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156A - 발주대상업체 선정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발주대상업체 선정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156A
KR20110091156A KR1020100010861A KR20100010861A KR20110091156A KR 20110091156 A KR20110091156 A KR 20110091156A KR 1020100010861 A KR1020100010861 A KR 1020100010861A KR 20100010861 A KR20100010861 A KR 20100010861A KR 20110091156 A KR20110091156 A KR 20110091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oe
selection
data
module
ord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표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1156A/ko
Publication of KR20110091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주대상업체(OOE: Order Objective Enterprise) 선정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기업 기간계 시스템의 통신 파이프 라인 내에, OOE 선정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선정 대상 OOE를 선별한 후, 선별된 각 OOE의 등록데이터(예컨대, 각 OOE의 발주실적 데이터, 각 OOE의 제품생산 주소지 데이터, 각 OOE의 제품생산현황 데이터, 각 OOE의 주력 생산제품 데이터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된 각 OOE의 등록데이터를 기 설정되어 있던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예컨대, 기 발주실적이 높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의 생산량이 많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을 전문 생산하는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와 비교하여, 각 우선순위 기준항목에 최적으로 매칭되는 OOE를 선정하고, 해당 선정내역이 반영된 OOE 선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OOE 선정데이터, OOE 등록데이터 등을 기 설정되어 있던 발주물량 조절 기준정보(예컨대, XX 부속제품은 XX업체에 우선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생산량이 XX에 해당하는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기 납품실적이 최대인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와 비교하여, 각 선정 OOE별로 부속제품의 총 발주물량을 조절·배분하고, 해당 조절·배분 내역이 반영된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OOE 선정데이터,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토대로, OOE 선정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OOE 선정리스트를 발주담당자 측에 출력·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 배치하고, 이를 통해, 발주담당자 측에서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을 배제한 상태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우량 OOE를 부속제품을 실제 납품할 파트너로 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업 측에서 불합리한 OOE의 거래상대 부당 선정에 기인하였던 각종 피해, 예컨대, <생산품의 불량발생 피해>, <물류비용의 불필요한 증가 피해>, <생산품의 생산기간 지연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주대상업체 선정 관리시스템{System for managing a process which selects the order objective enterprise}
본 발명은 발주대상업체(OOE: Order Objective Enterprise; 이하, "OOE"라 함)의 선정절차를 관리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업 기간계 시스템의 통신 파이프 라인 내에, OOE 선정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선정 대상 OOE를 선별한 후, 선별된 각 OOE의 등록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된 각 OOE의 등록데이터를 기 설정되어 있던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각 우선순위 기준항목에 최적으로 매칭되는 OOE를 선정하고, 해당 선정내역이 반영된 OOE 선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OOE 선정데이터, OOE 등록데이터 등을 기 설정되어 있던 발주물량 조절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각 선정 OOE별로 부속제품의 총 발주물량을 조절·배분하고, 해당 조절·배분 내역이 반영된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OOE 선정데이터,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토대로, OOE 선정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OOE 선정리스트를 발주담당자 측에 출력·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 배치하고, 이를 통해, 발주담당자 측에서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을 배제한 상태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우량 OOE를 부속제품을 실제 납품할 파트너로 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업 측에서 불합리한 OOE의 거래상대 부당 선정에 기인하였던 각종 피해, 예컨대, <생산품의 불량발생 피해>, <물류비용의 불필요한 증가 피해>, <생산품의 생산기간 지연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OOE 선정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규모가 급증하면서, 다수의 OOE와 복합적인 거래를 시행하는 기업의 숫자 또한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OOE를 어떻게 선정하고 관리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기업의 사업승패를 결정짓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기업(예컨대, 선박 건조기업)에 소속된 발주담당자 측에서는 특정 생산품(예컨대, 선박)과 관련된 부속제품(예컨대, 강판)의 발주가 결정되면, 이 부속제품과 관련된 다수의 OOE 후보 중에서, 해당 부속제품 발주에 적합한 적정 OOE를 선정한 후, 선정된 OOE 측에게 부속제품의 공급을 주문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에서, 자칫 잘못하여, 부적합한 OOE(예컨대, 발주실적이 현격히 저조한 업체, 생산품의 실제 생산지역으로부터 현격히 먼 곳에 위치한 업체, 부속제품 생산능력이 현격히 떨어지는 업체, 부속제품의 생산품목이 현격히 제한되어 있는 업체, 부속제품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업체 등)가 부속제품을 납품할 실제 OOE로 잘못 선정되고, 실제, 이 OOE와의 거래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경우, 기업 측에서는 생산품의 정상적인 생산에 큰 타격을 입게 됨은 물론, 각종 경제적/시간적 손실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발주담당자 측에서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 없이, 단지, 자신이 보관 중이던 개인자료/부서 자료, 자신의 개인적인 업무경험, 주변 선배/동료의 조언 등에 의존한 지극히 주관적인 판단 하에, OOE를 선정하였던 바, 이 경우, 부적절한 OOE(예컨대, 발주실적이 현격히 저조한 업체, 생산품의 실제 생산지역으로부터 현격히 먼 곳에 위치한 업체, 부속제품 생산능력이 현격히 떨어지는 업체, 부속제품 생산품목이 현격히 제한되어 있는 업체, 부속제품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업체 등)가 그 흠결 사항에도 불구하고, 부속제품을 납품할 적정 OOE로 잘못 선정될 개연성은 크게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기업 측에서, <생산품의 불량발생>, <물류비용의 불필요한 증가>, <생산품의 생산기간 지연> 등과 같은 심각한 피해를 입을 개연성 역시 크게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업 기간계 시스템의 통신 파이프 라인 내에, OOE 선정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선정 대상 OOE를 선별한 후, 선별된 각 OOE의 등록데이터(예컨대, 각 OOE의 발주실적 데이터, 각 OOE의 제품생산 주소지 데이터, 각 OOE의 제품생산현황 데이터, 각 OOE의 주력 생산제품 데이터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된 각 OOE의 등록데이터를 기 설정되어 있던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예컨대, 기 발주실적이 높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의 생산량이 많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을 전문 생산하는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와 비교하여, 각 우선순위 기준항목에 최적으로 매칭되는 OOE를 선정하고, 해당 선정내역이 반영된 OOE 선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OOE 선정데이터, OOE 등록데이터 등을 기 설정되어 있던 발주물량 조절 기준정보(예컨대, XX 부속제품은 XX업체에 우선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생산량이 XX에 해당하는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기 납품실적이 최대인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와 비교하여, 각 선정 OOE별로 부속제품의 총 발주물량을 조절·배분하고, 해당 조절·배분 내역이 반영된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OOE 선정데이터,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토대로, OOE 선정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OOE 선정리스트를 발주담당자 측에 출력·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 배치하고, 이를 통해, 발주담당자 측에서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을 배제한 상태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우량 OOE를 부속제품을 실제 납품할 파트너로 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업 측에서 불합리한 OOE의 거래상대 부당 선정에 기인하였던 각종 피해, 예컨대, <생산품의 불량발생 피해>, <물류비용의 불필요한 증가 피해>, <생산품의 생산기간 지연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발주담당자 클라이언트 측과의 통신을 통해, 기업의 전반적인 업무를 전산 관리하는 기업 기간계 시스템과 통신하면서, 발주담당자에 의한 발주대상업체(OOE: Order Objective Enterprise) 선정절차를 총괄 관리하는 OOE 선정 관리모듈과; 상기 OOE 선정 관리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기업 기간계 시스템 측으로부터 OOE 선정요청 메시지가 접수되는 경우, 기 저장되어 있던 OOE별 등록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상기 OOE 선정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선정대상 OOE를 선별하는 선정대상 OOE 선별모듈과; 상기 OOE 선정 관리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선정대상 OOE 선별모듈에 의해 선별된 각 선정대상 OOE에 상응하는 OOE별 등록데이터를 기 설정되어 있던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에 최적으로 매칭되는 OOE를 선정하고, 해당 선정내역이 반영된 OOE 선정데이터를 생성하는 OOE 선정모듈과; 상기 OOE 선정 관리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OOE 선정모듈에 의해 생성된 OOE 선정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OOE 선정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OOE 선정리스트를 상기 기업 기간계 시스템 또는 발주담당자 클라이언트 측에 출력·제공하는 OOE 선정리스트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OE 선정 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업 기간계 시스템의 통신 파이프 라인 내에, OOE 선정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선정 대상 OOE를 선별한 후, 선별된 각 OOE의 등록데이터(예컨대, 각 OOE의 발주실적 데이터, 각 OOE의 제품생산 주소지 데이터, 각 OOE의 제품생산현황 데이터, 각 OOE의 주력 생산제품 데이터 등)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취득된 각 OOE의 등록데이터를 기 설정되어 있던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예컨대, 기 발주실적이 높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의 생산량이 많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을 전문 생산하는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와 비교하여, 각 우선순위 기준항목에 최적으로 매칭되는 OOE를 선정하고, 해당 선정내역이 반영된 OOE 선정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OOE 선정데이터, OOE 등록데이터 등을 기 설정되어 있던 발주물량 조절 기준정보(예컨대, XX 부속제품은 XX업체에 우선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생산량이 XX에 해당하는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기 납품실적이 최대인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와 비교하여, 각 선정 OOE별로 부속제품의 총 발주물량을 조절·배분하고, 해당 조절·배분 내역이 반영된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OOE 선정데이터,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토대로, OOE 선정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OOE 선정리스트를 발주담당자 측에 출력·제공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발주담당자 측에서는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을 배제한 상태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우량 OOE를 부속제품을 실제 납품할 파트너로 선정할 수 있게 되며, 결국, 기업 측에서는 불합리한 OOE의 거래상대 부당 선정에 기인하였던 각종 피해, 예컨대, <생산품의 불량발생 피해>, <물류비용의 불필요한 증가 피해>, <생산품의 생산기간 지연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OOE 선정 관리시스템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OOE 선정 관리시스템의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OOE 선정 관리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기업에 소속된 발주담당자 측에서는 특정 생산품(예컨대, 선박)과 관련된 부속제품(예컨대, 강판)의 발주가 결정되면, 이 부속제품과 관련된 다수의 OOE 후보 중에서, 해당 부속제품 발주에 적합한 적정 OOE를 선정한 후, 선정된 OOE 측에게 부속제품의 공급을 주문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업에 소속된 발주담당자 측에서는 담당자 클라이언트(10) 및 온라인망(20)(예컨대, 유/무선 인터넷망, 유/무선 인트라넷망, 기업 전용 유/무선 통신망 등)을 매개로, 기업 기간계 시스템(30)에 접속한 상태에서, 발주의 진행을 위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기업 기간계 시스템(30) 측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가이드 플랫폼(201)을 발주담당자 클라이언트(10) 측에 생성·제공함으로써, 발주담당자 측에서 <OOE 선정업무>를 위시한 기업 전반의 각종 업무를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
이 경우, 발주담당자 클라이언트(10)로는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정보처리장치를 위시하여,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게임기(Play-station)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가 발주담당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물론, 이 상황에서, 자칫 잘못하여, 부적합한 OOE(예컨대, 발주실적이 현격히 저조한 업체, 생산품의 실제 생산지역으로부터 현격히 먼 곳에 위치한 업체, 부속제품 생산능력이 현격히 떨어지는 업체, 부속제품의 생산품목이 현격히 제한되어 있는 업체, 부속제품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지 못한 업체 등)가 부속제품을 납품할 실제 OOE로 잘못 선정되고, 실제, 이 OOE와의 거래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될 경우, 기업 측에서는 생산품의 정상적인 생산에 큰 타격을 입게 됨은 물론, 각종 경제적/시간적 손실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민감한 상황에서, 본 발명에서는 앞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업 기간계 시스템(30) 측 통신 파이프라인 내에, OOE 선정 관리시스템(100)을 추가 설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이 경우, 본 발명의 OOE 선정 관리시스템(100)은 기업 기간계 시스템(30) 측의 프로그램 빌딩블록 내에 종속·설치되는 구조를 취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본 발명의 OOE 선정 관리시스템(100) 측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OOE 선정 요청 이벤트의 발생 시, 선정 대상 OOE를 선별한 후, 선별된 각 OOE의 등록데이터(예컨대, 각 OOE의 발주실적 데이터, 각 OOE의 제품생산 주소지 데이터, 각 OOE의 제품생산현황 데이터, 각 OOE의 주력 생산제품 데이터 등)를 취득하는 절차(도 2 참조), 취득된 각 OOE의 등록데이터를 기 설정되어 있던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예컨대, 기 발주실적이 높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의 생산량이 많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을 전문 생산하는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와 비교하여, 각 우선순위 기준항목에 최적으로 매칭되는 OOE를 선정하고, 해당 선정내역이 반영된 OOE 선정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차(도 3 참조), OOE 선정데이터, OOE 등록데이터 등을 기 설정되어 있던 발주물량 조절 기준정보(예컨대, XX 부속제품은 XX업체에 우선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생산량이 XX에 해당하는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기 납품실적이 최대인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와 비교하여, 각 선정 OOE별로 부속제품의 총 발주물량을 조절·배분하고, 해당 조절·배분 내역이 반영된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차(도 3 참조), OOE 선정데이터,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토대로, OOE 선정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OOE 선정리스트를 발주담당자 측에 출력·제공하는 절차(도 4 참조) 등을 진행시키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기업에 소속된 발주담당자 측에서는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을 배제한 상태에서, 별다른 어려움 없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우량 OOE를 부속제품을 실제 납품할 파트너로 선정할 수 있게 되며, 결국, 기업 측에서는 불합리한 OOE의 거래상대 부당 선정에 기인하였던 각종 피해, 예컨대, <생산품의 불량발생 피해>, <물류비용의 불필요한 증가 피해>, <생산품의 생산기간 지연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OE 선정 관리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모듈(102), 온라인망(20) 등을 매개로, 발주담당자 클라이언트(10), 기업 기간계 시스템(30) 측과 통신 연결되면서, 발주담당자에 의한 OOE 선정절차를 총괄 관리해주는 OOE 선정 관리모듈(101)과, 이 OOE 선정 관리모듈(101)의 제어 체제 하에 놓인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운영 보조모듈(104), 프로세스 소스데이터 저장모듈(112), OOE 선정요청 접수모듈(105), 선정대상 OOE 선별모듈(106), OOE별 등록데이터 취득모듈(107), OOE 선정모듈(108),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모듈(109), OOE 선정리스트 출력모듈(110)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OOE 선정 관리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측에서는 OOE 선정 서비스의 시행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기업 기간계 시스템(30)의 등록정보, 시스템(100) 자원현황 정보, 발주담당자 클라이언트(10)의 등록정보, 시스템(100) 내 각 전산모듈들의 전산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컴포넌트 정보 등을 자신의 정보저장 영역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물론 위에 열거된 각 운영정보들은 시스템(100) 측 상황에 따라, 그 종목 또는 범위가 탄력적으로 추가/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OOE 선정 관리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 보조모듈(104) 측에서는 OOE 선정 서비스의 시행에 필요한 각종 보조절차, 예컨대, 기업 기간계 시스템(30) 및 발주담당자 클라이언트(10) 측과의 통신 세션을 형성/유지하는 절차,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및 프로세스 소스데이터 저장모듈(112) 내의 저장데이터를 갱신/설치하는 절차, 시스템(100) 내 각 전산모듈들의 전산 프로세스 진행을 보조하는 절차, 시스템(100) 내 자원을 지능적으로 배분하는 절차 등을 다채롭게 수행하게 된다.
나아가, OOE 선정 관리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 소스데이터 저장모듈(112) 측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OE 선정절차의 진행에 필요한 각종 소스데이터, 예컨대, 각 OOE의 등록데이터,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예컨대, 기 발주실적이 높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의 생산량이 많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을 전문 생산하는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 발주물량 조절 기준정보(예컨대, XX 부속제품은 XX업체에 우선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생산량이 XX에 해당하는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기 납품실적이 최대인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 OOE 선정리스트 작성기준 데이터 등을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에서, OOE 선정 관리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OOE 선정요청 접수모듈(105)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기업 기간계 시스템(100) 측과 일련의 통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상술한 가이드 플랫폼(201)을 통해 전산작업을 진행하고 있던 발주담당자 측에서 OOE의 자동선정이 필요함을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201)에 게시된 관련 메뉴항목을 선택하여, 기업 기간계 시스템(30) 측으로부터 일련의 OOE 선정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 전송 완료된 OOE 선정요청 메시지를 접수하고, 접수 완료된 OOE 선정요청 메시지를 선정대상 OOE 선별모듈(106)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OOE 선정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렇게 하여, 발주담당자 측 전산작업에 따른 OOE 선정요청 메시지가 접수 완료되고, 이 메시지가 전달 완료되면, OOE 선정 관리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선정대상 OOE 선별모듈(106) 측에서는 그 즉시, 프로세스 소스데이터 저장모듈(112) 측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OOE 등록데이터 중에서, OOE 선정요청 메시지에 적합한 OOE 등록데이터를 판독하여, 여러 OOE 중에서, <발주담당자의 현재 업무에 적합한 선정대상 OOE>를 선별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컨대, 발주담당자의 현재 업무가 <강판구매>이어서, OOE 선정요청 메시지에 <등록된 OOE 중에서 강판 판매업체를 OOE로 선정해달라>고 하는 내역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 선정대상 OOE 선별모듈(106) 측에서는 프로세스 소스데이터 저장모듈(112)에 저장되어 있던 OOE 등록데이터를 참조하면서, <강판 판매업체>를 선정대상 OOE로 선별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예컨대, <강판 판매업체>가 선정대상 OOE로 선별되면, OOE 선정 관리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OOE별 등록데이터 취득모듈(107) 측에서는 선정대상 OOE 선별모듈(106)과 통신을 취하여, 해당 내역을 확인한 후, 프로세스 소스데이터 저장모듈(112)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OOE 등록데이터, 예를 들어, <강판 판매업체 등록데이터>에 접근한 후, 이를 판독하여, 강판 판매업체별 등록데이터(예컨대, 각 강판 판매업체의 발주실적 데이터, 각 강판 판매업체의 제품생산 주소지 데이터, 각 강판 판매업체의 제품생산현황 데이터, 각 강판 판매업체의 주력 생산제품 데이터 등)를 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렇게 하여, 각 강판 판매업체별 등록데이터(예컨대, 각 강판 판매업체의 발주실적 데이터, 각 강판 판매업체의 제품생산 주소지 데이터, 각 강판 판매업체의 제품생산현황 데이터, 각 강판 판매업체의 주력 생산제품 데이터 등)가 안정적으로 판독/취득 완료되면, OOE별 등록데이터 취득모듈(107) 측에서는 OOE 선정모듈(108),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모듈(109) 등과 통신을 취하여, 취득 완료된 각 강판 판매업체별 등록데이터를 OOE 선정모듈(108),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모듈(109) 등으로 전달하는 절차를 신속히 진행함으로써, 후속모듈들에 의한 OOE 선정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절차에 따라, 각 OOE의 등록데이터(예컨대, 각 OOE의 발주실적 데이터, 각 OOE의 제품생산 주소지 데이터, 각 OOE의 제품생산현황 데이터, 각 OOE의 주력 생산제품 데이터 등)가 전달 완료되면, OOE 선정 관리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OOE 선정모듈(108) 측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OOE 선정요청 접수모듈(105), OOE별 등록데이터 취득모듈(107), 프로세스 소스데이터 저장모듈(112)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이들에 의해 저장 관리되고 있던 OOE 선정요청 메시지, OOE별 등록정보,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예컨대, 기 발주실적이 높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의 생산량이 많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을 전문 생산하는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 등을 판독/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OOE 선정요청 메시지, OOE별 등록정보,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 등이 취득 완료되면, OOE 선정모듈(108) 측에서는 OOE에 상응하는 OOE별 등록데이터(예컨대, 각 OOE의 발주실적 데이터, 각 OOE의 제품생산 주소지 데이터, 각 OOE의 제품생산현황 데이터, 각 OOE의 주력 생산제품 데이터 등)를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에 최적으로 매칭되는 OOE, 예를 들어, OOE 우선순위 기준정보(예컨대, 기 발주실적이 높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의 생산량이 많은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을 전문 생산하는 업체부터 우선 선정이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에 가장 많은 항목이 일치하는 OOE를 우선순위가 높은 OOE로 선정한 후,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해당 선정내역이 반영된 OOE 선정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OOE 선정데이터가 생성 완료되면, OOE 선정 관리모듈(101)에 제어되는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모듈(109) 측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OOE 선정요청 접수모듈(105), OOE별 등록데이터 취득모듈(107), OOE 선정모듈(108), 프로세스 소스데이터 저장모듈(112)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이들에 의해 저장 또는 생성된 OOE 선정요청 메시지, OOE별 등록정보, OOE 선정데이터, 발주물량 조절 기준정보(예컨대, XX 부속제품은 XX업체에 우선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생산량이 XX에 해당하는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기 납품실적이 최대인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등을 판독/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OOE 선정요청 메시지, OOE별 등록정보, OOE 선정데이터, 발주물량 조절 기준정보 등이 취득 완료되면,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모듈(109) 측에서는 OOE별 등록데이터 및 OOE 선정데이터를 발주물량 조절 기준정보(예컨대, XX 부속제품은 XX업체에 우선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생산량이 XX에 해당하는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부속제품 생산공장 주소지가 생산품 건조지역과 가까운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기 납품실적이 최대인 업체에게 총 발주물량의 XX%를 발주라고 정의된 기준정보 등)와 비교하여, OOE 선정모듈(108)에 의해 선정된 <선정 OOE별>로 부속제품의 총 발주물량을 조절·배분한 후,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해당 조절·배분 내역이 반영된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각 절차에 따라, OOE 선정데이터 및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가 생성 완료되면, OOE 선정 관리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OOE 선정리스트 출력모듈(110) 측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OOE 선정모듈(108),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모듈(109) 등과 통신을 취하여, 이들에 의해 생성된 OOE 선정데이터 및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취득함과 아울러, 프로세스 소스데이터 저장모듈(112) 측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의해 저장 관리되고 있던 OOE 선정리스트 작성기준 데이터(예컨대, <선정 우선순위가 높은 순위의 업체부터 나열되도록 OOE 선정리스트를 작성하여라>하고 하는 작성기준 데이터, <OOE 선정리스트를 작성할 때, 각 업체의 이전 납기실적을 함께 기재하여라>라고 하는 작성기준 데이터 등)를 취득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OOE 선정데이터,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 OOE 선정리스트 작성기준 데이터 등이 취득 완료되면, OOE 선정리스트 출력모듈(110) 측에서는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 OOE 선정리스트 작성기준 데이터 등을 참조하면서, 일련의 데이터 생성루틴을 진행시켜,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 OOE 선정리스트 작성기준 데이터 등이 반영된 일련의 OOE 선정리스트>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4 참조).
이러한 절차에 따라, OOE 선정리스트가 생성 완료되면, OOE 선정리스트 출력모듈(110)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기업 기간계 시스템(30) 또는 발주담당자 클라이언트(10) 측과 통신을 취하여, 발주담당자 클라이언트(10) 측으로 OOE 선정리스트를 출력·제공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결국, 상술한 OOE 선정리스트 출력·제공절차가 모두 완료되면, 발주담당자 클라이언트(10) 측에서는 가이드 프레임(202)을 통해, 이를 출력하는 동작을 신속하게 취하게 되며, 그 결과, 가이드 프레임(202)을 주시하고 있던 발주담당자 측에서는 자신의 불필요한 주관적 판단을 완전히 배제한 상태에서, 예컨대, 어떤 강판 판매업체의 우선순위가 높고 어떤 강판 판매업체의 우선순위가 낮으며, 어떤 강판 판매업체에 얼마만큼의 물량을 주문하여야 한다라고 하는 매우 객관적이고 공정한 정보에 따라 <우량의 OOE>를 <실제 발주대상 OOE>로 자연스럽게 선정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기업 측에서는 불합리한 OOE의 거래상대 부당 선정에 기인하였던 각종 피해, 예컨대, <생산품의 불량발생 피해>, <물류비용의 불필요한 증가 피해>, <생산품의 생산기간 지연 피해>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협력업체의 관리가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발주담당자 클라이언트 20: 온라인망 30: 기업 기간계 시스템
100: OOE 선정 관리시스템 101: OOE 선정 관리모듈
102: 인터페이스 모듈 103: 운영정보 저장모듈 104: 운영 보조모듈
105: OOE 선정요청 접수모듈 106: OOE 선별모듈
107: OOE별 등록데이터 취득모듈 108: OOE 선정모듈
109: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모듈 110: OOE 선정리스트 출력모듈
112: 프로세스 소스데이터 저장모듈 201: 가이드 플랫폼

Claims (2)

  1. 발주담당자 클라이언트 측과의 통신을 통해, 기업의 전반적인 업무를 전산 관리하는 기업 기간계 시스템과 통신하면서, 발주담당자에 의한 발주대상업체(OOE: Order Objective Enterprise) 선정절차를 총괄 관리하는 OOE 선정 관리모듈과;
    상기 OOE 선정 관리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기업 기간계 시스템 측으로부터 OOE 선정요청 메시지가 접수되는 경우, 기 저장되어 있던 OOE별 등록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상기 OOE 선정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선정대상 OOE를 선별하는 선정대상 OOE 선별모듈과;
    상기 OOE 선정 관리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선정대상 OOE 선별모듈에 의해 선별된 각 선정대상 OOE에 상응하는 OOE별 등록데이터를 기 설정되어 있던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OOE 선정 우선순위 기준정보에 최적으로 매칭되는 OOE를 선정하고, 해당 선정내역이 반영된 OOE 선정데이터를 생성하는 OOE 선정모듈과;
    상기 OOE 선정 관리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OOE 선정모듈에 의해 생성된 OOE 선정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OOE 선정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OOE 선정리스트를 상기 기업 기간계 시스템 또는 발주담당자 클라이언트 측에 출력·제공하는 OOE 선정리스트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OE 선정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OE 선정 관리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OOE별 등록데이터 및 OOE 선정데이터를 기 설정되어 있던 발주물량 조절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OOE 선정모듈에 의해 선정된 선정 OOE별로 부속제품의 총 발주물량을 조절·배분하고, 해당 조절·배분 내역이 반영된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생성한 후, 생성된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를 상기 OOE 선정리스트 출력모듈 측으로 전달하여, 상기 OOE 선정리스트에 상기 OOE별 발주물량 조절데이터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선정 OOE별 발주물량 조절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OE 선정 관리시스템.
KR1020100010861A 2010-02-05 2010-02-05 발주대상업체 선정 관리시스템 KR20110091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861A KR20110091156A (ko) 2010-02-05 2010-02-05 발주대상업체 선정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861A KR20110091156A (ko) 2010-02-05 2010-02-05 발주대상업체 선정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156A true KR20110091156A (ko) 2011-08-11

Family

ID=4492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861A KR20110091156A (ko) 2010-02-05 2010-02-05 발주대상업체 선정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911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57B1 (ko) * 2012-03-12 2014-04-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 배량 자동화 장치 및 방법
JP2021077346A (ja) * 2019-11-05 2021-05-20 クラウド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rowdWorks, Inc. クラウドソーシング基盤のプロジェクトの特性に応じた検収者選別方法
KR20220127599A (ko) 2021-03-11 2022-09-20 주식회사 케이티 제품의 생산 분배 관리 서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357B1 (ko) * 2012-03-12 2014-04-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 배량 자동화 장치 및 방법
JP2021077346A (ja) * 2019-11-05 2021-05-20 クラウドワー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rowdWorks, Inc. クラウドソーシング基盤のプロジェクトの特性に応じた検収者選別方法
KR20220127599A (ko) 2021-03-11 2022-09-20 주식회사 케이티 제품의 생산 분배 관리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275B1 (ko) 웹을 통한 실시간 협업 시스템을 통한 제조업의 비즈니스형태의 재구성, 혁신, 가상제조의 구현을 추진하는 웹기반의 협업 방법
JP5738779B2 (ja) 供給能力推定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273369A1 (en) Recall support system, recall support method, and programs therefor
CN107977812A (zh) 生产自动排单方法、装置及系统
RU2642378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осуществления закупок и продаж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нтерактивной облачной системы
KR101719250B1 (ko) 의류 생산 관리 장치
CN109345190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0826980A (zh) 一种基于云平台的erp系统及其运行方法
KR20170017446A (ko) 분할구매 기능이 적용된 역경매 방식의 자재구매 시스템
WO2013033587A2 (en) Sales productivity system
KR20210097320A (ko) 인공지능 기반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한 기술자 평가 및 매칭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170021161A (ko) 업체 신용등급 산출기능이 적용된 역경매 방식의 자재구매 시스템
KR20230026934A (ko) 영상 통화 중 시설물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91156A (ko) 발주대상업체 선정 관리시스템
KR101394665B1 (ko) 건설인력 노무비 및 건설업체 간 건설선급금 보장 지원시스템
KR20120126692A (ko) 조선 협력사 생산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0428309B (zh) 一种差异化采购方法及装置
Chao et al. Multi-agent-based cloud utilization for the IT office-aid asset distribution chain: An empirical case study
KR20160089721A (ko) 창업 서비스 비교견적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242339A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иска с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м предоставлением контента
KR20200113474A (ko) 세탁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15660261A (zh) 生产订单信息处理方法、计算机装置和存储介质
JP2005258832A (ja) 営業支援装置
CN114004668A (zh) 订单管理方法及系统
JP7392725B2 (ja) 交渉システム、交渉方法および交渉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