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552A -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552A
KR20090000552A KR1020070017948A KR20070017948A KR20090000552A KR 20090000552 A KR20090000552 A KR 20090000552A KR 1020070017948 A KR1020070017948 A KR 1020070017948A KR 20070017948 A KR20070017948 A KR 20070017948A KR 20090000552 A KR20090000552 A KR 20090000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hipyard
order
user
part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김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보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보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보기업
Priority to KR102007001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552A/ko
Publication of KR20090000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선소의 발주정보 및 조선공정정보와 협력사의 수주정보, 생산공정진행정보, 배송정보와 관련된 상호간의 일관된 정보를 데이터 통신 및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한 실시간 정보전달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의 공유로 적시적소에 제품 납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Description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Receiving an ord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hip construction materia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선소에서 필요로 하는 기자재의 발주에 따른 협력사의 수주관리를 수요자인 조선소와 공급자인 협력사가 TCP.IP 기반의 인터넷망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통신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정확한 수주정보의 획득으로 신속한 생산 스케쥴의 수립 및 자재별 BOM(Bills of Material; 물품 표준서) 등록 및 자재별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자재소요계획) 계산을 자동 생성하여 철강류 의 가변적인 품목관리 및 자재구매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현재 국내 조선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업체들은 소형 조선업체들을 포함할 경우, 90년대 이후 250여개 정도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으며, 각 조선업체들은 각 사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특히 정보기술(IT)을 활용해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젝트가 활발하다.
그 대표적인 예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이 조선산업에 도입된 바 있으나, 이러한 ERP 시스템은 선주가 원하는 선박을 개별적으로 설계해서 이에 맞춰 만들어 주는 Engineering-to-Order 형식을 취하며, 더욱이 설계와 구매, 생산이 동시에 진행되는 현장성이 강한 조선산업의 특성상 도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조선업계의 ERP 시스템의 도입이 미비하다 보니, 각 조선업체(이하, 조선소라 칭함)의 조선기자재업체(이하, 협력사라 칭함)들의 전산화도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협력사 중, 철강류의 원자재를 사용하는 철의장, 블록제작, 배관 등의 관련업체 전산화 수준은 전업종 중, 최하위라 할 수 있다.
즉, 조선시스템의 핵심은 생산계획, 설계계획, 자재계획이며, 이 모든 것이 제대로 작동되기 위해서는 정보흐름관리가 키포인트인데, 협력사의 전산화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 실패원인은 대부분이 수주정보의 처리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아 생산계획 및 자재계획이 원활하지 않은데 기인하고 있다.
이러한 조선업계에서의 ERP 시스템 도입의 주요 실패원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 조선소의 발주정보 중 납기일, 가격, 제조사양의 변경이 자주 발생되는 반면, 조선소에서는 인터넷 상으로만 제한적으로 변경내용을 공지함으로써 협력사가 이를 사전에 파악하지 않으면, 생산공정 및 자재수급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다.
2. 철강류의 원자재를 사용하는 협력사의 관리중심은 중량이나, 기존의 ERP 시스템은 수량 중심으로 관리되어 생산원가 및 납품원가의 관리가 어렵다.
3. 품목관리의 항목이 한정적이어서 규격 및 사이즈에 따라 수 만개나 되는 철강류의 품목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ERP 시스템은 일반제조 또는 유통업체를 중심으로 제작되다 보니, 철강류의 원자재를 사용하는 조선기자재업체인 협력사에서 사용하기에는 상기와 같은 많은 문제점이 따르며 실패의 원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조선기자재업체의 전산화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 조선업계의 업무특성에 맞는 기자재의 수주정보의 관리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며, 이는 협력사의 단독 시스템이 아닌 조선소와 연동될 수 있는 협업적 일관 시스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조선소의 발주정보 및 조선공정정보와 협력사의 수주정보, 생산공정진행 정보, 배송정보와 관련된 상호간의 일관된 정보를 데이터 통신 및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한 실시간 정보전달을 통하여 제공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의 공유로 적시적소에 제품 납품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주정보의 철강류 기자재에 대한 자재별 중량관리를 통하여 생산원가 및 납품원가를 정확하게 산출 관리함과 동시에, 정확하고 신속한 수주정보의 획득으로 생산 스케쥴의 수립 및 자재별 BOM(Bills of Material; 물품 표준서)등록 및 자재별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자재소요계획) 계산을 자동 생성하여 철강류의 가변적인 품목관리 및 자재구매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은 조선소의 기자재 발주에 따른 협력사의 조선 기자재의 수주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선소 측에 설치되어 TCP.IP 기반의 인터넷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해당 협력사별 발주정보 및 해당 선박의 조선공정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며, 자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사용자의 인증관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발주정보 및 해당 조선공정정보의 처리, 및 해당 협력사로부터 전송된 물품별 배송정보를 입고정보로 처리하며,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의 발송을 처리하는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연계하여 조 선소 측의 사용자 정보, 협력사별 발주정보, 협력사별 조선공정정보 및 협력사별 발주 물품의 입고정보 및 메시지 발송정보를 저장하는 조선소 데이터베이스 유닛; 상기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 정보의 입출력, 메시지 및 SMS 메시지를 송수신을 수행하는 조선소 사용자 단말기 유닛; 상기 협력사 측에 설치되어 TCP.IP 기반의 인터넷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해당 조선소별 수주정보 및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공정진행정보를 제공하며, 자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사용자의 인증관리, 해당 조선소로부터 전송된 발주정보를 수주정보로 처리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공정진행정보 및 물품별 배송정보를 해당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 처리하며,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의 발송을 처리하는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연계하여 협력사 측의 사용자 정보, 조선소별 수주정보, 조선소별 수주 물품의 생산공정진행정보, 배송정보 및 메시지 발송정보를 저장하는 협력사 데이터베이스 유닛;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 정보의 입출력, 메시지 및 SMS 메시지를 송수신을 수행하는 협력사 사용자 단말기 유닛; 상기 조선소 및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생성된 문자열을 요청에 따라 무선으로 연결된 각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SMS 서비스 IP 서버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이룰 수 있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방법은, 조선소의 기자재 발주에 따른 협력사의 조선 기자재의 수주관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 및 ID를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접속인증단계와; 상기 사용자 접속인증단계로부터 인증된 사용자의 담당 수주정보를 확인하여 변경된 수주정보 또는 신규 수주정보가 있는가를 확인하는 수주정보확인단계; 상기 수주정보확인단계로부터 변경된 수주정보 및 신규 수주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 스케쥴을 생성하고, 자재별 BOM 등록 및 자재별 MRP 산출 후, 담당자에 변경정보를 발송하는 생산 스케줄생성단계;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공정진행정보를 등록하여 해당 수주 물품의 납기정보에 변동이 있는가는 판단하여 변동 사항이 있는 경우, 이를 조선소 및 협력사 사용자에게 메시지 및 SMS 메시지 정보를 실시간 전송 요청하는 정보발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은 조선소의 기자재 발주에 따른 협력사의 조선 기자재의 수주관리를 위한 것으로, 그 주요구성은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10), 조선소 데이터베이스 유닛(20), 조선소 사용자 단말기 유닛(30),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40), 협력사 데이터베이스 유닛(50), 협력사 사용자 단말기 유닛(60), SMS 서비스 IP 서버(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상기 조선소 측에 설치되며, TCP.IP 기반의 인터넷망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해당 협력사별 발주정보 및 해당 선박의 조선공정정보를 포함하는 여러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자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사용자의 인증관리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발주정보 및 해당 조선공정정보의 처리, 및 해당 협력사로부터 전송된 물품별 배송정보를 입고정보로 처리하며,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의 발송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TCP.IP 기반의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인증키를 사용하여 송수신된 DATA를 암호화 및 복호화 처리함과 동시에, 협력사별로 송수신된 DATA를 분류하여 처리하며, FIREWELL PROTOCOL 및 SOAP을 이용한 DATA 송수신을 이룬다.
상기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10)는 조선소측 사용자의 인증과정을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 처리부(11)와, 해당 선박에 관련한 발주정보 및 변경된 발주정보를 각 협력사별로 전송하는 발주정보 처리부(12), 해당 선박에 대한 조선공정정보를 각 협력사별로 전송하는 조선공정정보 처리부(13), 해당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40)로부터 전송된 물품별 배송정보를 입고정보로 수신하는 입고정보 처리부(14), 조선소 및 협력사 사용자 단말기(30,60)로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를 발송하는 메시지 정보 발송 처리부(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선소 데이터베이스 유닛(20)은 상기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 버(10)에 연계하여 조선소 측의 사용자 정보, 협력사별 발주정보, 협력사별 조선공정정보 및 협력사별 발주 물품의 입고정보 및 메시지 발송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조선소 데이터베이스 유닛(20)은 상기 조선소측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1)와, 해당 선박에 대한 발주정보 및 변경된 발주정보를 저장하는 발주정보 데이터베이스(22), 해당 선박에 대한 조선공정정보를 저장하는 조선공정정보 데이터베이스(23), 해당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40)로부터 전송된 물품별 배송정보를 입고정보로 저장하는 입고정보 데이터베이스(24), 조선소 및 협력사 사용자 단말기(30,60)로 발송된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25)로 구성되며, 각각의 정보는 각 데이터베이스에 암호화되어 저장되며, 각 처리부의 요청에 의해 해당 정보를 저장, 지원하게 된다.
상기에서, 조선소측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담당부서, 담당업무, 권한범위 등의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발주정보는 BOM(Bills of Material; 물품 표준서 즉, 제품이나 어셈블리(assembly)를 이루는 구성부품(component)들의 구조화된 리스트로 정의함, 각 구성부품별 수량, 단위를 포함)에 따르며, 각 BOM은 거래처코드, 호선, 품명, 수량, 중량, 가격, 납기일, 제조사양 등의 관리인자로 관리된다. 특히, 상기 발주정보 중에서, 납기일, 가격, 제조사양은 빈번하게 변경되는 항목이다.
그리고 상기 조선공정정보는 해당 선박의 공정률, 공정일정 등의 정보로 관리되며, 상기 입고정보는 해당 품목의 거래처코드, 호선, 품명, 입고일, 입고수량, 입고위치 등의 정도로 관리되며, 상기 메시지 정보는 메신저를 통한 쪽지나 SMS 서비스를 통하여 전송된 문자열 내용과, 발송시간, 수신확인 등의 정보로 관리된다.
또한, 상기 조선소 사용자 단말기 유닛(30)은 상기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10)에 접속, 정보의 입출력,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제1사용자 단말기(31)와 상기 SMS 서비스 IP 서버(70)로부터 전송되는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제2사용자 단말기(32)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31)는 조선소측 사용자의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2사용자 단말기(32)는 조선소측 사용자의 휴대폰, PDA폰 등의 이동 통신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40)는 상기 협력사 측에 설치되어 TCP.IP 기반의 인터넷망을 이용한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해당 조선소별 수주정보 및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공정진행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자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사용자의 인증관리, 해당 조선소로부터 전송된 발주정보를 수주정보로 처리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공정진행정보 및 물품별 배송정보를 분류하여 해당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전송 처리하며,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의 발송을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40)는 TCP.IP 기반의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상기 조선소사 어플리케이션 서버(10)와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인증키를 사용하여 송수신된 DATA를 암호화 및 복호화 처리함과 동시에, 조선소별로 송수신된 DATA를 분류하여 처리하며, FIREWELL PROTOCOL 및 SOAP을 이용한 DATA 송수신을 이룬다.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40)는 협력사측 사용자의 인증과정을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 처리부(41)와, 해당 조선소별 발주정보 및 변경된 발주정보를 수주정보 및 변경된 수주정보로 수신하는 수주정보 처리부(42), 상기 수주정보에 따른 해당 물품에 대한 생산 스케쥴 생성 및 생산공정진행정보를 각 조선소별로 전송하는 생산공정진행정보 처리부(43), 생산된 물품별 배송정보를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10)로 전송하는 배송정보 처리부(44), 및 조선소 및 협력사 사용자 단말기(30,60)로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를 발송하는 메시지 정보 발송 처리부(45)를 포함한다.
상기 협력사 데이터베이스 유닛(50)은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연계하여 협력사 측의 사용자 정보, 조선소별 수주정보, 조선소별 수주 물품의 생산공정진행정보, 배송정보 및 메시지 발송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협력사 데이터베이스 유닛(50)은 상기 협력사측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1)와, 해당 조선소별 발주정보 및 변경된 발주정보를 수주정보 및 변경된 수주정보로 저장하는 수주정보 데이터베이스(52), 상기 수주정보에 따른 해당 물품에 대한 생산 스케쥴 및 생산공정진행정보를 저장하는 생산공정진행정보 데이터베이스(53), 생산된 물품별 배송정보를 저장하는 배송정보 데이터베이스(54)와, 조선소 및 협력사 사용자 단말기(30,60)로 발송된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55)로 구성되며, 각각의 정보는 각 데이터베이스에 암호화되어 저장되며, 각 처리부의 요청에 의해 해 당 정보를 지원하게 된다.
상기에서, 협력사측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담당부서, 담당업무, 권한범위 등의 정보로 구성된다.
상기 수주정보는 발주정보의 BOM에 따르며, 각 BOM은 거래처코드, 호선, 품명, 수량, 중량, 가격, 납기일, 제조사양 등의 관리인자로 관리된다.
그리고 상기 생산공정진행정보는 해당 수주 품목의 설계, 절단, 가공, 제작, 도장, 조립, 검사 등의 공정진행 일정, 및 현재공정, 공정완료일 등의 정보로 관리되며, 상기 배송정보는 해당 품목의 거래처코드, 호선, 품명, 배송일, 배송수량, 배송위치 등의 정도로 관리되며, 상기 메시지 정보는 메신저를 통한 쪽지나 SMS 서비스를 통하여 전송된 문자열 내용과, 발송시간, 수신확인 등의 정보로 관리된다.
또한, 협력사 사용자 단말기 유닛(60)은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접속, 정보의 입출력, 메시지 및 SMS 메시지를 송수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협력사 사용자 단말기 유닛(60)은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접속, 정보의 입출력,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제3사용자 단말기(61)와, 상기 SMS 서비스 IP 서버(70)로부터 전송되는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복수개의 제4사용자 단말기(62)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제3사용자 단말기(61)는 협력사측 사용자의 컴퓨터, PDA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4사용자 단말기(62)는 협력사측 사용자의 휴대폰, PDA폰 등을 포함한다.
상기 SMS 서비스 IP 서버(70)는 상기 조선소 및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 버(10,40)에서 생성된 문자열을 요청에 따라 무선으로 연결된 제2,제4사용자 단말기(32,62), 즉, 휴대폰 또는 PDA폰 등으로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협력사측 사용자가 제3사용자 단말기(61)를 통하여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접속된 상태로 ID를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접속인증단계를 수행한다.(S10)
이때, 협력사측 어플리케이션 서버(40)는 사용자 인증 처리부(41)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인증단계(S10)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용자 접속인증단계(S10)는 제3사용자 단말기(61)를 통하여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접속 및 ID를 전송하는 단계(S11)와, 사용자 인정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 접속인증단계(S10)로부터 인증된 사용자가 담당하는 수주정보를 확인하여 각 관리 항목별로 변경된 수주정보 또는 신규 수주정보가 있는가를 확인하는 수주정보확인단계(S20)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협력사측 어플리케이션 서버(40)의 수주정보 처리부(42)에서 처리하게 된다.
상기 수주정보확인단계(S20)는 상기 사용자 접속인증단계(S10)로부터 인증된 사용자의 담당 수주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21)와, 상기 수주정보와 최초 수주정보를 비교하여 변경된 수주정보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2) 및 상기 단계(S22)에서, 변경된 수주정보가 없는 경우, 신규 수주정보가 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2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주정보와 최초 수주정보를 비교하여 변경된 수주정보가 있거나, 신규 수주정보가 있는 경우, 이는 사용자 프로그램을 통하여 제3사용자 단말기(61)로 조회되며, 특히, 수주정보 중의 납기일, 가격, 제조사양 등에 대한 변경사항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수주정보확인단계(S20)로부터 변경된 수주정보(특히, 납기일, 제조사양, 가격) 및 신규 수주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 스케쥴을 생성하고, 자재별 BOM 등록 및 자재별 MRP 산출 후, 담당자에 변경정보를 발송하는 생산 스케줄생성단계를 진행한다.(S30)
여기서, 상기 생산 스케쥴생성단계(S30)는 상기 협력사측 어플리케이션 서버(40)의 생산공정진행정보 처리부(43)에서 처리하게 되는데, 먼저, 상기 수주정보확인단계(S20)로부터 변경된 수주정보 및 신규 수주정보에 따른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 스케쥴을 자동으로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S31)를 진행한다.
이어서, 상기 변경된 수주정보 및 신규 수주정보에 따른 자재별 BOM을 등록하고, 해당 자재별 MRP를 자동 산출한 후,(S32) 상기 생성된 생산 스케줄의 변경정보를 해당 수주 품목의 생산 담당자에 발송하게 된다.(S33)
여기서, 상기 생성된 생산 스케줄의 변경정보를 해당 수주 품목의 생산 담당자에 발송하는 단계(S33)는 상기한 협력사측 어플리케이션 서버(40)의 메시지 정보 발송 처리부(45)에서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해당 수주 물품별로 생산공정진행정보를 등록하여 해당 수주 물품의 납기정보에 변동이 있는가는 판단하여 변동 사항이 있는 경우, 이를 조 선소 및 협력사 사용자에게 메시지 및 SMS 메시지 정보를 실시간 전송 요청하는 정보발송단계(S40)를 진행하게 되는데, 이는 협력사측 어플리케이션 서버(40)의 배송정보 처리부(44)와 메시지 정보 발송 처리부(45)에서 처리하게 된다.
즉, 상기 정보발송단계(S40)는 먼저 사용자가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공정진행정보를 등록하거나, 일정에 변경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자동 계산처리된다.(S41)
이어서, 상기 배송정보 처리부(44)에서는 상기 등록된 생산공정진행정보로부터 해당 수주 물품의 납기정보에 변동이 있는가는 판단하게 된다.(S42)
상기 단계(S42)에서, 납기정보에 변동 사항이 있는 경우, 상기 메시지 정보 발송 처리부(45)에서는 이를 조선소 및 협력사의 사용자 단말기(30,60)로 쪽지 등의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를 실시간 전송 요청하는 단계(S43)를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는 배송정보, 납기변동사항 이외에도 공지사항, 공정실적, 수주등록 등의 다양한 정보를 필요에 따라 함께 발송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정보발송단계(S40)에 이어서,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접속상태를 종료할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50)를 통하여 접속상태의 유지 또는 종료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에 의하면, 조선소의 발주정보 및 조선공정정보와 협력사의 수주정보, 생산공정진행정보, 배송정보와 관련된 상호간의 일관된 정보, 특히, 조선소의 발주정보 중 변경사항이 자주 발생하는 납기일, 가격, 제조사양의 정보를 데이터 통신 및 무선통신수단을 이용한 실시간 정보전달을 통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의 공유로 생산공정 및 자재수급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적시적소에 제품 납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주정보의 철강류 기자재에 대한 자재별 중량 항목을 관리함으로써 생산원가 및 납품원가를 정확하게 산출 관리할 수 있으며, 정확하고 신속한 수주정보의 획득으로 생산 스케쥴의 수립 및 자재별 BOM(Bills of Material; 물품 표준서)등록 및 자재별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자재소요계획) 계산을 자동 생성하여 철강류의 가변적인 품목관리 및 자재구매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조선소의 기자재 발주에 따른 협력사의 조선 기자재의 수주관리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선소 측에 설치되어 TCP.IP 기반의 인터넷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해당 협력사별 발주정보 및 해당 선박의 조선공정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제공하며, 자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사용자의 인증관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발주정보 및 해당 조선공정정보의 처리, 및 해당 협력사로부터 전송된 물품별 배송정보를 입고정보로 처리하며,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의 발송을 처리하는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연계하여 조선소 측의 사용자 정보, 협력사별 발주정보, 협력사별 조선공정정보 및 협력사별 발주 물품의 입고정보 및 메시지 발송정보를 저장하는 조선소 데이터베이스 유닛;
    상기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 정보의 입출력, 메시지 및 SMS 메시지를 송수신을 수행하는 조선소 사용자 단말기 유닛;
    상기 협력사 측에 설치되어 TCP.IP 기반의 인터넷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해당 조선소별 수주정보 및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공정진행정보를 제공하며, 자체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는 사용자의 인증관리, 해당 조선소로부터 전송된 발주정보를 수주정보로 처리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공정진행정보 및 물품별 배송정보를 해당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 처리 하며,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의 발송을 처리하는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연계하여 협력사 측의 사용자 정보, 조선소별 수주정보, 조선소별 수주 물품의 생산공정진행정보, 배송정보 및 메시지 발송정보를 저장하는 협력사 데이터베이스 유닛;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 정보의 입출력, 메시지 및 SMS 메시지를 송수신을 수행하는 협력사 사용자 단말기 유닛;
    상기 조선소 및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생성된 문자열을 요청에 따라 무선으로 연결된 각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SMS 서비스 IP 서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TCP.IP 기반의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조선소측 사용자의 인증과정을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 처리부;
    해당 선박에 대한 발주정보 및 변경된 발주정보를 각 협력사별로 전송하는 발주정보 처리부;
    해당 선박에 대한 조선공정정보를 각 협력사별로 전송하는 조선공정정보 처리부;
    해당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전송된 물품별 배송정보를 입고정보로 수신하는 입고정보 처리부;
    조선소 및 협력사 사용자의 단말기로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를 발송하는 메시지 정보 발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선소 데이터베이스 유닛은
    상기 조선소측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해당 선박에 대한 발주정보 및 변경된 발주정보를 저장하는 발주정보 데이터베이스;
    해당 선박에 대한 조선공정정보를 저장하는 조선공정정보 데이터베이스;
    해당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전송된 물품별 배송정보를 입고정보로 저장하는 입고정보 데이터베이스;
    조선소 및 협력사 사용자의 단말기로 발송된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선소 사용자 단말기 유닛은
    상기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 정보의 입출력,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복수개의 제1사용자 단말기;
    상기 SMS 서비스 IP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SMS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복수개의 제2사용자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TCP.IP 기반의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상기 조선소사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협력사측 사용자의 인증과정을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 처리부;
    해당 조선소별 발주정보 및 변경된 발주정보를 수주정보 및 변경된 수주정보로 수신하는 수주정보 처리부;
    상기 수주정보에 따른 해당 물품에 대한 생산 스케쥴 생성 및 생산공정진행정보를 각 조선소별로 전송하는 생산공정진행정보 처리부;
    생산된 물품별 배송정보를 조선소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배송정보 처리부;
    조선소 및 협력사 사용자의 단말기로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를 발송하는 메시지 정보 발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 데이터베이스 유닛은
    상기 협력사측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해당 조선소별 발주정보 및 변경된 발주정보를 수주정보 및 변경된 수주정보로 저장하는 수주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수주정보에 따른 해당 물품에 대한 생산 스케쥴 및 생산공정진행정보를 저장하는 생산공정진행정보 데이터베이스;
    생산된 물품별 배송정보를 저장하는 배송정보 데이터베이스;
    조선소 및 협력사 사용자의 단말기로 발송된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력사 사용자 단말기 유닛은
    상기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 정보의 입출력,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복수개의 제3사용자 단말기;
    상기 SMS 서비스 IP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SMS 메시지의 송수신을 위한 복수개의 제4사용자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8. 조선소의 기자재 발주에 따른 협력사의 조선 기자재의 수주관리를 위한 방법 에 있어서,
    사용자가 협력사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 및 ID를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접속인증단계와;
    상기 사용자 접속인증단계로부터 인증된 사용자의 담당 수주정보를 확인하여 변경된 수주정보 또는 신규 수주정보가 있는가를 확인하는 수주정보확인단계;
    상기 수주정보확인단계로부터 변경된 수주정보 및 신규 수주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 스케쥴을 생성하고, 자재별 BOM 등록 및 자재별 MRP 산출 후, 담당자에 변경정보를 발송하는 생산 스케줄생성단계;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공정진행정보를 등록하여 해당 수주 물품의 납기정보에 변동이 있는가는 판단하여 변동 사항이 있는 경우, 이를 조선소 및 협력사 사용자에게 메시지 및 SMS 메시지 정보를 실시간 전송 요청하는 정보발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주정보확인단계는
    상기 사용자 접속인증단계로부터 인증된 사용자의 담당 수주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수주정보와 최초 수주정보를 비교하여 변경된 수주정보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변경된 수주정보가 없는 경우, 신규 수주정보가 있는가를 확 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 스케쥴생성단계는
    상기 수주정보확인단계로부터 변경된 수주정보 및 신규 수주정보에 따른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 스케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수주정보 및 신규 수주정보에 따른 자재별 BOM을 등록하고, 해당 자재별 MRP를 자동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생산 스케줄의 변경정보를 해당 수주 품목의 생산 담당자에 발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발송단계는
    사용자가 해당 수주 물품의 생산공정진행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생산공정진행정보로부터 해당 수주 물품의 납기정보에 변동이 있는가는 판단하는 단계;
    상기에서 납기정보에 변동 사항이 있는 경우, 이를 조선소 및 협력사 사용자의 단말기로 메시지 정보 및 SMS 메시지 정보를 실시간 전송 요청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방법.
KR1020070017948A 2007-02-22 2007-02-22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KR20090000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948A KR20090000552A (ko) 2007-02-22 2007-02-22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948A KR20090000552A (ko) 2007-02-22 2007-02-22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52A true KR20090000552A (ko) 2009-01-08

Family

ID=4048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948A KR20090000552A (ko) 2007-02-22 2007-02-22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5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574B1 (ko) * 2009-07-16 2011-1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CN103366288A (zh) * 2012-03-28 2013-10-23 上海商派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网上销售配送费用计算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574B1 (ko) * 2009-07-16 2011-1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를 위한 협업 시스템
CN103366288A (zh) * 2012-03-28 2013-10-23 上海商派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网上销售配送费用计算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2275B (zh) 用于使得任务能够在企业环境中聚合的方法、计算机程序产品及设备
CN111095315A (zh) 启用区块链的供应链的协作交易信息处理
JP2018536245A (ja) 商標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10326974A1 (en) Blockchain-based outsourcing processing method and platform
CN105868939A (zh) 配送物件的自动分配方法及系统
KR20220000529A (ko) 실시간으로 재고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JP6462945B1 (ja) 製造委託支援装置、製造委託支援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CN111325600A (zh) 产供销联动平台、方法、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KR20150049671A (ko) 외주견적 관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80369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work orders
KR20090000552A (ko) 조선 기자재 수주관리 시스템
KR20220049636A (ko) 실시간 재고 파악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KR20090000553A (ko) 조선 기자재 발주관리방법
KR20100043386A (ko) Bom에 연계된 도면 정보를 활용한 전자도면 배포장치 및그 방법
KR20110091156A (ko) 발주대상업체 선정 관리시스템
KR20210157676A (ko) 실시간으로 재고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JP5803781B2 (ja) 情報処理装置
KR20210102574A (ko) 실시간으로 재고 추적이 가능한 스마트 물류관리 시스템
KR20080004264A (ko) 조선소의 조달업무상의 구매 발주에 관한 견적관리 시스템구축 방법
KR102266121B1 (ko) 전자 도면의 자재목록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130082843A (ko) 불량원자재 관리 지원시스템
KR20190021915A (ko) 주문 물량 대형화에 의한 철강 제품 주문 방법
KR101201100B1 (ko) 강재 물류 관리 시스템
KR20190044934A (ko) 통합형 견적 관리 시스템 그 방법
KR20130082786A (ko) 피투피 기반의 선박용품 데이터 맵핑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