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061A - 응답 시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응답 시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061A
KR20220117061A KR1020210020701A KR20210020701A KR20220117061A KR 20220117061 A KR20220117061 A KR 20220117061A KR 1020210020701 A KR1020210020701 A KR 1020210020701A KR 20210020701 A KR20210020701 A KR 20210020701A KR 20220117061 A KR20220117061 A KR 20220117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response
comparison
output valu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대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7061A/ko
Publication of KR2022011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0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 G06F11/341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by assessing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57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exper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73Tes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3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 G06F7/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using non-contact-making devices, e.g. tube, solid state device; using unspecified devices
    • G06F7/50Adding; Subtrac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easurement Of Unknown Time Interv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겟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입력 명령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명령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명령 감지부, 상기 타겟 장치의 출력을 감지하고, 상기 타겟 장치의 현재 출력 값과 상기 타겟 장치의 이전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응답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출력 감지부, 및 상기 명령 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제 1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응답 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제 2 시간으로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제 1 시간과 상기 제 2 시간에 기초하여 응답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응답 시간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응답 시간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RESPONSE TIME}
본 발명은 타겟 장치의 응답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치 및 회로는 특정 명령이 입력된 이후 목표된 시간이 경과하면 목표 레벨의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때, 명령이 입력된 이후 목표 레벨의 출력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을 응답 시간이라 정의할 수 있다.
즉, 응답 시간을 측정하고자하는 타겟 장치 또는 타겟 회로에 특정 명령이 입력된 이후, 타겟 장치의 출력이 목표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즉, 응답 시간을 측정하는 일은 제품(장치 또는 회로)을 설계하고 양산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빈번히 발생하는 작업이다.
응답 시간을 측정하는 단순 반복 작업은 장치 또는 회로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개발 및 테스트 기간을 증가시키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타겟 장치의 응답 시간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타겟 장치의 응답 시간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는, 타겟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입력 명령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명령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명령 감지부, 상기 타겟 장치의 출력을 감지하고, 상기 타겟 장치의 현재 출력 값과 상기 타겟 장치의 이전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응답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출력 감지부, 및 상기 명령 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제 1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응답 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제 2 시간으로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제 1 시간과 상기 제 2 시간에 기초하여 응답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응답 시간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시간 측정 장치는, 상기 입력 명령을 발생시키는 입력 명령 발생부, 상기 입력 명령을 상기 타겟 장치에 송신하는 입력 명령 송신부, 및 상기 타겟 장치의 출력을 수신하는 응답 출력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명령 감지부는, 상기 입력 명령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높아지거나 상기 입력 명령이 기설정된 레벨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명령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답 출력 감지부는, 상기 입력 명령이 수신된 이후 상기 타겟 장치의 현재 출력 값과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제 1 비교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타겟 장치의 이전 출력 값과 상기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제 2 비교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답 출력 감지부는,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출력을 저장하고 상기 현재 출력 값으로 출력하는 제 1 플립플롭, 상기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출력 값을 저장하고, 상기 이전 출력 값으로 출력하는 제 2 플립플롭, 상기 현재 출력 값과 상기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비교부, 상기 이전 출력 값과 상기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제 2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비교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비교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응답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 3 비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교부는, 상기 현재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크면 상기 제 1 비교 신호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현재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비교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며, 상기 제 2 비교부는, 상기 이전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크면 상기 제 2 비교 신호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이전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작으면 상기 제 2 비교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비교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비교 신호 중 하나가 인에이블되고, 다른 하나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응답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시간 산출부는, 상기 명령 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제 1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응답 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제 2 시간으로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제 1 시간과 상기 제 2 시간을 감산 연산하여, 감산 연산 결과가 허용 범위이내이면 상기 감산 연산 결과를 상기 응답 시간 정보로서 출력하고, 상기 감산 연산 결과가 상기 허용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감산 연산 결과와는 무관한 에러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시간 산출부는, 상기 명령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타이머 동작을 시작하고, 상기 응답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타이머 동작을 중지하는 타이머, 상기 명령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타이머로부터 출력되는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시간으로 저장하는 제 1 저장부, 상기 응답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타이머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시간으로 저장하는 제 2 저장부,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을 감산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의 감산 연산 결과와 상기 허용 범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산 연산 결과를 상기 응답 시간 정보로서 출력하거나 상기 에러 값을 출력하는 응답 시간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시간 출력부는, 상기 감산 연산 결과가 상기 허용 범위이내라고 비교된 상기 비교 결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감산 연산 결과를 상기 응답 시간 정보로서 출력하고, 상기 감산 연산 결과가 상기 허용 범위를 초과하였다고 비교된 상기 비교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에러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은, 타겟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입력 명령의 변화를 감지하는 입력 명령 변화 유무 판단 단계, 상기 입력 명령에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시간을 제 1 시간으로 저장하는 제 1 시간 저장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현재 출력 값을 저장하는 현재 출력 값 저장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이전 출력 값을 저장하는 이전 출력 값 저장 단계, 저장된 상기 현재 출력 값과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제 1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목표 레벨 비교 단계, 저장된 상기 이전 출력 값과 상기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제 2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목표 레벨 비교 단계, 상기 제 1 비교 신호 및 상기 제 2 비교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출력의 상기 목표 레벨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부호 변화 판단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출력이 상기 목표 레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시간을 제 2 시간으로 저장하는 제 2 시간 저장 단계, 상기 제 1 시간 및 상기 제 2 시간을 감산 연산하는 응답 시간 산출 단계, 상기 응답 시간 산출 단계에서의 감산 연산 결과가 허용 범위이내인지 상기 허용 범위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응답 시간 판단 단계 및 상기 응답 시간 판단 단계에서 상기 감산 연산 결과가 상기 허용 범위이내라고 판단되면 상기 감산 연산 결과를 상기 응답 시간 정보로서 출력하는 응답 시간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목표 레벨 비교 단계는, 상기 현재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크면 상기 제 1 비교 신호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현재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비교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며, 상기 제 2 목표 레벨 비교 단계는, 상기 이전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크면 상기 제 2 비교 신호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이전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작으면 상기 제 2 비교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호 변화 판단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비교 신호 중 하나가 인에이블되고 다른 하나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응답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응답 시간 판단 단계에서 상기 감산 연산 결과가 상기 허용 범위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감산 연산 결과와는 무관한 에러 값을 출력하는 에러 값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단순히 반복되는 타겟 장치의 응답 시간을 측정하는 작업을 자동화하여 정확한 응답 시간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발 및 테스트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응답 출력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응답 시간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100)는 입력 명령(CMD_in)을 타겟 장치(200)에 송신하고, 입력 명령(CMD_in)에 따른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응답 시간 측정 장치(100)는 입력 명령(CMD_in)이 타겟 장치(200)로 송신될 때의 시간을 제 1 시간으로 저장하고, 타겟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출력(RES_out)의 현재 값과 이전 값을 목표 레벨과 각각 비교하여 제 2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응답 시간 측정 장치(100)는 제 1 시간과 제 2 시간의 차를 연산하여 타겟 장치(200)의 응답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시간 측정 장치(100)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입력 명령(CMD_in)이 타겟 장치로 송신될 때 타이머의 출력을 제 1 시간으로 저장하고, 타이머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응답 시간 측정 장치(100)는 타겟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출력(RES_out)의 현재 값과 이전 값을 목표 레벨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응답 시간 측정 장치(100)는 타겟 장치(200)의 현재 출력(RES_out)과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제 1 비교 신호를 생성하고, 타겟 장치(200)의 이전 출력(RES_out)과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제 2 비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응답 시간 측정 장치(100)는 제 1 및 제 2 비교 신호를 비교하여, 제 1 비교 신호와 제 2 비교 신호가 서로 다를 경우 타이머의 출력을 제 2 시간으로 저장하고, 타이머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때, 목표 레벨은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사용자(개발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응답 시간 측정 장치(100)는 저장된 제 1 및 제 2 시간을 감산 연산하고, 연산 결과를 응답 시간 정보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100)의 구성 및 상세한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100)는 입력 명령 발생부(110), 입력 명령 송신부(120), 입력 명령 감지부(130), 응답 출력 수신부(140), 응답 출력 감지부(150) 및 응답 시간 산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명령 발생부(11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타겟 장치(200)에 특정 동작을 요청하는 입력 명령(CMD_in)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 명령 송신부(120)는 입력 명령 발생부(110)로부터 발생된 입력 명령(CMD_in)을 타겟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입력 명령 감지부(130)는 입력 명령 발생부(110)로부터 발생되는 입력 명령(CMD_in)을 감지하여 명령 감지 신호(C_d)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명령(CMD_in)이 아날로그 타입일 경우, 입력 명령 감지부(130)는 입력 명령(CMD_in)의 레벨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높아지거나, 기설정된 레벨 이하로 낮아지면 명령 감지 신호(C_d)를 생성하여 응답 출력 감지부(150) 및 응답 시간 산출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명령(CMD_in)이 디지털 타입일 경우, 입력 명령 감지부(130)는 하이 레벨에서 로우 레벨로 입력 명령(CMD_in)이 천이하거나 로우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입력 명령(CMD_in)이 천이하면 명령 감지 신호(C_d)를 생성하여 응답 출력 감지부(150) 및 응답 시간 산출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입력 명령 감지부(130)는 타겟 장치(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는 입력 명령(CMD_in)의 변화를 감지하여 명령 감지 신호(C_d)를 생성하고, 생성된 명령 감지 신호(C_d)를 응답 시간 산출부(16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명령 감지부(130)는 생성된 명령 감지 신호(C_d)를 응답 출력 감지부(150) 및 응답 시간 산출부(160)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응답 출력 수신부(140)는 입력 명령(CMD_in)에 따른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을 수신할 수 있다.
응답 출력 감지부(150)는 클럭(CLK) 및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에 기초하여 응답 감지 신호(R_d)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출력 감지부(150)는 명령 감지 신호(C_d)가 수신된 이후 클럭(CLK)이 특정 레벨로 천이할 때마다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응답 출력 감지부(150)는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의 현재 값과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제 1 비교 신호를 생성하고,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의 이전 값과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제 2 비교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응답 출력 감지부(150)는 제 1 비교 신호와 제 2 비교 신호가 서로 다르다고 판단되면 응답 감지 신호(R_d)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레벨은 허용 오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 시간 산출부(160)는 명령 감지 신호(C_d) 및 응답 감지 신호(R_d)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의 응답 시간을 산출하여 응답 시간 정보(Res_t)로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시간 산출부(160)는 명령 감지 신호(C_d)가 수신되었을 때의 시간을 제 1 시간으로 저장하고, 응답 감지 신호(R_d)가 수신되었을 때의 시간을 제 2 시간으로 저장하며, 제 1 시간과 제 2 시간을 감산 연산하여 응답 시간 정보(Res_t)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응답 출력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응답 출력 감지부(150)는 제 1 플립플롭(151), 제 2 플립플롭(152), 제 1 비교부(153), 제 2 비교부(154) 및 제 3 비교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립플롭(151)은 클럭(CLK)이 특정 레벨로 천이할 때마다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 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타겟 장치(200)의 현재 출력 값(RES<i>)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 2 플립플롭(152)은 클럭(CLK)이 특정 레벨로 천이할 때마다 제 1 플립플롭(151)의 출력 값을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타겟 장치(200)의 이전 출력 값(RES<i-1>)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플립플롭(151, 152) 각각은 동일한 클럭(CLK)에 동기되어 동작하며, 제 2 플립플롭(152)은 제 1 플립플롭(151)의 출력을 입력받기 때문에, 제 2 플립플롭(152)은 제 1 플립플롭(151)에 비해 클럭(CLK)의 1주기만큼 지연된 타겟 장치(200)의 출력을 저장하고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클럭(CLK)이 특정 레벨로 천이한 현재 시점의 타겟 장치(200)의 출력은 제 1 플립플롭(151)의 출력(RES<i>)으로 출력되고, 현재 시점으로부터 클럭(CLK)의 1주기 이전 시점의 타겟 장치(200)의 출력은 제 2 플립플롭(152)의 출력(RES<i-1>)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제 1 비교부(153)는 제 1 플립플롭(151)의 출력 즉, 타겟 장치(200)의 현재 출력 값(RES<i>)과 목표 레벨(T_V)을 비교하여 제 1 비교 신호(Com1)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비교부(153)는 타겟 장치(200)의 현재 출력 값(RES<i>)이 목표 레벨(T_V)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 1 비교 신호(Com1)를 기설정된 레벨보다 높은 레벨로 생성하고, 타겟 장치(200)의 현재 출력 값(RES<i>)이 목표 레벨(T_V)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 1 비교 신호(Com1)를 기설정된 레벨보다 낮은 레벨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비교부(153)는 타겟 장치(200)의 현재 출력 값(RES<i>)이 목표 레벨(T_V)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 1 비교 신호(Com1)를 인에이블시키고, 타겟 장치(200)의 현재 출력 값(RES<i>)이 목표 레벨(T_V)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 1 비교 신호(Com1)를 디스에이블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비교부(154)는 제 2 플립플롭(152)의 출력 즉, 타겟 장치(200)의 이전 출력 값(RES<i-1>)과 목표 레벨(T_V)을 비교하여 제 2 비교 신호(Com2)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비교부(154)는 타겟 장치(200)의 이전 출력 값(RES<i-1>)이 목표 레벨(T_V)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 2 비교 신호(Com2)를 기설정된 레벨보다 높은 레벨로 생성하고, 타겟 장치(200)의 이전 출력 값(RES<i-1>)이 목표 레벨(T_V)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 2 비교 신호(Com2)를 기설정된 레벨보다 낮은 레벨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 2 비교부(154)는 타겟 장치(200)의 이전 출력 값(RES<i-1>)이 목표 레벨(T_V)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제 2 비교 신호(Com2)를 인에이블시키고, 타겟 장치(200)의 이전 출력 값(RES<i-1>)이 목표 레벨(T_V)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 2 비교 신호(Com2)를 디스에이블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3 비교부(155)는 제 1 비교 신호(Com1) 및 제 2 비교 신호(Com2)의 레벨이 서로 다른 레벨이면 응답 감지 신호(R_d)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비교부(155)는 제 1 및 제 2 비교 신호(Com1, Com2) 중 하나가 인에이블되고, 나머지 하나가 디스에이블되면 응답 감지 신호(R_d)를 생성할 수 있다.
응답 시간 산출부(160)의 구성을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은 도 2의 응답 시간 산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응답 시간 산출부(160)는 타이머(161), 제 1 저장부(162), 제 2 저장부(163), 연산부(164), 응답 시간 출력부(165) 및 비교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161)는 명령 감지 신호(C_d)가 수신되면 타이머 동작을 시작하고, 응답 감지 신호(R_d)가 수신되면 타이머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161)는 카운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명령 감지 신호(C_d)가 수신되면 주기적으로 천이하는 신호 즉, 클럭을 카운팅하고 응답 감지 신호(R_d)가 수시되면 카운팅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이때, 타이머(161)는 카운팅된 결과를 코드 형태의 시간 정보(T_inf)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저장부(162)는 명령 감지 신호(C_d)가 수신되었을 때의 시간 정보(T_inf)를 저장하고, 저장된 시간 정보(T_inf)를 명령 입력 시간 정보(C_int)로서 연산부(164)에 제공할 수 있다.
제 2 저장부(163)는 응답 감지 신호(R_d)가 수신되었을 때의 시간 정보(T_inf)를 저장하고, 저장된 시간 정보(T_inf)를 출력 시간 정보(R_outt)로서 연산부(164)에 제공할 수 있다.
연산부(164)는 제 1 및 제 2 저장부(162, 163)로부터 제공되는 명령 입력 시간 정보(C_int) 및 출력 시간 정보(R_outt)를 감산 연산하고, 연산 결과 정보(C_R)를 응답 시간 출력부(165) 및 비교부(166)에 제공할 수 있다.
응답 시간 출력부(165)는 비교부(166)로부터 제공되는 비교 결과 정보(Com3)에 기초하여 연산 결과 정보(C_R)를 응답 시간 정보(Res_t)로서 출력하거나, 연산 결과 정보(C_R)와는 무관하게 사용자가 설정한 에러 값을 응답 시간 정보(Res_t)로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답 시간 출력부(165)는 연산 결과 정보(C_R)가 허용 범위이내라는 비교 결과 정보(Com3)를 수신하면 연산 결과 정보(C_R)를 응답 시간 정보(Res_t)로서 출력하고, 연산 결과 정보(C_R)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였다는 비교 결과 정보(Com3)를 수신하면 에러 값을 응답 시간 정보(Res_t)로서 출력할 수 있다.
제 4 비교부(166)는 연산 결과 정보(C_R)와 사용자가 설정한 허용 범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정보(Com3)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비교부(166)는 연산 결과 정보(C_R)가 허용 범위이내인지 또는 연산 결과 정보(C_R)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였는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비교 결과 정보(Com3)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 명령 발생부(110)로부터 발생된 입력 명령(CMD_in)이 입력 명령 송신부(120)를 통해 타겟 장치(200)에 송신될 수 있다.
이때, 입력 명령 감지부(130)는 타겟 장치(200)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라는 입력 명령(CMD_in)을 감지 즉, 타겟 장치(200)를 동작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는 입력 명령(CMD_in)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입력 명령 감지부(130)는 타겟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입력 명령(CMD_in)의 변화가 감지되면 명령 감지 신호(C_d)를 생성할 수 있다.
응답 시간 산출부(160)는 명령 감지 신호(C_d)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제 1 시간 즉, 명령 입력 시간 정보(C_int)로서 저장할 수 있다.
입력 명령(CMD_in)이 타겟 장치(200)에 송신된 이후,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가 응답 출력 수신부(140)에 수신될 수 있다.
응답 출력 감지부(150)는 명령 감지 신호(C_d)가 수신된 이후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이 허용 오차를 포함하는 목표 레벨에 도달하면 응답 감지 신호(R_d)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응답 출력 감지부(150)는 명령 감지 신호(C_d)가 수신된 이후, 타겟 장치(200)의 현재 출력(RES<i>) 값이 목표 레벨 이하이고 타겟 장치(200)의 이전 출력(RES<i-1>) 값이 목표 레벨 이상이면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이 목표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고, 응답 감지 신호(R_d)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응답 출력 감지부(150)는 명령 감지 신호(C_d)가 수신된 이후, 타겟 장치(200)의 현재 출력(RES<i>) 값이 목표 레벨 이상이고, 타겟 장치(200)의 이전 출력(RES<i-1>) 값이 목표 레벨 이하이면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이 목표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고, 응답 감지 신호(R_d)를 생성할 수 있다.
응답 시간 산출부(160)는 응답 감지 신호(R_d)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제 2 시간 즉, 출력 시간 정보(R_outt)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응답 시간 산출부(160)는 저장된 명령 입력 시간 정보(C_int) 및 출력 시간 정보(R_outt)를 감산 연산하여 응답 시간 정보(Res_t)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된 입력 시간 정보(C_int) 및 출력 시간 정보(R_outt)가 코드 형태의 정보이고, 저장된 입력 시간 정보(C_int)가 (0,0,0,1)의 코드 값을 갖고, 저장된 출력 시간 정보(R_outt)가 (1,1,0,1)의 코드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면, 응답 시간 산출부(160)는 (1,1,0,0)의 코드 값을 갖는 응답 시간 정보(Res_t)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응답 시간 산출부(160)의 구성을 도시한 도 4을 참조하면, 타이머(161)가 1초에 10번 천이하는 클럭에 기초하여 카운팅한다고 가정할 경우, 클럭이 1번 천이할때마다 0.1초의 시간이 경과하므로, (1,1,0,0)의 응답 시간 정보(Res_t)를 갖는 타겟 장치(200)는 입력 명령(CMD_in)을 수신한 이후 클럭이 12번 천이(12*0.1초= 1.2초)하면 출력이 목표 레벨에 도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더불어, 응답 시간 산출부(160)는 응답 시간 정보(Res_t)가 허용 범위 이내이면 산출된 응답 시간 정보(Res_t)를 출력하고, 응답 시간 정보(Res_t)가 허용 범위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에러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100)는 입력 명령이 타겟 장치에 수신된 이후 타겟 장치의 출력이 목표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의 응답 시간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 명령 변화 유무 판단 단계(S1), 제 1 시간 저장 단계(S2), 현재 출력 값 저장 단계(S3), 이전 출력 값 저장 단계(S4), 제 1 목표 레벨 비교 단계(S5), 제 2 목표 레벨 비교 단계(S6), 부호 변화 판단 단계(S7), 제 2 시간 저장 단계(S8), 응답 시간 산출 단계(S9), 응답 시간 판단 단계(S10), 응답 시간 출력 단계(S11) 및 에러 값 출력 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명령 변화 유무 판단 단계(S1)는 타겟 장치(200)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입력 명령(CMD_in)의 변화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입력 명령 변화 유무 판단 단계(S1)에서 타겟 장치(200)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입력 명령(CMD_in)이 타겟 장치(200)에 송신되었다고 판단되면(유) 제 1 시간 저장 단계(S2)를 수행시킬 수 있다.
한편, 입력 명령 변화 유무 판단 단계(S1)에서 타겟 장치(200)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입력 명령(CMD_in)이 타겟 장치(200)에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무) 입력 명령(CMD_in)이 변화될 때까지 입력 명령 변화 유무 판단 단계(S1)가 계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 1 시간 저장 단계(S2)는 입력 명령 변화 유무 판단 단계(S1)에서 타겟 장치(200)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입력 명령(CMD_in)의 변화가 발생될 때의 시간을 제 1 시간으로서 저장할 수 있다.
현재 출력 값 저장 단계(S3) 및 이전 출력 값 저장 단계(S4) 각각은 클럭(CLK)에 기초하여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 1 플립플롭(151)은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을 입력 받고, 제 2 플립플롭(152)은 제 1 플립플롭(151)의 출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플립플롭(151, 152) 각각은 클럭(CLK)이 특정 레벨로 천이할 때 입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플립플롭(151)은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을 타겟 장치(200)의 현재 출력 값(RES<i>)으로 저장 및 출력하고, 제 2 플립플롭(152)은 제 1 플립플롭(151)의 출력을 타겟 장치(200)의 이전 출력 값(RES<i-1>)으로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다.
제 1 목표 레벨 비교 단계(S5)는 현재 출력 값 저장 단계(S3)에서 저장된 타겟 장치(200)의 현재 출력 값(RES<i>)과 목표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 1 목표 레벨 비교 단계(S5)는 타겟 장치(200)의 현재 출력 값(RES<i>)이 목표 레벨보다 크면 제 1 비교 신호(Com1)를 인에이블시키고, 타겟 장치(200)의 현재 출력 값(RES<i>)이 목표 레벨보다 작으면 제 1 비교 신호(Com1)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제 2 목표 레벨 비교 단계(S6)는 이전 출력 값 저장 단계(S4)에서 저장된 타겟 장치(200)의 이전 출력 값(RES<i-1>)과 목표 레벨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 2 목표 레벨 비교 단계(S6)는 타겟 장치(200)의 이전 출력 값(RES<i-1>)이 목표 레벨보다 크면 제 2 비교 신호(Com2)를 인에이블시키고, 타겟 장치(200)의 이전 출력 값(RES<i-1>)이 목표 레벨보다 작으면 제 2 비교 신호(Com2)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부호 변화 판단 단계(S7)는 제 1 목표 레벨 비교 단계(S5)에서 생성된 제 1 비교 신호(Com1)와 제 2 목표 레벨 비교 단계(S6)에서 생성된 제 2 비교 신호(Com2)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호 변화 판단 단계(S7)는 제 1 및 제 2 비교 신호(Com1, Com2) 중 하나가 인에이블되고, 다른 하나가 디스에이블되면 제 1 및 제 2 목표 레벨 비교 단계(S5, S6)의 비교 결과들에 부호 변화가 있다고 판단(유)하고, 제 1 및 제 2 비교 신호(Com1, Com2)가 모두 인에이블되었거나 디스에이블되면 제 1 및 제 2 목표 레벨 비교 단계(S5, S6)의 비교 결과들에 부호 변화가 없었다고 판단(무)할 수 있다.
부호 변화 판단 단계(S7)는 제 1 및 제 2 목표 레벨 비교 단계(S5, S6)의 비교 결과들에 부호 변화가 있다고 판단(유)되면 제 2 시간 저장 단계(S8)를 수행시킬 수 있다.
한편, 부호 변화 판단 단계(S7)는 제 1 및 제 2 목표 레벨 비교 단계(S5, S6)의 비교 결과들에 부호 변화가 없었다고 판단(무)되면, 부호 변화 판단 단계(S7)를 지속적으로 수행시킬 수 있다.
즉, 부호 변화 판단 단계(S7)에서 제 1 및 제 2 목표 레벨 비교 단계(S5, S6)의 비교 결과들에 부호 변화가 있다고 판단(유)되면,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이 목표 레벨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 2 시간 저장 단계(S8)는 부호 변화 판단 단계(S7)에서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이 목표 레벨에 도달하였을 때의 시간을 제 2 시간으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 시간 산출 단계(S9)는 제 2 시간 저장 단계(S8) 이후 수행되는 단계로서, 저장된 제 1 시간 및 제 2 시간을 감산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응답 시간 산출 단계(S9)는 타겟 장치(200)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입력 명령(CMD_in)이 타겟 장치(200)로 송신될 때의 시간(예를 들어, 제 1 시간)과 타겟 장치(200)의 출력(RES_out)이 목표 레벨에 도달하였을 때의 시간(예를 들어, 제 2 시간)에 대해 감산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 시간 판단 단계(S10)는 응답 시간 산출 단계(S9)에서 감산 연산의 결과 즉, 타겟 장치(200)의 응답 시간이 허용 범위이내인지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허용 범위가 10이라고 가정하면, 응답 시간 판단 단계(S10)에서 감산 연산된 결과가 9일 경우 즉, 타겟 장치(200)의 응답 시간이 허용 범위이내(Yes)이므로, 응답 시간 출력 단계(S11)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허용 범위가 10이라고 가정할 경우, 응답 시간 판단 단계(S6)에서 감산 연산된 결과가 11일 경우 즉, 타겟 장치(200)의 응답 시간이 허용 범위를 초과(No)하였기 때문에, 에러 값 출력 단계(S12)가 수행될 수 있다.
응답 시간 출력 단계(S11)는 응답 시간 산출 단계(S9)에서 감산 연산된 결과가 응답 시간 판단 단계(S10)에서 허용 범위이내라고 판단될 경우 감산 연산된 결과를 응답 시간 정보(Res_t)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에러 값 출력 단계(S12)는 응답 시간 산출 단계(S9)에서 감산 연산된 결과가 응답 시간 판단 단계(S10)에서 허용 범위를 초과한다고 판단될 경우 감산 연산된 결과와는 무관한 에러 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타겟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입력 명령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명령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명령 감지부;
    상기 타겟 장치의 출력을 감지하고, 상기 타겟 장치의 현재 출력 값과 상기 타겟 장치의 이전 출력 값에 기초하여 응답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출력 감지부; 및
    상기 명령 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제 1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응답 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제 2 시간으로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제 1 시간과 상기 제 2 시간에 기초하여 응답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응답 시간 산출부;
    를 포함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명령을 발생시키는 입력 명령 발생부,
    상기 입력 명령을 상기 타겟 장치에 송신하는 입력 명령 송신부, 및
    상기 타겟 장치의 출력을 수신하는 응답 출력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명령 감지부는,
    상기 입력 명령이 기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높아지거나 상기 입력 명령이 기설정된 레벨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명령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답 출력 감지부는,
    상기 입력 명령이 수신된 이후 상기 타겟 장치의 현재 출력 값과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제 1 비교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타겟 장치의 이전 출력 값과 상기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제 2 비교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비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출력 감지부는,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출력을 저장하고 상기 현재 출력 값으로 출력하는 제 1 플립플롭,
    상기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출력 값을 저장하고, 상기 이전 출력 값으로 출력하는 제 2 플립플롭,
    상기 현재 출력 값과 상기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비교부,
    상기 이전 출력 값과 상기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제 2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비교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비교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응답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제 3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교부는,
    상기 현재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크면 상기 제 1 비교 신호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현재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비교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며,
    상기 제 2 비교부는,
    상기 이전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크면 상기 제 2 비교 신호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이전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작으면 상기 제 2 비교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3 비교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비교 신호 중 하나가 인에이블되고, 다른 하나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응답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시간 산출부는,
    상기 명령 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제 1 시간으로 저장하고, 상기 응답 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제 2 시간으로 저장하며, 저장된 상기 제 1 시간과 상기 제 2 시간을 감산 연산하여,
    감산 연산 결과가 허용 범위이내이면 상기 감산 연산 결과를 상기 응답 시간 정보로서 출력하고,
    상기 감산 연산 결과가 상기 허용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감산 연산 결과와는 무관한 에러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시간 산출부는,
    상기 명령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타이머 동작을 시작하고, 상기 응답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타이머 동작을 중지하는 타이머,
    상기 명령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타이머로부터 출력되는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시간으로 저장하는 제 1 저장부,
    상기 응답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타이머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 시간으로 저장하는 제 2 저장부,
    상기 제 1 및 제 2 시간을 감산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의 감산 연산 결과와 상기 허용 범위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감산 연산 결과를 상기 응답 시간 정보로서 출력하거나 상기 에러 값을 출력하는 응답 시간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시간 출력부는,
    상기 감산 연산 결과가 상기 허용 범위이내라고 비교된 상기 비교 결과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감산 연산 결과를 상기 응답 시간 정보로서 출력하고,
    상기 감산 연산 결과가 상기 허용 범위를 초과하였다고 비교된 상기 비교 결과가 수신되면 상기 에러 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
  11. 타겟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입력 명령의 변화를 감지하는 입력 명령 변화 유무 판단 단계;
    상기 입력 명령에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시간을 제 1 시간으로 저장하는 제 1 시간 저장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현재 출력 값을 저장하는 현재 출력 값 저장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이전 출력 값을 저장하는 이전 출력 값 저장 단계;
    저장된 상기 현재 출력 값과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제 1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목표 레벨 비교 단계;
    저장된 상기 이전 출력 값과 상기 목표 레벨을 비교하여 제 2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목표 레벨 비교 단계;
    상기 제 1 비교 신호 및 상기 제 2 비교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타겟 장치의 출력의 상기 목표 레벨 도달 여부를 판단하는 부호 변화 판단 단계;
    상기 타겟 장치의 출력이 상기 목표 레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된 시간을 제 2 시간으로 저장하는 제 2 시간 저장 단계;
    상기 제 1 시간 및 상기 제 2 시간을 감산 연산하는 응답 시간 산출 단계;
    상기 응답 시간 산출 단계에서의 감산 연산 결과가 허용 범위이내인지 상기 허용 범위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응답 시간 판단 단계; 및
    상기 응답 시간 판단 단계에서 상기 감산 연산 결과가 상기 허용 범위이내라고 판단되면 상기 감산 연산 결과를 상기 응답 시간 정보로서 출력하는 응답 시간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목표 레벨 비교 단계는,
    상기 현재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크면 상기 제 1 비교 신호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현재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비교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며,
    상기 제 2 목표 레벨 비교 단계는,
    상기 이전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크면 상기 제 2 비교 신호를 인에이블시키고,
    상기 이전 출력 값이 상기 목표 레벨보다 작으면 상기 제 2 비교 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부호 변화 판단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비교 신호 중 하나가 인에이블되고 다른 하나가 디스에이블되면 상기 응답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시간 판단 단계에서 상기 감산 연산 결과가 상기 허용 범위를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감산 연산 결과와는 무관한 에러 값을 출력하는 에러 값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답 시간 측정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10020701A 2021-02-16 2021-02-16 응답 시간 측정 장치 KR20220117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701A KR20220117061A (ko) 2021-02-16 2021-02-16 응답 시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701A KR20220117061A (ko) 2021-02-16 2021-02-16 응답 시간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061A true KR20220117061A (ko) 2022-08-23

Family

ID=8309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701A KR20220117061A (ko) 2021-02-16 2021-02-16 응답 시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70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959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емкости емкостного компонента
US8315836B2 (en) Radiation measuring device and diagnostic method thereof
CN109005002B (zh) 传感器数据处理装置、传感器系统和在使用传感器系统的情况下确定换算参数的方法
US10733468B2 (en) Finger stability detecting method and fingerprint sensing device
KR20040068971A (ko) 광대역 주파수 범위에서 펄스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높은정확도로 결정하는 방법
US20020060328A1 (en) Semiconductor device
KR20220114841A (ko) 응답 시간 측정 장치
KR20220117061A (ko) 응답 시간 측정 장치
JPH10117484A (ja) 常時商用給電型交流無停電電源回路
KR20150015200A (ko) 제로-크로싱 방식의 전원 주파수 검출장치 및 제로-크로싱 방식의 전원 주파수 검출방법
CN114325078A (zh) 电流检测方法、系统、装置、固态断路器及可读存储介质
US39396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inguishing aperiodic noise input signals from periodic input signals during measurement
CN107870298B (zh) 一种分压电路的电路参数检测电路、方法及电能表
KR101882945B1 (ko) 실시간 절연상태 점검 시스템.
US5138639A (en) Pulse position measurement type meter-driving circuit capable of improving measurement accuracy
KR101077698B1 (ko)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침 방법
CN112346596B (zh) 超音波触控装置以及触控校准方法
US20230003853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test data for testing a distance determination in an optical time-of-flight measurement
JP3600465B2 (ja) 時間計測器
SU73789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измерени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характеристик случайных погрешностей цифровых приборов
SU100529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и контрол параметров аналого-цифровых преобразователей
EP3187847B1 (en) Pressure measurement
JPH08233842A (ja) 速度検出装置およびその異常検出方法
KR100366800B1 (ko) 전송시스템의 외부클럭 오류 감지장치
KR100526864B1 (ko) 타임측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