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701B1 -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 Google Patents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701B1
KR101099701B1 KR1020090048122A KR20090048122A KR101099701B1 KR 101099701 B1 KR101099701 B1 KR 101099701B1 KR 1020090048122 A KR1020090048122 A KR 1020090048122A KR 20090048122 A KR20090048122 A KR 20090048122A KR 101099701 B1 KR101099701 B1 KR 101099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ho
water
dombung
establishment
ec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523A (ko
Inventor
송호면
김영택
안창혁
김호열
김보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4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701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Abstract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는 하천의 유수를 고수위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유수이동부와, 유수이동부에 의해 이동한 유수 내의 이물질을 침전시키거나 정화시키는 수질정화 습지와, 수질정화 습지에 의해 정화된 유수 내의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서식용 모듈을 포함하는 어초둠벙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에 의하면, 수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어초둠벙을 설치함으로써 수중생물을 보호하고 자연친화적이며, 수질정화 습지 및 서식용 모듈을 이용하여 유수 내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환경을 보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어초둠벙, 서식용 모듈, 에어리프트

Description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ECOLOGICAL LAKE FOR MAKING FISHES' PASSAGEWAY USING ARTIFICIAL REEFS POOL}
본 발명은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에 직접 또는 우회하여 흐르도록 구성되어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어초 둠벙을 형성하는 생태호소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하천 주변은 도시화 치수 위주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인해 생물서식환경이 훼손되어 생물들의 서식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홍수로 인해 하천변 자연습지 및 인공호수로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제외하면 생물접근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생태호소가 조성되는데, 생태호소는 하천과 호수를 연결하여 수중생물의 대피 및 서식장소를 제공하고, 다양한 호안 구조와 식재로 수중생물들의 산란처 및 은신처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가뭄시 수원을 확보할 수 있고 양호한 수질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 을 가진다.
또한, 생태호소는 상류(고지대)에서 하류로 물을 흘려주는 방식과 하류에서 상류로 물을 올려주는 방식을 사항별로 조절 가능하므로 수위극복을 통한 상류(고지대) 지역에 수원을 확보할 수 있으며, 수중생물이 하천과 호수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여 생물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생태호소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생태호소는 단순히 하천의 유로만을 변경한 것이고, 인공적으로 유로 형성시 토사가 붕괴되어 탁질이 증가되고 수중생물이 모여서 쉴 수 있는 구조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수중생물의 서식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태호소 내에 수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둠벙이 형성된 생태호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는 하천의 유수를 고수위로 이동시키는 유수이동부; 상기 유수이동부에 의해 상기 하천과 연결되며, 상기 하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수질정화 습지; 상기 수질정화 습지와 연결되고, 다수개가 연결되거나 적층되도록 구성되고 수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용 모듈을 포함하는 어초둠벙;및 상기 하천과 상기 수질정화 습지와 상기 어초둠벙을 서로 연결시키는 다수개의 연결수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어초둠벙과 상기 하천을 연결하고, 굴곡되어 흐르는 사행수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서식용 모듈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조체로 형성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양 측면 및 상하면에는 관통창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 및 하면은 중앙부에 형성된 슬릿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서식용 모듈은 상기 하면에 형성된 슬릿에 구비되는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서식용 모듈은 상기 측면의 관통창에 구비되는 투수시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서식용 모듈은 다공성의 콘크리트 구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질정화 습지는 유수 내의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수조와, 유수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정화수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화수조는 상기 정화수조의 상면에 구비되고, 유수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걸름망; 상기 걸름망의 하부에 구비되고, 모래를 포함하는 제1 배수층; 상기 제1 배수층의 하부에 구비되고, 정화여재에 의해 유수를 정화시키는 기능성 처리층;및 상기 기능성 처리층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배수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능성 처리층은 펄라이트(per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또는 제오라이트(zeolit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정화여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연결수로는 상기 연결수로의 측벽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옹벽부는 나무말뚝에 황마를 감아서 구성하거나, 사석을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수이동부는 에어리프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서식용 모듈은 수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기 위한 어초둠벙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서식용 모듈은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거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에 의하면, 수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어초둠벙을 설치함으로써 수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수중생물을 보호하고 자연친화적이며, 수질정화 습지 및 서식용 모듈을 이용하여 유수 내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환경을 보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는 하천 유로의 일측방을 우회하여 하천과 합류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하천 측방의 일지점이 하천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유도지(10)를 형성하여 하천의 유수 및 수중생물이 생태호소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유도지(10)의 하류 근처에는 하천을 가로지르는 보(13)가 설치될 수 있다. 하천을 가로지르는 보(13)가 설치됨으로써 하천에 서식하는 수중생물이 상기 유도지(10)로 훨씬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도지(10)로 유입되는 유수는 유수이동부(20)에 의해 높은 위치로 이동한다. 즉, 상기 유수이동부(20)는 낮은 수위에 위치하는 유수를 높은 수위의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유수이동부(20)는 에어리프트와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리프트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방울을 이용하여 낮은 수위의 물을 높은 수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리프트는 공기방울을 이용하여 물을 이동시키므로 물과 함께 수중생물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자연친화적이다.
상기 유수이동부(20)에 의해 높은 수위의 장소로 이동한 유수는 제1 연결수로(30)를 통과한다. 상기 제1 연결수로(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의 양 측벽에 설치되는 옹벽재(33)를 포함한다.
상기 옹벽재(33)는 상기 제1 연결수로(30)의 측벽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무말뚝에 황마를 감아서 적층하여 구성하거나(33a), 지름이 400mm 정도로 형성되는 사석을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33b). 또한, 상기 옹벽재(33) 대신에 버들가지 놓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제1 연결수로(30)는 하천의 수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수질정화 습지(40) 와 연결된다. 상기 수질정화 습지(40)는 상기 유도지(1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일반적인 습지형태로 형성되어 하천으로 유입된 유수 내의 이물질을 침전시킴으로써 수질을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는 상기 수질정화 습지(4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질정화 습지(40)는 대략 장방형의 콘크리트 구조체로 형성되고, 유수 내의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수조(41)와 유수 내의 이물질을 정화시키는 정화수조(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전수조(41)는 유수 내의 입경이 큰 이물질을 하방에 침전시킨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침전된 이물질을 배수장치(45)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수조(43)는 다단계로 구성된 필터층에 의해 유수 내의 미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화수조(43)의 상면에는 걸름망(51)이 구비되어 유수 내의 자갈이나 수중생물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통공을 가지는 미세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수조(43)에서 상기 걸름망(51)의 하방에는 제1 배수층(5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배수층(53)은 원활한 하부 침투를 위해 중사 및 조사가 일정비율로 포함된 모래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배수층(53)의 하방에는 기능성 처리층(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처리층(55)에는 유수 내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여재가 구비되는데, 정화여재로는 펄라이트(per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및 제오라이 트(zeoli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처리층(55)의 하부에는 유수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는 제2 배수층(5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수층(57)은 배수를 원활하게 하고 하부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쇄석 또는 재생용 골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질정화 습지(40)는 제2 연결수로(60)에 의해 어초둠벙(70)과 연결된다. 상기 제2 연결수로(60)는 제1 연결수로(30)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초둠벙(70)은 수중생물이 서식하기 위한 곳으로써 수심 4m 내지 5m 내외의 둠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초둠벙(70)의 사면에는 측벽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옹벽재(33)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나무말뚝에 황마를 감아서 적층하여 구성하거나, 사석을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어초둠벙(70) 내에는 수중생물의 서식공간을 형성하는 서식용 모듈(80)이 구비된다.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식용 모듈(80)은 다공성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식용 모듈(80)은 장방형의 콘크리트 구조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상면(81)의 중앙부는 개구되어 슬릿(83)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83)을 통해 이물질이 통과하거나 수중생물이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릿(83)에 의해 양측으로 분리되는 상기 상면(81)의 각 부분에도 수중생물이 이동하기 위한 다수개의 관통창(8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81)과 마주보는 하 면(91)에도 상기 슬릿(83) 및 관통창(85)이 형성된다.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상면(81)의 양 끝단부는 상기 상면(81)의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81)이 상기 슬릿(83)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면(81)과 마주보는 하면(91)도 상기 상면(81)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측면(95)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양단이 올라간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식용 모듈(80)이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상방으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들이 경사진 상면(81) 및 하면(9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슬릿(83)으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서식용 모듈(80)이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유수에 물결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수중생물에게 자연에 가까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전후면(93)은 개방되어 유수 및 수중생물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양 측면(95)은 상기 관통창(85)이 형성된 벽체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95)에 형성된 관통창(85)을 통해 수중생물이 통과한다.
상기 측면(95)에 형성된 관통창(85)에는 투수시트(9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수시트(97)는 측방으로부터 유입되는 물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다. 상기 투수시트(97)는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전후면(93)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전후면이 사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후면(93)에도 투수시 트(97)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식용 모듈(80)은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단독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여러 개가 결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서식용 모듈(80)이 단독으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양 측면(95)은 어초둠벙(70)의 내측면과 접하므로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측면(95)의 관통창(85)에는 상기 투수시트(97)가 구비된다. 상기 투수시트(97)로 인해 어초둠벙(70)의 내측면으로부터 토사가 유입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서식용 모듈(80)이 여러 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측면(95)의 관통창(85)을 통해 수중생물이 이동해야 하므로 상기 투수시트(97)가 구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서식용 모듈(80)은 일체로 형성된 기성품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각 면이 분리된 상태로 이송되어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에는 다수개의 서식용 모듈(80)이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식용 모듈(80)은 연결부재(99)에 의해 상하로 적층되거나 좌우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서식용 모듈(80)이 좌우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전후면(93)이 서로 접하도록 연결되어 물결흐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식용 모듈(80)이 상하로 연결되는 경우, 상부에 위치한 서식용 모듈(80)의 상면(81) 및 하면(91)의 경사진 면을 따라 이물질이 슬라이딩하여 상기 슬릿(83)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떨어진다. 하방으로 떨어진 이물질은 하부에 위치한 서식용 모듈(80)의 하면(91)에 형성된 슬릿(83)을 통과하여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하방에 구비된 포집부(100)에 포집된다.
상기 포집부(100)에 포집된 이물질은 차후 배수장치(45)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최하방에 위치한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하면(91)에 형성된 관통창(85)에는 별도의 차단막을 설치하여 상부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이 상기 관통창(85)을 통해 상기 어초둠벙(70)의 바닥면에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하면을 상기 포집부(10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상부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이 각각의 서식용 모듈(80)의 경사진 하면을 따라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일측에 구비된 포집부(100)에 모이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어초둠벙(70)을 통과한 유수는 사행수로(110)를 통과하여 다시 하천으로 유입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시스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천의 일측방에 형성된 유도지(10)로 유입되는 유수는 유수이동부(20)에 의해 제1 연결수로(30)를 통과하여 수질정화 습지(40)로 유입된다. 상기 유수이동부(20)는 에어리프트와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공기방울에 의해 유수를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므로 유수 내의 수중생물도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질정화 습지(40)로 유입되는 유수 내의 이물질은 상기 수질정화 습 지(40)의 침전수조(41)에서 침전된다. 상기 침전수조(41)에 침전된 이물질은 배수장치(4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침전수조(41)를 통과한 유수는 정화수조(43)를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다. 상기 정화수조(43) 내에는 다수개의 필터층이 구비되어 상기 필터층을 통과하면서 유수 내의 이물질이 추가로 제거된다.
상기 수질정화 습지(40)를 통과한 유수는 제2 연결수로(60)를 통과하여 어초둠벙(70)으로 유입된다. 상기 어초둠벙(70)에는 서식용 모듈(80)이 구비되어 수중생물의 서식장소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식용 모듈(80)의 상면(81) 및 하면(91)은 슬릿(83)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부에서 낙하하는 이물질을 상기 상면(81) 및 하면(91)의 경사진 면을 이용하여 포집하여 슬릿(83)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시킨 후, 포집부(100)에 포집시킴으로써 유수 내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식용 모듈(80)을 다수개로 연결함으로써 보다 광범위한 서식장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하로 반복하는 물결흐름을 형성함으로써 자연상태에 보다 근접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식용 모듈(80)을 통과한 유수는 사행수로(110)를 통해 하천으로 다시 유입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수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어초둠벙을 설치함으로써 수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수중생물을 보호하고 자연친화적인 이점이 있다.
수질정화 습지 및 서식용 모듈을 이용하여 유수 내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환경을 보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생태호소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의 연결수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의 연결수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의 수질정화 습지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의 어초둠벙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C-C'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의 서식용 모듈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의 서식용 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의 서식용 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20 : 유수이동부 30 : 제1 연결수로
40 : 수질정화 습지 41 : 침전수조
43 : 정화수조 51 : 걸름망
53 : 제1 배수층 55 : 기능성 처리층
57 : 제2 배수층 60 : 제2 연결수로
70 : 어초둠벙 80 : 서식용 모듈
83 : 슬릿 85 : 관통창
97 : 투수시트 100 : 포집부
110 : 사행수로

Claims (14)

  1. 하천의 유수를 고수위로 이동시키는 유수이동부;
    상기 유수이동부에 의해 상기 하천과 연결되며, 상기 하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수질정화 습지;
    상기 수질정화 습지와 연결되고, 다수개가 연결되거나 적층되도록 구성되고 수중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용 모듈을 포함하는 어초둠벙;및
    상기 하천과 상기 수질정화 습지와 상기 어초둠벙을 서로 연결시키는 다수개의 연결수로를 포함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초둠벙과 상기 하천을 연결하고, 굴곡되어 흐르는 사행수로를 포함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식용 모듈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조체로 형성되고,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양 측면 및 상하면에는 관통창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 및 하면은 중앙부에 형성된 슬릿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식용 모듈은
    상기 하면에 형성된 슬릿에 구비되는 포집부를 포함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식용 모듈은
    상기 측면의 관통창에 구비되는 투수시트를 포함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식용 모듈은
    다공성의 콘크리트 구조체로 형성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정화 습지는
    유수 내의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수조와,
    유수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정화수조를 포함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조는
    상기 정화수조의 상면에 구비되고, 유수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걸름망;
    상기 걸름망의 하부에 구비되고, 모래를 포함하는 제1 배수층;
    상기 제1 배수층의 하부에 구비되고, 정화여재에 의해 유수를 정화시키는 기능성 처리층;및
    상기 기능성 처리층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배수층을 포함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처리층은
    펄라이트(perlite), 활성탄(activated carbon) 또는 제오라이트(zeolit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정화여재를 포함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로는
    상기 연결수로의 측벽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부를 포함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부는
    나무말뚝에 황마를 감아서 구성하거나,
    사석을 적층하여 구성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이동부는
    에어리프트로 구성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식용 모듈은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거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KR1020090048122A 2009-06-01 2009-06-01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KR101099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22A KR101099701B1 (ko) 2009-06-01 2009-06-01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22A KR101099701B1 (ko) 2009-06-01 2009-06-01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23A KR20100129523A (ko) 2010-12-09
KR101099701B1 true KR101099701B1 (ko) 2011-12-28

Family

ID=43506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122A KR101099701B1 (ko) 2009-06-01 2009-06-01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32B1 (ko) * 2011-12-19 2014-0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공시스템과 하천변 공간을 이용한 생물 서식지 구조체
KR101343978B1 (ko) 2011-12-19 2014-0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생태농업용 방틀둠벙 및 이를 이용한 생태농경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19B1 (ko) * 2010-12-24 2013-06-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KR101343977B1 (ko) * 2011-12-19 2014-0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자연공생 호소에서의 준설토 제거 구조체
CN112674016A (zh) * 2020-12-08 2021-04-20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一种滨海人工湿地生态养护系统及生态养护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349B1 (ko) 2006-02-14 2007-01-30 양승재 솔라펌핑 수질정화 생태연못
KR100917400B1 (ko) 2009-03-02 2009-09-14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세정식 연결수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349B1 (ko) 2006-02-14 2007-01-30 양승재 솔라펌핑 수질정화 생태연못
KR100917400B1 (ko) 2009-03-02 2009-09-14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세정식 연결수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632B1 (ko) * 2011-12-19 2014-01-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공시스템과 하천변 공간을 이용한 생물 서식지 구조체
KR101343978B1 (ko) 2011-12-19 2014-0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생태농업용 방틀둠벙 및 이를 이용한 생태농경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23A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8064B2 (en) Lake rest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KR101360271B1 (ko) 멀티셀 및 멀티레인의 습지와 연못 및 침전지 구조를 활용한 생태적 수질정화 비오톱 시스템
US8940170B2 (en) Triple-chambered wetland biofilter treatment system
KR100977996B1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오수처리 설비
KR101099701B1 (ko) 어초둠벙을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JP2006150351A (ja) 湿地型水質浄化処理システム
KR100901263B1 (ko) 이온 교환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자연형 비점 오염원 저감장치
KR20160139594A (ko) 생태적 추이대 기능 및 수질환경 정화효율을 극대화한 순환형 생태환경복원 시스템
KR100959915B1 (ko) 수질정화 및 수위조절가능한 어도보 시스템
KR101560289B1 (ko) 비점오염 자연 정화 시스템
JP2013173095A (ja) 下水処理水の再処理方法、及びその設備、並びに緩速生物ろ過池槽及びその逆洗浄装置
KR100601908B1 (ko)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US20230203771A1 (en) Lake rest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JP2004068571A (ja) 魚類遡上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水路部材
JP2000210505A (ja) 川底を利用した濾過装置による取水装置
KR101635966B1 (ko)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생태수로
US20200291630A1 (en) Stormwater channel and method for improving a stormwater channel ecosystem
JP2003232024A (ja) 護岸および河床用構築材
KR101650479B1 (ko) 생태보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JPH0868034A (ja) 浄水機能を有する護床ブロック
KR101079825B1 (ko)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어도 조성용 생태호소 장치
CN207330663U (zh) 一种用于喀斯特石漠化地区的地表水处理装置
KR20090111427A (ko) 어도를 갖는 수질정화시스템
JP2002171850A (ja) 循環型水路
KR101048805B1 (ko) 상수원수 생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