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176B1 -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176B1
KR101073176B1 KR1020080121803A KR20080121803A KR101073176B1 KR 101073176 B1 KR101073176 B1 KR 101073176B1 KR 1020080121803 A KR1020080121803 A KR 1020080121803A KR 20080121803 A KR20080121803 A KR 20080121803A KR 101073176 B1 KR101073176 B1 KR 101073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fabric
heat treatment
guid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330A (ko
Inventor
윤순필
Original Assignee
윤순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순필 filed Critical 윤순필
Priority to KR102008012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1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3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06C15/06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between rollers and co-operating moving surfaces formed of flexible material, e.g. ba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열에 의해 변성되는 부분과 변성되지 않는 부분을 자유롭게 나타낼 수 있는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직물을 제공한다. 그 장치는 열처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원단과 함께 열처리부로 투입되도록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부와 테이프 공급부와 열처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테이프를 열처리부에 투입시키는 테이프 가이드를 포함한다. 그 직물은 테이프의 형상이 원단에 그대로 나타나, 예를 들어 직물의 표면은 광택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Figure R1020080121803
직물, 표면처리, 테이프. 테이프 가이드, 열처리부

Description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직물{Apparatus of surface treatment of woven fabrics using tape and woven fabrics of manufactur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직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를 이용하여 직물의 표면을 열로 처리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열처리를 이용하여 직물의 표면을 처리하면, 직물의 표면에 다양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물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고 반사광선이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직물의 표면에 광택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직물 자체 또는 직물에 일정한 처리를 하여, 열에 의해 변성되는 직물인 경우에는 위와 같은 열처리에 의해 직물의 표면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열처리에 의해 직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종래의 장치는 직물의 표면이 열에 의해 변성되는 부분(예컨대 광택)과 변성되지 않는 부분을 자유롭게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직물의 표면이 열에 의해 변성되는 부분과 변성되지 않는 부분을 적절하게 조합하면, 직물의 표면에 원하는 무늬를 표현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 의 질감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열에 의해 변성되는 부분과 변성되지 않는 부분을 자유롭게 나타낼 수 있는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위의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표면처리 장치는 원단이 지나가며 원단을 표면처리하기 위한 열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처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부와, 상기 열처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처리부에서 표면처리된 직물을 감는 직물 권취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처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과 함께 상기 열처리부로 투입되도록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 공급부와 상기 열처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테이프를 상기 열처리부에 투입시키는 테이프 가이드 및 상기 열처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처리부를 통과한 상기 테이프를 감는 테이프 권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부는 상기 원단과 테이프가 사이를 지나도록 하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졌으며, 상기 롤러는 상기 원단과 테이프에 열과 압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가이드는 가이드 본체와 상기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가이드 일측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테이프의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통 및 상기 가이드 통을 상기 가이드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통의 일부는 제거되어 상기 테이프의 묶인 부분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고정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테이프는 선형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테이프는 적어도 일측 또는 적어도 일측과 내부를 이용하여 모양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는 격자형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테이프는 격자를 이루는 테이프가 만나는 부분 또는 격자를 테이프와 격자를 테이프가 만나는 부분을 이용하여 모양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직물은 상기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이때, 상기 직물의 표면은 광택이 있는 부분과 광택이 없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직물은 다양한 무늬를 테이프를 이용하여 원단의 표면을 열처리함으로써, 열로 변성된 부분과 열로 변성되지 않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의 다양한 무늬는 직물의 표면에 그대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에 의해 광택을 부여하는 경우, 직물의 표면은 다양한 무늬를 지닌 광택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테이프를 이용하여 직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직물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테이프가 덮이는 직물의 표면은 열에 의해 변성이 거의 일어나지 않고, 테이프가 덮이지 않는 직물의 표면은 열에 의해 변성이 일어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열에 의해 직물의 표면에 광택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직물의 표면이 광택이 있는 부분과 광택이 없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테이프를 투입하는 장치와 이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면처리 장치(100)는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대(110)와 직물이 이동하는 부분과 테이프가 이동하는 부분으로 크게 구별된다. 이때, 직물은 열에 의해 표면이 변성되어 직물의 특성이 변화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직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면처리되기 전의 상태 그리고 표면처리된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표면처리 전의 상태의 직물은 원단, 그리고 표면처리후의 상태의 직물은 표면처리된(또는 변성된) 직물이라고 한다.
직물이 이동하는 부분은 원단(120)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부(122)와 표면처리된 직물(126)이 권취되는 직물 권취부(124)를 포함하고, 원단공급부(122)와 직물 권취부(124) 사이에는 열처리부(150)가 위치한다. 즉, 원단 공급부(122)에서 공급되는 원단(120)은 지지대(110) 상을 지나서 열처리부(150)로 투입된다. 열처리부(150)에서는 원단(120)의 표면을 열에 의해 변성시키고, 변성된 직물(126)은 지지대 상을 지나서 직물 권취부(124)에 감긴다.
테이프가 이동하는 부분은 테이프(130)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테이프 공급부(132)와 열처리에 사용된 테이프를 수거하는 복수개의 테이프 권취부(134)가 열처리부(150)를 사이에 두고 대응되어 배치된다. 테이프 공급부(132)와 테이프 권취부(134)는 서로 동일한 개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 공급부(132)와 테이프 권취부(134)는 이들은 지탱하기 위한 지지바(13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바(138)는 지면에 고정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지지대(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테이프 공급부(132)에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테이프 공급부(132)는 복수개의 테이프(130)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고 각각의 테이프(130)를 별도로 공급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개의 테이프(130)를 동시에 공급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각각의 테이프(130)를 별도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테이프 공급부(132)의 각각을 지지하는 지지바(도시하지 않음)를 천장 등에 설치하고, 각각의 테이프 공급부(132)를 각각의 고정시키고 테이프를 별도로 공급할 수 있다.
테이프 공급부(132)에서 공급되는 테이프(130)는 테이프 가이드(140)를 통하 여 원단(120)과 함께 열처리부(150)로 투입된다. 테이프 가이드(14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선택적으로, 테이프 공급부(132)와 테이프 가이드(140) 사이에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136)를 둘 수 있다.
열처리부(150)로 투입된 테이프(130)는 원단(120)의 표면이 열에 의한 변성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열처리부(150)를 지난 후에 테이프 권취부(134)에 의해 감긴다. 여기서, 테이프 권취부(134)와 열처리부(150) 사이에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136)를 설치할 수 있다.
테이프 권취부(134)는 복수개의 테이프(130)를 동시에 권취할 수 있고 각각의 테이프(130)를 별도로 권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복수개의 테이프(130)를 동시에 권취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각각의 테이프(130)를 별도로 권취하기 위해서는 테이프 권취부(134)의 각각을 지지하는 지지바(도시하지 않음)를 천장 등에 설치하고, 각각의 테이프 권취부(134)를 각각의 고정시키고 테이프를 별도로 권취할 수 있다.
열처리부(150)는 예를 들어 가열된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투입되는 원단(120)과 테이프(13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단(120)과 테이프(130)가 롤러 사이에 인입되면, 롤러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에 의해 원단(120)의 표면을 변성시킨다. 즉, 테이프(130)가 덮이는 부분은 열에 의해 변성이 일어나지 않고, 테이프(130)가 덮이지 않은 부분은 열에 의해 변성이 일어난다. 열처리부(150)에서 가해지는 열과 압력은 직물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테이프(130)는 열처리부(150)에 의해 원단(120)에 달라붙지 않고 열처리 후에 테이프 권취부(134)에 의한 장력에 의해 용이하게 떨어져야 한다. 또한, 열처리 과정 중에 원단(120)에 흔적을 남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의도적으로 테이프(130)의 표면의 물질을 열로 전사할 수도 있다. 만일 열처리부(150)에 의해 원단(120)의 표면에 광택을 부여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표면처리된 직물(126)은 광택이 있는 부분(125)과 광택이 없는 부분(127)으로 구분된다. 광택이 없는 부분(127)의 표면은 테이프(130)에 의해 열로 전사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테이프(130)의 개수는 기본적으로 테이프 공급부(132)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프(130)의 폭, 두께 및 개수는 원하는 표면처리와 원단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즉, 테이프(130)의 폭은 각각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표면처리된 직물(126)은 직물 권취부(124)에 의해 권취된다.
도 2a는 도 1의 테이프 가이드(14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2B-2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가이드 통(142)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테이프 가이드(140)는 가이드 본체(146)와 테이프(130)가 지나가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트 통(142)과 가이드 통(142)을 가이드 본체(146)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44)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본체(146)의 일면에는 고정부(144)가 고정될 수 있도록 그루브(groove; 148)가 형성되어 있다.
그루브(148)의 폭(d)은 가이드 통(14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폭(d)이 작을수록 가이드 통(142)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본체(146)의 전체 길이는 표면처리 장치의 크기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다.
고정부(144)의 일측은 가이드 통(142)의 일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며, 타측은 가이드 본체(146)에 고정된다. 즉, 고정부(144)의 타측은 가이드 본체(146)를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144)는 탄성력이 있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144)의 굵기는 그루브(148)에 밀착되어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다. 도면에서는 가이드 통(142)과 가이드 본체(146)가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하였으나, 가이드 통(142)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통(142)과 가이드 본체(146)가 밀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통(142)은 납작한 타원형의 단면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 통(142)을 지나는 테이프(130)를 흔들림이 없이 안정되게 수용하여야 한다. 가이드 통(142)의 폭(W1)은 테이프의 폭(W2)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표면처리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가이드 통(142)의 폭(W1)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테이프 가이드(140)는 가이드 통(142)이 가이드 본체(146)의 그루브(148)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사례를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가이드 통(142)을 가이드 본체(146)에 고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통(142)과 가이드 본체(146)를 나사연결 기법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본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고정자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이들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130)에 대하여 도면에서는 일정한 폭을 가진 것을 제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테이프 공급부(132)에서 공급되는 각각의 테이프(130)의 폭을 달리할 수도 있고, 테이프(130)의 적어도 일측 또는 적어도 일측과 내부에 굴곡을 주어 다른 모양을 갖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130)는 필요에 따라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길이를 길게 하는 방법은 테이프(130)를 서로 겹치게 하고 겹친 부분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130)를 서로 묶어 그 길이를 길게 할 수도 있다. 테이프(130)를 묶어서 길게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가이드 통은 도 2c에 제시한다.
도 2c에 의하면, 변형된 가이드 통(145)은 테이프가 묶인 부분(130a)이 지나가도록 고안된 것이다. 즉, 테이프)가 묶인 부분(130a)은 도 2a에 의해 제시된 가이드 통(142)을 통과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변형된 가이드 통(145)의 일측면의 일부를 제거하여 테이프의 묶인 부분(130a)이 지나가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가이드(140)는 열처리부(15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테이프 가이드(140)가 왕복운동을 하면, 테이프(130)도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표면처리된 직물(126)에는 광택이 없는 부분(127)이 직선형태가 아닌 웨이브(wave)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열처리부(150)를 지나서 앞에서 설명한 테이프 가이드(14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테이프 가이드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가이드는 앞에서 설명한 테이프 가이드(140)를 통과한 테이프(130)가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도 1 내지 도 2c에서 설명한 표면처리 장치에서 테이프가 이동하는 부분을 달리한 것이다. 이때, 테이프를 이동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테이프가 이동하는 부분은 테이프(220)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부(222)와 열처리에 사용된 테이프를 수거하는 테이프 권취부(224)가 열처리부(150)를 사이에 두고 대응되어 배치된다. 테이프 공급부(222)와 테이프 권취부(224)는 각각 하나일 수도 있다. 테이프 공급부(222)와 테이프 권취부(224)는 이들은 지탱하기 위한 지지바(13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바(138)는 지면에 고정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지지대(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테이프 공급부(222)에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테이프 공급부(222)에서 공급되는 테이프(220)는 테이프 가이드(240)를 통하여 원단(120)과 함께 열처리부(150)로 투입된다. 테이프 가이드(24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선택적으로, 테이프 공급부(222)와 테이프 가이드(240) 사이에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136)를 둘 수 있다.
열처리부(150)로 투입된 테이프(220)는 원단(120)의 표면이 열에 의한 변성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열처리부(150)를 지난 후에 테이프 권취부(224)에 의해 감긴다. 여기서, 테이프 권취부(224)와 열처리부(150) 사이에 테이프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부(136)를 설치할 수 있다.
열처리부(150)는 예를 들어 가열된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투입되는 원단(120)과 테이프(22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단(120)과 테이프(220)가 롤러 사이에 인입되면, 롤러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에 의해 원단(120)의 표면을 변성시킨다. 즉, 테이프(220)가 덮이는 부분은 열에 의해 변성이 일어나지 않고, 테이프(220)가 덮이지 않은 부분은 열에 의해 변성이 일어난다. 열처리부(150)에서 가해지는 열과 압력은 직물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테이프(220)는 열처리부(150)에 의해 원단(120)에 달라붙지 않고 열처리 후에 테이프 권취부(224)에 의한 장력에 의해 용이하게 떨어져야 한다. 또한, 열처리 과정 중에 원단(120)에 테이프(220)의 흔적을 남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의도적으로 테이프(220)의 표면에 코팅된 물질을 열로 전사할 수도 있다. 만일 열처리부(150)에 의해 원단(120)의 표면에 광택을 부여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표면처리된 직물(230)은 광택이 있는 부분(231)과 광택이 없는 부분(233)으로 구분된다.
도 4는 도 3의 테이프 가이드(24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테이프 가이드(240)는 가이드 본체(246)와 테이프(220)가 지나가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트 통(242)과 가이드 통(242)을 가이드 본체(246)에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고정부(244)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본체(246)의 일면에는 고정부(244)가 고정될 수 있도록 그루브(groove; 248)들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44)의 일측은 가이드 통(242)의 일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며, 타측은 가이드 본체(246)에 고정된다. 즉, 고정부(244)의 타측은 가이드 본체(246)를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244)는 탄성력이 있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244)의 굵기는 그루브(248)에 밀착되어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이면 충분하다.
가이드 통(242)은 납작한 타원형의 단면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며, 가이드 통(242)을 지나는 테이프(220)를 흔들림이 없이 안정되게 수용하여야 한다. 가이드 통(242)의 폭(W3)은 테이프의 폭(W4)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테이프 가이드(240)는 가이드 통(242)이 가이드 본체(246)의 그루브(248)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사례를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가이드 통(242)을 가이드 본체(246)에 고정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통(242)과 가이드 본체(246)를 나사연결 기법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본체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고정자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이들을 연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220)에 대하여 도면에서는 일정한 폭을 가진 격자 형태를 가진 것을 제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격자의 일부에 다른 모양(예를 들어 하트 모양, 원 모양, 나비 모양)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하였지만, 테이프(220)의 원단(120)에 닿는 부분에 전사하고자 하는 물질을 코팅하고, 상기 전사물질이 열처리부(150)를 통과할 때 열에 의해 상기 전사물질을 원단에 전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220)는 필요에 따라 서로 연결하 여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길이를 길게 하는 방법은 테이프(220)를 서로 겹치게 하고 겹친 부분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양한 무늬를 테이프를 이용하여 원단의 표면을 열처리함으로써, 열로 변성된 부분과 열로 변성되지 않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의 다양한 무늬는 직물의 표면에 그대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에 의해 광택을 부여하는 경우, 직물의 표면은 다양한 무늬를 지닌 광택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앞에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테이프 가이드를 하나의 열처리부에 다수 개를 설치하여, 직물에 각 가이드에 해당하는 무늬들을 표현할 수 있다. 이때, 다수 개의 테이프 가이드들은 위아래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하나의 공정에 다수개의 테이프 가이드 각각에 열처리부를 둘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테이프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2B-2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가이드 통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테이프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지지대 120; 원단
122; 원단공급부 124; 직물권취부
130, 220; 테이프 132, 222; 테이프 공급부
134, 224; 테이프 권취부 140, 240; 테이프 가이드
142, 242; 가이드 통 144, 244; 고정부
146, 246; 가이드 본체 148, 248; 그루브
150; 열처리부

Claims (5)

  1. 원단이 지나가며 원단을 표면처리하기 위한 열처리부;
    상기 열처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부;
    상기 열처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처리부에서 표면처리된 직물을 감는 직물 권취부;
    상기 열처리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원단과 함께 상기 열처리부로 투입되도록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부;
    상기 테이프 공급부와 상기 열처리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테이프를 상기 열처리부에 투입시키는 테이프 가이드; 및
    상기 열처리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처리부를 통과한 상기 테이프를 감는 테이프 권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가이드는
    가이드 본체;
    상기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가이드 일측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테이프의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 통; 및
    상기 가이드 통을 상기 가이드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의 일부는 제거되어 상기 테이프의 묶인 부분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는 상기 고정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격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KR1020080121803A 2008-12-03 2008-12-03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KR101073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803A KR101073176B1 (ko) 2008-12-03 2008-12-03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803A KR101073176B1 (ko) 2008-12-03 2008-12-03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330A KR20100063330A (ko) 2010-06-11
KR101073176B1 true KR101073176B1 (ko) 2011-10-12

Family

ID=4236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803A KR101073176B1 (ko) 2008-12-03 2008-12-03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1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006B1 (ko) * 1996-04-18 1999-06-15 최백경 피브이씨 유연성 원단에 색채무늬층을 형성시키는 방법과 이로부터 얻어진 제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006B1 (ko) * 1996-04-18 1999-06-15 최백경 피브이씨 유연성 원단에 색채무늬층을 형성시키는 방법과 이로부터 얻어진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330A (ko)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116B1 (ko) 섬유 다발의 개섬 방법 및 장치
JP3546409B2 (ja) 繊維機械用のロッド状糸案内部材、特にヘルド、及びその製造方法
CN1824859B (zh) 针织机的纤维条子喂给装置
CN106062389B (zh) 包覆由织物构成的包覆物而成的辊及使用该辊的装置
JP6132855B2 (ja) 巻付け可能で端がほつれにくい保護布スリーブ、およびその構成方法
JP5628999B2 (ja) 搬送ベルトおよびその装置
KR101397518B1 (ko) 매선용 탄성실
JP5553074B2 (ja) 繊維束の開繊方法及び装置
KR101073176B1 (ko)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PL1716275T3 (pl) Sposób i urządzenie do nawijania dzianych siatek
CN107991848B (zh) 滑动片及其制备方法
US20170071311A1 (en) Hair forming device
KR101883469B1 (ko) 금속 판재의 열처리장치
EP2028317A1 (en) Belt for shoe press
KR20000065230A (ko) 높은 탄성률을 갖는 경사로 이루어진 직물의 제직방법
KR101676729B1 (ko) 스프레딩 장치 및 그 스프레딩 장치를 포함하는 원사의 스프레딩 시스템
JP2009522135A (ja) 弾性シリコーンゴムベルト
CN106061312B (zh) 拉链牙链带及拉链牙链带的制造方法
RU2264491C2 (ru) Тяговое веду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4034702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ias fabric
CA1135038A (en) Machine for and method of producing treating or finishing a fabric
JP6597109B2 (ja) パイピング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起毛マット
JPH01280045A (ja) エアジェット織機
KR102009771B1 (ko)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신발제조시스템 및 신발제조방법
JPH04352896A (ja) 抄紙機用フエルトを製造するための布帯をニードルパンチする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