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557B1 -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557B1
KR101479557B1 KR20140144710A KR20140144710A KR101479557B1 KR 101479557 B1 KR101479557 B1 KR 101479557B1 KR 20140144710 A KR20140144710 A KR 20140144710A KR 20140144710 A KR20140144710 A KR 20140144710A KR 101479557 B1 KR101479557 B1 KR 101479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t water
heating
water
he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4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용
Original Assignee
석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144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Abstract

본 발명은 대규모 건축물의 중앙 난방용 보일러의 난방용수 배관에 설치되는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후된 급탕용수 배관을 차단하고, 난방용수가 이송하는 이송관으로부터 연결된 순환관과 냉수용 배관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별도의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온수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중앙난방용 급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Heating Water Supply system for Centralized heating type}
본 발명은 대규모 건축물의 중앙난방용 보일러의 난방용수 배관에 설치되는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후된 급탕용수 배관을 차단하고, 난방용수가 이송하는 이송관으로부터 연결된 순환관과 냉수용 배관이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별도의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온수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중앙난방용 급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고층건물이나 중대규모 빌딩은 각각의 층을 개별적으로 난방 시킬 수 있는 개별난방과 지하실 또는 별도의 장소에서 보일러 등의 열원을 설치하여 건물의 전체를 동일하게 난방할 수 있는 중앙난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앙난방은 이용이 편리하고 열효율이 높으며 관리비도 적정하게 책정할 수 있어 종래에 널리 사용되었으나, 개인이 온도를 조절하지 못한다는 단점으로 인해 현재 그 사용빈도가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중앙난방을 이용하여 보일러 또는 열교환기에서 샤워기나 수도꼭지까지 급탕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급탕 온수라인이 연결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종래의 급탕 온수라인은 그 구조가 복잡하면서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노후로 인한 교체가 필요할 경우 복잡한 구조로 인해 교체가 필요한 배관영역이 증가하여 비용이 과다하게 지출 될 수 있는 단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급탕 온수라인으로 인해 열손실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일정한 온도의 온수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과 상기 열손실로 발생된 손실된 열량을 보충해줘야 하기 때문에 보일러를 추가로 작동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나의 열원(보일러)에서 배출되는 온수를 난방과 급탕으로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메인 배관으로 난방과 급탕에 필요한 온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외부에 노출된 배관의 영역을 감소시켜 열손실의 발생을 줄이고, 일정한 온도의 급탕온수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종래의 중앙 난방용 보일러의 난방용수 배관에 설치되는 중앙난방용 급탕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040693호 '에너지 절약형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시스템' (등록일자 2011.06.03) 2. 등록특허공보 제10-1281014호 '세대 내 난방 열교환기를 이용한 지역난방용 통합배관시스템' (등록일자 2013.06.26) 3. 등록특허공보 제10-1251468호 '난방용 온수를 이용한 세대유닛 온수 공급제어장치' (등록일자 2013.04.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중앙난방용 설비를 이용하여 난방용수의 일부분을 순환시키고, 순환되는 난방용수를 통해 급탕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받아 사용자에게 적은 비용으로 난방과 급탕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중앙난방용 급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은 고온의 난방용수를 생산하는 열원공급기(100); 상기 열원공급기(100)로부터 생산된 난방용수를 공급받아 각 층별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열원공급기(100)와 연결되는 난방용수 공급관(210); 상기 각 층별로 이동된 난방용수가 각 세대별의 설정된 영역을 순환하여 각 세대의 실내를 난방하도록 상기 난방용수 공급관(210)으로부터 분기(分岐)된 난방용수를 공급받는 난방수 분기관(310); 상기 난방수 분기관(310)으로부터 상기 각 세대의 설정된 영역을 순환한 후 온도가 낮아진 난방용수를 전달받는 난방수 배출관(320); 상기 난방수 배출관(320)으로부터 전달되는 난방용수를 공급받아 재가열 시키도록 상기 열원공급기(100)로 난방용수를 전달하는 난방용수 회수관(220); 상기 난방용수 공급관(210)으로부터 이동하는 난방용수 중 일부가 분기(分岐)되어 지속적으로 순환하도록 일측단이 상기 난방용수 공급관(21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난방용수 회수관(220)과 연결되는 난방수 순환관(400);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탕용수를 각 층별로 이동시키는 주 급탕관(500); 상기 주 급탕관(500)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세대로 급탕용수를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해 일측단이 상기 주 급탕관(500)과 연결되는 냉수관(510); 상기 주 급탕관(500)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세대로 일정온도로 가열된 급탕용수를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해 일측단이 상기 주 급탕관(500)과 연결되는 온수관(520); 상기 난방수 순환관(400)으로부터 난방용수를 공급받고, 상기 온수관(520)으로부터 급탕용수를 공급받아 상기 난방용수와 상기 급탕용수 상호간에 열교환으로 인해 상기 급탕용수를 일정온도로 상승시키는 열교환기(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수관(510) 및 온수관(520)과 상기 주 급탕관(500) 사이에는 일측이 주 급탕관(500)과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냉수관(510) 및 온수관(520)이 연결되는 냉온수 분배기(710)가 구비되는 급탕수 분배관(7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난방수 순환관(400)은 상기 열교환기(600)로 난방용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관(410)과 상기 열교환기(600)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난방용수를 회수하여 재 가열하도록 상기 열교환기(600)로부터 난방용수를 공급받아 상기 난방용수 회수관(220)으로 이동시키는 배출관(420)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입관(410)에는 상기 열교환기(600)로 공급되는 난방용수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해 상기 유입관(410)의 유로의 개폐가 가능한 유입관 밸브(4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고온의 난방용수를 생산하는 열원공급기(100)와 상기 열원공급기(100)로부터 생산된 난방용수를 공급받아 각 층별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열원공급기(100)와 연결되는 난방용수 공급관(210)과 상기 각 측별로 이동된 난방용수가 각 세대별의 설정된 영역을 순환하여 각 세대의 실내를 난방하도록 상기 난방용수 공급관(210)으로부터 분기(分岐)된 난방용수를 공급받는 난방수 분기관(310)과 상기 난방수 분기관(310)으로부터 상기 각 세대의 설정된 영역을 순환한 후 온도가 낮아진 난방용수를 전달받는 난방수 배출관(320) 및 상기 난방수 배출관(320)으로부터 전달되는 난방용수를 공급받아 재가열 시키도록 상기 열원공급기(100)로 난방용수를 전달하는 난방용수 회수관(220)과 상기 열원공급기(100)와 연결되어 상기 열원공급기(100)로부터 생산된 온수를 공급받아 각 세대별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관(230) 및 상기 온수 공급관(230)으로부터 회수된 온수를 상기 열원공급기(100)로 재 공급하는 온수 회수관(240)으로 이루어진 중앙난방용 급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수 공급관(230)에는 상기 온수 공급관(230)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온수 공급관(230)으로 이송되는 온수의 이동을 차단하는 공급관 차단캡(810);과 상기 온수 회수관(240)에는 상기 온수 회수관(240)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열원 공급기(100)에서 상기 온수 회수관(240)으로 온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회수관 차단캡(8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난방용수 공급관(210)으로부터 이동하는 난방용수 중 일부가 분기(分岐)되어 지속적으로 순환하도록 일측단이 상기 난방용수 공급관(21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난방용수 회수관(220)과 연결되는 난방수 순환관(400);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탕용수를 각 층별로 이동시키는 주 급탕관(500); 상기 주 급탕관(500)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세대로 급탕용수를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해 일측단이 상기 주 급탕관(500)과 연결되는 냉수관(510); 상기 주 급탕관(500)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세대로 일정온도로 가열된 급탕용수를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해 일측단이 상기 주 급탕관(500)과 연결되는 온수관(520); 상기 난방수 순환관(400)으로부터 난방용수를 공급받고, 상기 온수관(520)으로부터 급탕용수를 공급받아 상기 난방용수와 상기 급탕용수 상호간에 열교환으로 인해 급탕용수를 일정온도로 상승시키는 열교환기(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수관(510) 및 온수관(520)과 상기 주 급탕관(500) 사이에는 일측이 주 급탕관(500)과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냉수관(510) 및 온수관(520)이 연결되는 냉온수 분배기(710)가 구비되는 급탕수 분배관(700)이 형성되고, 상기 난방수 순환관(400)은 상기 열교환기(600)로 난방용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관(410)과 상기 열교환기(600)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난방용수를 회수하여 재 가열하도록 상기 열교환기(600)로부터 난방용수를 공급받아 상기 난방용수 회수관(200)으로 이동시키는 배출관(420)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입관(410)에는 상기 열교환기(600)로 공급되는 난방용수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해 상기 유입관(410)의 유로의 개폐가 가능한 유입관 밸브(41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60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기(600)는 상기 난방수 순환관(400)으로부터 난방용수를 병렬로 각각 공급받으며,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에 상기 온수관(520)이 연결되고 이웃한 다른 열교환기(600)에 1차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급탕용수를 공급하여 2차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각 세대별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난방용수 공급관 및 난방용수 회수관을 사용하여 가용할 수 있는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난방용수 공급관에 난방수 순환관을 설치하고 난방수 순환관을 통해 이동하는 난방용수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은 후 열교환기를 통해 온수관으로 열에너지를 전달하여 일정온도의 온수를 대기시간 없이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열원(보일러)이 난방용수만을 생산하게 됨으로 인해 열원의 가동에 필요한 연료를 절약하게 되고, 개별난방 시 사용되는 배관자재 등을 낭비하지 않아 배관 설비 시공비용 등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설비관리 및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중앙난방용 급탕시스템의 세대 내 난방용수 및 급탕용수의 배관을 나타낸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세대 내 난방용수 및 급탕용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구조도의 부분 확대도 및 온수의 이동흐름을 나타낸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세대 내 난방용수 및 급탕용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구조도의 부분 확대도 및 냉수의 이동흐름을 나타낸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의 중앙난방용 급탕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중앙난방용 급탕시스템의 세대 내 난방용수 및 급탕용수의 배관을 나타낸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세대 내 난방용수 및 급탕용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구조도의 부분 확대도 및 온수의 이동흐름을 나타낸 구조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세대 내 난방용수 및 급탕용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구조도의 부분 확대도 및 냉수의 이동흐름을 나타낸 구조도, 도 4 는 본 발명의 중앙난방용 급탕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조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은 열원공급기(100)를 갖는다. 열원공급기(100)는 열공급대상의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의 기계실에 설치되며, 연료를 공급받아 작동한다. 이때 열원공급기(100)는 온수, 스팀 등의 고온의 난방용수를 생산한다.
열원공급기(100)에는 난방용수 공급관(210) 및 난방용수 회수관(220)과 연결되며, 열원공급기(100)로부터 생산된 난방용수를 난방용수 공급관(210)으로 공급한다. 이후 난방용수 공급관(210)은 난방용수를 공급받아 공동주택 및 고층건물의 각 세대별 및 각 층별로 이동시켜 실내를 난방하고 이동이 완료되면 열원공급기(100)로 사용이 완료된 난방용수를 공급하도록 난방용수 회수관(220)과 연결된다. 따라서, 열원공급기(100)에서 공급된 난방용수는 난방용수 공급관(210) 및 난방용수 회수관(220)을 통해 순환함과 동시에 열원공급기(100)가 지속적으로 난방용수를 가열하므로 난방용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난방용수 공급관(210)에는 난방수 공급관(210)으로부터 난방용수가 분기(分岐)되도록 난방수 분기관(310)이 연결된다. 난방수 분기관(310)을 통해 각 층별로 이동된 난방용수를 분배기(201)로 이동시키고 분배기가 각 세대별의 설정된 영역(S)으로 난방용수를 분배하여 실내를 난방한다. 이후 각 세대의 설정된 영역을 순환하여 온도가 낮아진 난방용수를 난방용수 회수관(220)으로 공급하기 위해 일측이 분배기(201)와 연결되고 타측이 난방용수 회수관(220)과 연결되는 난방수 배출관(320)이 설치된다.
또한 난방수 분기관(310)에는 계절에 따라 실내의 난방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분배기(201)로 유입되는 난방용수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밸브(311)가 형성되며, 온도조절밸브(311)의 전방에는 실내의 설정된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설정된 온도의 열량을 측정하여 온도조절밸브(311)의 개폐량을 제어하는 열량계(312)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일측이 난방용수 공급관(210)과 연결되고 타측이 난방용수 회수관(220)과 연결되어 난방용수 공급관(210)으로 이동되는 난방용수의 일부가 분기(分岐)되어 공급받을 수 있는 난방수 순환관(400)이 설치된다. 따라서, 난방수 순환관(400)으로 고온의 난방용수가 지속적으로 순환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외부의 상수도관으로부터 급탕용수를 공급받는 주 급탕관(500)이 구비된다. 주 급탕관(500)은 급탕용수를 각 층별 및 각 세대별로 공급시킬 수 있으며, 주 급탕관(500)을 따라 이동하는 급탕용수는 온도가 낮은 냉수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주 급탕관(500)으로부터 분기되는 냉수관(510)이 구비된다. 냉수관(510)은 주 급탕관(500)으로 이동하는 급탕용수를 공급받아 각 세대별로 급탕용수를 제공하도록 일측단이 주 급탕관(500)과 연결되고, 타측단에는 사용자가 급탕용수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수전에 해당하는 냉수밸브(511)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난방수 순환관(400)에는 열교환기(600)가 설치된다. 열교환기(600)에는 난방수 순환관(400)으로부터 난방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후 주 급탕관(500)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세대별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관(520)이 구비된다. 온수관(520)은 일측단이 주 급탕관(500)과 연결되어 급탕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타측단에는 사용자가 급탕용수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온수밸브(521)가 설치된다. 이때 온수관(520)에는 상기된 열교환기(600)가 설치되며, 상기된 열교환기(600)에 급탕용수를 공급한다. 따라서, 열교환기(600)로 유입되는 난방용수와 급탕용수의 상호간 열교환으로 인해 급탕용수는 일정온도 상승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열교환기(60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므로 온수관(520)에서 배출되는 급탕용수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냉수관(510)과 온수관(520)에는 각각 사용하는 급탕용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냉수계량기(512)와 온수계량기(522)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냉수관(510) 및 온수관(520)과 주 급탕관(500) 사이에는 급탕수 분배관(700)이 형성된다. 즉 급탕수 분배관(700)의 일측은 주 급탕관(500)과 연결되어 급탕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급탕수 분배관(700)의 타측에는 냉온수 분배기(710)가 구비되어 냉수관(510) 및 온수관(520)이 냉온수 분배기(710)에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급탕수 분배관(700)이 주 급탕관(500)에서 분기되고 냉온수 분배기(710)에서 냉수관(510)과 온수관(520)으로 나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급탕수 분배관(700)에 분배관 밸브(720)가 추가로 구비되면 분배관 밸브(720)의 개폐의 제어로 냉수관(510) 및 온수관(520)의 개폐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난방수 순환관(400)은 유입관(410)과 배출관(420)으로 구성된다. 유입관(410)은 열교환기(600)로 난방용수를 유입시키도록 난방용수 공급관(210)과 연결되어 난방용수를 공급한다.
배출관(420)은 열교환기(600)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도가 낮아진 난방용수를 회수하여 재가열하도록 일측이 열교환기(600)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가 낮아진 난방용수를 공급받고, 타측이 난방용수 회수관(220)과 연결되어 공급받은 난방용수를 난방용수 회수관(220)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유입관(410)에는 유입관(410)의 유로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유입관 밸브(411)가 구비된다. 유입관 밸브(411)의 개폐를 통해 열교환기(600)로 공급되는 난방용수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즉 여름철 사용자가 냉수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열교환기(60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유입관 밸브(411)을 폐쇄시키고, 겨울철 온수와 냉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유입관 밸브(411)를 개방하여 온수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배출관(420)에는 배출관(420)의 유로의 개폐가 가능한 배출관 밸브(422)가 구비된다. 이는 열교환기의 노후로 인한 교체가 필요할 경우 유입관 밸브(411) 및 배출관 밸브(422)를 폐쇄 하여 열교환기(600)를 수리 및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열교환기(60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의 병렬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유입관(410)은 다수개의 열교환기(600)에 각각 독립적으로 난방용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유입관의 연결되는 개수와 동일하게 배출관(420) 또한 열교환기(600)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이후 냉온수 분배기(710)에서 분배된 온수관(520)은 다수개의 열교환기(600)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600)에 연결되어 급탕용수를 공급하고, 급탕용수를 공급받은 열교환기(600)는 이웃한 다른 열교환기(600)에 1차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급탕용수를 공급한다. 이후 이웃한 열교환기(600)에서 2차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급탕용수는 이웃한 다른 열교환기(600)에 연결된 온수관(520)을 통해 온수로써 각 세대별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600)가 복수개의 병렬로 연결되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세대별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높은 온도(난방용수의 온도와 유사한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설명된 열원공급기(100), 난방용수 공급관(210), 난방용수 회수관(220), 난방수 분기관(310), 난방수 배출관(320)을 포함하며, 열원공급기(100)와 연결되어 열원공급기(100)로부터 생산된 온수를 공급받아 각 세대별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관(230) 및 상기 온수 공급관(230)으로부터 회수된 온수를 상기 열원공급기(100)로 재 공급하는 온수 회수관(240)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중앙난방용 급탕시스템에 있어서, 온수 공급관(230)에는 공급관 차단캡(810)이 형성된다. 즉 열원공급기(100)와 인접한 온수 공급관(230)의 일부분을 절단한 후 공급관 차단캡(810)으로 개방된 온수공급관(230)을 밀폐시켜 온수의 이동을 차단한다.
또한 도 5 를 참조하면 온수 회수관(240)에는 회수관 차단캡(820)이 형성된다. 즉 열원공급기(100)와 인접한 온수 회수관(240)의 일부분을 절단한 후 회수관 차단캡(820)으로 개방된 온수공급관(230)을 밀폐시켜 열원공급기(100)에서 온수 회수관(240)으로 온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및 도 3 를 참조하면 난방수 순환관(400)은 난방용수 공급관(210)과 연결되며, 주 급탕관(500)은 급탕용수를 각 층별로 이동시키고 주 급탕관(500)에는 냉수관(510) 및 온수관(520)이 각각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급탕수 분배관(700) 및 냉온수 분배기(71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열교환기(600)는 난방용수와 상기 급탕용수 상호간에 열교환으로 인해 급탕용수를 일정온도로 상승시키 위해 구비되며, 난방수 순환관(400), 주급탕관(500), 냉수관(510) 및 온수관(520)과 급탕수 분배관(700), 냉온수 분배기(710), 열교환기(6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된 설명에 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은 난방용수 공급관(210) 및 난방용수 회수관(220)만을 사용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난방수 순환관(400)과 열교환기(600)를 통해 이동하는 난방용수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급탕용수를 가열한 후 일정온도의 온수를 대기시간 없이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원공급기(100)가 난방용수만을 생산하게 됨으로 인해 가동에 필요한 연료를 절약함은 물론 배관자재 등을 낭비하지 않아 배관 설비 시공비용 등을 절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설비관리 및 유지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있다.
100 : 열원공급기 210 : 난방용수 공급관
220 : 난방용수 회수관 230 : 온수 공급관
240 : 온수 회수관 310 : 난방수 분기관
311 : 온도조절밸브 312 : 열량계
320 : 난방수 배출관 400 : 난방수 순환관
410 : 유입관 411 : 유입관 밸브
420 : 배출관 421 : 배출관 밸브
500 : 주 급탕관 510 : 냉수관
511 : 냉수밸브 512 : 냉수계량기
520 : 온수관 521 : 온수밸브
522 : 온수계량기 600 : 열교환기
700 : 분배관 710 : 냉온수 분배기
720 : 분배관 밸브 810 : 공급관 차단캡
820 : 회수관 차단캡 S : 설정된 영역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고온의 난방용수를 생산하는 열원공급기(100)와 상기 열원공급기(100)로부터 생산된 난방용수를 공급받아 각 층별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열원공급기(100)와 연결되는 난방용수 공급관(210)과 상기 각 측별로 이동된 난방용수가 각 세대별의 설정된 영역을 순환하여 각 세대의 실내를 난방하도록 상기 난방용수 공급관(210)으로부터 분기(分岐)된 난방용수를 공급받는 난방수 분기관(310)과 상기 난방수 분기관(310)으로부터 상기 각 세대의 설정된 영역을 순환한 후 온도가 낮아진 난방용수를 전달받는 난방수 배출관(320) 및 상기 난방수 배출관(320)으로부터 전달되는 난방용수를 공급받아 재가열 시키도록 상기 열원공급기(100)로 난방용수를 전달하는 난방용수 회수관(220)과 상기 열원공급기(100)와 연결되어 상기 열원공급기(100)로부터 생산된 온수를 공급받아 각 세대별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공급관(230) 및 상기 온수 공급관(230)으로부터 회수된 온수를 상기 열원공급기(100)로 재 공급하는 온수 회수관(240)으로 이루어진 중앙난방용 급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수 공급관(230)에는 상기 온수 공급관(230)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온수 공급관(230)으로 이송되는 온수의 이동을 차단하는 공급관 차단캡(810);과
    상기 온수 회수관(240)에는 상기 온수 회수관(240)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열원 공급기(100)에서 상기 온수 회수관(240)으로 온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회수관 차단캡(820);이 구비되고,
    상기 난방용수 공급관(210)으로부터 이동하는 난방용수 중 일부가 분기(分岐)되어 지속적으로 순환하도록 일측단이 상기 난방용수 공급관(210)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난방용수 회수관(220)과 연결되는 난방수 순환관(400);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탕용수를 각 층별로 이동시키는 주 급탕관(500);
    상기 주 급탕관(500)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세대로 급탕용수를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해 일측단이 상기 주 급탕관(500)과 연결되는 냉수관(510);
    상기 주 급탕관(500)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세대로 일정온도로 가열된 급탕용수를 각 세대에 공급하기 위해 일측단이 상기 주 급탕관(500)과 연결되는 온수관(520);
    상기 난방수 순환관(400)으로부터 난방용수를 공급받고, 상기 온수관(520)으로부터 급탕용수를 공급받아 상기 난방용수와 상기 급탕용수 상호간에 열교환으로 인해 급탕용수를 일정온도로 상승시키는 열교환기(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관(510) 및 온수관(520)과 상기 주 급탕관(500) 사이에는 일측이 주 급탕관(500)과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냉수관(510) 및 온수관(520)이 연결되는 냉온수 분배기(710)가 구비되는 급탕수 분배관(7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 순환관(400)은 상기 열교환기(600)로 난방용수를 유입시키는 유입관(410)과
    상기 열교환기(600)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난방용수를 회수하여 재 가열하도록 상기 열교환기(600)로부터 난방용수를 공급받아 상기 난방용수 회수관(200)으로 이동시키는 배출관(4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입관(410)에는 상기 열교환기(600)로 공급되는 난방용수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해 상기 유입관(410)의 유로의 개폐가 가능한 유입관 밸브(4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600)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기(600)는 상기 난방수 순환관(400)으로부터 난방용수를 병렬로 각각 공급받으며, 상기 복수개의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의 열교환기에 상기 온수관(520)이 연결되고 이웃한 다른 열교환기(600)에 1차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급탕용수를 공급하여 2차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각 세대별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
KR20140144710A 2014-10-24 2014-10-24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 KR101479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4710A KR101479557B1 (ko) 2014-10-24 2014-10-24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4710A KR101479557B1 (ko) 2014-10-24 2014-10-24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557B1 true KR101479557B1 (ko) 2015-01-07

Family

ID=5258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4710A KR101479557B1 (ko) 2014-10-24 2014-10-24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5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233A (ko) 2016-06-07 2017-12-1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20170138237A (ko) 2016-06-07 2017-12-1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2121715B1 (ko) * 2018-12-27 2020-06-11 김영준 공동주택의 세대별 온수공급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364Y1 (ko) 2001-03-08 2001-09-26 주식회사 대덕쏠라에너지 난방라인에서 온수사용이 가능한 축열식 보일러의 배관구조
JP4536899B2 (ja) * 2000-10-13 2010-09-01 大阪瓦斯株式会社 冷温水式冷暖房装置
KR101081599B1 (ko) * 2009-04-28 2011-11-08 한국지역난방공사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KR101281014B1 (ko) 2012-02-02 2013-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세대 내 난방 열교환기를 이용한 지역난방용 통합배관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6899B2 (ja) * 2000-10-13 2010-09-01 大阪瓦斯株式会社 冷温水式冷暖房装置
KR200238364Y1 (ko) 2001-03-08 2001-09-26 주식회사 대덕쏠라에너지 난방라인에서 온수사용이 가능한 축열식 보일러의 배관구조
KR101081599B1 (ko) * 2009-04-28 2011-11-08 한국지역난방공사 공동 주택 및 건물의 통합배관 시스템
KR101281014B1 (ko) 2012-02-02 2013-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세대 내 난방 열교환기를 이용한 지역난방용 통합배관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233A (ko) 2016-06-07 2017-12-1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20170138237A (ko) 2016-06-07 2017-12-1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1866025B1 (ko) * 2016-06-07 2018-06-0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1866024B1 (ko) 2016-06-07 2018-06-08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2121715B1 (ko) * 2018-12-27 2020-06-11 김영준 공동주택의 세대별 온수공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693B1 (ko) 에너지 절약형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시스템
KR101425870B1 (ko) 세대용 급탕 열교환 설비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난방 급탕 통합 시스템
KR101222119B1 (ko) 직렬식 난방 및 급탕시스템
KR101497457B1 (ko) 연소부가 없는 지역 또는 중앙 난방용 세대 보일러 모듈
KR101700534B1 (ko)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102171919B1 (ko) 결합된 냉각 및 가열 시스템
KR101479557B1 (ko) 중앙난방용 급탕공급시스템
KR102506006B1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KR101281014B1 (ko) 세대 내 난방 열교환기를 이용한 지역난방용 통합배관시스템
KR102013197B1 (ko) 공동주택 노후배관 철거 및 신설배관을 이용한 세대별 난방시스템
RU42291U1 (ru) Система центрального отопления
CN104534638A (zh) 数据中心热回收系统及方法
KR101654743B1 (ko) 지역 및 중앙 난방에 적용되는 세대별 난방 및 온수 공급 장치 및 환수 온도 제어 방법
KR101794002B1 (ko) 외부 냉각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급탕 난방 통합배관 시스템
KR102624261B1 (ko) 난방 및 급탕 공급장치
JP2019525110A (ja) 加熱システム
KR101866025B1 (ko)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KR20170052731A (ko)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CN103398409B (zh) 利用回水供热系统
KR20130089487A (ko) 세대 내 급탕 열교환기를 이용한 지역난방용 통합배관시스템
KR101866024B1 (ko)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CN204611905U (zh) 一种供暖设备
KR102499867B1 (ko) 온수 분배기 결합형 급탕 가열 유닛
CN108679685A (zh) 一种冷却循环水多路回水分段冷却的集中供热系统
KR102584026B1 (ko) 온수 분배기 결합 병렬형 급탕 가열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