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250B1 - 의류 생산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생산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250B1
KR101719250B1 KR1020150105251A KR20150105251A KR101719250B1 KR 101719250 B1 KR101719250 B1 KR 101719250B1 KR 1020150105251 A KR1020150105251 A KR 1020150105251A KR 20150105251 A KR20150105251 A KR 20150105251A KR 101719250 B1 KR101719250 B1 KR 101719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
designer
client
information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1856A (ko
Inventor
박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엔
Priority to KR1020150105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2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1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의 정보를 제공하며, 의류의 생산 일정을 제공할 수 있는, 의류 생산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Description

의류 생산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A CLOTHES PRODUCTION}
본 발명은 의류의 생산을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의뢰인(도매업체)이 자기가 생각하는 옷을 디자인해줄 디자이너를 개별적으로 찾고, 디자인이 완성되면, 의뢰인이 디자이너를 통해 각 생산단계별 생산업자에게 개별적으로 주문을 넣는다.
이 경우, 의뢰인은, 개별적인 인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를 직접 찾아야 하므로, 의뢰인이 원하는 품질의 디자인 및 의류를 제공할 수 있는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를 찾기가 어려웠다.
또한, 하나의 의류를 만들기 위해서는, 복수의 생산업자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수의 생산업자들의 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의뢰인 또는 디자이너는 복수의 생산업자들의 일정을 관리하는 데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에는, 의뢰인이 디자이너들 및 생산업자들을 관리하기 어려우며, 의뢰인이 의류의 생산일정을 정확하게 체크하기도 어렵다.
또한, 생산업자는 자신의 생산일정 및 납기량을 정확하게 관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작업이 없는 날이 발생되어 생산업자는 손실을 볼 수 있으며, 또는, 납기량의 계산 착오로 인해, 생산업자는 결산 손실을 볼 수도 있다.
종래의 의류 생산 방법은, 의뢰인(도매/판매업체)이 디자이너에게 디자인 생산을 의뢰하고, 의뢰인 또는 디자이너가 각 생산공정별로 생산업자를 선택하여 의류의 생산을 의뢰한다.
각 생산업자는 자신이 주문받은 상품을 생산한 후 또 다른 생산업자에게 전달하며, 최종 생산업자는, 생산된 의류를 의뢰인에게 납품한다.
이 경우, 디자이너(또는 의뢰인)는 자신의 컴퓨터 또는 장부를 이용하여, 모든 생산업자들에 대한 정보와, 생산일정 등을 직접 관리하면서 체크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어려움들이 발생하고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의뢰인은 특정소수(개인구직 및 섭외된 다자이너)에게 의류의 디자인 및 생산을 의뢰하고, 디자이너는 친분이 있거나 거래가 있던 생산업체를 통해 샘플 작업 및 생산을 진행한다.
이 경우, 디자이너는, 각 단계별로, 수기 및 컴퓨터 작업(예를 들어, 엑셀 프로그램 등)을 통해 단순히 납기 유무만을 확인한다.
생산업자에 의해 의류가 생산되면, 디자이너는 의뢰인에게 의류를 납품하며, 디자이너는 각 단계별 공정 및 결산을 의뢰인에게 보고한다.
이 경우, 디자이너는 각 상품별 보고, 날짜별 보고, 단계별 보고 및 확인을 직접 해야한다. 그러나, 구조적,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시간적 또는 금전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디자이너가 모든 단계의 문제들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즉, 디자이너는, 디자인 의뢰 단계로부터 최종적으로 의류를 의뢰인에게 납품할 때까지의 전공정을 관리해야 한다. 이 경우, 디자이너는 전공정을 일일이 수기 또는 컴퓨터로 관리하기 때문에, 디자이너는 많은 시간 및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복수의 디자인들과 관련된 복수의 의류들의 생산 일정을 동시에 관리하기 어렵다.
또한, 의뢰인은, 상품별 정보, 날짜별 정보 및 단계별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디자이너의 말에 의존하여 각 단계별 진행 현황을 체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최종 입고예정일 및 입고 여부 등과 같은 제한된 정보들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의 정보를 제공하며, 의류의 생산 일정을 제공할 수 있는, 의류 생산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생산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들, 디자이너 단말기들 및 생산업자 단말기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의뢰인 단말기들,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들 및 상기 생산업자 단말기들을 이용하는 의뢰인들, 디자이너들 및 생산업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의류 생산과 관련된 계약을 체결한 계약 의뢰인, 계약 디자이너 및 계약 생산업자에 의해 생성된 의류 생산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계약 의뢰인, 상기 계약 디자이너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가 이용하는 계약 의뢰인 단말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 및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을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첫째, 본 발명을 이용하는 의뢰인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뢰인은 원하는 디자이너에게 의류의 디자인을 의뢰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가 의뢰인의 요청을 수락하면, 디자이너는 계약체결된 상품에 대한 모든 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DATA(단가, 납기일정, 납기수량)가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들 간에 공유될 수 있다.
의뢰인은 디자이너와 체결된 모든 의류의 발주를 직접 할 수 있으며, 의뢰인이 발주한 정보는 자동으로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에게 통보될 수 있다.
의뢰인은 본 발명을 POS 시스템과 연동하여, 재고관리, 거래처관리, 입/ 출고 관리 및 매장관리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의뢰인의 신뢰도를 점수 등으로 환산하여 디자이너들 및 생산업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의뢰인이 의뢰한 디자인의 수, 의뢰인이 의뢰한 디자인 주문의 수, 의뢰인이 의뢰하여 생산된 의류의 수 및 의뢰인의 결제 상태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들은, 의뢰인과의 계약 체결 시, 상기한 바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계약 체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신뢰도를 높게 유지한 의뢰인은 보다 우수한 디자이너들 및 생산업자들과 쉽게 계약을 체결하여, 원하는 디자인 및 의류를 생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을 이용하는 디자이너가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디자이너는 자신이 디자인한 모든 의류 디자인들에 대한 정보를 본 발명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는 많은 의뢰인 및 생산업자들을 확보하여 관리할 수 있으므로, 생산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디자이너는 의뢰받은 의류의 생산을 관리하고, 디자인을 의뢰한 의뢰인과 관계된 생산업자들만의 정보만을 공유하고, 생산업자들과 관련없는 디자이너들에게 유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자이너는 손쉽게 자신의 커리어를 홍보할 수 있으며, 보다 다원화되고, 자신의 취향에 맞춰진 생산업자들을 확보함으로써, 디자인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더욱 합리적인 가격으로 의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기반의 생산관리를 통해, 디자이너는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생산일정 등을 관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많은 의뢰인을 섭외하여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자이너의 신뢰도를 점수 등으로 환산하여 의뢰자들 및 생산업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디자이너가 거래한 생산업자 수 및 디자이너의 결제 상태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뢰자들 및 생산업자들은, 디자이너와의 계약 체결시, 상기한 바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계약 체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신뢰도를 높게 유지한 디자이너는 보다 많은 의뢰인들로부터 디자인 생산을 의뢰받을 수 있으며, 보다 우수한 생산업자들과 쉽게 계약을 체결하여 원하는 의류를 생산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을 이용하는 생산업자가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생산업자는 생산 중인 모든 의류의 입고/출고/출고 예정일 등을 본 발명을 통해 데이터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자이너 및 의뢰인은 입고/출고/출고 예정일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생산업자가 등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산일정 캘린더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디자이너들 또는 의뢰인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업자는 본 발명을 통해 자신의 업체를 홍보할 수도 있으며, 생산 스케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한 디자이너들 및 의뢰인들은, 생산업자에게 의류 생산과 관련된 문의 및 견적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업자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의류 생산을 의뢰받을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네트워크 기반의 생산관리로 인해 정확한 결산이 가능해지고, 생산 스케쥴의 공개로 인해, 잉여의 작업일 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업체홍보를 통해, 생산업자는 보다 많은 디자이너를 유치하여 꾸준하게 생산량을 유지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생산업자의 신뢰도를 점수 등으로 환산하여 의뢰인들 및 디자이너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생산업자가 의뢰받은 디자인의 수, 생산업자가 함께 일한 디자이너들의 수, 생산업자가 생산한 의류의 수, 생산업자의 평균생산일정 및 생산업자의 결제 상태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의뢰자들 및 디자이너들은, 생산업자와의 계약 체결시, 상기한 바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여 계약 체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신뢰도를 높게 유지한 생산업자는 보다 많은 디자이너들 및 의뢰인들로부터 의류의 생산을 의뢰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생산 관리 장치가 적용되는 의류 생산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생산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생산 관리 장치를 이용한 의류 생산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내지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생산 관리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들의 예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생산 관리 장치가 적용되는 의류 생산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생산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의류 생산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의 디자인을 의뢰하고자 하는 의뢰인이 이용하는 의뢰인 단말기(10), 의류를 디자인하는 디자이너가 이용하는 디자이너 단말기(30), 의류를 생산하는 생산업자가 이용하는 생산업자 단말기(40) 및 상기 의뢰인 단말기(10),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30), 상기 생산업자 단말기(40)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의뢰인, 상기 디자이너, 상기 생산업자의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며, 상기 의뢰인이 의뢰한 의류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된 정보들을 상기 의뢰인, 상기 디자이너 및 상기 생산업자에게 공유시키는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를 포함한다.
상기 의뢰인 단말기(10),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30) 및 상기 생산업자 단말기(40)는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개인용 컴퓨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들은, 노트북 컴퓨터, 테블릿PC, 스마트폰 등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10)들, 디자이너 단말기(30)들 및 생산업자 단말기(40)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21), 상기 의뢰인 단말기들,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들 및 상기 생산업자 단말기들을 이용하는 의뢰인들, 디자이너들 및 생산업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의류 생산과 관련된 계약을 체결한 계약 의뢰인, 계약 디자이너 및 계약 생산업자에 의해 생성된 의류 생산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23), 상기 계약 의뢰인, 상기 계약 디자이너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가 이용하는 계약 의뢰인 단말기(10),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30) 및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40)로부터 입력된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며,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을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제어부(22), 관리자로부터 각종 정보들을 입력받는 입력부(24) 및 상기 관리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각종 정보들을 출력하는 출력부(2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의뢰인들 중 의류 생산과 관련된 계약을 의뢰한 의뢰인은 의뢰인은 계약 의뢰인이라 하며, 상기 의뢰인 단말기들 중 상기 계약 의뢰인이 이용하는 단말기는 계약 의뢰인 단말기라 한다. 이 경우, 상기 의뢰인 단말기와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는 동일한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디자이너들 중 상기 계약 의뢰인과 계약하여 의류를 디자인하는 디자이너는 계약 디자이너라 하며,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들 중 상기 계약 디자이너가 이용하는 단말기는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라 한다. 이 경우,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와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는 동일한 도면부호 '30'으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생산업자들 중 상기 계약 의뢰인 또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와 계약하여 상기 의류를 생산하는 생산업자는 계약 생산업자라 하며, 상기 생산업자 단말기들 중 상기 계약 생산업자가 이용하는 단말기는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라 한다. 이 경우, 상기 생산업자 단말기와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는 동일한 도면부호 '40'으로 표시된다.
상기 입력부(24)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부(25)는 모니터 또는 프린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기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저장부(23)는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단말기들로부터 의류 생산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을 전송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키며, 상기 정보들을 정리 및 분석하여, 상기 단말기들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생산 관리 장치를 이용한 의류 생산 관리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본 발명을 이용해 의류를 생산하고자 하는 의뢰인들은 상기 의뢰인 단말기(10)들을 통해 자신의 정보(이하, '의뢰인 정보'라 함)를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의뢰인 정보들을 관리한다.
본 발명을 이용해 의류를 디자인하고 디자인된 의류의 생산을 관리하고자 하는 디자이너들은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30)들을 통해 자신의 정보(이하, '디자이너 정버'라 함)를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디자이너 정보들을 관리한다.
본 발명을 이용해 의류를 생산하고자 하는 생산업자들은 상기 생산업자 단말기(40)들을 통해 자신의 정보(이하, '생산업자 정보'라 함)를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생산업자 정보들을 관리한다.
다음, 상기 의뢰인들 중 실질적으로 의류의 디자인을 의뢰하여, 의류를 생산하고자 하는 의뢰인은, 만들고자 하는 의류의 디자인의 정보를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10)를 통해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로 전송한다(S502).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는 상기 디자인의 정보를 상기 저장부(23)에 저장한다.
상기 계약 의뢰인은,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가 제공하는 디자이너 정보들을 이용하여, 자신이 생산하고자 하는 의류를 디자인할 디자이너를 선택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10)로부터, 상기 계약 의뢰인이 의뢰하고자 하는 의류의 디자인의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디자인의 정보를 요청하는 디자이너 단말기(30)들로 상기 디자인의 정보를 전송한다.
다음, 상기 계약 의뢰인에 의해 선택된 디자이너가 상기 계약 의뢰인과, 상기 의류의 디자인 및 생산과 관련된 계약(이하, '의류 생산 계약'이라 함)을 체결하면,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계약 의뢰인과 상기 디자이너, 즉, 계약 디자이너의 정보를 상기 의류 생산 계약과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23)에 저장한다.
상기 계약 디자이너는 상기 의류 생산 계약에 따라 설정된 일정에 맞게 의류 디자인 작업을 수행한다(S504).
상기 계약 디자이너는 디자인 작업 시 발생되는 각종 정보(이하, '디자인 작업 정보'라 함)를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30)를 통해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10)로부터 상기 디자인 작업 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10)로 상기 디자인 작업 정보를 전송한다.
즉,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계약 의뢰인과 상기 계약 디자이너가 간의 계약이 체결되면,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디자인 작업 정보를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로 전송한다.
다음, 상기 계약 디자이너 또는 상기 계약 의뢰인은,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가 제공하는 생산업자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계약 의뢰인이 의뢰한 의류를 생산할 생산업자를 선택한다.
상기 계약 디자이너 또는 상기 계약 의뢰인에 의해 선택된 생산업자가 상기 계약 디자이너 또는 상기 계약 의뢰인과, 상기 의류 생산 계약을 체결하면,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계약 의뢰인, 상기 계약 디자이너, 상기 의류 생산 계약을 체결한 생산업자, 즉, 계약 생산업자의 정보를 상기 의류 생산 계약과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23)에 저장한다.
이 경우, 상기 계약 생산업자는 두 명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계약 생산업자는 상기 의류 생산 계약에 따라 설정된 일정에 맞게 의류를 생산한다(S506).
상기 계약 생산업자는 의류 생상 시 발생되는 각종 정보(이하, '생산 작업 정보'라 함)를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40)를 통해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10) 또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30)로부터 상기 생산 작업 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10) 또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30)로 상기 생산 작업 정보를 전송한다.
즉,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와 상기 계약 생산업자 간의 계약이 체결되면,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40)로부터 전송된 상기 생산 작업 정보를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10) 및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상기 디자인 작업 정보 및 상기 생산 작업 정보를 총칭하여 의류 생산 정보라 한다.
다음,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의류 생산 계약이 체결되면,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10),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30)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40)로부터 전송된 각종 정보들을 가공하여, 다양한 형태의 출력정보들을 생성하며, 상기 의뢰인 단말기(10),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30)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40) 중 상기 출력정보를 요청하는 단말기로, 상기 출력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을 납기예정일별로 정리하여 달력 형태의 출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을 상기 계약과 관련된 상품별로 정리한 출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을 상기 계약과 관련된 업체별로 정리한 출력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적어도 하나의 계약 생산업자에 의해 의류가 생산되면, 최종적으로 의류를 생산한 계약 생산업자는 생산된 의류를 상기 계약 의뢰자에게 납품한다(S508).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계약 의뢰자, 상기 계약 디자이너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에 대한 신뢰도 평가를, 상기 계약 의뢰자, 상기 계약 디자이너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에게 요청한다(S510).
상기 계약 의뢰자는, 상기 제어부(22)가 제공하는 신뢰도 평가 항목에 따라, 상기 계약 디자이너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한다.
상기 계약 디자이너는, 상기 제어부(22)가 제공하는 신뢰도 평가 항목에 따라, 상기 계약 의뢰자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한다.
상기 계약 생산업자는, 상기 제어부(22)가 제공하는 신뢰도 평가 항목에 따라, 상기 계약 의뢰자 및 상기 계약 디자이너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20)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40)로부터 전송된, 상기 계약 의뢰인(10)에 대한 평가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와, 또 다른 의류 디자인들과 관련하여 계약한 계약 디자이너들 및 계약 생산업자들이 이용하는 또 다른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들 및 또 다른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된, 상기 계약 의뢰인에 대한 평가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계약 의뢰인에 대한 상기 평가 정보들을 분석하여, 상기 계약 의뢰인의 신뢰도와 관련된 신뢰정보를 산출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들 및 상기 생산업자 단말기들 중 상기 신뢰정보를 요청한 단말기로, 상기 신뢰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에 대한 신뢰정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계약 생산업자에 대한 신뢰정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는,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시켜 줌으로써, 각 주체가, 인력관리 및 생산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약 의뢰된 의류들 및 디자인들에 대한 정보를, 의류별, 디자인별 및 공정단계별로 제공함으로써,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가, 자신의 업무를 명확하고 간편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관리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는 자신의 생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고자 하는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는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개별적으로 가입한다. 이 경우,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의 일정이 공개되며, 상대방의 일정을 확인한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는 자신의 일정과 부합되는 상대방에게 의류 생산과 관련된 제안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 간의 계약이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뢰인은 어떤 종류의 디자인이 필요하고 언제 어느 정도의 수량이 필요한지를 공개한다. 이를 확인한 디자이너는, 상기 제어부(22)가 제공하는 내부커뮤니케이션(쪽지, 채팅창, 전화, 문자, SNS 등)을 통해 의뢰인과 접촉하여, 의류 생산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을 제공받는다. 이 경우, 디자이너는, 자기가 디자인 작업에 참여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자신의 일정을 제공한다.
계약 디자이너는,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를 통해, 자신이 의뢰받은 의류의 생산일정에 부합되는 빈생산일정이 알려진 생산업체와 계약을 맺어, 서로 간의 스케줄을 실시간으로 제공 및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의뢰인은, 가용 가능한 디자이너와 생산업자를 용이하게 찾아서, 계약을 체결하여, 자기가 생산하고 싶은 의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디자이너는, 자기와 기존에 계약을 맺고 있는 생산업체들을, 빈일정 없이 꾸준히 거래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이너는, 다양한 디자인과 가격에 적합한 생산업체들을 보다 쉽게 찾아 의뢰인의 요구를 맞춰줄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생산업자는, 자신의 빈일정을 공개하고 업체를 홍보함으로써, 다양한 의뢰인과 디자이너와 계약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꾸준하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주체에 대한 신뢰도가 평가된다.
의뢰인은, 거래경험, 디자인 수, 계약된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 수, 주문생산 수, 결제상태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디자이너는, 거래경험, 디자인 수, 계약된 의뢰인 및 생산업자 수, 주문생산수, 생산소요시간, 디자인 만족도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생산업자는 거래경험, 디자인 수, 계약된 의뢰인 및 디자이너 수, 주문생산수, 생산소요시간, 상품의 완성도에 따라 평가될 수 있다.
각 주체들은, 본인을 제외한 주체들에게 평점을 부여한다. 이때, 부여된 평점은 평가대상이 되는 주체들에게 개별공개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 평점들이 합쳐진 전체 합산 평점은 신뢰도에 반영되어 공개된다.
각 주체는 상기 신뢰도가 반영된 상기 신뢰정보를 바탕으로, 자기에 맞는 주체들을 선택하여, 의류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계약을 바탕으로 상품의 데이터화가 이루어 질 수 있다. 계약 의뢰인은 의뢰인명, 의류명, 의류 이미지, 작업지시서, 제작단가, 제작 소요량, 소재 등을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입력한다.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는 입력된 정보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말기들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의뢰인명, 의류명, 의류 이미지, 작업지시서, 제작단가, 제작 소요량, 소재 등과 같은 상기 입력 대상이 되는 내용들은, 상기 계약 의뢰인이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입력할 수도 있으나, 상기 계약 디자이너가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약디자이너는, 상기 계약 의뢰인이 최초 계약 맺을 당시에 의뢰한 내용을 기반으로 샘플 의류를 제작한 후, 상기 샘플 의류의 생산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들을 데이터화할 수도 있다.
계약 의뢰인이 자신이 생산하고자 하는 의류의 디자인의 정보(의류 종류, 생산량, 가격대, 납기 받기 원하는 날짜 등)를 입력하면, 상기 디자인의 정보는,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를 통해 공개된다. 상기 디자인의 정보를 확인한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는 개별적으로 의뢰인과 접촉하여 계약을 맺을 수 있다. 이때, 각 주체의 신뢰도는 중요한 계약의 지표가 된다.
각 주체들 간에 계약이 체결되면, 계약 디자이너는 나머지 디자인에 관한 상세정보(의뢰인, 각 생산단계별 생산업자들, 의류명, 의류 이미지, 작업지시서, 제작단가, 제작소요량, 소재 등)을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로 전송한다.
이후, 계약 의뢰인 또는 계약 디자이너는 최초의 생산공정을 수행하는 계약 생산업자(A)에게, 자신이 필요한 의류의 수량을 주문할 수 있으며, 상기 계약 생산업자(A)는 납기가능한 날짜를 입력한다. 상기 수량 및 날짜는 상기 계약 생산업자의 생산스케쥴에 반영되어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를 통해 공개된다.
최종적으로 의류의 생산이 완료되면, 상기 계약 생산업자(A)는 그 다음 계약 생산업자(B)에게 물건을 납품 한다. 이때, 납품한 상기 계약 생산업자(A)가 납품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된 데이터는, 상기 계약 생산업자(A) 및 그 다음 공정을 하는 상기 계약 생산업자(B)의 생산 스케쥴에 반영된다. 상기 계약 생산업자(B)가 상기 생산 스케줄에 납품 가능한 날짜를 입력하면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를 통해, 상기 계약 생산업자(B)의 생산일정이 공개된다. 계약 생산업자가 다 수인 경우, 상기 과정은 각 계약 생산업자별로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계약 의뢰인에게 완성된 의류가 배달되면, 상기 제어부(22)는, 모든 생산일정이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10),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30)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계약 의뢰인이, 자신이 원하는 의류의 수량을 주문하면, 상기 제어부(22)는, 각 공정단계에서 요구되는 표준단위(야드, 그램 등) 또는 기설정된 단위로 상기 수량을 환산하여 발주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산된 발주서를 상기 계약 디자이너 또는 상기 계약 생산업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계약 디자이너는 디자인에 관한 상세정보를 입력할 때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입력할 수 있다.
첫째, 계약 디자이너는, 상기 의류가 티셔츠일 경우에는 원재료를 원단으로 할 것을 요청하는 상세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의류가 니트일 경우에는 원재료를 원사로 할 것을 요청하는 상세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둘째, 계약 디자이너는, 해당 의류를 제작하는 단위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의류가 티셔츠일 경우, 야드(YARD)를 단위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의류가 니트일 경우, 통상 파운드(LBS)를 단위로 할 수 있다.
셋째, 계약 디자이너는 해당 의류를 생산하는 업체명 및 원재료의 고유명을 입력할 수 있다.
넷째, 계약 디자이너는, 원재료 업체에서 주문받는 단위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업체가 티셔츠원단의 주문을 kg으로 받는 업체라고 한다면, 1kg=몇 YARD인지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섯째, 계약 디자이너는, 해당 의류의 생산에 필요한 원재료들의 하나하나마다의 제작에 소요되는 단위량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약 디자이너는, 티셔츠를 1개 만드는데 드는 검은색 원단은 0.25(YARD), 흰색원단은 0.33(YARD)라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섯째, 계약 디자이너는, 주문할 때 해당 의류에 대한 주문을 하는 날짜 및 납기를 바라는 날짜를 입력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제어부(22)는, 미리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동으로 해당 의류의 원재료업체 및 원재료들을 상기 계약 디자이너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덟째, 계약 디자이너가, 각 원재료들 마다 필요한 수량을 기입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수량을 자동으로 [주문수량 x 제작시 소요되는 단위량 ÷ 업체마다 주문받는 단위]로 환산하여, 해당 업체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은, 주문시 발생할 수 있는 주문단위계산의 오류를 막을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계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하거나 잘못된 원재료 주문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각 계약 생산업자는, 작업이 완성될 때마다, 해당 수량을 다음 계약 생산업자에게 전달하고, 그 내용을 디자이너, 의뢰인 및 다음 계약 생산업자에게 통보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의류는 제작공정이 하나의 생산업자에 의해 다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원재료업체부터 시작하여 단계별로 각기 다른 생산업자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하나의 업체가 원재료를 사서 제단하고, 프린팅하고, 다시 제봉하여, 의류를 의뢰인에게 납품하지는 않는다. 즉, 일반적으로, 원재료업체가 원재료를 제단업체에게 넘기고, 제단업체가 제단 후, 제단된 재료를 다시 프린팅하는 업체에 넘기고, 프린팅하는 업체가 프린팅된 재료를 다시 제봉업체에 넘기면, 제봉업체가 최종적으로 의류를 생산하여 의뢰인에게 납품한다.
즉, 하나의 생산업자만을 컨트롤하여 의류가 생산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각 공정마다 어떤 의류의 어떤 색상이 얼마만큼 있는지가 파악되어야만, 의뢰인 또는 디자이너는, 일정에 맞게 물건이 나올 수 있도록 생산업자들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특성 상, 100개의 의류가 원재료업체에 주문되더라도, 100개의 의류가 나올 수도 있고, 약간의 오차범위에서 변동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원재료가 한번에 넘어갈 때도 있지만, 여러 차례 나뉘어서 그 다음 계약 생산업자로 넘어갈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의류 생산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며, 비효율적인 관리로 인해 생산력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 명의 디자이너가 관리할수 있는 의류의 수에 한계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계약 생산업자들이 자신에게 할당된 업무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입력하도록 하고 있으며, 계약 디자이너 또는 계약 의뢰인이 입력된 정보들을 열람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명의 계약 디자이너가 관리할 수 있는 의류의 수가 확대될 수 있다.
각 공정별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22)는, 달력에 상품명, 색상, 수량 등을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고, 각 단계별 공정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도식화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업체별 진행상황을 한눈에 알 수 있게 도식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식화된 정보는, 계약 의뢰인 및 계약 디자이너에게만 제공될 수 있으며, 기본적인 공정 일정에 관해서만 모든 의뢰인들, 디자이너들 및 생산업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디자인, 계약 의뢰인, 계약 디자이너 및 생산량 등은 계약 의뢰인의 영업상 비밀이며, 계약 디자이너의 노하우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도식화된 정보 및 특화된 정보는 일반인 및 계약관계가 아닌자들에게는 공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효과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추가될 수 있다.
첫째, 디자이너들은 포트폴리오를 중요시한다. 디자이너들은 보통 서류철에 디자인한 내용들을 파일링하거나 따로 데이터 저장장치에 보관한다. 본 발명은, 사진업로드기능을 제공하여 디자이너들이 자신의 포트폴리오 관리를 간편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이너가 해당 의류의 도안이미지와 작업지시서 등을 사진으로 찍어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업로드하면,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는, 상기 업로드된 정보를, 상기 정보를 업로드한 디자이너의 디자이너 정보에 포함시켜 관리한다.
따라서, 디자이너가 새로운 의뢰인과 계약을 협의하거나 일자리를 구할 때, 디자이너는, 별도의 파일이 없더라도, 상기 의류 생산 관지 장치(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디자인 도안이미지 및 해당 의류의 생산이력(생산량, 생산기일 등)을 의뢰인에게 보여줌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어필할 수 있다.
둘째, 생산업자들은 원래 재래식업체가 많기 때문에 업체위치나 작업형태 및 생산규모 등에 관한 홍보부족이 많다. 본 발명은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는 자신의 업체를 홍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각 주체는 자신의 업체를 홍보할 수도 있다.
의류는 상권에서 가까워질수록 작업비용이 비싸지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의류생산단계별 이동시간이 줄어들어, 작업소요시간이 줄어들게 되어 그만큼 수요가 크기 때문이다. 반면에, 거리가 멀어질수록 인건비 및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싸지기 때문에, 작업비용은 싸진다. 따라서, 비록 거리가 멀더라도, 본 발명을 통해, 생산 스케쥴, 가격홍보 및 신뢰도를 꾸준히 관리하면, 그만큼 자연스럽게 홍보가 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을 활용함으로써, 관리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뢰인이 다품종을 소량으로 자주주문해도 관리가 잘될 수 있다. 이 경우, 재고는 감소되고 디자인은 향상될 수 있다.
디자이너는 디자인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의뢰인을 많이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생산업자는 홍보와 작업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잘못되거나 누락된 작업량을 잡지못해 생산업자가 손해 보는 경우가 많았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의뢰인 주문 수 대비 의뢰인 입고수가 확인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업자는 손실율을 잡아 이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넷째, 의뢰인에게 소속된 디자이너(직원)가 보다 많은 의류들을 관리 및 컨트롤할 수 있기 때문에, 인건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는 의뢰인은, 상황에 맞게 디자이너를 섭외해서 짧은 시간 동안에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프리 디자이너(아르바이트)들은, 다양한 업무들의 관리 및 컨트롤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디자인을 생산하여 더 많은 의뢰인과 계약을 맺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점차, 프리 디자이너들이 많아지게 되어, 보다 다양하고 다변화된 디자인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이 적용되면, 우수한 디자인능력을 갖춘 초보디자이너가 보다 쉽게 의뢰인들 및 생산업자들을 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보 디자이너에서 메인 디자이너가 되기까지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들의 노하우가 향상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생산 관리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들의 예시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생산 관리 장치가,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가 제공하는 구인/구직란에 올려진 특정 다수의 디자이너들 중, 의뢰인은 포트폴리오 및 신뢰정보 등을 통해 실력이 검증된 다자이너를 선택하여 의류의 디자인 생산과 관련된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계약이 체결된 계약 디자이너는,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가 제공하는 구인/구직란에 등록된 생산업자들 및 기존에 알고 있는 생산업자들 중에서, 자신의 요구에 부합하는 생산업자를 선택하여 계약을 체결한 후 샘플 작업 및 생산 진행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계약 디자이너는,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가 제공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의류의 생산을 관리할 수 있다.
계약 생산업자는 생산된 의류를 계약 의뢰인에게 최종적으로 납품한다.
상기 과정들 중, 상기 제어부(22)는, 계약이 체결된 의류와 관련하여, 상기 계약 의뢰인, 상기 계약 디자이너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 간에 발생된 각 단계별 공정 및 결산을 실시간으로 상기 계약 의뢰인, 상기 계약 디자이너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계약 디자이너는, 별도의 보고를 할 필요가 없으며, 문제발생 시, 각종 이벤트를 확인하는 도우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단계별 계약 생산업자가 다음 단계로 상품을 출고할 때, 출고수량을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입력하면 다음 단계의 계약 생산업자가 상기 내용을 확인하고 생산을 진행할 수 있다.
만약, 계약 생산업자가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계약 디자이너가 단계별 확인을 통해 수동으로 입출고 현황을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입력할 수도 있다.
계약 의뢰인은 의류를 판매하는 도매업자 또는 판매업자가 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의뢰인이 디자이너들로부터, 디자인시작부터 최종 납기까지의 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보고받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의뢰인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의 디자인 관리부터, 의류의 주문, 생산, 입고, 로스, 결산 관리가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계약 의뢰인, 계약 디자이너 및 계약 생산업자는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다양한 정보들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약 의뢰인의 생산관리의 효율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소품종 및 대량방식에서 다품종 및 소량방식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계약 의뢰인은 많은 종류의 상품을 소량으로 생산하여, 고객의 반응을 본 후, 판매가 잘 이루어지는 것들에 한하여 추가 생산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가 잘될 수 있기 때문에, 계약 의뢰인은, 의류를 소량으로 여러 번 촘촘히 주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고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다품종 생산으로 인해, 이윤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손실을 포함한 결산의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에 대한 각종 정보가 데이터화 됨으로써, 재고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의류의 생산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단계에서 상품, 즉, 의류에 대한 정보가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계약 의뢰인은, 의뢰인 명, 상품명, 상품번호, 상품이미지, 작업지시서, 제작단가, 단계별 공정처 및 가격, 제작소요량, 소재 등과 같이 의류의 생산과 관련된 모든 항목을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입력한다.
그러나,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의뢰인명, 의류명, 의류 이미지, 작업지시서, 제작단가, 제작 소요량, 소재 등과 같은 상기 입력 대상이 되는 내용들은, 상기 계약 의뢰인이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입력할 수도 있으나, 상기 계약 디자이너가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약디자이너는, 상기 계약 의뢰인이 최초 계약 맺을 당시에 의뢰한 내용을 기반으로 샘플 의류를 제작한 후, 상기 샘플 의류의 생산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정보들을 데이터화할 수도 있다.
2단계에서, 계약 의뢰인은 의류의 생산을 주문한다. 이 경우, 계약 의뢰인이 자신이 원하는 의류의 수량을 주문하면,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는 자동으로 상기 수량을, 최초 공정단계에서 요구하는 단위(야드, g, 절 등)로 환산하여 발주서를 생성하며, 생성된 발주서를 디자이너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3단계에서, 계약 디자이너 및 계약 생산업자는 각 공정단계별로 발생된 각종 정보들을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입력한다. 즉, 각 계약 생산업자는 작업이 완성될 때마다 해당 수량을 다음 계약 생산업자에게 넘기고 그 내용을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입력한다.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는 상기 정보를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 및 다음 공정을 담당하는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3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기예정일 기준으로 달력에 상품명/색상/수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간경과를 상기 달력에 표시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계약 생산업자는 의뢰받고 생산중인 의류들의 납기예정일을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에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정보들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달력을 통해 날짜별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계약 의뢰자 및 계약 디자이너는 해당 계약 생산업자의 의류의 생산일정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생산일정을 바탕으로, 상기 계약 생산업자의 작업이 가능한 날짜(생산일정이 없어 생산이 가능한 날짜) 및 일부작업만 가능한 날짜를 상기 달력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는,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생산업자들이 제공한 생산일정을 이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달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계약 의뢰인 및 상기 계약 디자이너는, 상기 생산일정이 표시된 상기 달력을,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2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약 의뢰인 또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는, 상기 달력을 통해 의류의 샘플 작업 기간 등을 상기 생산업자와 조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은, 계약된 의류 생산과 관련하여 계약 생산업자가 입력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달력이 될 수 있으며, 도 7은 단순히 자신의 의류 생산 일정을 공개하고자 하는 생산업자가 입력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달력이 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캘린더는, 생산업자가 모든 의뢰인들 및 모든 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생산일정을 공개하는 생산일정 캘린더가 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는,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각 상품(의류)별로, 각 단계별 진행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22)는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업체별 진행상황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22)는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22)는 수집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생산이 의뢰된 의류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을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의뢰인 단말기를 통해, 디자이너 구인정보가 수신되면, 의뢰인의 의류 생산 일정이 포함된 구인정보 캘린더를 생성하고,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구직정보가 수신되면 디자이너의 일정이 포함된 구직정보 캘린더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구인정보 캘린더와 상기 구직정보 캘린더를 확인한 의뢰인 및 디자이너 간의 구인 또는 구직 신청을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 또는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구인정보 캘린더는,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에 접속한, 모든 디자이너 단말기들 및 모든 생산업자 단말기들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모든 디자이너 단말기들 및 모든 생산업자 단말기들 중, 상기 구인정보 캘린더를 요청하는 단말기로 상기 구인정보 캘린더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인정보 캘린더의 생성을 요청한 의뢰인 단말기를 제외한 또 다른 의뢰인 단말기들로도, 상기 구인정보 캘린더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구직정보 캘린더는,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에 접속한, 모든 의뢰인 단말기들 및 모든 생산업자 단말기들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모든 의뢰인 단말기들 및 모든 생산업자 단말기들 중, 상기 구직정보 캘린더를 요청하는 단말기로 상기 구직정보 캘린더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직정보 캘린더의 생성을 요청한 디자이너 단말기를 제외한 또 다른 디자이너 단말기들로도, 상기 구직정보 캘린더를 전송할 수 있다 .
상기 제어부(22)는, 생산업자 단말기를 통해, 생산업자가 작업 진행 중인 상품의 입고 예정일, 출고 예정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생산일정 캘린더를 생성한다.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잇다.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는, 모든 의뢰인 단말기들 및 모든 디자이너 단말기들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는,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의 생성을 요청한 생산업자 단말기 이외의 또 다른 생산업자 단말기들로도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는, 상기 구인 또는 구직 신청에 의해 계약이 체결된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 또는 계약 의뢰인 단말기가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를 요청하면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를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 또는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를 확인한 계약 의뢰인 또는 계약 디자이너와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를 생성한 생산업자 간에 이루어진 계약의 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구인정보 캘린더의 생성을 요청한 의뢰인은, 상기 구직정보 캘린더들을 검색한 후, 적어도 하나의 디자이너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들을 검색한 후, 적어도 하나의 생산업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구직정보 캘린더의 생성을 요청한 의뢰인은, 상기 구인정보 캘린더들을 검색한 후, 계약을 맺고자 하는 의뢰인에게 계약을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를 확인한 후 적어도 하나의 생산업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의 생성을 요청한 의뢰인은, 상기 구인정보 캘린더들을 검색한 후, 계약을 맺고자 하는 의뢰인에게 계약을 요청할 수 있고, 상기 구직정보 캘린더를 확인한 후, 계약을 맺고자 하는 디자이너에게 계약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는, 상기 구인정보 캘린더, 상기 구직정보 캘린더 및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를 검색한 후, 계약을 맺고자 하는 상대방에게 계약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대방이 계약을 승낙하면, 계약과 관련된 정보들이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에 저장된다.
상기한 방법을 통해, 계약을 체결한 의뢰인, 디자이너 및 생산업자는, 계약 의뢰인, 계약 디자이너 및 계약 생산업자라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캘린더들을 제공할 때, 상기 의뢰인, 상기 디자이너 및 상기 생산업자들 각각의 신뢰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의뢰인, 상기 디자이너, 상기 생산업자가 상호 간의 조건들과 신뢰정보를 이용하여 구인, 구인 및 생산의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약에 포함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계약 생산업자가 이용하는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계약 생산업자의 생산일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의류 생산 정보를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 또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계약 의뢰인 또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가 상기 계약 생산업자의 일정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생산업자들이, 하나의 의류 생산, 즉, 하나의 계약에 참여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계약 생산업자는, 상기 의류 생산 정보를 상기 의류 생산 관리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는, 각 계약 생산업자로부터 수신된 상기 의류 생산 정보를 저장하며, 각 공정 단계별로, 복수의 생산업자들 각각의 진행상황을, 상기 계약 의뢰인 또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계약에 의해, 의류를 생산함에 있어서는, 원단을 제공하는 업체, 패턴을 하는 업체, 가공을 하는 업체, 악세사리를 제공하는 업체 등과 같이, 복수의 생산업자들이 참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하나의 생산업체에 맡기면 그 생산업체가 자기가 못하는 부분은 하청을 주었으며, 이에 따라, 의뢰인 또는 디자이너는, 작업의 상황을 확인할 수 없고, 품질관리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게약 디자이너 또는 계약 의뢰인이 여러 생산업자들을 파트별로 선택해서 작업을 지시할 수 있으며, 게약 디자이너 또는 계약 의뢰인은, 각 생산업자들의 작업 일정을, 상기 제어부가 제공하는 캘린더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게약 디자이너 또는 계약 의뢰인은, 현재의 공정이 어느 단계에 있고, 언제쯤 생산이 완료될 수 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의뢰인, 디자이너, 생산업자, 계약 의뢰인, 계약 디자이너 또는 계약 생산업자가 입력한 수량을, 각 공정에서 이용되는 표준단위 또는 기 설정된 단위로 자동으로 환산하여, 환산된 수량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량을 바탕으로 필요한 원단을 야드 또는 키로그람 등의 단위로 자동 환산시켜 환산된 단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생산업자의 신뢰정보는, 예를들어, 상기 생산업자가 의뢰받은 디자인수, 실제로 생산된 의류의 수, 평균생산 일정, 상기 생산업자와 계약한 계약 의뢰인이 제공한 평가점수, 상기 생산업자와 계약한 계약 디자이너가 제공한 평가점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디자이너의 신뢰정보는, 상기 디자이너가 작업한 디자인수, 상기 디자이너의 디자인에 의해 실제로 생산된 의류의 수, 평균디자인 일정, 상기 디자이너와 계약한 계약 의뢰인이 제공한 평가점수, 상기 디자이너와 계약한 계약 디자이너가 제공한 평가점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의뢰인의 신뢰정보는, 상기 의뢰인이 의뢰한 디자인의 수, 상기 의뢰인에 의해 실제로 생산된 의류의 수, 상기 의뢰인의 결제 제공 상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의뢰인 단말기 20 : 의류 생산 관리 장치
30 : 디자이너 단말기 40 : 생산업자 단말기

Claims (5)

  1. 네트워크를 통해 의뢰인 단말기들, 디자이너 단말기들 및 생산업자 단말기들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의뢰인 단말기들,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들 및 상기 생산업자 단말기들을 이용하는 의뢰인들, 디자이너들 및 생산업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의류 생산과 관련된 계약을 체결한 계약 의뢰인, 계약 디자이너 및 계약 생산업자에 의해 생성된 의류 생산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계약 의뢰인, 상기 계약 디자이너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가 이용하는 계약 의뢰인 단말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 및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에 대한 요청이 있으면,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을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 및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들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뢰인 단말기를 통해, 디자이너 구인정보가 수신되면, 의뢰인의 의류 생산 일정이 포함된 구인정보 캘린더를 생성하고,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구직정보가 수신되면 디자이너의 일정이 포함된 구직정보 캘린더를 생성하고,
    상기 구인정보 캘린더와 상기 구직정보 캘린더를 확인한 의뢰인 및 디자이너 간의 구인 또는 구직 신청을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 또는 상기 의뢰인 단말기로 전송하고,
    생산업자 단말기를 통해, 생산업자가 작업 진행 중인 상품의 입고 예정일, 출고 예정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생산일정 캘린더를 생성하고,
    상기 구인 또는 구직 신청에 의해 계약이 체결된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 또는 계약 의뢰인 단말기가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를 요청하면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를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 또는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를 확인한 계약 의뢰인 또는 계약 디자이너와 상기 생산일정 캘린더를 생성한 생산업자 간에 이루어진 계약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캘린더들을 제공할 때, 상기 의뢰인, 상기 디자이너 및 상기 생산업자들 각각의 신뢰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의뢰인, 상기 디자이너, 상기 생산업자가 상호 간의 조건들과 신뢰정보를 이용하여 구인, 구인 및 생산의뢰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의뢰인, 상기 디자이너, 상기 생산업자, 상기 계약 의뢰인, 상기 계약 디자이너 또는 상기 계약 생산업자가 입력한 수량을, 각 공정에서 요구되는 표준단위 또는 기 설정된 단위로 자동으로 환산한 후, 환산된 수량을 제공하며,
    상기 계약에 포함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계약 생산업자가 이용하는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계약 생산업자의 생산일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의류 생산 정보를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 또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계약 의뢰인 또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가 상기 계약 생산업자의 일정을 확인하도록 하는 의류 생산 관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뢰인들, 상기 디자이너들, 상기 생산업자들 각각의 신뢰정보를 요청한 단말기로, 신뢰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생산업자의 신뢰정보는, 상기 생산업자가 의뢰받은 디자인수, 상기 생산업자에 의해 실제로 생산된 의류의 수, 평균생산 일정, 상기 생산업자와 계약한 계약 의뢰인이 제공한 평가점수, 상기 생산업자와 계약한 계약 디자이너가 제공한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되고,
    상기 디자이너의 신뢰정보는, 상기 디자이너가 작업한 디자인 수, 상기 디자이너의 디자인에 의해 실제로 생산된 의류의 수, 평균디자인 일정, 상기 디자이너와 계약한 계약 의뢰인이 제공한 평가점수, 상기 디자이너와 계약한 계약 디자이너가 제공한 평가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되며,
    상기 의뢰인의 신뢰정보는, 상기 의뢰인이 의뢰한 디자인의 수, 상기 의뢰인에 의해 실제로 생산된 의류의 수, 상기 의뢰인의 결제 제공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되는 의류 생산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을 납기예정일별로 정리하여 달력 형태로 제공하고,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을 상기 계약과 관련된 상품별로 정리하여 제공하며,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을 상기 계약과 관련된 업체별로 정리하여 제공하는의류 생산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디자이너들의 일정 및 상기 생산업자 단말기들로부터 전송되어온 상기 생산업자들의 일정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의뢰인 단말기들 또는 상기 생산업자 단말기들 또는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일정이 요구되면, 상기 일정을 전송하고,
    상기 의뢰인 단말기들 중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로부터, 상기 계약 의뢰인이 의뢰하고자 하는 의류의 디자인의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디자이너 단말기들 중 상기 디자인의 정보를 요청하는 디자이너 단말기로 상기 디자인의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디자이너들의 일정을 확인한 상기 계약 의뢰인과, 상기 계약 디자이너간의 계약이 체결되면,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의류 생산 정보를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생산업자들의 일정을 확인한 상기 계약 의뢰인 또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와, 상기 계약 생산업자 간의 계약이 체결되면, 상기 계약 생산업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의류 생산 정보를 상기 계약 의뢰인 단말기 또는 상기 계약 디자이너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계약 디자이너 또는 상기 계약 생산업자에 의한 생산 공정들 각각에 따라 입력된 상기 의류 생산 정보들을 가공하여, 상기 계약 의뢰인, 상기 계약 디자이너 또는 상기 계약 생산업자가 상기 생산 공정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의류 생산 관리 장치.
KR1020150105251A 2015-07-24 2015-07-24 의류 생산 관리 장치 KR101719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251A KR101719250B1 (ko) 2015-07-24 2015-07-24 의류 생산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251A KR101719250B1 (ko) 2015-07-24 2015-07-24 의류 생산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856A KR20170011856A (ko) 2017-02-02
KR101719250B1 true KR101719250B1 (ko) 2017-03-30

Family

ID=5815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251A KR101719250B1 (ko) 2015-07-24 2015-07-24 의류 생산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2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593B1 (ko) * 2021-08-18 2022-03-16 뭄무컴퍼니 악세서리의 제작 공정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385692B1 (ko) * 2021-08-18 2022-04-19 뭄무컴퍼니 악세서리의 주문 제작 및 제작 일정 관리를 지원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769B1 (ko) * 2018-01-27 2018-11-30 (주)나라물산 융복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멀티 밴드 시스템.
KR101937483B1 (ko) * 2018-02-14 2019-04-11 (주)나라물산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에 대해 디자이너와 커뮤니케이션되는 의류제작시스템.
WO2019172654A1 (ko) * 2018-03-06 2019-09-12 (주)나라물산 다양한 업종의 생산자와 발주자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의류가 생산되게 하는 발주시스템.
KR102048744B1 (ko) * 2018-03-06 2020-01-08 신왕수 다양한 업종의 생산자와 발주자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의류가 생산되게 하는 발주시스템.
KR102276743B1 (ko) 2019-04-30 2021-07-13 주식회사 어바옷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45834B1 (ko) * 2021-04-08 2021-12-31 주식회사 제이앤포 니트 생산 플랫폼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1711A (ja) * 1999-01-26 2000-08-02 Fujitsu Ltd 数量変換装置及び数量補正装置
JP2002073921A (ja) * 2000-08-31 2002-03-12 Mitsue-Links Corp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3016159A (ja) * 2011-06-06 2013-01-24 Ricoh Co Ltd 受発注支援システム、パートナー選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137A (ko) * 2009-10-26 2011-05-04 김민기 의류 판매 중개 서버 및 그 의류 판매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의류 판매 중개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40069784A (ko) * 2012-11-30 2014-06-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신용정보를 이용한 협력업체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1711A (ja) * 1999-01-26 2000-08-02 Fujitsu Ltd 数量変換装置及び数量補正装置
JP2002073921A (ja) * 2000-08-31 2002-03-12 Mitsue-Links Corp スケジュール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3016159A (ja) * 2011-06-06 2013-01-24 Ricoh Co Ltd 受発注支援システム、パートナー選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593B1 (ko) * 2021-08-18 2022-03-16 뭄무컴퍼니 악세서리의 제작 공정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385692B1 (ko) * 2021-08-18 2022-04-19 뭄무컴퍼니 악세서리의 주문 제작 및 제작 일정 관리를 지원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1856A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250B1 (ko) 의류 생산 관리 장치
US8825534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manufacturing estimation production assembly and inventory management
Daaboul et al. Value network modelling and simulation for strategic analysis: a discrete event simulation approach
JP3948429B2 (ja) 価格改訂方法及び価格改訂支援システム
US7099726B2 (en) Production planning system
Karim et al. An on-time delivery improvement model for manufacturing organisations
US7039481B2 (en) Production planning system
JP2000148785A (ja) 商取引管理システム
RU2642378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осуществления закупок и продаж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интерактивной облачной системы
KR102385853B1 (ko) 발주 관리 통합 시스템
KR102345834B1 (ko) 니트 생산 플랫폼 제공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192429B1 (ko) 이원화 관리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발주 및 입출고 관리 시스템
EP4035102A1 (en) System for providing supply chain information
KR20070075501A (ko) 기계가공물품의 생산정보 관리시스템 및 생산정보 관리방법
JP2022177104A (ja) 情報処理装置
KR20220053435A (ko) 올윈원 전자적 의류제작 협업 시스템 및 방법
KR102276743B1 (ko) 일감연결 플랫폼을 이용한 봉제업체 비교견적 및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9095897A (ja) 商品提供サーバ及び商品定期提供システム
KR102600679B1 (ko) 섬유패션산업을 위한 클라우드 협업 시스템
EP3026611A1 (en) Report data management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report data management program, and report data management method
JP2017102651A (ja) 部品調達システム
JP2019175232A (ja) 生産計画装置、生産計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038511A (ja) 顧客間レンタル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Shahin et al. Indicators of Supply Chain Management (SCM): Performance and Supplier Selection
JP749162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