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736Y1 -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736Y1
KR200471736Y1 KR2020130002593U KR20130002593U KR200471736Y1 KR 200471736 Y1 KR200471736 Y1 KR 200471736Y1 KR 2020130002593 U KR2020130002593 U KR 2020130002593U KR 20130002593 U KR20130002593 U KR 20130002593U KR 200471736 Y1 KR200471736 Y1 KR 200471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ot water
water
pipe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석
문성아
Original Assignee
문성아
박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아, 박종석 filed Critical 문성아
Priority to KR2020130002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7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24D10/003Domestic delivery stations hav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2/00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2/02Other central heating systems having more than one hea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3Heat from a district heating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32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involving multiple heat sources in combination or as alternative hea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28Branched distribu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35Three-way-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4Flow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난방수가 공급되는 난방수 배관(1)의 일측에 온수의 공급을 위해 마련되며, 세대별로 갖춰지는 열교환기(11); 상기 난방수 배관(1)의 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기(11)로의 난방수 공급을 선택하는 삼방 밸브(6); 상기 열교환기(11)에 연결되고 온수가 출탕되는 온수 출탕 배관(17); 상기 온수 출탕 배관(17)과 이웃된 위치에서 상기 열교환기(11)에 연결되며, 내부로 직수가 공급되는 직수 배관(18); 상기 온수 출탕 배관(17)과 상기 직수 배관(18)이 연결되는 교차점에 배치되어 직수에 온수를 믹싱하는 온수 믹식용 밸브(13); 상기 직수 배관(18)의 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직수 배관(18)을 따라 유동되는 직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기(14); 상기 열교환기(11)와 연결되는 난방수 공급 분배기(5); 상기 난방수가 환수되는 난방수 환수관(2) 측에 연결되며, 다수의 연결라인(7)에 의해 상기 난방수 공급 분배기(5)와 연결되는 난방수 환수 분배기(9); 상기 난방수 공급 분배기(5)와 상기 난방수 환수 분배기(9) 사이에 배치되어 온수를 바이패스시키는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 및 온수 사용 시 상기 유량 감지기(14)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삼방 밸브(6), 상기 온수 믹싱용 밸브(13) 및 상기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9)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A heated room and hot water controlling system}
본 고안은,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 방식을 갖는 집합건물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온수 배관을 없애는 대신 열교환기를 세대별로 장착하여 온수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설치비용 또는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존 시스템에 비해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의 난방 방식으로서 중앙난방, 개별난방, 지역난방이 있다.
중앙난방은 종전의 아파트에서 많이 쓰이는 난방 방식으로서 필요할 때 언제나 따뜻한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필요할 때마다 밸브를 틀면 온수의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중앙난방의 경우, 연료비가 많이 들며, 고장이 나면 자신뿐만 아니라 여러 세대가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중앙난방은 중앙에 설치된 보일러가 각 세대별 단지 전체에 난방을 공급해서 일정 시간마다 가동한다. 온도가 낮으면 자주 가동하는 특징이 있다.
개별난방은 각 세대별이 각자 개별적으로 난방을 하는 것으로 각 세대별마다 자기의 특징에 맞는 다양한 보일러를 사용한 것을 말한다.
개별식이기 때문에 스스로가 동작을 선택할 수 있어 중앙난방에 비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근자에 신축되는 아파트들은 대부분이 개별난방 방식을 선호한다.
지역난방은 어느 지역 내 건물의 한 군데 또는 여러 군데의 열원장치에서 난방용의 열을 공급하는 방법을 말한다.
지역난방은 중앙 집중 열원방식이라고도 한다. 지역난방은 장치가 대규모로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열원비는 각 건물마다 개별적으로 열원을 놓는 경우보다 싸지만 열의 수요에 비해 열을 보내는 배관망이 길어질 때에는 불리할 수도 있다.
지역난방의 연료로서 중유를 사용하는 경우는 탈황장치를 각 건물별로 설치하는 것보다 만들기 쉬우므로 대기오염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한 방법이다.
이 밖에 지역난방으로 하면 각 건물에는 열원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계실면적이 줄고, 연료탱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기기의 운전 및 관리인의 수를 줄일 수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상기 세 가지의 난방 방식은 물론 저 마다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에너지 절약이라는 경제성에 비추어볼 때 요즘에 가장 주목을 받는 방식은 지역난방이라 할 수 있다.
지역난방은 일개의 도시 또는 일정한 지역 내의 주거용, 상업용, 공공용 수용가에게 집중된 열원시설에서 그들이 필요로 하는 난방, 급탕 및 냉방에 필요한 열을 개별의 열생산시설(유류, 가스보일러 등)을 갖추지 않고 집중화된 대규모 열생산시설로부터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을 배관망을 통하여 공급하는 방식이므로 이를 통해 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인 난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개별난방을 제외한 중앙난방이나 지역난방의 경우, 세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난방수 배관과 온수 배관이 갖춰지며, 이들은 각 세대별로 연결된다.
이때, 난방수 배관과 달리 온수 배관은 음용이 가능한 제품을 이용하여 배관 작업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초기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비용 등이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음은 물론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기존과 차별화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9-004747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4642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67012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8-0113234호
본 고안의 목적은,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 방식을 갖는 집합건물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온수 배관을 없애는 대신 열교환기를 세대별로 장착하여 온수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설치비용 또는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존 시스템에 비해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난방수가 공급되는 난방수 배관(1)의 일측에 온수의 공급을 위해 마련되는 열교환기(11); 상기 난방수 배관(1)의 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기(11)로의 난방수 공급을 선택하는 삼방 밸브(6); 상기 열교환기(11)에 연결되고 온수가 출탕되는 온수 출탕 배관(17); 상기 온수 출탕 배관(17)과 이웃된 위치에서 상기 열교환기(11)에 연결되며, 내부로 직수가 공급되는 직수 배관(18); 상기 온수 출탕 배관(17)과 상기 직수 배관(18)이 연결되는 교차점에 배치되어 직수에 온수를 믹싱하는 온수 믹식용 밸브(13); 상기 직수 배관(18)의 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직수 배관(18)을 따라 유동되는 직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기(14); 상기 열교환기(11)와 연결되는 난방수 공급 분배기(5); 상기 난방수가 환수되는 난방수 환수관(2) 측에 연결되며, 다수의 연결라인(7)에 의해 상기 난방수 공급 분배기(5)와 연결되는 난방수 환수 분배기(9); 상기 난방수 공급 분배기(5)와 상기 난방수 환수 분배기(9) 사이에 배치되어 온수를 바이패스시키는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 및 온수 사용 시 상기 유량 감지기(14)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삼방 밸브(6), 상기 온수 믹싱용 밸브(13) 및 상기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온수의 사용 유량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넘어 상기 열교환기(11)의 능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온수의 출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열교환기(11)와 함께 사용되는 보조 열원(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수 출탕 배관(17)에 마련되는 온수 출탕 온도센서(15); 및 상기 직수 배관(18)에 마련되는 직수 입구 온도센서(1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19)는 상기 유량 감지기(14), 온수 출탕 온도센서(15) 및 상기 직수 입구 온도센서(1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의 출탕 열량을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난방수 환수관(2)의 라인 상에 마련되며, 세대내 불필요한 열량 소모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19)에 의해 컨트롤되어 그 개도량에 조절되는 세대내 총 유량 제어 밸브(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 방식을 갖는 집합건물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온수 배관을 없애는 대신 열교환기를 세대별로 장착하여 온수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설치비용 또는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존 시스템에 비해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 방식을 갖는 집합건물에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체 비용을 줄이고, 추후 소요되는 전력 사용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은,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 방식을 갖는 집합건물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온수 배관을 없애는 대신 열교환기(11)를 세대별로 장착하여 온수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설치비용 또는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존 시스템에 비해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열교환기(11), 삼방 밸브(6), 온수 출탕 배관(17), 직수 배관(18), 온수 믹식용 밸브(13), 유량 감지기(14), 난방수 공급 분배기(5), 난방수 환수 분배기(9),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 그리고 컨트롤러(19)를 포함한다.
열교환기(11)는 종전과 달리 온수의 공급을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세대별로 갖춰진다. 열교환기(11)는 난방수가 공급되는 난방수 배관(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종전과 달리 본 실시예의 경우, 열교환기(11)의 일측에는 보조 열원(12)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온수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적은 용량의 열교환기(11)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보조 열원(12)은 온수의 사용 유량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넘어 열교환기(11)의 능력을 초과할 경우, 온수의 출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열교환기(11)와 함께 사용되는 가열수단이다.
도면에는 보조 열원(12)이 열교환기(11)와 단순히 이격된 상태로 도시되었는데, 이는 편의를 위해 도시한 것이며, 실제는 보조 열원(12)과 열교환기(11)가 별도의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서 시스템이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
보조 열원(12)은 매번 동작되는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컨트롤러(19)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다. 즉 많은 양의 온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 컨트롤러(19)에 의해 가동될 수 있다.
삼방 밸브(6)는 난방수 배관(1)의 라인 상에 마련되어 열교환기(11)로의 난방수 공급을 선택하는 밸브이다.
삼방 밸브(6) 역시 컨트롤러(19)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다. 삼방 밸브(6)는 전자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온수 출탕 배관(17)은 온수가 출탕되는 파이프(pipe)로서 열교환기(11)에 연결된다.
온수 출탕 배관(17)은 열교환기(11)에 직접 연결되어 온수를 사용할 때에만 사용되는 파이프이다.
온수 출탕 배관(17)의 라인 상에는 온수 출탕 온도센서(15)가 마련되어 온수의 출탕 온도를 체크한다.
직수 배관(18)은 온수 출탕 배관(17)과 이웃된 위치에서 열교환기(11)에 연결되며, 내부로 직수가 공급되는 파이프(pipe)이다.
직수 배관(18)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온수이나 여름과 겨울철 온도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직수 배관(18)에는 직수 입구 온도센서(16)가 갖춰지며, 직수 입구 온도센서(16)를 통해 직수의 온도를 체크한다.
온수 믹식용 밸브(13)는 온수 출탕 배관(17)과 직수 배관(18)이 연결되는 교차점에 배치되어 직수에 온수를 믹싱하는 역할을 한다.
온수 믹식용 밸브(13) 역시 컨트롤러(19)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될 수 있으며, 전자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적용될 수 있다.
유량 감지기(14)는 직수 배관(18)의 라인 상에 마련되어 직수 배관(18)을 따라 유동되는 직수의 유량을 감지한다. 유량 감지기(14)에서 감지된 유량의 정보는 컨트롤러(19)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유량은 크게 변동 없이 일정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설사 유량 감지기(14)가 없더라도 열량 감지에는 어려움이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처럼 유량 감지기(14)가 마련되어 유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컨트롤러(19)로 전송할 경우, 보다 정확한 열량 감지가 이루어져 낭비되는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하여 온수의 출탕을 위한 열량을 구해낼 수 있다.
예컨대, 열량은 유량, 비열 및 온도차의 곱으로 나타나는데, 물의 비열이 1이기 때문에, 유량과 온도차를 알게 되면 열량을 구해낼 수 있는 것이다.
난방수 공급 분배기(5)는 열교환기(11)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난방수를 공급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난방수 환수 분배기(9)는 난방수가 환수되는 난방수 환수관(2) 측에 연결되며, 다수의 연결라인(7)에 의해 난방수 공급 분배기(5)와 연결된다.
난방수 환수관(2)의 라인 상에는 세대내 불필요한 열량 소모를 제어하기 위해 컨트롤러(19)에 의해 컨트롤되어 그 개도량에 조절되는 세대내 총 유량 제어 밸브(3)가 마련된다. 세대내 총 유량 제어 밸브(3) 역시 전자 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는 난방수 공급 분배기(5)와 난방수 환수 분배기(9) 사이에 배치되어 온수를 바이패스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컨트롤러(19)는 온수 사용 시 유량 감지기(14)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삼방 밸브(6), 온수 믹싱용 밸브(13) 및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19)는 유량 감지기(14), 온수 출탕 온도센서(15) 및 직수 입구 온도센서(1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온수의 출탕 열량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컨트롤러(1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9a, CPU), 메모리(19b, MEMORY), 서포트 회로(19c, SUPPORT CIRCUIT)를 포함한다.
CPU(19a)는 본 실시예의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9b, MEMORY)는 CPU(19a)와 연결된다. 메모리(19b)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9c, SUPPORT CIRCUIT)는 CPU(19a)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9c)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에서 컨트롤러(19)가 온수 사용 시 유량 감지기(14)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삼방 밸브(6), 온수 믹싱용 밸브(13) 및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의 동작을 컨트롤하거나 유량 감지기(14), 온수 출탕 온도센서(15) 및 직수 입구 온도센서(1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온수의 출탕 열량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이 메모리(19b)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9b)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CPU(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고안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각방 온도 조절기(20)를 조작한다. 그러면 세대에서 설정된 온도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온수의 사용 시 직수 배관(18)을 통해 열교환기(11)를 거쳐 온수 출탕 배관(17)으로 향하는 유량이 유량 감지기(14)에 의해 감지되며, 이의 정보는 컨트롤러(19)로 전송된다.
또한 컨트롤러(19)는 삼방 밸브(6)가 열교환기(11) 쪽으로 난방수를 공급하도록 삼방 밸브(6)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컨트롤러(19)는 설정된 온수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온수 믹싱용 밸브(13)와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를 구동할 수 있다.
예컨대, 온수 믹싱용 밸브(13)를 통해 직수의 유입을 줄이거나 늘리는 등의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고,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를 통해 난방수 환수 분배기(9)로 향하는 난방수의 양을 컨트롤하면서 열교환기(11)로의 난방수의 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합적인 컨트롤을 통해서 열교환기(11) 내에서는 직수와 난방수가 통합되어 각방 온도 조절기(20)를 통해 요구되는 온도만큼 유지되어 온수 출탕 배관(17)으로 출탕될 수 있다.
만약, 세대내 열교환기(11)로 감당하기 힘든 유량을 사용할 경우에는 컨트롤러(19)가 보조 열원(12)을 가동하여 온수 출탕 온도를 유지하면 된다.
이때, 온수 출탕의 열량을 감지하기 위해 직수 입구 온도센서(16)와 온수 출탕 온도센서(15), 유량 감지기(14)를 통하여 온수 출탕의 열량을 체크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열량은 유량, 비열 및 온도차의 곱으로 나타나며, 물의 비열이 1이기 때문에, 유량과 온도차를 알게 되면 열량을 구해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세대내 난방 사용 중에는 온수의 출탕 온도가 난방수 배관(1)으로 흐르는 유량으로 유지가 가능하면 컨트롤러(19)가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를 정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온수의 출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컨트롤러(19)는 세대내 불필요한 열량 소모를 제어하기 위해서 난방수 환수관(2)의 세대내 총 유량 제어 밸브(3)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열량을 줄여준다.
이와 같은 구조와 동작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 방식을 갖는 집합건물에서 기존에 사용되던 온수 배관을 없애는 대신 열교환기(11)를 세대별로 장착하여 온수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초기 설치비용 또는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존 시스템에 비해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기존의 중앙난방 또는 지격난방의 난방 방식을 갖는 집합건물에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교체 비용을 줄이고, 추후 소요되는 전력 사용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난방수 배관 2 : 난방수 환수관
3 : 세대내 총 유량 제어 밸브 4 : 난방수 유량 감지기
5 : 난방수 공급 분배기 6 : 삼방 밸브
7 : 연결라인 8 : 각방 밸브
9 : 난방수 환수 분배기 10 :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
11 : 열교환기 12 : 보조 열원
13 : 온수 믹싱용 밸브 14 : 유량 감지기
15 : 온수 출탕 온도센서 16 : 직수 입구 온도센서
17 : 온수 출탕 배관 18 : 직수 배관
19 : 컨트롤러 20 : 각방 온도 조절기

Claims (4)

  1. 난방수가 공급되는 난방수 배관(1)의 일측에 온수의 공급을 위해 마련되며, 세대별로 갖춰지는 열교환기(11);
    상기 난방수 배관(1)의 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기(11)로의 난방수 공급을 선택하는 삼방 밸브(6);
    상기 열교환기(11)에 연결되고 온수가 출탕되는 온수 출탕 배관(17);
    상기 온수 출탕 배관(17)과 이웃된 위치에서 상기 열교환기(11)에 연결되며, 내부로 직수가 공급되는 직수 배관(18);
    상기 온수 출탕 배관(17)과 상기 직수 배관(18)이 연결되는 교차점에 배치되어 직수에 온수를 믹싱하는 온수 믹식용 밸브(13);
    상기 직수 배관(18)의 라인 상에 마련되어 상기 직수 배관(18)을 따라 유동되는 직수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기(14);
    상기 열교환기(11)와 연결되는 난방수 공급 분배기(5);
    상기 난방수가 환수되는 난방수 환수관(2) 측에 연결되며, 다수의 연결라인(7)에 의해 상기 난방수 공급 분배기(5)와 연결되는 난방수 환수 분배기(9);
    상기 난방수 공급 분배기(5)와 상기 난방수 환수 분배기(9) 사이에 배치되어 온수를 바이패스시키는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 및
    온수 사용 시 상기 유량 감지기(14)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삼방 밸브(6), 상기 온수 믹싱용 밸브(13) 및 상기 온수 바이패스용 밸브(1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의 사용 유량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넘어 상기 열교환기(11)의 능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온수의 출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열교환기(11)와 함께 사용되는 보조 열원(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출탕 배관(17)에 마련되는 온수 출탕 온도센서(15); 및
    상기 직수 배관(18)에 마련되는 직수 입구 온도센서(1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19)는 상기 유량 감지기(14), 온수 출탕 온도센서(15) 및 상기 직수 입구 온도센서(1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온수의 출탕 열량을 컨트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 환수관(2)의 라인 상에 마련되며, 세대내 불필요한 열량 소모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19)에 의해 컨트롤되어 그 개도량에 조절되는 세대내 총 유량 제어 밸브(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
KR2020130002593U 2013-04-08 2013-04-08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 KR200471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593U KR200471736Y1 (ko) 2013-04-08 2013-04-08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593U KR200471736Y1 (ko) 2013-04-08 2013-04-08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736Y1 true KR200471736Y1 (ko) 2014-03-13

Family

ID=5148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593U KR200471736Y1 (ko) 2013-04-08 2013-04-08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73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371B1 (ko) * 2015-08-26 2016-02-18 주식회사 코텍 온수기능을 갖는 난방시스템
KR20160036131A (ko) * 2014-09-24 2016-04-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중앙난방 및 지역난방을 위한 난방 온수 공급 장치 및 제어방법
WO2016099172A1 (ko) * 2014-12-19 2016-06-2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지역 및 중앙 난방에 적용되는 세대별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 및 환수 온도 제어 방법
KR101670779B1 (ko) 2015-06-22 2016-10-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지역 및 중앙 난방에 적용되는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6208868A1 (ko) * 2015-06-22 2016-12-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지역 및 중앙 난방에 적용되는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6322501A (zh) * 2016-08-18 2017-01-11 刘华英 用于管网性能控制的方法和装置
KR101964398B1 (ko) * 2018-06-01 2019-04-01 주식회사 피치케이블 통합 배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831B1 (ko) 2010-07-06 2010-10-04 윤석구 열병합 및 지역난방 열원을 이용한 각 세대별 냉난방 시스템
KR101081599B1 (ko) 2009-04-28 2011-11-08 한국지역난방공사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599B1 (ko) 2009-04-28 2011-11-08 한국지역난방공사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KR100984831B1 (ko) 2010-07-06 2010-10-04 윤석구 열병합 및 지역난방 열원을 이용한 각 세대별 냉난방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131A (ko) * 2014-09-24 2016-04-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중앙난방 및 지역난방을 위한 난방 온수 공급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627640B1 (ko) 2014-09-24 2016-06-0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중앙난방 및 지역난방을 위한 난방 온수 공급 장치 및 제어방법
WO2016099172A1 (ko) * 2014-12-19 2016-06-2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지역 및 중앙 난방에 적용되는 세대별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 및 환수 온도 제어 방법
KR101670779B1 (ko) 2015-06-22 2016-10-3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지역 및 중앙 난방에 적용되는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6208868A1 (ko) * 2015-06-22 2016-12-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지역 및 중앙 난방에 적용되는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50313A (ko) * 2015-06-22 2016-12-30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지역 및 중앙 난방에 적용되는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6146B1 (ko) * 2015-06-22 2017-02-1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지역 및 중앙 난방에 적용되는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U2719170C2 (ru) * 2015-06-22 2020-04-17 Киунгдонг Навиен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отопления и горяче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применяемое для районного и центрального отопл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KR101595371B1 (ko) * 2015-08-26 2016-02-18 주식회사 코텍 온수기능을 갖는 난방시스템
CN106322501A (zh) * 2016-08-18 2017-01-11 刘华英 用于管网性能控制的方法和装置
KR101964398B1 (ko) * 2018-06-01 2019-04-01 주식회사 피치케이블 통합 배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736Y1 (ko) 중앙난방 또는 지역난방의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및 온수 제어 시스템
US78488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dronic systems having multiple sources and multiple loads
US201202714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dronic systems having multiple sources and multiple loads
KR101497457B1 (ko)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KR101456198B1 (ko) 중간열 교환을 통한 부하 대응형 하이브리드 지열 시스템
EP3482137B1 (en) Combined heating and cooling system
RU42291U1 (ru) Система центрального отопления
US20230077879A1 (en) Thermal energy assembly
KR100633238B1 (ko) 다수의 축열조를 한 배관망에 직접 연결 및 운전할 수 있는지역난방용 축열조 시스템
KR20160003677A (ko) 인라인 가열 태양열 집열기
EP2985535A1 (en) Fluid-heating system
JP2005098628A (ja) 熱源水供給システム
CN204115295U (zh) 一种区域地源热泵集成式三联供能源站
WO2016120639A1 (en) Service supply systems
JP2024508666A (ja) 加熱設備、方法、およびシステム
Arena et al. Optimizing Hydronic System Performance in Residential Applications
CN109340897A (zh) 一种多居民小区的新供暖控制系统
CN109340893A (zh) 一种多居民小区的新供暖末端控制系统
US20130255908A1 (en) Energy measurement system for fluid systems
CN204554993U (zh) 一种集中供暖用单外调分户控制装置
Bollin et al. Automation of Systems for Heat and Cold Supply from Renewable Energy Sources
KR20140005354U (ko) 열량 감지를 이용한 각방 난방 시스템
Dorca et al. Thermal modules for apartments: an efficient solution for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Perry et al. Sewage plant heats village
PL233015B1 (pl) Rozdzielacz medium zespołu grzewczeg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