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255B1 - Mimo 시스템에 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 - Google Patents

Mimo 시스템에 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255B1
KR101076255B1 KR1020107013937A KR20107013937A KR101076255B1 KR 101076255 B1 KR101076255 B1 KR 101076255B1 KR 1020107013937 A KR1020107013937 A KR 1020107013937A KR 20107013937 A KR20107013937 A KR 20107013937A KR 101076255 B1 KR101076255 B1 KR 101076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
data symbol
symbol stream
matrix
antenn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0794A (ko
Inventor
아브니시 아그라왈
라지브 비자얀
테이머 카도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90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91Space-time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26Power distribution
    • H04B7/0434Power distribution using multiple eigenmodes
    • H04B7/0443Power distribution using multiple eigenmodes utilizing "waterfilling" techniq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04B7/0465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taking power constraints at power amplifier or emission constraints, e.g. constant modulus,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변 개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송신할 수 있는, MIMO 시스템에 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은, 각각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송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고, 시스템의 총 송신 전력 및 각각의 안테나의 최대 전력을 최대한 활용한다. 한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이 복수의 안테나로부터의 송신을 위해 수신된다. 각각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그 스트림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량에 대응하는 각각의 웨이트로 스케일링된다. 스케일링된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은 송신 기저 행렬과 곱해져서 복수의 안테나에 대한 복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송신 기저 행렬 (예를 들어, Walsh-Hadamard 행렬 또는 DFT 행렬) 은 각각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이 모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고 각각의 송신 심볼 스트림이 관련 안테나에 대한 최대 전력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송신되도록 정의된다.

Description

MIMO 시스템에 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 {RATE ADAPTIVE TRANSMISSION SCHEME FOR MIMO SYSTEMS}
본 출원은 2002 년 10 월 16 일에 출원되고,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어,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로서 참조되어 여기에 병합되는, 발명의 명칭이 "레이트 적응형 시스템에 대한 MIMO 시그널링 방식 (MIMO Signaling Schemes for Rate Adaptive Systems)" 인 미국 가출원 번호 제 60/419,319 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통신 시스템에 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에 관한 것이다.
MIMO 시스템은 데이터 송신을 위해 다수 (NT) 송신 안테나 및 다수 (NR) 수신 안테나를 사용한다. NT 개의 송신 안테나 및 NR 개의 수신 안테나에 의해 형성되는 MIMO 채널은 NS 개의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도 있고, 여기서 NS ≤ min{NT, NR} 이다. 각 NS 개의 독립 채널들은 하나의 차원에 대응한다. 만약 다수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서 생성된 추가적인 차원이 이용된다면, MIMO 시스템은 개선된 성능 (예를 들어, 더 높은 스루풋 및/또는 더 큰 신뢰도) 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심볼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세싱된다 (예를 들어, 코딩 및 변조). MIMO 시스템에서, 데이터 심볼의 하나 이상의 스트림들은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다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은 공간 멀티플렉싱을 사용하여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병렬로 송신될 수도 있으며, 공간 멀티플렉싱은 MIMO 채널의 추가적인 차원을 활용한다. 높은 스루풋을 얻기 위해, 가능한 많은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병렬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송신될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수와 이러한 스트림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채널 상태에 의존한다. (1) 각 안테나로부터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송신하는 "안테나 멀티플렉싱" 방식 및 (2) MIMO 채널의 각 독립채널에서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송신하는 "고유모드 (eigenmode) 멀티플렉싱" 방식을 포함하는, 공간 멀티플렉싱에 대한 다양한 송신방식이 현재 이용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 단일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데이터 송신의 신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송신 다이버시티 (diversity) 를 이용하여 다수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될 수도 있다. 다이버시티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하여 많은 전파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송신 안테나 뿐만 아니라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만약 더 큰 신뢰도가 요구되거나 또는 채널 상태가 너무 열악하여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모든 사용가능한 송신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면 송신 다이버시티가 사용될 수도 있다. (1) 1998 년 10 월, IEEE JSAC "무선 통신에 관한 단순한 송신 다이버시티 (A Simple Transmit Diversity Techniqu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S.M. Alamouti 에 의해 설명된 "공간-시간 다이버시티" 방식, 및 (2) 2000 년 신호, 시스템, 및 컴퓨터 (Signals, Systems and Computers) 에 관한 34 회 Asilomar 회의의, "피드백 지연을 이용하는 폐회로 송신 다이버시티의 성능 (Performance of Closed Loop Transmit Diversity with Feedback Delay)" 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B. Raghothaman 등에 의해 설명된 "지연 다이버시티" 방식을 포함하는, 송신 다이버시티에 관한 다양한 송신 방식이 현재 사용가능하다.
높은 성능을 얻기 위해, MIMO 시스템은, 공간 멀티플렉싱에 대한 하나 이상의 송신 방식 및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송신 방식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될 수도 있다. 그러한 MIMO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소정의 송신 간격에서, 특정한 송신 방식이 채널 상태 및 원하는 결과 (예를 들어, 더 높은 스루풋 또는 더 큰 신뢰도) 에 따라서 사용을 위해 선택될 수도 있다. 하지만, 공간 멀티플렉싱에 대한 종래의 송신 방식은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한 종래의 송신 방식과는 설계면에서 종종 매우 상이하다. 따라서, 만약 공간 멀티플렉싱 및 송신 다이버시티에 대한 다수의 (및 상이한 ) 송신 방식을 지원하기 위해서 시스템에서의 송신기와 수신기가 요구되면, 시스템에서의 송신기와 수신기의 복잡성은 크게 증가될 수도 있다. 또한, 높은 성능을 위해, 송신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수에 관계없이, 시스템에 대해 사용가능한 총 송신 전력,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각 NT 개의 송신 안테나에 대해 사용가능한 최대 전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간 멀티플렉싱을 지원하고, 송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고, MIMO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송신 전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송신방식에 대한 필요성이 당 기술분야에 필요하다.
MIMO 시스템에 대하여 공간 멀티플렉싱을 지원하고 송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이 여기에서 제공된다.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은 많은 바람직한 특징들, (1) 가변 개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송신을 지원하고, 그에 따라 그것을 레이트 적응형 시스템에서의 사용에 적합하게 만드는 것, (2)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한 송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것, 및 (3) 송신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개수에 상관없이, 각 송신 안테나에 대해 사용가능한 최대 전력이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도록 허용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을 포함한다. 레이트 적응형 방식은 단일-캐리어 MIMO 시스템에 매우 적합하고, 다수-캐리어 MIMO 시스템에 대해서도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MIMO 시스템에서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일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에 따라서, 복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에 관한 스트림이 수신된다.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그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량에 대응하는 각각의 웨이트 (weight) 로 스케일링 (scaling) 된다.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모두에 할당되는 총 송신 전력량은 시스템에 대해 사용가능한 총 송신 전력 이하이다. 스케일링된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은 그 후, 하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이 송신 안테나 각각에 대한 것인 복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송신 기저 행렬 (basis matrix) 과 곱해진다.
송신 기저 행렬은 따라서 (1)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이 복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고, (2) 각 송신 심볼 스트림이 관련 안테나에 대해 사용가능한 최대 전력 (또는 그 근처) 에서 송신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송신 기저 행렬은 왈쉬-하다마드 (Walsh-Hadamard) 행렬, 이산 푸리에 변환 (DFT) 행렬, 또는 어떤 다른 행렬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다양한 양태 및 실시형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 본질, 및 이점들은 참조되는 특징들은, 유사한 참조 문자들이 전체적으로 그에 상응하여 식별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은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을 이용하여, NT 개의 안테나로부터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송신하는 프로세스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MIMO 시스템에서의 송신기 시스템 및 수신기 시스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에 대한 송신기 및 수신기 시스템에서의 공간 프로세싱을 나타낸다.
도 4 는 송신기 시스템 내에서의 송신 (TX) 공간 프로세서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MIMO 시스템에 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을 여기에서 설명한다. 다수-캐리어 MIMO 시스템에 있어서, 그 송신 방식은 데이터 송신에 대해 사용가능한 각각의 다수 캐리어에 대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명확성을 위해,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은 단일-캐리어 MIMO 시스템에 관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단일-캐리어 MIMO 시스템이 있어서, NT 개의 송신 안테나 및 NR 개의 수신 안테나들에 의해 형성된 MIMO 채널은 NS 개의 독립 채널들로 분해될 수도 있으며, NS ≤ min{NT, NR} 이다. 독립 채널의 수는 MIMO 채널에 대한 고유모드의 수에 의해 결정되고, 그 고유모드의 수는 차례대로 NT 개의 송신 안테나 및 NR 개의 수신 안테나들 사이의 응답을 설명하는 채널 응답 행렬 H 에 의존한다. 간단히 하기 위해 아래의 설명은, NT ≤ NR 이고, 채널 응답 행렬 H 는 최대한의 랭크라고 가정한다 (즉, NS = NT ≤ NR). 이러한 가정들을 가지면, 각 심볼 주기에 대하여, NT 개의 심볼까지는 NT 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병렬로 송신될 수도 있다.
단일-캐리어 MIMO 시스템에 관한 모델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01
식 (1)
여기서 x 는 NT 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한 NT 개의 엔트리를 갖는 {NT×1} "데이터" 벡터이고;
y 는 NR 개의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심볼에 대한 NR 개의 엔트리를 갖는 {NR×1} "수신" 벡터이고;
H 는 {NR×NT} 채널 응답 행렬이고; 그리고
n 은 가산 화이트 가우스 노이즈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의 벡터이다.
데이터 벡터 x 는 따라서 E[ xx H]= I 라고 가정되고, 여기서 E 는 기대값 연산자이고, " H " 는 전치 행렬 (conjugate transpose) 이고, I 는 대각선상이 1이고 그외 나머지 부분은 0 인 단위 행렬 (identity matrix) 이다. 벡터 n 은 0 의 평균값을 갖으며, 공분산행렬 Λ n = σ2 I , 여기서 σ2 는 노이즈의 변이 (variance) 라고 가정한다.
일반적인 시스템에서는, (1) 모든 NT 개의 송신 안테나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는 총 송신 전력, Ptot, 및 (2) 각 송신 안테나에 대한 최대 또는 최고 전력 Pant 에 대한 제약이 있다. 일반적으로, 단위 안테나 당 전력 Pant 는 Pant = Ptot/NT 로 주어진다. 이러한 제약들은, (1) 각 송신 안테나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의 제한, (2) 규제적 요구조건, 및 (3) 아마도 다른 요인들에 의해 부가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이러한 전력 제약들을 가진 MIMO 시스템의 모델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02
식 (2)
여기서
Figure 112010040471674-pat00003
는 전체 및 단위 안테나 당 전력 제약을 설명하는 스케일링 (scaling) 요소이다.
하나의 종래의 송신 방식에서,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안테나 멀티플렉싱을 이용하여 NT 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동시발생적으로 송신되고, 여기서 ND 는 1 에서 NT 까지의 정수 (즉, NT ≥ ND ≥ 1) 중에서 임의의 상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 방식에 있어서, 임의의 소정의 심볼 주기에서도, ND 개의 데이터 심볼은 ND 개의 안테나로부터 동시에 송신되고, (NT - ND) 개의 나머지 안테나는 사용되지 않는다. 만약 총 송신 전력 및 단위 안테나 당 전력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약된다면, 이러한 송신방식은, 데이터 통신을 위해 NT 보다 적은 수의 안테나들이 사용되는 경우에, 전력 손실을 나타낼 것이고, 그것은 ND < NT 인 경우이다. 단위 안테나 당의 전력 제약 때문에, ND < NT 인 경우에 총 송신 전력 Ptot 의 많은 부분이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ND 개의 안테나에 할당될 수 없다. 또한, 만약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이 중복되는 (즉, 동일한) 스트림이면, 수신기에서 이러한 스트림의 소거의 위험이 존재한다.
송신할 데이터 심볼 스트림 관한 특정한 수는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송신하는 데이터량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에 의존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이한 독립 채널은 상이한 채널 상태를 경험할 수도 있고, 상이한 신호-대-잡음비 (SNR) 를 얻을 수도 있다. 랭크 부족의 MIMO 채널에 있어서, 최적의 전략은 NT 보다 적은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을 송신하지만 더 높은 SNR 을 달성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총 송신 전력 Ptot 의 많은 부분을 할당하는 것이다. 그러나,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상술한 안테나 멀티플렉싱 송신 방식에 대해서, 단위 안테나 당의 전력 제약 때문에 총 송신 전력의 최적 할당은 달성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성능에 있어서 약간의 손실이 발생할 것이다.
여기서 설명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은 공간 멀티플렉싱을 지원하고, 송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고, 이하의 유익한 특징들을 갖는다.
ㆍ 주요 특징들을 유지하면서 동일한 송신 및 수신 공간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가변 개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1 에서부터 NT 까지) 의 송신을 지원한다.
ㆍ 모든 NT 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의 송신을 통하여 단일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공간-시간 다이버시티 방식보다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한다.
ㆍ 송신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수를 고려하지 않고, 각 NT 개의 송신 안테나의 최대 전력 Pant 이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NT 보다 적은 데이터 심볼 스트림이 송신되는 경우에 전력 손실이 없이 전력을 효율적으로 만든다.
ㆍ 송신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 중의 총 송신 전력 Ptot 의 유동적 할당을 허용한다.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 및 그 유익한 특징들은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일-캐리어 MIMO 시스템에 대한, 및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 모델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04
식 (3)
여기서, M 은 {NT × NT} 송신 기저 행렬이고, 그것은 유니터리 (unitary) 행렬이다;
Λ 은 {NT × NT} 대각 행렬이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05
는 NT 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되는 NT 개의 송신 심볼을 가진 NT 개의 엔트리를 가지는 {NT × 1} "송신" 벡터 이다.
H eff 는 "유효" 채널 응답 행렬이고, 그것은 H eff = HM 으로 정의된다.
유니터리 행렬 U U H U = I 로 특징지어지고, 이것은 유니터리 행렬의 각 열이 행렬의 다른 모든 열과 직교한다 (orthogonal) 는 것을 나타내고, 유니터리 행렬의 각 행도 또한 다른 모든 행과 직교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대각 행렬 (diagonal matrix) Λ 은 대각선을 따라 음수가 아닌 실수를 포함하고, 그 외의 부분에서는 0 을 포함한다. 이러한 대각선 엔트리들은 송신되는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량을 나타낸다.
이하 후술하는 바에 따르면, 총 송신 전력의 제약 Ptot 에 일치시키는 동안, 대각 행렬 Λ 은 상이한 송신 전력을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하는 데에 이용될 수도 있다. 송신 기저 행렬 M 은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이 NT 개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되도록 하고, 또한 각 송신 안테나의 최대 전력 Ptot 이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이용되도록 한다.
식 (3) 으로부터, 송신 벡터
Figure 112010040471674-pat00006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07
식 (4)
k 번째 송신 안테나에 대한 송신 심볼
Figure 112010040471674-pat00008
(즉, 송신 벡터
Figure 112010040471674-pat00009
의 k 번째 성분) 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
Figure 112010040471674-pat00010
식 (5)
여기서, M k ,i 는 송신 기저 행렬 M 의 k 번째 행과 i 번째 열의 성분이다;
λi,i 는 행렬 Λ 의 i 번째 대각 행렬의 성분이다;
χi 는 데이터 벡터 x 의 i 번째 성분이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11
는 송신 벡터
Figure 112010040471674-pat00012
의 k 번째 성분이다;
K 는 모든 송신 안테나 (즉, K={1, 2, ..., NT}) 의 집합이다.
식 (3) 은 식 (1) 및 식 (2) 모두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모델을 나타낸다. 이것은 송신 기저 행렬 M 및 대각 행렬 Λ 을 적절히 정의함으로써 달성된다. 예를 들어, (1) 송신 기저 행렬 M M =
Figure 112010040471674-pat00013
으로 정의하고, 여기서 m i M 의 i 번째 열의 {NT × 1} "인덱스" 벡터이고, i 번째 위치에서는 "1" 이며 다른 위치에서는 "0" 으로 정의되며, (2) 대각 행렬 Λ
Figure 112010040471674-pat00014
로 정의함으로써, 식 (3) 은 식 (2) 와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이로운 특징들은 송신 기저 행렬 M 및 대각 행렬 Λ 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몇몇 다른 방식으로 정의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다음의 분석에 있어서, 임의의 송신 기저 행렬 M 및 음수 아닌 대각선 엔트리를 지닌 임의의 대각 행렬 Λ 을 고려한다. 벡터 x 에 관한 송신 전력은 Λ 의 대각선 성분의 제곱이 합과 같다. 그러면 총 송신 전력 제약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15
식 (6)
식 (5) 로부터, 각 NT 개의 송신 안테나에 관한 송신 전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16
식 (7)
여기서, " * " 는 켤레복소수 (complex conjugate) 를 의미한다. 그러면 단위 안테나 당의 전력 제약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17
식 (8)
식 (6) 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trace( Λ 2) ≤ Ptot 이므로, 식 (8) 의 단위 안테나 당 전력 제약은 그 성분들이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행렬 M 의 임의의 최대 랭크에 의해서도 만족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18
식 (9)
식 (9) 는 유효 행렬 M 의 성분이
Figure 112010040471674-pat00019
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식 (9) 는 단위 안테나 당의 전력 제약을 만족하는 데에 필요한 충분 조건 (그러나 필요 조건은 아님) 을 나타낸다.
행렬 M 는 단위 안테나 당의 전력 제약을 만족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행렬 M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20
식 (10)
여기서, W 는 왈쉬-하다마드 행렬이다. 예시로서, NT = 4 에서, 왈쉬- 하다마드 행렬 W 4 ×4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21
식 (11)
더 큰 크기의 왈쉬-하다마드 행렬 W 2N ×2N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22
식 (12)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행렬 M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23
식 (13)
여기서, Q 는 이산 푸리에 변환 (DFT) 행렬이다. 예시로서, NT = 4 에서, DFT 행렬 Q 4 ×4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24
식 (14)
일반적으로, N×N DFT 행렬 Q N ×N 은 (k, i) 번째 엔트리,
Figure 112010040471674-pat00025
가 다음과 같이 주어질 수 있도록 정의된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26
식 (15)
여기서, k 는 행렬 Q N × N 의 행 인덱스이고 i 는 Q N × N 의 열 인덱스이다. 행렬 M 은 또한 다양한 다른 행렬들로 정의될 수 있고, 이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적절한 송신 기저 행렬 M 및 적절한 대각 행렬 Λ 을 사용함으로써, 총 송신 전력 제약 및 단위 안테나 당의 제약은 모두 만족될 수 있다. 특히, 총 송신 전력 제약은 식 (6) 을 만족하도록 Λ 의 대각선 성분을 정의함으로써 만족될 수 있다. 그러면 단위 안테나 당 전력 제약은 식 (9) 를 만족도록 M 의 성분을 정의함으로써 만족될 수 있다. Λ 에서의 각 대각선 성분 λi,i 는 연관된 데이터 심볼 스트림 χi 를 위해서 사용하는 송신 전력량을 나타낸다. λi, i 2 ≤ Ptot 를 제외하고는, Λ 의 어떠한 개별적인 대각선 성분의 값에 대해서도 제약이 없기 때문에, 총 송신 전력 Ptot 는 총 송신 전력 및 단위 안테나 당의 전력 제약을 여전히 만족하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이것은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 사이에서 사용가능한 송신 전력을 할당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큰 유동성을 제공한다.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은 임의의 개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 (즉, ND 는 1 에서 NT 까지 중에 임의의 값일 수도 있다)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송신기는 송신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수에 상관없이 식 (4) 에 의해 나타내어진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데이터 벡터 x 는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관하여 ND 개의 0 이 아닌 엔트리를 포함하고, NT - ND 개의 0 엔트리를 포함한다. 각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행렬 Λ 에서 각각의 0 이 아닌 대각선 성분과 관련된다. 각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각각의 공간 채널 상의 송신을 위해 송신 기저 행렬 M 의 각 행을 이용하여 더욱 프로세싱되고, 그것은 유효 채널 응답 행렬 H eff 의 특정 열 또는 고유 벡터에 의해 정의된다.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은 종래의 송신 다이버시티 방식에 비하여 개선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M. Alamouti 에 의해 설명된 공간-시간 다이버시티 방식은, 송신 다이버시티를 달성하기 위해 단일한 한 쌍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단일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송신하는 데에 종종 이용된다. 그러나,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은 단일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송신에 대하여 개선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설명될 수 있다. H eff 의 최적의 열을 지닌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하여, 수신된 SNR, SNRra 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27
식 (16)
여기서, "∝" 는 비례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h eff ,i2 은 유효 채널 응답 행렬 H eff 의 i 번째 열 또는 고유벡터인, h eff , i 의 2-놈 (2-norm) 이다.
식 (16) 은,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을 사용한 단일한 최적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SNR 이 H eff 의 최적 고유벡터의 2-놈에 비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식 (16) 의 SNR 을 획득하기 위해, 수신기는 송신기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H eff 의 최적의 열을 나타내는 정보를 되전송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공간-시간 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단일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서, 수신된 SNR, SNRst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28
식 (17)
식 (17) 은 공간-시간 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하는 단일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SNR 은 H eff 의 NT 고유벡터의 2-놈의 평균에 비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식 (16) 및 식 (17) 모두는 최대 레이트 (즉, 레이트 손실이 없는) 에서의 송신을 가정한다. 그러나, 공간-시간 다이버시티 방식에서는 단일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송신하기 위해 오직 두 개의 안테나만을 사용하므로, 만약 NT > 2 라면, 레이트 손실이 있을 것이다.
다음의 식은 항상 성립한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29
식 (18a)
그리고 따라서
Figure 112010040471674-pat00030
식 (18b)
식 (18a) 및 식 (18b) 은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이 공간-시간 다이버시티 방식과 동일한 또는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은 데이터 심볼 스트림이 모두 NT 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기 때문에 더 큰 송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공간-시간 다이버시티 방식은 오직 한 쌍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단일 데이터 심볼을 송신한다. 다수 쌍의 안테나를 통한 단일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송신은 공간-시간 다이버시티 방식에 대해 가능할 수 있으나, 레이트 손실 또는 몇몇 다른 성능 손실이 초래될 수도 있다.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에 의한 송신 기저 행렬 M 의 사용은, 송신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수에 상관없이, 데이터 송신을 위한 총 송신 전력 Ptot 및 단위 안테나 당 전력 Pant 모두의 최대 활용을 허용한다. 만약 송신 기저 행렬 M 이 사용되지 않고 (즉, 만약 M = I 이면), 단일 데이터 심볼 스트림이 안테나 멀티플렉싱을 이용하여 단일한 최적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면, 이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관한 수신된 SNR 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31
식 (19)
이하의 식은 또한 항상 성립한다는 것이 보여질 수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32
식 (20)
따라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은 또한 안테나 멀티플렉싱 송신 방식의 성능을 능가한다.
도 1 은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을 이용하여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NT 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프로세스 (100) 의 일 실시형태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ND 는 1 에서 NT 까지의 임의의 값일 수도 있다 (즉, NT ≥ ND ≥ 1).
처음에, 총 송신 전력 Ptot 은 ( x 로 표시된)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된다 (단계 112). 송신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특정 개수 및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하는 전력량은 모두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워터-필링 (water-filling)" 과정은, 전체 스루풋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송신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수 및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위해서 사용되는 전력량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워터-필링은, 2002 년 1월 23 일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최대 채널-상태 정보 (CSI)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시스템에 관한 액세스 전력의 재할당 (Reallocation of Excess Power for Full Channel-State Information (CSI)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이며, 포괄 양도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 10/056,275 호와 Robert G. Gallager 가 쓴 "정보이론 및 신뢰성 있는 통신 (Information Theory and Reliable Communication)" 1998 년 John Wiley and Sons 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고, 두 가지 모두는 여기에서 참조로 사용되었다.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 χi 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량은 각각의 웨이트 λi,i 에 의해 표시된다. 행렬 Λ 의 NT 개의 대각선 성분은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한 ND 개의 웨이트와 (NT - ND) 개의 0 으로 구성된다.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되는 총 송신 전력량은 시스템의 총 송신 전력량 이하이다 (즉,
Figure 112010040471674-pat00033
)
송신 기저 행렬 M 이 다음으로 사용을 위해 선택된다 (단계 114). 송신 기저 행렬 M 은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이 모든 NT 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고, 각 안테나의 최대 전력이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송신 기저 행렬 M 은 (1) 식 (10) 내지 식 (12) 에서 설명된 왈쉬-하다마드 행렬 W , (2) 식 (13) 내지 식 (15) 에서 설명된 DFT 행렬, 또는 (3) 몇몇 다른 행렬으로 정의된다.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 χi 는 그 후 대각 행렬 Λ 내의 그 연관된 웨이트 λi, i 로 스케일링된다 (단계 116). 이 스케일링은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이 그 할당된 전력으로 송신되도록 한다. ND 개의 스케일링된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그 후 송신 기저 행렬 M 과 곱해져서 NT 개의 안테나에 대한 (
Figure 112010040471674-pat00034
로 표시된) NT 개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획득한다 (단계 118). 대각 행렬 Λ 을 이용한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스케일링 및 송신 기저 행렬 M 과의 곱셈이 식 (4) 에 나타나 있다. 각 송신 심볼 스트림
Figure 112010040471674-pat00035
이 더 프로세싱되고, 그 후 관련 안테나로부터 송신된다 (단계 120).
도 2 는 MIMO 시스템 (200) 에서의 송신기 시스템 (210) 및 수신기 시스템 (250)의 일 실시형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송신기 시스템 (210) 에서, ND 개의 스트림에 관한 데이터는 데이터 소스 (212) 에 의해 제공되고, 송신 (TX) 데이터 프로세서 (214) 에 의해 코딩 및 변조되어 변조 심볼을 제공하고, 그 변조 심볼은 또한 데이터 심볼로도 불린다. 각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 코딩, 및 변조는 제어기 (230) 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데이터 심볼은 대각 행렬 Λ 을 이용하여 더 스케일링되고, TX 공간 프로세서 (220) 에 의해 송신 기저 행렬 M 을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프로세싱되어 송신 심볼을 제공한다. 채널 추정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파일럿 심볼은, 송신 심볼을 이용하여 멀티플렉싱된다. 멀티플렉싱된 송신의 하나의 스트림 및 파일럿 심볼은 각 송신기 (222;TMTR) 에 제공되고, 각 송신기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대응되는 RF 변조 신호를 제공한다. 송신기 (222a 내지 222t) 로부터의 NT 개의 변조 신호는 그 후 NT 개의 안테나 (224a 내지 224t) 로부터 송신된다.
수신기 시스템 (250) 에서, NT 개의 송신 신호는 NR 개의 안테나 (252a 내지 252r) 에 의해 수신된다. 각 수신기 (254;RCVR) 는 수신 신호를 관련 안테나 (252) 로부터 프로세싱하여 대응되는 수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수신 (RX) 공간 프로세서 (260) 는 그 후 NR 개의 수신기 (254a 내지 254r) 로부터 NR 개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여 ND 개의 "복원"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고, 복원 심볼 스트림은 송신기 시스템에 의해 송신되는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추정치이다. ND 개의 복원 심볼 스트림은 RX 데이터 프로세서 (270) 에 의해 더 프로세싱되어 디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하고, 그 디코딩된 데이터는 송신기 시스템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의 추정치이다.
RX 공간 프로세서 (260) 는 또한 NT 개의 송신 안테나와 NR 개의 수신 안테나 (예를 들어, 파일럿 심볼에 기초한) 사이의 채널 응답에 관한 추정치를 유도할 수도 있다. 채널 추정은, 2003 년 1 월 7 일 출원되고,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어, 여기에서 참조로서 병합된, 발명의 명칭이 "무선 다수-캐리어 통신 시스템에 관한 파일럿 송신 방식 (Pilot Transmission Schemes for Wireless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인, 미국 가출원 번호 제 60/438,601 호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채널 응답 추정치
Figure 112010040471674-pat00036
는 수신기에서의 등화 (equalization) 및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RX 공간 프로세서 (260) 는 복원된 심볼 스트림의 SNR 및/또는 수신된 파일럿 심볼을 더 추정할 수 있다. 제어기 (280) 는 채널 응답 추정치
Figure 112010040471674-pat00037
및 수신 SNR 을 수신하고, MIMO 채널 및/또는 스트림과 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 피드백은 송신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개수, 공간 채널들 또는 고유벡터들 중 어느 것이 데이터 송신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지, 및 각 스트림에 대한 수신된 SNR 또는 레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피드백은 TX 데이터 프로세서 (288) 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TX 공간 프로세서 (290) 에 의해 더 프로세싱되며, 송신기 (254a 내지 254r) 에 의해 조절되고, 송신기 시스템 (210) 으로 되전송된다.
송신기 시스템 (210) 에서, 수신기 시스템 (250) 으로부터의 송신 변조 신호는 안테나 (224) 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 (222a 내지 222t) 에 의해 조절되고, RX 공간 프로세서 (240) 에 의해 복조되고, RX 데이터 프로세서 (242) 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수신기 시스템에 의해 전송된 피드백을 복원한다. 그 후 피드백은 제어기 (230) 에 제공되고, (1) 송신되는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수를 결정하고, (2)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관해 사용하기 위한 레이트, 코딩, 및 변조방식을 결정하고, (3) TX 데이터 프로세서 (214) 및 TX 공간 프로세서 (220) 에 관한 다양한 제어를 발생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기 (230 및 280) 는 송신기 및 수신기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각각 지시한다. 메모리 유닛 (232 및 282) 은 제어기 (230 및 280) 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의 저장 장치를 각각 제공한다.
도 3 은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에 대한 송신기 및 수신기 시스템에서의 공간 프로세싱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송신기 시스템 (210) 의 TX 공간 프로세서 (220) 내에서, 데이터 벡터 x 가 먼저 유닛 (310) 에 의해 대각 행렬 Λ 과 곱해지고, 그 후 유닛 (312) 에 의해 송신 기저 행렬 M 과 곱해져서 송신 벡터
Figure 112010040471674-pat00038
를 획득한다. 벡터
Figure 112010040471674-pat00039
는 그 후 송신기 (314) 에 의해 프로세싱되고 MIMO 채널을 통해 수신기 시스템 (250) 으로 송신된다. 유닛 (312) 은 송신기 시스템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수신기 시스템 (250) 에서, 송신 신호는 수신기 (354) 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수신 벡터 y 를 얻게된다. RX 공간 프로세서 (260) 내에서, 수신 벡터 y 가 먼저 유닛 (356) 에 의해 행렬
Figure 112010040471674-pat00040
과 곱해진다. 유효 채널 응답 추정 행렬
Figure 112010040471674-pat00041
Figure 112010040471674-pat00042
로 획득되고, 행렬
Figure 112010040471674-pat00043
Figure 112010040471674-pat00044
의 전치 행렬이다. 행렬
Figure 112010040471674-pat00045
는 또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에 관한 정합 필터 행렬로도 불린다. 유닛 (356) 으로부터 결과로 생성되는 벡터는, 유닛 (358) 에 의해서 대각 역행렬
Figure 112010040471674-pat00046
에 의해 더 스케일링되어 데이터 벡터 x 의 추정치인, 벡터
Figure 112010040471674-pat00047
를 획득한다. 유닛 (356 및 358) 은 수신기 시스템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 (즉, 정합 필터링) 을 수행한다.
도 4 는 도 2 의 TX 공간 프로세서 (220) 의 일 실시형태인 TX 공간 프로세서 (222x) 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TX 공간 프로세서 (220x) 는, 송신되는 각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당 하나의 프로세서인, 많은 데이터 심볼 스트림 공간 프로세서 (410a 내지 410t) 를 포함한다. 각 프로세서 (410) 는 할당된 데이터 심볼 스트림 χi, 할당된 스트림에 관한 웨이트 λi,i, 및 송신 기저 행렬 M 으로부터의 대응 벡터 m i 를 수신한다.
각 프로세서 (410) 내에서, 할당된 스트림 χi 의 데이터 심볼은 먼저 곱셈기 (412) 에 의해 웨이트 λi, i 로 스케일링된다. 스케일링된 데이터 심볼은 벡터 m i 로부터의 NT 개의 성분
Figure 112010040471674-pat00048
내지
Figure 112010040471674-pat00049
각각으로, 곱셈기 (414a 내지 414t) 의해 더 곱해진다. 따라서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 χi 는 모든 NT 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고 벡터
Figure 112010040471674-pat00050
로서 표현되며, 그것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51
식 (21)
곱셈기 (414a 내지 414t) 로부터의 출력 심볼은, 그 후 하나의 합산기가 각 송신 안테나에 대한 것인 NT 개의 합산기 (420a 내지 420t) 에 각각 제공된다. 각 합산기 (420) 는 그 할당된 안테나에 대해 출력 심볼을 수신하고, 그 출력 심볼은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도록 할당된 ND 개의 프로세서 (410) 내의 ND 개의 곱셈기 (414) 로부터 온다. 각 합산기 (420) 는 그 후 출력 심볼들을 합산하고, 그 할당된 안테나에 대해 송신 심볼들을 제공한다. 각 합산기 (420) 에 의해 수행된 합산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다:
Figure 112010040471674-pat00052
식 (22)
여기서,
Figure 112010040471674-pat00053
는 i 번째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관한 벡터
Figure 112010040471674-pat00054
에서의 k 번째 성분이고;
Figure 112010040471674-pat00055
는 k 번째 송신 안테나에 대한 송신 심볼 스트림이다.
각 합산기 (420) 로부터의 송신 심볼은 각각의 곱셈기 (430) 에 제공되고, 파일럿 심볼과 함께 멀티플렉싱되어 멀티플렉싱된 송신의 한 스트림 및 관련되는 안테나에 관한 파일럿 심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설명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은 단일-캐리어 MIMO 시스템 뿐만 아니라, 다수-캐리어 MIMO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도 있다. 다수-캐리어 MIMO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각각의 다수 캐리어들은 단일-캐리어 MIMO 시스템으로서 보여질 수도 있다. 총 송신 전력 Ptot 및 단위 안테나당 전력 Pant 는 NF 개의 캐리어들 사이에서 Ptot _ car = Ptot/NF 및 Pant _ car = Pant/NF 와 같이 균등하게 (또는 아마도 불균등하게) 나누어질 수도 있다.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은 그 후, Ptot _ car 의 단위-캐리어당 총 전력 제약 및 Pant _ car 의 단위-안테나/캐리어당 전력 제약으로 각 NF 개의 캐리어에 대해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설명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은 송신기 및 수신기 시스템에서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에 관한 프로세싱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송신기 및 수신기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엘리먼트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 (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장치 (DSPD), 프로그램가능 로직 장치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여기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기적 유닛,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에 관한 프로세싱은 여기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 (예를 들어, 프로시져, 기능 등) 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 (예를 들어, 도 2 의 메모리 유닛 (232 및 282)) 에 저장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예를 들어, 제어기 (230 및 280))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각 메모리 유닛은 프로세서 내에서 또는 프로세서의 외부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그러한 경우에 당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하여 통신으로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형태에 관한 상술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조하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 관한 다양한 변형이 당업자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고, 여기에서 정의된 일반 원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형태들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서 보여진 실시형태들에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여기에서 개시된 원칙 및 신규한 특징들과 조화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일치하게 될 것이다.

Claims (40)

  1.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방법으로서,
    각각이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량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중치 (weight) 로 스케일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되는 총 송신 전력량은 총 이용가능 송신 전력 이하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안테나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도록 송신 기저 행렬 (basis matrix) 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로서,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사용을 위해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송신 기저 행렬 중 하나의 송신 기저 행렬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심볼 스트림 각각이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정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왈쉬-하다마드 (Walsh-Hadamard) 행렬인,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이산 퓨리에 변환 (DFT) 행렬인,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상기 총 송신 전력량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각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한 상기 가중치는, 상기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된 상기 송신 전력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각각에 할당된 상기 송신 전력량은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 데이터 심볼 스트림이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데이터 심볼 스트림은, 가장 높은 수신 신호 품질과 관련된 공간 채널상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NT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이 NT 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며, NT 는 1 보다 큰 정수인,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ND 개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이 NT 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며, NT 는 1 보다 큰 정수이고, ND 는 NT 이하의 정수인,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가변 개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들이 채널 조건에 기초하여 송신되는,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각각은 상기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한 수신 신호 품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된 특정한 레이트와 관련되는,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심볼 스트림 각각에서 파일럿 심볼들을 멀티플렉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13.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각각이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된 송신 전력량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중치로 스케일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된 총 송신 전력량은 총 이용가능 송신 전력 이하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복수의 안테나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도록 송신 기저 행렬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사용을 위해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송신 기저 행렬 중 하나의 송신 기저 행렬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심볼 스트림 각각이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정의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이산 퓨리에 변환 (DFT) 행렬 또는 왈쉬-하다마드 (Walsh-Hadamard) 행렬인,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15.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각각이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된 송신 전력량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중치로 스케일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된 총 송신 전력량은 총 이용가능 송신 전력 이하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단; 및
    복수의 안테나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도록 송신 기저 행렬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사용을 위해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송신 기저 행렬 중 하나의 송신 기저 행렬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심볼 스트림 각각이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정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이산 퓨리에 변환 (DFT) 행렬 또는 왈쉬-하다마드 (Walsh-Hadamard) 행렬인,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17.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각각이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된 송신 전력량에 대응하는 각각의 가중치로 스케일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할당된 총 송신 전력량은 총 이용가능 송신 전력 이하인,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복수의 안테나를 통한 송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하도록 송신 기저 행렬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로서,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사용을 위해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송신 기저 행렬 중 하나의 송신 기저 행렬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신 심볼 스트림 각각이 대응하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정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이산 퓨리에 변환 (DFT) 행렬 또는 왈쉬-하다마드 (Walsh-Hadamard) 행렬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9.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로의 송신 이전에 송신 기저 행렬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함으로써 획득된 복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사용을 위해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송신 기저 행렬 중 하나의 송신 기저 행렬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복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 각각이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정의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복원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추정치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상기 추정치를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을 포함하는 정합 필터 행렬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각각에 대한 수신 신호 품질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수신 신호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각각에 대한 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23.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로의 송신 이전에 송신 기저 행렬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함으로써 획득된 복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사용을 위해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송신 기저 행렬 중 하나의 송신 기저 행렬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복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 각각이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정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복원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이산 퓨리에 변환 (DFT) 행렬 또는 왈쉬-하다마드 (Walsh-Hadamard) 행렬인,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25. 다중-입력 다중-출력 (MIMO)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복수의 수신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획득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로의 송신 이전에 송신 기저 행렬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함으로써 획득된 복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사용을 위해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송신 기저 행렬 중 하나의 송신 기저 행렬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복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 각각이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정의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획득하는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복원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이산 퓨리에 변환 (DFT) 행렬 또는 왈쉬-하다마드 (Walsh-Hadamard) 행렬인,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27.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복수의 수신 안테나로부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획득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로서, 상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신 안테나로의 송신 이전에 송신 기저 행렬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함으로써 획득된 복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사용을 위해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결정된 송신 기저 행렬 중 하나의 송신 기저 행렬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 각각이 상기 복수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고 상기 복수의 송신 심볼 스트림 각각이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되도록 정의되는, 상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획득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복원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수신 심볼 스트림을 프로세싱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은 이산 퓨리에 변환 (DFT) 행렬 또는 왈쉬-하다마드 (Walsh-Hadamard) 행렬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29.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할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특정의 수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위해 사용할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의 적어도 하나의 벡터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트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32. 제 15 항에 있어서,
    송신할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특정의 수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3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위해 사용할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의 적어도 하나의 벡터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해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3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트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인코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35. 제 19 항에 있어서,
    송신할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특정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송신할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상기 특정의 수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3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위해 사용할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의 적어도 하나의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벡터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37.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위해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레이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볼들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38. 제 25 항에 있어서,
    송신할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특정의 수를 결정하는 수단; 및
    송신할 데이터 심볼 스트림의 상기 특정의 수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3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위해 사용할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의 적어도 하나의 벡터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송신 기저 행렬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벡터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4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위해 사용할 적어도 하나의 레이트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심볼 스트림을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이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다중-입력 다중-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장치.
KR1020107013937A 2002-10-16 2003-10-14 Mimo 시스템에 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 KR101076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931902P 2002-10-16 2002-10-16
US60/419,319 2002-10-16
US10/367,234 US6873606B2 (en) 2002-10-16 2003-02-14 Rate adaptive transmission scheme for MIMO systems
US10/367,234 2003-02-1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314A Division KR101131405B1 (ko) 2002-10-16 2003-10-14 Mimo 시스템에 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794A KR20100090794A (ko) 2010-08-17
KR101076255B1 true KR101076255B1 (ko) 2011-10-26

Family

ID=3209579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314A KR101131405B1 (ko) 2002-10-16 2003-10-14 Mimo 시스템에 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
KR1020107013936A KR101160856B1 (ko) 2002-10-16 2003-10-14 Mimo 시스템에 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
KR1020107013937A KR101076255B1 (ko) 2002-10-16 2003-10-14 Mimo 시스템에 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314A KR101131405B1 (ko) 2002-10-16 2003-10-14 Mimo 시스템에 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
KR1020107013936A KR101160856B1 (ko) 2002-10-16 2003-10-14 Mimo 시스템에 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3) US6873606B2 (ko)
EP (3) EP2234282A1 (ko)
JP (3) JP4965127B2 (ko)
KR (3) KR101131405B1 (ko)
CN (1) CN101697509B (ko)
AT (1) ATE518316T1 (ko)
AU (1) AU2003277399B2 (ko)
BR (2) BRPI0315308B1 (ko)
CA (1) CA2500175C (ko)
HK (1) HK1082328A1 (ko)
IL (1) IL167299A (ko)
MX (1) MXPA05003677A (ko)
NZ (1) NZ538660A (ko)
RU (4) RU2348105C2 (ko)
TW (1) TWI323986B (ko)
WO (1) WO200403676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6652B2 (en) * 2001-10-18 2006-10-03 Lucent Technologies Inc. Rate control technique for layered architectures with multipl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US6785520B2 (en) 2002-03-01 2004-08-31 Cognio, Inc.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diversity using equal power joint maximal ratio combining
US6687492B1 (en) * 2002-03-01 2004-02-03 Cognio, Inc.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diversity using joint maximal ratio combining
WO2003075471A2 (en) * 2002-03-01 2003-09-12 Cognio, Inc. System and method for joint maximal ratio combining
US6862456B2 (en) * 2002-03-01 2005-03-01 Cogni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range for multicast wireless communication
US6871049B2 (en) * 2002-03-21 2005-03-22 Cognio, Inc.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ower amplifiers in devices using transmit beamforming
KR100541285B1 (ko) * 2002-10-02 2006-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US6873606B2 (en) * 2002-10-16 2005-03-29 Qualcomm, Incorporated Rate adaptive transmission scheme for MIMO systems
KR100943894B1 (ko) * 2002-12-26 201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US20040240378A1 (en) * 2003-03-14 2004-12-02 Kei Ng Benjamin Koon Method of spread space-spectrum multiple access
KR100981571B1 (ko) * 2003-07-26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적응 안테나 어레이 방식을 사용하는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US7535970B2 (en) * 2003-08-23 2009-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 system using multiple codes
US8908496B2 (en) * 2003-09-09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Incremental redundancy transmission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724838B2 (en) * 2003-09-25 2010-05-25 Qualcomm Incorporated Hierarchical coding with multiple antenna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R2860666A1 (fr) * 2003-10-03 2005-04-08 France Telecom Procede d'emission multi-antennes d'un signal par codes espaces-temps en bloc, procede de recuperation et signal correspondant
US8705659B2 (en) * 2003-11-06 2014-04-22 Apple Inc. Communication channel optimization systems and methods in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s
US7443818B2 (en) * 2003-12-15 2008-10-28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multiple-input-multiple-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US8204149B2 (en) 2003-12-17 2012-06-19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 spreading in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SE0400370D0 (sv) * 2004-02-13 2004-02-13 Ericsson Telefon Ab L M Adaptive MIMO architecture
US8169889B2 (en) 2004-02-18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iversity and spatial spreading for an OFDM-based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ATE333724T1 (de) * 2004-04-08 2006-08-15 Mitsubishi Electric Inf Tech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optimalverteilten informationen in einem mimo telekommunikationssystem
US7684507B2 (en) * 2004-04-13 2010-03-2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select coding mode
US8923785B2 (en) * 2004-05-0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Continuous beamforming for a MIMO-OFDM system
WO2005112318A2 (en) * 2004-05-11 2005-11-24 Wionics Research Mimo system and mode table
JP2005348116A (ja) * 2004-06-03 2005-12-15 Sharp Corp 無線通信装置
US8582596B2 (en) * 2004-06-04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and modulation for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110463B2 (en) * 2004-06-30 2006-09-19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computation of spatial filter matrices for steering transmit diversity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KR100876797B1 (ko) * 2004-07-13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빔포밍 장치 및 방법
US7978649B2 (en) * 2004-07-15 2011-07-12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MIMO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7680212B2 (en) * 2004-08-17 2010-03-1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Linear precoding for multi-input systems based on channel estimate and channel statistics
CN1741412B (zh) * 2004-08-27 2011-06-08 清华大学 无线网络中子信道分配的方法
US7643549B2 (en) * 2004-09-28 2010-01-05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device having a hardware accelerator to support equalization processing
JP4763703B2 (ja) * 2004-10-01 2011-08-31 エージェンシー フォー サイエンス, テクノロジー アンド リサーチ 信号ベクトルの決定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要素
US7433434B2 (en) * 2004-10-01 2008-10-07 General Dynamics C4 Systems, Inc. Communication channel tracking apparatus
US7283499B2 (en) * 2004-10-15 2007-10-16 Nokia Corporation Simplified practical rank and mechanism, and associated method, to adapt MIMO modulation in a multi-carrier system with feedback
US8130855B2 (en) 2004-11-12 2012-03-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space-frequency block coding, spatial multiplexing and beamforming in a MIMO-OFDM system
FR2879865B1 (fr) * 2004-12-16 2008-12-19 Wavecom Sa Procedes et dispositifs de codage et decodage spatial, produit programme d'ordinateur et moyen de stockage correspondants
US7974359B2 (en) * 2004-12-22 2011-07-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multi-antenna correlation effect in communication systems
JP4569929B2 (ja) 2005-01-17 2010-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
US8077669B2 (en) * 2005-02-07 2011-12-1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modulations and signal field for closed loop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
US7839819B2 (en) * 2005-02-07 2010-11-2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modulations and signal field for closed loop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system
US7747271B2 (en) * 2005-03-02 2010-06-29 Qualcomm Incorporated Radiated power control for a multi-antenna transmission
US7548589B2 (en) * 2005-06-13 2009-06-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weights for transmit divers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KR100704676B1 (ko) * 2005-06-24 2007-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안테나의 전력 할당을 제어하는다이버서티 전송 방법 및 기지국 전송기
KR101124338B1 (ko) * 2005-07-06 2012-03-16 더 유니버시티 코트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에딘버그 다중입출력 통신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US7599444B2 (en) 2005-09-02 2009-10-06 Alcatel-Lucent Usa Inc. Coding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JP5026005B2 (ja) * 2005-09-19 2012-09-12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装置
WO2007033676A1 (en) * 2005-09-26 2007-03-29 Aalborg Universitet A method of non-orthogonal spatial multiplexing in a mlmo communication system
US8553521B2 (en) * 2005-09-29 2013-10-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IMO beamforming-based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CN100349388C (zh) * 2005-10-20 2007-11-14 上海交通大学 多输入多输出系统的最小发射功率自适应调制方法
US8760994B2 (en) 2005-10-28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Unitary precoding based on randomized FFT matrices
US20070127360A1 (en) * 2005-12-05 2007-06-07 Song Hyung-Kyu Method of adaptive transmission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with multiple antennas
ES2641266T3 (es) 2006-02-02 2017-11-08 Fujitsu Limited Método de trasmisión de radio, trasmisor de radio y receptor de radio
US8116267B2 (en) * 2006-02-09 2012-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users based on user-determined ranks in a MIMO system
KR101260836B1 (ko) 2006-02-28 2013-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다이버시티 이득을 제공하는 선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송신 장치 및 방법
US8543070B2 (en) 2006-04-24 2013-09-24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complexity beam-steered MIMO OFDM system
US8849334B2 (en) * 2006-04-27 2014-09-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control in a wireless system having multiple interfering communication resources
EP2030387B1 (en) * 2006-06-16 2016-03-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channel quality measures in a multiple antenna system.
US8107543B2 (en) * 2006-06-27 2012-01-31 Amimon Ltd. High diversity time-space coding and decoding for MIMO systems
US7693097B2 (en) * 2006-08-09 2010-04-06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predicting transmission speed adaptations
WO2008049366A1 (fr) * 2006-10-26 2008-05-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édé de construction d'un répertoire d'accès sdma et appareil se rapportant à celui-ci et procédé de programmation et appareil et système se rapportant à celui-ci
US8411709B1 (en) 2006-11-27 2013-04-02 Marvell International Ltd. Use of previously buffered state information to decode in a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transmission mode
US7924951B2 (en) * 2006-12-14 2011-04-12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and systems for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US7965803B2 (en) * 2006-12-14 2011-06-21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feedback for beamforming
CN101601200B (zh) * 2007-02-16 2014-07-09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传输方式及干涉补偿方法
KR101480189B1 (ko) 2007-03-2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운딩 기준신호 전송 방법
US8687561B2 (en) 2007-05-04 2014-04-0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link adaptation using metric feedback
WO2008157724A1 (en) * 2007-06-19 2008-12-24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feedback for beamforming and power control
US8599819B2 (en) * 2007-06-19 2013-12-0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EP2171879B1 (en) 2007-07-18 2019-06-19 Marvell World Trade Ltd. Access point with simultaneous downlink transmission of independent data for multiple client stations
US8149811B2 (en) 2007-07-18 2012-04-03 Marvell World Trade Ltd. Wireless network with simultaneous uplink transmission of independent data from multiple client stations
MX2010001707A (es) * 2007-08-14 2010-03-11 Lg Electronics Inc Metodo para adquiri informacion de region de recurso para canal indicador de solicitud automatica hibrido fisico (phich) y metodo para recibir canal de control de vinculo descendente fisico (pdcch).
KR101397039B1 (ko) * 2007-08-14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는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채널예측 오류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cdm 방식 신호전송 방법
US8542697B2 (en) * 2007-08-14 2013-09-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07785B1 (ko) 2007-08-16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채널품질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KR101405974B1 (ko) 2007-08-16 2014-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코드워드를 전송하는 방법
US8897393B1 (en) * 2007-10-16 2014-11-25 Marvell International Ltd. Protected codebook selection at receiver for transmit beamforming
US8542725B1 (en) 2007-11-14 2013-09-24 Marvell International Ltd. Decision feedback equalization for signals having unequally distributed patterns
US8565325B1 (en) 2008-03-18 2013-10-22 Marvell International Ltd. Wireless device communication in the 60GHz band
JP5320829B2 (ja) * 2008-06-09 2013-10-23 富士通株式会社 制御チャネル送信方法、及び無線通信装置
SG157971A1 (en) * 2008-06-13 2010-01-29 Panasonic Corp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transmitter and communication system
US8982889B2 (en) 2008-07-18 2015-03-17 Marvell World Trade Ltd. Preamble designs for sub-1GHz frequency bands
US8761261B1 (en) 2008-07-29 2014-06-24 Marvell International Ltd. Encoding using motion vectors
US8498342B1 (en) 2008-07-29 2013-07-30 Marvell International Ltd. Deblocking filtering
US8345533B1 (en) 2008-08-18 2013-01-01 Marvell International Ltd. Frame synchronization techniques
US8681893B1 (en) 2008-10-08 2014-03-25 Marvell International Ltd. Generating pulses using a look-up table
WO2010066280A1 (en) 2008-12-08 2010-06-17 Nokia Siemens Networks Oy Uplink control signaling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US8520771B1 (en) 2009-04-29 2013-08-27 Marvell International Ltd. WCDMA modulation
US9077594B2 (en) 2009-07-23 2015-07-07 Marvell International Ltd. Coexistence of a normal-rate physical layer and a low-rate physical layer in a wireless network
US8837524B2 (en) 2011-08-29 2014-09-16 Marvell World Trade Ltd. Coexistence of a normal-rate physical layer and a low-rate physical layer in a wireless network
US10149298B2 (en) 2009-07-30 2018-12-04 Spatial Digital Systems, Inc. Dynamic power allocations for direct broadcasting satellite (DBS) channels via wavefront multiplexing
HUE039683T2 (hu) * 2009-10-01 2019-01-28 Sun Patent Trust Végberendezési állomási berendezés, bázisállomási berendezés, átviteli eljárás és vezérlési eljárás
US9059749B2 (en) * 2009-10-02 2015-06-16 Sharp Kabushiki Kaisha Antenna port mode and transmission mode transitions
US8750400B2 (en) * 2010-01-04 2014-06-1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 iterative multiple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U-MIMO) communication system
WO2011104718A1 (en) 2010-02-28 2011-09-01 Celeno Communications Ltd. Method for single stream beamforming with mixed power constraints
US9144040B2 (en) 2010-04-01 2015-09-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antenna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817771B1 (en) 2010-07-16 2014-08-26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boundary of a data frame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2611043A1 (en) * 2011-12-29 2013-07-03 Spatial Digital Systems, Inc. Communication system for dynamically combining power from a plurality of propagation channels in order to improve power levels of transmitted signals without affecting receiver and propagation segments
KR20130114471A (ko) 2012-04-09 2013-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US10090891B2 (en) 2015-06-08 2018-10-02 Spatial Digital Systems, Inc. MIMO systems with active scatters and their performance evaluation
CN112867122B (zh) * 2015-09-29 2024-04-16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控制无线通信终端的发射功率的方法和无线通信终端
US10659112B1 (en) 2018-11-05 2020-05-19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assis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432272B1 (en) 2018-11-05 2019-10-01 XCOM Labs, Inc. Variabl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user equipment
US10756860B2 (en) 2018-11-05 2020-08-25 XCOM Labs, Inc. Distribut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configuration
US10812216B2 (en) 2018-11-05 2020-10-20 XCOM Labs, Inc.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downlink scheduling
EP3888256A4 (en) 2018-11-27 2022-08-31 Xcom Labs, Inc. MULTIPLE INPUT AND INCOHERENT COOPERATIVE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S
US10756795B2 (en) 2018-12-18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with cellular link and peer-to-peer link
US11063645B2 (en) 2018-12-18 2021-07-13 XCOM Labs, Inc. Methods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a group of devices
US11330649B2 (en) 2019-01-25 2022-05-10 XCOM Labs, Inc. Methods and systems of multi-link peer-to-peer communications
US10756767B1 (en) 2019-02-05 2020-08-25 XCOM Labs, Inc. User equipment for wirelessly communicating cellular signal with another user equipment
CN113841340A (zh) * 2019-03-25 2021-12-24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大规模mimo的预编码
US10756782B1 (en) 2019-04-26 2020-08-25 XCOM Labs, Inc. Uplink active set management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US11032841B2 (en) 2019-04-26 2021-06-08 XCOM Labs, Inc. Downlink active set management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US10686502B1 (en) 2019-04-29 2020-06-16 XCOM Labs, Inc. Down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0735057B1 (en) 2019-04-29 2020-08-04 XCOM Labs, Inc. Uplink user equipment selection
US11411778B2 (en) 2019-07-12 2022-08-09 XCOM Labs, Inc. Time-division duplex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alibration
US11411779B2 (en) 2020-03-31 2022-08-09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channel estimation
KR20230015932A (ko) 2020-05-26 2023-01-31 엑스콤 랩스 인코퍼레이티드 간섭-인식 빔포밍
CA3195885A1 (en) 2020-10-19 2022-04-28 XCOM Labs, Inc. Reference signa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22093988A1 (en) 2020-10-30 2022-05-05 XCOM Labs, Inc. Clustering and/or rate selection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s
US11405078B1 (en) 2021-08-24 2022-08-02 Nxp Usa, Inc. Device for implementing beamforming in wireless networks
CN116055003A (zh) * 2023-01-05 2023-05-02 湖南大学 数据最优传输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4355A (en) * 1992-10-05 1995-04-04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information in a digital control channel
US5592470A (en) * 1994-12-21 1997-01-07 At&T Broadband wireless system and network architecture providing broadband/narrowband service with optimal static and dynamic bandwidth/channel allocation
US5608722A (en) * 1995-04-03 1997-03-04 Qualcomm Incorporated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with distributed receivers
US5987076A (en) * 1996-07-29 1999-11-16 Qualcomm Inc. Coherent signal processing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510147B1 (en) * 1997-07-15 2003-01-21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gonally overlaying variable chip rate spread spectrum signals
US6389000B1 (en) * 1997-09-16 2002-05-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high speed data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ple carriers
US6032197A (en) * 1997-09-25 2000-02-29 Microsoft Corporation Data packet header compression for unidirectional transmission
US6058105A (en) * 1997-09-26 2000-05-02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6185440B1 (en) * 1997-12-10 2001-02-06 Arraycomm, Inc. Method for sequentially transmitting a downlink signal from a communication station that has an antenna array to achieve an omnidirectional radiation
US6154661A (en) * 1997-12-10 2000-11-28 Arraycomm, Inc. Transmitting on the downlink using one or more weight vectors determined to achieve a desired radiation pattern
JP3798549B2 (ja) * 1998-03-18 2006-07-1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のマルチビームアンテナシステム
US6327310B1 (en) * 1998-08-14 2001-12-04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for antenna arrays,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fading
GB9826158D0 (en) 1998-11-27 1999-01-20 British Telecomm Anounced session control
EP1024661A3 (en) * 1999-01-27 2002-07-17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Pictographic electronic program guide
US6515978B1 (en) * 1999-04-19 2003-02-0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ownlink diversity in CDMA using Walsh codes
US6141567A (en) * 1999-06-07 2000-10-31 Arraycom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forming in a changing-interference environment
US6765969B1 (en) * 1999-09-01 2004-07-20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multi-user channel estimation
SG80071A1 (en) * 1999-09-24 2001-04-17 Univ Singapore Downlink beamforming method
US6351499B1 (en) * 1999-12-15 2002-02-26 Iospan Wireless, Inc. Method and wireless systems using multiple antennas and adaptive control for maximizing a communication parameter
JP3872953B2 (ja) * 1999-12-27 2007-01-24 株式会社東芝 アダプティブアンテナ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
US7149253B2 (en) * 2000-03-21 2006-12-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US6952454B1 (en) * 2000-03-22 2005-10-0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of real time services and non-real time services for OFDM systems
FI20001133A (fi) * 2000-05-12 2001-11-13 Nokia Corp Menetelmä päätelaitteiden ja yhteysaseman välisen tiedonsiirron järjestämiseksi tiedonsiirtojärjestelmässä
US6434366B1 (en) * 2000-05-31 2002-08-1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adaptive array weights used to transmit a signal to a recei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778612B1 (en) * 2000-08-18 2004-08-17 Lucent Technologies Inc. Space-time processing for wireless systems with multipl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US6731618B1 (en) * 2000-10-20 2004-05-04 Airvana, Inc. Coding for multi-user communication
US7218666B2 (en) * 2000-12-29 2007-05-15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ssion and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for wideband CDMA system
US7116722B2 (en) * 2001-02-09 2006-10-03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element antenna having a space-time architecture
JP2002261670A (ja) * 2001-02-27 2002-09-13 Yrp Mobile Telecommunications Key Tech Res Lab Co Ltd 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受信装置
JP3767799B2 (ja) * 2001-04-09 2006-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のヌル方向制御方法及び装置
EP1255369A1 (en) * 2001-05-04 2002-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Link adaptation for wireless MIMO transmission schemes
US7149254B2 (en) * 2001-09-06 2006-12-12 Intel Corporation Transmit signal preprocessing based on transmit antennae correlations for multiple antennae systems
US7116652B2 (en) * 2001-10-18 2006-10-03 Lucent Technologies Inc. Rate control technique for layered architectures with multipl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US6760388B2 (en) * 2001-12-07 2004-07-06 Qualcomm Incorporated Time-domain transmit and receive processing with channel eigen-mode decomposition for MIMO systems
US7020110B2 (en) * 2002-01-08 2006-03-28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MIMO-OFDM communication systems
US7020482B2 (en) * 2002-01-23 2006-03-28 Qualcomm Incorporated Reallocation of excess power for full channel-state information (CSI)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KR100464014B1 (ko) * 2002-03-21 200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폐루프 신호 처리 방법
US20030186650A1 (en) * 2002-03-29 2003-10-02 Jung-Tao Liu Closed loop multiple antenna system
US7327800B2 (en) * 2002-05-24 2008-02-05 Vecim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det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7551546B2 (en) * 2002-06-27 2009-06-23 Nortel Networks Limited Dual-mode shared OFDM methods/transmitters, receivers and systems
EP1540830B9 (en) * 2002-07-30 2009-09-16 IPR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radio communication
US20040121730A1 (en) * 2002-10-16 2004-06-24 Tamer Kadous Transmission scheme for multi-carrier MIMO systems
US6873606B2 (en) * 2002-10-16 2005-03-29 Qualcomm, Incorporated Rate adaptive transmission scheme for MIMO systems
US7039001B2 (en) * 2002-10-29 2006-05-0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estimation for OFDM communication systems
US7099678B2 (en) * 2003-04-10 2006-08-29 Ipr Licens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 weight computation for vector beamforming radio communic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 Miyashita, et al., "High Data-rate Transmission with Eigenbeam-space Division Multiplexing(E-SDM) in a MIMO Channel", Proc. IEEE Vehicular Technology Conf., Vol.3, 2002.09.24., pp.1302-13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315308A (pt) 2005-08-16
EP2317663B1 (en) 2018-05-30
MXPA05003677A (es) 2005-06-08
US20100119005A1 (en) 2010-05-13
JP4965127B2 (ja) 2012-07-04
US20040076124A1 (en) 2004-04-22
CA2500175C (en) 2014-07-15
WO2004036767A3 (en) 2004-05-21
NZ538660A (en) 2006-10-27
CN101697509B (zh) 2014-07-09
RU2530992C2 (ru) 2014-10-20
TW200419967A (en) 2004-10-01
IL167299A (en) 2010-05-31
ATE518316T1 (de) 2011-08-15
KR20100082386A (ko) 2010-07-16
JP2011147146A (ja) 2011-07-28
BRPI0315308B1 (pt) 2017-06-13
AU2003277399B2 (en) 2008-10-09
EP1570579A4 (en) 2007-11-07
TWI323986B (en) 2010-04-21
EP1570579B1 (en) 2011-07-27
RU2010138735A (ru) 2012-03-27
US6873606B2 (en) 2005-03-29
CA2500175A1 (en) 2004-04-29
KR101160856B1 (ko) 2012-07-02
KR101131405B1 (ko) 2012-04-03
RU2348105C2 (ru) 2009-02-27
EP2317663A2 (en) 2011-05-04
US8619717B2 (en) 2013-12-31
AU2003277399A1 (en) 2004-05-04
US7675886B2 (en) 2010-03-09
JP2006503522A (ja) 2006-01-26
US20050013239A1 (en) 2005-01-20
RU2524357C2 (ru) 2014-07-27
JP5474847B2 (ja) 2014-04-16
HK1082328A1 (en) 2006-06-02
RU2010138737A (ru) 2012-03-27
KR20100090794A (ko) 2010-08-17
RU2008141676A (ru) 2010-04-27
RU2005114531A (ru) 2005-10-10
EP2317663A3 (en) 2011-07-06
JP2011130492A (ja) 2011-06-30
JP5474848B2 (ja) 2014-04-16
EP2234282A1 (en) 2010-09-29
EP1570579A2 (en) 2005-09-07
RU2487475C2 (ru) 2013-07-10
WO2004036767A2 (en) 2004-04-29
CN101697509A (zh) 2010-04-21
KR20050060094A (ko) 2005-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255B1 (ko) Mimo 시스템에 대한 레이트 적응형 송신 방식
US8547865B2 (en) Rate selection for eigensteering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EP1479177B1 (e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with multiple transmission modes
CN105357155B (zh) 收发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Wineberger et al. BER-Allocation in MIMO and MIMO-OFD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