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962B1 - 다회용 흡입기 - Google Patents

다회용 흡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962B1
KR101075962B1 KR1020067000519A KR20067000519A KR101075962B1 KR 101075962 B1 KR101075962 B1 KR 101075962B1 KR 1020067000519 A KR1020067000519 A KR 1020067000519A KR 20067000519 A KR20067000519 A KR 20067000519A KR 101075962 B1 KR101075962 B1 KR 101075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drug
mouthpiece
compartmen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483A (ko
Inventor
아마르 룰라
지나 말호트라
세르세스 라오
Original Assignee
씨아이피엘에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아이피엘에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씨아이피엘에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6002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3Details of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 A61M15/0035Piercing means
    • A61M15/0036Piercing means hollow 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45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 A61M15/0046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 A61M15/004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multiple prepacked dosages on a same carrier, e.g. blister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arrier the dosages being arranged in a plane, e.g. on disk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5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 1 및 제 2부품(4, 6)을 포함하고, 이들 부품(4, 6)의 이동시, 조작수단(16, 28, 40, 42, 44, 46)은 카트리지 구획부(140)를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에 관한 소정의 위치로 전진시켜, 상기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을 상기 전진된 구획부(140)에 인접한 위치로 뻗게 하여 사용자에 의한 흡입시 약물 추출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회용 흡입기{MULTI-DOSE INHALER}
본 발명은 약물의 투여를 위한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다회용 흡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약물 구획부를 지닌 피어싱가능한(piercable) 밀봉형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흡입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흡입기는, 소정 복용량의 약물(전형적으로는 건조 분말 약물)의 투여를 가능하게 한다.
현재 광범위하게 다양한 다회용 흡입기가 시판되고 있고, 이들은 환자가 소정량의 약물을 다회 흡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종래의 흡입기의 일례에서는, 소정량의 약물이 유지되는 복수의 공동(cavity)을 구비한 약물의 원형 카트리지를 상하부가 에워싸고 있다. 사용자(예를 들면, 환자)가 조작가능한 스파이크(spike) 부재는 손으로 누르면, 카트리지를 밀봉하고 있는 호일(foil)을 피어싱한다. 이어서, 환자는, 입에 대는 부분(이하, "마우스피스"(mouthpiece)라 약칭함)을 통해서 약물을 흡입할 수 있다. 일단 하나의 공동으로부터 약물의 흡입을 종료하면, 상기 스파이크를 손으로 들어올리고 나서 하부에 대해서 상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흡입위치에 새로운 약물 공동이 오게 한다. 이러한 종류의 흡입기를 이용할 때, 사용자는 다수의 조작을 행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다수의 조작은 종 래의 유형의 흡입기의 사용에 매우 불편을 준다.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 1 및 제 2부품;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복수의 구획부를 포함하는 약물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 수용된 카트리지의 구획부에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그곳으로부터 약물의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 약물추출용이화 수단; 및 사용자가 작동할 때, 수용된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구획부를 약물추출용이화 수단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로 전진시켜 상기 약물추출용이화 수단을 상기 전진한 구획부 부근의 위치로 뻗게 하여 사용자가 흡입시 약물의 추출을 허용하는 조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수단은 사용자에 의해서 서로에 대해 이동되고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부품에 응해서 작동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에 대해서 장착되어 있는 흡입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흡입 장치의 사용시, 사용자는, 상기 제 1 및 제 2부품을 서로에 대해 이동시키고, 이렇게 함으로써,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카트리지 구획부를 스파이크 등의 약물추출용이화 수단에 대해서 적절한 위치로 전진시키고, 또한, 상기 약물추출용이화 수단을 상기 전진한 구획부로부터 약물의 추출을 허용하는 위치로 뻗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에 의한 1회의 동작의 결과, 흡입 장치 내에서 복수회의 조작이 수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본 발명에 의한 흡입 장치는 사용하기 매우 편리하다.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종속 청구항인 제 2항 내지 제 11항은 더욱 신규의 유익한 특징을 포함하는 흡입 장치를 규정하고 있다. 본 발명의 흡입 장치의 신규의 유익한 특징은 이하의 설명에 열거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흡입 장치의 분해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표시한 흡입 장치의 하부 몸체부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도 2의 하부 몸체부의 측단면도;
도 3a는 도 3의 하부 몸체부의 캠 부재의 전개된 측면도;
도 4는 도 1에 표시한 흡입 장치의 레버의 밑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을 따라 취한 도 4의 레버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1에 표시한 흡입 장치의 약물추출용이화 수단(예를 들면, 스파이크)의 밑면도;
도 7은 도 6의 C-C선을 따라 취한 도 6의 약물추출용이화 수단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1에 표시한 흡입 장치의 마우스피스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의 D-D선을 따라 취한 도 8의 마우스피스의 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E-E선을 따라 취한 도 8의 마우스피스의 하단면도;
도 11은 도 1에 표시한 흡입 장치의 중심 몸체부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F-F선을 따라 취한 도 11의 중심 몸체부의 측단면도;
도 13은 도 1에 표시한 흡입 장치의 약물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G-G선을 따라 취한 도 13의 약물 카트리지의 측단면도;
도 15는 도 1에 표시한 흡입장치의 스프링 드럼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H-H선을 따라 취한 도 15의 스프링 드럼의 측단면도;
도 17은 도 1에 표시한 흡입 장치의 나선 비틀림 스프링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에 표시한 I-I선을 따라 취한 도 17의 나선 비틀림 스프링의 측단면도;
도 19는 도 1에 표시한 흡입 장치의 상부 몸체부의 밑면도;
도 20은 도 19의 J-J선을 따라 취한 도 19의 상부 몸체부의 측단면도;
도 21은 도 1에 표시한 흡입 장치의 하부 몸체부의 평면도로서, 마우스피스 커버가 해당 마우스피스를 덮은 위치로부터 해당 마우스피스를 덮지 않은 위치까지 90°로 회전됨에 따라 캠 부재에 대한 각종 부품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는 도면;
도 22는 도 1에 표시한 흡입 장치의 하부 몸체부의 평면도로서, 마우스피스 커버가 해당 마우스피스를 덮지 않은 위치로부터 해당 마우스피스를 덮은 위치까지 90° 로 회전됨에 따라 캠 부재에 대한 각종 부품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는 도면;
도 23은 약물추출용이화 수단의 변형예의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흡입 장치(2)의 전개 측단면도가 첨부 도면 도 1에 표시되어 있다. 흡입 장치(2)는, 서로 체결되어 원판(circular disc)형상 몸체를 형성하는 상부 몸체부(4)와 하부 몸체부(6)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형상 몸체로부터 마우스피스(8)와 마우스피스 커버(10)가 방사상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몸체 내에 흡입 장치(2)의 나머지 부품들이 수용된다.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8)는 상부 몸체부(4)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는 한편, 마우스피스 커버(10)는 하부 몸체부(6)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마우스피스 커버(10)는 하부 몸체부(6)에 대해서 별도로 제작하고, 해당 몸체부에 대해서 탄성 스냅-핏팅(snap-fitting)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해도 된다. 그러나, 예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우스피스 커버(10)는, 하부 몸체부(6)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하부 몸체부(4), (6)의 부착은, 이들 몸체부(4), (6)가 서로에 대해 회전되어, 마우스피스 커버(10)가 마우스피스(8)를 막아 흡입 장치(2)용의 보관 형태를 제공하는 마우스피스가 덮인 위치와, 마우스피스 커버(10)가 마우스피스(8)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우스피스(8)를 개방하여 후속의 약물의 흡입을 허용하는 마우스피스가 덮이지 않은(즉, 열린) 위치 간에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흡입 장치(2)의 사용자가 상기 보관 위치로부터 상기 사용위치로 상하부 몸체부(4), (6)를 서로에 대해 회전시키는 경우, 다회 복용분량의 약물을 포함하는 원판형상 카트리지(12)가 자동으로 회전되어, 투여될 다음 복용분량의 약물을 함유하는 구획부가 먼저 스파이크(14)(첨부 도면에 표시되어 있음)와 같은 약물추출용 이화 수단과의 정렬위치로 이동되고 나서, 상기 스파이크(14)에 의해서 피어싱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커버가 덮이지 않은 마우스피스(8)를 통해서 상기 피어싱된 구획부 내에 유지된 약물의 복용분을 흡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사용위치로부터 상기 보관 위치까지 상하부 몸체부(4), (6)를 서로에 대해 회전시키면, 상기 스파이크(14)가 상기 피어싱된 구획부로부터 자동적으로 후퇴하고, 카트리지(12)가 자동적으로 더욱 전진하여, 현재 미사용된 복용분량의 약물의 번호가 상부 몸체부(4)의 창으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장치(2)는 1회 복용분량의 약물을 흡입에 의해 투여하기 위한 극히 편리하고 사용자에게 친밀한 수단을 제공한다.
상하부 몸체부(4), (6)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설명한 각종 부품은, 우선적으로 조립의 편의를 위해, 원판형상의 스프링 드럼 부재(18) 내에 유지된 나선 비틀림 스프링(16)을 포함한다. 상기 약물 카트리지(12)는 환형상이고, 그의 내경은 스프링 드럼 부재(18)의 외경과 거의 같다. 이들 부품(16), (18), (12)의 상대적인 기하학적 형태는, 조립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비틀림 스프링(16)이 스프링 드럼 부재(18)의 환형상의 직립 벽(20) 내에 위치되고, 해당 드럼 부재(18)가 환형상 카트리지(12)에 의해 규정된 원형 공간 내에 위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16)의 방사상 바깥 단부를 카트리지(12)에 고정하고 스프링(16)의 말단의 방사상 안쪽 단부를 상부 몸체부(4)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스프링 드럼 부재(18))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6)의 안쪽 단부 및 바깥 단부는, 상기 각 단부가 이들 부품에 대해서 고리를 형성하여 오히려 유지되도록(즉, 상기 각 단부는 상기 부품에 결합될 필요는 없음) 각각 상부 몸체부(4) 및 드럼 부재(18)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드럼 부재(18)는 흡입 장치(2)의 조립 동안 상부 몸체부(4)에 대해서 회전되어 비틀림 스프링(16)을 적절하게 감기게 한다. 그 결과, 상기 스프링(16)은 권선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부 몸체부(4)에 대해서 카트리지(12)를 회전시키는 회전 부세력(biasing force)을 인가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16)은 약물 복용분 구획부를 스파이크(14)와 정렬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부 몸체부(4) 및/또는 중앙 몸체부(22)상의 멈춤부재(193)와의 맞물림을 위해 카트리지(12) 상에 멈춤부재(19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카트리지 및 몸체 멈춤 부재들이 서로 맞물리게 되면 카트리지(12)의 몸체부에 대한 회전이 방지된다. 또, 이 배치에 의하면, 카트리지(12)가 투여될 모든 약물 복용량을 위해 1회전 또는 충분한 회전을 완료하고 나면, 그 후 더욱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들 멈춤 부재의 특별한 배치는, 이하의 카트리지(12)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다.
몸체 멈춤 부재가 상부 몸체부(4)에 설치되면, 조립 과정 동안 스프링(16)이 감길 때 카트리지(12)의 회전은 몸체 멈춤 부재와 카트리지 멈춤 부재의 상호 맞물림에 의해 저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상황에 있어서, 카트리지 부재(12)와 드럼 부재(1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 부품보다는) 별개의 부품이고, 또한, 스프링(16)을 감을 때 드럼 부재(18)만이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16)이 일단 감겨 있으면, 카트리지는 드럼 부재(18)와 맞물리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상하부 몸체부(4), (6) 사이에 수용되는 다른 부품에는, 조립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상부 몸체부(4)에 대해서 고정되어, 마우스피스(8)용의 장착지점 및, 상기 약물 복용분 구획부의 자동 색인(indexing) 및 피어싱과 관련된 내부 부품에 대한 기타 다수의 장착점 또는 직선 안내로를 제공하고, 또한, 상기 부품들이 흡입 장치 몸체 내에서 회전 또는 선형 미끄럼 이동하게 되는 중앙 몸체부(22)가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이동 부품에는, 중앙 몸체부(22)(도 11 참조) 내에 대향 위치된 홈(24), (26) 내에 선형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기 스파이크(14); 상기 중앙 몸체부(22)내에 대향 배치된 오목부 또는 슬롯(30), (32)(이상적으로는 직사각형 또는 원형 구멍)(도 11 참조)에 추축으로 위치되어 피어싱된 약물 복용분 구획부로부터 스파이크(14)를 후퇴시키는 작용을 하는 레버(28); 및 상기 중앙 몸체부(22) 내에 규정된 원통형 안내로(36), (38)(도 11 참조) 내에서 각각 선형 미끄럼 이동가능한 2개의 동일한 스프링 부세 핀(34)들이 있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스파이크(14), 레버(28) 및 핀(34)은, 하부 몸체부(6)로부터 직립하고 있는 4개의 캠 부재(camming member)(40), (42), (44), (46)의 각각과 맞물림(즉, 체결)된 결과로서 중앙 몸체부(22)에 대해서 이동된다. 각각의 캠 부재는 상하부 몸체부(4), (6)와 카트리지(12)의 상대 회전의 축(48) 상에 중심을 맞춘 부분 원형 또는 원형 라인 상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몸체부(4) 및 하부 몸체부(6)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면, 스파이크(14), 레버(28) 및 핀(34)들은 그들 각각의 캠 부재(40), (42), (44), (46)를 따라 적절하게 이동하여 전진해서 약물 복용분 구획부를 피어싱하게 된다.
이하, 도 1에 표시한 흡입 장치(2)의 부품에 대해 개별적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몸체부(6)는 그의 주변으로부터 직립하고 있는 환형상 벽(52)을 지닌 원판 기재(base)(50)를 지니는 것을 볼 수 있다. 원통형 스터드(stud)(54)도 상기 기재(50)의 중앙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조립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54)는 (i) 레버(28), (ii) 중앙 몸체부(22), 및 (iii) 카트리지(12), 비틀림 스프링(16) 및 스프링 드럼 부재(18) 조립체 내의 개구를 통해서 돌출해서, 상부 몸체부(4)의 중앙으로 스냅-피팅된다. 상하부 몸체부(4), (6)의 스냅-피팅은, 두 개의 숄더(shoulder) 부재(56), (58)를 포함하는 종래 유형의 클립 죔에 의해 용이해지고, 상기 숄더 부재들은, 스터드(54)의 상단부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으로 돌출해서 서로를 향해 방사상 안쪽으로 탄성 가압될 수 있다. 조립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숄더부재(56), (58)는 상부 몸체부(4)에 설치된 위쪽으로 대향하는 환형상 숄더(60) 상에 꽉 죄이게 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상하부 몸체부(4), (6)가 축(48)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 커버(10)는, 상하부 몸체부(4), (6)가 서로에 대해 회전할 때 해당 커버(10)가 마우스피스(8) 위로 이동하기에 충분한 거리만큼 하부 몸체부(6)의 주변 벽(5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한다. 상기 마우스피스 커버(10)는, 상부면(62), 하부면(64), 단부면(66) 및 일측면(68)을 포함한다. 제 1측면(68)과 대향하는 제 2측면은, 상하부 몸체부(4), (6)의 상대회전시 마우스피스(8)가 마우스피스 커버(10)의 내부로 비스듬히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하부 몸체부(4), (6)의 상대회전은 마우스피스 커버(10)의 일측면(68)과 마우스피스(8)와의 접촉에 의해 1회전 방향으로 제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하부 몸체부(4), (6)의 서로 대향하는 회전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은, 하부 몸체부(6)의 기재(50)로부터 직립한 멈춤 돌출부(70)와 레버(28)와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4개의 캠 부재(40), (42), (44), (46)도 하부 몸체부(6)의 기재(50)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이들 각 캠 부재(40), (42), (44), (46)는 회전축(48)과 중심이 일치된 부분 원 라인을 따른다. 각 캠 부재의 회전축(48)으로부터의 방사상 거리는, 각 캠 부재가 캐밍(camming)될 각각의 부품(즉, 스파이크(14), 레 버(28) 및 핀(34) 중의 하나) 아래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캠 부재(44), (46)가 회전축(48)으로부터 동일한 반경 거리에 위치되어, 서로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되어 각각 핀(34) 중의 다른 하나를 캐밍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2개의 캠 부재(40), (42)는 다른 2개의 캠 부재(44), (46)의 방사상 안쪽으로 위치된다. 이들 캠 부재(40), (42)는 서로에 대해 재차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되어, 회전축(48)으로부터 동일한 반경 거리에 위치된다. 이들 캠 부재(40), (42)의 방사상 원주방향 위치결정은, 흡입 장치(2)의 사용 중에 상기 한쪽의 캠 부재(40)가 스파이크(14)를 캐밍하도록 위치되고, 다른 한쪽의 캠 부재가 레버(28)를 캐밍하도록 위치되는 방식으로 하고 있다.
멈춤 돌출부(70)가 레버(28)를 접촉시킴으로써 상하부 몸체부(4), (6)의 회전운동을 간편하게 제한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멈춤 돌출부(70)는 레버(28)와 관련된 캠 부재(42)와 동일한 회전축(48)으로부터의 방사상 간극을 지닌다. 상기 멈춤 돌출부(70)는 회전축(48)으로부터 동일한 방사상 간극을 지닌 캠 부재(40), (42)에 대해서 재차 원주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상하부 몸체부(4), (6) 사이에 소정 정도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제공하도록 원주방향으로 위치결정된다. 첨부 도면에 표시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상기 멈춤 돌출부(70)는, 상하부 몸체부(4), (6)가 마우스피스 커버(10)에 의해 마우스피스(8)가 폐쇄된 보관 형태와 마우스피스(8)의 한쪽에 마우스피스 커버(10)가 위치되어 마우스피스(8)를 개방하고 있는 사용 형태간에 서로에 대해 대략 90° 이동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위치결정된 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캠 부재(40), (42), (44), (46)와 멈춤 돌출부(70)가 공통의 방사상 위치에 설치되었으나, 흡입 장치(2)는 이들 모두가 상이한 방사상 위치를 지니도록 배열될 수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캠 부재(40), (42), (44), (46)는 사용시 각각 연신 위치와 후퇴(retraction) 위치 사이에 흡입 장치(2)의 관련된 부품을 이동하도록 작동된다. 이들 위치 간의 각각의 부품의 이동은 (하부 몸체부(6)의 평면 기재(50)에 수직인) 회전축(48)과 평행한 방향에 있다. 관련된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각 캠 부재는 낮은 부분 "a", 경사부분 "b" 및 높은 부분 "c"을 포함한다. 낮은 부분(a)과 높은 부분(c)은 경사부분(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스파이크(14)와 관련된 캠 부재(40)의 전개된 측면도는 예로서 도 3a에 표시되어 있다. 캠 부재들의 낮은 부분(a), 경사 부분(b) 및 높은 부분(c)의 원주방향 거리는 도 2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지만, 다른 캠 부재(42), (44)는 도 3a에 표시한 캠 부재(40)와 마찬가지 구성을 지닌다.
각 캠 부재의 경사부분(b)의 목적은, 하부 몸체부(6)에 대해서 상부 몸체부(4)의 특정 각도 배향에서 연신 위치와 후퇴 위치 간의 관련된 부품의 제어된 캐밍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흡입 장치(2)의 조작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캠 부재들의 경사부분(40b), (42b), (44b), (46b)의 상대각 위치가 약물 복용분 구획부의 적절한 색인 및 피어싱을 허용하는 조합된 양식으로 관련된 부품의 후퇴와 연신을 확보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도 21 및 도 22와 관련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멈춤 돌출부(70)는, 레버(28)의 접촉을 확보하도록 캠 부재의 높은 부분(c)과 마찬가지 정도로 하부 몸체부(6)의 기재(50)로부터 뻗는다.
첨부 도면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레버(28)는 지점축(76)에서 서로 상호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연장부(72), (74)를 포함한다. 이들 레버부(72), (74)는 레버 캠 부재(4)에 의해 효과적인 캐밍 작용을 확보하도록 서로에 대해 적절한 각도로 배향된다. 제 1 및 제 2레버부(72), (74)는 결합되어 가늘고 긴 직사각형 평면형태를 지닌 하부레버면(78)을 형성한다. 측벽(80)은 하부면(78)의 각각 긴 변으로부터 위쪽으로 뻗어있다. 돌기부(boss)(82)는 레버 지점축(76)과 일직선으로 각 측벽(80)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또한, 상기 하부 레버면(78)에는 개구부(84)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개구부를 통해서 하부 몸체부(6)의 스터드(54)가 조립된 흡입 장치(2)에 통과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84)는 타원형이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지점축(76)을 중심으로 스터드(54)가 레버(28)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길게 뻗어 있어도 된다.
조립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상기 레버(28)의 돌기부(82)는 중앙 몸체부(22)의 레버 오목부(30), (32)내에 스냅-핏 형식으로 위치한다. 사용시, 레버(28)는 스파이크 캠 부재(40)의 경사부분(40b)에 의해 연신 위치로 스파이크(14)가 캐밍될 때의 레버 오목부(30), (32) 내의 제 1방향, 및 제 1레버부(72)가 레버캠 부재(42)의 경사부(42b)에 의해 연신 위치로 이동할 때의 상기 제 1방향과 반대의 제 2방향으로 회전한다.
조립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제 1레버부(72)의 하부면은 경사 및 높은 레버 캠부(42b), (42c)와 결합하는 반면, 제 2레버부(74)의 하부면은 스파이크(14)와 결합한다. 레버(28)의 주목적은, 스파이크(14)가 약물 복용분 구획부를 관통하는 연신 위치로부터, 상기 카트리지(12)가 회전함으로써 새로운 복용량의 약물이 적절하게 전진하도록 스파이크(14)가 약물 카트리지(12)로부터 이격되는 후퇴 위치로 스파이크(14)를 이동시키기 위함인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스파이크(14)가 핀(34)에 대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프링 부세 수단(나선 압축 스프링 등)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오히려 레버(28)에 대한 캠 작용에 의해 연신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스프링 부세 수단은 스파이크(14)에 대해서 이용될 수 있지만, 캠 작용에 의해 스파이크(14)의 연신 및 후퇴의 양자를 행하는 이점은 2배로 된다. 먼저, 스파이크(14)가 연신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할 때 스파이크(14)에 가해지는 힘은 부세 수단의 부세력(압출 스 프링의 경우, 압축 정도에 의존해서 압력 정도에 의해 감소됨)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스파이크(14)에 의해 피어싱된 재료에 의해 스파이크(14)가 연신위치에 유지될 스파이크(14)의 가능성은 상당히 감소된다. 이중 캠 작용의 두번째 이점은, 스파이크(14)가 (i) 완전히 후퇴한 위치로부터 이동하기 시작하여, (ii) 최종적으로 상기 완전히 후퇴한 위치로 되돌아가 위치되는 경우의 상하부 몸체부(4), (6)의 상대적인 각도 위치가 다르게 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스파이크(14)가 (i) 먼저 완전히 연신된 위치에 위치하고, (ii) 이 완전히 연신된 위치로부터 이동하기 시작한 경우의 상하부 몸체부(4), (6)의 상대각 위치가 다르게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피어싱 및 색인 작용의 조화에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9 내지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은 마우스피스(8)는, 외부관(88)내에 원심 배열되어 접속되는 내부관(86)을 포함한다. 내부관(86)은 중앙 몸체부(22)의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관(90)에 걸쳐서 간섭적으로 끼워맞춤되어 위치되는 모양과 크기로 되어 있다. 상기 관에 마우스피스를 부착하는 데는 기타 다른 적합한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마우스피스(8)의 외부관(88)은, 사용자의 입이 흡입 장치에 의해 간편하고 편안한 밀봉을 형성함으로써 약물 복용분의 신속한 흡입을 용이하게 하는 모양과 크기로 되어 있다.
스파이크(14)는 첨부 도면 도 6 및 도 7에 표시되어 있다. 스파이크(14)는 입구(94)와 출구(96)를 지닌 제 1유체통로(92)와, 입구(100)를 지니고 상기 제 1유체통로(92) 내의 규제부(102)에서 상기 제 1유체 통로(92)와 접합되는 제 2유체통로(98)로 이루어진 T자형 유체통로를 규정한다. 흡입 장치(2)의 사용중에, 사용자의 흡입에 의해 입구(94)로부터 제 1유체 통로(92)를 통과해서 규제부(102)를 통해서 출구(96)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규제부(102)는 벤투리관(venturi)을 구비하여 국부적인 유체의 정압을 감소시키는 것도 알 수 있다. 그 결과, 유체는 입구(100)로부터 제 2유체통로(98)를 통해 흐르는 것이 촉진된다. 마우스피스(8)가 열려 그 사용이 준비되어 있을 경우, 입구(100)는 피어싱된 복용분 구획부 내에 위치되고, 이와 같이 해서, 입구(100)로부터 제 2유체통로(98)를 통과해서 출구(96)를 거쳐 마우스피스(8) 안으로 흘러들어가는 유체는 상기 피어싱된 복용분 구획부 내에 함유된 약물(건식 분말 약물)을 혼입시키는 경향이 있다. 상기 규제부(102)는 선택적인 것으로 이해하면 되지만, 약물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므로, 바람직한 특성으로 여겨진다.
T자형 유체 통로는 몸체(104)내에 규정되어 있다. 몸체(104)는 스파이크 캠 부재(40)에 의해 체결되는 캠면(106)을 지닌다. 상기 스파이크 몸체(104)의 또 다른 면(108)이, 흡입 장치(2)의 사용 중에 레버(28)의 제 2부분(74)에 의해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면(108)은 스파이크(14)를 후퇴시키도록 레버(28)에 의해 가압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시 약물 복용분 구획부를 피어싱하는 스파이크(14)의 부분(110)이 스파이크 몸체(104)의 나머지 부분과 접속되는 별개의 부품으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스파이크 몸체(104)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별개의 부품으로서의 피어싱 부분(110)의 설치로 인해, 해당 피어싱 부분(110)이 스파이크 몸체(104)의 나머지 부분과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적으로는, 피어싱 부분(110)이 질긴 금속 재료로 제조되는 한편, 스파이크 몸체(104)의 나머지 부분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다. 피어싱 부분(110)의 선단부는 복용분 구획부를 피어싱하는 데 유효한 원뿔형상을 지닌다. 원주 홈(112)은 그의 선두 피어싱 단부에 인접한 피어싱 부분(110) 내에 형성된다. 상기 선두 피어싱 단부와 원주 홈(112) 사이에는 절두 원뿔면(114)이 위치된다. 이 절두 원뿔면(114)은 사용시 피어싱 부분(110)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복용분 구획부의 피어싱된 재료(예를 들면, 호일)를 원주 홈(112) 내로 캐밍되도록 작동한다. 이와 같이 해서, 피어싱 공정은 개선되고, 피어싱된 재료와 피어싱 부분(110)간의 더욱 효율적인 밀봉이 제공된다. 이렇게 됨에 따라, 약물 추출시의 사용자의 흡입효율이 향상된다.
첨부 도면 도 6을 참조하면, 스파이크 몸체(104)에는, 피어싱 부분(110)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뻗은 2개의 가는 돌출부(116), (11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돌출부(116), (118)는, 각각 중앙 몸체부(22)의 홈(24), (26) 내에 위치됨으로써, 연신 위치와 후퇴 위치 간의 선형 동작으 로의 스파이크(14)의 이동을 규제한다. 즉, 돌출부(116), (118)는, 사용시 홈(24), (26)을 따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스파이크(14)의 바람직하지 않은 이동을 제한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중앙 몸체부(22)는 레버(28)와 스파이크(14)가 위치되는 중앙의 직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오목부(120)를 지니는 원판형상 부품인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오목부(30), (32) 및 홈(24), (26)은 상기 오목부(120)의 측벽(122), (124)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 몸체부(22)에는 회전축(48) 상에 중심을 맞춘 개구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하부 몸체부(6)의 스터드(54)는 상기 개구부(126)를 따라 뻗어 있다. 또한, 중앙 몸체부(22)에는, 또 다른 개구부(128)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를 통해서 사용시 스파이크(12)가 연신된 때 피어싱 부분(110)이 돌출한다.
또, 도 11 및 도 12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 몸체부(22)는 상기 2개의 원통형 핀 안내로(36), (38)을 규정한다. 각 안내로(36), (38)는 관련된 핀(34)을 부세시키는 나선 비틀림 스프링(132)(도 1 참조)이 접하게 되는 환형상 숄더(130)를 포함한다. 또, 각 핀(34)도 관련된 압축 스프링(132)이 접하게 되는 환형상 숄더(134)(도 1 참조)를 포함한다. 각 핀 안내로(36), (38)내의 환형상 숄더(130)는 또 다른 개구부(136)를 규정하고, 조립된 흡입 장치에 있어서, 이 개구부를 통해서 관련된 핀(132)이 돌출한다. 압축 스프링(132)은, 관련된 핀(34) 이 관련된 핀 캠 부재(44), (46)와 접촉을 유지하는 상태를 확보하도록 각 환형상 숄더(130), (134)에 대해서 가압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스프링(32)은, 관련된 핀(34)이 항상 관련된 핀 캠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a), (b), (c)과 접촉을 유지하는 것을 확보한다.
약물 카트리지(12)는 1회 복용분의 약물을 보관하기 위한 복수의 구획부(140)를 수용하는 환형상 몸체(138)를 포함한다. 각 구획부(140)는 스파이크(14)에 의해 피어싱될 수 있는 부분을 지닌다. 첨부 도면에 표시된 카트리지(12)에 있어서, 총 30회분의 약물 복용분 구획부(140)가 원내에 배열되어 카트리지 몸체(138)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이한 번호의 복용분 구획부(140)를 포함하는 카트리지(12)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각 구획부(140)의 하부쪽은, 카트리지(138)를 제조할 경우 개방상태로 되어, 각 구획부(140)가 적절한 복용분의 약물로 채워질 수 있게 된다. 각 구획부(140)가 일단 약물로 채워지면, 각 구획부(140)는 피어싱가능한 재료(142)(예를 들면, 금속제 호일)에 의해 밀폐된다. 피어싱 가능한 재료는, 각 구획부 개구의 말단에 인가된 접착제 또는 가열밀봉 수법 등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각 구획부(140)를 밀폐하도록 카트리지 몸체(138)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흡입 장치(2)의 사용시, 스파이크(14)의 피어싱 부분(110)은 피어싱 가능한 재료(142)를 피어싱해서 관련된 구획부(140)의 개구를 통해서 상기 구획부 내에 함유된 약물의 아주 가까운 부분 안으로 뻗게 된다.
카트리지 몸체(138)는 30개의 돌출부(144)(즉, 각 구획부(140)에 대해 1개의 돌출부(144))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카트리지 멈춤 부재를 제공하도록 연신 위치내에 위치될 수 있다. 각 돌출부(144)의 구조는, 상부 몸체부(4) 상의 멈춤 부재(193)의 경사진 하부면에 대응하는 경사진 상부면(145)을 각각 지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돌출부(144)는 멈춤 부재(193)를 통과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192)에서의 하나의 돌출부(144)는 부재(193)와 접하는 멈춤부재를 제공하도록 경사진 부분의 부재(不在)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각 돌출부(144)는 환형상 몸체부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있다. 각 돌출부(144)는 인접하는 구획부(140) 사이에 더욱 원주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돌출부(144)는, 사용시, 마우스피스 커버(10)에 의해 마우스피스(8)가 개폐될 때마다 하나의 구획부(140)에 의해 카트리지(12)가 (나선 비틀림 스프링(16)의 부세 작용 하에서) 전진하는 것을 확보하도록, 핀 캠 부재(44), (46)에 의해 제어된 조화된 형식으로 핀(34)에 의해 체결 및 미체결된다. 이 색인 과정의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한편으로는 카트리지 돌출부(144)의 원주 두께 및 간극과, 다른 한편으로는 핀(34)의 직경이 카트리지(12)가 전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확보하는 데 중요하다. 돌출부(144)의 원주방향 간극에 대해서 핀(34)의 직경이 너무 크면, 카트리지(12)가 전진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도 21 및 도 22 참조).
환형상 몸체(138)의 외주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카트리지 돌출부(134)에 부가해서, 또 하나의 돌출부(146)가 환형상 몸체(138)의 내주부 로부터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뻗어 있다. 상기 또 하나의 돌출부(146)의 목적은, 단지 스프링 드럼 부재(18)의 환형상 벽의 외부면에 있어서 대응하는 오목부(147)와 체결함으로써 카트리지(12)와 스프링 드럼 부재(18)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도 15).
마지막으로 카트리지(12)에 대해서는, 피어싱 가능한 재료가 설치된 쪽의 반대쪽의 각 구획부(140)의 쪽에, 관련된 구획부(140)내에 함유된 약물의 복용분에 고유한 표지(148)가 되어 있다. 첨부 도면에 표시된 카트리지(12)에 있어서, 30개의 구획부(140)의 어레이는 1에서 30까지 연속적으로 번호 메겨 있고, 표지(18)는 특정 구획부(140)의 번호를 나타낸다. 조립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마우스피스(8)가 마우스피스 커버(10)에 의해 덮인 경우, 상부 몸체부(4)의 창 또는 개구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표지(148)를 볼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첨부 도면에 표시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표지(148)는 아직 사용되지 않고 흡입될 약물로 채워져 있는 구획부(140)의 번호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마우스피스(8)가 마우스피스 커버(10)에 의해 개폐될 때마다, 카트리지(12)가 1개의 구획부(140)에 의해 전진되고, 창(150)에 표시된 번호는 1씩 감소한다.
스프링 드럼 부재(18)는 첨부 도면 도 15 및 도 16에 표시되어 있다. 상기 드럼(18)은, 원형 기재(152)의 원주 주변으로부터 직립한 환형상 벽(20)을 갖춘 원형 접시형상을 지닌다. 개구부(154)는 환형상 벽(20)과 동심원적으로 기재(152) 상에 위치되어 있다. 조립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스터드(54)는 상기 개구부(154)를 통해서 뻗어 있다. 슬롯(156)은 환형상 벽(20)의 최대 두께 및 깊이를 통해 벽(20)의 방사상 외부면의 오목부(158) 내로 뻗어 있다. 조립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비틀림 스프링(16)의 일단부(160)는 상기 슬롯(156)을 통해 뻗어 벽(20)의 방사상 외부면과 높이가 같은 오목부(158)내에 위치된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16)의 일단부(160)는 스프링 드럼(18)에 대해서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프링 드럼(18)에 대해서는, 2개의 구멍(162), (164)이 환형상 벽(20)의 최대 깊이를 통해서 뻗어, 서로에 대해서 직경방향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구멍(162), (164)이 회전축(48)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구멍(162), (164)의 길이방향 축은, 상부 몸체부(4)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구멍(166), (168)의 길이방향 축과 정렬된다. 이들 4개의 구멍(162), (164), (166), (168)은 흡입 장치(2)의 실제의 동작 동안보다는 오히려 흡입 장치(2)의 조립 동안 사용된다. 조립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카트리지(12)는 비틀림 스프링(16)에 의해 카트리지(12)에 가해진 부세력에 대응해서 핀(34)에 의해 유지된다. 스프링(16)에 의해 카트리지(12)에 가해진 회전력은 상부 몸체부(4)에 대항해서 반응된다(후술하는 바와 같음). 그러나, 흡입 장치(2)의 조립 동안(즉, 핀(34)들이 카트리지(12)의 방사상 돌출부(144)와 체결되기 전) 스프링 부세에 대항해서 상부 몸체부(4)에 대한 위치로 카트리지(12)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드럼(18) 및 상부 몸체부(4)의 정렬된 구멍(162), (164), (166), (168)을 통해 서 와이어 또는 기타 강성의 툴(tool)을 밀친다. 이와 같이 해서, 드럼(18) 및 상부 몸체부(4)의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된다(비틀림 스프링(16)의 부세에도 불구하고). 일단 흡입 장치(2)가 완전히 조립되어 카트리지(12)가 핀(34)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면, 상기 와이어나 툴은 각 쌍의 정렬된 구멍(162), (164), (166), (168)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16)은 첨부 도면 도 17 및 도 18에 표시되어 있다. 스프링(16)의 제 1단부(16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스프링 드럼(18)의 오목부(158)에 위치되는 U자형 훅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16)의 타단부(17)에는, 상부 몸체부(4)의 대응하는 마찬가지 형상부(172)에 대해서 위치하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기타 다른 원형이 아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16)의 제 2단부(170)는 상기 부분(172)에 회전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부 몸체부(4)의 상기 부분(172)에 대해서 위치된다. 상기 스프링(16)의 제 1단부(160)를 드럼(18)에, 그리고 스프링(16)의 제 2단부(170)를 상부 몸체부(4)에 유지하기 위한 다른 적당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9 및 도 20에 표시된 바와 같은 상부 몸체부(4)는 원형 기재(176)의 원주 주변으로부터 직립한 환형상 벽(174)을 포함한다. 상기 환형상 벽(174)의 방사상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부 몸체부(4)를 잡을 때 사용자를 돕는 복수의 융기부(ridge)(178)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하부 몸체부(6)에도 마찬가지 융기부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들 몸체의 융기부는 선택적이다. 또한, 환형상 벽(174)의 두께를 통해서 슬롯(180)이 뻗어 있다. 조립된 흡입 장치(2)에 있어서, 중앙 몸체부(22)의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관(90)이 상기 슬롯(180) 내에 위치한다. 상기 환형상 벽(174)에는, 또한, 약물이 카트리지(12)로부터 흡입될 때 흡입장치 몸체의 내부로 공기의 입수를 허용하도록 그의 두께를 통해서 1개 이상의 개구부(182)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적으로는, 공기 주입구가 환형상 벽(174)에 형성되어 있어, 중앙 몸체부(22)에 형성된 마찬가지의 공기 주입구(184)와 정렬된다. 이와 같이 해서, 들어오는 공기는 중앙 몸체부(22) 내의 오목부(120)를 따라 스파이크(14)의 입구(94) 쪽으로 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부 몸체부(4)에 대해서, 기재(176) 내의 개구부는 스냅-핏 관계로 스터드(54)의 숄더 부재(56), (58)를 수용하기 위해 환형상 벽(174)에 동심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우스피스(8)와 마우스피스 커버(10)가 회전축(48)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 그들과 관련된 캠 부재(40), (42), (44), (46) 및 멈춤 돌출부(70)에 대한 핀(34), 스파이크(14) 및 레버(28)의 각종 위치는, 첨부 도면 도 21 및 도 22에 표시되어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몸체부(4) 및 중앙 몸체부(22)(그리고 이들에 장착된 스파이크(14), 레버(28) 및 핀(34)들)는 하부 몸체부(6)에 대해서 회전축(48)을 중심으로 단일 유닛으로서 회전한다. 카트리지(12) 및 비틀림 스프링(16)은 하부 몸체부(6)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회전하지만, 카트리지(12)가 비틀림 스프링(16)의 부세 작용하에 전진할 경우 상부 몸체부(4)에 대해서도 회전한다.
상하부 몸체부(4), (6)를 서로에 대해서 회전시킬 때의 조작의 주된 단계는 이하의 표에 있어서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에 있어서, P1(핀 1)은 제 1핀(34)을 의미하고, P2(핀 2)는 제 2핀(34)을 의미하고, L은 레버(28)를 의미하고, S는 스파이크(14)를 의미한다. 아래 첨자로 기재된 숫자는 이하의 표에 있어서 동일한 동작의 8개의 주된 단계를 의미한다. 또한, 핀(34), 레버(28) 및 스파이크(14)는, 상하부 몸체부(4), (6)가 회전축(48)을 중심으로 해서 서로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 캠 부재(40), (42), (44), (46)에 의해 캐밍되는 결과로서 각 주된 단계의 위치 간에 이동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우스피스가 덮인 형태로부터 마우스피스가 열린 형태로의 이동(도 21):
(1) 마우스피스가 완전히 덮힌 상태-
· 핀 1이 카트리지로부터 후퇴함
· 핀 2가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 12 안으로 뻗어 스프링 부세에
대항해서 카트리지를 체결함
· 레버가 스파이크(즉, 약물추출용이화 수단)를 후퇴시키도록 연장됨
·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 번호 19가 창에 표시됨
(2) 마우스피스가 절반 열린 상태-
· 핀 1이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 26 내로 뻗지만 스프링 부세에
대해서 카트리지를 체결하고 있지 않음
· 핀 2가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 12 안으로 뻗어 스프링 부세에
대항해서 카트리지를 체결함
· 스파이크가 카트리지로부터 후퇴함
· 레버가 스파이크를 후퇴하도록 뻗음
· 동일한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 번호 19가 창에 표시됨
(3) 마우스피스가 3/4 열린 상태-
· 핀 1이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 26안으로 뻗어 스프링 부세에
대항해서 카트리지를 체결함
· 핀 2가 카트리지로부터 후퇴하여 다음의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
11에 인접하게 위치됨
· 스파이크가 카트리지로부터 후퇴함
· 레버가 레버 캠으로부터 이격되어 스파이크의 카트리지 안으로
뻗는 것을 허용함
·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 번호가 창에서 변경중임- 번호가
표시되지 않음
·창에 이전에 표시된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가 스파이크와 정렬됨
(4) 마우스피스가 완전히 열린 상태-
· 핀 1이 상기 (3)과 마찬가지임
· 핀 2가 상기 (3)과 마찬가지임
· 스파이크가 정렬된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의 호일을 통해
피어싱해서 뻗음
· 레버가 상기 (3)과 마찬가지임
· 창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 번호가 상기 (3)과
마찬가지임
(5) 한편으로는 중앙/상부 몸체부에 대해서, 다른 한편으로는 마우스피스에 대해서 하부 몸체부 및 마우스피스의 연속 회전이, 하부 몸체부로부터 위쪽으로 뻗어 있는 멈춤 돌출부에 대한 레버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최대 상대 각도 이동이 90°이다.
마우스피스가 열린 형태로부터 마우스피스가 덮힌 형태로의 이동(도 22):
(6) 마우스피스가 완전히 열린 상태-
· 핀 1이 상기 (3)과 마찬가지임
· 핀 2가 상기 (3)과 마찬가지임
· 스파이크가 상기 (3)과 마찬가지로 카트리지 내에 위치되지만, 스파이크 캠으로부터 이격되어 카트리지로부터 스파이크의 후퇴를 허용함
· 레버가 레버캠에 체결됨
· 창에서의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 번호가 (3)과 마찬가지임
(7) 마우스피스가 절반 덮힌 상태(핀 2보다는 오히려 핀 1이 스프링 부세에 대해서 카트리지를 체결한 이외에는 상기 (2)에 대한 상대 각도 위치와 마찬가지임)
· 핀 1이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 26 안으로 뻗어 스프링 부세에
대항해서 카트리지를 체결함
· 핀 2가 카트리지 복용분 11안으로 뻗지만 스프링 부세에 대항해서
카트리지를 체결하고 있지 않음
· 스파이크가 카트리지로부터 후퇴함
· 레버가 스파이크를 후퇴하도록 뻗음
· 창에 있어서의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 번호가 상기 (3)과
마찬가지임
(8) 마우스피스가 완전히 닫힘(카트리지가 복용분만큼 이동한 이외에는 상기 (1)과 마찬가지임)-
· 핀 1이 카트리지로부터 후퇴함
· 핀 2가 카트리지 복용분 11 안으로 뻗어 스프링 부세에 대항해서
카트리지를 체결함
· 스파이크를 카트리지로부터 후퇴함
· 레버가 스파이크를 후퇴하도록 뻗음
· 카트리지 복용분 구획부 번호 18이 창에 표시됨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 장치(2)는, 약물추출용이화 수단(스파이크(14))이 후퇴 위치로부터 연신 위치로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배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스파이크(14)는 카트리지 구획부(140)의 하향해서 대면하고 있는 면을 피어싱한다. 그러나, 흡입 장치(2)의 사용시, 흡입 장치(2)는 스파이크(14)가 후퇴 위치로부터 연신 위치로 이동할 때 하향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배향되도록 180°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상부 몸체부(4)가 하부 몸체부(6) 밑에 위치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즉, 사용시, 흡입 장치(2)가 도 1에 표시한 위치까지 다른 방식으로 배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바람직한 사용 배향에 대한 한가지 현저한 이유는, 카트리지 구획부 내의 약물이 스파이크(14)에 의해 피어싱될 구획부 표면으로부터 중력의 작용하에 멀리 이동하는 것 때문이다. 피어싱되는 구획부(140) 내의 약물은 스파이크(14) 근방에 모이지 않고 스파이크(14)의 입구(100)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유지된다. 이 배치에 의해 약물이 더욱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에게는 또 다른 변형 및 적절한 재료가 명백하게 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형태의 예로서, 상하부 몸체부(4), (6)는 서로에 대해 90° 회전가능한 것처럼 설명하였으나, 캠 부재(40), (42), (44), (46) 및 멈춤 돌출부(70)(그리고 관련된 부품)의 배치는, 이들 몸체부(4), (6)가 카트리지 구획부(140) 를 전진하여 피어싱하기 위해 90°이상 혹은 이하(예를 들면, 45°)만큼 서로에 대해 회전될 필요가 있도록 하면 된다. 그러나, 상하부 몸체부(4), (6)의 상대 회전은 마우스피스(8)가 마우스피스 커버(10)가 없게 될 수 있으면 충분한 것으로 이해된다. 또는, 마우스피스 커버(10)는, 마우스피스(8)가 사용을 위해 열린 경우 흡입 장치(2)의 나머지 부품으로부터 전적으로 제거되는 별개의 부품으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마우스피스 커버는 마우스피스(8)가 상하부 몸체부(4), (6)의 상대이동 없이 개방가능하도록 (아마도 힌지에 의해 플랩(flap)으로서 그리고 이상적으로는 마우스피스(8)에 대해서) 회전적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파이크(14) 내의 벤투리의 수렴 및 발산 통로가 배치되어 적은 규제를 제공해도 된다. 즉, 스파이크(14)의 제 1유체 통로(92)는 첨부 도면 도 7에 표시한 것보다도 적은 정도로 수렴되어도 된다. 벤투리의 두 원뿔의 수렴 및 발산 각도는 적절하게 변화시키면 된다. 그러나, 제 2유체 통로(98)에 인접한 규제부에 대해서는 제 2유체 통로(98)보다도 큰 직경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스파이크(14')가 첨부 도면 도 23에 표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입구(94')로부터 출구(96')까지 제 1유체통로(92')가 수렴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제 1유체통로(92')는 출구(96')로의 유체 흐름방향으로 발산하지 않는다.
또한,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머지 카트리지 구획부(14)의 번호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표지는, 흡입장치 몸체의 원형 측벽을 통해서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카트리지(12) 또는 드럼 부재(18) 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사용자에게 나타낼 표지가 보이도록 흡입 장치 몸체의 측벽에 적절한 창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배치에 의하면 흡입 장치(2)가 사용배향에 놓인 경우 사용자가 쉽게 그 표지를 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표지는, 카트리지(12)의 방사상 외주벽(아마도 카트리지 돌기부(144)의 각각)상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드럼 부재(18)로부터 방사상으로 뻗고 있는 암(arm)상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그러나, 카운터의 설치는 선택적임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21)

  1.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 1 및 제 2부품(4, 6);
    약물을 함유하고 있는 복수의 구획부(140)를 포함하는 약물 카트리지(12)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
    수용된 카트리지(12)의 구획부(140)에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그곳으로부터 약물의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 및
    사용자가 작동할 때, 수용된 카트리지(12)의 카트리지 구획부(140)를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에 대해서 소정의 위치로 전진시켜 상기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을 전진한 상기 구획부(140) 부근의 위치로 뻗게 하여 사용자가 흡입시 약물의 추출을 허용하는 조작 수단(16, 28, 34, 40, 42, 44, 46)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수단은 사용자에 의해서 서로에 대해 이동되는 상기 제 1 및 제 2부품(4, 6)에 응해서 작동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4, 6)에 대해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조작 수단은 수용된 카트리지(12)에 대해서 힘을 가해서, 해당 조작 수단의 작동시, 상기 구획부(140)를 상기 소정의 위치를 향해서 전진시키는 부세수단(16)을 포함하는 흡입장치(2)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수용수단 및 상기 카트리지 부세수단(16)이 상기 제 1부품(4)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수단은 부세력에 의해 초래된 카트리지 전진을 제한하도록 각각의 핀이 상기 수용된 카트리지(12)와 체결가능한 연신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 전진을 제한하지 않도록 각각의 핀이 상기 수용된 카트리지(12)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후퇴 위치 간에 이동가능하도록 각각 상기 제 1부품(4)에 더욱 고정되어 있는 2개의 핀(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2).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서로에 대해 이동되고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부품(4, 6)에 응해서 상기 2개의 핀(34) 중의 다른 한 쪽을 이동시키도록 각각 배열되어 있는 상기 제 2부품(6)에 고정된 2개의 캠 부재(44, 46)를 더 포함하는 흡입 장치(2).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핀 캠 부재(44, 46)는, 상기 제 2부품에 대해서 상기 제 1부품의 위치에 관계없이 적어도 1개의 핀이 연신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확보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흡입 장치(2).
  7. 제 6항에 있어서, 약물 카트리지(12)와 후퇴 위치로부터 상기 카트리지와의 체결위치로 이동되는 핀(3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은, 제 1핀(34)이 연신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부세 수단(16)의 부세 하에 상기 카트리지(12)가 전진함에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12)와 해당 카트리지와 체결된 제 2핀(34) 사이의 공간이 폐쇄되도록 되어 있는 흡입 장치(2).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수단은 사용자가 더욱 작동한 경우 전진한 상기 구획부(140) 근방으로부터 약물추출용이화 수단을 후퇴시키고, 상기 조작수단은 사용자에 의해서 서로에 대해 이동되고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부품(4, 6)에 응해서 더욱 작동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부품(4, 6)에 대해서 장착되어 있는 흡입 장치(2).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은, 해당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이 카트리지 구획부(140)에 인접해서 위치되어 상기 구획부로부터 약물 추출을 허용하는 연신위치와, 상기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이 상기 카트리지 구획부(14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카트리지 전진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 1부품(4)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서로에 대해 이동되고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부품(4, 6)에 응해서 상기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을 이동하도록 배열된 상기 제 2부품(6)에 고정된 캠수단(40, 42)을 포함하는 흡입 장치(2).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캠 수단(40, 42)은 2개의 개별의 캠 부재(40, 42)를 포함하고, 그중 제 1캠 부재(40)는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을 연신위치를 향해 이동시키고, 제 2캠 수단(42)은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을 후퇴 위치를 향해서 이동시키는 흡입 장치(2).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제 1부품(4)에 추축고정되고 상기 2개의 개별의 캠 부재(40, 42) 중의 한 쪽에 상기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을 접속시키는 레버(28)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2).
  12. 제 11항에 있어서, 전진시킬 나머지 구획부(140)의 번호를 사용자에게 나타내는 계수수단(148, 150)을 더 포함하는 흡입 장치(2).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수단은 표지가 형성된 부재와, 구획부(140)가 전진한 경우 창을 통해 상기 부재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흡입 장치(2).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4, 6) 중의 한쪽에 고정되어 상기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과 유체연통하고 있는 마우스피스(8) 및 상기 부품(4, 6) 중의 다른 쪽에 고정된 마우스피스 커버(10)를 더 포함하는 흡입 장치(2).
  15. 제 13항에 있어서, 마우스피스(8) 및 상기 마우스피스를 덮기 위한 마우스피스 커버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2).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 커버는 상기 마우스피스가 덮인 제 1형태와 상기 마우스피스가 열린 제 2형태 간에 상기 마우스피스와 상기 마우스피스 커버의 상대적인 회전이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마우스피스에 고정되어 있는 흡입 장치(2).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은 벤투리를 규정하는 유체통로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2).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은 구획부(140)를 피어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흡입 장치(2).
  19. 제 18항에 있어서, 일단 상기 약물추출용이화 수단(14)이 상기 카트리지(12)의 각 구획부(140)에 인접해서 위치되면 상기 카트리지(12)의 전진을 방지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흡입 장치(2).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부품 중의 한쪽에 설치된 멈춤부재와 체결된 경우 상기 카트리지(12)가 최종 복용분보다 더욱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부재가 상기 카트리지 상에 설치되어 있는 흡입 장치(2).
  21. 삭제
KR1020067000519A 2003-07-09 2004-07-09 다회용 흡입기 KR101075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700MU2003 2003-07-09
IN700/MUM/2003 2003-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483A KR20060026483A (ko) 2006-03-23
KR101075962B1 true KR101075962B1 (ko) 2011-10-21

Family

ID=3404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519A KR101075962B1 (ko) 2003-07-09 2004-07-09 다회용 흡입기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US (1) US7395821B2 (ko)
EP (1) EP1641508B1 (ko)
JP (1) JP4616258B2 (ko)
KR (1) KR101075962B1 (ko)
CN (1) CN1856336A (ko)
AP (1) AP2006003491A0 (ko)
AT (1) ATE440630T1 (ko)
AU (1) AU2004255029B2 (ko)
BR (1) BRPI0412427A (ko)
CA (1) CA2531654C (ko)
CY (1) CY1109350T1 (ko)
DE (1) DE602004022810D1 (ko)
DK (1) DK1641508T3 (ko)
EA (1) EA009490B1 (ko)
EC (1) ECSP066356A (ko)
EG (1) EG24469A (ko)
ES (1) ES2330439T3 (ko)
IL (1) IL173031A (ko)
MA (1) MA27984A1 (ko)
MX (1) MXPA06000205A (ko)
NO (1) NO20060578L (ko)
NZ (1) NZ544638A (ko)
PL (1) PL1641508T3 (ko)
PT (1) PT1641508E (ko)
RS (1) RS20060005A (ko)
SI (1) SI1641508T1 (ko)
TN (1) TNSN06007A1 (ko)
UA (1) UA90997C2 (ko)
WO (1) WO2005004962A1 (ko)
ZA (1) ZA2006011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7110A1 (en) * 2005-07-13 2007-01-18 Cipla Limited Inhaler device
EP2125087A2 (en) * 2007-03-21 2009-12-02 Cipla Limited Multi-dose inhaler device
EP2224984A4 (en) 2007-12-20 2013-10-30 Astrazeneca Ab DISPENSER AND METHOD FOR DRIVING POWDER IN AIR FLOW 537
EP2082763A1 (en) * 2008-01-24 2009-07-29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Inhaler
PT2239001E (pt) 2009-03-30 2012-05-28 Sanovel Ilac Sanayi Ve Ticaret As Dispositivo inalador de pó seco
SI2239003T1 (sl) 2009-03-30 2015-04-30 Arven Ilac Sanayi Ve Ticaret A.S. Števec za inhalacijsko pripravo s suhim praškom
WO2011002406A1 (en) 2009-07-01 2011-01-06 Astrazeneca Ab Dispenser and method for entraining powder in an airflow
WO2012128692A1 (en) 2011-03-21 2012-09-27 Simplified Solutions Sweden Ab Inhalator for substances in powder form
DE102011050974A1 (de) 2011-06-09 2012-12-13 Rekers Verwaltungs-GmbH & Co. KG Betonsteinerzeu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wenigstens zweifarbiger Betonsteine
WO2013045996A1 (en) 2011-09-26 2013-04-04 Trudell Medical International Dose counter and medication delivery device
EP3042681A4 (en) * 2013-09-02 2017-05-17 Daiwa Can Company Inhaler
LT6161B (lt) 2013-09-27 2015-06-25 Uab Profarma Granuliocitų kolonijas stimuliuojančio faktoriaus sulieti baltymai su kitais augimo faktoriais, optimaliai su kamieninių ląstelių faktoriumi, ir jų gavimo būda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4363A (ja) 1997-12-02 2001-12-04 デュラ・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乾燥粉末吸入器
US20020032409A1 (en) 2000-03-09 2002-03-14 Stefan Ritsche Dispenser for medi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837318B (en) * 1982-10-08 1985-06-26 Glaxo Group Ltd Device for administering medicaments to patients
US5388572A (en) * 1993-10-26 1995-02-14 Tenax Corporation (A Connecticut Corp.) Dry powder medicament inhalator having an inhalation-activated piston to aerosolize dose and deliver same
US6116238A (en) * 1997-12-02 2000-09-12 Dura Pharmaceuticals, Inc. Dry powder inhaler
WO2002053216A2 (en) * 2001-01-08 2002-07-11 Cipla Limited An improved device for metered administration of medicament by inhal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4363A (ja) 1997-12-02 2001-12-04 デュラ・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乾燥粉末吸入器
US20020032409A1 (en) 2000-03-09 2002-03-14 Stefan Ritsche Dispenser for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09490B1 (ru) 2008-02-28
EG24469A (en) 2009-08-02
CA2531654C (en) 2011-09-20
SI1641508T1 (sl) 2009-12-31
ZA200601125B (en) 2007-04-25
NZ544638A (en) 2009-03-31
EP1641508B1 (en) 2009-08-26
US20060237008A1 (en) 2006-10-26
ATE440630T1 (de) 2009-09-15
AU2004255029A1 (en) 2005-01-20
CA2531654A1 (en) 2005-01-20
EP1641508A1 (en) 2006-04-05
CN1856336A (zh) 2006-11-01
BRPI0412427A (pt) 2006-09-05
DK1641508T3 (da) 2009-10-05
UA90997C2 (ru) 2010-06-25
NO20060578L (no) 2006-04-03
ECSP066356A (es) 2006-08-30
TNSN06007A1 (en) 2007-10-03
JP2007515997A (ja) 2007-06-21
IL173031A0 (en) 2006-06-11
CY1109350T1 (el) 2012-05-23
JP4616258B2 (ja) 2011-01-19
MA27984A1 (fr) 2006-07-03
PL1641508T3 (pl) 2010-01-29
AP2006003491A0 (en) 2006-02-28
US7395821B2 (en) 2008-07-08
ES2330439T3 (es) 2009-12-10
RS20060005A (en) 2007-12-31
EA200600177A1 (ru) 2006-08-25
DE602004022810D1 (de) 2009-10-08
MXPA06000205A (es) 2006-03-21
KR20060026483A (ko) 2006-03-23
WO2005004962A1 (en) 2005-01-20
AU2004255029B2 (en) 2010-05-20
IL173031A (en) 2011-08-31
PT1641508E (pt) 200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173031A (en) Multi-dose inhaler
CN100548405C (zh) 流体制品分配装置的容器开启装置
CN101274115B (zh) 流体制品分配装置
JP5620916B2 (ja) 吸入器装置
CN100591379C (zh) 流体制品分配装置
EP1320399B1 (en) Device for dispensing particulate material
RU217986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капсулы,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порошковом ингаляторе
US20130047985A1 (en) Dry powder inhaler assembly and containers
WO2008110809A2 (en) Dry powder inhalers
JP2008528155A (ja) 流体ディスペンサ装置
JP2008528157A (ja) 流体投与装置
JP7185529B2 (ja) 吸入器
AU686572B2 (en) Multiple lock dental floss holder and spool enclosure assembly therefor
HUE030056T2 (en) Dry powder inhaler mouthpiece button
WO2001034234A1 (en) Dry powder inhaler
JPH0838237A (ja) 塗布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