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825B1 -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825B1
KR101079825B1 KR1020090005259A KR20090005259A KR101079825B1 KR 101079825 B1 KR101079825 B1 KR 101079825B1 KR 1020090005259 A KR1020090005259 A KR 1020090005259A KR 20090005259 A KR20090005259 A KR 20090005259A KR 101079825 B1 KR101079825 B1 KR 101079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lift
storage tank
ecological
purifica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5786A (ko
Inventor
김영택
송호면
김호열
김보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0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825B1/ko
Publication of KR20100085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Abstract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은 하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에어리프트에 의해 하천과 연결되며 유수 내의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저장수조와, 저장수조와 연결되어 유수를 정화시키는 정화수조와, 정화수조와 연결되어 다단계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일반호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에 의하면, 에어리프트를 이용하여 호소 내의 유수가 하류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여 호소의 생태환경을 양호하게 하고, 다단계의 정화층을 통해 유수를 정화하여 호소 내의 수질을 개선하며, 에어리프트를 이용하여 수중생물을 이동시키므로 어도를 형성하므로 자연친화적인 이점이 있다.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에어리프트, 정화호소, 기능성 처리층

Description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ECOLOGICAL LAKE DEVICE FOR MAKING FISHES' PASSAGEWAY USING A AIRLIFT}
본 발명은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리프트를 이용하여 하천의 물을 유입시킴으로써 하천 주변에 생태호소를 조성할 수 있는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하천 주변은 도시화 치수 위주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인해 생물서식환경이 훼손되어 생물들의 서식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홍수로 인해 하천변 자연습지 및 인공호수로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제외하면 생물접근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생태호소가 조성되는데, 생태호소는 하천과 호수를 연결하여 수중생물의 대피 및 서식장소를 제공하고, 다양한 호안 구조와 식재로 수중생물들의 산란처 및 은신처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뭄시 수원을 확보할 수 있고 양호한 수질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생태호소는 상류(고지대)에서 하류로 물을 흘려주는 방식과 하류에서 상류로 물을 올려주는 방식을 사항별로 조절 가능하므로 수위극복을 통한 상류(고지대) 지역에 수원을 확보할 수 있으며, 수중생물이 하천과 호수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여 생물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생태호소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생태호소는 기존의 하천의 유수를 유입시켜 하천 주변을 우회하여 흐르도록 한 후 다시 하천과 연결되는데, 상류와 하류지점의 레벨차가 크지 않은 경우에 하천으로부터 연결된 상류지점으로부터 하류지점까지 유수가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생태호소내로 유입된 유수가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는 경우에는 생태호소 내의 유수가 부패하거나 모기와 같은 해충의 번식장소로 사용되어 악취가 발생하고 해충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수중펌프 등을 이용하여 레벨차를 형성할 수 있으나 기존의 수중펌프는 수중생물을 이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태호소 내의 유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천과 생태호소와의 어도 연결을 효과적으로 조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은 하천과 에어리프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하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저장수조; 상기 저장수조와 연결되고, 상기 저장수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수조로부터 유입된 유수를 정화하는 정화수조;및 상기 정화수조 및 하천과 연결되고, 상기 정화수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일반호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저장수조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하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수조 및 하천과 에어리프트에 의해 연결되며, 하천으로부터 유입된 유수 내의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저장호소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화수조는 정화수조 구조체; 상기 정화수조 구조체에 구비되고, 유수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유공판; 상기 유공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모래를 포함하는 제1 배수층; 상기 제1 배수층의 하부에 설치되고, 정화여재에 의해 유수를 정화시키는 기능성 처리층;및 상기 기능성 처리층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배수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처리층은 펄라이트(per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또는 제오라이트(zeolit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정화여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배수층은 쇄석 또는 재생골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화수조는 유수와 슬러지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걸름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에 의하면, 에어리프트를 이용하여 하천의 유수를 높은 위치로 이동시켜 호소를 형성하므로 호소 내의 유수가 하류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여 호소의 생태환경을 양호하게 하고, 정화호소 내에 구비된 다단계의 정화층을 통해 유수를 정화시키므로 호소 내의 수질을 개선하고 궁극적으로는 하천의 생태환경을 개선시키며, 에어리프트를 이용하여 수중생물을 이동시키므로 자연친화적이고, 수중생물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은 하천 유로의 일측방을 우회하여 하천과 합류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하천 측방의 일지점이 하천가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유도지(10)를 형성하여 하천의 유수 및 수중생물이 생태호소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유도지(10)는 하천의 유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호소(20)와 연결된다. 상기 저장호소(20)는 상기 유도지(1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하천으로부터 유입된 유수 내의 슬러지를 1차로 침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도지(10)와 상기 저장호소(20)는 에어리프트(3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에어리프트(30)는 에어펌프(31)에서 공급되는 공기방울을 이용하여 낮은 수위의 물을 높은 수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리프트(30)는 공기방울을 이용하여 물을 이동시키므로 수중생물도 함께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자연친화적이다.
상기 저장호소(20)는 하천의 유수 내의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유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수조(40)와 연결된다. 상기 저장수조(40)는 상기 저장호소(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수조(40)는 콘크리트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에어리프트(30)에 의해 상기 저장호소(20)와 연결된다.
도 4에는 상기 저장수조(4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의 저장수조 구조체(41)가 구성되어 상기 에어리프트(30)에 의해 상기 저장호소(20)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기 저장수조 구조체(41)에 저장된다.
상기 저장수조 구조체(41)는 걸름망(43)에 의해 상부공간(41a)과 하부공간(41b)으로 구분된다. 상기 걸름망(43)은 유수 내의 자갈이나 수중생물이 통과할 수 없으나 슬러지와 같은 미세입자는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통공을 가지는 미세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름망(43)은 웨어(weir), 사석 또는 그물 등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하방으로 탁도 유발물질이 최소한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저장수조(40)로 유입된 유수 내의 수중생물은 상부공간(41a)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정화수조(50)로 바로 이동하고, 유수 내의 자갈과 같은 큰 입자의 이물질은 걸름망(43)의 상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수조(40)로 유입된 유수 내의 슬러지는 걸름망(43)을 통해 저장수조 구조체(41)의 바닥면에 침전된다. 상기 걸름망(43) 상면에 안착된 자갈과 같은 큰 입자의 이물질 및 상기 수조구조체(41)의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는 일정기간 경과후 배수장치(45)를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저장수조(40)는 상기 저장수조(40)로부터 유입된 유수를 정화하는 정화수조(50)와 연결된다. 상기 정화수조(50)는 상기 저장수조(40)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도 5에는 상기 정화수조(5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정화수조(50)에는 대략 장방형의 정화수조 구조체(51)가 구비된다. 상기 정화수조 구조체(51)는 물의 이동이 가능한 유공판(53)에 의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된다.
상기 유공판(53)은 PVC 등과 같이 물분자와 큰 화학반응을 하지 않는 소재를 활용하며 다수개의 유공을 포함하는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공판(53)의 내외부에는 쇄석 채움을 하여 기타 부유물질이나 고형물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시킨다.
상기 정화수조 구조체(51)의 상부공간에는 유수를 1차적으로 정화시키는 제1 배수층(55)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배수층(55)은 원활한 하부 침투를 위해 중사 및 조사가 일정비율로 포함된 모래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배수층(55)의 하부에는 유수 내의 중금속 및 입자성 또는 용존성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기능성 처리층(57)이 구비된다. 상기 기능성 처리층(57)에는 유수 내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여재가 구비될 수 있는데, 정화여재로는 펄라이트(per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및 제오라이트(zeoli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처리층(57)의 하부에는 유수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는 제2 배수층(5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수층(59)은 배수를 원활하게 하고 하부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쇄석 또는 재생용 골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처리층(57)의 하부에는 상기 유공판(53)이 구비되어 수중생물은 하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나 유수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정화수조(50)는 도 5에 도시된 A방향으로 수중생물이 이동하고, B방향으로 물이 정화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화수조(50)를 통과한 유수는 다단계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일반호소(6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일반호소(60)는 상기 정화수조(50)의 위치에 비해 점차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유수가 원활하게 하천 하류로 흐르도록 구성된다.
상기 일반호소(60)를 통과한 유수는 다시 하천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천의 일측방에 형성된 유도지(10)로 유입되는 유수는 에어리프트(30)에 의해 저장호소(20)로 유입된다. 상기 에어리프트(30)는 공기방울에 의해 유수를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유수 내의 수중생물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저장호소(20)로 유수가 유입되면, 유수 내의 슬러지와 같은 이물질이 상기 저장호소(20)에 1차적으로 침전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호소(20)를 통과한 유수는 상기 에어리프트(30)를 통해 저장수조(40)로 이동한다.
상기 저장수조(40)로 이동한 유수 내의 수중생물은 바로 정화수조(50)로 이동하고, 상기 저장수조(40) 내로 유입되는 슬러지는 상기 걸름망(43)을 통해 저장수조 구조체(41)의 바닥면에 침전된다. 상기 저장수조 구조체(41)의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는 배수장치(51)를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저장수조(40)를 통과한 유수는 상기 저장수조(4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된 정화수조(50)로 유입된다. 상기 정화수조(50)로 유입된 유수 내의 수중생물은 바로 일반호소(60)로 이동하고, 유수는 다단계의 정화층을 통과하여 정화된다.
상기 저장수조(40)에 의해 정화된 유수는 수중생물과 함께 다수개의 일반호소(60)를 통과하여 다시 하천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저장수조(40)는 에어리프트(30)에 의해 바로 하천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수조(40)와 연결된 저장호소(20)는 생략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에어리프트를 이용하여 하천의 유수를 높은 위치로 이동시켜 호소를 형성하므로 호소 내의 유수가 하류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여 호소의 생태환경을 양호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정화호소 내에 구비된 다단계의 정화층을 통해 유수를 정화시키므로 호소 내의 수질을 개선하고 궁극적으로는 하천의 생태환경을 개선시키는 이점이 있다.
에어리프트를 이용하여 수중생물을 이동시키므로 자연친화적이고, 수중생물의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의 배치상태를 보인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의 저장수조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의 정화수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20: 정화호소 30: 에어리프트
31: 공기펌프 40: 정화수조
41: 정화수조 구조체 43: 걸름망
50: 정화수조 51: 정화수조 구조체
53: 유공판 55: 제1 배수층
57: 기능성 처리층 59: 제2 배수층
60: 일반호소

Claims (6)

  1. 하천과 에어리프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하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저장수조;
    상기 저장수조와 연결되고, 상기 저장수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수조로부터 유입된 유수를 정화하는 정화수조;및
    상기 정화수조 및 하천과 연결되고, 상기 정화수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일반호소를 포함하는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조보다 상대적으로 낮고 하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수조 및 하천과 에어리프트에 의해 연결되며, 하천으로부터 유입된 유수 내의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저장호소가 포함되는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조는
    정화수조 구조체;
    상기 정화수조 구조체에 구비되고, 유수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유공판;
    상기 유공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모래를 포함하는 제1 배수층;
    상기 제1 배수층의 하부에 설치되고, 정화여재에 의해 유수를 정화시키는 기능성 처리층;및
    상기 기능성 처리층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배수층을 포함하는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처리층은
    펄라이트(per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또는 제오라이트(zeolit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정화여재를 포함하는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수층은
    쇄석 또는 재생골재를 포함하는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조는
    유수와 슬러지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걸름망을 포함하는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KR1020090005259A 2009-01-21 2009-01-21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KR101079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59A KR101079825B1 (ko) 2009-01-21 2009-01-21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259A KR101079825B1 (ko) 2009-01-21 2009-01-21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786A KR20100085786A (ko) 2010-07-29
KR101079825B1 true KR101079825B1 (ko) 2011-11-03

Family

ID=4264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259A KR101079825B1 (ko) 2009-01-21 2009-01-21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23981A (zh) * 2017-08-28 2019-03-05 王甫良 三结合压缩水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237A (ja) 1999-07-16 2001-02-06 Takeshige Shimonohara 河川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21038A (ja) 2000-04-19 2002-01-23 Koichi Ochiai 揚水装置及び水質浄化システム
KR200381909Y1 (ko) 2005-01-07 2005-04-20 강남 어도블록
KR100574741B1 (ko) 2004-08-25 2006-04-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토목 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생태여울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237A (ja) 1999-07-16 2001-02-06 Takeshige Shimonohara 河川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21038A (ja) 2000-04-19 2002-01-23 Koichi Ochiai 揚水装置及び水質浄化システム
KR100574741B1 (ko) 2004-08-25 2006-04-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토목 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생태여울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KR200381909Y1 (ko) 2005-01-07 2005-04-20 강남 어도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786A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50351A (ja) 湿地型水質浄化処理システム
KR100533596B1 (ko) 비점오염원 자연정화를 위한 정화 시스템
KR101759931B1 (ko) 경량 여재식 다단 습지여상
KR100648794B1 (ko) 하천수 및 호소수 정화 장치
KR101051611B1 (ko) 물순환 및 생태형 시스템을 결합한 부유습지
WO2012163308A2 (es) Planta modular integrada, multifuncional para separar sólidos, aceites e hidrocarburos y tratar las aguas residuales industriales petroleras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1099701B1 (ko)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KR101079051B1 (ko) 생태적 수질정화 투수조절 시스템
KR101353280B1 (ko)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JP4925652B2 (ja) 河川の水処理方法
KR101079825B1 (ko)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KR100419959B1 (ko) 미생물접촉과 식물을 이용한 하수, 하천수와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처리 시스템
KR100880535B1 (ko) 습지조를 이용한 여과조
KR101824877B1 (ko) 순환식 폐쇄성 수역 정화 설비
WO1993023338A1 (fr) Appareil purificateur
KR101635966B1 (ko)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생태수로
JP2004276011A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JP5187760B2 (ja) 小河川水質浄化装置
CN207943934U (zh) 一种防淤塞悬浮型生态滞留净化湿地污水处理系统
JP3200774B2 (ja) 礫間接触浄化水路
JPH09248585A (ja) 池水浄化方法及び装置
KR101258159B1 (ko) 역세척 부유습지 및 식생형 침전 시스템
JP2003236576A (ja) 水浄化具および水浄化構造体ならびに水浄化装置
JP4411187B2 (ja) 汚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