라 물의 소비량은 편차를 보일 수 있다. 물 부족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세계적으로도 물 부족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며, 그에 따른 실천적 해법으로 절수가 요청된다. 위의 상황과 같이 하수로 그대로 흘려보내는 온수관 내의 식은 냉수는 귀중한 수자원의 낭비로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온수관 내의 식은 물을 다시 환수하여 다시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제시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2886호(2015. 8. 7. 공고)
본 발명과 관련된 일 목적은, 수전 쪽에 별도의 밸브를 장착하거나 제어하지 않고도 온수관 및 환수관 내의 냉수를 보일러로 환수시켜 안정적으로 재가열시킬 수 있는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목적은 환수 재가열 과정에서 다른 곳에서의 온수 사용에 다른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환수를 중단하고 정상적인 보일러의 가동에 따른 온수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목적은 환수를 위한 펌프와 밸브 및 컨트롤러를 집중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시공 및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은, 건물 내 각 수전에 연결되며, 보일러로부터 온수가 공급되기 위한 온수관; 상기 수전에서 상기 온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온수관 내의 물이 상기 보일러로 환수될 수 있게 설치되는 환수관; 및 상기 보일러의 일측에서 상기 환수관과 상기 보일러 사이에 배치되어, 제어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는 상수관을 차단하고 상기 온수관 내의 냉수를 상기 보일러로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환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수 제어장치는, 상기 보일러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보일러연결관; 일단은 상기 환수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일러연결관에 연결되는 환수연결관; 일단은 상기 상수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일러연결관에 연결되는 상수연결관; 상기 환수연결관 상에 배치되는 펌프; 상기 제어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보일러연결관 사이의 유로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상수연결관 사이의 유로는 차단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수제어밸브; 및 상기 펌프 및 상기 환수제어밸브를 제어할 수 있게 형성된 제어 기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환수 제어장치는, 상기 환수연결관 상에 배치되며, 수온을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환수 제어장치는, 상기 보일러연결관, 상기 환수연결관, 상기 상수연결관, 상기 펌프, 상기 환수제어밸브 및 상기 제어 기판부를 감쌀 수 있게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환수 제어장치는 상기 보일러연결관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러연결관의 수압이 기준치보다 떨어지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압력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 기판부는 상기 압력스위치에 의하여 기준치보다 수압이 떨어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펌프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환수제어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보일러연결관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상수연결관과 상기 보일러연결관 사이의 유로를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환수 제어장치는, 상기 환수연결관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러연결관과 상기 상수연결관 사이의 유로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환수관 쪽으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체크밸브; 및 상기 상수연결관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러연결관과 상기 환수연결관 사이의 유로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상수관 쪽으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체크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상수연결관은 합류되어 상기 보일러연결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수제어밸브는, 상기 환수연결관에 배치되며, 평상시 닫혀 있도록 구성된 순환제어밸브; 및 상기 상수연결관에 배치되며, 평상시 열려 있도록 구성된 상수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 기판부는, 예약되었거나 직접 명령된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순환제어밸브를 열고 상기 상수제어밸브는 닫도록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상수연결관은 합류되어 상기 보일러연결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수제어밸브는, 상기 환수연결관, 상기 보일러연결관 및 상기 상수연결관의 합류지점에 배치되며, 절환에 의하여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보일러연결관 사이의 유로와 상기 상수연결관과 상기 보일러연결관의 사이의 유로가 배타적으로 선택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을 위한 환수 제어장치는, 보일러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게 형성된 하우징; 상기 보일러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보일러연결관; 일단은 수전과 연결되는 환수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일러연결관에 연결되는 환수연결관; 일단은 상수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일러연결관에 연결되는 상수연결관; 상기 환수연결관 상에 배치되는 펌프; 상기 환수연결관 상에 배치되며, 수온을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온도센서; 상기 제어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보일러연결관 사이의 유로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상수연결관 사이의 유로는 차단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수제어밸브; 및 상기 펌프 및 상기 환수제어밸브를 제어할 수 있게 형성된 제어 기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에 의하면, 보일러, 수전에 연결되는 온수관과, 수전에서 온수관으로부터 분기되는 환수관 및, 환수 제어장치에 의하여, 수전 쪽에 별도의 제어용 밸브를 두지 않고 순환루프를 구성할 수 있다. 환수 제어장치에는 보일러연결관, 환수연결관, 상수연결관, 펌프, 환수제어밸브 및 제어 기판부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들 구성을 집중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모듈 형태로 구성된 환수 제어장치는 시공 및 교체와 관리에 있어서 편의성과 경제성을 제공한다.
환수제어밸브는 환수연결관과 보일러연결관 사이의 유로와 환수연결관과 상수연결관 사이의 유로의 개폐가 제어 기판부에 의해 상호 반대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의해,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밸브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하면, 보일러연결관에 압력스위치를 배치함으로써 환수 및 재가열 모드에서 다른 곳에서 온수를 사용하기 위한 수전의 개방이 있는 경우 수압의 저하를 감지하여 환수 및 재가열 동작을 중단할 수 있게 된다. 즉, 다른 곳에서의 온수의 사용에 따라 보일러의 가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별도로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을 운전하는 중복을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에에 따른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100)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환수 제어장치(130)의 개념적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에서 온수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의 물의 흐름을 표시한 개념도
도 4는 도 1의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에서 환수 및 재가열 모드인 경우의 물의 흐름을 표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에에 따른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200)의 개념도
도 6은 도 5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환수 제어장치(230)의 개념적 구성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실시에에 따른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100)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어 온수관 내의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건물은 보일러와 온수를 공급하는 수전이 있는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이나 단독주택 또는 업무용 건물일 수 있다. 이중 도 1은 아파트에 설치될 수 있는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을 예시한다. 즉, 각 세대에는 보일러(101)가 설치된 베란다 등과, 제1수전(103)이 설치되어 있는 제1욕실(102) 및 제2수전(105)이 설치되어 있는 제2욕실(104)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욕실이 1개만 있는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욕실이나 주방 또는 베란다 등 수전의 설치 수가 증가될수록 분배기가 장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분배기(111) 및 제2분배기(112)가 장착된 예를 보인다.
보일러(101)는 상수관(123)을 통하여 냉수를 공급받고 가열된 물은 온수관(121)을 따라 각 수전에 공급된다. 이때 수전에서 온수관(121)으로부터 분기되어 온수관(121) 내의 물이 보일러(101)로 환수될 수 있도록 환수관(122)이 설치된다. 만약, 도 1과 같이 분배기(111, 112)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면, 환수관(122)은 분배기(111, 112)로부터 분기되는 형태일 수 있다. 환수관(122)은 기존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건물과 달리 본 발명과 관련되어 추가된다. 이때, 환수관(122)과 온수관(121)의 연결부위는 별도의 제어밸브를 요하지 않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환수관(122)을 통하여 물이 환수되는 과정에서 온수관(121) 내의 물은 환수관(122) 쪽으로 제한받지 않고 흐를 수 있다.
각각의 수전에서 온수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부(107)이 구비될 수 있다. 온도조절부(107)는 버튼과 같은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거나 홈네트워크에 의해 원격에서 입력 또는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일러(101)의 일측에는 환수 제어장치(130)가 설치되어 있다. 환수 제어장치(130)는 환수관(122)과 보일러(101) 사이에 배치되어, 제어 신호가 있을 경우, 보일러(101)에 연결되는 상수관(123)을 차단하고 온수관(121) 내의 냉수를 보일러(101)로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다. 환수 제어장치(130)는 보일러(101)의 하단 또는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보일러(101)에 연결되는 상수관(123)에 직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환수 제어장치(130)의 개념적 구성도로서, 환수 제어장치(130)는 내부에 부품들이 집중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하우징(13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1)은 물 또는 열에 강한 수지나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의 상태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투시창을 가질 수 있다.
환수 제어장치(130)는 보일러(101)와 환수관(122) 및 상수관(123)에 착탈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환수 제어장치(130)는, 보일러(101)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보일러연결관(132), 일단은 환수관(122)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고 타단은 보일러연결관(132)에 연결되는 환수연결관(133), 일단은 상수관(123)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고 타단은 보일러연결관(132)에 연결되는 상수연결관(134), 환수연결관(133) 상에 배치되는 펌프(135), 제어신호가 있는 경우 환수연결관(133)과 보일러연결관(132) 사이의 유로가 연결되도록 하고 환수연결관(133)과 상수연결관(134) 사이의 유로는 차단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수제어밸브(137) 및 펌프(135)와 환수제어밸브(137)를 제어할 수 있게 형성된 제어 기판부(139)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보일러연결관(132), 환수연결관(133) 및 상수연결관(134)은 상호 연결되어 뒤집어진 'Y'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하나의 분기점에서 만나 환수제어밸브(137)에 의해 택일적으로 상호 유로가 개방된다. 이때, 환수연결관(133)과 상수연결관(134)에는 각각 제1체크밸브(142)와 제2체크밸브(143)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체크밸브(142)는 보일러연결관(132)과 상수연결관(134) 사이의 유로가 연결되었을 때 환수관(122) 쪽으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체크밸브(143)는 보일러연결관(132)과 환수연결관(133) 사이의 유로가 연결되었을 때 상수관(123) 쪽으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제1체크밸브(142)와 제2체크밸브(143)에 의하여 온수 및 환수의 제어가 정확해지며 부품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보일러연결관(132)에는 보일러연결관(132)의 수압이 기준치보다 떨어지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압력스위치(14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기판부(139)는 압력스위치(141)에 의하여 기준치보다 수압이 떨어진 것이 감지되면 펌프(135)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환수제어밸브(137)을 제어하여 환수연결관(133)과 상수연결관(134)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수연결관(134)과 보일러연결관(132) 사이의 유로를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온수관(121) 및 환수관(122)이 환수 및 재가열 모드에서 보일러(101)을 통하여 폐쇄적으로 순환하고 있을 때, 제1욕실(102)에서 제1수전(103)을 통하여 온수가 사용되면 자연적으로 수압이 떨어지게 되는데, 압력스위치(141)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 기판부(139)에 의하여 펌프(135)의 동작을 멈추고 환수제어밸브(137)를 제어하여 일반적인 온수공급모드로 변경시키는 것이다. 이는 다른 곳에서의 온수의 사용에 따라 보일러(101)의 가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별도로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을 운전하는 중복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환수연결관(133)에는 배관 내에 흐르는 물의 수온을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온도센서(136)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 기판부(139)는 온도센서(136)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준치 미만이면 계속하여 환수 및 재가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나, 온도센서(136)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기준치 이상이면 환수 및 재가열 동작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즉, 이 상태는 온수관(121) 내의 물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이르게 되므로 곧바로 수전(103, 105)의 개방하였을 때 희망하는 온도의 온수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환수제어밸브(130)은 환수연결관(133), 보일러연결관(132) 및 상수연결관(134)의 합류지점에 배치되어 절환에 의하여 환수연결관(133) 보일러연결관(132) 사이의 유로와 상수연결관(134)과 보일러연결관(132) 사이의 유로가 배타적으로 선택될 수 있게 형성된 삼방밸브일 수 있다. 삼방밸브는 제어 기판부(139)의 제어신호에 따라 양 유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삼방밸브는 하나만으로도 유로의 전환이 가능하므로 각각 배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품 및 비용의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에서 온수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의 물의 흐름을 표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의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에서 환수 및 재가열 모드인 경우의 물의 흐름을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 3과 같이, 일반 상태에서는 보일러(101)로부터 데워진 온수는 온수관(121)을 따라 각각의 수전(103, 105)으로 공급된다. 만약, 오랫동안 수전(103, 105)의 사용이 없는 경우, 온수관(121) 및 환수관(122) 내의 물이 식게 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사용자의 예약 입력 또는 직접 조작에 의하여 환수 및 재가열 모드가 실행되면, 앞서와 같이 환수제어밸브(137)에 의하여 상수관(123)이 차단되고, 환수연결관(133)과 보일러연결관(132)이 상호 연결되어 온수관(121) 및 환수관(122) 내의 물이 보일러(101)를 통하여 폐쇄적으로 순환된다. 순환되는 물은 온도센서(136)에 의하여 감지되며, 기준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환수제어밸브(137)가 전환되어 상수관(123)과 보일러연결관(132)의 유로가 연결되어 온수의 사용 준비상태가 된다.
환수 제어장치(130)는, 기준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될 때, 사용자에게 온수의 준비를 알릴 수 있도록 음향이나 음악을 제공하는 음향제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온수관(121)이나 환수관(122)이 지나는 벽체의 인접부위에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시온잉크에 의해 표시된 마크를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환수 제어장치(130)는 최소한의 환수제어밸브를 통하여 정확하게 유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컴팩트한 구성을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에에 따른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200)의 개념도이다. 본 예에서도 여러 욕실(202, 204)에 설치된 수전들(203, 205)에 연결되는 온수관(221)을 환수관(222)에 의하여 환수시킬 수 있는 환수 제어장치(230)를 구비한다.
도 6은 도 5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환수 제어장치(230)의 개념적 구성도로서, 하우징(231), 보일러연결관(232), 환수연결관(233), 상수연결관(234), 펌프(235), 온도센서(236), 압력스위치(241), 제1체크밸브(242), 제2체크밸브(243) 등은 앞서 설명된 환수 제어장치(130)의 구성과 유사하다. 본 예에서, 환수제어밸브는, 환수연결관(133)에 배치되며 평상시 닫혀 있도록(normal close) 구성된 순환제어밸브(237)와, 상수연결관(134)에 배치되며 평상시 열려 있도록(normal open) 구성된 상수제어밸브(238)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어 기판부(139)는 예약되었거나 직접 명령된 신호가 있는 경우 순환제어밸브(237)를 열고 상수제어밸브(238)는 닫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은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101: 보일러 102: 제1욕실
103: 제1수전 104: 제2욕실
105: 제2수전 106: 수도계량기
107: 온도조절부 111: 제1분배기
112: 제2분배기 121: 온수관
122: 환수관 123: 상수관
130: 환수 제어장치 131: 하우징
132: 보일러연결관 133: 환수연결관
134: 상수연결관 135: 펌프
136: 온도센서 137: 삼방밸브
139: 제어 기판부 141: 압력스위치
142: 제1체크밸브 143: 제2체크밸브

Claims (12)

  1. 건물 내 각 수전에 연결되며, 보일러로부터 온수가 공급되기 위한 온수관;
    상기 수전에서 상기 온수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온수관 내의 물이 상기 보일러로 환수될 수 있게 설치되는 환수관; 및
    상기 보일러의 일측에서 상기 환수관과 상기 보일러 사이에 배치되어, 제어신호가 있을 경우, 상기 보일러에 연결되는 상수관을 차단하고 상기 온수관 내의 냉수를 상기 보일러로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환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환수 제어장치는,
    상기 보일러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보일러연결관;
    일단은 상기 환수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일러연결관에 연결되는 환수연결관;
    일단은 상기 상수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보일러연결관에 연결되는 상수연결관;
    상기 환수연결관 상에 배치되는 펌프;
    상기 제어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보일러연결관 사이의 유로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상수연결관 사이의 유로는 차단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수제어밸브;
    상기 펌프 및 상기 환수제어밸브를 제어할 수 있게 형성된 제어 기판부;
    상기 환수연결관 상에 배치되며, 수온을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온도센서;
    상기 보일러연결관, 상기 환수연결관, 상기 상수연결관, 상기 펌프, 상기 환수제어밸브 및 상기 제어 기판부를 감쌀 수 있게 형성된 하우징;
    상기 환수 제어장치는 상기 보일러연결관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러연결관의 수압이 기준치보다 떨어지는지를 감지할 수 있게 형성된 압력스위치;
    상기 환수연결관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러연결관과 상기 상수연결관 사이의 유로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환수관 쪽으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체크밸브; 및
    상기 상수연결관에 배치되며 상기 보일러연결관과 상기 환수연결관 사이의 유로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상수관 쪽으로 물이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기판부는 상기 압력스위치에 의하여 기준치보다 수압이 떨어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펌프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환수제어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보일러연결관 사이의 유로를 차단하고 상기 상수연결관과 상기 보일러연결관 사이의 유로를 연결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환수연결관과 상기 상수연결관은 합류되어 상기 보일러연결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수제어밸브는,
    상기 환수연결관에 배치되며, 평상시 닫혀 있도록 구성된 순환제어밸브; 및
    상기 상수연결관에 배치되며, 평상시 열려 있도록 구성된 상수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판부는, 예약되었거나 직접 명령된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순환제어밸브를 열고 상기 상수제어밸브는 닫도록 제어하는,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118571A 2018-10-05 2018-10-05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 KR102187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571A KR102187100B1 (ko) 2018-10-05 2018-10-05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571A KR102187100B1 (ko) 2018-10-05 2018-10-05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091A KR20200039091A (ko) 2020-04-16
KR102187100B1 true KR102187100B1 (ko) 2020-12-07

Family

ID=7045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571A KR102187100B1 (ko) 2018-10-05 2018-10-05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9785B (zh) * 2021-03-30 2024-02-09 青岛海尔新能源电器有限公司 具有全屋增压及回水功能的供水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25086A1 (en) 1996-12-04 1998-06-11 Mcintosh Douglas S Modulating fluid control device
KR101162855B1 (ko) * 2010-05-26 2012-07-06 주식회사 기승금속 냉온수 제어 시스템
JP2017194263A (ja) 2016-04-18 2017-10-26 デソン セルティック エネル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温水器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0708B1 (ko) * 2008-04-29 2010-06-01 현대건설주식회사 온도조절이 용이한 혼합수 및 냉,온수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25086A1 (en) 1996-12-04 1998-06-11 Mcintosh Douglas S Modulating fluid control device
KR101162855B1 (ko) * 2010-05-26 2012-07-06 주식회사 기승금속 냉온수 제어 시스템
JP2017194263A (ja) 2016-04-18 2017-10-26 デソン セルティック エネル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温水器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091A (ko) 202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8213A (en) Water temperature regulator
US10890338B2 (en) Water system with a continuous flow heater and a flushing station
KR102187100B1 (ko) 건물의 온수관 내 냉수 환수 및 재가열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환수 제어장치
US11262084B2 (en) Heated water availability control
JP2011007440A (ja) 弁及び熱源装置
JP7272303B2 (ja) 貯湯式給湯機
KR102545511B1 (ko) 온수 난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349283A (ja) 給湯装置
KR102381765B1 (ko) 온수 난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83364B1 (ko) 바이패스 기능을 이용한 온수 예열 기능을 갖는 세대 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
CN110036158A (zh) 饮用水节水器
JP6540672B2 (ja) 給湯システム
KR101902466B1 (ko) 식기세척기
CN207113250U (zh) 热水器智能水路切换模块及有该模块的双或多热水器系统
JP6210019B2 (ja) 貯湯式給湯機
KR101902461B1 (ko) 식기세척기
JP6575446B2 (ja) 貯湯式給湯機
JP7367663B2 (ja) 浴室システム
CN214172530U (zh) 一种防混水的即热式热水器
JPH042361Y2 (ko)
KR20230057112A (ko) 환탕 시스템
JP2006090643A (ja) 浴室暖房装置
JP2011196576A (ja) 貯湯式給湯機
JP2023134088A (ja) 給湯機
JP2016180565A (ja) 貯湯式給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