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108B1 -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그의 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그의 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9108B1 KR101079108B1 KR1020040069856A KR20040069856A KR101079108B1 KR 101079108 B1 KR101079108 B1 KR 101079108B1 KR 1020040069856 A KR1020040069856 A KR 1020040069856A KR 20040069856 A KR20040069856 A KR 20040069856A KR 101079108 B1 KR101079108 B1 KR 1010791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tamin
- extract
- derivatives
- present
- cosmetic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 및 예덕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덕나무 추출물은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를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킴으로써 이를 함유하는 제형의 안정화에 기여하여, 높은 미백 효과, 주름개선 효과 또는 항산화 효과를 갖는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 함유 화장료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덕나무, 비타민 C, 안정화, 화장료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를 안정화하는 천연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이가 들면서 피부는 주름이 생기고 탄력이 떨어지는 것 이외에도, 거칠어지고, 건조해지며, 기미, 주근깨 등이 생기는 등 자연노화가 일어난다. 특히, 환경오염으로 인한 오존층의 파괴로 자외선 양이 증가되면서 일광이 축적되어 광노화가 야기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다.
현재 피부의 주름개선을 목적으로 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피부과 영역에서 피부주름 및 기미, 색소침착 개선을 위해 사용되었던 레티노이드류, 그 중에서도 레티놀 (retinol) 함 유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주름 제거에 대한 임상 결과들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고, 이를 상업화하여 주름개선에 사용하고 있다. 또한, 콜라겐 합성 과정에 필수적인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주름 개선, 자외선 차단, 기미/주근깨/검버섯 등의 색소침착 개선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었다 (미국특허 제4,938,969호, 제4,772,591호, 유럽특허 제533,667호). 또한, 비타민 C는 멜라닌 감소 효과, 항산화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등이 있음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유용한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공기, 습기, 빛, 열, 금속이온, 산소, 염기 등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2,3-다이케토-L-굴론산 (2,3-diketo-L-gulonic acid), 옥살산 (oxalic acid), L-트레온산 (L-threonic acid), L-자일론산 (L-xylonic acid), L-라이존산 (L-Lyxonic acid) 등으로 산화되어 변색되고 변취가 일어나 안정성에 가장 큰 문제점을 갖고 있다.
비타민 C는 콜라겐 합성과정에 관여하여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는데, 콜라겐 섬유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은 양끝에 연장 펩타이드 (Extension peptide, telopeptide)를 가지고 있는 사슬로서, 조면소포체 (rough ER)에서 합성된 뒤 3중 나선 (triple helix)으로 조합되어 프로콜라겐 (procollagen) 분자를 형성하고 이들 분자는 골지복합체 (golgi apparatus)로 옮겨져 분비소포 (secretory vesicles)로 꾸려진 뒤 세포외분비 (exocytosis)에 의해 분비된다. 세포외 효소에 의한 텔로펩타이드 (telopeptide)의 분해로 트로포콜라겐 (tropocollagen) 분자가 생기고, 분해된 이들 분자는 세포외 기질에서 조합되어 콜라겐 섬유로 된다. 여기서 트로 포콜라겐은 폴리펩타이드 α-사슬을 구성하는 주 아미노산인 글리신, 프롤린 (proline) 및 히드록시프롤린을 포함하며, 히드록시프롤린에 의해 콜라겐의 삼중나선 구조가 형성된다.
이처럼 콜라겐 합성에 있어 중요한 히드록시프롤린은 콜라겐 폴리펩타이드의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동물에만 존재한다. 이 히드록시프롤린은 프롤린과 α-케토글루타레이트 (α-ketoglutarate)가 산소 존재 조건에서 프롤릴 히드록실라제 (hydroxylase)에 의한 히드록시화에 의해 생합성 되는데, 이 히드록시화 과정에 비타민 C가 보조인자 (cofactor)로 작용하며, 이것이 반드시 있어야만 히드록시프롤린이 생합성 된다. 즉, 비타민 C는 프롤릴 히드록실라제의 활성을 촉진하여 히드록시프롤린의 생합성을 촉진함으로써, 삼중나선 구조인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해 피부주름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 프롤릴 히드록실라제는 UV-A에 의해 그 활성이 저해를 받는데, 비타민 C는 자외선 차단 기능도 있어 UV-A에 의한 프롤릴 히드록실라제의 활성저해를 차단하는 효과도 갖고 있다.
비타민 C는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와는 다른 차단 작용을 하는데, 이는 UV-A와 UV-B의 스펙트럼 선상에 L-아스코르브산이 흡수할 수 있는 영역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비타민 C는 UV-B보다는 UV-A에 대한 차단기능이 강하고 UV-B로 인해 발생한 홍반 및 부종을 감소시킨다.
이런 다양한 생물학적인 기능을 갖고 있는 비타민 C는 일단 피부에 들어오면 저장되는 효능이 있어서 사용을 중단해도 장시간동안 그 효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비타민 C는 피부, 혈액 및 기타 조직에서 강력한 생체 항산화제로 작 용하는데, 두 개의 전자를 받아 탈수소-L-아스코르브산 (Dehydro-L-ascorbic acid) 형태로 쉽게 산화되는 당유사 구조 (Sugar-like structure)를 갖고 있어서, 생체내에서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 자유 라디칼 (free radical) 및 과산화물에 의해 생체성분 (단백질, 핵산, 세포막지질 등)이 산화되거나 변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노화의 원인을 차단하는 항산화 작용을 한다.
아울러, 비타민 C는 색소침착 억제 효과를 갖고 있는데, 이는 색소침착과 깊은 관련이 있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달성된다. 비타민 C는 멜라닌 형성에 중요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산화 과정에 의해 형성된 산화형 멜라닌을 다시 환원시켜 환원형 멜라닌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멜라닌에 의한 색소침착 증세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
이외에도 비타민 C의 생리적 활성은 다양하다. 생체내 엽산 대사 및 아미노산의 대사과정에 관여하고, 면역 시스템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백혈구의 식균 작용을 도와주고, 감염이 전개되는 동안 백혈구의 이동을 촉진하여 감염을 억제하고 백혈구의 세포막을 자유 라디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바이러스 증식 억제 물질인 인터페론의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여, 다양한 감염성 질환에 대한 생체의 저항력을 상승시켜준다.
대부분의 동물들은 포도당 (글루코스)으로부터 비타민 C를 생합성하는데, 사람은 포도당 (글루코스)으로부터 비타민 C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효소가 부족하여 포도당 생합성을 할 수 없으므로 외부로부터 공급받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비타민 C는 열, 빛, 수분, 산소 등에 매우 민감하여 불안정하고, 수용성이기 때문에 지 용성 비타민에 비해 체내 저장능력도 아주 낮다. 따라서, 음식 섭취 및 기타 방법으로 계속 공급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비타민 C 결핍시 콜라겐 생합성의 저하로 인해 주름이 형성되고, 피로하며, 피부가 거칠어지고,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며, 모세관 출혈이 나타나는 등 다양한 피부보호 차원에서 기능이 저하되어 피부병변이 발생하는 임상적인 증세가 나타나며, 장기적인 결핍인 경우 괴혈병과 같은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적정 1일 권장량을 섭취해야 하고, 피부보호를 위해 적절한 비타민 C 함유 경피 흡수제로서의 화장료와 같은 물질을 사용해야만 한다.
비타민 C를 수용성 상태로 피부에 도포 했을 때 비타민 C는 이온화되지 않은 조건에서 피부장벽을 쉽게 통과하여 흡수되므로, 비이온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타민 C 용액의 산도 (pH)가 반드시 4.2 이상이어야 한다. 이런 조건 하에서 피부에 비타민 C를 발랐을 때에는 도포량의 약 15% 정도가 48시간 이내에 피부에 흡수될 수 있다. 일단 피부내로 들어온 비타민 C는 안정화되어 물이나 기타 문지름 등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피부에 축적되며, 비타민 C의 피부 축적양은 피부에 직접 도포 했을 때가 경구투여보다 20-40배정도 높아 외용제로 사용하기 위한 비타민 C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비타민 C는 열, 빛, 산소 등에 매우 불안정하여 대기 중에 노출되거나 수용액 중에서 쉽게 산화되어 역가가 떨어지고, 변색, 변취가 일어나는 등 안정성 및 안전성에 큰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비타민 C가 갖고 있는 생리활성이 높아 제약, 화장료 등에 꾸준히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비타민 C 유도체를 합성하여 안정화하려는 노력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또한 사용되어져 왔다.
예를 들어, 비타민 C를 안정화시킨 것으로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Magnesium ascorbyl phosphate)가 있는데, 이는 다른 유도체에 비해 인체가 이용할 수 있는 L-아스코르브산 형태로의 전환이 쉽지만 피부 흡수가 어렵다. 또 다른 유도체인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Ascorbyl palmitate)는 쉽게 피부에 흡수는 되지만 L-아스코르브산 형태로 전환이 어렵다. 또한, 비타민 C를 캡슐화하여 안정화하려는 노력도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그 안정화 및 효능 등이 아직 미약하여 안정하면서도 피부에 흡수가 용이한 비타민 C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은 괄호 내에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과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가 가지고 있는 안정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예덕나무 추출물이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를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킴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덕나무 추출물 및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에 대한 안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 및 (b) 상기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에 대한 안정화제로서의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예덕나무 (Mallotus japonicus)는 대극과 (Euphorbiaceae) 식물로서, 일명 야오동 (野梧桐) 또는 적아백 (赤芽柏)이라 불리는 낙엽 소교목으로 우리나라 남부의 산기슭 및 산골짜기에 서식한다. 키는 10 m 되는 것도 있으나 대개 관목 모양이다. 예덕나무는 일반적으로 나무껍질이 위궤양이나 위염, 간 기능 개선 보조제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덕나무 추출물은 예덕나무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예: 잎, 꽃, 뿌리, 줄기, 가지, 껍질 및 과실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줄기, 가지, 껍질 또는 뿌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줄기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예덕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예덕나무 추출물은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말-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1,3-부틸렌글리콜, (h) 헥산 및 (i)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한 추출용매는 에탄올이다. 또한, 상기 에탄올은 1.0~70% 에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에탄올이다.
한편, 본 발명의 예덕나무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예덕나무 추출물에 포함된다고 해석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예덕나무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예덕나무 추출물의 양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01-20.0 중량%로 포함되며, 0.001-5.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료 조성물에 예덕나무 추출물과 함께 포함되는 상기 비타민 C 및 그의 유도체의 양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001-20.0 중량%로 포함되며, 0.1-1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타민 C를 안정화하기 위해 조성물에 포함되는 예덕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중량% 이하이면 비타민 C를 안정화하기에 부족하고, 20.0 중량% 이상이면 비타민 C 안정화에 상승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제형의 안정화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는 화장료 원료로서 개발된 종래의 어떠한 비타민 C 유도체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는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의 다양한 염 (예: 소듐 아스코베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베이트, 소듐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및 아스코빌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및 아스코르브산의 에스테르 (예: 아스코빌 아세테이트, 아스코빌 프로피오네이트, 아스코빌 팔미테이트 및 아스코빌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를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안정"은 열, 빛 및 산소와 같은 산화-유발 인자에 의해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가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에 대하여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용도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a)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 및 (b) 상기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에 대한 안정화제로서의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미백 화장료 조성물,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때에는 유연 화장수 (스킨),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 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예덕나무 추출물에 의해 비타민 C가 안정화됨으로써 온도 변화에 따른 제형의 안정성이 뛰어나고, 온도 변화 및 시간에 따른 역가 보존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비타민 C를 효과적으로 안정화하는 예덕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의 생리활성 즉, 미백 효과, 주름개선 효과 및 항산화 효과 등을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타민 C 안정화용 조성물은 비타민 C 제제와 함께 피부에 도포됨으로써 불안정한 비타민 C 제제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비타민 C의 생리활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예덕나무 줄기 200 g을 물 1 ℓ에 넣고 냉각 콘덴 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시간 동안 70-90℃에서 가열하여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했다. 이 여액을 65℃에서 회전 감암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5.9 g의 예덕나무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예덕나무 줄기 200 g을 물 1.2 ℓ에 넣고 15-35℃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다시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한 후, 회전 감압 증발기로 2배 농축하였다. 여기에 100% 에탄올 0.6 ℓ를 가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65℃에서 회전 감암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5.8 g의 예덕나무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예덕나무 줄기 200 g을 물 1.2 ℓ에 넣고 4-40℃에서 5일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이 여액을 65℃에서 회전 감암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5.4 g의 예덕나무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4-21
하기 표 1의 추출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예덕나무 추출물 (실시예 4-21)을 제조하였다.
추출물 | 추출용매 | 최종 추출물의 건조 중량 (단위: g) |
실시예 4 | 10% 에탄올 | 4.8 |
실시예 5 | 20% 에탄올 | 4.9 |
실시예 6 | 30% 에탄올 | 5.2 |
실시예 7 | 40% 에탄올 | 5.3 |
실시예 8 | 50% 에탄올 | 5.1 |
실시예 9 | 60% 에탄올 | 5.3 |
실시예 10 | 70% 에탄올 | 5.8 |
실시예 11 | 80% 에탄올 | 5.3 |
실시예 12 | 90% 에탄올 | 5.5 |
실시예 13 | 100% 에탄올 | 5.4 |
실시예 14 | 메탄올 | 5.3 |
실시예 15 | n-프로판올 | 4.5 |
실시예 16 | 이소프로판올 | 4.6 |
실시예 17 | 2-부탄올 | 4.2 |
실시예 18 | 아세톤 | 3.5 |
실시예 19 | 클로로포름 | 3.2 |
실시예 20 | 에틸아세테이트 | 3.3 |
실시예 21 | 부틸아세테이트 | 3.6 |
실시예 22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예덕나무 줄기 200 g을 1,3-부틸렌 글리콜 1.2 ℓ에 넣고 48시간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했다. 이 추출물을 65℃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6.2 g의 예덕나무 추출물 (실시예 22)을 얻었다.
실시예 23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한 예덕나무 줄기 200 g을 10% 에탄올 1.2 ℓ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된 추출기에서 5시간 가열하여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5-10℃에서 7-10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5번 여과지로 여과했다. 이 추출물을 65℃에서 회전 감압 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6.2 g의 예덕나무 추출물 (실시예 23)을 얻었다.
실시예 24-32
하기 표 2의 추출용매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예덕나무 추출물 (실시예 24-32)을 제조하였다.
추출물 | 추출용매 | 최종 추출물의 건조 중량 (단위: g) |
실시예 24 | 20% 에탄올 | 6.3 |
실시예 25 | 30% 에탄올 | 6.5 |
실시예 26 | 40% 에탄올 | 6.4 |
실시예 27 | 50% 에탄올 | 6.3 |
실시예 28 | 60% 에탄올 | 6.1 |
실시예 29 | 70% 에탄올 | 6.8 |
실시예 30 | 80% 에탄올 | 6.2 |
실시예 31 | 90% 에탄올 | 6.2 |
실시예 32 | 100% 에탄올 | 6.0 |
이하 아래의 처방예를 통하여 예덕나무 추출물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처방예를 제시하나 모든 처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방예 1: 유연 화장수
비타민 C와 예덕나무 추출물 (실시예 4)을 함유한 화장료 중 유연 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비타민 C | 2.0 |
1,3-부틸렌글리콜 | 6.0 |
글리세린 | 4.0 |
PEG 1500 | 1.0 |
소듐히알루로네이트 | 1.0 |
폴리솔베이트 20 | 0.5 |
에탄올 | 8.0 |
예덕나무 추출물 | 0.5 |
방부제, 색소 | 적량 |
벤조페논-9 | 0.05 |
향 | 미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처방예 2: 영양화장수
비타민 C와 예덕나무 추출물 (실시예 10)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비타민 C | 5.0 |
1,3-부틸렌글리콜 | 4.0 |
글리세린 | 4.0 |
세테아릴알콜 | 0.8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 1.0 |
트리에탄올아민 | 0.13 |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 0.3 |
유동 파라핀 | 5.0 |
스쿠알란 | 3.0 |
마카다미아 너트 오일 | 2.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 0.5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1.0 |
예덕나무 추출물 | 1.0 |
방부제, 색소 | 적량 |
향 | 적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처방예 3: 영양 크림
비타민 C와 예덕나무 추출물 (실시예 5)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비타민 C | 10.0 |
메도우폼오일 | 3.0 |
세테아릴알콜 | 1.5 |
스테아르산 | 1.5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1.5 |
유동 파라핀 | 10.0 |
밀납 | 2.0 |
폴리솔베이트 60 | 2.5 |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 0.6 |
스쿠알란 | 3.0 |
1,3-부틸렌글리콜 | 3.0 |
글리세린 | 5.0 |
트리에탄올아민 | 0.5 |
예덕나무 추출물 | 2.0 |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 0.5 |
방부제, 색소 | 적량 |
향 | 적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처방예 4: 맛사지 크림
비타민 C와 예덕나무 추출물 (실시예 23)을 함유한 화장료 중 맛사지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비타민 C | 2.0 |
1,3-부틸렌글리콜 | 6.0 |
소듐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 0.3 |
글리세린 | 4.0 |
트리에탄올아민 | 0.15 |
밀납 | 2.0 |
바셀린 | 5.0 |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 1.5 |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 0.1 |
폴리솔베이트 60 | 2.0 |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 0.8 |
세테아릴알콜 | 2.0 |
유동 파라핀 | 40.0 |
예덕나무 추출물 | 2.0 |
방부제 | 적량 |
향 | 적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처방예 5: 팩
비타민 C와 예덕나무 추출물 (실시예 10)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비타민 C | 2.0 |
1,3-부틸렌글리콜 | 1.0 |
글리세린 | 2.0 |
PEG 4000 | 1.5 |
폴리비닐알콜 | 12.5 |
에탄올 | 7.0 |
경화피마자유 | 0.8 |
셀룰로오스검 | 0.3 |
예덕나무 추출물 | 1.0 |
방부제, 색소 | 적량 |
향 | 적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처방예 6: 에센스
비타민 C와 예덕나무 추출물 (실시예 4)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함량(중량%) |
비타민 C | 10.0 |
글리세린 | 10.0 |
1,3-부틸렌글리콜 | 5.0 |
PEG 1500 | 2.0 |
알란토인 | 0.1 |
DL-판테놀 | 0.3 |
EDTA-2Na | 0.02 |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 0.1 |
소듐히알루로네이트 | 8.0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0.2 |
트리에탄올아민 | 0.18 |
옥틸도데세스-16 | 0.4 |
에탄올 | 6.0 |
예덕나무 추출물 | 2.0 |
향, 방부제, 색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합계 | 100 |
비교 처방예 1, 2, 3
비타민 C 또는 예덕나무 추출물 (실시예 4)을 함유하거나 둘 다 함유하지 않 는 에센스 제형의 비교 처방예 1, 2, 3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 비교처방예 1 | 비교처방예 2 | 비교처방예 3 |
함량(중량%) | 함량(중량%) | 함량(중량%) | |
비타민 C | 10.0 | - | - |
글리세린 | 10.0 | 10.0 | 10.0 |
1,3-부틸렌글리콜 | 5.0 | 5.0 | 5.0 |
PEG 1500 | 2.0 | 2.0 | 2.0 |
알란토인 | 0.1 | 0.1 | 0.1 |
DL-판테놀 | 0.3 | 0.3 | 0.3 |
EDTA-2Na | 0.02 | 0.02 | 0.02 |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 0.1 | 0.1 | 0.1 |
소듐히알루로네이트 | 8.0 | 8.0 | 8.0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0.2 | 0.2 | 0.2 |
트리에탄올아민 | 0.18 | 0.18 | 0.18 |
옥틸도데세스-16 | 0.4 | 0.4 | 0.4 |
에탄올 | 6.0 | 6.0 | 6.0 |
예덕나무 추출물 | - | 2.0 | - |
향, 방부제, 색소 | 적량 | 적량 | 적량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합계 | 100 | 100 | 100 |
실험예 1: 온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 시험
본 발명에서 제조한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비타민 C만을 함유한 에센스 (비교 처방예 1) 및 비타민 C와 예덕나무 추출물 (실시예 4)을 함유한 에센스 (처방예 6)를 각각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주 동안 보관하고, 또한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주 동안 보관한 후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이때 제품 변색 정도는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변함 2: 조금 변함
3: 조금 심하게 변함 4: 심하게 변함 5: 극히 심하게 변함
온도 | 실험물질 변색 정도 | |
비교 처방예1 | 처방예 6 | |
45℃ | 4.0 | 1 |
4℃ | 3.0 | 0 |
상기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타민 C와 함께 예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처방예 6은 예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 처방예1 에 비해 변색 정도가 훨씬 약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온도 변화와 시간에 따른 역가 보존성 시험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비타민 C만을 함유한 에센스 (비교 처방예1), 비타민 C와 예덕나무 추출물 (실시예 4)을 함유한 에센스 (처방예 6)를 각각 0℃, 20℃ 및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보관하였다. 12주 동안 보관한 후 잔존하는 L-아스코르브산의 양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처치군 | 0 주/잔존율 | 1 주/잔존율 | 2 주/잔존율 | 4 주/잔존율 | |
비교 처방예 1 | 0℃ | 100% | 93% | 85% | 71% |
20℃ | 100% | 89.1% | 77.4% | 50.1% | |
45℃ | 100% | 82.1% | 51.1% | 5.1% | |
처방예 6 | 0℃ | 100% | 99.8% | 98.7% | 98.4% |
20℃ | 100% | 99.7% | 98.4% | 97.8% | |
45℃ | 100% | 99.4% | 97.5% | 96.4% |
상기 표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타민 C와 예덕나무 추출 물을 함유한 에센스 (처방예 6)는 1주 정도까지는 L-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이 거의 변화하지 않고 4주 경과 후에도 약 96.4%이상의 L-아스코르브산이 검출되어 예덕나무 추출물이 비타민 C의 산화 안정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L-아스코르브산 만을 함유한 에센스 (비교 처방예)은 1주 경과 후 비타민 C의 잔존율이 적어지기 시작하여 4주에는 매우 적은 잔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비타민 C와 예덕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 (처방예 6)는 비타민 C만을 함유한 에센스 (비교 처방예1)에 비해 훌륭한 역가 보존성을 보이므로, 예덕나무 추출물은 비타민 C의 산화 안정성에 매우 효과적인 추출물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미백 효과 실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처방예 6과 비교 처방예 1, 2, 3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비교하였다.
L-티로신(0.3 mg/㎖, Sigma사) 1.0 ㎖에 포타슘포스페이트 버퍼 용액 (pH 6.8, 0.1 M, Sigma사) 1.0 ㎖과 각각의 샘플을 상온조건에서 넣고 37℃에서 10-20분간 유지한 후 티로시나아제 (1250 units/㎖, Sigma사) 0.1 ㎖을 넣고 10분간 유지한 후 얼음물로 구성된 냉동조건에서 반응을 종결짓고 475 nm에서 흡광도를 조사한다. 이때 처방예 6과 비교 처방예들은 제형을 포타슘포스페이트 버퍼 용액으로 전처리 후 0.5 ㎛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 후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처방예 6이 비교 처방예 1에 비해 약 20% 이상의 티로시나제 저해율이 상승하는 시너지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예덕나무 추출물이 비타 민 C를 안정화시킴으로써 비타민 C의 미백효과가 효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다.
처리 농도(㎍/㎖) | 티로시나제 저해율(%) | 평균저해율(%) | ||
1.5 | 20.0 | 17.7 | 15.4 | 17.7 |
14 | 43.4 | 42.8 | 45.1 | 43.8 |
28 | 74.8 | 70.5 | 77.5 | 74.2 |
42 | 94.7 | 94.0 | 95.9 | 94.8 |
60 | 96.8 | 95.7 | 96.9 | 96.4 |
처리 농도(㎍/㎖) | 티로시나제 저해율(%) | 평균저해율(%) | ||
14 | 21.7 | 24.0 | 23.0 | 22.9 |
28 | 61.3 | 66.9 | 60.5 | 62.9 |
42 | 93.2 | 94.0 | 95.9 | 93.4 |
60 | 95.5 | 95.7 | 95.9 | 95.7 |
70 | 95.9 | 95.9 | 95.9 | 95.9 |
처리 농도(㎍/㎖) | 티로시나제 저해율(%) | 평균저해율(%) | ||
10.5 | 1.2 | 2.1 | 3.0 | 2.1 |
15.0 | 3.0 | 4.0 | 4.0 | 3.7 |
45.0 | 3.5 | 5.0 | 5.4 | 4.6 |
75.0 | 5.3 | 5.4 | 3.0 | 4.6 |
80.0 | 5.4 | 6.4 | 5.1 | 5.6 |
처리 농도(㎍/㎖) | 티로시나제 저해율(%) | 평균저해율(%) | ||
10.0 | 1.2 | 2.3 | 4.0 | 2.5 |
30.0 | 3.0 | 5.0 | 4.0 | 4.0 |
60.0 | 4.0 | 4.0 | 5.4 | 4.5 |
120.0 | 5.4 | 5.4 | 3.0 | 4.6 |
240.0 | 5.4. | 6.4 | 5.0 | 5.6 |
실험예 4 : 자유라디칼 소거능
상기 처방예 6과 비교 처방예 1, 2, 3에 대하여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블로이스에 의한 네이쳐 잡지(Blois, M. S. Nature) 181호 1190쪽, 1958년에 기재된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진 (DPPH)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DPPH는 비교적 안정한 자유 라디칼로서, 라디칼 상태로 존재시에는 517 ㎚에서 최대 흡광을 보이며 소거되면 흡광성을 잃는다.
DPPH는 시그마사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0.15 mM의 농도로 메틸알코올에 녹여 사용하였다. 먼저 상기 처방예 6과 비교 처방예들은 제형을 포타슘포스포이트버퍼 용액으로 전처리 후 0.5 ㎛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한 후, 농도별 (1% 용액)로 제조하여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의 각 웰에 100 ㎕씩 넣었다. 여기에 DPPH 용액을 100 ㎕씩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이더(Micro platereader, 바이오텍 EL-340)를 이용하여 517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처방예 6과 비교 처방예 대신 같은 농도의 전분용액 100 ㎕를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3회 측정한 자유라디칼 소거값을 평균하여 평균 저해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 표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처방예 6이 비교 처방예들에 비해 더욱 강한 항산화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덕나무 추출물이 비타민 C를 안정화시킴으로써 비타민 C의 항산화 효과를 효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다.
처치군 | 1차 측정값 | 2차 측정값 | 3차 측정값 | 평균 저해도(%) |
처방예 6 | 93.5 | 95.7 | 94.7 | 94.6 |
비교 처방예 1 | 91.5 | 92.7 | 91.9 | 92.0 |
비교 처방예 2 | 10.4 | 9.8 | 10.7 | 10.3 |
비교 처방예 3 | 3.3 | 2.7 | 3.5 | 3.2 |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덕나무 추출물 및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덕나무 추출물은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의 안정화에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예덕나무 추출물 및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또는 그의 유도체의 안정화에 의해 제형이 안정할 뿐만 아니라, 미백작용, 피부주름 개선, 항산화와 같은 생리활성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에 대한 안정화용 조성물.
- (a)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 및 (b) 상기 비타민 C 또는 그의 유도체에 대한 안정화제로서의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예덕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20 중량%, 비타민 C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01-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덕나무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5.0 중량%, 비타민 C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9856A KR101079108B1 (ko) | 2004-09-02 | 2004-09-02 |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그의 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9856A KR101079108B1 (ko) | 2004-09-02 | 2004-09-02 |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그의 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1047A KR20060021047A (ko) | 2006-03-07 |
KR101079108B1 true KR101079108B1 (ko) | 2011-11-02 |
Family
ID=3712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9856A KR101079108B1 (ko) | 2004-09-02 | 2004-09-02 |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그의 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910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4254B1 (ko) * | 2018-03-27 | 2018-09-04 | (주)진코스텍 |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2004
- 2004-09-02 KR KR1020040069856A patent/KR10107910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1047A (ko) | 2006-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858961B2 (ja) | 純粋な形態又は植物抽出物としてのマンジフェリン又はその誘導体を活性成分として含有する化粧用又は医薬用組成物 | |
KR101862229B1 (ko) | 베르게닌 및 플러린을 포함하여 비타민 c를 안정화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393007B1 (ko) |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425562B1 (ko) |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100552245B1 (ko) | 예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 |
KR102525467B1 (ko) | 병아리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 |
KR101469886B1 (ko) |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
KR100955572B1 (ko) | 노니 초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079108B1 (ko) | 예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그의 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 | |
KR100530669B1 (ko) |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 |
KR100685647B1 (ko) | 베르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 그의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 | |
KR20040087644A (ko) | 배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KR19990039012A (ko) | 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 |
KR20110087363A (ko) | 멸가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949956B1 (ko) |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040052318A (ko) | 암백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0453217B1 (ko) | 피부미백재 | |
KR20060104008A (ko) |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타민 c 또는 그의유도체의 안정화용 조성물 | |
KR20170137559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070111025A (ko) | 녹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화장료 조성물 | |
KR100467501B1 (ko) | 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 |
KR100495956B1 (ko) | 상지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 |
KR102183480B1 (ko) | 유칼립투스, 구기자나무, 및 자작나무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보습 및 피부 재생용 피부상태 개선 조성물 | |
KR101980144B1 (ko) | 분홍느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 |
KR100519191B1 (ko) | 파우다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