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114B1 - 코어무빙 건강의자 - Google Patents

코어무빙 건강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114B1
KR101075114B1 KR1020080129522A KR20080129522A KR101075114B1 KR 101075114 B1 KR101075114 B1 KR 101075114B1 KR 1020080129522 A KR1020080129522 A KR 1020080129522A KR 20080129522 A KR20080129522 A KR 20080129522A KR 101075114 B1 KR101075114 B1 KR 101075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driver
sheet
chai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777A (ko
Inventor
심재헌
Original Assignee
심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헌 filed Critical 심재헌
Priority to US12/812,02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00289311A1/en
Priority to PCT/KR2009/000022 priority patent/WO2009088186A2/ko
Publication of KR2009007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Abstract

이 발명은 의자의 체중이 실리는 부분의 둘레에 있는 둘레시트, 둘레시트의 중앙에 있는 코어시트, 의자프레임에 설치되어 코어시트를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는 코어구동기를 포함하는 코어무빙 건강의자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코어시트는 코어구동기에 조립되어 있고, 코어시트는 코어구동기에 의해 이동되고, 의자에 앉아 있는 동안 의자 이용자에게 체중을 받는 부분의 압력을 변동시킬 수 있고, 의자에 앉은 사람은 둔부의 압력 분포가 변동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의자의 밀착 압력을 개인의 요구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하고 둔부의 영역에 통기를 조장할 수 있다. 이 의자 장치는 둔부에 압력을 가하는 영역을 움직여 줌으로 의자에 앉아 괄약근 운동, 케겔 운동 등 건강 증진에 이용할 수 있다.
코어, 무빙, 의자

Description

코어무빙 건강의자 {CORE MOVING FITNESS CHAIR}
이 발명은 코어무빙 건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자세히는 의자에서 체중이 실리는 부분의 가운데 일부를 코어시트 영역으로 설정하고 코어시트를 기계적으로 이동시켜 의자 사용 중에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체중의 압력을 벗어나거나 낮은 압력 상태에 있게 하는 코어무빙 건강 의자이다. 이 발명에서 체중이 실리는 부분은 의자의 좌판, 등받이 또는 의자의 발판이다.
의자는 사람이 앉는 좌판을 의자 다리 위에 높여 붙인 가구이다. 의자는 좌판만을 가지는 의자, 등받이 의자, 팔걸이 의자, 발판이 부설된 의자 등이 있다. 현대인은 몸을 일으켜 서 있거나 걷는 시간보다 가정, 사무실, 휴게실, 식당, 자동차 실내에서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다. 고단한 몸은 의자에 앉아 편안하게 휴식을 얻을 수 있으나,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으로 대부분의 생활을 지속하면 의자 생활에서 체중에 눌린 부분에 혈액 순환 장애가 발생하고 제한된 자세로 몸이 굳어져 건강을 해치게 된다.
이 발명은 코어무빙 건강 의자를 제공한다. 이 발명은 의자에 앉아 있는 동안 의자에 체중이 실리는 일부 영역의 압력 변동을 유도하는 코어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의자에 앉았을 때 체중이 실리는 좌판을 둘레시트와 코어시트로 나눈 코어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의자에 앉아 있을 때 체중이 실리는 등받이를 둘레시트와 코어시트로 나눈 코어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의자에 앉았을 때 체중이 실리는 의자의 발판을 둘레시트와 코어시트로 나눈 코어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의자의 코어시트를 둘레시트보다 낮추거나 높일 수 있는 코어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코어시트를 외측(또는 위쪽) 또는 내측(또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코어구동기를 구비하는 코어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코어구동기를 모터로 구동하는 코어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은 의자의 좌판과 의자의 등받이와, 의자의 발판에 설치된 코어시트를 지속적으로 반복 구동하여 신체를 흔들어 주고 압박 부분의 압력에 변동을 주어 운동효과를 보일 수 있는 코어무빙 건강의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코어무빙 건강 의자를 설명한다. 의자에 앉았을 때 체중이 실려 눌리는 영역을 둘레시트와 코어시트로 나누고 코어시트를 둘레시트에서 물리적으로 분리시킨다. 이 발명은 의자에 앉아 있는 동안 눌리는 영역 내에서 코어시트 부분의 압력을 변동시키기 위하여 코어시트를 코어구동기로 구동시킨다.
코어구동기의 동작 제1행정은 코어시트를 둘레시트 밖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다. 제2행정은 둘레시트 밖에 있는 내측 시트를 둘레시트 안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다.
코어무빙 건강의자는 의자 이용시 체중에 눌리는 영역으로 둘레 부분인 둘레시트(100), 둘레시트 안쪽의 코어시트(200), 의자프레임(107)에 둘레시트를 지지하는 둘레프레임(110), 둘레 프레임(110)에서 분리되고 코어시트(200)를 지지하며 코어구동기에 조립되어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동작 되는 코어프레임(210), 둘레프레임에 부착되고 코어프레임에 커플링 러그(coupling lug)(315)를 조립하여 제1행정에서 코어시트를 둘레시트 밖으로 이동시키고 제2행정에서 코어시트를 둘레시트 안으로 이동시키는 코어구동기를 구성하였다.
도1에서 크랭크 기구를 포함하는 코어구동기(211)가 코어시트(200)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한다. 코어구동기(211)의 구동 모터는 감속 모터(212)이다. 구동축(213) 끝의 크랭크(214)가 크랭크핀(215)을 궤도직경(216)의 공전궤도를 따라 구동하면 커플링러그(218)에 크랭크로드(217)가 조립되고 가이드(219a)에 지지된 슬라이더(219)를 궤도직경(216)의 거리 내에서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고, 슬라이더(219)의 동작은 코어시트(200)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한다.
의자 사용 상태에서 체중에 눌리는 영역의 일부 코어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는 도1의 코어무빙 건강의자는 신체의 압력 발생부분의 압력 변동을 반복 유도하므로 의자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의자 이용자의 피로를 감소시키고 의자의 장기간 이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의자 이용자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2의 코어무빙 건강 의자는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3개 영역으로서 의자의 좌판(104), 의자의 등받이(105) 및 의자의 발판(106)를 선택하였다. 이들 좌판(104), 등받이(105) 및 발판(106)에 둘레시트(100)의 안쪽에서 물리적으로 독립되는 코어시트(200)를 각각 설치하고, 코어시트(200)에 각각 코어구동기(300)를 연결하여 코어시트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할 수 있게 하였다. 도2에서 의자의 부가 장치로서 등받이(105)는 등받이 자세 조절장치(105a)로 등받이 프레임을 의자프레임에 조립하여 등받이(105)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도2에서 발판(106)은 발판 자세 조절장치(106a)로 발판프레임의 지지체(106b)를 의자프레임에 조립하여 발판(106)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 하였다.
의자 사용 상태에서 압력이 발생하는 3개 영역의 일부영역에 설치된 코어를 각각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는 도2의 코어무빙 건강의자는 신체의 3개 영역에서 압력 발생부분의 압력 변동을 반복 유도하여 의자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피로를 감소시키고 의자의 장기간 이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3에 코어무빙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인용하였다. 부호 180은 의자에 앉았을 때 체중으로 눌리는 의자의 좌판 영역, 등받이 영역 또는 발판 영역 중의 어느 하나의 영역이다. 영역(180)은 환형의 둘레시트 영역(181)과 코어시트 영역(182)으로 나누어졌다. 둘레시트에서 코어시트 영역(182)을 코어로서 독립시켜 물리적으로 분리된 둘레시트(100)와 코어시트(200)를 만든다. 코어시트(200)는 실제로 둘레시트(100) 안쪽 공간부(110b)에 수용되고 분할 벽(110a) 또는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조물 설치하여 보호된다. 코어구동기(300)는 둘레프레임(110)에 부착이 되어있다. 코어프레임(210)과 코어구동기(300)는 커플링 러그(coupling lug)(210a)와 커플링 러그(315)를 조립하여 코어구동기(300)의 제1행정 및 제2행정에 따라 동작이 된다. 조립 방법으로 너트와 볼트로 조여 붙이거나 밴드로 감아 붙이거나 또는 용접으로 부착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조립하여 부착한다.
체중이 실리는 시트영역(180) 내에서 체중이 실리는 일부 영역(182) 시트인 코어시트(200)부분의 압력을 변동시키기 위하여 코어시트(200)를 코어구동기(300)로서 구동시킨다. 코어구동기의 제1행정은 둘레시트(100)보다 내측에 있는 코어시트(200)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코어시트(200) 부분이 받는 압력을 둘레시트(100)가 받는 압력보다 보다 높여주고, 제2행정은 둘레시트(100) 보다 외측에 있는 코어시트(200)를 둘레시트(100) 보다 내측으로 이동시켜 코어시트(200) 부분이 받는 압력을 둘레시트(100)가 받는 압력보다 보다 낮추어준다. 이러한 압력변동에 필요한 제1행정과 제2행정에 코어의 이동거리는 코어구동기(300) 크랭크핀의 공전궤도 직경(316)이다.
도3b에 간단한 수동식 코어무빙 장치를 인용하였다. 도3b에서 제1행정과 제2행정은 행정거리가 일정한 거리로 규정되지 아니한다. 코어시트(200)는 둘레시트(100)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있다. 둘레시트(100)는 둘레프레임(110)에 부착이 되어있다. 둘레시트 내측의 공간부 내에서 코어시트(200)는 회전 가능하게 코어프레임(210)에 부착되어 있다. 수동식 코어구동기는 둘레프레임(110)에 리프팅 너트(150)이 설치되고, 코어프레임(110)에 리프팅 스크류(250)가 설치된다. 리프팅스크류(250)는 리프팅너트(150)에 결합되어 있다. 코어구동기의 동작으로 둘레시트(100) 안에 있는 코어시트(200)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리프팅스크류(250)가 리프팅너트(150) 위에서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둘레시트 안에 있는 코어시트가 둘레시트 밖으로 이동한다, 코어시트(20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어시트가 둘레시트 안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의자의 코어무빙동작은 코어시트와 둘레시트의 위치를 조절하여 의자시트의 밀착부위 또는 압력 받는 부분의 압력 분포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3b의 예와 같은 코어의 수동 조절장치는 기계 기구 분야에 알려진 매우 다양한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4는 코어무빙 장치를 위한 시트 분할 생태를 좌판의 예로서 보인 것이다. 좌판에서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부분(180)은 점선의 원으로 대강을 표시한 바와 같이 둘레시트(100)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달리 표현하면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영역(180)은 둘레시트(100) 안에 포함되고 있다. 둘레시트(100)는 환형 시트를 이루고 있다. 코어시트(200)는 둘레시트에서 물리적으로 분되어있다.
도5는 코어무빙 장치를 위한 시트 분할 생태의 다른 예를 보인 것이다. 좌판에서 체중이 실려 압력이 발생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둘레시트(100)는 앞의 터진 부분(100a)을 포함하고, 코어시트(200)는 둘레시트 내측에 물려 있다. 앞이 터진 둘레시트는 의자에 앉을 때 신체 기관의 일부를 압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도6, 도7에서 제1행정, 제2행정 코어구동기의 상세한 구성을 인용하였다. 코어구동기(300)는 크랭크를 포함하는 코어구동기(300)이다. 코어구동기(300)는 둘레프레임(110)에 플렌지(311)로 부착되는 코어구동기(300)의 하우징(310), 하우징(310)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슬라이더(312), 슬라이더(312)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 레일(313), 레일(313)과 슬라이더(312)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 공간부(314), 슬라이더를 코어프레임(210)에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러그(315), 하우징(310)에 부착되어 구동축(323)이 공간부(314) 안에 있는 감속 기어드모터(320), 기어드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크랭크(324), 크랭크(324)와 슬라이더(312) 러그(312a)를 핀(325,326)으로 연결하는 크랭크로드(327)를 구성하고 있다.
삭제
크랭크를 포함하는 코어구동기(300)는 기어드 모터(320)에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구동축(323)이 크랭크(324)를 회전시킨다. 크랭크의 회전에 따른 크랭크핀(326)의 공전 궤도 원 운동은 크랭크로드(327) 외단의 핀(325)을 구동한다. 슬라이더(312)는 슬라이더 레일(313)에 지배되어 직선 운동 속성을 가지게 되고, 러그(312a) 및 핀(325)으로 크랭크로드(327)와 조립이 되어있어 크랭크 운동에 링크된다. 이 같이 크랭크로 구동되는 슬라이더(312)는 하우징(310)의 외측으로 이동할 때 제1행정으로 동작 되고, 하우징(310)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제2행정으로 동작 된다.
도8, 도9에서 다른 제1행정, 제2행정 코어구동기의 상세한 구성을 인용하였다. 이 코어구동기는 캠을 포함하는 코어구동기(301)이다. 코어구동기(301)는 둘레프레임(110)에 플렌지(311)가 부착되는 하우징(310), 하우징(310)에 상하로 이동 할 수 있게 지지되는 슬라이더(312), 슬라이더(321)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 레일(313), 슬라이더레일(313)과 슬라이더(312)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 공간부(314), 슬라이더를 코어프레임(210)에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러그(315), 하우징(310)에 부착되어 구동축(323)이 공간부(314) 안에 있는 감속 기어드모터(320), 기어드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크랭크(324), 슬라이더(312)의 운동 방향에 직각이 되게 슬라이더(312)에 길게 설치한 캠 홀(330), 크랭크(324)에 설치되어 구동축의 둘레를 공전하며 캠홀(330)에 끼워져 슬라이더(312)를 레일(313)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핀(331)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삭제
삭제
캠을 포함하는 코어구동기(301)는 기어드 모터(320)에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구동축(323)이 캠 홀(330) 내에서 캠핀(331)을 회전시킨다. 슬라이더(312)는 슬라이더 레일(313)에 지배되어 직선 운동 속성을 가지게 되므로 슬라이더(312)는 하우징(310)의 둘레으로 이동할 때 제1행정으로 동작되고, 하우징(310)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제2행정으로 동작이 된다.
코어구동기(300,301)는 제1행정과 제2행정을 반복하는 구동에 적합하다. 코어구동기(300,301)에서 제1행정과 제2행정의 반복주기는 매분 600회 이내로 한다. 적당하게는 매분 1회 내지 240회이다. 사무용 의자에서 매분 1회의 반복주기가 좋았다. 휴식용 의자에서 매분 40회의 반복주기가 좋았다. 일시적인 마사지가 필요한 경우 매분 40내지 600회의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터(320)는 의자의 용도에 따라 속도 조절 제어를 할 수 있는 기어드 모터가 좋다.
코어구동기(300 또는 301)가 구동이 될 때 구동축의 위치를 프로그램 제어하기 위하여 코어구동기 모터(320)의 구동축(323)에 위치 검출수단(350)을 설치한다. 구동축(323)에 위치 검출수단을 설치하면 모터(320)의 구동을 프로그램 제어하여 제1행정과 제2행정의 끝에서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켜 코어시트(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검출수단(350)을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 제1행정과 제2행정의 일정한 위치에서 코어시트(200)를 고정 시킬수있다.
크랭크와 크랭크로드가 직선 위에 배열이 되는 상태를 위치검출수단으로 포착하고, 이 위치에서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키면 코어시트가 고정이 된다.
도7, 도8에서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한 구동축(323)의 위치 검출수단의 설치 예를 인용하였다. 위치 검출수단(350)은 구동축(323)에 부착되고 스위치에 접촉되어 스위치 상태를 바꾸어 주기 위한 이동핀(351)과 이동핀(351)에 닿아 스위칭 동작이 있도록 모터 구동축 주변에 평각으로 대응시켜 배치한 두 개의 마이크로스위치(352,353)로 구성하였다. 크랭크(324)의 최상위 위치에서 이동핀(351)이 마이크로스위치(352)를 동작시키도록 마이크로스위치(352)를 설치하고, 크랭크(324)의 최하위 위치에서 이동핀(351)이 마이크로스위치(353)를 동작시키도록 마이크로스위치(353)를 설치하면 마이콤 제어부에서 스위치(352,353) 신호로서 제1행정의 종단점과 제2행정의 종단점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하면 제1행정과 제2행정의 어느 일정한 중간점의 위치를 제어부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위치검출 수단은 마이크로스위치 외에도 광 커플러를 이용한 검출수단, 자기 센서를 이용한 검출 수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10, 도11에 다른 코어구동기를 인용하였다. 코어시트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고 랙기어를 포함하는 코어구동기(400)는 둘레프레임(110)에 부착된 리프팅 지지체(410), 리프팅 지지체(410)에 의지되어 상하로 이동 안내되는 코어 리프팅 축(411), 리프팅 축(411)에 이송방향으로 부설된 랙기어(430), 회전 방향에 따라 랙기어(430)를 상,하로 이동하는 웜나사(440), 웜나사(440)를 모터에 연결하는 구동축(423), 구동축(423)을 통해 웜나사(440)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420), 랙기어(430)에 부착되어 랙기어의 상승위치 및 하강 위치를 알려주는 이동핀(451), 이동핀(423)의 제1행정 상단점 및 제2행정 하단점에 설치하여 랙기어 이동 위치를 프로그램 할 수 있게 하는 마이크로스위치(452,453)을 포함시켜 구성한다.
코어구동기(400)는 모터(460)에 제1방향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위치가 고정된 웜나사(440)를 구동축(423)이 제1 방향으로 돌려준다. 웜나사(440)의 제1방향 회전은 리프팅지지체(410)에 슬라이딩 되게 조립된 리프팅축(411)과 함께 랙기어(430)를 밀어 올린다. 랙기어(430)의 상승 동작은 이동핀(451)을 이동시켜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에 접촉되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를 동작시킨다. 제어부는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신호를 검출하고 모터(42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제어부에서 모터(420)에 제2방향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구동축(423)이 웜나사(440)를 제2방향으로 돌려준다. 웜나사(44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 리프팅지지체(410)에 조립된 리프팅축(411)과 함께 랙기어(430)를 끌어 내린다. 랙기어(430)의 하강 동작은 이동핀(451)을 이동시켜 하부 마이크로스위치(453)에 접촉되고 하부 마이크로스위치(453)를 동작시킨다. 제어부는 하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신호를 검출하고 모터(460)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이와 같은 랙기어(430)의 상승 동작은 코어시트(200)를 리프팅축(411)에 부착된 코어프레임(21)과 함께 제1행정 동작으로 구동하고, 랙기어(430)의 하강 동작은 코어시트(200)를 리프팅축(420)에 부착된 코어프레임(21)과 함께 제2행정 동작으로 구동한다. 코어구동기(400)에서 웜나사(440)의 회전은 랙기어(430)를 이동시키고 랙기어(430)는 웜나사(440)를 이동시키지 못하므로 모터(460)의 구동이 중지되면 코어시트(200)는 구동이 정지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10의 코어구동기에서 리프팅지지체(410)는 둘레프레임(110)에서 독립되어 제작되고 둘레프레임(110)에 조립이 될 수 있다. 도10의 구동기구에서 리프팅축(411)은 코어프레임(210)에서 독립된 부품으로 제작되고 코어프레임(210)에 조립 될수 있다.
도10의 코어구동기는 위치 검출수단을 생략하고 웜 나사를 핸들로 구동할 수 있게 하여 수동식 코어구동기로 사용할 수 있다.
도12에 구동 제어부의 구성을 인용하였다. 랙기어(430)를 포함하는 코어구동기(400)는 도12의 구동부 제어를 받아 코어시트(200)로 설치된 코어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한다.
크랭크(324)를 포함하는 코어구동기(300)나 코어구동기(301)는 도12의 제어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모터의 구동전류를 공급하면 제1행정과 제2행정을 반복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랙기어(430)를 사용하지 않는 코어구동기(300,301)라 하더라도 모터 축의 위치를 검출하여 코어구동기의 동작을 프로그램 제어하려면 마이콤 구동 제어부의 제어를 이용해야 한다.
코어시트(200)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는 코어구동기의 제어부(500)는
제어를 위해 프로그램 된 마이콤(510)에 구동 개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마이콤(51)에 연결한 제어판(511)상의 구동개폐 스위치(512),
전원상태를 보여주도록 마이콤(510)에 연결된 제어판상의 표시램프(513),
동작 상태 정보를 마이콤(510)이 표시할 수 있게 마이콤에 연결한 표시부(515),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부(530)로 부터 모터(42)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모터구동드라이버(520),
이동핀(451)이 접촉되어 개폐되고 제1행정 상단의 위치신호를 마이콤에 제공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452),
이동핀(451)이 접촉되어 개폐되고 제2행정의 하단의 위치신호를 마이콤에 제공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마이크로스위치(453)로 구성하였다.
삭제
제어부(500)의 순환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단계 0000 : 마이콤(51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 프로그램을 초기화한다. 제어판 전원표시 램프(513)를 점등한다. 표시부(515)에 구동중 임을 표시한다. 제어판(511)의 개폐스위치(512)를 감시하여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로 간다.
단계 0001 : 마이콤(510)이 모터(420)를 제1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모터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 감시하여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2로 가고, 제어판 개폐스위치(512)를 상태를 감시하여 스위치(512) 온 상태를 검출하면 단계 0005로 간다.
단계 0002 :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공급을 중지하고, 제어판 개폐 스위치(512)를 감시한다. 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3으로 간다.
단계 0003 : 마이콤(510)이 모터(420)를 제2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모터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상태를 감시하여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4로 가고, 제어판 개폐스위치(512)를 감시하여 스위치 온 상태를 검출하면 단계 0006으로 간다.
단계 0004 :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개폐 스위치(512)를 감하여 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 로 간다.
단계 0005 : 모터(420)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구동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의 상태를 감시한다. 구동 개폐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로 간다.
단계 0006 : 모터(420)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구동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의 상태를 감시한다. 구동 개폐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3으로 간다.
이 발명은 코어를 이동시키는 건강 의자를 제공한다. 이 발명 코어무빙 의자는 의자에 앉아 있는 동안 체중에 눌리는 일부 영역의 압력 변동을 유도한다. 압력의 변동은 보통 앉은 상태의 압력보다 높거나 낮은 압력이다. 이 발명 코어무빙 세트는 의자의 좌판, 의자의 등받이 또는 의자의 발판 중 하나 이상에 적용하였다. 이 발명은 의자의 코어시트를 둘레시트보다 낮추거나 높일 수 있고, 코어구동기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구동이 되고, 의자에 몸을 의지시켰을 때 코어시트를 구동하여 압력을 변동시키므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압박되는 부분의 혈액 순환을 도와 건강을 증진시킨다. 이 발명은 사무용 의자에 적용하여 사무 중에 구동시킬 수 있고, 휴식용 의자에 적용하여 휴식 중에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실시 예 1.
사무용 의자 실시 예
사무용 의자의 좌판에 의자의 코어무빙 세트를 설치하였다.
코어무빙 세트의 사양으로
1) 코어시트의 면적은 둘레시트에서 압력이 발생하는 면적의 50%정도이다.
2) 코어시트는 의자프레임에 연결된 둘레프레임 안쪽에 리브로 보호되는 공간부에 설치하였다.
3) 코어시트는 공간부내에서 코어프레임에 지지된다.
4) 코어구동기는 둘레프레임에 부착되었다.
5) 코어프레임은 커플링 러그(coupling lug)로 코어구동기에 연결이 되었다.
6) 코어시트의 제1행정 및 제2행정의 행정거리는 3cm 이다.
7) 코어구동기를 매분 1회 구동 하였다.
사용결과 의자에 앉았을 압력을 많이 받는 부분이 코어시트와 둘레시트로 반복하여 이동되었다. 사용 느낌은 피로감이 감소하였다.
삭제
실시 예 2.
소파에 적용 실시 예
실시 예 1의 코어무빙세트를 소파의 좌판 부분과 등받이 부분에 설치하였다.
실시 예 3.
코어무빙 세트 3개 설치 실시 예
발판이 있는 휴식용 의자의 아래에 기재한 3개 장소에 실시 예 1의 코어무빙 세트를 설치하였다.
1) 의자의 좌판 부분
2) 의자의 등받이 부분
3) 의자의 발판 부분
실시 예 4.
크랭크타입 코어구동기(300)를 다음 주요 부품을 포함하여 제작 하였다.
1) 둘레프레임(110)에 플렌지(311)로 부착되는 코어구동기(300)의 하우징(310)
2) 하우징(310)에 상하로 이동 할 수 있게 지지되는 슬라이더(312)
3) 슬라이더(312)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 레일(313)
4) 슬라이더를 코어프레임(210)에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러그(315)
5) 구동축(323)이 공간부(314) 안에 들어오게 조립되는 감속 기어드 모터(320)
6) 기어드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크랭크(324)
7) 크랭크로드(327)
8) 크랭크(324)와 슬라이더(312) 러그(312a)를 연결하는 핀(325,326)
실시 예 5.
크랭크와 캠을 조합한 코어구동기(301)를 다음 주요 부품을 포함하여 제작 하였다.
1) 둘레프레임(110)에 플렌지(311)로 부착되는 코어구동기(300)의 하우징(310)
2) 하우징(310)에 상하로 이동 할 수 있게 지지되는 슬라이더(312)
3) 슬라이더(312)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 레일(313)
4) 슬라이더를 코어프레임(210)에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러그(315)
5) 구동축(323)이 공간부(314) 안에 들어오게 조립되는 감속 기어드 모터(320)
6) 기어드 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크랭크(324)
7) 슬라이더(312)에 설치되는 캠홀(330)
8) 크랭크(324)에 설치되어 캠홀(330)에 끼워지는 캠핀(331)
실시 예 6.
실시 예 4의 코어구동기에 다음 부품을 포함하는 구동축의 위치 검출수단(350)을 더 설치하였다.
1) 구동축(325)에 부착된 이동핀(351)
2) 이동핀에 닿아 스윗칭 동작이 되는 마이크로스위치(352)
3) 이동핀에 닿아 스윗칭 동작이 되는 마이크로스위치(353)
크랭크와 크랭크로드가 직선상에 놓이는 상태를 위치 검출수단으로 포착하여 코어시트의 고정수단으로 이용하였다.
실시 예 7.
실시 예 5의 코어구동기에 다음 부품을 포함하는 구동축의 위치 검출수단(350)을 더 설치하였다.
1) 구동축(325)에 부착된 이동핀(351)
2) 이동핀에 닿아 스윗칭 동작이 되는 마이크로스위치(352)
3) 이동핀에 닿아 스윗칭 동작이 되는 마이크로스위치(353)
크랭크와 크랭크로드가 직선상에 놓이는 상태를 위치 검출수단으로 포착하여 코어시트의 고정수단으로 이용하였다.
실시 예 8.
실시 예 1의 의자에서 제1행정과 제2행정의 반복주기를 매분 30회로 하였다.
실시 예 9.
랙기어를 포함하는 코어구동기(400)를 다음 주요 부품을 포함하여 제작하였다.
1) 둘레프레임(110)에 부착된 리프팅 지지체(410)
2) 리프팅 지지체(410)에 의지되어 상하로 이동 안내되는 코어 리프팅축(411)
3) 리프팅 축(411)에 이동 방향으로 부설된 랙기어(430)
4) 회전 방향에 따라 랙기어(430)를 상,하로 이동하는 웜나사(440)
5) 웜나사(440)를 모터에 연결하는 구동축(423)
7) 구동축(423)을 통해 웜나사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420)
8) 랙기어(430)에 부착된 이동핀(451)
9) 이동핀에 접촉되어 동작되는 상단점 마이크로스위치(472)
10) 이동핀에 접촉되어 동작되는 하단점 마이크로스위치(473)
실시 예 10.
실시 예 9에서 랙 기어와 웜 나사 결합체를 코어시트의 고정수단으로 활용 하였다.
실시 예 11.
실시 예 9의 코어구동기 제어부(500)를 다음 구성을 포함하여 제작하였다.
1) 제어판 및 구동 스위치(511)
2) 모터 구동드라이버(520)
3) 제1행정 상단점에 설치하여 위치정보를 마이콤(510)에 제공하는 마이크로 스위치(352)
4) 제2행정 하단점에 설치하여 위치정보를 마이콤(510)에 제공하는 마이크로 스위치(353)
5) 제어용 마이콤
실시 예 12.
실시예 11의 제어부 마이콤(510)을 다음 처리 단계를 포함하도록 프로그램 하였다.
단계 0000 : 마이콤(510)이 초기화 된 후 제어판(511)의 개폐스위치(512)에서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로 간다.
단계 0001 : 마이콤(510)이 모터(420)를 제1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모터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고, 제어판 개폐스위치(512)와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상태를 감시하여 제어판 개폐스위치(512) 온 상태를 검출하면 단계 0005으로 가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2로 간다.
단계 0002 :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공급을 중지하고, 제어판 개폐 스위치(512)를 감시하여, 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3으로 간다.
단계 0003 : 마이콤(510)이 모터(420)를 제2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모터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고, 제어판 개폐스위치(512)를 감시하여 개폐스위치(512) 온 상태를 검출하면 단계 0006으로 가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상태를 감시하여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4로 간다.
단계 0004 :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개폐 스위치(512)를 감하여 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 로 가고,
단계 0005에서 모터(420)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구동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의 상태를 감시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로 간다.
단계 0006 : 모터(420)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구동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의 상태를 감시하여 구동 개폐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3으로 간다.
실시 예 13.
다음 부품을 포함하여 코어시트 수동 코어구동기를 제조하였다.
1) 둘레프레임에 설치된 리프팅 너트,
2) 코어프레임에 설치되고 리프팅 너트에 조립된 리프팅 스크류
실시 예 14.
다음 부품을 포함하여 웜 나사를 수동으로 움직이는 코어구동기를 제조하였다.
1) 둘레프레임(110)에 부착된 리프팅 지지체(410)
2) 리프팅 지지체(410)에 의지되어 상하로 이동 안내되는 코어 리프팅축(411)
3) 리프팅 축(411)에 이동 방향으로 부설된 랙기어(430)
4) 회전 방향에 따라 랙기어(430)를 상,하로 이동하는 웜나사(440)
5) 웜 나사(440)를 손으로 돌려 구동하도록 웜 나사에 연결 설치한 핸들
도1은 이 발명의 코어무빙 의자의 가장 간단한 구성의 실시 예도
도2는 코어무빙세트를 하나 이상 설치한 의자의 예도
도3은 코어무빙 세트의 구성 예도
도3b는 수동식 코어무빙 세트의 구성 예도
도4는 둘레시트와 코어시트의 구획을 보인 평면 예도
도5는 일부가 열린 둘레시트의 예도
도6은 크랭크를 포함하는 코어구동기의 평면 예도
도7은 크랭크와 크랭크로드를 포함하는 코어구동기의 단면 예도
도8은 크랭크와 캠을 결합한 코어구동기의 측단면 예도
도9는 크랭크와 캠을 결합한 코어구동기의 정단면 예도
도10은 랙기어와 웜나사로 구성한 코어구동기의 측면 예도
도11은 랙기어와 웜나사를 포함하는 코어구동기의 평단면도
도12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코어구동기의 제어부 블록도
삭제

Claims (14)

  1.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리는 부분의 둘레 부분인 둘레시트, 둘레시트 안쪽의 코어시트, 둘레시트를 지지하는 둘레프레임, 코어시트를 지지하며 코어구동기에 조립되어 이동되는 코어프레임 및 코어프레임에 조립되어 제1행정에서 코어시트를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행정에서 코어시트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코어구동기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코어구동기는 둘레프레임(110)에 플렌지(311)로 부착되는 하우징(310), 하우징(310)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슬라이더(312), 슬라이더(312)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 레일(313), 레일(313)과 슬라이더(312)를 수용하는 하우징 내부 공간부(314), 슬라이더를 코어프레임(210)에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러그(315), 하우징(310)에 부착되고 구동축(323)이 공간부(314) 안에 있는 감속 기어드모터(320), 기어드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크랭크(324) 및 크랭크(324)와 슬라이더(312) 러그(312a)를 핀(325,326)으로 연결하는 크랭크로드(327)를 포함하는 코어무빙 건강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리는 부분의 둘레 부분인 둘레시트, 둘레시트 안쪽의 코어시트, 둘레시트를 지지하는 둘레프레임, 코어시트를 지지하며 코어구동기에 조립되어 이동되는 코어프레임 및 코어프레임에 조립되어 제1행정에서 코어시트를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행정에서 코어시트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코어구동기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캠을 포함하는 코어구동기(301)는 둘레프레임(110)에 플렌지(311)가 부착되는 코어구동기(300)의 하우징(310), 하우징(310)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슬라이더(312), 슬라이더(321)를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더 레일(313), 슬라이더레일(313)과 슬라이더(312)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부(314), 슬라이더를 코어프레임(210)에 조립하기 위한 커플링러그(315), 하우징(310)에 부착되어 구동축(323)이 공간부(314) 안에 있는 감속 기어드모터(320), 기어드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크랭크(324), 슬라이더(312)의 운동 방향에 직각이 되게 슬라이더(312)에 길게 설치한 캠 홀(330) 및 크랭크(324)에 설치되어 구동축의 둘레를 공전하며 캠홀(330)에 끼워져 슬라이더(312)를 레일(313)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는 캠핀(331)을 포함하는 코어무빙 건강의자.
  6. 청구범위 제1항,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기어드모터(320)의 구동축(323)에 구동축의 위치 검출수단(350)을 설치하여 크랭크(324) 끝의 위치 상태를 프로그램 할 수 있게 구성한 코어무빙 건강의자.
  7. 청구범위 제6항에 있어서, 구동축의 위치 검출수단은 구동축(325)에 부착된 이동핀(351)과 이동핀에 닿아 스위칭 동작이 있도록 모터 구동축 주변에 평각으로 대응시켜 배치한 두 개의 마이크로스위치(352,353)인 코어무빙 건강의자.
  8. 청구범위 제1항,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 항에 있어서,
    코어시트의 제1행정과 제2행정을 발생시키는 코어구동기는 모터(320)를 연속 회전시켜 코어시트의 제1행정과 제2행정이 반복되고,
    제1행정과 제2행정의 반복주기가 매분 600회 이하인 코어무빙 건강의자.
  9. 의자 이용자의 체중이 실리는 부분의 둘레 부분인 둘레시트, 둘레시트 안쪽의 코어시트, 둘레시트를 지지하는 둘레프레임, 코어시트를 지지하며 코어구동기에 조립되어 이동되는 코어프레임 및 코어프레임에 조립되어 제1행정에서 코어시트를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행정에서 코어시트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랙기어 코어구동기를 구비하고, 랙기어 코어구동기(400)에서 둘레프레임(110)에 부착된 리프팅 지지체(410), 리프팅 지지체(410)에 의지되어 상하로 이동 안내되는 코어 리프팅축(411), 리프팅 축(411)에 이동 방향으로 부설된 랙기어(430), 회전 방향에 따라 랙기어(430)를 상,하로 이동하는 웜나사(440), 웜나사(440)를 모터에 연결하는 구동축(423), 구동축(423)을 통해 웜나사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420) 및 랙기어(430)에 부착되어 랙기어의 상승위치 및 하강 위치를 알려주는 이동핀(451)의 상단점 및 하단점에 설치하여 랙기어 위동 위치를 프로그램 할 수 있게 하는 마이크로스위치(472,473)를 더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랙기어 코어구동기의 제어부(500)는 제어를 위해 프로그램 된 마이콤(510)에 구동 개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판 상의 구동 스위치(511), 마이콤(510)의 구동제어 신호에 따라 코어시트를 제1행정으로 구동하도록 코어구동기 모터에 전류를 공급하는 모터 구동드라이버(520), 이동핀의 제1행정 상단점에 설치하여 위치정보를 마이콤(510)에 제공하도록 마이콤에 연결된 상단점 마이크로스위치(352), 이동핀의 제2행정 하단점에 설치하여 위치정보를 마이콤(510)에 제공하도록 마이콤에 연결된 하단점 마이크로스위치(353)를 포함하는 코어무빙 건강의자.
  10.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코어시트를 제1행정과 제2행정으로 구동하는 코어구동기에 코어시트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코어시트 고정수단은 랙 기어와 웜 나사 결합체인 코어무빙 건강의자.
  11. 삭제
  12.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제어부 마이콤(510)는
    단계 0000에서 마이콤(510)이 초기화 된 후 제어판(511)의 개폐스위치(512)에서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로 가고,
    단계 0001에서 마이콤(510)이 모터(420)를 제1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모터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고, 제어판 개폐스위치(512)와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상태를 감시하여 제어판 개폐스위치(512) 온 상태를 검출하면 단계 0005으로 가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2로 가고,
    단계 0002에서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공급을 중지하고, 제어판 개폐 스위치(512)를 감시하여, 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3으로 가고,
    단계 0003에서 마이콤(510)이 모터(420)를 제2방향으로 구동하는 전류를 공급하도록 모터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고, 제어판 개폐스위치(512)를 감시하여 개폐스위치(512) 온 상태를 검출하면 단계 0006으로 가고, 상부 마이크로스위치(452)의 상태를 감시하여 스위치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4로 가고,
    단계 0004에서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 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개폐 스위치(512)를 감하여 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 로 가고,
    단계 0005에서 모터(420)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구동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의 상태를 감시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1로 가고,
    단계 0006에서 모터(420) 구동드라이버(520)를 제어하여 모터구동전류공급을 중지하고, 구동 개폐스위치(512)의 상태를 감시하여 구동 개폐스위치(512) 온 신호를 얻으면 단계 0003으로 가도록 프로그램 된 코어무빙 건강의자.
  13. 삭제
  14. 삭제
KR1020080129522A 2008-01-07 2008-12-18 코어무빙 건강의자 KR101075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12,026 US20100289311A1 (en) 2008-01-07 2009-01-05 Core moving fitness chair
PCT/KR2009/000022 WO2009088186A2 (ko) 2008-01-07 2009-01-05 코어 무빙 건강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1645 2008-01-07
KR1020080001645 2008-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777A KR20090076777A (ko) 2009-07-13
KR101075114B1 true KR101075114B1 (ko) 2011-10-19

Family

ID=4133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522A KR101075114B1 (ko) 2008-01-07 2008-12-18 코어무빙 건강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289311A1 (ko)
KR (1) KR1010751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920B1 (ko) 2012-09-11 2014-05-19 지연 링거주사 거치대용 의자
KR20190079903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리라이브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032Y1 (ko) * 2013-01-18 2013-07-17 노용우 요추보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0291A (en) * 1934-11-13 Barber chair or the like
US1375652A (en) * 1917-07-30 1921-04-19 Joseph J Carlotti Therapeutic apparatus
US2427234A (en) * 1942-04-23 1947-09-09 Nathaniel T Shepherd Vertically adjustable seat
US2445158A (en) * 1946-04-18 1948-07-13 Sparhawk Frank Hospital bed
US3298363A (en) * 1963-07-12 1967-01-17 Parmac Corp Physiotherapy apparatus with adjustable body supporting members
US3529311A (en) * 1968-07-01 1970-09-22 N B Crawford Crib bouncer for tranquilizing infants
US3699288A (en) * 1971-03-08 1972-10-17 Dana Corp Speed responsive switch
DE3048293A1 (de) * 1979-12-29 1981-10-15 Mabuchi Motor Co.,Ltd., Tokyo "schoenheitsbehandlungsvorrichtung"
US4340205A (en) * 1980-06-24 1982-07-20 Leezer Max L Lifting jack
US4557454A (en) * 1983-07-20 1985-12-10 Urella Anthony R Lift mechanism for a dental chair
JP2694694B2 (ja) * 1988-02-18 1997-12-24 ライナー マリア株式会社 バイブレータ
WO1996002221A1 (en) * 1994-07-14 1996-02-01 Jensen Robert J Dynamic continuous passive motion chair
US6070567A (en) * 1996-05-17 2000-06-06 Nissan Motor Co., Ltd. Individual cylinder combustion state detection from engine crankshaft acceleration
US5904660A (en) * 1997-04-28 1999-05-18 Kim; Yeon-Soo Physiotherapy and health improvement instrument
AU2002212759A1 (en) * 2000-11-21 2002-06-03 Bridgestone Corporation Seat pad for vehicle
US20030055365A1 (en) * 2001-09-20 2003-03-20 Hazard Rowland G. System for providing lumbar motion and support
KR200280261Y1 (ko) * 2002-04-12 2002-07-02 김이도 성소부의 근육 단련장치
KR100416937B1 (ko) * 2002-11-18 2004-01-31 강병모 회음부 근력 증강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920B1 (ko) 2012-09-11 2014-05-19 지연 링거주사 거치대용 의자
KR20190079903A (ko)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리라이브 바른자세 유지 및 케겔운동을 위한 스마트 방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89311A1 (en) 2010-11-18
KR20090076777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4888B2 (ja) 持ち運び可能なボディーマッサージ器
KR20150119783A (ko) 곡형 레일을 갖춘 마사지 의자
WO2006137236A1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マッサージ機、椅子型マッサージ機の操作装置、及び椅子型マッサージ機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01075114B1 (ko) 코어무빙 건강의자
JP2004283266A (ja) 休息用椅子型施療機
US11730662B2 (en) Massage chairs having massage apparatuses for legs and feet and for hands and arms
US20070232460A1 (en) Exercise chai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274692B2 (ja) マッサージ機
US20200222273A1 (en) Topical massage device, and chair and mat provided with topical massage device
JP2020529908A (ja) ストレッチング機能性を向上させた按摩椅子
KR20220123611A (ko) 방향전환이 가능한 회전형 안마의자
KR200276400Y1 (ko) 좌욕 맛사지 장치
KR20040088329A (ko) 다리 스트레칭기구
CN219090140U (zh) 一种多功能理疗老年护理装置
CN211326754U (zh) 一种肛肠疾病熏蒸康复理疗座椅
CN112618311B (zh) 一种康养按摩座椅
KR102394632B1 (ko) 스트레칭 안마의자
KR100572832B1 (ko) 허리운동기능을 갖는 회전의자
KR200217023Y1 (ko) 등받이 의자용 안마기
JP5188943B2 (ja) 自動加振健康器具
KR101572989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전동 꺼꾸리 운동기구
KR20100134304A (ko) 두피 회전 운동에 의한 탈모방지 발모촉진기
KR20030070160A (ko) 러브 의자
KR960000390B1 (ko) 혈액순환과 피로회복을 위한 안마기
KR200274531Y1 (ko) 러브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