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898B1 -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898B1
KR101073898B1 KR1020110072420A KR20110072420A KR101073898B1 KR 101073898 B1 KR101073898 B1 KR 101073898B1 KR 1020110072420 A KR1020110072420 A KR 1020110072420A KR 20110072420 A KR20110072420 A KR 20110072420A KR 101073898 B1 KR101073898 B1 KR 101073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spring
ring
jaw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민
Original Assignee
고용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용민 filed Critical 고용민
Priority to KR1020110072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898B1/ko
Priority to PCT/KR2012/001783 priority patent/WO2013012154A1/ko
Priority to JP2012063665A priority patent/JP5097302B1/ja
Priority to CN2012100980284A priority patent/CN102620072B/zh
Priority to TW101113937A priority patent/TWI458907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latching members pushed radially by spring-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4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which is split into a plurality of component parts which are held in place by means of a resilient r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주면에 사각 형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파이프와; 양측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공간부와 공간부 사이에 제 1단턱과 제 2단턱이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절곡턱을 형성하여 파이프 인입구가 형성되는 연결관과; 수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연결관의 각각의 제 1단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되는 제 1오링과; 상기 제 1오링의 후단에 설치되고, 직사각형태로 형성되되, 일측면 하단에 제 1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받침 부재와; 상기 받침 부재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측면 상단에 상기 받침 부재의 제 1걸림턱과 체결되는 제 2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파이프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링 스프링과; 상기 링 스프링의 후단에 설치되고, 내측면에 압입면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압입면을 통해 상기 링 스프링의 외측면을 고정시켜 상기 링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조임 부재; 및 수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조임 부재의 후단과 상기 연결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턱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관과, 오링과, 링 스프링 및 조임 부재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파이프 체결시 파이프의 걸림홈에 링 스프링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시간 및 제작 단가를 낮추고, 외부 충격에 의해 부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ONE TOUCH TYPE PIPE CONNECTION DEVICE HAVING IMPROVED TENSILE FORCE AND EASY CONNECTION}
본 발명은 원터치 타입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관 내에 조임 부재를 설치하여 파이프에 외력이 발생되어 이동되는 경우 조임 부재를 통해 링 스프링의 외측면을 압착하여 이탈을 방지하여 체결을 용이하게 하고, 링 스프링과 함께 파이프의 인장력을 증대시키며, 내진 설계 및 열팽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연결 장치는 배관의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배관과 배관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로 사용되며, 그 구조적 형태에 따라 직선형, 엘보형, T자형, 십자형 등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종래의 파이프 연결 장치는 기밀성과 결합성을 높이기 위해 배관의 접속부를 용접하거나 나사 결합 등의 별도의 고정 수단 및 스냅 링을 필요로 하므로, 배관 연결 작업이 힘들고 조립 공정이 늘어나 시공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 연결 장치에 사용되는 통상의 일반 배관용 스테인레스 강관은 두께가 얇아서 시공 현장에서 용접은 물론 나사를 형성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전용 압착기를 사용하거나 확관하는 등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조오(JAW)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 장치가 다수 개발된 바 있다.
그 중 대한민국특허공보 10-0937925호, 파이프 연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공간부(11)를 갖고, 상기 공간부(11)와 공간부(11) 사이에 제 1단턱(13)과 제 2단턱(15)이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절곡턱(17)을 형성하여 파이프 인입구(19)가 형성되는 연결관(10)과; 수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연결관(10)의 각각의 제 1단턱(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되는 오링 형태의 수밀 패킹(20)과; 일측에 내턱(31a)과 외턱(31b)을 구비하여 이중관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31)와, 상기 몸체(31)의 외턱(31b)에 상호 대칭되어 형성되는 개구부(33)와, 상기 개구부(33)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는 축 삽입홈(35)과, 상기 축 삽입홈(35)에서 상기 몸체(31)의 내턱(31a)측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판(37)과, 상기 몸체(31)의 내턱(31a)과 외턱(31b)이 만나는 일측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삽입홈(39)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밀 패킹(20)과 상기 연결관(10)의 절곡턱(17) 사이에 설치되고, 측면에 복수의 압입턱(81)이 형성되는 받침부재(80)에 의해 상기 연결관(10)의 공간부(11)에 고정되는 조오 하우징(30)과; 상기 조오 하우징(30)에 결합되는 고정 조오(40)와; 상기 고정 조오(40)에 탄발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조오 하우징(30)에 결합되는 링 스프링(50)와; 외측면에 상기 고정 조오(40)가 삽입되도록 걸림홈(61)이 형성되어 상기 조오 하우징(30)에 의해 상기 연결관(10)의 공간부(11) 내에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는 파이프(60); 및 상기 연결관(10)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60)를 원터치로 이탈시키도록 전면 일측에 플랜지(71)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71)와 근접되는 후면에는 갭홈(73)이 형성되며, 끝단에는 상기 고정 조오(40)를 상승시키도록 경사턱(75)이 형성된 조오 이탈부재(70)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우를 사용하는 경우 조오 하우징의 구성이 복잡하고, 조오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우와 링 스프링을 수동으로 조립하기가 어려워 제작 시간 및 단가가 상승되고, 특히 이동이나 현장에서 설치시 충격에 의해 조우가 쉽게 이탈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공보 10-09379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관과, 오링과, 링 스프링 및 조임 부재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파이프 체결시 파이프의 걸림홈에 링 스프링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시간 및 제작 단가를 낮추고, 외부 충격에 의해 부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관 내에 조임 부재를 설치하여 파이프에 외력이 발생되어 이동되는 경우 조임 부재를 통해 링 스프링의 외측면을 압착하여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링 스프링과 함께 파이프의 인장력, 즉 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힘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링 스프링이 파이프에 고정된 상태에서 받침 부재와 조임 부재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갭을 제공하여 내진 설계 및 열팽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연결관 내에 받침 부재를 설치하여 파이프의 삽입시 링 스프링의 위치를 고정하여 링 스프링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외주면에 사각 형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파이프와; 양측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공간부와 공간부 사이에 제 1단턱과 제 2단턱이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절곡턱을 형성하여 파이프 인입구가 형성되는 연결관과; 수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연결관의 각각의 제 1단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되는 제 1오링과; 상기 제 1오링의 후단에 설치되고, 직사각형태로 형성되되, 일측면 하단에 제 1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받침 부재와; 상기 받침 부재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측면 상단에 상기 받침 부재의 제 1걸림턱과 체결되는 제 2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파이프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링 스프링과; 상기 링 스프링의 후단에 설치되고, 내측면에 압입면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에 외력이 가해질 때 상기 압입면을 통해 상기 링 스프링의 외측면을 고정시켜 상기 링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조임 부재; 및 수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조임 부재의 후단과 상기 연결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턱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는 상기 제 2오링과 상기 연결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턱 사이에 설치되고,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에 복수의 가압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가 삽입시 상기 가압 돌기가 상기 연결관에 면접되어 상기 파이프의 유동을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또, 상기 링 스프링은 일단이 절개된 형태이고, 그 단면 형상이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파이프의 압입시 확대되도록 타측면에 하단에 내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제 1경사면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조임 부재는 그 단면 형상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링 스프링을 안내하도록 상기 압입면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제 2경사면과, 상기 링 스프링의 확대시 상기 링 스프링의 확대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경사면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확대면이 연장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파이프의 걸림홈은 상기 링 스프링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 부재와 조임 부재의 압입면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갭을 제공하여 상기 파이프가 외부 충격이나 부등침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연결관의 제 2단턱에 고정시 상기 조임 부재의 확대면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에 따르면, 연결관과, 오링과, 링 스프링 및 조임 부재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파이프 체결시 파이프의 걸림홈에 링 스프링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시간 및 제작 단가를 낮추고, 외부 충격에 의해 부품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관 내에 조임 부재를 설치하여 파이프에 외력이 발생되어 이동되는 경우 조임 부재를 통해 링 스프링의 외측면을 압착하여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링 스프링과 함께 파이프의 인장력, 즉 파이프가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힘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링 스프링이 파이프에 고정된 상태에서 받침 부재와 조임 부재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갭을 제공하여 내진 설계 및 열팽창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관 내에 받침 부재를 설치하여 파이프의 삽입시 링 스프링의 위치를 고정하여 링 스프링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원터치 타입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100)는, 파이프(110)와, 연결관(120)과, 제 1오링(130)과, 받침 부재(140)와, 링 스프링(150)과, 조임 부재(160)와, 제 2오링(170)과, 흔들림 방지 부재(180)로 구성된다.
먼저, 파이프(110)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단부 외주면에 사각형태의 걸림홈(11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파이프(110)의 걸림홈(111)은 파이프(110)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갭(g)을 제공하여 외부 충격이나 부등침하에 대응할 수 있도록 파이프의 단부에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관(120)은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중공상의 일자형, L자형, T자형 등으로 형성되되, 끝단에 공간부(121)를 갖고, 공간부(121)와 공간부(121) 사이에 제 1단턱(123)과 제 2단턱(125)이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절곡턱(127)을 형성하여 파이프 인입구(129)가 형성된다.
또한, 제 1오링(130)은 합성 수지나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수밀을 유지하도록 연결관(120)의 각각의 제 1단턱(123)과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된다.
또, 받침 부재(140)는 제 1오링(130)과 하기에서 설명할 링 스프링(150) 사이에 설치되고, 링 스프링(150)을 고정하고 파이프(110)의 인입시 링 스프링(150)을 지지하도록 직사각형태로 형성되되, 일측면 하단에 제 1걸림턱(141)이 형성된다.
한편, 링 스프링(150)은 금속 재질로 받침 부재(140)의 후단에 설치되어 파이프(110)의 걸림홈(111)에 체결되고, 파이프(110)의 인입시 그 형상이 변형, 즉 확대되도록 일단이 절개된 형태이며, 그 단면 형상이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받침 부재(140)에 고정되도록 일측면 상단에 받침 부재(140)의 제 1걸림턱(140)과 체결되는 제 2걸림턱(151)이 돌출 형성되며, 타측면 하단, 즉 파이프(110)와 면접되는 면에 내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제 1경사면(153)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임 부재(160)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 재질로 링 스프링(150)의 후단에 설치되고, 그 단면 형상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되, 내측면에 압입면(161)이 형성되어 링 스프링(150)이 파이프(110)의 걸림홈(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파이프(110)에 외력이 가해져 파이프(110)가 외측으로 이동시 압입면(161)을 통해 링 스프링(150)의 외측면을 고정시켜 링 스프링(150)의 이탈을 방지하고, 링 스프링(150)의 확대시 이를 안내하도록 압입면(161)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제 2경사면(163)과, 파이프(110)의 삽입시 링 스프링(150)의 확대 공간을 제공하도록 제 2경사면(163)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확대면(165)이 연장 형성된다. 여기에서, 조임 부재(160)는 파이프(110)의 단부가 연결관(120)의 제 2단턱(125)에 고정시 링 스프링(150)이 파이프(110)의 걸림홈(111)에 체결된 상태에서 확대면(165)에 위치되도록 그 길이가 설계된다.
또한, 제 2오링(170)은 합성 수지나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수밀을 유지하도록 조임 부재(160)의 후단과 연결관(12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턱(127) 사이에 설치된다.
또, 흔들림 방지 부재(180)는 제 2오링(170)과 연결관(12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턱(127) 사이에 설치되고,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에 복수의 가압 돌기(181)가 돌출 형성되어 파이프(110)가 삽입시 가압 돌기(181)가 연결관(120)에 면접되어 파이프(110)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먼저, 연결관(120)의 각각의 공간부(121)에 제 1오링(130)과, 받침 부재(140)와, 링 스프링(150)과, 조임 부재(160)와, 제 2오링(170)과, 흔들림 방지 부재(180)를 순차적으로 조립한다. 이때, 각 구성부가 상호 대칭되도록 한다. 이때, 링 스프링(150)은 확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2걸림턱(151)이 받침 부재(140)의 제 1걸림턱(140)과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 다음, 연결관(120)에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110) 일단을 연결관(120)의 일측 인입구(129)에 끼우면 파이프(110)의 단부가 인입되면 흔들림 방지 부재(180)와, 제 2오링(170) 및 조임 부재(16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계속해서, 파이프(110)가 인입되면 파이프(110)의 단부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스프링(150)에 걸리는 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어서, 파이프(110)를 압입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부재(140)의 지지력에 의해 파이프(110)의 단부가 링 스프링(150)에 형성된 제 1경사면(151)을 압박하여 결국 링 스프링(150)이 확대된다. 이때, 링 스프링(150)은 조임 부재(160)의 확대면(165)에서 확대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스프링(150)의 확대로 인해 파이프(110)가 링 스프링(150)을 통과하고, 계속해서 받침 부재(140)와, 제 1오링(130)을 통과하게 되면서 링 스프링(150)이 파이프(110)의 걸림홈(111)에 체결되어 파이프(110)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 충격(지진 등)이나 부등침하 등이 발생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0)가 연결관(120)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링 스프링(150)도 함께 이동되어 링 스프링(150)이 조임 부재(160)의 압입면(161) 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조임 부재(160)의 압입면(161)이 링 스프링(15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파이프(110)가 이탈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파이프(110)와 링 스프링(150)이 받침 부재(140)와 조임 부재(160)의 압입면(161)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갭(g)을 제공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부등침하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파이프 120 : 연결관
130 : 제 1오링 140 : 받침 부재
150 : 링스프링 160 : 조임 부재
170 : 제 2오링 180 : 흔들림 방지 부재

Claims (5)

  1. 외주면에 사각 형태의 걸림홈이 형성되는 파이프와;
    양측에 공간부를 갖고, 상기 공간부와 공간부 사이에 제 1단턱과 제 2단턱이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절곡턱을 형성하여 파이프 인입구가 형성되는 연결관과;
    수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연결관의 각각의 제 1단턱과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되는 제 1오링과;
    상기 제 1오링의 후단에 설치되고, 직사각형태로 형성되되, 일측면 하단에 제 1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받침 부재와;
    상기 받침 부재의 후단에 설치되고, 일측면 상단에 상기 받침 부재의 제 1걸림턱과 체결되는 제 2걸림턱이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파이프의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는 링 스프링과;
    상기 링 스프링의 후단에 설치되고, 내측면에 압입면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에 외력이 가해져 외측으로 이동시 상기 압입면을 통해 상기 링 스프링의 외측면을 고정시켜 상기 링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조임 부재; 및
    수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조임 부재의 후단과 상기 연결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턱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오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는,
    상기 제 2오링과 상기 연결관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절곡턱 사이에 설치되고, 원통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에 복수의 가압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가 삽입시 상기 가압 돌기가 상기 연결관에 면접되어 상기 파이프의 유동을 방지하는 흔들림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스프링은,
    일단이 절개된 형태이고, 그 단면 형상이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파이프의 압입시 확대되도록 타측면에 하단에 내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제 1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부재는,
    그 단면 형상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링 스프링을 안내하도록 상기 압입면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제 2경사면과, 상기 링 스프링의 확대시 상기 링 스프링의 확대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경사면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확대면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걸림홈은,
    상기 링 스프링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 부재와 조임 부재의 압입면 사이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갭을 제공하여 상기 파이프가 외부 충격이나 부등침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파이프의 단부가 상기 연결관의 제 2단턱에 고정시 상기 조임 부재의 확대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20110072420A 2011-07-21 2011-07-21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1073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420A KR101073898B1 (ko) 2011-07-21 2011-07-21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PCT/KR2012/001783 WO2013012154A1 (ko) 2011-07-21 2012-03-12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JP2012063665A JP5097302B1 (ja) 2011-07-21 2012-03-21 引張力増大及び締結が容易なワンタッチ挿入式パイプ連結装置
CN2012100980284A CN102620072B (zh) 2011-07-21 2012-04-05 张力大幅提高且连接操作简单的单触插入式管道连接设备
TW101113937A TWI458907B (zh) 2011-07-21 2012-04-19 張力大幅提高且連接操作簡單的單觸插入式管道連接設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420A KR101073898B1 (ko) 2011-07-21 2011-07-21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3898B1 true KR101073898B1 (ko) 2011-10-17

Family

ID=45032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420A KR101073898B1 (ko) 2011-07-21 2011-07-21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097302B1 (ko)
KR (1) KR101073898B1 (ko)
CN (1) CN102620072B (ko)
TW (1) TWI458907B (ko)
WO (1) WO201301215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72B1 (ko) 2012-10-31 2013-06-13 우지현 배관의 수축팽창을 흡수하는 내진형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1326079B1 (ko) * 2013-04-15 2013-11-07 우지현 파이프 연결장치
CN111779667A (zh) * 2020-08-04 2020-10-16 赣州市闻誉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消防工作的可快速转移水泵
KR20220084889A (ko) * 2020-12-14 2022-06-21 (주)동광엔지니어링 친환경 원터치 커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2714A (zh) * 2011-09-02 2013-09-04 沃泰有限公司 一键式配管连接装置
CN109538874B (zh) * 2019-01-28 2024-01-19 成都川路塑胶集团有限公司 一种组装式管箍结构
WO2021063499A1 (en) * 2019-10-02 2021-04-08 Cejn Ab Coupling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197Y1 (ko) 2001-05-22 2001-10-15 고은진 파이프 연결구
KR100937925B1 (ko) 2008-09-30 2010-01-21 유세형 파이프 연결장치
KR101007546B1 (ko) 2010-10-15 2011-01-14 (주)럭키텍 이음관 내부에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64022A (en) * 1994-07-15 1998-02-26 Hansen Dev Ltd Pipe coupling comprising a body part, a rotatable sleeve and a circular band
JP4727078B2 (ja) * 2001-07-19 2011-07-20 東京瓦斯株式会社 差込式管継手
KR200280086Y1 (ko) * 2002-04-12 2002-06-27 주식회사 조인탑 파이프 연결구
JP2003343783A (ja) * 2002-05-23 2003-12-03 Nasco Fitting Kk 管継手
JP4204337B2 (ja) * 2002-08-23 2009-01-07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管継手方法
JP2006105269A (ja) * 2004-10-05 2006-04-20 Benex Corp 管継手
TWM272008U (en) * 2005-03-03 2005-08-01 Morning Metal Co Ltd Improved connector for pipes
CN200949715Y (zh) * 2006-08-28 2007-09-19 爱福瑞·凯德 一种管道连接装置
TW200918798A (en) * 2007-10-26 2009-05-01 Toford Plastic Mfg Corp Rapid pipe joint
KR20110001308U (ko) * 2009-07-30 2011-02-09 장조영 배관용 조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197Y1 (ko) 2001-05-22 2001-10-15 고은진 파이프 연결구
KR100937925B1 (ko) 2008-09-30 2010-01-21 유세형 파이프 연결장치
KR101007546B1 (ko) 2010-10-15 2011-01-14 (주)럭키텍 이음관 내부에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72B1 (ko) 2012-10-31 2013-06-13 우지현 배관의 수축팽창을 흡수하는 내진형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1326079B1 (ko) * 2013-04-15 2013-11-07 우지현 파이프 연결장치
CN104100787A (zh) * 2013-04-15 2014-10-15 禹智现 管连接装置
CN111779667A (zh) * 2020-08-04 2020-10-16 赣州市闻誉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消防工作的可快速转移水泵
CN111779667B (zh) * 2020-08-04 2022-09-20 北京中安锐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消防工作的可快速转移水泵
KR20220084889A (ko) * 2020-12-14 2022-06-21 (주)동광엔지니어링 친환경 원터치 커플러
KR102475850B1 (ko) * 2020-12-14 2022-12-08 (주)동광엔지니어링 친환경 원터치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05477A (zh) 2013-02-01
JP2013024417A (ja) 2013-02-04
JP5097302B1 (ja) 2012-12-12
CN102620072B (zh) 2013-04-17
CN102620072A (zh) 2012-08-01
WO2013012154A1 (ko) 2013-01-24
TWI458907B (zh) 201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898B1 (ko)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132607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0937925B1 (ko) 파이프 연결장치
RU2012120430A (ru) Трубная муфт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прижатия уплотнения
US20130056976A1 (en)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KR101763694B1 (ko) 비닐하우스용 패드 일체형 골조 및 패드 일체형 골조 고정장치
KR200347218Y1 (ko) 배관용 조인트
JP5992953B2 (ja) 部品組み立てが容易なワンタッチ挿入式パイプ連結装置
JP2006234024A (ja) コネクタ
KR20090106296A (ko) 파이프용 연결물
KR101272272B1 (ko) 배관의 수축팽창을 흡수하는 내진형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JP4166225B2 (ja) パネル貫通の配管部材のホルダ
KR101304495B1 (ko)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나사 잠금 방식 파이프 연결장치
KR101304496B1 (ko)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JP2008116127A (ja) 空気調和機のドレン接続装置
KR100569710B1 (ko) 원터치 방식의 관부재 이음장치
KR101329279B1 (ko) 파이프 연결구조 및 파이프 연결방법
JP6659579B2 (ja) クイックファスナーの外れ防止装置
KR101823055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2120723B1 (ko) 차량용 이종 재질 호스 연결소켓 조립구조
JP6249893B2 (ja) 金属屋根用取付金具
KR20100000014A (ko) 케미컬 관체 고정장치
JP2008296912A (ja) エアバッグ装置
JP5514502B2 (ja) 屈曲防止リング及びリブ付き管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