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698B1 -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 Google Patents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698B1
KR101077698B1 KR1020090064585A KR20090064585A KR101077698B1 KR 101077698 B1 KR101077698 B1 KR 101077698B1 KR 1020090064585 A KR1020090064585 A KR 1020090064585A KR 20090064585 A KR20090064585 A KR 20090064585A KR 101077698 B1 KR101077698 B1 KR 101077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state
pulse
meter
counter fla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940A (ko
Inventor
조용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4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6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ulses, e.g. deviation from pulse flatness, rise time or duration
    • G01R29/027Indicating that a pulse characteristic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beyond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 G01R25/005Circuits for comparing several input signal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of this comparison, e.g. equal, different, greater, smaller, or for passing one of the input signals as output sign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 G01R25/08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by counting of standard pul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되는 검침 신호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트 단계 이후에,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METER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수도, 가스, 등의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는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공장 등 수요자 건물에는 전기, 가스, 상수도 등의 사용량을 표시해 주는 계량기가 설치되고, 공급자는 수용자의 검침 장치를 통해 공급물의 사용량을 검침하여 사용량에 대한 요금을 부과하게 된다.
따라서, 공급자는 요금 부과를 위해 수요자의 건물에 설치된 검침 장치를 정기적으로 검침하게 된다. 종래의 검침 방법은 검침원이 각각의 검침 장치를 육안으로 판정하여 그 수치를 수기로 기록하거나, 핸드 터미널에 키 입력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실수로 잘못 기록되거나 입력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잘못된 요금이 부과되어 민원이 대상이 되어왔다.
이와 더불어, 사용량을 정확하게 측정해야만, 정확한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따라서, 검침 장치는 정확하게 사용량을 측정해야 한다. 현재, 검침 장치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수도, 가스, 등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검침할 수 있는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방법은 입력되는 검침 신호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세트 단계 이후에,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크 단계는 상기 검침 신호 중 첫번째 하이(high) 펄스가 입력되면, 상기 기 설정된 개수를 체크하기 위한 펄스 타이머 변수 값에서 1을 빼는 단계와, 이전 포트 상태와 현재 포트 상태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이전 포트 상태 및 현재 포트 상태가 모두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인 경우, 현재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현재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 경우,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 값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 값이 0이 아닌 경우,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 값에서 1을 빼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침 방법은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 되지 않은 경우,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 값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침 방법은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 된 경우,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크 단계는 이전 포트 상태와 현재 포트 상태를 비교하고, 상기 이전 포트 상태 및 현재 포트 상태가 모두 하이(high) 또는 로우(low) 가 아닌 경우,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는 단계는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를 판단하고,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 경우,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는 단계는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 값이 0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는 단계는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이전 포트 상태가 로우(low) 인 경우,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된 경우,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침 장치는 펄스형 계량기로부터 검침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구성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검침 신호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하이(high) 펄스 신호를 체크한 후, 카운터 플래그 값을 세트(set) 시키고, 상기 검침 신호 중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침 신호 중 첫번째 하이(high) 펄스가 입력되면, 상기 기 설정된 개수를 체크하기 위한 펄스 타이머 변수 값에서 1을 빼고, 이전 포트 상태와 현재 포트 상태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이전 포트 상태 및 현재 포트 상태가 모두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인 경우, 현재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현재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 경우,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 값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개수의 하이(high) 펄스 신호를 체크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를 판단하고,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 경우에만,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를 판단하고, 이전 포트 상태가 로우(low) 인 경우에만,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검침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노이즈 또는 부분적 채터링에 의한 펄스 신호의 미인식률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침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검침 시스템은 검침 단말기(100) 및 펄스형 계량기(200)를 포함한다.
상기 검침장치(100)는 제 1 스위칭부(110), 접속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스위칭부(110)는 제 1 인버터(111), 제 1 저항(112) 및 트랜지스터(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30)로부터 제어 펄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칭부(110)는 상기 제어 펄스 신호에 따라 턴 온(on) 또는 턴 오프(off)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1 인버터(111)는 상기 제어부(130)로부터 출력된 제어 펄스 신호를 반전시킨다. 상기 반전된 신호는 상기 제 1 저항(112)을 통과하여, 상기 트랜지스터(113)로 입력된다. 상기 트랜지스터(113)는 상기 제 1 저항(112)을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턴 온(on) 또는 턴 오프(off) 된다. 상기 제 1 스위칭부(110)의 구성은 상기 설명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상기 펄스형 계량기(200)는 제 2 스위칭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스위칭부(210)가 턴 온(on) 된 경우에만, 상기 제 1 스위칭부(110)를 통해 입력된 검침신호가 상기 접속부(120)로 입력된다. 상기 제 2 스위칭부(210)는 릴레이 스위치, 리드 스위치,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120)는 상기 펄스형 계량기(200)로부터 입력되는 검침 신호를 상기 제어부(130)로 입력한다. 상기 접속부(120)는 제 2 저항(121), 커패시터(122) 및 제 2 인버터(12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스위칭부(210)가 턴 온(on) 된 경우, 상기 제 1 스위칭부(110)에서 발생된 검침 신호에 따라 전압(Vcc)의 전압 강하가 발생한다. 상기 전압 강하에 따른 검침 신호는 상기 제 2 인버터(123)를 통해 반전된 후, 상기 제어부(130)로 입력된다. 커넥터(미도시)가 상기 접속부(120)와 상기 펄스형 계량기(200)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펄스형 계량기(200)로부터 입력된 검침 신호에 따라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접속부(120)로부터 입력된 검침 신호 중 n개(기 설정된 개수)의 하이(high) 펄스 신호를 체크한 후,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set) 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세트는 상기 카운터 플래그 값을 '0'에서 '1'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set) 시킨 후,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검침 신호 중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킨다. 정확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 한 후에, 하이(high) 펄스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모터 등을 구동시켜 물리적으로 미터 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30)는 미터 값을 수치화하여 저장한 후,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검침 신호 중 첫번째 하이(high) 펄스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개수를 체크하기 하기 위한 펄스 타이머 변수(n) 값에서 1을 뺀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10개의 하이 펄스를 체크하기 원한다면,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의 초기값은 10이 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이전에 측정한 검침 신호의 펄스(이하, 이전 포트 상태)와 현재 측정한 검침 신호의 펄스(이하, 현재 포트 상태)를 비교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비교 결과, 이전 포트 상태 및 현재 포트 상태가 모두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인 경우, 현재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판단 결과, 현재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 경우,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 값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가 0이 되기 전까지는 상기 모든 과정을 반복 실행한다.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10번의 하이(high) 펄스 신호를 체크하고 싶은 경우,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를 10으로 설정하면 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를 판단하고,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 경우에만,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를 판단하고, 이전 포트 상태가 로우(low) 인 경우에만,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킨다.
도 1 에 표시된 접점(A, B, C, D)에서 측정된 파형은 이하의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검침 장치에 따르면, 노이즈 또는 부분적 채터링에 의한 펄 스 신호의 미인식률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침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펄스형 계량기(200)로부터 입력되는 검침 신호 중 n 개의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 한다(S200). 상기 검침 장치(100)에 접속부(120)가 포함된 경우, 상기 검침 신호는 상기 접속부(12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체크 결과, n 개의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킨다(S210). 상기 카운터 플래그는 미터 값을 증가시켜도 되는지를 인식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킨 후, 입력되는 검침 신호 중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되면,상기 제어부(130)는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킨다(S220). 미터 값을 증가시킨 후,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리셋시키고 펄스 카운터 변수(n)를 초기화시킨다(S230). 상기 펄스 카운터 변수(n)는 n 개의 하이(high) 펄스 신호를 체크하기 위해 사용된 변수이다.
상기 각 단계에 따른 구체적인 방법은 이하의 도 3a 내지 도 3c 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방법에 따르면, 노이즈 또는 부분적 채터링에 의한 펄스 신호의 미인식률을 줄일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의 검침 방법을 구체화한 흐름도이다.
도 3a는 도 2의 검침 방법 중 n 개의 하이(high) 펄스를 인식하는 단계(S200)를 구체화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면, 펄스형 계량기(200)의 제 2 스위칭부(210)가 턴 온(on) 되면, 검침 신호가 상기 제어부(130)로 입력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이전 포트 상태와 현재 포트 상태를 비교한다(S302).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이전 포트 상태 및 현재 포트 상태가 모두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일정한 시간(T)마다 입력되는 검침 신호가 하이(high) 인지 로우(low) 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현재 포트 상태와 상기 일정한 시간(T) 이전의 이전 포트 상태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30)가 현재 입력되는 검침 신호가 하이(high)라고 판단한다. 일정 시간이 경과 한 후, 상기 제어부(130)는 현재 입력되는 검침 신호가 로우(low)라고 판단한다. 이 경우, 상기 하이(high) 신호는 이전 포트 상태가 되고, 상기 로우(low) 신호는 현재 포트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단계(S302)에서는 펄스의 변화 또는 유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이전 포트 상태 및 현재 포트 상태가 모두 하이(high) 또는 로우(low)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는 단계(S210)를 실행한다. 반면에, 상기 이전 포트 상태 및 현재 포트 상태가 모두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인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현재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3). 상기 판단 결과, 현재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4). 상기 판단 결과, 현재 포트 상태가 로우(low) 인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S302 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 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를 초기화하고(S306),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리셋한다(S307). 반면에,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 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 값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5).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 값이 0이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값을 갖는 펄스 타이머 변수(n) 값에서 1을 뺀다(S309).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10번의 하이(high) 펄스 신호마다 미터 값을 증가시키고 싶은 경우,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를 10으로 설정하면 된다.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 값이 0인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를 초기화한다(S308).
도 3b는 도 2의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는 단계(S210)를 구체화한 흐름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이전 포트 상태 및 현재 포트 상태가 모두 하이(high) 또는 로우(low)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는 단계(S210)를 실행한다. S210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 값이 0인지를 판단한다(S310).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 값이 0이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펄스 타이머 변수(n) 값에서 1을 뺀다(S312). 이후에, 상기 제어부(130)는 S302 단계를 실행한다. 반면에,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n) 값이 0인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를 판단한다(S311).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킨다(S313). 이후에, 상기 제어부(130)는 S302 단계를 실행한다. 반면에, 이전 포트 상태가 로우(low) 인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S220 단계를 실행한다. S220 단계는 이하 도 3c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3c는 도 2의 미터값을 증가시키는 단계(S220)를 구체화한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검침 신호 중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S302, S310 및 S311 단계를 통해서 판단한다.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S301 단계를 실행한다. 반면에,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미터 값을 증가시킨다(S220). 미터 값을 증가시킨 후,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카운터플래그를 리셋시키고 펄스 카운터 변수(n)를 초기화시킨다(S230). 상기 S230 단계 또는 상기 S301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부(130)는 S302 단계를 실행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접점들(A, B, C, D)에서 측정된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30)에서 출력된 파형은, A접점에서 측정해보면, 일정한 주기를 갖는 신호(도 4a를 참조)이다. 상기 A 접점을 통과한 신호는, B접점에서 측정해보면, 상기 제 1 스위칭부(110)의 제 1 인버터(111)를 통과하면서 반전된 신호(도 4b를 참조)로 변경된다. 펄스형 계량기(200)의 제 2 스위칭부(210)가 턴 온(on) 되면, 검침 신호가 상기 접속부(120)로 전송된다. 상기 접속부(120)의 커패시터(122)에 걸리는 전압 파형(도 4c를 참조)은, C 접점에서 측정해보면, 상기 제 2 스위칭부(210)가 턴 온(on)(400) 된 경우만 발생하고, 상기 제 2 스위칭부(210)가 턴 오프(off)(410) 된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C 접점을 통과한 신호는, D 접점에서 측정해보면, 상기 제 2 인버터(123)를 통과하면서 반전된 신호(도 4의 (d))로 변경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반전된 신호를 구간별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구간과 본 발명에 따른 검침 방법을 관련시켜 설명하겠다. 상기 반전된 신호 중 첫번째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체크(420)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S302, S310 및 S312 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반전된 신호 중 두번째 하이(high) 펄스 신호 이후(430)에는, 상기 제어부(130)는 S302, S303, S304, S305 및 S309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즉, 펄스 타이머 변수(n)이 0이 될 때까지,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단계들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펄스 타이머 변수(n)이 0이 된 경우(440), 상기 제어부(130)는 S302, S310, S311 및 S313 단계를 실행한다. 그러고나서 하이(high) 펄스 신호가 다시 입력되면(450), 상기 제어부(130)는 S302, S310, S311, S320, S220 및 S230 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침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침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3a는 도 2의 검침 방법 중 n 개의 하이(high) 펄스를 인식하는 단계(S200)를 구체화한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접점들(A, B, C, D)에서 측정된 파형을 도시한 도면.

Claims (14)

  1. 입력되는 검침 신호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개수의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된 경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는 단계;및
    상기 카운터 플래그 세트 이후,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입력되는 검침 신호가 로우(low) 펄스 신호에서 하이 펄스 신호로 변경되는 경우에만,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검침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단계는,
    상기 검침 신호 중 첫번째 하이(high) 펄스가 입력되면, 상기 기 설정된 개수를 체크하기 위한 펄스 타이머 변수 값에서 1을 빼는 단계;
    이전 포트 상태와 현재 포트 상태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이전 포트 상태 및 현재 포트 상태가 모두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인 경우, 현재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현재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 경우,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 값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 값이 0이 아닌 경우,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 값에서 1을 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침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 되지 않은 경우,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 값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침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 된 경우,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침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단계는,
    이전 포트 상태와 현재 포트 상태를 비교하고, 상기 이전 포트 상태 및 현재 포트 상태가 모두 하이(high) 또는 로우(low) 가 아닌 경우,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침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는 단계는,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를 판단하고,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 경우,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침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 시키는 단계는,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 값이 0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검침 방법.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카운터 플래그가 세트된 경우,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침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검침 방법.
  11. 펄스형 계량기로부터 검침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구성된 접속부;
    상기 접속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검침 신호 중 기 설정된 개수의 하이(high) 펄스 신호를 체크한 후 카운터 플래그 값을 세트(set) 시키고, 상기 카운터 플래그 값을 세트 시킨 후 검침 신호 중 하이(high) 펄스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검침 신호가 로우(low) 펄스 신호에서 하이 펄스 신호로 변경되는 경우에만, 사용량에 대한 미터 값을 증가시키는, 검침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침 신호 중 첫번째 하이(high) 펄스가 입력되면, 상기 기 설정된 개수를 체크하기 위한 펄스 타이머 변수 값에서 1을 빼고, 이전 포트 상태와 현재 포트 상태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이전 포트 상태 및 현재 포트 상태가 모두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인 경우, 현재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현재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 경우, 상기 펄스 타이머 변수 값이 0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개수의 하이(high) 펄스 신호를 체크하는, 검침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지를 판단하고, 이전 포트 상태가 하이(high) 인 경우에만, 상기 카운터 플래그를 세트하는, 검침 장치.
  14. 삭제
KR1020090064585A 2009-07-15 2009-07-15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KR101077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85A KR101077698B1 (ko) 2009-07-15 2009-07-15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585A KR101077698B1 (ko) 2009-07-15 2009-07-15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40A KR20110006940A (ko) 2011-01-21
KR101077698B1 true KR101077698B1 (ko) 2011-10-27

Family

ID=43613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585A KR101077698B1 (ko) 2009-07-15 2009-07-15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093B1 (ko) * 2022-10-25 2023-09-01 주식회사 씨앤유글로벌 계량기의 계수방법 및 이를 위한 계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4335A (ja) 2007-06-07 2008-12-18 Tokiko Techno Kk 計測管理システム及び計測量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4335A (ja) 2007-06-07 2008-12-18 Tokiko Techno Kk 計測管理システム及び計測量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40A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7666B2 (en) Capacitance detection apparatus
CN105100429A (zh) 确定移动终端剩余电量使用时间的方法和装置
CN101490567A (zh) 测量电容元件容量的方法和设备
CN105453208A (zh) 相位控制装置
KR101077698B1 (ko)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JP6102169B2 (ja) 部品交換検出装置および遊技機
KR101296141B1 (ko) 차량 배터리의 상태 알림 장치 및 방법
WO2020013044A1 (ja) センサ制御装置
KR20220114841A (ko) 응답 시간 측정 장치
US8555045B2 (en) Electronic meter for concurrently updating firmware and collecting meter usage with a micro controller calculates the usage when a reset time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period of storing time
JP6436161B2 (ja) 計測システム、電極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91516A (ja) 抵抗膜式タッチパネル装置
CN114578280A (zh) 智能电表故障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150043815A (ko) 자동 검침 방법
KR101882945B1 (ko) 실시간 절연상태 점검 시스템.
KR20220117061A (ko) 응답 시간 측정 장치
JP3600465B2 (ja) 時間計測器
JP5310001B2 (ja) 超音波ガスメータ
JP2019052915A (ja) ガス器具判別装置
JP2017168329A (ja) 可搬型の動作電流測定器
KR101241990B1 (ko) 기계식 계량기의 펄스 신호 센싱 방법 및 그 장치
JP6240802B1 (ja) 電線検査装置
PL199546B1 (pl) Urządzenie cyfrowe do pomiaru czasów zadziałania przekaźników
SU129026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электромагнита
KR100417946B1 (ko) 가스계량기의 유량판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