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574B1 -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574B1
KR101080574B1 KR1020090065032A KR20090065032A KR101080574B1 KR 101080574 B1 KR101080574 B1 KR 101080574B1 KR 1020090065032 A KR1020090065032 A KR 1020090065032A KR 20090065032 A KR20090065032 A KR 20090065032A KR 101080574 B1 KR101080574 B1 KR 101080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lan
shared database
database unit
up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485A (ko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5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5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건조를 위한 자재의 외주 제작시 선박제조사, 제조협력사 및 운송사에서 자재 하역 계획, 자재 제작 계획, 자재 선적 계획, 자재 운송 계획 등과 같은 외주 자재 수급에 관련된 계획을 수립하여 그 수립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업무협조 체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하고, 그 저장 및 업데이트된 정보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와; 자재 관련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저장시키고, 자재 제작을 요청 및 자재 운송을 요청하되,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자재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외주 자재 수급 계획을 수립하여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선박제조사 서버부와; 상기 선박제조사 서버부로부터의 자재 제작 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에 의거하여 자재 제작 계획 및 자재 선적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자재 제작 계획 업데이트 정보 및 자재 선적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시키는 제조협력사 서버부와; 상기 선박제조사 서버부로부터의 자재 운송 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에 의거하여 자재 운송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자재 운송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 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시키는 운송사 서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시간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선박을 건조할 수 있으며, 선박제조사, 제조협력사 및 운송사 간의 협업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박 건조, 자재 제작, 자재 운송, ERP

Description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Cooperation System for Constructing Vessel}
본 발명은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 건조를 위한 자재의 외주 제작시 선박제조사, 제조협력사 및 운송사에서 자재 하역 계획, 자재 제작 계획, 자재 선적 계획, 자재 운송 계획 등과 같은 외주 자재 수급에 관련된 계획을 수립하여 그 수립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업무협조 체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제조사에서는 선박을 구성하는 대형 자재를 자체적으로 제작하기도 하지만, 사외 제조협력사로의 외주를 통해 제작하는 등, 주로 제조협력사와의 협업을 통해 제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선박제조사에서는 선박을 블록 단위로 나누어 제작한 후 제작된 블록을 조립하는 작업을 통해 선박을 건조하게 되는데, 이때 선박 블록의 제작을 사외 제조협력사로 의뢰하여 추후 제작이 완료되면 운송사를 통해 선박 블록을 수급하게 된다.
이에,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박제조사는 제조협력사에게 선박 블록 등과 같은 대형 자재의 제작을 의뢰한다. 이때 자재 제작 일정, 자재 선적 일정, 자재 운송 일정 및 자재 하역 일정 등을 계획하여 자재 수급 관련 일정 계획을 수립하여 제조협력사 및 운송사로 통보한다. 이후, 선박제조사는 제조협력사와 수시로 연락을 취하여 제조협력사에서의 자재 제작 진행 현황을 파악하고 그 파악된 결과에 따라 자재 수급 관련 계획을 수정하여 제조협력사 및 운송사로 재통보한다.
한편, 제조협력사에서는 선박제조사로부터 통보받은 자재 수급 관련 계획에 따라 대형 자재를 제작하여 운송사를 통해 선박제조사로 보내주게 된다.
한편, 운송사는 선박제조사로부터 통보받은 자재 수급 관련 계획에 따라 제조협력사에서 제작된 자재를 선적하여 선박제조사로 운반하게 된다. 여기서, 운송사는 바지선 등의 해상 운송 수단에 제조협력사로부터 제작된 자재를 선적하여 운반하되, 자재 수급 관련 계획 중 자재 운송 일정에 맞추어 운반 자재가 선박제조사로 도착될 수 있도록 운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방식은, 선박제조사에서 자재 수급 관련 계획에 관련된 정보를 제조협력사 및 운송사로 통보하기 위해 담당자가 유선 전화, 팩시밀리 또는 전자 메일 등과 같은 연락 수단을 이용하기 때문에, 담당자의 실수로 인해 잘못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또한 선박제조사에서 자재를 선적한 해상 운송 수단의 위치를 실시간 파악할 수 없어 자재의 운송 현황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으며, 더욱이 운송사의 사정으로 인해 자재 하역 일정보다 늦게 대형 자재를 전달받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선박제조사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파악할 수 없어 자재 도착 이전에 미리 정해진 자재 하역 일정에 맞추어 하역 장비를 신청 및 가동시키기 때문에, 선박 건조 작업시 시간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박 건조를 위한 자재의 외주 제작시 선박제조사, 제조협력사 및 운송사에서 자재 하역 계획, 자재 제작 계획, 자재 선적 계획, 자재 운송 계획 등과 같은 외주 자재 수급에 관련된 계획을 수립하되, 작업 현장 및 해상 등의 기상 정보를 고려하여 수립하고, 그 수립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업무협조 체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은, 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하고, 그 저장 및 업데이트된 정보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와; 자재 관련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저장시키고, 자재 제작을 요청 및 자재 운송을 요청하되,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자재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외주 자재 수급 계획을 수립하여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선박제조사 서버부와; 상기 선박제조사 서버부로부터의 자재 제작 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에 의거하여 자재 제작 계획 및 자재 선적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자재 제작 계획 업데이트 정보 및 자재 선적 계획 업 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시키는 제조협력사 서버부와; 상기 선박제조사 서버부로부터의 자재 운송 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에 의거하여 자재 운송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자재 운송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시키는 운송사 서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에 의하면, 선박 건조를 위한 자재의 외주 제작시 선박제조사, 제조협력사 및 운송사에서 자재 하역 계획, 자재 제작 계획, 자재 선적 계획, 자재 운송 계획 등과 같은 외주 자재 수급에 관련된 계획을 수립하되, 작업 현장 및 해상 등의 기상 정보를 고려하여 정확하게 수립하고, 그 수립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업무협조 체계를 구현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선박을 건조할 수 있으며, 선박제조사, 제조협력사 및 운송사 간의 협업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은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와, 선박제조사 서버부(20)와, 제조협력사 서버부(30)와, 운송사 서버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와, 선박제조사 서버부(20)와, 제조협력사 서버부(30)와, 운송사 서버부(40)는 예컨대,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을 구성하며 시스템 내에서 상호 간에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선박제조사 서버부(20)와, 제조협력사 서버부(30)와, 운송사 서버부(40)는 각각 PC, 노트북, PDA 또는 웹패드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선박제조사 서버부(20)와, 제조협력사 서버부(30)와, 운송사 서버부(40)는 각각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거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키보드, 마우스 및 모니터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는 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하고, 그 저장 및 업데이트된 정보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는 선박제조사 서버부(20), 제조협력사 서버부(30) 및 운송사 서버부(4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하고, 그 저장 및 업데이트된 정보를 각 서버부로 제공한다.
또한,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인터넷망에 연계되어 있는 기상청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작업 현장 및 해상 등의 지 역별 기상 정보를 제공받아 실시간 저장 및 업데이트한다.
한편, 선박제조사 서버부(20)는 호선 및 자재 식별코드별 자재 크기(중량, 길이, 폭, 높이 등) 등과 같은 자재 관련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저장시킨 이후, 선박을 구성하는 자재를 수급하기 위해 협력제조사 서버부로 자재 제작을 요청하는 한편, 운송사 서버로 자재 운송을 요청한다. 이때, 선박제조사 서버부(20)는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 자재 관련 정보와 작업 현장 및 해상의 지역별 기상 정보 등에 의거하여 외주 자재 수급 계획을 수립하여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전송하여 저장시킨다.
여기서,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는 호선 및 자재 식별코드별로 매칭되어 있는 자재 크기, 자재 하역 계획(입항 요청 일시, 하역 실적 상태, 하역 완료 상태, 하역 일시, 하역 작업 신청 상태, 하역 장소, 하역 장비 신청 일정 등), 하역 후 공정 작업 계획, 자재 제작 계획(제조협력사명, 제작 착수일, 제작 완료일 등), 자재 선적 계획(선적 준비 예정일, 선적 준비 완료일 등), 자재 운송 계획(입항 일시, 입항 예정 일시, 운송 수단 식별코드, 운송 수단명 등)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박제조사 서버부(20)는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자재 제작 계획 정보, 자재 선적 계획 정보 및 자재 운송 계획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업데이트된 정보에 의거하여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중 자재 하역 계획을 새로 수립하여 자재 하역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 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전송하여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자재 하역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시킨다.
또한, 선박제조사 서버부(20)는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들 중에서 특정 자재 식별코드에 매칭된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해상에서 특정 자재를 운송 중인 운송 수단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그 파악된 결과에 따라 하역 장비 신청 일정 및 하역 후 공정 작업 계획을 새로 수립하여 자재 하역 계획 업데이트 정보 및 하역 후 공정 작업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전송하여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자재 하역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시키되, 이때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하역 후 공정 작업 계획 정보도 업데이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제조사 서버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2에 의하면, 예를 들어 선박제조사 서버부(20)는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들 중에서 특정 자재 식별코드에 매칭된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를 검색하여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담당자로 하여금 특정 자재를 운송 중인 운송 수단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제조협력사 서버부(30)는 선박제조사 서버부(20)로부터 자재 제작 요청을 받으면,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에 의거하여 자재 제작 계획 및 자재 선적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자재 제작 계획 업데이트 정보 및 자재 선적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전송하여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자재 제작 계획 정보 및 자재 선적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시킨다.
한편, 운송사 서버부(40)는 선박제조사 서버부(20)로부터 자재 운송 요청을 받으면,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에 의거하여 자재 운송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자재 운송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전송하여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자재 운송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시킨다.
또한, 운송사 서버부(40)는 해상에서 자재를 운송하는 운송 수단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그 획득한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를 맵 상에 매핑하여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전송하여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 및 업데이트시킨다. 여기서, 운송 수단은 GPS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위치 정보 생성 모듈 및 GPS 위치 정보 생성 모듈을 통해 생성된 위치 정보를 운송사 서버부(40)로 주기적으로 무선 송출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는 맵 상에서의 운송 수단 위치, 운송사명, 운송 수단명, 운송직원 전화번호, 운송 호선 식별코드, 운송 자재 식별코드, 출발지(예를 들어, 제조협력사명) 및 도 착지(예를 들어, 선박제조사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박제조사 서버부(20)는 선박제조사 서버부(20)는 호선 및 자재 식별코드별 자재 크기 등과 같은 자재 관련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저장시킨 이후, 선박을 구성하는 자재를 수급하기 위해 협력제조사 서버부로 자재 제작을 요청하는 한편, 운송사 서버로 자재 운송을 요청한다(S300).
상기한 단계 S300에서 선박제조사 서버부(20)는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 자재 관련 정보와 작업 현장 및 해상의 지역별 기상 정보 등에 의거하여 외주 자재 수급 계획을 수립하여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전송한다(S310).
상기한 단계 S310을 통해 선박제조사 서버부(20)로부터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수신한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는 수신된 정보를 저장한다(S320).
상기한 단계 S300을 통해 선박제조사 서버부(20)로부터 자재 제작 요청을 받은 제조협력사 서버부(30)는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에 의거하여 자재 제작 계획 및 자재 선적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자재 제작 계획 업데이트 정보 및 자재 선적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전송한다(S330).
상기한 단계 S330을 통해 제조협력사 서버부(30)로부터 자재 제작 계획 업데 이트 정보 및 자재 선적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는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의거하여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자재 제작 계획 정보 및 자재 선적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시킨다(S340).
상기한 단계 S300을 통해 선박제조사 서버부(20)로부터 자재 운송 요청을 받은 운송사 서버부(40)는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에 의거하여 자재 운송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자재 운송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전송한다(S350).
상기한 단계 S350을 통해 운송사 서버부(40)로부터 자재 운송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는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의거하여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자재 운송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360).
상기한 단계 S340 및 S360을 통해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자재 제작 계획 정보, 자재 선적 계획 정보 및 자재 운송 계획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선박제조사 서버부(20)는 업데이트된 정보에 의거하여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중 자재 하역 계획을 새로 수립하여 자재 하역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전송한다(S370).
상기한 단계 S370을 통해 선박제조사 서버부(20)로부터 자재 하역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는 수신된 업데이트 정보에 의거하여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자재 하역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한다(S380).
상기한 단계 S300 내지 S370에 따르면, 선박제조사 서버부(20), 제조협력사 서버부(30) 및 운송사 서버부(40)는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되어 수시로 업데이트되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단계 S350을 수행하는 도중에, 운송사 서버부(40)는 해상에서 자재를 운송하는 운송 수단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그 획득한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를 맵 상에 매핑하여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전송하여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 및 업데이트시킨다. 여기서,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는 맵 상에서의 운송 수단 위치, 운송사명, 운송 수단명, 운송직원 전화번호, 운송 호선 식별코드, 운송 자재 식별코드, 출발지(예를 들어, 제조협력사명) 및 도착지(예를 들어, 선박제조사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선박제조사 서버부(20)는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들 중에서 특정 자재 식별코드에 매칭된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해상에서 특정 자재를 운송 중인 운송 수단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그 파악된 결과에 따라 하역 장비 신청 일정 및 하역 후 공정 작업 계획을 보다 정확하게 새로 수립하여 자재 하역 계획 업데이트 정보 및 하역 후 공정 작업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로 전송하여 공유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자재 하역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시키되, 이때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하역 후 공정 작업 계획 정보도 업데이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제조사 서버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공유 데이터베이스부 20: 선박제조사 서버부
30: 제조협력사 서버부 40: 운송사 서버부

Claims (7)

  1. 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하되, 작업 현장 및 해상의 지역별 기상 정보를 실시간 저장 및 업데이트하며, 저장 및 업데이트된 정보의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와;
    자재 관련 정보를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저장시키고, 자재 제작을 요청 및 자재 운송을 요청하되,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자재 관련 정보와 작업 현장 및 해상의 지역별 기상 정보에 의거하여 외주 자재 수급 계획을 수립하여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선박제조사 서버부와;
    상기 선박제조사 서버부로부터의 자재 제작 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에 의거하여 자재 제작 계획 및 자재 선적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자재 제작 계획 업데이트 정보 및 자재 선적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시키는 제조협력사 서버부와;
    상기 선박제조사 서버부로부터의 자재 운송 요청에 따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에 의거하여 자재 운송 계획을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자재 운송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시키는 운송사 서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는,
    호선 및 자재 식별코드별로 매칭되어 있는 자재 크기, 자재 하역 계획, 하역 후 공정 작업 계획, 자재 제작 계획, 자재 선적 계획, 자재 운송 계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제조사 서버부는,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자재 제작 계획 정보, 자재 선적 계획 정보 및 자재 운송 계획 정보가 업데이트되면, 업데이트된 정보에 의거하여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중 자재 하역 계획을 새로 수립하여 자재 하역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어 있는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자재 하역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사 서버부는,
    GPS 위성과 통신을 수행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위치 정보 생성 모듈을 탑재한 운송 수단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고, 그 획득한 운송 수단의 위치 정보를 맵 상에 매핑하여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 및 업데이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는,
    맵 상에서의 운송 수단 위치, 운송사명, 운송 수단명, 운송직원 전화번호, 운송 호선 식별코드, 운송 자재 식별코드,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제조사 서버부는,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들 중에서 특정 자재 식별코드에 매칭된 운송 수단 위치 추적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특정 자재를 운송 중인 운송 수단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그 파악된 결과에 따라 하역 장비 신청 일정 및 하역 후 공정 작업 계획을 새로 수립하여 자재 하역 계획 업데이트 정보 및 하역 후 공정 작업 계획 업데이트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로 전송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외주 자재 수급 계획 정보 중 자재 하역 계획 정보를 업데이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데이터베이스부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인터넷망에 연계되어 있는 기상청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작업 현장 및 해상의 지역별 기상 정보를 제공받아 실시간 저장 및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KR1020090065032A 2009-07-16 2009-07-16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KR101080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032A KR101080574B1 (ko) 2009-07-16 2009-07-16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032A KR101080574B1 (ko) 2009-07-16 2009-07-16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485A KR20110007485A (ko) 2011-01-24
KR101080574B1 true KR101080574B1 (ko) 2011-11-04

Family

ID=4361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032A KR101080574B1 (ko) 2009-07-16 2009-07-16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5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184A (ko) 2011-01-25 2012-08-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탄화규소 허니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6545B1 (ko) * 2019-11-18 2023-01-10 올시데이터 주식회사 신규 선박수주에 따른 소요인력 및 기자재의 수요예측방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55A (ko) * 2000-09-08 2000-12-05 이광진 위치추적 방법을 이용한 합리적인 운송 시스템
KR20010111223A (ko) * 2000-06-09 2001-12-17 문승룡 재고/수급 스케쥴링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20021840A (ko) * 2000-09-18 2002-03-23 구자홍 네트워크 망을 이용한 자재 조달 시스템
KR20020084049A (ko) * 2002-10-16 2002-11-04 이광진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KR20040095445A (ko) * 2003-05-09 2004-11-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조선산업에서의 통합생산 최적화시스템
KR20050082901A (ko) * 2004-02-20 2005-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시 사외 협력사의 생산준비력 향상을 위한 관리방법
KR20050082902A (ko) * 2004-02-20 2005-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시 사외 협력사의 납기 정확도 향상을 위한관리 방법
KR20060019940A (ko) * 2004-08-30 2006-03-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웹기반 수,배송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90000552A (ko) * 2007-02-22 2009-01-08 주식회사 진보기업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KR20090000553A (ko) * 2007-02-22 2009-01-08 주식회사 진보기업 조선 기자재 발주관리방법
KR20090063619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시 자재정보 관리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223A (ko) * 2000-06-09 2001-12-17 문승룡 재고/수급 스케쥴링 시스템 및 그의 구동방법
KR20000072555A (ko) * 2000-09-08 2000-12-05 이광진 위치추적 방법을 이용한 합리적인 운송 시스템
KR20020021840A (ko) * 2000-09-18 2002-03-23 구자홍 네트워크 망을 이용한 자재 조달 시스템
KR20020084049A (ko) * 2002-10-16 2002-11-04 이광진 무선통신 및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통합 물류처리 시스템
KR20040095445A (ko) * 2003-05-09 2004-11-15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조선산업에서의 통합생산 최적화시스템
KR20050082901A (ko) * 2004-02-20 2005-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시 사외 협력사의 생산준비력 향상을 위한 관리방법
KR20050082902A (ko) * 2004-02-20 2005-08-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건조 시 사외 협력사의 납기 정확도 향상을 위한관리 방법
KR20060019940A (ko) * 2004-08-30 2006-03-06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웹기반 수,배송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90000552A (ko) * 2007-02-22 2009-01-08 주식회사 진보기업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KR20090000553A (ko) * 2007-02-22 2009-01-08 주식회사 진보기업 조선 기자재 발주관리방법
KR20090063619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시 자재정보 관리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485A (ko) 201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nimpieba et al. Using Internet of Things technologies for a collaborative supply chain: Application to tracking of pallets and containers
JP6480276B2 (ja) 水素製造出荷システム
Epstein et al. A strategic empty container logistics optimization in a major shipping company
US11593750B2 (en) Managing and tracking shipments
US20140180952A1 (en) Cost and latency reductions through dynamic updates of order movement through a transportation network
JP2007257673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予約情報交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プロダクト
CN112183932A (zh) 一种机器人配送任务调度方法及系统
Ilin et al. Digital technology implementation for smart city and smart port cooperation
KR101080574B1 (ko)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Zhou et al. Intelligent cargo tracking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Belayachi et al. The logistic of empty containers′ return in the liner-shipping network
Chen et al. Development of logistic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based on web service architecture and RFID technology
JP2006202021A (ja) 入荷検品支援システム
Shamsuzzoha et al. Tracking and Tracing of Global Supply Chain Network: Case Study from a Finnish Company.
JP6905246B2 (ja) 情報化されたコンテナ
JP4766345B2 (ja) 携帯端末を使用した情報の自動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30089749A (ko) 선박 제조를 위한 정보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14241A (ko) 자원 공급 수행 성능 분석 시스템
JP2011034185A (ja) Ediサーバコンピュータ及びediシステム
Haasis et al. Cloud-based eBusiness standardization in the maritime supply chain
JP5427700B2 (ja) 輸送中動産価値の評価支援システム、評価支援方法、および評価支援プログラム
WO2024005092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73279B2 (ja) サプライチェーンモデル生成システム、サプライチェーンモデル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212911A (ja) 流通管理システム
JP3970870B2 (ja) サー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