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72654A1 - 다양한 업종의 생산자와 발주자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의류가 생산되게 하는 발주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양한 업종의 생산자와 발주자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의류가 생산되게 하는 발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72654A1
WO2019172654A1 PCT/KR2019/002611 KR2019002611W WO2019172654A1 WO 2019172654 A1 WO2019172654 A1 WO 2019172654A1 KR 2019002611 W KR2019002611 W KR 2019002611W WO 2019172654 A1 WO2019172654 A1 WO 201917265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any
operation server
project
information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261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신왕수
Original Assignee
(주)나라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라물산 filed Critical (주)나라물산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2562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48744B1/ko
Publication of WO201917265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7265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was that the lower companies were vertically operated in the state of being dependent on the upper company when manufacturing the garment,
  • the client terminal that executes the project to manufacture the garment and instructs to manufacture the garment, and a database of the company information registered by each producer terminal through the Internet to market the service or product to be serviced during the garment production. It consists of forming the operation server, the operation server is configured to match the participation or selection of each company in the project generated by the client.
  • a notebook computer or a slate PC Tablet PC
  • Tablet PC Tablet PC
  • Tablet PC tablet PC
  • Ultrabook Smartbook
  • smart phone Smart Phone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a notebook computer or a slate PC Tablet PC
  • Tablet PC Tablet PC
  • Tablet PC tablet PC
  • Ultrabook Smartbook
  • smart phone Smart Phone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the project has a database of work information, including each company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of the apparel product, the work results reported from each company, and the instructions from the client.
  • Figure 5 shows a brief example of the appearance of the work order 60 registered during the project progress, the overall appearance, material, quantity of the clothing product or registered clothing product designed by the client as shown , Size, etc. so that each company can check.
  • a specific company may be selected through the work window 50 generated by the project generation module 32a.
  • warranty insurance module 32d is built so that when the specific project is carried out by the project generation modul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ntract linked to a specific column, and the guarantee and the balance paid and the guarantee or certification are made based on the contract. It is configured to check the date of deposit of each amount.
  • the client terminal designing a specific garment product based on basic information of the garment product (S200);
  • industries that the company can serve eg sewing, printing, embroidery
  • Enter industry or company information including, transfer, sewing, fabric, delivery, design, etc.
  • parts eg, buttons, fabric, labels, tags, content, etc.
  • the manager terminal 40 or the operation server 30 based on the URL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company opened the information window 80 to check the industry information or company information of the company, and Based on this, the market will create an online service market where the client can select and hire the company.
  • the client terminal designing a specific garment product based on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garment product (S200),
  • the fabric e.g., S, M, L, XL
  • type e.g., cotton tee, hoodie, navy
  • the operation server automatically matches the company and the orderer based on the order history, and when no match is made, the operation server 30 opens the service market and configures the companies to particip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제작시스템 및 이의 솔루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서비스할 수 있는 용역이나 제품을 등록하고, 작업한 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생산자 단말기와,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의류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해당 의류를 제작하도록 지시하는 발주자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각각의 업체들이 의류제작시 서비스할 수 있는 용역이나 부품들을 판매하는 시장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발주자 단말기가 프로젝트를 실행하였을 때 발주자와 업체 간에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다양한 업종(예, 염색업체, 원단업체, 미싱업체 등등)의 업체들이 의류제작시스템에 등록된 상태에서 발주자에 의해 발행된 프로젝트에 상기 업체들의 참여 또는 선택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프로젝트를 토대로 업체와 발주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면서 특정 의류의 제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의류제작시스템 및 이를 위한 솔루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업종의 생산자와 발주자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의류가 생산되게 하는 발주시스템.
본 발명은 발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의류 제작에 관여하는 다양한 업종(예, 염색업체, 원단업체, 미싱업체 등등)의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는 시장을 형성한 상태에서, 발주자에 의해 진행된 프로젝트에 각각의 업체들의 참여 또는 선택이 이루어지고, 상기 프로젝트를 토대로 업체와 발주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면서 안전하게 의류 제작이 이루어지게 구축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생산과정을 살펴보면, 디자이너가 특정 컨텐츠를 기반으로 자신만의 개성 넘치는 의류를 창작하면,
이를 제작자에게 넘겨 자신의 거래처와 생산자들을 통해 상기 디자이너가 의뢰한 특정 의류를 제작한 후, 도매업자와 소매업자에게 넘겨져 개인 구매되게 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이러한 의류 제작업체들은 염색업체, 원단업체, 미싱업체, 자수업체, 라벨업체, 배송업체 등등 다양한 직업군으로 나누어져 있고,
의류를 제작 과정에 따라 각각의 업체들이 부속품처럼 연결되어 있어 하위 업체들이 상위 업체에게 종속된 상태로 대량 생산 가능하게 운영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의류 제작은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대량 생산시 그 품질의 편차를 최소화(균일한 품질의 의류상품)하기 위하여 계속 같은 거래처(상위업체/하위업체)를 유지하기 때문에 대부분 각 업체들의 거래처들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상위업체가 경영상의 문제로 폐업을 하게 되면 하위 업체 역시 정해진 거래처가 없어지기 때문에 운영상에 큰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의류 제작시 하위 업체들이 상위 업체에 종속된 상태로 수직하게 운영되었던 것을,
발주자를 중심으로 수평적인 관계로 운영되게 전체 구조를 개편시킴으로써,
각 업체들이 상위 거래처 혹은 하위 거래처로부터 자유로워진 상태로 운영/경영되도록 하는 발주시스템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평적인 관계로 특정 의류를 제작할 수 있는 발주시스템을 구축할 때,
각각의 업체들과 발주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면서 발주자의 의류를 안전하게 제작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각의 업체별로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서비스할 수 있는 용역이나 제품을 포함하는 업체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복수의 생산자 단말기와,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의류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해당 의류를 제작하도록 지시하는 발주자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각각의 생산자 단말기에 의해 등록된 업체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의류 제작시 서비스할 용역이나 제품을 판매할 시장을 형성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운영서버가 발주자에 의해 생성된 프로젝트에 각 업체들의 참여 또는 선택이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는 프로젝트 진행시 발주자와 업체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영서버에 의해 발주자를 중심으로 나염, 자수, 미싱, 원단, 전사, 봉제, 등의 다양한 업체들이 수평적인 관계를 형성하면서, 각각의 업체들이 상위 거래처 혹은 하위 거래처로부터 자유로워지면서 안전하게 운영/경영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발주자를 중심으로 각 업체들이 수평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각각의 업체들 중 어느 곳에서 제품의 하자가 발생하지 명확하게 확인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주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주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도 2의 운영서버의 블럭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주시스템의 화면 구성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주시스템의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는 각각의 업체별로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이 서비스할 수 있는 용역이나 제품을 포함하는 업체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복수의 생산자 단말기와,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의류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해당 의류를 제작하도록 지시하는 발주자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각각의 생산자 단말기에 의해 등록된 업체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의류 제작시 서비스할 용역이나 제품을 판매할 시장을 형성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운영서버가 발주자에 의해 생성된 프로젝트에 각 업체들의 참여 또는 선택이 이루어지면서 매칭되게 구성하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개념 또는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 또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운영서버의 구성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운영서버(30)에 접속하여 각각의 업체별로 서비스할 수 있는 용역이나 제품을 포함하는 업체정보 또는 업종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복수의 생산자 단말기(10)와,
운영서버(30)에 접속하여 자신의 의류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해당 의류를 제작하도록 지시하는 발주자 단말기(20)와,
인터넷을 통해 각각의 생산자 단말기에 의해 등록된 업체정보를 토대로 의류 제작시 서비스할 용역이나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시장을 형성하는 운영서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발주자 단말기(20)가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발주자의 프로젝트를 실행하였을 때, 운영서버는 해당 프로젝트에 각 업체들의 참여 혹은 선택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운영서버는 프로젝트 진행시 발주자와 업체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운영서버(30)에 접속하여 서비스 시장을 관리하는 한편, 각각의 업체와 발주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의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서포트하는 관리자 단말기(40)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생산자 단말기(10)는 의류계통에 종사하는 각각의 업체들이 사용하는 단말기로써,
상기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업종(예, 봉제, 나염, 자수, 전사, 미싱, 원단, 배송 등등)정보 또는 업체정보를 등록하고, 부여받는 권한을 토대로 발주자가 생성한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을 때, 자신이 작업한 결과를 해당 발주자로 보고하는 단말기이다.
대표적으로 개인용 컴퓨터나 서버를 기본으로 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노트북 컴퓨터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들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발주자 단말기(20)는, 디자이너, 브랜드샵, 쇼핑몰, 도소매업체 등과 같은 발주자가 자신이 디자인한 의류 혹은 특정 의류의 제작을 의뢰하기 위한 단말기이고,
특히 부여받은 어드민을 토대로 상기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의류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한 각각의 업체들이 작업한 결과를 보고받아 커뮤니케이션하면서 특정 의류를 제작하도록 지시하는 단말기이다.
대표적으로 개인용 컴퓨터나 서버를 기본으로 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노트북 컴퓨터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들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40)는 서비스회사의 관리자가 부여받은 어드민을 토대로 운영서버(30)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특히 프로젝트 진행시 용이하게 발주자와 업체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발주자와 거래처 간의 계약에 대한 보증/인증을 위한 것이거나, 혹은 판매대금/계약금 등에 대한 분배 및 수수료 정책에 관여하고 정산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리자 단말기는 대표적으로 개인용 컴퓨터나 서버를 기본으로 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노트북 컴퓨터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들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운영서버(30)는 의류제작시 발주자를 중심으로 서로 다른 업종의 업체들을 연결시켜, 수평적인 서비스 시장을 형성하는 서버로써,
특히 프로젝트 진행시 각 업체의 참여 혹은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한편, 의류제작시 해당 업체와 발주자 간에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이때 운영서버(30)는 각 업체들이 등록한 업체정보/업종정보를 토대로 서비스 시장을 형성하기 위한 판매레이어(33)와, 발주자의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의류제작 레이어(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발주자가 자신만의 의류를 디자인할 수 있게 서포트하는 디자인 레이어(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참고로 이때의 각 레이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더불어 상기 운영서버(30)는 가입한 발주자의 식별정보 또는 각 업체들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작성된 업종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회정정보DB(34)와, 발주자가 자신만의 의류를 디자인할 수 있게 컨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컨텐츠정보DB(35)와, 프로젝트 진행시 제작된 해당 프로젝트 및 이에 의해 만들어진 의류상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상품정보DB(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의 회원정보DB(34)는 가입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DB로써, 특히 발주자 또는 각 업체의 이름, 주소, 아이디, 패스워드, 연락처 등에 해당하는 식별정보를 토대로 프로젝트 진행시 발생한 계약금이나 잔금 또는 상기 계약금과 잔금을 배분하기 위한 은행명, 예금주, 계좌번호, 등에 해당하는 계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으며, 상기 가입자가 용역을 서비스하기 위한 업체일 경우에는 자신이 서비스할 수 있는 업종(예, 봉제, 나염, 자수, 전사, 미싱, 원단, 배송, 디자인 등등) 및 부품(예, 단추, 원단, 라벨, 태그, 컨텐츠 등등)에 대한 업종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다.
또한, 상기 컨텐츠정보DB(35)는 발주자가 자신만의 의류를 디자인할 수 있게 서포트하기 위하여 캐릭터나 문자 혹은 로고 등을 카테고리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DB로써,
특히 컨텐츠 공급자의 이름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설명, 분류를 위한 카테고리 사항(커플/사랑/동물/숫자/꽃/영화/음식/음악/도형 등등) 그리고 이미지 등에 대한 기본정보와, 상기 컨텐츠를 이용할 때마다 부과되는 판매금액과, 계약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다.
또한, 상품정보DB(36)는 프로젝트 진행시 제작이 완료된 해당 의류상품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DB로써,
이때의 상품정보DB(36)는 해당 의류제품의 재질 및 색상과 사이즈와 수량과 이미지 등의 기본정보를 토대로 해당 의류상품을 제작하였을 때 소요된 비용 및 이의 게약금과 잔금 그리고 이를 판매하였을 때의 가격이나 손익 등에 대한 어카운트정보와,
프로젝트를 통해 해당 의류상품을 제작할 때 참여한 각각의 업체와, 각각의 업체로부터 보고받은 작업 결과와, 발주자가 지시한 내용 등을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고 있는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운영서버에 있어서, 각 레이어의 모듈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때의 각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능적/구조적 결합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운영서버(30)는 각각의 업체들이 자신의 용역이나 재화를 등록하였을 때 이를 발주자로 판매하기 위한 시장을 형성하는 판매레이어(33)와, 발주자의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의류제작 레이어(32)와, 상기 발주자가 자신만의 의류를 디자인할 수 있도록 서포트하기 위한 디자인 레이어(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판매레이어(33)는 등록모듈(33a)과 시장형성모듈(3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의류제작 레이어(32)는 프로젝트생성모듈(32a)과, 매칭모듈(32e)과 체크모듈(32b)과, 커뮤니케이션모듈(32c)과, 보증보험모듈(32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디자인 레이어(31)는 컨텐츠 호출모듈(31a)과, 디자인모듈(3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판매레이어(33)의 등록모듈(33a)은, 상기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어드민을 부여받기 위해 해당 업체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계좌정보와 업종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모듈이다.
더불어 시장형성모듈(33b)은 상기 등록모듈을 통해 각 업체의 업종정보를 등록하였을 때, 각각의 업체별로 할당되는 URL주소를 통해 발주자가 인터넷 상에서 해당 업체의 업체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창이나 웹페이지를 형성하여, 발주자가 프로젝트 진행할 때 특정 업체의 정보를 확인하고 고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디자인 레이어(31)의 컨텐츠 호출모듈(31a)은. 컨텐츠 공급자가 등록한 컨텐츠를, 카테고리별로 호출하여, 발주자(예, 디자이너)가 특정 컨텐츠를 취사선택하면서, 의류를 디지인할 수 있게 구성한 모듈이다.
이때 상기 컨텐츠는 호출시 발주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컨텐츠에 대한 이미지 및 가격과 함께, 이에 대한 이름이나 설명 혹은 해당 컨텐츠를 공급하는 사람의 이름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더불어 디자인모듈(31b)은 상기 컨텐츠 호출모듈(31a)을 통해 선택된 특정 컨텐츠를 이용해 의류를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으로써,
의류 상품에 대한 색상과 종류 그리고 사이즈 등을 설정하였을 때, 선택된 컨텐츠 이미지가 적용될 바운딩 박스를 추가하고, 이때 해당 바운딩 박스의 X축과 Y축의 기준좌표를 설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포지션 및 스케일과 각도 등을 지정한 후, 목업화시켜 의류 상품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또한, 의류제작 레이어(32)의 프로젝트 생성모듈(32a)은,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발주자의 의류를 제작하기 위한 모듈이다.
즉, 도 4는 프로젝트 생성모듈(32a)에 의해 생성된 작업창의 모습을 예를 들어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칸과 란으로 이루어진 자업창(50)을 형성하고, 상기 작업창의 특정 칸과 란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발주자 이름과 업체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한편, 프로젝트를 실행한 등록일과, 링크 연결된 작업지시서를 확인할 수 있게 구축한다. 더불어 상기 작업창(50)은 원단업체에서부터 배송업체까지 다양한 과정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각의 작업과정마다 발주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업체 또는 참여한 특정 업체 혹은 매칭된 특정 업체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참고로 도 5는 프로젝트 진행시 등록된 작업지시서(60)의 모습을 간략하게 예를 들어 보여주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발주자에 의해 디자인된 의류상품 또는 등록된 의류상품의 전체 모습과, 재질, 수량, 사이즈 등을 각각의 업체들이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매칭모듈(32e)은 프로젝트 진행시 의류상품을 제작할 특정 업체를 선택하거나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듈이다.
이때 매칭모듈(32e)은 종래 해당 발주자의 발주이력(종래 프로젝트 실행 이력)을 토대로 특정 업체가 자동으로 매칭되면서 참여가 이루어지거나, 혹은 발주된 프로젝트를 공고하고, 각각의 업체들이 공고된 특정 프로젝트를 확인하고 참여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등록된 업체의 랭킹순위나 규모를 토대로 매칭이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매칭모듈(32e)에 의해 참여(매칭)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프로젝트 생성모듈(32a)에 의해 생성된 작업창(50)을 통해 특정업체를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창(50)에 공정별로 구획되어 있는 특정 칸과 란을 클릭하여, 해당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업체들을 확인할 수 있는 목록창(70)을 호출하고, 상기 목록창(70)의 특정 업체를 선택함으로써, 작업창에 자신의 의류상품을 제작할 업체를 등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의 목록창(70)은 규모 또는 발주이력이나 신용도 등을 토대로 랭킹이 매겨지고, 이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목록창(70)의 특정 업체를 선택하였을 때, 시장형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각 업체들의 정보창(80)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체크모듈(32b)은 상기 프로젝트 생성모듈(32a)을 통해 프로젝트 진행이 이루어지게 되면, 오픈된 작업창(50)에 각각의 업체들이 처리한 작업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모듈이다.
즉, 프로젝트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작업창에 각각의 공정별로 구획된 칸과 란에 작업완료/진행중 등등의 작업결과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전체 작업 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모듈이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모듈(32c)은 각각의 업체로부터 작업 로고기록을 받아들여 상기 체크모듈(32b)을 통해 표시된 작업결과를 디스플레이하였을 때, 발주자가 작성한 지시사항이나 승인한 내역 등을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모듈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모듈에 의해 작업창(50)에 각각의 공정별로 작업한 결과가 디스플레이되었을 때, 각 공정의 작업결과를 클릭하게 되면, 발주자가 업체쪽으로 문의하거나 혹은 해당 업체가 발주자에게 답변할 수 있게 지원하는 커뮤니케이션 창(90)이 오픈되는 것이다.
또한, 보증보험모듈(32d)은 프로젝트 생성모듈에 의해 특정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특정 칸에 링크 연결된 계약서를 확인할 수 있게 구축하고, 상기 계약서를 토대로 보증 혹은 인증이 이루어지면서, 지불한 계약금과 잔금 및 각각의 금액을 입금한 날짜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의류제작 과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참고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주시스템의 순서도이다.
,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각각의 생산자 단말기가 업종정보 또는 업체정보를 등록하였을 때, 인터넷상에 의류 제작시 서비스할 용역 또는 부품 등을, 발주자에게 판매하는 서비스 시장을 형성하는 단계(S100)와,
상기 발주자 단말기가 의류상품의 기본정보를 토대로 특정 의류상품을 디자인하는 단계(S200)와,
상기 발주자 단말기가 실행한 프로젝트에 특정 업체의 참여 혹은 선택이 이루어지면서 발주자의 의류가 제작되게 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서비스 시장을 형성하는 단계(S100)은, 생산자에 해당하는 업체들이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어드민을 부여받기 위하여 해당 업체의 이름, 주소, 아이디, 패스워드, 연락처 등에 해당하는 식별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토대로 프로젝트 진행시 발생하는 계약금이나 잔금 또는 상기 계약금과 잔금을 배분하기 위한 은행명, 예금주, 계좌번호, 등에 해당하는 계좌정보와, 해당 업체가 서비스할 수 있는 업종(예, 봉제, 나염, 자수, 전사, 미싱, 원단, 배송, 디자인 등등) 및 부품(예, 단추, 원단, 라벨, 태그, 컨텐츠 등등)등을 포함하는 업종정보 또는 업체정보를 입력한다.
이때 관리자 단말기(40) 또는 운영서버(30)에 의해 승인이 이루어지면, 각각의 업체별로 할당되 URL정보를 토대로 해당 업체의 업종정보 또는 업체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창(80)을 개설하고, 이를 토대로 발주자가 해당 업체를 선택 고용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 시장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주자 단말기가 의류상품의 기본정보를 토대로 특정 의류상품을 디자인하는 단계(S200)는,
발주자 단말기(20)를 통해 디자인된 특정 의류상품을 등록할 수도 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원단, 색상, 사이즈(예, S, M, L, XL), 종류(예, 면티, 후드티, 나시, 등등) 등에 해당하는 기본정보를 등록하고,
특정 컨텐츠를 호출하여 선택하였을 때, 기준좌표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바운딩박스를, 의류의 앞면 뒷면 혹은 팔 등에 형성하여, 의류상품을 디자인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발주자 단말기(20)는 원단, 색상, 사이즈(예, S, M, L, XL), 종류(예, 면티, 후드티, 나시, 등등) 등에 해당하는 기본정보를 등록하고, 디자인된 의류상품을 등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주자 단말기가 실행한 프로젝트에 특정 업체의 참여 혹은 선택이 이루어지면서 특정 의류가 제작되는 단계(S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주자 단말기에 의해 디자인된 의류상품을 토대로 프로젝트를 신청하는 한편, 해당 의류상품을 제작할 때 필요한 작업지시서와 견적서를 작성한다.
그리고 운영서버(30)는 작업지시서와 계약서를 토대로 발주자와 업체를 매칭시켜 프로젝트를 진행시키도록 한다.
이때 운영서버는 발주이력 등을 토대로 업체와 발주자를 자동으로 매칭시켜주고,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운영서버(30)가 해당 프로젝트를 서비스시장을 오픈하여, 각각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이때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하길 원하는 각각의 업체들이 생산자단말기(10)를 통해 견적서를 작성하여 운영서버(30)를 통해 발주자 단말기(20)로 보내고,
상기 발주자 단말기(20)가 해당 업체의 정보와 견적서를 확인한 후 선택하게 되면, 등록시 운영서버(30)에 의해 매칭이 이루어지면서 프로젝트가 실행되는 것이다.
이때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발주자 단말기에 의해 특정 업체가 선택되어지고, 해당 업체로 발주자 작성한 견적서를 보내어, 매칭이 이루어지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매칭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발주자와 업체 혹은 서비스회사 간에 계약서 작성이 이루어지고, 프로젝트 실행시 형성된 작업창을 통해 상기 계약서와 작업지시서를 확인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작업창에는 계약금을 송금한 날짜와, 해당 계약에 따라 원부자제를 투입하여 샘플을 제작한 날짜 및 해당 샘플에 대한 품질을 체크한 후 승인이 이루어지면, 작업지시에 따라 지시한 수량만큼 의류상품을 제작하고 납품을 완료하는 것이다. 그리고 입고제품의 품질을 체크하고, 이상이 없으면 관련 비용이 송금되고, 각각의 업체로 결제되는 것이다. 이때 처리된 결과는 작업창을 통해 각각 표출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주자를 중심으로 나염, 자수, 미싱, 원단, 전사, 봉제, 등의 다양한 업체들이 수평적인 관계를 형성하면서, 자신이 상위 거래처 혹은 하위 거래처로부터 자유로워지면서 안전하게 운영/경영되게 되었고, 특히 발주자를 중심으로 각 업체들이 수평한 관계에 유지하기 때문에 어느 한 곳에서 제품의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 용이하게 잘잘못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 및 균등이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각각의 업체별로 서비스할 수 있는 용역이나 제품을 포함하는 업체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복수의 생산자 단말기와,
    상기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의류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실행하고 해당 의류를 제작하도록 지시하는 발주자 단말기와,
    인터넷을 통해 각각의 생산자 단말기에 의해 등록된 업체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의류 제작시 서비스할 수 있는 용역이나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시장을 형성하는 운영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발주자 단말기가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발주자의 프로젝트를 실행하였을 때 운영서버는 해당 프로젝트에 각 업체들의 참여 혹은 선택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면서 발주자를 중심으로 각각의 업체들이 수평적인 관계로 의류 제작이 이루어지는 시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프로젝트 진행시 발주자와 업체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운영하는 서비스시장을 관리하는 한편 각각의 업체와 발주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서포트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각각의 업체들이 자신의 용역이나 재화를 등록하였을 때 이를 발주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시장을 형성하는 판매레이어와,
    각각의 발주자가 자신만의 의류를 디자인할 수 있게 서포트하기 위한 디자인 레이어와,
    프로젝트 실행시 디지인레이어를 통해 디자인된 의류가 판매레이어를 통해 구축된 시장의 업체의 참여 또는 선택이 이루어 지면서 의류 제작이 이루어지게 하는 의류제작 레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레이어는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어드민을 부여받기 위해 해당 업체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계좌정보와 업종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모듈과, 상기 등록모듈을 통해 각 업체의 업종정보를 등록하였을 때 각각의 업체별로 할당되는 URL주소를 통해 발주자가 인터넷 상에서 관련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창 또는 웹페이지는 형성하여 프로젝트 진행시 특정 업체를 선택할 수 있게 구축된 시장형성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디자인 레이어는 컨텐츠 공급자가 등록한 특정 컨텐츠를 취사선택할 수 있게 구성된 컨텐츠 호출모듈과, 의류 상품에 대한 색상과 종류 그리고 사이즈를 설정하는 한편 컨텐츠 호출모듈을 통해 선택된 컨텐츠를 토대로 의류 상품을 디자인하는 디자인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의류제작 레이어는 프로젝트 생성하고 이를 통해 발주자의 의류상품을 제작하기 위한 프로젝트 생성모듈과, 상기 프로젝트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프로젝트를 업체들에게 공고하고 각각의 업체들이 공고 특정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게 구성하거나 혹은 해당 발주자의 발주이력을 토대로 특정 업체가 자동으로 매칭되게 구성하는 한편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에는 시장형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서비스 시장의 업체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한 매칭모듈과, 상기 프로젝트 생성모듈을 통해 생성된 프로젝트에 선택 또는 참여하는 각 업체들이 전체 작업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는 체크모듈과, 각각의 업체로부터 작업 로고기록을 받아들여 체크모듈을 통해 작업한 결과를 확인할 때 발주자가 지시한 사항이나 승인한 사항 혹은 업체의 문의한 내역이나 답변들을 주고 받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30)는 각 업체의 이름, 주소, 아이디, 패스워드, 연락처에 해당하는 식별정보를 토대로 프로젝트 진행시 발생한 계약금이나 잔금 또는 상기 계약금과 잔금을 배분하기 위한 은행명, 예금주, 계좌번호에 해당하는 계좌정보와, 자신이 서비스할 수 있는 업종 및 부품에 대한 업종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회원정보DB와,
    발주자가 자신만의 의류를 디자인할 수 있게 서포트하기 위하여 캐릭터나 문자 혹은 로고들을 카테고리 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는 컨텐츠정보DB와,
    의류상품의 재질 및 색상과 사이즈와 수량과 이미지에 대한 기본정보를 토대로 해당 의류상품을 제작하였을 때 소요되는 비용 및 이의 계약금과 잔금에 대한 어카운트정보와, 프로젝트를 통해 해당 의류상품을 제작할 때 참여한 각각의 업체와 각각의 업체로부터 보고받은 작업 결과와 발주자가 지시한 내용들을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고 있는 상품정보D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시스템.
  7. 각각의 생산자 단말기가 운영서버에 업종정보를 등록하였을 때 상기 운영서버가 인터넷상에 의류제작시 서비스할 용역 또는 부품을 발주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서비스 시장을 형성하는 단계(S100)와,
    발주자 단말기가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의류상품의 기본정보를 토대로 특정 의류상품을 디자인하는 단계(S200)와,
    발주자 단말기가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한편, 상기 운영서버는 해당 프로젝트에 특정 업체의 참여 혹은 선택이 이루어지면서, 발주자에 의해 디자인된 의류상품이 제작되게 하는 단계(S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자 단말기가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한편, 상기 운영서버는 해당 프로젝트에 특정 업체의 참여 혹은 선택이 이루어지면서, 발주자에 의해 디자인된 의류상품이 제작되게 하는 단계(S300)는,
    상기 발주자 단말기(20)가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프로젝트 진행을 신청하는 단계와,
    상기 발주자 단말기(20)가 원단, 색상, 사이즈에 해당하는 기본정보와 디자인된 특정 의류 상품을 토대로 작업지시서와 견적서를 작성하는 단계 및, 해당 프로젝트를 등록하는 단계와,
    운영서버가 작업지시서와 계약서를 토대로 발주자와 업체를 매칭시켜 프로젝트 진행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운영서버는 프로젝트 진행시 발주자 또는 업체가 작업지시서를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운영서버는 생산자 단말기로부터 작업한 결과를 보고받아 저장하고, 발주자 단말기로 보고하는 단계와,
    발주자 단말기는 작업 결과를 확인한 후 승인하게 되면, 운영서버는 이를 생산자 단말기로 안내하는 단계와,
    발주자 단말기는 입고된 해당 제품에 대한 품질을 확인하고 승인하였을 때, 운영서버는 이를 생산자 단말기로 안내하고 결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주자 단말기는 프로젝트 등록시 견적서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프로젝트 등록시 작업창을 통해 작성된 계약서를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발주자와 업체 혹은 서비스회사 간에 계약서 작성이 이루어지도록 인증 또는 보증하는 하는 단계와,
    상기 발주자 단말기는 계약서에 따라 계약금을 송금하고, 그 사실을 운영서버를 통해 생산자 단말기로 안내하는 단계와,
    상기 발주자 단말기는 입고시 계약서에 따라 잔금을 송금한 사실을 운영서버로 전송하고, 그 사실을 생산자 단말기가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발주자와 업체를 매칭시켜 프로젝트 진행여부를 체크할 때, 생산자 단말기는 견적서의 내용 확인하고, 의류제작을 거절하는 단계와,
    운영서버는 매칭이 실패한 사실을 발주자 단말기로 안내하는 한편, 해당 프로젝트에 각각의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게 공고하는 단계와,
    각각의 생산자단말기는 공고된 내용을 확인하고 작성된 견적서를 운영서버로 전송하는 한편, 상기 운영서버는 그 사실을 발주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단계와,
    상기 발주자 단말기는 각각의 업체들의 정보와 견적서를 확인한 후 특정 업체의 참여 또는 선택시 매칭이 이루어지면서 프로젝트가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생산자 단말기가 운영서버에 업종정보를 등록하였을 때 상기 운영서버가 인터넷상에 의류제작시 서비스할 용역 또는 부품을 발주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서비스 시장을 형성하는 단계(S100)는.
    각각의 생산자 단말기들이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어드민을 부여받기 위한 해당 업체의 이름, 주소, 아이디, 패스워드, 연락처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토대로 프로젝트 진행시 발생하는 계약금이나 잔금 또는 상기 계약금과 잔금을 배분하기 위한 은행명, 예금주, 계좌번호들 포함하는 계좌정보와, 해당 업체가 서비스할 수 있는 업종 및 부품들을 포함하는 업종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에 의해 승인이 이루어지면서 각각의 업체별로 URL정보가 생성되고, 이를 토대로 발주자가 해당 업체의 업종정보를 확인하거나 혹은 해당 업체를 선택 고용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 시장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발주자 단말기가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의류상품의 기본정보를 토대로 특정 의류상품을 디자인하는 단계(S200)는,
    발주자 단말기가 원단, 색상, 사이즈에 대한 기본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발주자 단말기가 특정 컨텐츠를 호출하여 선택하였을 때 기준좌표를 토대로 해당 컨텐츠를 포함하는 바운딩박스를 의류의 앞면 뒷면 혹은 팔 등에 형성하여 의류상품을 디자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주시스템.
PCT/KR2019/002611 2018-03-06 2019-03-06 다양한 업종의 생산자와 발주자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의류가 생산되게 하는 발주시스템. WO201917265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291 2018-03-06
KR20180026291 2018-03-06
KR1020190025622A KR102048744B1 (ko) 2018-03-06 2019-03-06 다양한 업종의 생산자와 발주자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의류가 생산되게 하는 발주시스템.
KR10-2019-0025622 2019-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2654A1 true WO2019172654A1 (ko) 2019-09-12

Family

ID=6784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2611 WO2019172654A1 (ko) 2018-03-06 2019-03-06 다양한 업종의 생산자와 발주자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의류가 생산되게 하는 발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1726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4401A (zh) * 2020-03-19 2020-07-14 贵阳块数据城市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标识解析技术的历史产品信息解析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19A (ko) * 2001-05-14 2001-07-25 주용민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의류 제작 중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93622A (ko) * 2010-02-10 2011-08-18 김상표 온라인 의류 디자인 및 거래 시스템
KR20110139427A (ko) * 2010-06-23 2011-12-29 (주)피센 자동 디지털 클로딩 기법을 활용한 의류업체 간 업무 협력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5969A (ko) * 2014-02-12 2015-08-24 주식회사 예감 오픈마켓의 통합관리 시스템
KR20170011856A (ko) * 2015-07-24 2017-02-02 주식회사 제이엔 의류 생산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19A (ko) * 2001-05-14 2001-07-25 주용민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의류 제작 중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93622A (ko) * 2010-02-10 2011-08-18 김상표 온라인 의류 디자인 및 거래 시스템
KR20110139427A (ko) * 2010-06-23 2011-12-29 (주)피센 자동 디지털 클로딩 기법을 활용한 의류업체 간 업무 협력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5969A (ko) * 2014-02-12 2015-08-24 주식회사 예감 오픈마켓의 통합관리 시스템
KR20170011856A (ko) * 2015-07-24 2017-02-02 주식회사 제이엔 의류 생산 관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4401A (zh) * 2020-03-19 2020-07-14 贵阳块数据城市建设有限公司 一种基于标识解析技术的历史产品信息解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8744B1 (ko) 다양한 업종의 생산자와 발주자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의류가 생산되게 하는 발주시스템.
JP4159621B2 (ja) 電子的出所追跡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0117250A2 (ko) 인터넷 중개 사이트를 이용한 인터넷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3032131A1 (ko) 복수의 소셜 커머스 업체간 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WO2019212295A1 (ko) 공급자와 판매자간 전자 상거래 중계 시스템 및 중계 방법
WO2019216621A1 (ko) 복지형 언더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WO2020027485A1 (ko) 인터넷 쇼핑몰의 회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212264A1 (ko) 상품 안전성 이력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9035543A1 (ko) 원단 고유식별자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 연계 인터넷 쇼핑몰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9172654A1 (ko) 다양한 업종의 생산자와 발주자를 연결하여 안전하게 의류가 생산되게 하는 발주시스템.
WO2019147095A1 (ko) 융복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는 멀티 밴드 시스템.
WO2019160370A1 (ko) 다양한 종류의 의류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과정에 대해 디자이너와 커뮤니케이션되는 의류제작시스템.
KR20010100635A (ko) 통신매체를 이용한 구직 및 구인 방법
WO2010095852A4 (ko) 전자창고를 이용한 오픈마켓형 전자 상거래 방법
WO2016204586A1 (ko) 부동산 중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부동산 중개 서비스 서버 및 장치
US20040049444A1 (en) Trade supporting method and system
WO2022220311A1 (ko) 이종 플랫폼 간의 자동 연동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6534196B2 (ja) クリーニング情報提供システム
WO2016036084A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WO2021054520A1 (ko) 의료기기 글로벌 마켓 플랫폼 서버 및 그 운영 방법
WO2018217036A2 (ko) 구매자 주도로 저렴한 가격에 물품이 매매되게 하는 키워드 베이스드 매매시스템.
JP2003030466A (ja) 特定企業間資材調達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300821B1 (ko) 3차원 모델링 이미지 기반의 기업 정보 제공 시스템
WO2016098924A1 (ko) 온라인 상품정보 확산시스템 및 확산방법
WO2023200030A1 (ko) 아이템 판매를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638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638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