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771B1 -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신발제조시스템 및 신발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신발제조시스템 및 신발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771B1
KR102009771B1 KR1020180050828A KR20180050828A KR102009771B1 KR 102009771 B1 KR102009771 B1 KR 102009771B1 KR 1020180050828 A KR1020180050828 A KR 1020180050828A KR 20180050828 A KR20180050828 A KR 20180050828A KR 102009771 B1 KR102009771 B1 KR 102009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flexible
unit
variable
c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혁
박희창
김병인
이성휘
오상택
김구니
전호균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5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00Machines for preliminary treatment or assembling of upper-parts, counters, or insoles on their lasts preparatory to the pulling-over or lasting operations; Applying or 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 A43D11/12Machines for forming the toe part or heel part of shoes, with or without use of hea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 A43D25/20Arrangements for activating or for accelerating setting of adhesives, e.g. by us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95/00Shoe-finishing machines
    • A43D95/10Drying or heating devices for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효과적으로 가열 대상을 가열할 수 있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신발제조시스템 및 신발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는 베이스부, 유연유도가열부, 조절부, 안내부 그리고 동력발생부를 포함한다. 베이스부는 제1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 일단부에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걸림기둥을 가진다. 유연유도가열부는 일부분은 제1걸림기둥에 걸리면서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일부분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류가 인가되어 피가열체를 유도가열시킨다. 조절부는 베이스부의 상면 타단부에 구비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연유도가열부가 결합되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유연유도가열부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방향으로의 길이가 가변된다. 안내부는 베이스부의 상면 타단부 및 조절부를 연결하고, 조절부가 제1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동력발생부는 조절부가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신발제조시스템 및 신발제조방법{INDUCTION HEATING APPARATUS WITH VARIABLE SHAPE, SYSTEM FOR MANUFACTURING SHO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HOE}
본 발명은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신발제조시스템 및 신발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효과적으로 가열 대상을 가열할 수 있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신발제조시스템 및 신발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갑피(upper)와 신발창(sole)으로 구성되며, 신발 창은 다시 겉창(outsole), 중창(midsole), 안창(insole) 등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각 부품은 각각의 제조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후 접착제에 의해 조립된다. 따라서 신발 제조공정은 부품 제조공정과 이 부품들을 조립하는 조립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신발소재는 대표적인 비극성 재질로서 접착이 매우 어려우므로 여러 가지 전처리 공정이 필요하다. 전처리 공정은 겉창, 중창, 안창 및 갑피(upper)로 구성되는 신발 부품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기 전에 미리 처리하는 공정이다. 이중 세척공정은 각 부품의 표면에 묻어 있는 오염원을 제거하는 공정이고, 자외선 처리 공정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재료 표면을 변화시키며, 프라이머 공정은 접착제와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접착력을 발현하기 위한 공정이다.
그리고, 기존 습식 접착제의 가열 방식으로는 열풍 방식이 사용되는데, 열풍 방식에서는 접착제가 도포된 후 재질 전반부에 에너지를 가하기 때문에 고온에서 재질의 손상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즉, 기존 습식 접착제는 도포된 후 건조가 필요한데, 건조 온도에 민감한 소재의 물성 변화가 초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중창의 경우 건조 온도가 60℃ 이상일 때 치수 안정성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신발소재 부품들의 접착면이 굴곡을 가지는 경우에는 접착제로 전달되는 열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접착면 전체에 걸쳐서 접착강도가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유도가열 코일을 이용하여 접착공정을 진행하고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유도가열 코일은 일반적으로 동관으로 구성되며, 동관의 외측에 전류를 인가시켜 피가열체를 유도가열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동관 형태의 유도가열 코일은 실시간으로 형상이 변형될 수가 없다. 따라서, 접착공정 중에, 유도가열 코일보다 크기가 큰 신발창이 공급되는 경우 공급되는 신발창의 접착제에 전체적으로 열을 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 경우, 신발창의 접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접착공정 중에, 유도가열 코일보다 크기가 작은 신발창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공급되는 신발창의 접착면적보다 넓은 면적으로 열이 공급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113120호(2001.12.28.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효과적으로 가열 대상을 가열할 수 있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신발제조시스템 및 신발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 일단부에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걸림기둥을 가지는 베이스부; 일부분은 상기 제1걸림기둥에 걸리면서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류가 인가되어 피가열체를 유도가열시키는 유연유도가열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조절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타단부 및 상기 조절부를 연결하고, 상기 조절부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 그리고 상기 조절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안내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걸림기둥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걸림기둥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연유도가열부의 다른 일부분이 밀착되어 벤딩되면서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걸림기둥과, 상기 제2걸림기둥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걸림기둥에 밀착되어 벤딩되면서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과 함께 상기 유연유도가열부를 가압하여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팽팽해지도록 고정시키는 한 쌍의 가압롤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기둥은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밀착되는 제1밀착면이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기둥은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밀착되는 제2밀착면이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밀착되는 제3밀착면이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라운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연유도가열부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연코어와, 상기 유연코어의 외측에 상기 유연코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감기고 전류가 인가되는 가열코일과, 상기 유연코어 및 상기 가열코일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내측에 냉각수를 수용하는 튜브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제1걸림기둥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며 제1강성을 가지는 강성튜브와, 상기 강성튜브의 양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걸림기둥, 상기 가이드블록 및 상기 가압롤러에 밀착되며 상기 제1강성보다 작은 제2강성을 가지는 유연튜브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기둥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연유도가열부 중에 상기 제1걸림기둥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형성되는 자기력선을 차폐하는 제1차폐부; 그리고 상기 조절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연유도가열부 중에 상기 조절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형성되는 자기력선을 차폐하는 제2차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와, 상기 조절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상기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신발의 바닥조립체를 이동시키는 공급벨트와, 상기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하측에 구비되는 리턴벨트를 가지는 벨트이송부; 상기 공급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바닥조립체의 위치 및 형상을 센싱하는 센싱부; 그리고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되는 상기 바닥조립체의 상기 제1방향의 폭에 대응되도록 상기 유연유도가열부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발제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조립체는 겉창과, 상기 겉창의 내측에 전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연유도가열부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메시 형태의 발열체와, 상기 겉창의 상면에 구비되는 필름형 접착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조립체는 겉창과, 상기 겉창의 상부에 도포되되,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연유도가열부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금속 입자를 가지는 접착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상측에 구비되는 벨트이송부의 공급벨트가 상기 제2방향으로 신발의 바닥조립체를 이동시키는 공급단계; 센싱부가 상기 공급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바닥조립체의 위치 및 형상을 센싱하는 센싱단계; 제어부가 상기 유연유도가열부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를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되는 상기 바닥조립체의 상기 제1방향의 폭에 대응되도록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조절단계; 그리고 상기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가 상기 바닥조립체를 유도가열하는 유도가열단계를 포함하는 신발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연유도가열부가 유연성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유연유도가열부의 일부분이 조절부에 결합되어 조절부의 이동에 따라 유연유도가열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되는 신발 겉창의 폭에 대응하여 유연유도가열부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겉창의 접착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되는 신발 겉창이 유연유도가열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경우에만 유연유도가열부가 가동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유연유도가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제조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제조시스템으로 제조되는 신발의 바닥조립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제조시스템에서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제조시스템으로 제조되는 신발의 다른 바닥조립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100)는 베이스부(110), 유연유도가열부(120), 조절부(130), 안내부(140) 그리고 동력발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제1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한 쌍의 제1걸림기둥(115)을 가질 수 있다. 제1걸림기둥(115)은 베이스부(110)의 상면(111)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유연유도가열부(120)는, 일부분은 제1걸림기둥(115)에 걸리면서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일부분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피가열체를 유도가열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유연유도가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연유도가열부(120)는 유연코어(121), 가열코일(122) 및 튜브(123)를 가질 수 있다.
유연코어(121)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비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코어(121)는 테프론(Teflo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연코어(121)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가열코일(122)은 유연코어(121)의 외측에 유연코어(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감길 수 있으며, 가열코일(122)에는 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가열코일(122)에 전류가 공급되면, 전자 유도에 의해 금속소재의 피가열체에는 와전류가 발생하고, 금속의 저항에 의해 발생된 줄열에 의해 피가열체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튜브(123)는 가열코일(122)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튜브(123)의 내측에는 냉각수가 공급되어 수용될 수 있다. 튜브(123)의 내측에 공급되는 냉각수는 유도가열을 위한 전류 인가 시에 온도가 상승하는 가열코일(122)을 냉각할 수 있다.
냉각수는 유연코어(121) 및 튜브(123)의 사이 공간으로 흐르게 되는데, 유연코어(121)는 가열코일(122)을 지지하고, 가열코일(122)은 일정한 피치를 이루면서 감기는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냉각수의 흐름(124)은 가열코일(122)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코일(122)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으며, 유연유도가열부(120)의 열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조절부(130)는 베이스부(110)의 상면(111) 타단부에 구비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연유도가열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조절부(130)는 유연유도가열부(120)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유연유도가열부(120)의 제1방향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조절부(130)는 몸체부(131), 제2걸림기둥(132), 가이드블록(135) 그리고 가압롤러(137)를 가질 수 있다.
몸체부(131)는 조절부(130)의 몸체를 형성하며, 제1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제2걸림기둥(132)은 몸체부(131)의 상부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걸림기둥(132)은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걸림기둥(132)은 제1걸림기둥(115)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제2걸림기둥(132)은 제1걸림기둥(115)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걸림기둥(115)에 일부분이 걸려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연유도가열부(120)의 다른 일부분은 제2걸림기둥(132)에 밀착되어 벤딩될 수 있다. 그리고, 유연유도가열부(120)는 제2걸림기둥(132)에 밀착되어 벤딩된 후 제2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유연유도가열부(120)는 제1걸림기둥(115) 및 제2걸림기둥(132)에 걸려 사각형상으로 벤딩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유연유도가열부(120)는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기둥(115)은 유연유도가열부(120)가 밀착되는 제1밀착면(116)이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걸림기둥(132)도 유연유도가열부(120)가 밀착되는 제2밀착면(133)이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유연유도가열부(120)가 제1걸림기둥(115) 및 제2걸림기둥(132)에 밀착되는 부분이 라운드 형성됨에 따라, 유연유도가열부(120)는 제1걸림기둥(115) 및 제2걸림기둥(132)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면서 벤딩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135)은 몸체부(13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걸림기둥(132)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135)은 제2걸림기둥(132)에 밀착되면서 벤딩되어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연유도가열부(120)가 밀착되는 제3밀착면(136, 도 4 참조)을 가질 수 있다. 제3밀착면(136)은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라운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연유도가열부(120)는 가이드블록(135)에 밀착되어 벤딩되면서 다시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블록(135)은 제1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3밀착면(136)도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롤러(137)는 몸체부(131)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압롤러(137)는 가이드블록(135)의 각각의 제3밀착면(136)에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압롤러(137)는 고정축(139) 및 롤러(138)를 가질 수 있다.
고정축(139)은 몸체부(131)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롤러(138)는 고정축(139)에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고정축(139)에 결합되는 각각의 롤러(138)는 유연유도가열부(120)의 지름에 대응되는 거리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걸림기둥(132)의 제2밀착면(133)에 밀착되어 제2방향으로 벤딩된 유연유도가열부(120)는 가이드블록(135)의 제3밀착면(136)과 함께 가압롤러(137)에 의해 가압되면서 다시 제1방향으로 벤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가압롤러(137)는 가이드블록(135)과 함께 유연유도가열부(120)를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연유도가열부(120)는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안내부(140)는 베이스부(110) 및 조절부(130)의 사이에 구비되어 베이스부(110) 및 조절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안내부(140)는 레일(141) 및 슬라이더(142)를 가질 수 있다.
레일(141)은 베이스부(110)의 상면(111)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일(141)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더(142)는 레일(141)에 결합되어 레일(141)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42)는 조절부(130)의 몸체부(13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부(140)는 조절부(130)가 제1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동력발생부(150)는 조절부(130)가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동력발생부(150)는 특정한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동력발생부(150)는 스트로크가 변하는 로드를 가지는 실린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드는 조절부(130)의 몸체부(131)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의 스크로트가 변하면서 조절부(130)를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동력발생부(150)는 회전하면서 대상물을 직선 이동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회전력을 제어하는 서보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류는 조절부(130)의 몸체부(131)와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조절부(130)를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더하여,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100)는 제1차폐부(160) 및 제2차폐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차폐부(160)는 제1걸림기둥(115)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차폐부(160)는 제2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유연유도가열부(120) 중에 제1걸림기둥(115)에 밀착되면서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형성되는 자기력선을 차폐할 수 있다.
제2차폐부(170)는 조절부(13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차폐부(170)는 제2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유연유도가열부(120) 중에 제2걸림기둥(132)에 밀착되어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형성되는 자기력선을 차폐할 수 있다. 제2차폐부(170)에는 가압롤러(137)의 고정축(139)이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차폐부(160) 및 제2차폐부(170)는 자속(Magnetic Flux)을 집속시키는 페라이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차폐부(160) 및 제2차폐부(170)는 각각 하측에 위치된 가열코일(122)에서 발생하는 자속을 집속시켜, 자속이 집속되는 바깥쪽에서는 자속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자속이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123)는 강성튜브(123a) 및 유연튜브(123b)를 가질 수 있다.
강성튜브(123a)는 제1걸림기둥(115)에 밀착되면서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는 부분으로 제1강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유연튜브(123b)는 강성튜브(123a)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제2걸림기둥(132), 가이드블록(135) 및 가압롤러(137)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제1강성보다 작은 제2강성을 가질 수 있다.
유연유도가열부(120)에서 강성튜브(123a)가 마련되는 부분은 제1걸림기둥(115)에 걸리고, 조절부(130)가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더라도 길이가 가변되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강성튜브(123a)가 상대적으로 강한 제1강성을 가짐으로써 유연유도가열부(120)가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도울 수 있다.
한편, 유연튜브(123b)는 조절부(130)가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때, 제2걸림기둥(132), 가이드블록(135) 및 가압롤러(137)에 밀착되면서 연속적으로 벤딩되어 제1방향으로의 길이가 가변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약한 강성을 가짐으로써, 벤딩이 쉽게 되고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의 (a)는 유연유도가열부(120)가 제1걸림기둥(115)에 걸려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제1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방향을 따라 제1길이(L1)로 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조절부(13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걸림기둥(115) 및 제2걸림기둥(132)이 가깝게 된 상태로써, 제1길이(L1)의 유연유도가열부(120)의 대부분에 강성튜브(123a)가 마련된다.
한편, 도 4의 (b)에서와 같이, 동력발생부(150)에서 동력이 제공되어 조절부(13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제1걸림기둥(115)과 제2걸림기둥(13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고, 조절부(130)의 내측에서는 유연유도가열부(120)가 제2걸림기둥(132), 가이드블록(135) 및 가압롤러(137)에 밀착되어 벤딩되게 된다. 그러면 유연유도가열부(120)는 제1방향을 따라 제2길이(L2)를 가지게 된다. 유연유도가열부(120)가 제1길이(L1)에서 제2길이(L2)가 되거나, 제2길이(L2)에서 제1길이(L1)가 되는 과정에서 제2걸림기둥(132), 가이드블록(135) 및 가압롤러(137)에 밀착되어 벤딩되는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작은 유연튜브(123b)가 배치되기 때문에, 더욱 잘 벤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제조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제조시스템은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100), 벨트이송부(200), 센싱부(400) 그리고 제어부(500)를 가질 수 있다.
벨트이송부(200)는 벨트(210) 및 제1동력부(230)를 가질 수 있다.
벨트(210)는 상측에서 후술할 신발의 바닥조립체를 이동시키는 공급벨트(211)와, 하측에서 공급벨트(211)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리턴벨트(212)를 가질 수 있다. 공급벨트(211) 및 리턴벨트(212)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공급벨트(211) 및 리턴벨트(212)는 연결된 하나의 벨트(210)일 수 있다. 벨트(210)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공급벨트(211)는 바닥조립체를 제2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100)는 공급벨트(211) 및 리턴벨트(212)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는 공급벨트(211)의 하측, 리턴벨트(212)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100)는 유연유도가열부(120, 도 1 참조)를 제외한 부분이 하우징(18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100)는 제1프레임부(3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프레임부(300)의 상부에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3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100)는 가이드레일(310)의 상부에서 가이드레일(310)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프레임부(300)에는 제2동력부(3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동력부(320)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100)를 제2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벨트(210)는 제1이송롤러(221) 및 제2이송롤러(22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동력부(230)는 제1이송롤러(221)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벨트이송부(200)는 제2프레임부(330)에 설치될 수 있다.
센싱부(400)는 공급벨트(211)에 의해 이동되는 바닥조립체의 위치 및 형상을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400)가 공급되는 바닥조립체의 형상을 센싱한 형상정보 및 바닥조립체의 위치를 센싱한 위치정보는 제어부(500)로 전송될 수 있다.
센싱부(400)는 유연유도가열부(12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센싱부(400)는 바닥조립체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센싱부(400)에서 센싱되어 전달되는 형상정보를 기초로 유연유도가열부(120)의 길이가 바닥조립체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제조시스템으로 제조되는 신발의 바닥조립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의 바닥조립체(10)는 겉창(Outsole)(11), 발열체(Susceptor)(12) 및 필름형 접착제(13)를 가질 수 있다.
발열체(12)는 겉창(11)의 내측에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메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체(12)는 유연유도가열부(120)에 의해 유도가열될 수 있다.
필름형 접착제(13)는 겉창(11)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필름형 접착제(13)는 발열체(12)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활성활될 수 있다.
필름형 접착제(13)의 상부에는 중창(Midsole)(14)이 위치될 수 있으며, 필름형 접착제(13)에 의해 중창(14) 및 겉창(11)은 접착될 수 있다.
중창(14)은 필름형 접착제(13)가 유연유도가열부(120)에 의해 가열된 이후의 공정에서 필름형 접착제(13)의 상부에 공급되거나, 처음부터 필름형 접착제(13)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공급벨트(211)를 통해 함께 공급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제조시스템에서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작동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어부(500)는 센싱부(400)에서 센싱되는 바닥조립체의 형상정보를 기초로 바닥조립체의 제1방향의 폭에 대응되도록 유연유도가열부(120)의 제1방향의 길이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7의 (a)를 더 포함하여 보는 바와 같이, 바닥조립체(10a)가 제1폭(W1)으로 넓은 경우, 제어부(500)는 유연유도가열부(120)의 제3길이(L3)가 늘어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유연유도가열부(120)의 제3길이(L3)는 제1차폐부(160) 및 제2차폐부(170)의 사이의 제1간격(G1)이 바닥조립체(10a)의 제1폭(W1)에 일치될 수 있는 길이로 제어될 수 있다.
유연유도가열부(12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은 제1차폐부(160) 및 제2차폐부(170)에 의해 차폐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 즉, 제1간격(G1)에만 형성될 수 있다.
유연유도가열부(120)는 바닥조립체(10a)의 폭 방향, 즉, 제1방향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제2방향으로 공급되는 바닥조립체(10a)에는 제1간격(G1) 내에서 형성되는 균일한 밀도의 자기력선이 스캔될 수 있고, 바닥조립체(10a)의 발열체는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다.
그런데 만일, 제1차폐부(160) 및 제2차폐부(170)가 없고, 유연유도가열부(120)의 제3길이(L3)가 바닥조립체(10a)의 제1폭(W1)과 동일한 길이로 되는 경우, 유연유도가열부(120)에서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선에 대해서는 노출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바닥조립체(10a)의 가장자리는 더 많이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차폐부(160) 및 제2차폐부(170)의 구성을 마련하고, 제1간격(G1)이 바닥조립체(10a)의 제1폭(W1)에 대응되도록 유연유도가열부(120)의 제3길이(L3)를 제어함으로써, 제2방향으로 공급되는 바닥조립체(10a)가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폭(W1)보다 작은 제2폭(W2)을 가지는 바닥조립체(10b)가 공급되는 경우, 제어부(500)는 센싱부(400)에서 전달되는 형상정보를 기초로 유연유도가열부(120)의 길이를 제3길이(L3)보다 짧은 제4길이(L4)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4길이(L4)는 제1차폐부(160) 및 제2차폐부(170) 사이의 제2간격(G2)이 제2폭(W2)과 동일하도록 하는 길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센싱부(400)에서 센싱되어 전달되는 바닥조립체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유연유도가열부(120)의 작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공급되는 바닥조립체가 유연유도가열부(120)의 수직 상측에 위치되는 시점부터 유연유도가열부(120)를 통과하는 시점까지만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연유도가열부(120)의 불필요한 작동을 줄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고, 유연유도가열부(120)의 튜브의 열변형을 줄일 수 있다.
제어부(500)는 공급되는 바닥조립체의 폭 및 위치에 따라 유연유도가열부(120)의 길이 및 작동 시간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제조시스템으로 제조되는 신발의 다른 바닥조립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의 바닥조립체(10c)는 겉창(11a) 및 접착제(12a)를 가질 수 있다.
접착제(12a)는 겉창(11a)의 상부에 도포될 수 있으며, 접착제(12a)는 유연유도가열부(120)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금속입자(17)를 가질 수 있다. 금속입자(17)는 접착제(12a)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조립체(10c)가 공급되면 유연유도가열부(120)에 의해 금속입자(17)가 유도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된 금속입자(17)에 의해 접착제(12a)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신발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발제조방법은 공급단계(S610), 센싱단계(S620), 조절단계(S630) 그리고 유도가열단계(S6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단계(S610)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상측에 구비되는 벨트이송부의 공급벨트가 제2방향으로 신발의 바닥조립체를 이동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유연유도가열부는 바닥조립체의 공급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센싱단계(S620)는 센싱부가 공급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바닥조립체의 위치 및 형상을 센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조절단계(S630)는 제어부가 유연유도가열부의 제1방향의 길이를 센싱부에서 센싱되는 바닥조립체의 제1방향의 폭에 대응되도록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단계일 수 있다.
그리고 유도가열단계(S640)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가 바닥조립체를 유도가열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어부(500)는 바닥조립체가 유연유도가열부에 의해 균일하게 유도가열될 수 있도록, 바닥조립체의 폭에 따라 유연유도가열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제1차폐부 및 제2차폐부 사이의 간격의 바닥조립체의 폭과 일치하도록 유연유도가열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바닥조립체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바닥조립체가 유연유도가열부의 수직 상측에 유입되는 시점부터 유연유도가열부를 통과할 때까지만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연유도가열부의 작동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바닥조립체 100: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110: 베이스부 115: 제1걸림기둥
120: 유연유도가열부 121: 유연코어
122: 가열코일 123: 튜브
123a: 강성튜브 123b: 유연튜브
130: 조절부 32: 제2걸림기둥
135: 가이드블록 137: 가압롤러
140: 안내부 150: 동력발생부
160: 제1차폐부 170: 제2차폐부
200: 벨트이송부 400: 센싱부
500: 제어부

Claims (11)

  1. 제1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면 일단부에 상기 제1방향에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걸림기둥을 가지는 베이스부;
    일부분은 상기 제1걸림기둥에 걸리면서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류가 인가되어 피가열체를 유도가열시키는 유연유도가열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어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방향으로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조절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타단부 및 상기 조절부를 연결하고, 상기 조절부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 그리고
    상기 조절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안내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걸림기둥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걸림기둥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유연유도가열부의 다른 일부분이 밀착되어 벤딩되면서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걸림기둥과,
    상기 제2걸림기둥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2걸림기둥에 밀착되어 벤딩되면서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과 함께 상기 유연유도가열부를 가압하여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팽팽해지도록 고정시키는 한 쌍의 가압롤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기둥은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밀착되는 제1밀착면이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기둥은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밀착되는 제2밀착면이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유연유도가열부가 밀착되는 제3밀착면이 내측으로 오목하도록 라운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유도가열부는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유연코어와,
    상기 유연코어의 외측에 상기 유연코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감기고 전류가 인가되는 가열코일과,
    상기 유연코어 및 상기 가열코일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내측에 냉각수를 수용하는 튜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제1걸림기둥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며 제1강성을 가지는 강성튜브와,
    상기 강성튜브의 양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걸림기둥, 상기 가이드블록 및 상기 가압롤러에 밀착되며 상기 제1강성보다 작은 제2강성을 가지는 유연튜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기둥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연유도가열부 중에 상기 제1걸림기둥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형성되는 자기력선을 차폐하는 제1차폐부; 그리고
    상기 조절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유연유도가열부 중에 상기 조절부의 내측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형성되는 자기력선을 차폐하는 제2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와,
    상기 조절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상기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신발의 바닥조립체를 이동시키는 공급벨트와, 상기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하측에 구비되는 리턴벨트를 가지는 벨트이송부;
    상기 공급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바닥조립체의 위치 및 형상을 센싱하는 센싱부; 그리고,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되는 상기 바닥조립체의 상기 제1방향의 폭에 대응되도록 상기 유연유도가열부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발제조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조립체는
    겉창과,
    상기 겉창의 내측에 전체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유연유도가열부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메시 형태의 발열체와,
    상기 겉창의 상면에 구비되는 필름형 접착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제조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조립체는
    겉창과,
    상기 겉창의 상부에 도포되되,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연유도가열부에 의해 유도가열되는 금속 입자를 가지는 접착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제조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의 상측에 구비되는 벨트이송부의 공급벨트가 상기 제2방향으로 신발의 바닥조립체를 이동시키는 공급단계;
    센싱부가 상기 공급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바닥조립체의 위치 및 형상을 센싱하는 센싱단계;
    제어부가 상기 유연유도가열부의 상기 제1방향의 길이를 상기 센싱부에서 센싱되는 상기 바닥조립체의 상기 제1방향의 폭에 대응되도록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조절단계; 그리고
    상기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가 상기 바닥조립체를 유도가열하는 유도가열단계를 포함하는 신발제조방법.
KR1020180050828A 2018-05-02 2018-05-02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신발제조시스템 및 신발제조방법 KR102009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28A KR102009771B1 (ko) 2018-05-02 2018-05-02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신발제조시스템 및 신발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828A KR102009771B1 (ko) 2018-05-02 2018-05-02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신발제조시스템 및 신발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771B1 true KR102009771B1 (ko) 2019-08-12

Family

ID=6762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828A KR102009771B1 (ko) 2018-05-02 2018-05-02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신발제조시스템 및 신발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7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120A (ko) 2000-06-16 2001-12-28 임성조 유도가열을 이용한 이브에이재질의 신발중창 제조방법
KR20100032561A (ko) * 2008-09-18 2010-03-26 최진국 유도가열을 이용한 신발 중창 성형장치
KR20170120956A (ko) * 2016-04-22 2017-11-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도 가열 가능한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접착 장치
KR101811674B1 (ko) * 2016-06-14 2017-12-26 한국기계연구원 대상물 접착용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대상물 접착방법 및 신발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120A (ko) 2000-06-16 2001-12-28 임성조 유도가열을 이용한 이브에이재질의 신발중창 제조방법
KR20100032561A (ko) * 2008-09-18 2010-03-26 최진국 유도가열을 이용한 신발 중창 성형장치
KR20170120956A (ko) * 2016-04-22 2017-11-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도 가열 가능한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접착 장치
KR101811674B1 (ko) * 2016-06-14 2017-12-26 한국기계연구원 대상물 접착용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대상물 접착방법 및 신발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4273B2 (en) Heating device and fixing device
JP4706643B2 (ja) 固定子の加熱方法、及び加熱装置
KR102009771B1 (ko) 형상 가변형 유도가열장치, 이를 이용한 신발제조시스템 및 신발제조방법
JP6899377B2 (ja) フラットベッドエンボス加工機
CN106169846B (zh) 覆膜集合导线的制造方法
US7480479B2 (en) Fixing apparatus
US6181905B1 (en) Image heating apparatus
TW200821423A (en) Warp knitting machine
JP6108612B2 (ja) 長尺状ワークの移動焼入装置、並びに、移動焼入方法
US66899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duction heating a roll
CN103676061A (zh) 点胶装置及点胶方法
KR20170077301A (ko) 삼차원 프린터용 노즐 어셈블리
RU2670892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резины на стальную проволоку
CN103338539B (zh) 一种鼓式硫化机电磁感应辅助加热装置
US5532806A (en) Image fix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temperature unevenness
JP2007015157A (ja) ゴムロールの製造装置、ゴム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ゴムロール。
FI109304B (fi) Menetelmä ja laite telan lämmittämiseksi
JP2014151349A (ja) 連続ホットプレス装置
KR200482965Y1 (ko) 유도가열코일 어셈블리
KR101073176B1 (ko) 테이프를 이용한 직물의 표면처리 장치
KR102451363B1 (ko) 속도 조절 장치
KR101861087B1 (ko) 액체 가열 장치
JP5018468B2 (ja) 定着装置およびコイルユニット
KR102456117B1 (ko) 유도가열장치
KR102513501B1 (ko) 자기융착성 인덕션 히팅코일 권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