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8514B1 - 방전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방전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8514B1
KR101078514B1 KR1020097021030A KR20097021030A KR101078514B1 KR 101078514 B1 KR101078514 B1 KR 101078514B1 KR 1020097021030 A KR1020097021030 A KR 1020097021030A KR 20097021030 A KR20097021030 A KR 20097021030A KR 101078514 B1 KR101078514 B1 KR 101078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discharge lamp
support element
subelemen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070A (ko
Inventor
라이너 코게르
카르슈텐 슈반트
랄프 도테어바이흐
피오트르 크레프트
Original Assignee
오스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아게 filed Critical 오스람 아게
Publication of KR20100005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5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gas discharge tubes or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전 램프, 특히 고압 방전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벌브 넥(bulb neck)을 포함하는 방전관(discharge vessel)을 포함하고, 상기 벌브 넥에서, 방전관(3) 안으로 연장되는 전극을 위한 홀딩 막대, 적어도 하나의 전류-전달 엘리먼트가 배열되는 캐리어 부, 상기 홀딩 막대를 둘러싸는 지지 엘리먼트, 및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를 갖는 상기 캐리어 부를 둘러싸는 튜브가 용융되고, 상기 튜브(13)는 상기 지지 엘리먼트(7)의 전체 길이보다 작은 부분적 길이(L3)에 걸쳐 지지 엘리먼트를 둘러싼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방전 램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전 램프 및 그 제조 방법{DISCHARGE LAMP AND METHOD FOR PRODUCING A DISCHARGE LAMP}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벌브 넥(bulb neck)을 포함하는 방전관(discharge vessel)을 포함하는 방전 램프, 특히 고압 방전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벌브 넥 안으로, 전극을 위해 방전 공간으로 연장되는 홀딩 막대(holding rod), 적어도 하나의 전류-전달 엘리먼트가 배열되는 캐리어 부, 상기 홀딩 막대를 둘러싸는 지지 엘리먼트, 및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로 상기 캐리어 부를 둘러싸는 튜브가 용융접합(fuse)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방전 램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반도체 산업에서나 또는 LCD(액정 디스플레이)의 생산을 위해 이용되는 고압 방전 램프들, 특히 수은 증기 램프들(HBO 램프들)은, 방출된 UV(자외선) 방사의 요구 전력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높은 동작 압력 및 높은 전력들을 이용하여 동작된다.
램프의 전력의 증가와 함께, 열적인 이유들로 인해 크기, 특히 램프의 길이 및 직경이 또한 증가한다. 이용되는 전극들의 크기 및 그들의 무게들 또한 마찬가지로 증가한다. 게다가, 상기 방전관에 상기 전극들을 설치하기 위해 이용되는 홀 딩 막대들도 더 길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고압 방전 램프(1)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상기 고압 방전 램프(1)는, 석영 유리로 한 피스로 형성되고 두 개의 벌브 넥들(21 및 22)이 서로 정반대로 형성되는 확장 금속부(widening metal part)를 갖는 방전관(2)을 포함한다. 중앙에 위치한 타원형의 서브영역(23) 및 상기 서브영역(23)의 양 측면으로 이어지는 상기 벌브 넥들(21 및 22)을 갖는 전체 방전 램프(2)는 석영 유리로 만들어진다. 캐소드(4)와 애노드(5)가 연장되는 방전 공간(3)은 상기 방전 램프(2)의 상기 타원형의 중앙 서브영역(23)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캐소드(4)는 홀딩 막대(6) 상에 지지되고, 예컨대 홀딩 막대(6)는 텅스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홀딩 막대(6)는 상기 방전 공간(3) 및 상기 벌브 넥(21) 안으로 국부적으로 연장된다. 상기 홀딩 막대(6)는 지지 슬리브(support sleeve)(7)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지지 슬리브(7)는 상기 방전 공간(3)의 방향으로 점점 가늘어지도록 설계된다. 상기 방전 램프(3)로부터 떨어져 있는(facing away) 상기 지지 슬리브(7)의 일 측에 플레이트(8)가 배열되고, 상기 플레이트(8)는 몰리브덴으로 만들어지고 포일(foil) 시스템(9)에 연결되며, 상기 포일 시스템(9)은 석영 막대(10)의 측면 표면 상에 배열된다. 상기 포일 시스템(9)은, 몰리브덴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캐소드(4)에 전류를 공급하는데에 이용되는 다수의 포일 스트립(foil strip)들을 포함한다. 상기 석영 막대(10)의 다른 한쪽에는 마찬가지로 상기 포일 시스템(9)에 연결된 다른 플레이트(11)가 배열되고, 추가적인 막대 형태의 전기 도선(12)으로의 연결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 슬리브(7),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들(8 및 11), 상기 포일 시스템(9), 및 상기 석영 막대(10)는 관 형태의 벌브 넥(21)으로 기밀 방식으로(hermetically) 용융접합된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상기 애노드(5)는, 상기 방전 공간(3) 및 상기 벌브 넥(22) 안으로 연장되는 홀딩 막대(상세히 언급하지 않음) 상에 배열된다. 상기 벌브 넥(21)에서의 상기 캐소드(4)의 영역에서 설계된 바와 같이, 상기 컴포넌트들의 나머지 배열 및 구성이 상기 벌브 넥(22)에 또한 제공된다.
상기 벌브 넥(21)의 본래 관형인 석영 유리는 영역(2a)에서 상기 방전관(2)의 확장된 중앙부로 개방되고, 본래 관형인 벌브 넥(22)은 영역(2b)에서 상기 방전 관(2)의 이러한 중앙부로 개방된다.
램프들의 크기, 특히 이용되는 전극들의 크기 및 그들의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고압 방전 램프들은 예컨대 운송 동안에 가해지는 비교적 강한 단기간의 힘으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응력(shock stress)에 비교적 민감하다. 이것은 특히 상기 플레이트(8)의 영역에서 상기 석영 유리의 균열을 초래할 수 있다. 게다가, 특히 상기 플레이트(8) 부근의 실링(sealing) 영역에서의 높은 동작 압력 때문에, 상기 석영 유리에 강한 응력이 발생한다. 이것은 고압 방전 램프(1)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JP 2005243484 A는 포일 시스템이 석영 막대 상에 가해지고 상기 석영 막대의 양쪽 상에 가해지는 플레이트들에 연결되는 방전 램프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열은 석영 튜브 내로 끼워진다. 상기 포일 시스템 및 상기 플레이트들을 갖는 석영 막대 및 상기 석영 유리 튜브를 포함하는 이러한 전체 시스템은 방전관의 벌브 넥의 내부에 끼워지고, 거기서 용융접합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서조차, 상기 플레이트 및/또는 지지 엘리먼트 영역에서의 균열 안정도는 비교적 큰 수치의 고압 방전 램프들에 대해서만 빈약하게 향상될 수 있다. 게다가, 제조 및 밀폐식 용융접합(hermetic fusing)은 고가이다.
램프의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열적 이유들로 이 램프의 길이도 증가하고, 그러므로 상기 벌브 넥 내부의 석영 막대에 배열되는 전류-전달 포일들의 길이도 또한 증가한다. 상기 램프의 실링 영역에서, 몰리브덴 포일이 상기 석영 유리로 용융접합된다. 몰리브덴의 확장 계수가 상기 석영 유리의 확장 계수보다 더 크기 때문에, 용융접합 과정 동안에 상기 실링 포일이 상기 석영 유리보다 더 길어진다. 상기 포일이 휘어지기 시작한다. 상기 석영 유리가 상기 포일과 대면하는 곳에 공동(cavity)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제조 프로세스에서 상기 포일의 상기 석영 유리로의 불충분한 유리화(vitrification), 및 그에 따른 포일 이탈 및 균열을 야기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실링 포일들이 큰 확장도를 가지면, 아직 용융접합되지 않은 전기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다. 이것은 용융접합의 프로세스를 보다 어렵게 만들고,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공동들, 포일 이탈 또는 균열들은 제조 동안의 불합격률(reject rate)을 증가시키고, 또는 램프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램프 수명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석영 유리의 내경(inner diameter)을 상기 전극 시스템에 적응시킴으로써 - 이것이 제한된 정도로만 수행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비교적 작은 향상이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고전력 램프들을 위해 필요로 하는 바와 같이 큰 전극 직경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절차가 매우 제한된 정도로만 가능한데, 이는 상기 전극이 스템 튜브(stem tube) 또는 상기 벌브 넥을 통해서 벌브로 삽입되어야 하거나, 또는 방전관을 통해서 삽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큰 전극 직경들을 갖는 긴 포일 시스템들의 경우에, 이러한 프로세스 관리 절차는 매우 어렵게만 수행될 수 있고, 불만족스러운 결과들을 초래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옵션은, 축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또는 상기 전극들에 대해 상기 포일 시스템을 회전시킴으로써, 용융접합 프로세스 동안에 시스템 길이를 확장된 포일의 길이에 맞추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비교적 고가이고, 차선의 결과만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공동들 또는 전류-전달 또는 실링 엘리먼트들의 이탈 또는 물질 단절들 발생이 적어도 감소될 수 있는 방전 램프 및 방전 램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특징들을 갖는 방전 램프, 및 청구항 제12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특징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서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전 램프는 특히 고압 방전 램프, 예컨대 HBO 램프로서 설계된다. 상기 방전 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벌브 넥을 갖는 방전관을 포함한다. 전극을 위해 상기 방전관의 상기 방전 공간으로 연장되는 홀딩 막대, 적어도 하나의 전류-전달 엘리먼트가 배열되는 캐리어 부, 상기 홀딩 막대를 둘러싸는 지지 엘리먼트, 및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로 상기 캐리어 부를 둘러싸는 튜브가 이 벌브 넥 안으로 용융접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소위 컴포넌트들은 상기 벌브 넥의 상기 스템 튜브에 배열되고 상기 스템 튜브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러므로,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들로 상기 캐리어 부를 적어도 국부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튜브는 상기 벌브 넥의 상기 스템 튜브의 내부에 배열되고, 지지 엘리먼트의 전체 길이보다 더 작은 부분적 길이에 걸쳐 상기 지지 엘리먼트를 둘러싼다.
벌브 넥의 영역에서의 상기 방전 램프의 이러한 구성 때문에, 공동들의 형성 또는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의 이탈 또는 심지어 소위 균열들이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용융접합 프로세스 동안에, 상호 간에 대한 컴포넌트들의 배열 및 치수를 통해서 상기 문제점들의 발생이 적어도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전 램프들의 제조 동안의 불합격률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방전 램프들의 고장률이 최소화될 수 있고, 램프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엘리먼트는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를 가진 상기 캐리어 부를 적어도 국부적으로 둘러싸는 튜브의 외부로, 2.5 mm 초과의, 특히 3 mm 초과의 길이로 연장된다. 이러한 배열은 특히 상기 벌브 넥 안으로 상기 컴포넌트들을 용융접합하는 프로세스 이전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상기 튜브는 바람직하게 석영 튜브로서 설계되고, 특히 용융접합 프로세스 동안의 특별한 치수 때문에 공동들의 형성 또는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들의 이탈 또는 균열들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들은 또한 실링 엘리먼트들로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포일 스트립들로서 설계된다. 이들은 특히 몰리브덴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다수의 포일들이 특히 석영 막대로서 설계되는 상기 캐리어 부의 외부 상에 배열되고, 본질적으로 상기 석영 막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특히 상기 배열 또는 컴포넌트들을 상기 벌브 넥 안으로 용융접합하기 이전에, 이러한 튜브의 내경은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가 배열된 상기 캐리어 부의 외경보다 더 크고, 이 외경에 약 3 mm를 더한 것보다는 더 작다. 특히 용융접합 프로세스 이전에, 상기 튜브의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를 갖는 상기 캐리어 부에 대한 이상적인 피팅(fitting) 및 삽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용융접합 프로세스 동안의 최적 안정화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용융접합 프로세스 동안에,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 및 실링 엘리먼트가 상기 튜브의 상기 석영 유리와 더 잘 결합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끼워질 전극, 특히 상기 애노드의 크기 때문에 야기되는, 상기 전류-전달 및 실링 엘리먼트들의 시스템, 특히 상기 포일 시스템과, 벌브 넥의 스템 튜브의 내경 간의 직경 차이들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튜브의 벽 두께는 바람직하게 1.8 mm 내지 4.5 mm 사이이고, 특히 2 mm 내지 4 mm 사이이다.
상기 용융접합의 질은 이러한 치수에 의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부 및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를 적어도 국부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튜브의 이러한 특정 치수들 때문에, 이러한 벌브에서의 상기 실링 영역의 파열 압력 안정성이 보다 증가할 수 있고, 그러므로 램프 수명이 또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튜브는 상기 캐리어 부의 전체 길이보다 더 작은 일부 길이에 걸쳐 상기 캐리어 부 및 상기 캐리어 부 상에 배열된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를 둘러싼다. 상기 지지 엘리먼트들, 및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를 갖는 상기 캐리어 부는 상기 벌브 넥의 길이 방향으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서로 뒤에 배열되고, 그러므로 상기 튜브는, 각 경우에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지지 엘리먼트, 및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를 갖는 이 캐리어 부 양자 모두를 둘러싼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지지 엘리먼트, 및 상기 포일 시스템을 갖는 상기 캐리어 부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공동들, 포일 이탈 등의 발생이 특히 효율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엘리먼트는 제1 서브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 엘리먼트와 대면하는 내측 단부에서의 상기 튜브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1 서브엘리먼트는 상기 튜브를 위한 멈추개(stop)로서 본질적으로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컴포넌트들의 정확한 위치가 용융접합 이전에 보장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튜브가 상기 서브엘리먼트에 의해 형성된 이러한 에지를 너머 슬라이딩(sliding)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서로 간에 대한 각 서브컴포넌트들의 매우 정확한 배열이 안정적으로 보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상기 지지 엘리먼트와 대면하는 단부에서의 상기 튜브의 외경보다 더 크거나 또는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전술한 장점들은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엘리먼트들은 원뿔대형의(frustoconical) 제1 서브엘리먼트 및 원통형의 제2 서브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통형의 제2 서브엘리먼트는,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드가 배열된 상기 캐리어 부의 외경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를 갖는 상기 캐리어 부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 엘리먼트의 상기 제2 서브엘리먼트의 주변에 상기 튜브의 특별하게 적절하고 간단한 피팅(fitting)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 엘리먼트의 상기 제2 서브엘리먼트, 그 뒤를 따르는 플레이트, 및 차례로 상기 플레이트의 뒤를 따르는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가 배열된 캐리어 부 사이에서, 사실상 동일 높이의(flush) 전이가 본질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엘리먼트의 제1 서브엘리먼트 및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의 뒤를 따르는 제2 서브엘리먼트 사이의 전이부가 계단형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이산적 스텝 때문에, 상기 튜브를 위한 효율적인 멈추개(stop)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엘리먼트가 본질적으로 언더컷(undercut)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고, 상기 튜브가 상기 지지 엘리먼트를 둘러싸도록 의도된 길이를 보다 정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더 가능하며, 이 길이는 또한 목표 위치와 정확하게 합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서브엘리먼트의 외경은 상기 지지 엘리먼트와 대면하는 상기 튜브의 단부에서의 튜브의 내경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 상기 튜브는 기껏해야 상기 제2 서브엘리먼트의 길이에 걸쳐 상기 지지 엘리먼트를 둘러싼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방전 램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적어도 하나의 벌브 넥을 갖는 방전관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을 위한 홀딩 막대, 적어도 하나의 전류-전달 엘리먼트가 배열되는 캐리어 부, 상기 홀딩 막대를 둘러싸는 지지 엘리먼트, 및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를 갖는 상기 캐리어 부를 둘러싸는 튜브가 상기 벌브 넥 안으로 용융접합된다. 지지 엘리먼트의 전체 길이보다 더 작은 부분적 길이에 걸쳐 상기 튜브가 상기 지지 엘리먼트를 둘러싸도록 상기 튜브가 용융접합된다. 특히 용융접합 프로세스 동안에 상기 튜브의 이러한 배열 및 치수 때문에, 공동들의 형성,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 특히 상기 포일 시스템의 이탈, 및 균열들의 발생을 적어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튜브의 외부로 2.5 mm 이상, 특히 3 mm 이상의 길이로 연장되도록 용융접합 이전의 지지 엘리먼트는 배열된다. 특히, 상기 지지 엘리먼트의 이러한 여분의 길이는 상기 전극과 대면하는 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용융접합 이전에, 상기 튜브에는,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가 배열된 상기 캐리어 부의 외경보다 더 크고 이 외경에 약 3 mm를 더한 것보다는 더 작은 내경이 제공된다.
이러한 튜브의 특별한 치수 때문에, 실링을 위해 설계된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 특히 몰리브덴 포일 시스템은 용융접합 프로세스 동안에 안정화되고 상기 튜브의 석영 유리와 더 잘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상기 방전관 안으로 끼워질 상기 전극 때문에 발생하는 상기 포일 시스템 직경과 상기 벌브 넥의 상기 스템 튜브의 내경 사이의 직경 차이들이 감소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용융접합의 질이 상당히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전 램프의 유리한 구성들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구성들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식적인 도면들의 도움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압 방전 램프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 램프의 서브영역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전 램프의 서브영역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전 램프(1′)의 서브영역의 도식적 단면도를 도시하고, 상기 방전 램프(1′)는 고압 방전 램프로서 설계된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방전 램프(1′)는 도 1에서의 구성에 따라 제조된다. 하지만, 도 1과의 본질적인 차이로서, 상기 벌브 넥(21)의 영역에 도 2에 따른 구성을 갖는다. 유사한 방식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벌브 넥(21)의 영역에서의 이러한 구성은 상기 벌브 넥(22)의 영역에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벌브 넥(21)의 구성이 예시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홀딩 막대(6), 석영 유리로 만들어진 지지 슬리브(7)로서 설계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뒤를 따르는 상기 플레이트(8), 및 길이 축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8)의 뒤를 잇는 상기 캐리어 부가 상기 벌브 넥(21)의 상기 스템 튜브 내부의 영역들에 배열되고, 상기 영역들은 상기 영역(2a)에서 나와 상기 방전관(2)의 중앙부 또는 타원형의 서브영역(23)으로 향한다. 상기 캐리어 부는 원통형 석영 막 대(10)로서 설계되고, 상기 석영 막대(10)는 한편으로는 상기 홀딩 막대(6)를 수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막대 형태의 전기적 도선(12)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bore)들을 포함한다. 실링 기능을 추가적으로 갖는 다수의 전류-전달 엘리먼트들은 상기 석영 막대(10)의 외부 상에 배열된다.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들은 몰리브덴 포일 스트립들(9)로서 설계되고, 상기 석영 막대(1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석영 유리로 만들어진 튜브(13)는 상기 벌브 넥(21)의 내부에 더 배열된다. 이러한 튜브(13)는 상기 지지 슬리브(7)를 국부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포일 스트립들(9)로 상기 석영 막대(10)를 국부적으로 둘러싼다.
도 2는 이후의 용융접합 프로세스 이전에 상기 컴포넌트들이 어떻게 상기 벌브 넥(21) 내부에 배열되는지에 대한 설명을 보여준다. 상기 지지 슬리브(7)가 제1 서브엘리먼트(71) 및 제2 서브엘리먼트(72)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71)가 원뿔대형으로 설계되고, 원통형의 제2 서브엘리먼트(72)가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71)의 바로 뒤를 이어 배열된다. 상기 지지 슬리브(7)는 상기 홀딩 막대(6)가 통과되는 관통-구멍(through-bore)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71) 및 상기 제2 서브엘리먼트(72) 사이의 전이부(73)가 계단형 방식으로 설계된다. 상기 제2 서브엘리먼트(72)의 외경은, 상기 제2 서브엘리먼트(72)와 대면하는 단부(71a)에서의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71)의 외경보다 더 작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게다가, 이러한 단부(71a)에서의 외경은,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71)와 대면하는 단부(13a)에서의 상기 튜브(13)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상기 튜브(13)의 내경(di)은 상기 포일 스트립들(9)이 배열된 상기 석영 막대(10)의 외경보다 더 크다. 하지만, 특히, 이 내경(di)은 상기 포일 스트립들(9)이 배열된 상기 석영 막대(10)의 외경에 3 mm를 더한 것보다는 더 작다. 이것은 상기 튜브(13)가 상기 포일 스트립들(9)을 갖는 상기 석영 막대(10)에 대한 공극(air gap)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지만, 이후의 용융접합은 그러한 용융접합이 공동을 남기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작은 공극만을 제공함을 의미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서브엘리먼트(72)의 외경이 상기 플레이트(8)의 외경 및 상기 포일 스트립들(9)이 배열된 상기 석영 막대(10)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치수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튜브(13)의 벽 두께(dw)는 2 mm 내지 4 mm 사이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것은 상기 벌브 넥(21)의 상기 스템 튜브의 벽 두께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 상기 벌브 넥(21)의 상기 스템 튜브의 내경(Di)은 상기 애노드(5)의 직경보다 약 1 mm 더 크다.
바람직하게, 배열된 상기 포일 스트립들(9)을 갖는 상기 석영 막대(10)의 직경(Ds)은 17 mm 내지 30 mm 사이이다.
상기 지지 슬리브(7)는 17 mm 내지 28 mm 사이일 수 있는 전체 길이(L)를 갖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71)의 길이(L1)는 상기 제2 서브엘리먼트(72)의 길이(L2)보다 더 크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튜 브(13)는 단지 상기 제2 서브엘리먼트(72)에서 길이(L3)에 걸쳐 상기 지지 슬리브(7)를 둘러싼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13)의 정면 단부(13a)는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7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그러므로, 상기 튜브(13)의 이러한 제1 단부(13a)는 상기 지지 슬리브(7)의 정면 단부(71b)로부터의 길이(L4) 만큼 분리된다.
상기 튜브(13)는 상기 전이부(73)에 의해 형성되는 멈추개(stop) 상에서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71)와 대면하는 단부(13a)를 지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튜브(13)는 길이(L5)에 걸쳐 상기 포일 스트립들(9)을 갖는 상기 석영 막대(10)를 둘러싸고, 이 길이(L5)는 상기 포일 시스템 또는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들(9)을 갖는 상기 석영 막대(10)의 전체 길이(L6)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 상기 길이(L6)는 40 mm 내지 80 mm 사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튜브(13)는 20 mm 내지 90 mm 사이에 있을 수 있는 길이(L7)를 갖는다.
상기 길이(L4)는 특히 3 mm 보다 크고, 전체 길이(L)보다는 작다.
유사하게, 상기 튜브(13)는 상기 석영 막대(10) 및 그에 배열되는 상기 포일 스트립들(9)을 상기 전체 길이(L6)에 걸쳐, 특히 또한 상기 플레이트(11)의 길이 에 걸쳐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전 램프(1′)의 서브영역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따른 구성과는 달리, 상기 튜브(13)과 대면하는 면에서 상기 튜브(13)의 내경(Di)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설계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지지 슬리브(7)는 원뿔형으로 설계되거나 또는 원뿔대(conic frustum)를 나타낸다.

Claims (18)

  1. 방전 램프로서,
    적어도 하나의 벌브 넥(bulb neck)(21, 22)을 포함하는 방전관(2)을 포함하고,
    상기 벌브 넥(21, 22) 안으로, 전극(4, 5)을 위해 방전 공간(3)으로 연장되는 홀딩 막대(6), 적어도 하나의 전류-전달 엘리먼트(9)가 배열되는 캐리어 부(10), 상기 홀딩 막대(6)를 둘러싸는 지지 엘리먼트(7), 및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9)를 갖는 상기 캐리어 부(10)를 둘러싸는 튜브(13)가 용융접합(fuse) 되고,
    상기 튜브(13)는 상기 지지 엘리먼트(7)의 전체 길이(L)보다 작은 부분적 길이(L3)에 걸쳐 상기 지지 엘리먼트(7)를 둘러싸는,
    방전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17 mm 내지 28 mm 사이에 놓이는 전체 길이(L)를 가진 상기 지지 엘리먼트(7)는 상기 튜브(13)의 외부로 2.5 mm 초과의 길이(L4)로 연장되는,
    방전 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융접합 이전의 상기 튜브(13)의 내경(di)은,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9)가 배열된 상기 캐리어 부(10)의 외경(Ds)보다 크고 상기 외경(Ds)에 3 mm를 더한 것보다는 작은,
    방전 램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의 벽 두께(dw)는 1.8 mm 내지 4.5 mm 사이인,
    방전 램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는 상기 캐리어 부(10), 및 상기 캐리어 부(10)의 전체 길이(L6)보다 작은 부분적 길이(L5)에 걸쳐 상기 캐리어 부(10) 상에 배열된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9)를 둘러싸는,
    방전 램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엘리먼트(7)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71a)에서 상기 지지 엘리먼트(7)와 대면하는 단부(13a)에서의 상기 튜브(13)의 내경(di)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1 서브엘리먼트(71)를 포함하는,
    방전 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71)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71a)에서 상기 지지 엘리먼트(7)와 대면하는 단부(13a)에서의 상기 튜브(13)의 외경(da)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외경을 갖는,
    방전 램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엘리먼트(7)는 원뿔대형의(frustoconical) 제1 서브엘리먼트(71) 및 원통형의 제2 서브엘리먼트(72)를 포함하는,
    방전 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71)와, 상기 제1 서브엘리먼트(71)의 뒤를 잇는 상기 제2 서브엘리먼트(72) 사이의 전이부(73)는 계단형 방식으로 형성되는,
    방전 램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엘리먼트(72)의 외경은 상기 지지 엘리먼트(7)와 대면하는 상기 튜브(13)의 단부(13a)에서의 상기 튜브(13)의 내경(di)보다 작은,
    방전 램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는 기껏해야 상기 제2 서브엘리먼트(72)의 길이(L2)에 걸쳐 상기 지지 엘리먼트(7)를 둘러싸는,
    방전 램프.
  12. 방전 램프(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벌브 넥(21, 22)을 갖는 방전관(2)이 형성되고,
    전극(4, 5)을 위한 홀딩 막대(6), 적어도 하나의 전류-전달 엘리먼트(9)가 배열되는 캐리어 부(10), 상기 홀딩 막대(6)를 둘러싸는 지지 엘리먼트(7), 및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9)를 갖는 상기 캐리어 부(10)를 둘러싸는 튜브(13)가 상기 벌브 넥(21, 22) 안으로 용융접합 되고,
    상기 튜브(13)는 상기 지지 엘리먼트(7)의 전체 길이(L)보다 작은 부분적 길이(L3)에 걸쳐 상기 지지 엘리먼트(7)를 둘러싸도록 용융접합되는,
    방전 램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17 mm 내지 28 mm 사이에 놓이는 전체 길이를 가진 상기 지지 엘리먼트(7)가 상기 용융접합 이전에 상기 튜브(13)의 외부로 2.5 mm 초과의 길이(L4)로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방전 램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접합 이전의 상기 튜브(13)에, 상기 전류-전달 엘리먼트(9)가 배열된 상기 캐리어 부(10)의 외경(Ds)보다 크고 상기 외경(Ds)에 3 mm를 더한 것보다는 작은 내경(di)이 제공되는,
    방전 램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램프는 고압 방전 램프인,
    방전 램프.
  16. 제1항에 있어서,
    17 mm 내지 28 mm 사이에 놓이는 상기 전체 길이(L)를 가진 상기 지지 엘리먼트(7)는 상기 튜브(13)의 외부로 3 mm 초과의 길이(L4)로 연장되는,
    방전 램프.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13)의 벽 두께(dw)는 2 mm 내지 4 mm 사이인,
    방전 램프.
  18. 제12항에 있어서,
    17 mm 내지 28 mm 사이에 놓이는 상기 전체 길이를 가진 상기 지지 엘리먼트(7)가 상기 용융접합 이전에 상기 튜브(13)의 외부로 3 mm 초과의 길이(L4)로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방전 램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097021030A 2007-03-12 2007-03-12 방전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1078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07/052279 WO2008110203A2 (de) 2007-03-12 2007-03-12 Entladungslamp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ntladungslam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070A KR20100005070A (ko) 2010-01-13
KR101078514B1 true KR101078514B1 (ko) 2011-10-31

Family

ID=3969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1030A KR101078514B1 (ko) 2007-03-12 2007-03-12 방전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102699A1 (ko)
JP (1) JP5268949B2 (ko)
KR (1) KR101078514B1 (ko)
CN (1) CN101641762B (ko)
DE (1) DE112007003320A5 (ko)
TW (1) TW200845102A (ko)
WO (1) WO200811020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2030B2 (ja) * 2011-01-31 2015-02-18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ロングアーク型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および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点灯装置
CN104253003A (zh) * 2013-06-26 2014-12-31 魏红霞 高压钠灯的制作方法
JP5871048B2 (ja) * 2014-12-24 2016-03-01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メタルハライドランプ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3484A (ja) 2004-02-27 2005-09-08 Ushio Inc 高圧放電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29824A1 (de) * 1980-08-06 1982-03-11 Patent-Treuhand-Gesellschaft für elektrische Glühlampen mbH, 8000 München Hochdruckentladungslampe
GB2107110B (en) * 1981-09-11 1985-05-09 Emi Plc Thorn Discharge lamps
DE4030820A1 (de) * 1990-09-28 1992-04-02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Hochdruckentladungslampe
DE4031117A1 (de) * 1990-10-02 1992-04-09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Hochdruckentladungslamp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lampe
US5569978A (en) * 1994-04-19 1996-10-29 Ilc Technology, Inc. Flash lamp with O-ring electrode seals
JPH1021875A (ja) * 1996-06-28 1998-01-23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高圧放電ランプ,照射装置,点灯装置および露光装置
DE19825004A1 (de) * 1998-04-24 1999-10-28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Hochdruckentladungslampe
JP3591439B2 (ja) * 2000-09-21 2004-11-17 ウシオ電機株式会社 ショートアーク放電ランプ
DE10209424A1 (de) * 2002-03-05 2003-09-18 Patent Treuhand Ges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Mbh Quecksilber-Kurzbogenlampe
JP5047483B2 (ja) * 2005-09-27 2012-10-10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ショートアーク放電灯の封止構造
JP4963821B2 (ja) * 2005-10-18 2012-06-27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放電灯の封止構造
JP4662471B2 (ja) * 2005-12-06 2011-03-30 株式会社オーク製作所 ショートアーク型放電ランプの封止部構造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3484A (ja) 2004-02-27 2005-09-08 Ushio Inc 高圧放電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41762B (zh) 2011-09-14
DE112007003320A5 (de) 2010-01-28
JP5268949B2 (ja) 2013-08-21
CN101641762A (zh) 2010-02-03
KR20100005070A (ko) 2010-01-13
TW200845102A (en) 2008-11-16
WO2008110203A2 (de) 2008-09-18
WO2008110203A3 (de) 2008-11-27
US20100102699A1 (en) 2010-04-29
JP2010521048A (ja)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5426B1 (ko) 세라믹 방전관을 구비한 금속-할로겐화물 방전램프 제조방법
EP086648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high-pressure discharge lamp
KR101078514B1 (ko) 방전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KR20020085881A (ko) 유전체 장벽 방전 램프
JP2004178894A (ja) ショートアーク型放電ランプ
US20050253525A1 (en) Tubular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KR102469050B1 (ko) 방전 램프
US20020031975A1 (en) Short-arc, ultra-high-pressure discharge lamp and method of manufacture
EP1883097B1 (en) Flash discharge lamp
US6653785B2 (en) Arc tube with pinch seal and dimensional relationship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7982399B2 (en) High-pressure gas discharge lamp having electrode rods with crack-initiating means
US20110025203A1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JP6883410B2 (ja) 放電ランプ及び放電ランプの製造方法
JP2005183398A (ja) 放電ランプ用電極システムおよび放電ランプならびに放電ランプ用電極システムの作製方法
JP2000003695A (ja) 放電ランプ
JP2016167399A (ja) 放電ランプ
KR101078446B1 (ko) 방전 램프 및 방전 램프용 벌브 넥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WO2010010759A1 (ja) 高圧放電ランプ用電極、高圧放電ランプ及び高圧放電ランプ用電極の製造方法
JP2002208378A (ja) 高圧放電ランプ
KR102291205B1 (ko) 방전 램프
JP3402465B2 (ja) 放電管の製造法
CN112447492A (zh) 放电灯
US20120184173A1 (en) Method for producing a discharge lamp
JPH0652834A (ja) 管 球
TW200834645A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