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024B1 -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024B1
KR102331024B1 KR1020190176392A KR20190176392A KR102331024B1 KR 102331024 B1 KR102331024 B1 KR 102331024B1 KR 1020190176392 A KR1020190176392 A KR 1020190176392A KR 20190176392 A KR20190176392 A KR 20190176392A KR 102331024 B1 KR102331024 B1 KR 102331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ing medium
heating
temperature
temperatur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3768A (ko
Inventor
김민휘
이동원
허재혁
김득원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6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0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2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3Heat from a district heating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7District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1 배관, 상기 제1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2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2 배관, 상기 제2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3 배관, 상기 제1 배관, 상기 제2 배관 및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열매체를 공급 받고 히트펌프를 통해 생성한 열매체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수용가 및 각 수용가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열매체의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관, 상기 제2 배관 또는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수용가로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 관리부를 포함하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NEXT GENEARTION HEATING AND COOLING SYSTEM OF A REGION}
본 발명은 열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열에너지 네트워크란 열원 및 수용가가 열매체를 수송하는 배관으로 연계되어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시스템으로서, 기존의 지역난방 방식이 열에너지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종이다.
종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업자가 수요자에게 일방적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형태인 국한된 범위의 열 공급 방식이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방향적 열에너지 네트워크 방식에서 더 나아가 사업자가 수요자에게 열에너지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수요자측에서 잉여열이 발생하는 경우, 수요자로부터의 열에너지를 활용하는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 시스템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 시스템은 열거래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시스템이므로 실질적으로 수용가간 열거래가 진행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수용가 간 또는 수용가와 열 관리부간 열거래를 활성화할 수 있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1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1 배관, 상기 제1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2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2 배관, 상기 제2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3 배관, 상기 제1 배관, 상기 제2 배관 및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열매체를 공급 받고 히트펌프를 통해 생성한 열매체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수용가 및 각 수용가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열매체의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관, 상기 제2 배관 또는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수용가로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 관리부를 포함하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수용가 중 하나인 제1 수용가는 제2 배관을 통해 공급 받은 제2 온도 대역의 제1 열매체를 상기 히트 펌프에 입력시켜 제1 온도 대역의 제2 열매체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제2 열매체를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하며, 상기 냉방으로 인해 배출되는 제2 온도 대역의 제3 열매체를 상기 히트 펌프에 입력시켜 제3 온도 대역의 제4 열매체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제4 열매체를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 관리부는 상기 제1 수용가로 상기 제4 열매체를 구매하기 위한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제1 수용가가 상기 열 관리부의 구매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4 열매체는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상기 열 관리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수용가 중 하나인 제2 수용가는 제2 배관을 통해 공급 받은 제2 온도 대역의 제5 열매체를 상기 히트 펌프에 입력시켜 제3 온도 대역의 제6 열매체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제6 열매체를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며, 상기 난방으로 인해 배출되는 제2 온도 대역의 제7 열매체를 상기 히트 펌프에 입력시켜 제1 온도 대역의 제8 열매체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제8 열매체를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 관리부는 상기 제2 수용가로 상기 제8 열매체를 구매하기 위한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제2 수용가가 상기 열 관리부의 구매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8 열매체는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상기 열 관리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수용가 중 하나인 제3 수용가는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공급 받은 제1 온도 대역의 제9 열매체를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하고, 상기 냉방으로 인해 배출되는 제2 온도 대역의 제10 열매체를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수용가는 제3 온도 대역의 제11 열매체를 공급 받아 제습을 수행하고, 상기 제습으로 인해 배출되는 제2 온도 대역의 제12 열매체를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제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수용가 중 하나인 제4 수용가는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공급 받은 제3 온도 대역의 제13 열매체를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고, 상기 난방으로 인해 배출되는 제2 온도 대역의 제14 열매체를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온도 대역은 10℃ ~ 15℃의 온도 대역을 가지며, 상기 제2 온도 대역은 20℃ ~ 30℃의 온도 대역을 가지고, 상기 제3 온도 대역은 40℃ ~ 50℃의 온도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매체는 물 또는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열 관리부는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를 상기 제3 배관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열매체 일부를 전달받는 열 생성부 및 제1 온도 대역의 열매체를 상기 제1 배관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열매체 일부를 전달받는 수열원(水熱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 수용가에 배치된 히트펌프에 의해 배출되는 고온 또는 저온의 열매체를 이용해 시스템 내에서 열 거래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을 구성하는 배관이 열매체의 온도 대역에 따라 다분화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세분화된 온도 대역의 열매체를 각 수용가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역 난방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열 매체 흐름에 대한 제1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열 매체 흐름에 대한 제2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열 매체 흐름에 대한 제3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열 매체 흐름에 대한 제4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열 매체 흐름에 대한 제5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열 매체 흐름에 대한 제6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역 난방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지역 난방 시스템에 따르면 50℃ ~ 60℃의 열매체(예를 들어 온수)가 배관을 통해 각 수용가로 공급되며, 각 수용가의 난방에 사용된 이후 온도 대역이 30℃ ~ 40℃로 낮어진 열매체는 별도로 마련된 배관을 통해 환수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지역 난방 시스템에서 각 수용가는 각 수용가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변환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배치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지역 난방 시스템에서는 각 수용가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열매체의 온도가 고정적일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시스템내에서 각 수용가간에 열 거래를 수행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지역 난방 시스템에서 유입 또는 배출되는 열매체의 온도는 각 수용가의 냉방을 지원하기에는 높을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지역 난방 시스템을 통해서는 각 수용가에 냉방을 지원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각 수용가에 냉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스템이 요구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열 매체 흐름에 대한 제1 실시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은 제1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1 배관(210), 상기 제1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2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2 배관(220), 상기 제2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3 배관(230), 상기 제1 배관(210), 상기 제2 배관(220) 및 상기 제3 배관(230)을 통해 열매체를 공급 받고 히트펌프(242)를 통해 생성한 열매체를 배출하는 수용가(240) 및 수용가(240)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열매체의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관(210), 상기 제2 배관(220) 또는 상기 제3 배관(230)을 통해 상기 수용가(240)로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 관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온도 대역은 10℃~ 15℃의 온도 대역을 가지며, 상기 제2 온도 대역은 20℃ ~ 30℃의 온도 대역을 가지고, 상기 제3 온도 대역은 40℃ ~ 50℃의 온도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240)에서 냉방이 필요한 경우, S260 단계를 통해 상기 제2 배관(220)으로부터 열매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S260 단계를 통해 공급된 열매체의 온도는 상기 수용가(240)를 구성하는 히트펌프(242)에 의해 하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260 단계를 통해 공급된 20℃ ~ 30℃ 온도 대역의 열매체는 히트펌프(242)에 의해 10℃ ~ 15℃ 온도 대역의 열매체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트펌프(242)에 의해 온도가 하락한 열매체는 S270 단계를 통해 수용가(240)의 냉방에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240)의 냉방에 이용된 열매체는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 ~ 15℃ 온도 대역의 열매체는 20℃ ~ 30℃ 온도 대역의 열매체로 변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280 단계를 통해 20℃ ~ 30℃ 온도 대역으로 변환된 열매체는 히트펌프(242)의 동작으로 인해 온도가 더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 ~ 30℃ 온도 대역은 히트펌프(242)에 의해 40℃ ~ 50℃ 온도 대역으로 상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히트펌프(242)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열매체는 S290 단계를 통해 제3 배관(2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240)는 히트펌프를 동작시켜 고온(40℃ ~ 50℃)의 열매체를 제3 배관(230)을 통해 열 관리부(250) 또는 다른 수용가로 판매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열 관리부(250)는 수용가(240)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열매체를 구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 관리부(250)는 수용가(240)로 열매체를 구매하기 위한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열 관리부(250)는 수용가(240)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을 통해 열매체를 구매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자가 열 관리부(250)의 구매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수용가(240)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열매체는 제3 배관(230)을 통해 열 관리부(25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수용가(240)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열매체는 열 관리부(250) 뿐만 아니라 다른 수용가에 전달될 수 있다.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내에서 수용가간 열 거래 방법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에 대한 설명으로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열 매체 흐름에 대한 제2 실시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은 제1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1 배관(310), 상기 제1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2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2 배관(320), 상기 제2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3 배관(330), 상기 제1 배관(310), 상기 제2 배관(320) 및 상기 제3 배관(330)을 통해 열매체를 공급 받고 히트펌프(342)를 통해 생성한 열매체를 배출하는 수용가(340) 및 수용가(340)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열매체의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관(310), 상기 제2 배관(320) 또는 상기 제3 배관(330)을 통해 상기 수용가(340)로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 관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온도 대역은 10℃~ 15℃의 온도 대역을 가지며, 상기 제2 온도 대역은 20℃ ~ 30℃의 온도 대역을 가지고, 상기 제3 온도 대역은 40℃ ~ 50℃의 온도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340)에서 난방 또는 온수가 필요한 경우, S360 단계를 통해 상기 제2 배관(320)으로부터 열매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S360 단계를 통해 공급된 열매체의 온도는 상기 수용가(340)를 구성하는 히트펌프(342)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360 단계를 통해 공급된 20℃ ~ 30℃ 온도 대역의 열매체는 히트펌프(342)에 의해 40℃ ~ 50℃ 온도 대역의 열매체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트펌프(342)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열매체는 S370 단계를 통해 수용가(340)의 난방 또는 온수 공급에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340)의 난방 또는 온수 공급에 이용된 열매체는 온도가 하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0℃ ~ 50℃ 온도 대역의 열매체는 20℃ ~ 30℃ 온도 대역의 열매체로 변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380 단계를 통해 20℃ ~ 30℃ 온도 대역으로 변환된 열매체는 히트펌프(342)의 동작으로 인해 온도가 더 하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 ~ 30℃ 온도 대역은 히트펌프(342)에 의해 10℃ ~ 15℃ 온도 대역으로 하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히트펌프(342)에 의해 온도가 하락된 열매체는 S390 단계를 통해 제1 배관(31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340)는 히트펌프(342)를 동작시켜 저온(10℃ ~ 15℃)의 열매체를 제1 배관(310)을 통해 열 관리부(350) 또는 다른 수용가로 판매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열 관리부(350)는 수용가(340)에 의해 생성된 저온의 열매체를 구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 관리부(350)는 수용가(340)로 열매체를 구매하기 위한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열 관리부(350)는 수용가(340)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을 통해 열매체를 구매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관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리자가 열 관리부(350)의 구매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수용가(340)에 의해 생성된 저온의 열매체는 제1 배관(3310)을 통해 열 관리부(35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수용가(340)에 의해 생성된 저온의 열매체는 열 관리부(350) 뿐만 아니라 다른 수용가에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열 매체 흐름에 대한 제3 실시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은 제1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1 배관(410), 상기 제1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2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2 배관(420), 상기 제2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3 배관(430), 상기 제1 배관(410), 상기 제2 배관(420) 및 상기 제3 배관(430)을 통해 열매체를 공급 받고 히트펌프(442)를 통해 생성한 열매체를 배출하는 수용가(440) 및 수용가(440)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열매체의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관(410), 상기 제2 배관(420) 또는 상기 제3 배관(430)을 통해 상기 수용가(440)로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 관리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온도 대역은 10℃~ 15℃의 온도 대역을 가지며, 상기 제2 온도 대역은 20℃ ~ 30℃의 온도 대역을 가지고, 상기 제3 온도 대역은 40℃ ~ 50℃의 온도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460 단계를 통해 수용가(440)는 제1 배관(410)으로부터 저온(10℃ ~ 15℃)의 열매체를 공급 받을 수 있으며, 공급 받은 열매체를 냉방에 직접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냉방에 이용된 열매체는 온도가 상승할 수 있으며, 온도가 상승된 열매체(예를 들어 20℃ ~ 30℃)는 S470 단계를 통해 제2 배관(4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가(440)는 제습을 위한 제습장치(4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습장치(442)는 S480 단계를 통해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를 제3 배관(430)으로부터 공급 받을 수 있고, S490 단계를 통해 제2 온도 대역의 열매체를 제2 배관(42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습장치(442)는 수신된 열매체를 제습 시스템 중 제습 로터, 액체식 제습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식에서 제습 시스템 재생을 위한 열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열 매체 흐름에 대한 제4 실시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은 제1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1 배관(510), 상기 제1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2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2 배관(520), 상기 제2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3 배관(530), 상기 제1 배관(510), 상기 제2 배관(520) 및 상기 제3 배관(530)을 통해 열매체를 공급 받고 히트펌프를 통해 생성한 열매체를 배출하는 수용가(540) 및 수용가(540)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열매체의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관(510), 상기 제2 배관(520) 또는 상기 제3 배관(530)을 통해 상기 수용가(540)로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 관리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온도 대역은 10℃~ 15℃의 온도 대역을 가지며, 상기 제2 온도 대역은 20℃ ~ 30℃의 온도 대역을 가지고, 상기 제3 온도 대역은 40℃ ~ 50℃의 온도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S560 단계를 통해 수용가(440)는 제1 배관(410)으로부터 고온(40℃ ~ 50℃)의 열매체를 공급 받을 수 있으며, 공급 받은 열매체를 난방 또는 온수 공급에 직접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난방에 이용된 열매체는 온도가 하락할 수 있으며, 온도가 하락된 열매체(예를 들어 20℃ ~ 30℃)는 S570 단계를 통해 제2 배관(5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열 매체 흐름에 대한 제5 실시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은 제1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1 배관(610), 상기 제1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2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2 배관(620), 상기 제2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3 배관(630), 상기 제1 배관(610), 상기 제2 배관(620) 및 상기 제3 배관(630)을 통해 열매체를 공급 받고 히트펌프를 통해 생성한 열매체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수용가(641, 643) 및 각 수용가(641, 643)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열매체의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관(610), 상기 제2 배관(620) 또는 상기 제3 배관(630)을 통해 상기 각 수용가(641, 643)로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 관리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온도 대역은 10℃~ 15℃의 온도 대역을 가지며, 상기 제2 온도 대역은 20℃ ~ 30℃의 온도 대역을 가지고, 상기 제3 온도 대역은 40℃ ~ 50℃의 온도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 관리부(650)는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를 상기 제3 배관(630)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 배관(620)을 통해 배출되는 열매체 일부를 전달받는 열 생성부(651) 및 제1 온도 대역의 열매체를 상기 제1 배관(610)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 배관(620)을 통해 배출되는 열매체 일부를 전달받는 수열원(水熱源, 65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 생성부(651)는 발전소, 중앙 히트 펌프, 지역난방공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열원(653)은 지중에 배치된 열교환기 또는 축열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용가(641)는 제2 수용가(641)로부터 열매체를 구매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수용가(643)는 난방 또는 온수의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 고온의 열매체를 구매하기 위한 구매 요청을 제1 수용가(641) 또는 열 관리부(65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용가(641)는 히트펌프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열매체(물 또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를 S660 단계를 통해 제3 배관(6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용가(641)가 제2 수용가(643)로부터 수신한 열매체 구매 요청을 수락한 경우, 제1 수용가의 히트펌프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열매체는 S670 단계를 통해 제2 수용가(643)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용가(641)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열매체는 열 관리부(650)를 구성하는 열 생성부(651)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열 관리부(651)가 제2 수용가(643)로부터 수신한 열매체 구매 요청을 수락한 경우, 열 생성부(651)에 의해 생성된 또는 저장된 열매체는 S670 단계를 통해 제2 수용가(643)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수용가(643)는 제1 수용가(641)로부터 공급되는 열매체의 구매 비용과 열 생성부(651)에 의해 생성된 또는 저장된 열매체의 구매 비용을 비교한 이후, 열매체를 구매할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가(641)에 의해 생성되는 열매체의 구매 비용이 열 생성부(651)에 의해 생성되는 열매체의 구매 비용보다 저렴한 경우, 제2 수용가(643)는 비용적 측면에서 제1 수용가(641)에 의해 생성되는 열매체를 구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수용가(643)는 제1 수용가(641)에 의해 생성된 열매체와 열 생성부(651)에 의해 생성된 열매체를 모두 구매하거나 일부만 구매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실시예에 국한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의 열 매체 흐름에 대한 제6 실시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은 제1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1 배관(710), 상기 제1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2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2 배관(720), 상기 제2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3 배관(730), 상기 제1 배관(710), 상기 제2 배관(720) 및 상기 제3 배관(730)을 통해 열매체를 공급 받고 히트펌프를 통해 생성한 열매체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수용가(741, 743) 및 각 수용가(741, 743)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열매체의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관(710), 상기 제2 배관(720) 또는 상기 제3 배관(730)을 통해 상기 각 수용가(741, 743)로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 관리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온도 대역은 10℃~ 15℃의 온도 대역을 가지며, 상기 제2 온도 대역은 20℃ ~ 30℃의 온도 대역을 가지고, 상기 제3 온도 대역은 40℃ ~ 50℃의 온도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 관리부(750)는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를 상기 제3 배관(730)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 배관(720)을 통해 배출되는 열매체 일부를 전달받는 열 생성부(751) 및 제1 온도 대역의 열매체를 상기 제1 배관(710)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 배관(720)을 통해 배출되는 열매체 일부를 전달받는 수열원(水熱源, 75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 생성부(751)는 발전소, 중앙 히트 펌프, 지역난방공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열원(753)은 지중에 배치된 열교환기 또는 축열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용가(741)는 제2 수용가(741)로부터 열매체를 구매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수용가(743)는 냉방이 요구되는 경우, 저온의 열매체를 구매하기 위한 구매 요청을 제1 수용가(741) 또는 열 관리부(75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용가(741)는 히트펌프에 의해 생성된 저온의 열매체(물 또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할 수 있다.)를 S760 단계를 통해 제1 배관(7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용가(741)가 제2 수용가(743)로부터 수신한 열매체 구매 요청을 수락한 경우, 제1 수용가의 히트펌프에 의해 생성된 저온의 열매체는 S770 단계를 통해 제2 수용가(743)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용가(741)로부터 배출되는 저온의 열매체는 열 관리부(750)를 구성하는 수열원(753)으로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열원(753)이 제2 수용가(743)로부터 수신한 열매체 구매 요청을 수락한 경우, 수열원(753)에 의해 생성된 또는 저장된 열매체는 S770 단계를 통해 제2 수용가(743)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수용가(743)는 제1 수용가(741)로부터 공급되는 열매체의 구매 비용과 수열원(751)에 의해 생성된 또는 저장된 열매체의 구매 비용을 비교한 이후, 열매체를 구매할 대상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가(741)에 의해 생성되는 열매체의 구매 비용이 수열원(751)에 의해 생성되는 열매체의 구매 비용보다 저렴한 경우, 제2 수용가(743)는 비용적 측면에서 제1 수용가(741)에 의해 생성되는 열매체를 구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수용가(743)는 제1 수용가(741)에 의해 생성된 열매체와 수열원(753)에 의해 생성된 열매체를 모두 구매하거나 일부만 구매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실시예에 국한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열 거래를 지원하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1 배관;
    상기 제1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2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2 배관;
    상기 제2 온도 대역보다 온도가 높은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가 흐르는 제3 배관;
    상기 제1 배관, 상기 제2 배관 및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열매체를 공급 받고 히트펌프를 통해 생성한 열매체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수용가; 및
    각 수용가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열매체의 온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관, 상기 제2 배관 또는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상기 복수개의 수용가로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수용가 중 하나인 제1 수용가는 제2 배관을 통해 공급 받은 제2 온도 대역의 제1 열매체를 상기 히트 펌프에 입력시켜 제1 온도 대역의 제2 열매체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제2 열매체를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하며, 상기 냉방으로 인해 배출되는 제2 온도 대역의 제3 열매체를 상기 히트 펌프에 입력시켜 제3 온도 대역의 제4 열매체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제4 열매체를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배출시키며,
    상기 열 관리부는 상기 제1 수용가로 상기 제4 열매체를 구매하기 위한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제1 수용가가 상기 열 관리부의 구매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4 열매체는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상기 열 관리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용가 중 하나인 제2 수용가는 제2 배관을 통해 공급 받은 제2 온도 대역의 제5 열매체를 상기 히트 펌프에 입력시켜 제3 온도 대역의 제6 열매체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제6 열매체를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며, 상기 난방으로 인해 배출되는 제2 온도 대역의 제7 열매체를 상기 히트 펌프에 입력시켜 제1 온도 대역의 제8 열매체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제8 열매체를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 관리부는 상기 제2 수용가로 상기 제8 열매체를 구매하기 위한 요청을 전달하고, 상기 제2 수용가가 상기 열 관리부의 구매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8 열매체는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상기 열 관리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용가 중 하나인 제3 수용가는 상기 제1 배관을 통해 공급 받은 제1 온도 대역의 제9 열매체를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하고, 상기 냉방으로 인해 배출되는 제2 온도 대역의 제10 열매체를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용가는 제3 온도 대역의 제11 열매체를 공급 받아 제습을 수행하고, 상기 제습으로 인해 배출되는 제2 온도 대역의 제12 열매체를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제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용가 중 하나인 제4 수용가는 상기 제3 배관을 통해 공급 받은 제3 온도 대역의 제13 열매체를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고, 상기 난방으로 인해 배출되는 제2 온도 대역의 제14 열매체를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대역은 10℃~ 15℃의 온도 대역을 가지며, 상기 제2 온도 대역은 20℃ ~ 30℃의 온도 대역을 가지고, 상기 제3 온도 대역은 40℃ ~ 50℃의 온도 대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는 물 또는 이산화탄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열 관리부는,
    제3 온도 대역의 열매체를 상기 제3 배관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열매체 일부를 전달받는 열 생성부; 및
    제1 온도 대역의 열매체를 상기 제1 배관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열매체 일부를 전달받는 수열원(水熱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KR1020190176392A 2019-12-27 2019-12-27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KR102331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392A KR102331024B1 (ko) 2019-12-27 2019-12-27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392A KR102331024B1 (ko) 2019-12-27 2019-12-27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68A KR20210083768A (ko) 2021-07-07
KR102331024B1 true KR102331024B1 (ko) 2021-11-29

Family

ID=76862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392A KR102331024B1 (ko) 2019-12-27 2019-12-27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0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8368A1 (en) * 2022-08-15 2024-02-22 Exergo Sa Three-pipe thermal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290B1 (ko) 2016-03-17 2017-07-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 네트워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9520B2 (en) * 2001-02-16 2005-05-10 Mayekawa Mfg. Co., Ltd. Inter-region thermal complementary system by distributed cryogenic and thermal devices
KR101081599B1 (ko) * 2009-04-28 2011-11-08 한국지역난방공사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EP3372903A1 (en) * 2017-03-07 2018-09-12 E.ON Sverige AB A local thermal energy consumer assembly and a local thermal energy generator assembly for a district thermal energy distribu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290B1 (ko) 2016-03-17 2017-07-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768A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9324B2 (en) Modular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KR102331024B1 (ko) 차세대 지역 냉난방 시스템
KR20180044998A (ko) 전기 및 열 에너지 저장부를 갖는 조합된 열 및 전력 시스템
CN107180657B (zh) 一种核电站多样化热阱系统传热性能试验系统和方法
US9080788B2 (en) Solar powe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WO2014076849A1 (ja) 蓄熱発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0446839A (zh) 压缩空气储能发电装置
KR101692050B1 (ko) 지역난방 열원의 이중 압력 시스템
Guo et al. Thermodynamics and economics of different asymmetric cold energy transfer in a liquid air energy storage system
US20160237860A1 (en) Arrangement and Method Utilizing Waste Heat
MX2019010455A (es) Un ensamble de consumo de energia termica local y un ensamble de generador de energia termica local para un sistema de distribucion de energia termica urbana.
CN105162190A (zh) 一种自主温控型平流层飞艇用锂电池电源管理系统
US11502628B2 (en) Energy storage system
JP7022487B2 (ja) ソーラー発電給湯システム
Bernard et al. New high power CW test facilities for ITER ICRH components testing
US20230016813A1 (en) Waste heat gathering and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11477918B2 (en) Heat exchange system
KR102180448B1 (ko) 복합발전설비
CN115619438A (zh) 基于分析目标级联法的区域热电综合能源调度方法及系统
KR20120101489A (ko) 가스 공급장치
US202303493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and control thereof
CN209484698U (zh) 一种基于热力网和水力发电机的综合供热系统
CN108088295B (zh) 操作具有旁路管道的热交换系统的方法和该热交换系统
CN112262291B (zh) 用于操作回热式蓄热器装置的方法和蓄热器装置
KR101407641B1 (ko) 양방향 열거래 기반의 열에너지 네트워크용 배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