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303B1 - 푸시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303B1
KR101074303B1 KR1020080126303A KR20080126303A KR101074303B1 KR 101074303 B1 KR101074303 B1 KR 101074303B1 KR 1020080126303 A KR1020080126303 A KR 1020080126303A KR 20080126303 A KR20080126303 A KR 20080126303A KR 101074303 B1 KR101074303 B1 KR 101074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ush switch
normal
fixed contac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4324A (ko
Inventor
다츠아키 가와세
신고 히가시야마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01H1/021Composite material
    • H01H1/023Composite material having a noble metal as the bas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이물질 침입에서 기인하는 접촉 불량의 발생을 저감시켜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관통공 (24) 을 내측에 형성하는 통상부 (23) 를 가짐과 함께 내부에 고정 접점 (23a, 23b) 을 노출시킨 케이스 (2) 와, 관통공 (23)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관통공 (44) 을 내측에 형성하는 통상부 (43) 를 가짐과 함께 고정 접점 (23a. 23b) 과 접촉 분리하는 가동 접점 (슬라이딩편 (57a, 57b)) 이 형성되고, 케이스 (2) 에 가압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 (조작 부재 (4), 유지 부재 (5)) 를 구비한다. 그리고, 통상부 (23) 에 통상부 (43) 가 삽입 통과됨과 함께, 고정 접점 (23a, 23b) 은 조작체 (조작 부재 (4), 유지 부재 (5)) 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가동 접점 (슬라이딩편 57a, 57b) 은 조작체 (조작 부재 (4), 유지 부재 (5)) 의 이동에 따라 고정 접점 (23a, 23b) 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푸시 스위치

Description

푸시 스위치 {PUSH SWITCH}
본 발명은,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티끌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의 침입으로 기인하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는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LED 등의 조광용 부품을 병설하여 조작부를 조광시키는 구성을 갖는 푸시 스위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스위치 케이스 및 조작체의 각각에 중앙 관통공을 형성하고, 쌍방의 중앙 관통공의 위치를 맞춤으로써 중앙 관통공부를 구성하며, 이 중앙 관통공부 내에 LED 등의 조광용 부품을 배치 형성함으로써, 스위치 자체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의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스위치 케이스의 중앙 관통공의 주위 부분의 저부에 형성된 고정 접점과, 상기 주위 부분에 형성되어 고정 접점과 접촉 분리하는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을 가압하는 조작체를 갖는 스위치부에 의해 조광 가능한 푸시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 케이스의 중앙 관통공의 주위 부분의 저부에서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을 접촉 분리시킴으로써, 케이스의 중앙 관통공을 형성하는 원통부와, 조작체의 중앙 관통공을 형성하는 원통부의 간극을 통하여 저부에 이물질이 침입한 경우에, 그 이물질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 사이에 한번 끼이면 계속적인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되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이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2705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물질 침입에서 기인하는 접촉 불량의 발생을 저감시켜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푸시 스위치는, 제 1 관통공을 내측에 형성하는 제 1 통상부를 가짐과 함께 내부에 고정 접점을 노출시킨 케이스와, 상기 제 1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관통공을 내측에 형성하는 제 2 통상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분리하는 가동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 가압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상부에 상기 제 2 통상부가 삽입 통과됨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은 상기 조작체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조작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고정 접점을 조작체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하고, 이 고정 접점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가동 접점을 배치했다는 점에서, 설령 이물질이 케이스 내에 침입하더라도,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양 접점 사이에 머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촉 불량의 발생을 저감시켜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 접점은 상기 제 1 통상부의 외벽면 으로부터 노출되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1 통상부의 내측에 상기 제 2 통상부를 배치하고, 상기 제 1 통상부의 내벽면과 상기 제 2 통상부의 외벽면을 대향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조작체의 제 2 통상부를 케이스의 제 1 통상부의 내측에 배치하고, 제 1 통상부와 제 2 통상부를 대향시킴으로써 제 1 통상부가 제 2 통상부를 갖는 조작체에 의해 덮이는 것이 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케이스 내에 침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상부의 외벽면으로부터 노출시킨 고정 접점에 가동 접점을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설령 케이스 내에 이물질이 침입한 경우라도,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 이물질이 침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물질 침입에서 기인하는 접촉 불량의 발생을 더욱 저감시켜, 보다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통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1 쌍의 상기 고정 접점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조작체에 있어서의 상기 1 쌍의 고정 접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1 쌍의 상기 가동 접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조작체에 형성된 1 쌍의 가동 접점에서 제 1 통상부에 형성된 1 쌍의 고정 접점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밸런스가 양호하고,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을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통상부의 형상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갖는 형상으로 하고, 상기 1 쌍의 고정 접점을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벽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길이 방향의 외벽면에 1 쌍의 고정 접점이 배치됨으로써, 폭 방향으로 가동 접점을 배치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의 외형을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고, 당해 케이스에 있어서의 일방의 대각선을 따른 위치에 상기 조작체의 복귀용 스프링을 1 쌍 배치 형성함과 함께, 타방의 대각선을 따른 위치에 상기 조작체의 이동에 수반하여 클릭 감촉을 발생시키는 클릭 기구를 배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케이스에 있어서의 구석부의 공간에 복귀용 스프링과 클릭 기구가 배치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조작체를 복귀시킴과 함께, 클릭 감촉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클릭 기구는 상기 조작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당해 걸어맞춤부에 걸리거나 벗겨지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조작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여기에 걸리거나 벗겨지는 탄성편으로 클릭 기구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걸어맞춤부의 높이 등의 형상 또는 탄성편의 탄성력을 변경시킴으로써, 여러가지 배리에이션 (variation) 의 클릭 감촉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에 금속제의 판상 부재를 배치 형성하고, 당해 판상 부재로부터 상기 탄성편이 세워져 형성됨과 함께, 당해 판상 부재의 일부에서 상기 복귀용 스프링의 일단을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탄성편을 갖는 금속제의 판상 부재의 일부에서 복귀용 스프링의 일단을 수용함으로써 스프링력이 판상 부재에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조작체가 복귀할 때에 탄성편이 걸어맞춤부에 걸어 맞춰진 상태가 되지 않아, 확실하 게 조작체를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판상 부재에 복귀용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판상 부재를 케이스의 저면부에 고정하지 않아도 조작체를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리플로우 납땜시 등의 열에 의해 복귀용 스프링의 수용부가 변형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판상 부재로부터 탄성편이 세워져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스 내에 배치 형성되는 부품 점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상기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가압 조작을 상기 유지 부재에 전달하는 조작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지 부재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유지 부재와 조작 부재가 개별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일 부재로 조작자에 의한 조작을 수용하여 이동되는 조작체를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형상을 간소화한 부재로 당해 조작체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지 부재에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케이스 내에 배치 형성되는 부품 점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 접점을 조작체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하고, 이 고정 접점에 가동 접점을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설령 케이스 내에 이물질이 침입한 경우라도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 사이에 이물질이 머물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에서 기인하는 접촉 불량의 발생을 저감시켜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는 예를 들어 노트 PC 등의 전원 스위치에 적용되는데, 그 용도에 대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특히, 푸시 스위치의 조작면을 조광용 부품으로 조광할 필요가 있는 임의의 부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 (1) 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적절히 도 1 에 나타내는 상방측을 「푸시 스위치 (1) 의 상방측」 또는 단순히 「상방측」이라고 하고, 하방측을 「푸시 스위치 (1) 의 하방측」 또는 단순히 「하방측」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 (1) 는 케이스 (2) 와, 이 케이스 (2) 의 저면부에 배치되는 판 스프링 (3) 과, 조작자의 가압 조작을 수용하는 조작 버튼 등이 장착되는 조작체로서의 조작 부재 (4) 와, 이 조작 부재 (4) 의 내측에 수용되어 후술하는 슬라이딩 부재 (55) 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 (5) 와, 케이스 (2) 내에 수납되어 조작 부재 (4) 및 유지 부재 (5) 를 상방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1 쌍의 탄성 스프링 (6 (6a, 6b)) 과, 조작 부재 (4) 및 유지 부재 (5) 를 케이스 (2) 에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장착하는 장착 부재 (7) 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2) 는, 예를 들어 절연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2) 는 상방측으로 개구되고, 외형 형상이 평면에서 봤 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상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푸시 스위치 (1) 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 (21) 와, 푸시 스위치 (1) 의 저면을 구성하는 저면부 (22) (도 1 에서 도시 생략, 도 3 및 도 4 참조) 와, 저면부 (22) 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세워서 형성된 통상부 (23) 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측면부 (21), 저면부 (22) 및 통상부 (23) 로 고리형의 수용부 (2a) 가 구획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통상부 (23) 는 제 1 통상부를 구성한다.
측면부 (21) 중, 대향하는 1 쌍의 측면부 (21a, 21b) 에는, 장착 부재 (7) 의 일부를 걸리게 하는 1 쌍의 걸림편 (21c, 21d) 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 (21c, 21d) 은 측면부 (21a, 21b) 의 외측의 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림편 (21c, 21d) 의 상방측 부분에는, 장착 부재 (7) 가 장착되기 쉽도록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저면부 (22) 에는, 1 쌍의 단자부 (22a, 22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자부 (22a, 22b) 는 그 단부가 걸림편 (21c, 21d)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1 쌍의 측면부 (21e, 21f) 의 하단부 근방에서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이들 단자부 (22a, 22b) 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저면부 (22) 의 소정 위치에는 탄성 스프링 (6) 의 하단부를 거는 1 쌍의 걸림편 (22c, 22d) 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 (도 4 참조). 이들 걸림편 (22c, 22d) 은 대체로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그 상단부에 탄성 스프링 (6) 이 장착되기 쉽게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부 (23) 는, 측면부 (21) 보다 약간 하방측의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면 에서 봤을 때 비원형상으로서 편평한 8 각 형상을 가지고 있다. 통상부 (23) 는 길이 방향의 변 (장변) 에 대응하는 면을 측면부 (21a, 21b) 에 대향시키는 한편, 폭 방향의 변 (단변) 에 대응하는 면을 측면부 (21e, 21f) 에 대향시킨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통상부 (23) 에는, 장변을 형성하는 면의 외측으로서, 저면부 (22) 의 근방의 위치에 고정 접점 (23a, 23b)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서 고정 접점 (23a, 23b) 은 도시 생략, 고정 접점 (23a) 에 관해서 도 3 참조). 이와 같이 장변측의 면에 고정 접점 (23a, 23b) 을 형성함으로써, 폭 방향으로 후술하는 가동 접점으로서의 슬라이딩편 (57a, 57b) 을 배치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 (2) 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 접점 (23a, 23b) 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상부 (23) 가 편평한 8 각 형상을 갖는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통상부 (23) 의 형상에 대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을 갖는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푸시 스위치 (1) 자체의 소형화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 (단면 형상) 이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형상,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 타원 형상 (긴 구멍 형상) 등의 비원형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케이스 (2) 내에 있어서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케이스 (2) 에 형성되는 단자부 (22a, 22b) 및 고정 접점 (23a, 23b) 의 구성에 대해 도 2 및 도 3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 은, 케이스 (2) 에 형성되는 단자부 (22a, 22b) 및 고정 접점 (23a, 23b) 의 구성을 설 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에 있어서는, 케이스 (2) 로부터 단자부 (22a, 22b) 및 고정 접점 (23a, 23b) 을 빼낸 상태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 에 있어서는, 단자부 (22b) 에 있어서의 절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단자부 (22a, 22b) 및 고정 접점 (23a, 23b) 은 도전성을 갖는 금속제의 판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2) 의 제조시에 인서트 성형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부 (22a, 22b) 는 장척 형상을 가짐과 함께, 그 양단부가 약간 상방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고정 접점 (23a, 23b) 은 단자부 (22a, 22b) 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상방측으로 세워서 형성한 상태에서 대략 수직으로 (약간 경사를 가지고) 절곡되어 있다. 이로 인해, 고정 접점 (23a, 23b) 은 조작 부재 (4) 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 (22a, 22b) 의 중앙 부분에는 측방측으로 연장되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단자부 (22a, 22b) 의 제조시에 발생되는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은 아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부 (22a, 22b) 는 저면부 (22) 의 내부에 있어서 걸림편 (22c, 22d) 의 하부를 지나 측면부 (21a, 21b) 의 연신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고정 접점 (23a, 23b) 은 통상부 (23) 의 하단부 근방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외벽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3 에서, 고정 접점 (23b) 은 도시 생략). 또한, 통상부 (23) 에 있어서의 고정 접점 (23a, 23b) 의 상방측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부재 (55) 의 슬라이딩편 (57a, 57b) 을 적절히 고정 접점 (23a, 23b) 으로 안내하기 위한 테이퍼면 (23c, 23d)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접점 (23a, 23b) 이 배치되는 부분도, 고정 접점 (23a, 23b) 을 따라 경사져 있기 때문에, 케이스 (2) 의 성형 후, 형틀을 빼기 쉬워져 가공성이 양호해진다.
통상부 (23) 의 내측에는 푸시 스위치 (1) 의 상하 방향으로 제 1 관통공으로서의 관통공 (24) 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는, 케이스 (2) 에 형성된 관통공 (24) 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 (24) 은 통상부 (23) 의 형상에 대응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편평한 8 각 형상 등의 상면에서 봤을 때 긴 구멍 형상 (비원 형상) 을 이루고 있다. 관통공 (24) 의 내측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관통공 (44) 의 내측) 에는 푸시 스위치 (1) 가 소정의 기판에 실장된 경우에 LED 등의 조광용 부품 (도시 생략) 이 배치 형성된다. 이 조광용 부품으로부터의 광은 이들 관통공 (24) 등을 통하여 도시가 생략된 조작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부재 (4) 의 상방측에 배치된다) 에 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 (24) 의 내측에 조광 부품이 아닌, 다른 푸시 스위치 등의 스위치 장치가 배치 형성되어도 된다.
판 스프링 (3) 은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다. 판 스프링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체로 케이스 (2) 의 저면부 (22) 형상에 대응된 외형이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고 고리 형상을 갖는 판상부 (31) 를 가지고 있고, 그 중앙에 통상부 (23) 를 통과시키는 개구부 (32) 가 형성되어 있다. 판상부 (31) 의 일방의 대각선 상의 구석부에는 케이스 (2) 의 저면부 (22) 에 형성된 걸림편 (22c, 22d) 을 통과시키는 원 형상의 구멍 (33a, 33b)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멍 (33a, 33b)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타방의 대각선 상에는, 클릭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탄성편 (34a, 34b)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탄성편 (34a, 34b) 은 판상 부재로서의 판 스프링 (3) 에 상방측으로 절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판 스프링 (3) 으로부터 탄성편 (34a, 34b) 을 형성함으로써, 케이스 (2) 내에 배치 형성되는 부품 점수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탄성편 (34a, 34b) 은 상단부 근방에 있어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조작 부재 (4) 에 대한 가압 조작에 의해 후술하는 유지 부재 (5) 의 걸어맞춤부인 돌출부 (53c, 53d) 에 걸리거나 벗겨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들 탄성편 (34a, 34b) 은 돌출부 (53c, 53d) 에 걸리거나 벗겨지는 동작에 의해, 가압 조작시 및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 클릭 감촉을 발생시킨다.
도 5 는, 케이스 (2) 의 저면부 (22) 에 배치된 판 스프링 (3)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부 (31) 에 형성된 개구부 (32) 는, 통상부 (23) 의 외측의 면의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개구부 (32) 에 통상부 (23) 를 통과시킴과 함께, 1 쌍의 구멍 (33a, 33b) 에 걸림편 (22c, 22d) 을 통과시킴으로써, 저면부 (22) 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 (3) 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 경우에 있어서, 탄성편 (34a, 34b) 은 걸림편 (22c, 22d)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케이스 (2) 의 대각선 상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 (2) 에 있어서의 구석부의 공간에 클릭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탄성편 (34a, 34b) 를 배치 형성했기 때문에, 케이스 (2)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클릭 감촉을 발 생시킬 수 있게 된다.
조작 부재 (4) 는, 조작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예를 들어 절연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조작 부재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체로 하방측으로 개구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상자형을 가지고 있고, 푸시 스위치 (1) 의 상면을 구성하는 상면부 (41) 와, 상면부 (41) 의 측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 (42) 와. 상면부 (41) 의 하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세워서 형성된 통상부 (43) 를 가지고 있다 (도 1 에서 도시 생략, 도 6 및 도 7 참조). 또한, 이 통상부 (43) 는 제 2 통상부를 구성한다.
상면부 (41) 의 중앙에는 개구부 (41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 (41a) 는 상면에서 봤을 때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편평한 비원 형상 (8 각 형상) 을 가지고 있고, 후술하는 관통공 (44) 으로 이어져 있다. 측면부 (42) 중, 대향하는 1 쌍의 측면부 (42a, 42b) 에는 플랜지부 (42c, 42d) 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 (42c, 42d) 는 약간 푸시 스위치 (1) 의 측방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후술하는 장착 부재 (7) 의 규제부 (71a, 71b) 와 맞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측면부 (42a, 42b) 의 일방의 단부에는 판 스프링 (3) 의 탄성편 (34a, 34b) 의 요동을 허용하기 위한 오목부 (42e, 42f)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서 오목부 (42f) 는 도시 생략, 도 6 및 도 7 참조).
통상부 (43) 는 상면부 (41) 의 하면에 하방측을 향하여 세워서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7 및 도 8 은, 각각 조작 부재 (4) 의 통상부 (43) 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하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부 (43) 는 상면부 (41) 의 하면의 중앙 근방에 형성되고, 하면에서 봤을 때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 편평한 8 각 형상 등의 비원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부 (43) 는 측면부 (42) 의 하단부보다 약간 하방측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통상부 (43) 의 외벽면에 치수는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의 내벽면보다 약간 작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즉, 통상부 (43) 는 통상부 (23) 의 내측에 매우 좁은 간극을 사이에 두고 수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통상부 (43) 는 조작 부재 (4) 에 대한 가압 조작에 의해 통상부 (23) 내를 상하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통상부 (43) 의 내측에는 푸시 스위치 (1) 의 상하 방향으로 제 2 관통공으로서의 관통공 (44) 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 (44) 은 통상부 (43) 의 형상에 대응된 편평한 8 각 형상 등의 상면에서 봤을 때 긴 구멍 형상 (비원 형상) 을 이루고 있다.
유지 부재 (5) 는 조작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예를 들어, 절연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본체부 (51) 와,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부재 (55) 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 (5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체로 하방측으로 개구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슬라이딩 부재 (55) 는 이 본체부 (51) 의 제조시에 그 내벽면에 인서트 성형된다. 이하, 유지 부재 (5)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 도 12 는, 유지 부재 (5) 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유지 부재 (5) 가 갖는 본체부 (51) 및 슬라이딩 부재 (55) 의 구성을 설 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2 는, 각각 유지 부재 (5) 의 평면도, 하면도 및 측면도이다. 또한, 도 9 에 있어서는 본체부 (51) 로부터 슬라이딩 부재 (55) 를 빼낸 상태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9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51) 는 상면부 (51a) 와, 이 상면부 (51a) 의 측단부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 (52a ∼ 52d) 를 가지고 있다. 상면부 (51a) 에는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 (51b) 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 (52) 중, 대향하는 1 쌍의 측면부 (52a, 52b) 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부재 (55) 의 슬라이딩편 (57a, 57b) 의 요동을 허용하는 절결부 (52e, 52f)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 참조).
특히,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부 (52a) 와 측면부 (52c) 사이, 그리고 측면부 (52b) 와 측면부 (52d) 사이에는, 사면부 (53a, 53b) 가 형성되어 있다. 사면부 (53a, 53b) 의 거의 중앙 부분에는 상방측 부분 및 하방측 부분에 테이퍼면이 형성된 돌출부 (53c, 53d)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 (53c, 53d) 상을, 조작 부재 (4) 에 대한 가압 조작에 의해 판 스프링 (3) 의 탄성편 (34a, 34b) 에 걸리거나 벗겨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들 돌출부 (53c, 53d) 는 클릭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걸어맞춤부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지 부재 (5) 에 돌출부 (53c, 53d) 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 (2) 내에 배치 형성되는 부품 점수의 경감을 도모한다.
또한, 이와 같이 탄성편 (34a, 34b) 과 유지 부재 (5) 의 돌출부 (53c, 53d) 로 클릭 기구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돌출부 (53c, 53d) 의 높이 등의 형상, 혹은 탄성편 (34a, 34b) 의 탄성력을 변경함으로써, 여러가지 배리에이션의 클릭 감촉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얻어진다.
또한,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부 (52a) 와 측면부 (52d) 사이, 그리고 측면부 (52b) 와 측면부 (52c) 사이의 모서리부에는 오목부 (54a, 54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 (54a, 54b) 는 푸시 스위치 (1) 의 내측에 일정 영역만 패인 형상을 가지고, 그 내부에 탄성 스프링 (6) 의 상방측 부분을 수용한다. 오목부 (54a, 54b) 의 내벽면의 일부는 탄성 스프링 (6) 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부재 (55)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체로 본체부 (51) 의 개구부 (51b) 의 일부 (편평한 8 각 형상에 대응하는 일부) 의 형상에 대응된 고리 형상을 갖는 판상부 (56) 을 가지고 있고, 그 중앙에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 (56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판상부 (56) 의 일방의 대각선 상의 구석부의 슬라이딩편 (57a, 57b) 쪽에는,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슬라이딩 부재 (55) 의 제조시에 발생되는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은 아니다. 단, 돌출편이 있음으로써 유지 부재 (5) 의 보강에 약간의 도움이 된다.
또한, 판상부 (56) 에 있어서의 케이스 (2) 에 형성된 고정 접점 (23a, 23b) 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하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동 접점으로서의 슬라이딩편 (57a, 57b)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라이딩편 (57a, 57b) 은 판상부 (56) 에 하방측으로 절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슬라이딩편 (57a, 57b) 은 하 단부 근방에 있어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조작 부재 (4) 에 대한 가압 조작에 의해 통상부 (23) 에 형성된 고정 접점 (23a, 23b) 에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편 (57a, 57b) 의 고정 접점 (23a, 23b) 에 대한 슬라이딩 접촉의 유무에 의해 푸시 스위치 (1) 는, 그 온/오프 상태가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슬라이딩 부재 (55)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상부 (56) 의 일부가 개구부 (51b) 의 내측에 배치됨과 함께,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편 (57a (57b)) 의 하단부가 측면부 (52) 보다 상방측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편 (57a, 57b) 의 하단부가 측면부 (52) 보다 상방측의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슬라이딩편 (57a, 57b) 이 측면부 (52) 로 덮이게 되고, 즉 보호되기 때문에, 조립시에 슬라이딩편 (57a, 57b) 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조립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슬라이딩 부재 (55) 를 매립하여 형성한 유지 부재 (5) 는, 개구부 (51b, 56a) 에 조작 부재 (4) 의 통상부 (43) 를 삽입 통과시킨 상태에서, 조작 부재 (4) 에 압입되어 있다. 즉, 조작 부재 (4) 의 측면부 (42) 의 내벽과 유지 부재 (5) 의 측면부 (52a ∼ 52d) 가 부분적으로 끼워 맞춰짐으로써, 조작 부재 (4) 와 유지 부재 (5) 가 일체화되어 조작체를 구성하고 있다.
탄성 스프링 (6a, 6b) 은 복귀용 스프링을 구성하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 (3) 과 유지 부재 (5)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 스프링 (6a, 6b) 은 푸시 스위치 (1) 가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그 하단부가 케이스 (2) 의 저 면부 (22) 에 형성된 걸림편 (22c, 22d) 에 삽입 통과됨으로써 유지되어 있고, 그 상단 부분이 유지 부재 (5) 에 형성된 오목부 (54a, 54b) 와 조작 부재 (4) 의 내벽면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또한, 탄성 스프링 (6a, 6b) 은 하단부가 판 스프링 (3) 의 판상부 (31) 에 접촉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리플로우 납땜시 등의 열에 의해 탄성 스프링 (6a, 6b) 에 접촉되는 부분이 변형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유지된 상태에 있어서, 탄성 스프링 (6a, 6b) 은 조작 부재 (4) 및 유지 부재 (5) 를 상방측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즉, 탄성 스프링 (6a, 6b) 은 유지 부재 (5) 를 조작 부재 (4) 의 상면부 (41) 측으로 탄성 지지하기 때문에, 조작 부재 (4) 와 유지 부재 (5) 란, 탄성 스프링 (6a, 6b) 에 의해서도 일체화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유지 부재 (5) 가 조작 부재 (4) 에 압입되지 않는 경우라도, 푸시 스위치 (1) 가 조립된 상태에 있어서, 조작 부재 (4) 와 유지 부재 (5) 를 탄성 스프링 (6a, 6b)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일체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 (4) 에 대한 가압 조작이 해제된 경우에, 일체화된 조작 부재 (4) 및 유지 부재 (5) 를 가압된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 (상한 위치) 로 복귀시킨다. 또한, 탄성 스프링 (6a, 6b) 은 금속선재로 이루어지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복귀시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 (6a, 6b) 의 하단부가 판 스프링 (3) 의 판상부 (31) 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탄성 스프링 (6a, 6b) 의 탄성 지지력이 판상부 (31) 에 작용하기 때문에, 판상부 (31) 에 형성된 탄성편 (34a, 34b) 이 돌출부 (53c, 53d) 에 걸어 맞춰진 채로 있지 않아, 확실 하게 조작 부재 (4) 및 유지 부재 (5) 를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판상부 (31) 에 탄성 스프링 (6a, 6b) 의 탄성 지지력이 작용하게 된다는 점에서, 판 스프링 (3) 을 케이스 (2) 의 저면부 (22) 에 고정시키지 않아도 조작 부재 (4) 및 유지 부재 (5) 를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립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조작 부재 (4) 는 유지 부재 (5) 를 통하여 탄성 스프링 (6a, 6b) 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지만, 유지 부재 (5) 를 통하여 직접 탄성 지지되는 구성인 것이어도 된다.
장착 부재 (7) 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장착 부재 (7)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체로 사각형 형상을 갖는 프레임체부 (71) 와, 이 프레임체부 (71) 의 소정 위치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1 쌍의 걸림부 (72a, 72b) 로 구성된다. 프레임체부 (71) 는 조작 부재 (4) 의 플랜지부 (42c, 42d) 에 대응되는 위치에 1 쌍의 규제부 (71a, 71b) 와, 이들 1 쌍의 규제부 (71a, 71b) 를 연결하는 1 쌍의 연결부 (71c, 71d) 를 가지고 있다. 규제부 (71a, 71b) 는 플랜지부 (42c, 42d) 에 대향하는 평면을 가지고, 연결부 (71c, 71d) 는 조작 부재 (4) 의 측면부 (42a, 42b) 이외의 측면부 (42) 에 대향되는 평면을 가지고 있다. 그 평면의 거의 중앙 부분에는, 어스용의 돌출편이 도 13,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2) 의 하단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 (72a, 72b) 는 규제부 (71a, 71b) 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직사각형의 개구부 (72c, 72d)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 (72c, 72d) 는 케이스 (2) 의 1 쌍의 걸림편 (21c, 21d) 을 수용하고 이들에 의한 걸림을 수용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은 구성 부품을 갖는 푸시 스위치 (1) 를 조립하면, 푸시 스위치 (1) 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5) 등의 구성 부품이 케이스 (2) 내에 수납됨과 함께, 조작 부재 (4) 가 케이스 (2) 로부터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장착 부재 (7) 에 의해 장착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케이스 (2) 에 형성된 걸림편 (21c, 21d) 은 장착 부재 (7) 의 걸림부 (72a, 72b) 의 개구부 (72c, 72d) 에 수용되어 장착 부재 (7) 를 케이스 (2) 에 고정시킨다. 또한, 장착 부재 (7) 의 규제부 (71a, 71b) 는 조작 부재 (4) 의 플랜지부 (42c, 42d) 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탄성 스프링 (6) 에 의해 상방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조작 부재 (4) 가 일정 위치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푸시 스위치 (1)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규제부 (71a, 71b) 에 의해 조작 부재 (4) 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를 초기 상태로 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 는, 각각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 (1) 의 평면도 및 하면도이다. 또한, 도 14 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조작 부재 (4) 의 통상부 (43) 및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를 일부 표시 (점선 표시) 하고 있다. 또한, 도 15 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를 일부 표시 (점선 표시) 하고 있다. 도 16 및 도 17 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 (1) 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 에 있어서는, 도 14 에 나타내는 일점 사슬선 A 에 있어서의 단면을, 상기 도면에 있어서의 하방측으로부터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7 에 있어서는, 도 14 에 나타내는 일점 사슬선 B 에 있어서의 단면을 우측측으로부터 나타내고 있다. 도 18 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 (3) 과 유지 부재 (5) 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7 에 있어서는,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에 형성된 고정 접점 (23a, 23b) 의 이면측 부분에 있어서, 인서트 성형시에, 지그로 고정 접점 (23a, 23b) 을 누르기 위한 구멍 (도 2 참조) 이 개시되어 있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 조작 부재 (4)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 (42c, 42d) 를 장착 부재 (7) 의 규제부 (71a, 71b) 의 하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케이스 (2) 내에 수용되어 있다. 조작 부재 (4) 의 측방측 외벽면의 치수는 케이스 (2) 의 측면부 (21) 의 내벽면 치수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 (4) 는 좁은 간극을 사이에 두고 케이스 (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16, 도 17 참조). 이와 같이 조작 부재 (4) 를 케이스 (2) 에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의 간극으로부터 티끌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사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부재 (4) 의 통상부 (43) 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통상부 (43) 의 외벽면의 치수는 통상부 (23) 의 내벽면의 치수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상부 (43) 는 매우 좁은 간극을 사이에 두고 통상부 (23) 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6, 도 17 참조). 이와 같이 조작 부재 (4) 의 관통공 (44) 이 형성된 통상부 (43) 을,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내측에 배치시킴으로써, 티끌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케이스 (2) 의 내부에 침입하는 사태 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푸시 스위치 (1) 의 내부에 있어서,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 (6a, 6b) 은 판 스프링 (3) 의 판상부 (31) 상방에 탑재되어 유지 부재 (5) 를 상방측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조작 부재 (4) 는 유지 부재 (5) 를 내측에 수납하여 일체화한 상태에서 케이스 (2) 에 장착되어 있다는 점에서, 탄성 스프링 (6)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유지 부재 (5) 를 통하여 상방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 때, 슬라이딩 부재 (55) 에 있어서의 슬라이딩편 (57a, 57b) 은,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방측의 선단부가 각각 통상부 (23) 에 형성된 테이퍼면 (23c, 23d) 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점을 구성하는 슬라이딩편 (57a, 57b) 이 통상부 (23) 에 형성된 고정 접점 (23a, 23b) 으로부터 이간되어 있다는 점에서, 푸시 스위치 (1) 는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판 스프링 (3) 의 탄성편 (34a, 34b) 은,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방측의 선단부가 각각 유지 부재 (5) 에 형성된 돌출부 (53c, 53d) 의 하방측의 사면부 (53a, 53b) 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위치에 있어서, 탄성편 (34a, 34b) 은 사면부 (53a, 53b) 에 가볍게 탄성 접촉되고 있다.
다음으로, 초기 상태로부터 가압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 (1) 의 상태 (가압 상태)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 는, 가압 상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 (1) 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 은, 가압 상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 (1) 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20 및 도 21 에 있어서는, 각각 도 16 및 도 17 에 대응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 는, 가압 상태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 (3) 과 유지 부재 (5) 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1 에 있어서는,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에 형성된 고정 접점 (23a, 23b) 의 이면측 부분에 있어서, 인서트 성형시에, 지그로 고정 접점 (23a, 23b) 을 누르기 위한 구멍이 개시되어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부터 조작자에 의해 가압 조작이 실시되면,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 (4) 가 하방측으로 이동하여 케이스 (2) 의 내측으로 가라 앉는다. 푸시 스위치 (1) 의 내부에 있어서, 도 20 및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5) 는 조작 부재 (4) 의 이동에 의해, 탄성 스프링 (6a, 6b) 의 탄성 지지력에 저항하여 하방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유지 부재 (5) 에 유지되는 슬라이딩 부재 (55) 도 하방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조작 부재 (4) 가 이동할 때에는, 통상부 (43) 가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에 의해 안내된다. 이와 같이 통상부 (23) 가 통상부 (43) 를 안내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적절히 조작 부재 (4) 를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단, 조작 부재 (4) 의 이동의 안내는, 케이스 (2) 의 측면부 (21) 의 내벽면과 조작 부재 (4) 의 외벽면에 의해 실시해도 된다.
이 때, 슬라이딩 부재 (55) 에 있어서의 슬라이딩편 (57a, 57b) 은, 그 하방측의 선단부가 각각 통상부 (23) 에 형성된 테이퍼면 (23c, 23d) 을 넘어, 통상부 (23) 의 측면을 슬라이딩하면서 하방측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조작 부재 (4) 가 끝까지 가압되면,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편 (57a, 57b) 이 통상부 (23) 에 형성된 고정 접점 (23a, 23b) 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가압 상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점을 구성하는 슬라이딩편 (57a, 57b) 이 통상부 (23) 에 형성된 고정 접점 (23a, 23b) 에 접촉됨으로써, 푸시 스위치 (1) 는 온 상태가 된다. 이 온 상태시, 1 쌍의 고정 접점 (23a, 23b) 사이는, 1 쌍의 슬라이딩편 (57a, 57b) 을 구비한 슬라이딩 부재 (55) 를 통하여 도통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푸시 스위치 (1) 를 온 상태로 할 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부재 (4) 에 형성된 1 쌍의 슬라이딩편 (57a, 57b) (가동 접점) 에 의해 통상부 (23) 에 대향하여 형성된 1 쌍의 고정 접점 (23a, 23b) 에 접촉되도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슬라이딩편 (57a, 57b) (가동 접점) 과 고정 접점 (23a, 23b) 의 접촉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판 스프링 (3) 의 탄성편 (34a, 34b) 은 상방측의 선단부가 각각 유지 부재 (5) 에 형성된 돌출부 (53c, 53d) 의 하방측의 테이퍼면 상을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조작 부재 (4) 가 끝까지 가압되면,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53c, 53d) 의 정점부를 넘어서, 상방측의 테이퍼면에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탄성편 (34a, 34b) 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돌출부 (53c, 53d) 의 정점부를 넘어서 걸리거나 벗겨졌을 때에 클릭 감촉을 발생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 (1) 에 있어서는, 슬라이딩편 (57a, 57b) 이 조작 부재 (4) 가 끝까지 가압되는 과정에서 고정 접점 (23a, 23b) 에 접촉되어, 온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작 부재 (4) 의 가압조작의 과정에서 푸시 스위치 (1) 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슬라이딩편 (57a, 57b) 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동작의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어, 조작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 부재 (4) 가 끝까지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 통상부 (43) 의 하단부는, 도 20 및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 스위치 (1) (케이스 (2)) 의 하단부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상부 (43) 의 하단부가 조작 부재 (4) 에 대한 가압 조작시에 푸시 스위치 (1) 가 실장되는 기판에 접촉되지 않아, 당해 접촉에서 기인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통상부 (43) 의 하단부에 있어서, 관통공 (24) 의 크기까지의 조광 부품을 배치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9 에 나타내는 가압 상태로부터, 푸시 스위치 (1) 에 대한 가압 조작이 해제된 경우, 일체화된 유지 부재 (5) 및 조작 부재 (4) 는 탄성 스프링 (6a, 6b) 의 탄성 지지력에 따라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도 13 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 때, 판 스프링 (3) 의 탄성편 (34a, 34b) 은 돌출부 (53c, 53d) 상을 슬라이딩하는데, 가압 조작시와 마찬가지로, 돌출부 (53c, 53d) 의 정점부를 넘었을 때에 클릭 감촉을 발생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 (1) 에 의하면, 조작 부재 (4) 의 통상부 (43) 을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내측에 배치하고, 통상부 (23) 와 통상부 (43) 를 대향시킴으로써, 통상부 (23) 가 통상부 (43) 를 갖는 조작 부재 (4) 에 의해 덮이게 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케이스 (2) 내에 침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 (4) 의 이동 방향인 가압 조작 방 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고정 접점 (23a, 23b) 에, 즉 통상부 (23) 의 외벽면으로부터 노출시킨 고정 접점 (23a, 23b) 에 가동 접점으로서의 슬라이딩편 (57a, 57b) 을 슬라이딩 접촉시킴으로써, 설령 케이스 (2) 내에 이물질이 침입한 경우라도 고정 접점 (23a, 23b) 과 슬라이딩편 (57a, 57b) 사이에 이물질이 침입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이물질 침입에서 기인하는 접촉 불량의 발생을 저감시켜 신뢰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 (1) 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 (1) 에 있어서는, 조작 부재 (4) 와 유지 부재 (5) 를 개별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단일 부재로 조작자 에 의한 조작을 수용하여 상하 이동하는 조작체를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어느 일방 또는 쌍방의 형상을 간소화한 부재로 당해 조작체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크기나 형상 등에 대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정 접점 (23a, 23b) 을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의 외벽면으로부터 노출시킨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고정 접점 (23a, 23b) 의 구성에 대해서는,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의 외벽면으로부터 노출시킨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 (2) 의 측면부 (21) 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통상부 (23) 와 측면부 (21) 의 내벽면 사이에 세워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정 접점 (23a, 23b) 을 케이스 (2) 의 저면부 (22) 에 대략 수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고정 접점 (23a, 23b) 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 (2) 의 저면부 (22) 에 대략 수직이 아니더라도, 대체로 조작체의 이동 (상하 운동) 방향을 따라 있으면 되고, 또 수직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통상부인 조작 부재 (4) 의 통상부 (43) 를 제 1 통상부인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의 내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제 2 통상부인 조작 부재 (4) 의 통상부 (43) 를 제 1 통상부인 케이스 (2) 의 통상부 (23) 의 외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단, 이물질의 침입 방지라는 점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1 쌍의 탄성 스프링 (6a, 6b) 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케이스 (2) 를 평면에서 봤을 때 일방의 대각선 상의 중앙에 반드시 위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일방의 대각선을 따른 케이스 (2) 가 대향하는 구석부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마찬가지로, 클릭 기구를 구성하는 1 쌍의 돌출부 (53c, 53d) 와 탄성편 (34a, 34b) 도 케이스 (2) 의 타방의 대각선 상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타방의 대각선을 따른 대향하는 케이스 (2) 의 구석부의 공간에 배치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케이스에 형성된 단자부 및 고정 접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케이스에 형성된 단자부 및 고정 접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케이스의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공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케이스의 저면부에 배치된 판 스프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조작 부재의 통상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조작 부재의 통상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도 8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조작 부재의 통상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유지 부재가 갖는 본체부 및 슬라이딩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유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유지 부재의 하면도이다.
도 12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유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3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평면도이다.
도 15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하면도이다.
도 16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7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8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과 유지 부재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9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가압 상태에 있어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가압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1 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가압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2 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의 가압 상태에 있어서의 판 스프링과 유지 부재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푸시 스위치 2 : 케이스
2a : 수용부 21 : 측면부
21c, 21d : 걸림편 22 : 저면부
22a, 22b : 단자부 22c, 22d : 걸림편
23 : 통상부 (제 1 통상부) 23a, 23b : 고정 접점
23c, 23d : 테이퍼면 24 : 관통공 (제 1 관통공)
3 : 판 스프링 31 : 판상부
32 : 개구부 33a, 33b : 구멍
34a, 34b : 탄성편 (클릭 기구) 4 : 조작 부재 (조작체)
41 : 상면부 41a : 개구부
42 : 측면부 42c, 42d : 플랜지부
42e, 42f : 오목부 43 : 통상부 (제 2 통상부)
44 : 관통공 (제 2 관통공) 5 : 유지 부재 (조작체)
51 : 본체부 51a : 상면부
51b : 개구부 52a ∼ 52d : 측면부
52e, 52f : 절결부 53a, 53b : 사면부
53c, 53d : 돌출부 (걸어맞춤부, 클릭 기구)
54a, 54b : 오목부 55 : 슬라이딩 부재
56 : 판상부 56a : 개구부
57a, 57b : 슬라이딩편
6a, 6b : 탄성 스프링 (복귀용 스프링)
7 : 장착 부재 71 : 프레임체부
71a, 71b : 규제부 72a, 72b : 걸림부
72c, 72d : 개구부

Claims (8)

  1. 제 1 관통공을 내측에 형성하는 제 1 통상부를 가짐과 함께 내부에 고정 접점을 노출시킨 케이스와, 상기 제 1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2 관통공을 내측에 형성하는 제 2 통상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분리하는 가동 접점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 가압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상부에 상기 제 2 통상부가 삽입 통과됨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은 상기 조작체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조작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 접점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기 제 1 통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1 쌍의 상기 고정 접점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조작체에 있어서의 상기 1 쌍의 고정 접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1 쌍의 상기 가동 접점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통상부의 형상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갖는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1 쌍의 고정 접점을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벽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은 상기 제 1 통상부의 외벽면으로부터 노출되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 1 통상부의 내측에 상기 제 2 통상부를 배치하고, 상기 제 1 통상부의 내벽면과 상기 제 2 통상부의 외벽면을 대향 상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형을 평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고, 당해 케이스에 있어서의 일방의 대각선을 따른 위치에 상기 조작체의 복귀용 스프링을 1 쌍 배치 형성함과 함께, 타방의 대각선을 따른 위치에 상기 조작체의 이동에 수반하여 클릭 감촉을 발생시키는 클릭 기구를 배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 기구는, 상기 조작체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당해 걸어맞춤부에 걸리거나 벗겨지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에 금속제의 판상 부재를 배치 형성하고, 당해 판상 부재로부터 상기 탄성편을 세워서 형성시킴과 함께, 당해 판상 부재의 일부에서 상기 복귀용 스프링의 일단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상기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가압 조작을 상기 유지 부재에 전달하는 조작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지 부재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KR1020080126303A 2007-12-14 2008-12-12 푸시 스위치 KR101074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23869A JP4457145B2 (ja) 2007-12-14 2007-12-14 プッシュスイッチ
JPJP-P-2007-323869 2007-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324A KR20090064324A (ko) 2009-06-18
KR101074303B1 true KR101074303B1 (ko) 2011-10-17

Family

ID=4076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303A KR101074303B1 (ko) 2007-12-14 2008-12-12 푸시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57145B2 (ko)
KR (1) KR101074303B1 (ko)
CN (1) CN101459002B (ko)
TW (1) TWI3856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034B1 (ko) * 2017-08-25 2021-08-3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도어벨 버튼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8852A (ja) * 2003-08-28 2005-03-24 Toyo Denso Co Ltd 押しボタン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7557Y2 (ja) * 1991-02-12 1997-12-10 ミネベア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JP3540377B2 (ja) * 1994-08-03 2004-07-07 ミネベア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8852A (ja) * 2003-08-28 2005-03-24 Toyo Denso Co Ltd 押しボタン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9002A (zh) 2009-06-17
CN101459002B (zh) 2011-06-15
JP4457145B2 (ja) 2010-04-28
KR20090064324A (ko) 2009-06-18
TW200941528A (en) 2009-10-01
JP2009146784A (ja) 2009-07-02
TWI385685B (zh) 2013-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0836B1 (en) Flat cable electrical connector
CN110537296B (zh) 连接器和电子设备
KR101105965B1 (ko) 콘택트 및 전기커넥터
KR101397768B1 (ko) 전기 부품
KR100566719B1 (ko) 전단부 및 후단부에 인접해서 전방 및 후방 장착 포스트가형성된 셸을 가진 표면 장착 전기 커넥터
KR20070121603A (ko) 커넥터 어셈블리
US4585914A (en) Miniature push-button switch
KR20220084172A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
US5278370A (en) Push switch
KR101074303B1 (ko) 푸시 스위치
EP1298690B1 (en) Electromagnetic relay
EP1020883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US9129762B2 (en) Push switch
EP1677326B1 (en) Rotating and pressing 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4246119B2 (ja) 押釦スイッチ
CN114141564A (zh) 按钮开关
KR20100070898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N111541071B (zh) 连接器组件
KR100322772B1 (ko) 푸시버튼스위치
CN111081487B (zh) 按键结构及其组装方法
CN110621530B (zh) 推压式换档装置
EP3734627B1 (en) Movable contact point, switch with movable contact point, and embossed tape for containing movable contact point
JP2004234991A (ja) 可動接点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JP6712388B2 (ja) ハウジング及びコネクタ
JP4521045B2 (ja) 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