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477B1 -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477B1
KR101074477B1 KR1020090039949A KR20090039949A KR101074477B1 KR 101074477 B1 KR101074477 B1 KR 101074477B1 KR 1020090039949 A KR1020090039949 A KR 1020090039949A KR 20090039949 A KR20090039949 A KR 20090039949A KR 101074477 B1 KR101074477 B1 KR 101074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head
unit
capping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017A (ko
Inventor
최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아이
Priority to KR1020090039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47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05Caps, spittoons or covers for cleaning or preventing dry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3Waste ink transport from caps or spittoo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cleaning fluids
    • B41J2002/16555Air or gas fo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에 밀착되어 노즐을 밀봉하는 캡핑부; 캡핑부에 연결되어 노즐에 진공을 가하고, 에어를 분사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잉크의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노즐의 매니스커스를 이동시켜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는 잉크유동부; 및 캡핑부가 상기 헤드에 밀착, 분리 가능하게 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헤드, 노즐, 잉크, 매니스커스, 건조, 증발, 진공, 분사

Description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NOZZLE DRYNESS PREVENTION DEVICE OF HEAD}
본 발명은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의 노즐에 일정 시간 동안 흡입력과 분사력을 반복적으로 가하여서 잉크의 건조로 인하여 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노즐의 토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문자나 도안이 입력되면, 제어부를 거쳐 프린터 헤드에서 토출되는 잉크의 분사량을 제어하여 인쇄지에 그 입력된 문자나 도안이 출력되는 인쇄장치로서, 최근에는 디지털 복합기 형태로 많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프린터는 출력을 위해 사용되는 인쇄물 물질에 따라 크게 액체 잉크 프린터와, 미세 입자 분말을 사용하는 레이저 프린터(Laser Printer)로 구분된다.
이중 잉크 프린터는 레이저 프린터와 달리 카트리지의 사용에 따라 다양한 칼라의 구현이 가능하고 소음이 적으며, 인쇄된 글자의 품질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지니므로 점차적으로 사용영역이 증대하는 추세이다.
그리고, 잉크 프린터는 프린터 헤드를 통하여 인쇄용 잉크의 미세한 액적(Droplet)을 인쇄용지상의 원하는 위치에 토출시켜 소정 색상의 글자와 도안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잉크 프린터의 잉크 분사방식은 프린터 헤드에 설치된 노즐로부터 잉크 액적을 토출시키고, 그 토출된 잉크 액적을 기록 대상에 고압으로 분사하여 탄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그 탄착 간격이 조밀할수록 고화질의 글자와 도안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잉크 액적의 토출에 의한 인쇄품질은 글자와 도안의 밝기 및 선명도 등에 의해 평가될 수 있으며, 이 인쇄품질은 결국 프린터 헤드의 성능에 따라 좌우된다.
한편, 프린터 헤드는 인쇄하는 시간보다 대기하는 시간이 더 많을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헤드의 노즐 내에 저장된 잉크가 유동 되지 않고 정체되어 있다. 그러므로, 잉크 중의 용제가 증발되어 잉크의 점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올라간다.
그런데, 종래의 프린터 헤드는 잉크의 점도가 높아지므로 인하여 결국에는 잉크가 노즐의 내벽 면에 굳게 되거나 외부와 잉크와의 경계면에 피막이 형성되어 토출 불량이 발생 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프린터 헤드 노즐에서 잉크가 토출 되더라도 토출방향이 왜곡이 발생 되어 정확한 인쇄 위치에 인쇄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은, 헤드의 노즐에 일정 시간 동안 흡입력과 분사력을 반복적으로 가하여서 잉크의 건조로 인하여 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노즐의 토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프린터 헤드에 캡핑 부재를 상승하여 밀착시킬 때, 탄성적으로 눌려지도록 구성하고, 사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는, 헤드에 밀착되어 노즐을 밀봉하는 캡핑부; 상기 캡핑부를 고정하고, 상기 캡핑부가 상기 헤드에 밀착, 분리 가능하도록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 및 상기 캡핑부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에 진공을 가하고 에어를 분사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잉크의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노즐의 매니스커스를 이동시켜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는 잉크유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캡핑부는, 상기 노즐을 감싸도록 캡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면으로 에어가 이동하는 에어이동부를 형성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부재가 탄성적으로 이동되게 하는 탄성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헤드에 밀착되기 위한 시일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이동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배면돌부가 통공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저면과 상기 지지부재 상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이동판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안내홈에 이동 이동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면돌부의 끝단부분을 구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이동판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에 설치된 가이드축은, 상기 지지부재의 테두리 상측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판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고정된 이탈방지축이 구비되어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잉크유동부는, 상기 캡핑부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는 흡입부와; 상기 캡핑부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에 에어 분사력을 가하는 분사부와; 상기 흡입부와 분사부의 반복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부와 상기 분사부는, 상기 캡핑부의 에어이동부에 연결되는 메인관로에 흡입관로와 분사관로로 각각 연결되되, 상기 메인관로, 상기 흡입관로 및 상기 분사관로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흡착공기와 분사공기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전환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부재는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캡핑부의 지지부재 저면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본체에 구비되는 엘엠가이드와; 상기 엘엠가이드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는, 모터 또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에 의하면, 헤드의 노즐에 일정 시간 동안 흡입력과 분사력을 반복적으로 가하여서 잉크의 건조로 인하여 노즐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노즐의 토출 안정성을 확보한다.
또한, 프린터 헤드에 캡핑 부재를 상승하여 밀착시킬 때, 탄성적으로 눌려지도록 구성하고, 사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므로 밀착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프린터 헤드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노즐에 잉크 불순물이 형성되는 것 을 방지하므로 노즐의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노즐 건조 방지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캡핑부가 상승하여 헤드에 밀착된 상태도 이며, 도 3은 도 2에서 캡핑부가 헤드에 밀착된 상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핑부 분해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노즐 건조 방지장치에 의해 노즐의 잉크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의 구성은, 헤드(10)에 밀착되어 노즐(20)을 밀봉하는 캡핑부(200); 캡핑부(200)를 고정하고, 캡핑부(200)가 헤드(10)에 밀착, 분리 가능하도록 본체(100)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400); 및 캡핑부(200)에 연결되어 노즐(20)에 진공을 가하고 에어를 분사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잉크의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노즐(20)의 매니스커스(30)를 이동시켜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는 잉크유동부(30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0)의 노즐(20)에는, 내부에 저장된 잉크가 노즐 내벽면(22)에 초승달 모양으로 형성되는 매니스커스(30)를 형성하는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하지만, 이 매니스커스(30)는, 헤드(10)의 노즐(20)을 장시간 대기중에 내버려두면, 잉크의 용제가 증발하면서 건조한 피막을 형성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잉크유동부(300)에서 진공 흡입력을 가하거나, 공기 분사력을 하여 매니스커스(30)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건조를 방지한다.
즉, 매니스커스(30)는, 평상시에는 기본라인(50)에 있다가, 흡입부(320)에서 진공 흡입력을 가하면, 흡입라인(60)을 하측으로 미세하게 이동하고, 분사부(330)에서 공기를 분사하면 분사라인(40)으로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잉크의 피막 형성을 방지하여 잉크가 건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캡핑부(200)는, 노즐(20)을 감싸도록 캡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면으로 돌출되어 에어가 이동하는 에어이동부(214)를 형성하는 커버부재(210)와; 커버부재(210)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220)와; 커버부재(210)와 지지부재(220)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부재(210)가 탄성적으로 이동되게 하는 탄성이동부(230)를 포함한다.
에어이동부(214)는, 원통 관 형상 또는 다각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이동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재(210)는, 헤드(10)에 밀착되기 위한 시일링부재(21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일링부재(212)는, 고무재 또는 합성수지 재로 형성되고, 커버부재(210)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이동부(230)는, 커버부재(210)의 저면에 형성된 배면돌부(212)가 통공(242)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이동판(240)과; 이동판(240)의 저면과 지지부재(200) 상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50)와; 이동판(240)의 측면에 구비되고 지지부재(220)의 안내홈(224)에 이동 이동하게 설치되어 탄성부재(250)에 탄동되는 이동판(2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축(260)을 포함한다.
배면돌부(212)의 끝단부분을 구 형상으로 형성하여 커버부재(210)가 이동판(240)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배면돌부(212)는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좌,우측방향보다는 전,후 방향으로 더 잘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커버부재(210)는 이동판(240)에 대하여 회동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배면돌부(212)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끝단부의 구의 직경이 이동판(240)의 통공(242)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수축되면서 압입되고, 압입 후 자체탄성력이 복원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커버부재(210)의 배면으로 돌출 형성된 에어이동부(214)는, 이동판(240)과 지지부재(220)의 중심부에 각각 형성된 이동공(244)(226)을 통하여 메인관로(302)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안내홈(224)에 설치된 가이드축(260)은, 지지부재(220)의 테두리 상측에 체 결부재(264)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판(262)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가이드축(260)은, 이동판(240)의 측면에 압입되거나 나사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축(260)의 한 면당 2개씩, 네면 모두 8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형성되는 갯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재(250)는, 코일 스프링이고, 탄성부재(250)의 내부에는, 지지부재(220)이 저면에 고정된 이탈방지축(252)이 구비되어 탄성부재(25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축(252)은, 이동판(240)의 저면에 압입되거나 나사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이동판(24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부재(250)와 이에 끼워지는 이탈방지축(252)은 모두 4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250)의 하단은, 지지부재(220)의 상측에 형성된 요홈(222)에 끼워지므로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재(210)가 헤드(10)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이동판(240)의 저면에 설치된 탄성부재(250)에 의하여 지지부재(220)를 기준으로 다수 개의 커버부재(210)가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이때, 커버부재(210)의 외측에 형성된 가이드축(210)은, 지지부재(220)의 안내홈(224)을 따라서 가이드 되고, 커버부재(210)의 시일링부재(212)와 헤드(10)의 접촉부위와 수평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 이동판(240)의 저면에 구비된 다수 개의 탄성부재(250)의 수축률이 서로 다르게 작용하여 커버부재(210)의 시일링부재(212) 가 균일하게 밀착력을 가하여 노즐(20)을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잉크유동부(300)는, 캡핑부(200)에 연결되어 노즐(20)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는 흡입부(320)와; 캡핑부(200)에 연결되어 노즐(20)에 에어 분사력을 가하는 분사부(330)와; 흡입부(320)와 분사부(330)의 반복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40)를 포함한다.
흡입부(320)와 분사부(33)는, 캡핑부(200)의 에어이동부(214)에 연결되는 메인관로(302)에 흡입관로(304)와 분사관로(306)에 의해 각각 연결되되, 메인관로(302), 흡입관로(304) 및 분사관로(306)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제어부(340)에 의해 제어되고, 흡착공기와 분사공기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전환부재(3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방향전환부재(310)는 솔레노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부(400)는, 캡핑부(200)의 지지부재(220) 저면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재(410)와; 프레임부재(410)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본체(100)에 구비되는 엘엠가이드(420)와; 엘엠가이드(42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430)를 포함한다.
동력발생부(430)는, 모터 또는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발생부(430)와 엘엠가이드(420)의 구성은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구성이므므로 당업자가 용이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자세한 구성과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0)의 동력발생부(430)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엘엠가이드(420)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이 엘엠가이드(420)에 고정된 프레임부재(410)에 의해 캡핑부(200)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연이어서, 캡핑부(200)의 커버부재(210)가 노즐(20)을 감싸는 형태로 헤드(10)를 밀착하므로 시일링부재(212)에 의하여 외부와 공기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로 밀착된다.
그리고, 커버부재(210)가 밀착되면서, 이동판(240)의 저면에 설치된 탄성부재(250)에 의하여 지지부재(220)를 기준으로 다수 개의 커버부재(210)가 하측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이때, 커버부재(210)의 외측에 형성된 가이드축(210)은 지지부재(220)의 안내홈(224)을 따라서 가이드 되고, 커버부재(210)의 시일링부재(212)와 헤드(10)의 접촉부위와 수평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 이동판(240)의 저면에 구비된 다수 개의 탄성부재(250)의 수축률이 서로 다르게 작용하여 커버부재(210)의 시일링부재(212)가 균일하게 밀착력을 가하여 노즐(20)을 밀봉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부재(250)는, 내부에 설치되고, 이동판(240)에 고정된 이탈방지축(252)과 지지부재(220)에 형성된 요홈(222)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커버부재(210)이 저면으로 돌출된 배면돌부(212)의 끝단부가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헤드(10)와 커버부재(210)가 수평이 맞지 않는 경우, 앞에서 설명한 탄성부재(250)의 수축률과 더불어 커버부재(210)가 미세하게 회동하게 하여 헤드(10)의 밀착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0)의 노즐(20)에는, 내부에 저장된 잉크가 노즐 내벽면(22)에 초승달 모양으로 형성되는 매니스커스(30)가 형성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 매니스커스(30)는, 헤드(10)의 노즐(20)을 장시간 대기중에 내버려두면, 잉크의 용제가 증발하면서 건조한 피막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잉크유동부(300)인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하여 방향전환부재(310)인 솔레노이드를 회전하여 메인관로(302)를 흡입관로(304)와 연결시킨 상태에서, 흡입부(320)를 통하여 노즐(20)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면, 커버부재(210)의 에어이동부(214), 메인관로(302), 방향전환부재(310)인 솔레노이드밸브, 흡입관로(304)를 거쳐 공기가 흡입되어 노즐(20)에 진공이 가하여지게 된다.
이때, 매니스커스(30)는, 평상시에는 기본라인(50)에 있다가, 흡입부(320)에서 진공 흡입력을 가함에 따라, 흡입라인(60)을 하측으로 미세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반대로, 잉크유동부(300)인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하여 방향전환부재(310)인 솔레노이드를 절환하여 메인관로(302)를 분사관로(306)와 연결시킨 상태에서, 분사부(330)를 통하여 노즐(20)에 공기 분사력을 가하면, 분사관로(306), 방향전환부재(310)인 솔레노이드밸브, 메인관로(302), 커버부재(210)의 에어이동부(214)를 거쳐 공기가 분사되어 노즐(20)에 분사 가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매니스커스(30)는, 흡입라인(60)에 있다가, 분사부(330)에서 공기 분사력을 가함에 따라, 분사라인(60)인 상측으로 미세하게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흡입부(320)와 분사부(330)에서 공기 흡입 및 공기 분사를 반복 하면서 매니스커스(30)가 상,하 이동을 반복 수행하므로 노즐(20)의 내벽면(22)에서 잉크의 피막 형성을 방지하여 잉크가 건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헤드(10)에서 캡핑부(200)가 분리되는 상태는 상기한 반대과정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이러한 반복동작을 통하여 노즐(20)의 내벽면(30)에 있는 매니스커스(30)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건조 상태를 해소하므로 우수한 인쇄품질을 유지할수 있고, 그와 더불어서 프린터 헤드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노즐에 잉크의 굳은 덩어리(분술물)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노즐의 청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노즐 건조 방지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캡핑부가 상승하여 헤드에 밀착된 상태도.
도 3은 도 2에서 캡핑부가 헤드에 밀착된 상태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핑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의 노즐 건조 방지장치에 의해 노즐의 잉크가 유동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헤드 20 : 노즐
30 : 매니스커스 100 : 본체
200 : 캡핑부 210 : 커버부재
220 : 지지부재 230 : 탄성이동부
240 : 이동판 250 : 탄성부재
260 : 가이드축 262 : 고정판
300 : 잉크유동부 310 : 방향전환부재
320 : 흡입부 330 : 분사부
340 : 제어부 400 : 승강부
420 : 엘엠가이드 430 : 동력발생부

Claims (13)

  1. 헤드에 밀착되어 노즐을 밀봉하는 캡핑부;
    상기 캡핑부를 고정하고, 상기 캡핑부가 상기 헤드에 밀착, 분리 가능하도록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 및
    상기 캡핑부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에 진공을 가하고 에어를 분사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잉크의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노즐의 매니스커스를 이동시켜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는 잉크유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부는,
    상기 노즐을 감싸도록 캡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면으로 에어가 이동하는 에어이동부를 형성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부재가 탄성적으로 이동되게 하는 탄성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헤드에 밀착되기 위한 시일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이동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배면돌부가 통공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의 저면과 상기 지지부재 상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이동판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안내홈에 이동 이동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돌부의 끝단부분을 구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이동판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에 설치된 가이드축은, 상기 지지부재의 테두리 상측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고정판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 고정된 이탈방지축이 구비되어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 방지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형성된 요홈에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 방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유동부는,
    상기 캡핑부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에 진공 흡입력을 가하는 흡입부와;
    상기 캡핑부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에 에어 분사력을 가하는 분사부와;
    상기 흡입부와 분사부의 반복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와 상기 분사부는, 상기 캡핑부의 에어이동부에 연결되는 메인관로에 흡입관로와 분사관로로 각각 연결되되,
    상기 메인관로, 상기 흡입관로 및 상기 분사관로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흡착공기와 분사공기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는 방향전환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재는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캡핑부의 지지부재 저면에 구비되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본체에 구비되는 엘엠가이드와;
    상기 엘엠가이드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 방지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모터 또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KR1020090039949A 2009-05-07 2009-05-07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KR101074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949A KR101074477B1 (ko) 2009-05-07 2009-05-07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949A KR101074477B1 (ko) 2009-05-07 2009-05-07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017A KR20100121017A (ko) 2010-11-17
KR101074477B1 true KR101074477B1 (ko) 2011-10-17

Family

ID=43406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949A KR101074477B1 (ko) 2009-05-07 2009-05-07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4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359B1 (ko) * 2012-07-19 2014-02-10 (주)한틀시스템 인쇄헤드의 이동식 캡핑수단을 구비한 유가증권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84371B2 (ja) * 2017-12-07 2021-12-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及びキャッ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0849A (ja) 2006-01-20 2007-08-02 Seiko Precision Inc プリンタ及び印刷ヘッド装置
JP2008302669A (ja) 2007-06-11 2008-12-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0849A (ja) 2006-01-20 2007-08-02 Seiko Precision Inc プリンタ及び印刷ヘッド装置
JP2008302669A (ja) 2007-06-11 2008-12-1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359B1 (ko) * 2012-07-19 2014-02-10 (주)한틀시스템 인쇄헤드의 이동식 캡핑수단을 구비한 유가증권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017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9410B2 (en) Continuous ink-jet printing apparatus with integral cleaning
JP5147232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方法および機構並びに装置
JP4109912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印刷装置
EP3175990B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maintenance method of liquid ejecting apparatus
US9476507B2 (en) Valve, pressure controlling apparatus,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ning and closure valve
JP2010208187A (ja) 液体噴射装置
KR100406939B1 (ko) 잉크젯 프린터 헤드
KR101074477B1 (ko) 헤드의 노즐 건조방지장치
JP3843651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3291359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機構
JP2002052742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4090453A (ja)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におけるクリーニング方法
CN100509405C (zh) 液体喷射装置
JP2001018419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4178727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11178016A (ja) 液体噴射装置
JP2001096758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4448861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記録ヘッドのクリーニング制御方法
JP2000218806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12183837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方法および機構並びに装置
JPH11105274A (ja) マーキング装置
JP2006051832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18111280A (ja) 液体噴射装置
JP2009083425A (ja) 流体噴射装置
JP5255718B2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方法および機構並び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