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597B1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597B1
KR101079597B1 KR1020070060095A KR20070060095A KR101079597B1 KR 101079597 B1 KR101079597 B1 KR 101079597B1 KR 1020070060095 A KR1020070060095 A KR 1020070060095A KR 20070060095 A KR20070060095 A KR 20070060095A KR 101079597 B1 KR101079597 B1 KR 101079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ember
display unit
locking
suppor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757A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597B1/ko
Priority to US11/953,907 priority patent/US7768775B2/en
Priority to CN2008101005204A priority patent/CN101329454B/zh
Publication of KR20080111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케이싱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의 테두리영역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들보다 높은 내열성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연결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브래킷 바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영역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 단면사시도,
도 6은 도 4의 Ⅵ-Ⅵ선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벽체에 결합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11 : 패널 112 : 섀시
113 : 회로부 120 : 케이싱
121 : 전방케이싱 122 : 후방케이싱
123 : 제1벽체결합공 130 : 브래킷 바 조립체
140 : 지지부재 141 : 지지본체
142 : 수용부 142a : 수용개구
143 : 걸림턱 143a : 경사면
143b : 탄성지지부 144 : 제2벽체결합공
145 : 제1체결공 150 : 연결부재
151 : 연결본체 152 : 걸림부
153 : 제2체결공 160 : 바 조립 스크류
170 : 벽체결합 스크류 171 : 결합지지링
180 : 벽체결합 브래킷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에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의 디스플레이부와 이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케이싱을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에는 한 쌍의 브래킷 바(bracket bar)가 단축방향으로 나란하게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를 케이싱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브래킷 바는 주로 사출금형 등에 의해 성형되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는 한편, 디스플레이부에서는 예를 들어, 백라이트 또는 PDP를 구성하는 셀구조나 히트싱크(heat sink) 등에 의해 상당한 열이 발생되기 때문에, 그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열변형을 줄이기 위해서는 내 열 플라스틱이나 금속재료가 사용될 수 있지만, 재료 및 제조 비용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브래킷 바가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케이싱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의 테두리영역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들보다 높은 내열성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재질은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은 히트싱크가 마련된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상호 결합가능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방향에 역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와 상기 수용부를 상호 체결하는 바 조립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방향에 가로로 돌출한 걸림턱과,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 중 어느 하나를 탄성적으로 해제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부(110)를 지지하는 케이싱(120)과, 디스플레이부(110)를 케이싱(120)에 지지하는 브래킷 바 조립체(130)를 갖는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11)과, 패널(111)을 수용하는 섀시(112)와, 섀시(112)에 결합되어 패널(111)에 의한 화상표시를 구동하는 회로부(113)를 포함한다. 회로부(113)에는 적어도 하나의 히트싱크(미도시)가 결합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구동됨에 따라 회로부(113) 내지는 패널(111)로부터 다량의 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열은 특히 디스플레이부(110)의 히트싱크가 결합된 영역으로 집중되어 브래킷 바 조립체(130)의 중앙영역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케이싱(120)은, 디스플레이부(110)의 전면에 마련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방영역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방케이싱(121)과, 전방케이싱(121)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부(110)를 전방케이싱(121)과 함께 내부에 수용하는 후방케이싱(122)을 포함한다.
후방케이싱(122)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설치면에 결합되도록 판면에 형성된 제1벽체결합공(12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후방케이싱(122)은 0.5t의 강재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브래킷 바 조립체(1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배면에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각의 브래킷 바 조립체(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의 배면의 테두리영역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케이싱(12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40)와, 지지부재(140)들보다 높은 내열성을 가지고 한 쌍의 지지부재(14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150)와, 지지부재(140)와 연결부재(150)의 결합상태를 지지하는 록킹부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40)와 연결부재(15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연결부재(150)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열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되는 부분인 히트싱크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150)의 재질은 지지부재(140)의 재질보다 높은 내열성을 가지면 족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지지부재(140)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며, 연결부재(150)의 재질은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140)가 플라스틱으로 마련됨으로써 브래킷 바 조립체(130)의 제작비용이 상대적으로 절감될 수 있고, 내열성 및 열전도성이 지지부재(14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금속으로 연결부재(150)가 마련됨으로써 연결부재(150)가 디스플레이부(110)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지부재(140)와 연결부재(150)는 인서트 사출, 융착, 조립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지지부재(140) 및 연결부재(150)는 록킹부에 의해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14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본체(141)와, 연결부재(150)의 양 단부가 각각 지지본체(141)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지지본체(141)에 형성된 수용개구(142a)를 갖는 수용부(142)와, 제1벽체결합공(123)에 대응하게 지지본체(141)에 형성된 제2벽체결합공(144)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결합 스크류(170)가 제1벽체결합공(123) 및 제2벽체결합 공(144)과 벽체결합 브래킷(18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벽걸이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용부(14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연결부재(150)의 양 단부가 연결부재(15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개구(142a)의 둘레영역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 처리로 가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50)의 양 단부가 지지부재(140)의 수용부(142)에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연결부재(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막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수용부(142)에 양 단부가 결합되는 연결본체(15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연결부재(150)는 1.0t의 냉간압연강으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강재로 이뤄진 연결부재(150)가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뤄진 지지부재(14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브래킷 바 조립체(130)의 열변형이 최소화되면서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록킹부는, 연결부재(150)의 양 단부가 수용부(142)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방향에 역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며, 연결부재(150)의 양 단부와 수용부(142)를 상호 체결하는 바 조립 스크류(160)와, 수용부(142)의 내부에서 연결부재(150)의 삽입방향에 가로로 돌출한 걸림턱(143)과, 연결부재(150)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걸림턱(143)에 걸리는 걸림부(152)를 포함한다.
걸림턱(14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50)가 수용부(142)에 결합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용부(142)에 형성된 경사 면(143a)과 탄성지지부(143b)를 포함한다.
걸림턱(143)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본체(141)에 형성되어 연결본체(151)가 경사면(143a) 위를 슬라이딩 진행함에 따라 걸림부(152)가 탄성지지부(143b)에 맞물릴 때까지 연결본체(151)에 탄성저항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50)가 지지부재(140)에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143b)는 지지본체(141)에 형성되어 걸림부(152)를 탄성적으로 해제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탄성지지부(143b)가 걸림부(152)를 탄성적으로 해제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탄성지지부(143b)는 걸림턱(143)을 탄성적으로 해제가능하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
걸림부(15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본체(151)의 양 단부에 관통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연결본체(151)의 양 단부에 연결본체(151)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으로 각각 한 쌍씩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걸림턱(143)은 걸림부(152)에 대응하게 수용부(142)에 한 쌍씩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40)는 한 쌍의 걸림턱(143) 사이에 형성된 제1체결공(145)을 더 포함하고, 연결부재(150)는 제1체결공(145)에 대응하게 연결본체(151)에 형성된 제2체결공(153)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조립 스크류(160)가 제1체결공(145)과 제2체결공(153)에 결합되어 지지부재(140)와 연결부재(150)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지지부재(140)에 수용부(142)가 마련되어 연결부재(150)의 양 단부가 수용부(142)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본체(151)의 양 단부에 수용부가 마련되어 지지부재(140)의 단부가 연결부재(150)의 수용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를 케이싱(120)에 지지하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벽걸이 타입으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마련된 브래킷 바 조립체(130)의 열변형이 최소화되면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생산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조립과정 및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벽걸이 타입으로 사용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패널(111)을 섀시(112)의 내부에 수용시켜 패널(111)을 섀시(112)에 결합하고, 섀시(112)의 배면에 회로부(113)를 결합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마련한다.
다음에, 한 쌍의 지지부재(140) 사이에 금속과 같은 재질의 연결부재(150)가 결합되어 브래킷 바 조립체(130)가 조립되도록 연결본체(151)의 양 단부를 걸림부(152)가 지지부재(140)의 걸림턱(143)에 맞물릴 때까지 각 지지부재(140)의 수용부(142)에 삽입시켜 결합한다.
지지부재(140)와 연결부재(15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해지도록 제1체결공(145) 및 제2체결공(153)에 바 조립 스크류(160)를 나사 결합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마련된 브래킷 바 조립체(130) 한 쌍을 디스플레이부(110)의 배면에 결합하고 각 브래킷 바 조립체(130)의 양 단부를 전방케이싱(121)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열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브래킷 바 조립체(13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0)를 케이싱(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방케이싱(121)에 후방케이싱(122)을 결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마련한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벽체에 결합하여 벽걸이 타입으로 사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벽체결합 스크류(170)에 결합지지링(171)을 결합하고, 결합지지링(171)이 결합된 벽체결합 스크류(170)를 후방케이싱(122)에 형성된 제1벽체결합공(123)과 브래킷 바 조립체(130)에 형성된 제2벽체결합공(144)에 나사 결합시킨다.
다음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결합된 벽체결합 스크류(170)의 머리부를 벽체에 결합된 벽체결합 브래킷(180)의 체결홈(181)으로 삽입한 후,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살짝 내려주게 되면 결합지지링(171)이 체결홈(181)의 턱에 맞물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벽체결합 브래킷(18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립가능하게 마련되어 열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브래킷 바 조립체(130)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100)를 간편하게 벽걸이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싱에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브래킷 바가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 바의 제작비용을 상대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케이싱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배면의 테두리영역에 상호 이격되게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들보다 높은 내열성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판면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판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재질은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은 히트싱크가 배치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는 상호 결합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방향에 역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와 상기 수용부를 상호 체결하는 바 조립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방향에 가로로 돌출한 걸림턱과,
    상기 연결부재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 중 어느 하나를 탄성적으로 해제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70060095A 2007-06-19 2007-06-19 디스플레이장치 KR101079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095A KR101079597B1 (ko) 2007-06-19 2007-06-19 디스플레이장치
US11/953,907 US7768775B2 (en) 2007-06-19 2007-12-11 Display device
CN2008101005204A CN101329454B (zh) 2007-06-19 2008-05-20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095A KR101079597B1 (ko) 2007-06-19 2007-06-19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757A KR20080111757A (ko) 2008-12-24
KR101079597B1 true KR101079597B1 (ko) 2011-11-04

Family

ID=4013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095A KR101079597B1 (ko) 2007-06-19 2007-06-19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68775B2 (ko)
KR (1) KR101079597B1 (ko)
CN (1) CN10132945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1483B2 (en) * 2010-06-11 2014-03-25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Coincident fasteners for configurable imaging systems
JP2012003060A (ja) * 2010-06-17 2012-01-05 Canon Inc 画像表示装置とその保持部材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8947611B2 (en) * 2011-11-18 2015-02-03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CN102591045A (zh) * 2012-02-29 2012-07-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器及其液晶显示装置
EP3117693B1 (en) 2014-03-11 2019-08-0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ybrid rear cover and mounting bracket for eletronic display
US9282676B1 (en) * 2014-11-25 2016-03-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uspended electronic display and cooling assembly
US10529260B2 (en) * 2015-12-29 2020-01-07 Christie Digital Systems Usa, Inc. System for mounting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EP3343047B1 (en) * 2016-12-27 2023-11-2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0485113B2 (en) 2017-04-27 2019-11-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eld serviceable and replaceable display
CN108488594A (zh) * 2018-03-26 2018-09-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件及显示设备
US10602626B2 (en) 2018-07-30 2020-03-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ousing assembly for an integrated display unit
US11997808B2 (en) 2022-08-31 2024-05-2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unobstructed z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215B1 (ko) 2005-11-30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0196B1 (ko) 2006-01-04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회로기판 강성 보강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모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710B2 (ja) * 1997-08-04 2000-05-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ネルを支持する支持構造、およびパネルと該パネルを支持する支持構造を有するパネル装置、および該パネル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CN2359731Y (zh) * 1998-10-07 2000-01-19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液晶型电脑显示器置放架体
US7152836B2 (en) * 2003-01-09 2006-12-26 Csav, Inc. Adjustable tilt mount
KR100570644B1 (ko) * 2003-10-16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50104863A1 (en) * 2003-11-17 2005-05-19 Kroll William S. Computer kiosk
JP4706206B2 (ja) * 2004-08-18 2011-06-22 ソニー株式会社 放熱装置及び表示装置
KR100637217B1 (ko) * 2005-03-03 2006-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09876B1 (ko) * 2005-03-08 200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KR101145211B1 (ko) * 2005-11-05 201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215B1 (ko) 2005-11-30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0196B1 (ko) 2006-01-04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회로기판 강성 보강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평판 디스플레이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16690A1 (en) 2008-12-25
CN101329454B (zh) 2012-07-04
CN101329454A (zh) 2008-12-24
KR20080111757A (ko) 2008-12-24
US7768775B2 (en) 201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597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4967533B2 (ja) 薄型ディスプレイの壁掛け装置および壁掛け方法
US8126186B2 (en) Display
JP4679659B2 (ja) 映像表示装置の筐体構造
JP2005196210A5 (ko)
JP2006287562A (ja) テレビ壁掛け用ラック
KR101226692B1 (ko) 패널커넥터
JP2011133544A (ja) 液晶モジュール
JP2009162919A (ja) 表示装置
JP2008275824A (ja) 薄型表示装置と躯体構造の組立方法
JP2007206646A (ja) 表示装置
CN211376058U (zh) 一种广告机
CN105526232A (zh) 显示装置的支撑梁、支撑件及显示装置
JP5269354B2 (ja) 表示装置
KR20040009338A (ko) 모니터장치
JP5497228B2 (ja) 表示装置
JP2009075166A (ja) 表示装置
CN216133606U (zh) 用于显示屏的中框组件及显示屏
JP5341545B2 (ja) 物品載置用什器における配線ダクト装置
JP2001091310A (ja) 計器ケースの取付装置
KR20180083577A (ko) 가구용 골격 조립구조
JPH11290168A (ja) 陳列棚等におけるボード取付け装置
JP2008033050A (ja) 薄型表示装置
JP5437516B2 (ja) 表示装置
JP5503369B2 (ja) 組立式陳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